KR102303184B1 - 다각 팽창형 튜브 - Google Patents

다각 팽창형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3184B1
KR102303184B1 KR1020210020896A KR20210020896A KR102303184B1 KR 102303184 B1 KR102303184 B1 KR 102303184B1 KR 1020210020896 A KR1020210020896 A KR 1020210020896A KR 20210020896 A KR20210020896 A KR 20210020896A KR 102303184 B1 KR102303184 B1 KR 10230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shape
main body
polygonal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08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병근
Original Assignee
(주)한솔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솔테크 filed Critical (주)한솔테크
Priority to KR10202100208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3184B1/ko
Priority to KR1020210076916A priority patent/KR20220117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7/00Moulds; Cores; Mandrels
    • B28B7/28Cores; Mandrels
    • B28B7/30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 B28B7/32Cores; Mandrels adjustable, collapsible, or expanding infla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1/00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 B28B21/02Methods o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tubular articles by casting into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23/00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with elements wholly or partly embedded in the moulding material; Production of reinforced objects
    • B28B23/0056Means for inserting the elements into the mould or supporting them in the mou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ipe Accessorie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각 팽창형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충진되어 팽창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교량, 암거 및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공법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등에 성형되는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로 사용되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각 팽창형 튜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각 팽창형 튜브{INFLATABLE TUBE}
본 발명은 다각 팽창형 튜브에 관한 것으로서, 유체가 충진되어 팽창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본체의 단면 형상을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교량, 암거 및 콘크리트 중공 슬래브 공법에 사용되는 철근콘크리트 등에 성형되는 중공을 형성하기 위한 몰드로 사용되어, 설치 및 분해가 용이하고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며, 작업 시간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다각 팽창형 튜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암거는 공기 단축 및 경제적 시공을 위해 공장에서 미리 제작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품을 현장에서 조립하는 시공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나, 대규모의 공사를 위해서는 주로 현장에서 타설하는 시공방법을 통해 구조물을 제작하고 있다.
암거란, 용수나 배수용의 수로가 도로, 철도, 제방 등의 아래에 매설 되는 통수로를 의미하며,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관련된 종래기술로는 등록실용신안 제20-0267831호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가 있으며,
상기 종래기술은 암거의 시공속도가 빠르고, 시공 후 즉시 되메우기 할 수 있도록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를 사용하여 구체를 연속적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현장에서 증기를 이용하여 촉진 양생하므로써 양생기간을 단축시켜 거푸집 존치기간을 최소화하고 연속적으로 암거를 제작하여 불필요한 공기지연 등의 문제를 해소하고 현재의 공법보다 월등하게 시공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고안된 기술에 관한 것이고,
등록실용신안 제20-0395015호 "방수성, 방식성, 수질 정화 및 부패 방지 기능을 가지는 다용도의 프리캐스트 철근 콘크리트 암거"는 표면을 화학 수지로 라이닝 하여 방수 및 방식 특성이 있게 하고, 라이닝 표면에 바이오 세라믹스를 혼합한 화학 수지 발포체로 형성된 세라믹스 담체를 부착하여 호기성 또는 혐기성 미생물이 서식할 수 있는 환경을 구비하거나 항균 및 항곰팡이 특성을 부여하여 PC 암거에 접촉하는 수자원의 부패 방지 또는 접촉하는 오폐수 처리를 하는 기능성을 가지며, 화단 및 도로 중앙 분리 벽 또는 유수 및 빗물의 관로 등을 겸한 다용도의 PC 암거에 관한 것이며,
등록특허 제10-0912909호 "암거의 제조방법"은 유(U)자형 바닥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유자형 바닥 콘크리트용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 유자형 바닥 콘크리트용 거푸집을 제거하여 유자형 바닥 콘크리트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유자형 바닥 콘크리트 상부에 상부 슬래브를 형성하기 위한 상부 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상부 슬래브용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양생한 후 상부 슬래브용 거푸집을 제거하여 상부 슬래브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암거는 상하로 구분하여 이를 개별적으로 타설/경화 및 조립하는 방식으로 제조되는 것도 가능하나,
제조 편의성을 높이고자 목재를 이용한 몰드를 내부에 배치한 후, 외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화시킨 다음에 이 몰드를 제거하여 중공부를 형성하는 방식을 많이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러한 방법은 암거 뿐만 아니라, 내부에 중공부가 형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 등을 제조하는데도 많이 사용되고 있으나,
몰드를 제거할 때, 상기 몰드의 재질이 목재로 이루어짐에 따라 파쇄하여 제거할 수밖에 없어 재사용이 불가능하고, 작업시간 또한 길어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유체를 주입하면 팽창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어 상기 본체가 팽창하면 다각형의 형상을 유지하는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콘크리트 구조물의 중공부의 성형할 때, 중공부의 형상을 안정적으로 성형하는 몰드로 이용되며,
구조물 성형 완료 후, 몰드 제거시에는 유체를 제거함에 따라, 상기 본체가 축소되어 손쉽게 몰드를 분리시킬 수 있어 작업 편의성을 높이는 다각 팽창형 튜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형상유지부재를 상기 본체의 내측의 내각형성부에 구비하여 상기 본체가 팽창하였을 때, 그 단면형상을 다각형으로 유지할 수 있는 다각 팽창형 튜브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는
유체 공급을 주입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팽창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팽창하면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형성되는 내각형성부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
를 포함하여 이루어되,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가 팽창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어느 한 내각이 상기 내각형성부가 형성하는 내각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는
유체가 유입되어 팽창되는 팽창부를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 내부에 구비되어 팽창시에 본체의 단면형상을 다각형으로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중공부를 형성하는 콘크리트 구조물을 성형할 때, 성형시에는 중공부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으며, 구조물 성형 완료 후에는 유체를 빼는 작업에 의해 본체를 축소시켜 보다 손쉽게 본체를 제거할 수 있으며,
상기 본체를 파쇄할 필요가 없어 여러번 재사용이 가능하여 비용 또한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의 내측 사진도
도 4 및 5a,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의 변형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각 팽창형 튜브(P)는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정 길이를 갖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고안된 것으로, 본 명세서에서의 단면이라 함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했을 때의 형상을 의미하며, 도면과 같이 그 단면형상이 사각형을 이루는 것 외에 오각형, 육각형, 삼각형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다시 상기 본체(10)는 내부에 팽창부(13)를 갖는 밀폐형 부재로, 일측에 유체를 유입하기 위한 주입구(1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팽창부(13)로 유체가 유입되면, 상기 팽창부(13)가 팽창하여 다각면체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주입구(11)는 외부 펌프 등이 손쉽게 결합될 수 있도록 커플링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입구(11)에는 별도의 캡이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어 이동, 보관 시 상기 주입구(11)를 통하여 이물질이 내부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이는 이물질이 상기 팽창부(13)에 유입된 사실을 모르고 유체를 공급하여 팽창시키면, 상기 이물질에 의해 상기 본체(10) 내벽이 찢어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시 상기 본체(10)는 유체가 유입됨에 따라 팽창될 수 있는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며, 쉽게 찢어지지 않는 고무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으며, 더 나아가 상기 본체(10)에는 보강원사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이나 나선형으로 내장되되 팽창부(13)의 팽창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2중이나 그 이상으로 구비되어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이 좋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의 단면형상이 다각형의 형상, 즉 복수의 꼭짓점(내각형성부(15))을 갖는 형상으로 이루어져 제조하고자 하는 콘크리트의 중공부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몰드로서의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가 팽창되었을 때, 다각형의 중공부를 성형하기 위하여 형상유지부재(20)를 더 도입하여, 상기 본체(10)(팽창부(13))가 유입되는 유체에 의해 팽창을 하여도 단면 형상이 다각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형상유지부재(20)는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 내측에 구비되는 것으로, 본체(10)와 동일한 고무, 실리콘과 같은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스틸, 알루미늄과 같은 경질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나, 보관, 이동 및 제조의 편의성을 위하여 고무나 실리콘이 가장 바람직하다.
다시 상기 형상유지부재(20)는 우선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구비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된다.
상기 본체(10)는 설치 환경 및 관로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본 발명은 상기 본체(10)가 팽창할 때 다각형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형상유지부재(20)를 구비하는 바, 이 형상유지부재(20)가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간격 또는 비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어 상기 본체(10)에 유체가 유입될 때, 본체(10)의 어느 한 부분만 단면 형상이 다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본체(10) 전체가 균일하게 단면형상을 다각형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형상유지부재(20)의 위치 및 간격, 그리고 개수는 본체(10)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하 도2 및 도3을 기준으로 상기 본체(10)의 길이방향에 설치되는 복수의 형상유지부재(20) 중 어느 한 형상유지부재(20)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20)는 상기 본체(10)가 팽창하였을 때를 기준으로 내각형성부(15)에 구비되는 것으로, 각 내각형성부(15) 부분에 각각 구비되거나, 상기 본체(10) 내측면의 따라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우선 내각형성부(15)란, 상기 본체(10)의 단면을 기준으로 다각형으로 제작될 때, 각 꼭짓점, 즉 내각을 형성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인접하는 두 면에 의해 형성되게 된다.
도2 및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아, 각각의 내각형성부(15)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20)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20)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에 따라 총 세 개의 꼭짓점부(23)과 세 개의 변부(21)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 중 어느 한 꼭짓점부(23)의 내각이 상기 본체(10)의 내각과 동일하게 이루어지면서, 이 형상유지부재(20)의 내각을 형성하는 두 변부(21)가 상기 본체(10)의 내각, 즉 내각형성부(15)를 형성하는 두 면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도2와 같이 상기 형상유지부재(20)가 내각형성부(15)에 구비되고, 본체(10)가 팽창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20)가 펼쳐지면서 상기 본체(10)의 팽창을 제어함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단면형상이 기 설정된 다각형의 형상과 동일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콘크리트 성형을 완료하면, 중공부의 면적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도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형상유지부재(20)의 각 변부(21), 보다 정확하게는 상기 본체(10)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각 변부(21)에는 날개부(W)를 더 도입하여, 상기 형상유지부재(20)를 보다 손쉽게 본체(10) 내측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때 고정방식은 본드, 글루건 등과 같은 접착부재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상기 형상유지부재(20)에는 접이선(25)이 더 구비되어, 상기 본체(10)를 팽창하기 전, 부피를 최소화하도록 접었을 때, 상기 형상유지부재 또한 상기 접이선(25)을 통하여 접힐 수 있도록 고안되어 보관 및 운반의 편의성을 높이며,
더 나아가 본체(10) 내부에 충진된 유체를 제거하여 상기 본체(10)를 축소시킬 때, 상기 형상유지부재가 접이선에 의해 접혀 축소 시 간섭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손쉽게 본체(10)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의 외양측 단부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보강귀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제조상 상기 본체의 꼭지점 부분에 틈새가 생겨 유체가 새어나가는 문제가 종종 발생함에 따라, 이를 보강하여 상기 본체가 완벽하게 밀폐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상기 보강귀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이하 도4,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주입구(11)에는 펌프의 호스(H)가 이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이 캡과 상기 주입구(11)는 원터치결합블록(TB)에 의해 상호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유입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호스(H)가 상기 주입구(11)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터치결합블록(TB)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원터치결합블록(TB)은 도5a 및 도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스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B13)이 구비되는 제1블록(B1)과, 주입구(11)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과 상기 끼움홈(B2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인입되는 인입홈(B23)이 형성된 제2블록(B2)과,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B33) 및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B31) 및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B3)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B31)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상기 인입홈(B23)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에 인입방지추(B33)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각의 구성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우선 상기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은 도면에 자세한 사시도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모두 사각형의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우선 상기 제2블록(B2)은 주입구(11)에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제1블록(B1)이 인입되는 끼움홈(B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끼움홈(B21)의 양측에는 인입홈(B23)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인입홈(B23)은 상기 제1블록(B1)이 끼움홈(B21)에 끼워질 때, 상기 고정팔(B13)의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게 된다.
다시, 제1블록(B1)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사각형의 블록으로, 하부는 상기 끼움홈(B21)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도면과 같이, 중앙에는 T자형의 T형공간부(B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T형공간부(B11)와 연통되되 상기 제2블록(B2)의 양측으로 개방되는 인출로(B12)가 형성되고, 상기 인출로(B12)의 중앙에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구비되는 수납부(B335)가 형성된다.
먼저 고정팔(B13)에 대하여 설명하면, 상기 제1블록(B1)에는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고정팔(B13)이 구비되게 되는데, 상기 고정팔(B13)은 상기 인출로(B12)에 구비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동작에 의해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인입홈(B23)에 끼워질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고정팔(B13)의 외측에는 각각 지지날개(B1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팔(B13)을 감싸는 복귀탄성체(B133)가 상기 지지날개(B131)와 제1블록(B1)의 가장자리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B13)이 제1블록(B1) 내측방향으로 복원되도록 탄성력을 받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하거나 뺄 때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아 원활하게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고정팔(B13)의 내측 일단에는 대응경사부(B13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이는 후술하는 인입방지추(B33)가 이동할 때 상기 고정팔(B13)을 자연스럽게 양측으로 밀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제1블록(B1)의 양측, 보다 정확하게는 도5a를 준으로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는 각각 핸들러(B31)가 더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핸들러(B31)는 인입방지수단(B3)의 한 구성으로, 이하, 인입방지수단(B3)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인입방지수단(B3)은 상기 제1블록(B1)에 구비되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을 양측으로 돌출시킨 후, 이들의 후퇴를 방지하는 인입방지추(B33)와, 상기 제1블록(B1)에 힌지결합되는 핸들러(B31),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를 연결하는 와이어(B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우선 상기 인입방지추(B33)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수납부(B335)에 안착되어 있으며, 도5a를 기준으로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단부에는 상기 대응경사부(B135)와 밀착되는 진입경사부(B331)가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수납부(B335)에는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는 압축스프링(B333)이 더 구비되어 있다.
상기 압축스프링(B333)은 인입방지추(B33)를 복원시키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는 스프링으로, 여기서 복원시키는 방향은 도5a와 같이, 고정팔(B13)이 돌출되지 않았을 때의 상태의 위치를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도5b와 같이, 한 쌍의 고정팔(B13) 사이로 이동하면, 상기 진입안내부 및 대응경사부(B135)에 의해 자연스럽게 상기 고정팔(B13)들이 벌어져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게 되고, 상기 인이방지추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는 한, 상기 고정팔(B13)들은 다시 내측으로 후퇴할 수 없어 제1블록(B1)과 제2블록(B2)의 고정력을 유지할 수 있다.
다시 상기 핸들러(B31)는 도5a의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제1블록(B1)의 상부 양측에 제1힌지부(B311)를 통하여 힌지결합된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는 도5b와 같이 일면이 상기 제1블록(B1) 측방향에 밀착되도록 움직일 수 있다.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부재로, 상기 핸들러(B31)와 인입방지추(B33)는 도면과 같이 와이어(B35)로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와이어(B35)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T형공간부(B11)의 내측 모서리부분에는 제1롤러(B15)가 구비되어 와이어(B35)를 지지하고, 상기 T형공간부(B11)의 단부, 즉 와이어(B35)가 노출되는 부분에도 제2롤러(B16)가 구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도5b와 같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에 삽입한 후, 상기 한 쌍의 핸들러(B31)를 접으면, 상기 와이어(B35)가 당겨지게 되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이동시키게 되고, 상기 인입방지추(B33)의 이동으로 인해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제1블록(B1) 양측으로 돌출되어 인입홈(B23)에 끼워져 제1블록(B1)이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이 때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블록(B1)과 상기 핸들러(B31)에는 상기 핸들러(B31)가 접힌 상태를 기준으로 서로 밀착되는 면에 각각 제1마그넷(M1) 및 제2마그넷(M2)을 구비하고, 이들이 인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핸들러(B31)가 임의로 펼쳐지는 것을 방지하여 인입방지추(B33)가 복귀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상기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역으로 상기 핸들러(B31)를 다시 펼쳐야 하는데, 상기 핸들러(B31)는 상기 제1블록(B1)에 자성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있음에 따라 사용자가 핸들러(B31)를 펼치는데 어려움이 있으며, 본 발명은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기 핸들러(B31)에 제2힌지부(B312)에 힌지결합되는 홀딩손잡이(B313)를 더 구비하고 있다.
따라서 도5b와 같이 상기 홀딩손잡이(B313)를 젖힌 후, 사용자가 이 홀딩손잡이(B313)를 잡고 손쉽게 핸들러(B31)를 펼칠 수 있고, 상기 핸들러(B31)가 펼쳐지면, 상기 인입방지추(B33)를 지지하던 압축스프링(B3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 상기 인입방지추(B33)가 수납부(B335)로 도5a와 같이 원위치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B13)은 복귀탄성체(B133)의 탄성력에 의해 제1블록(B1) 내측으로 인입되어, 제1블록(B1)을 제2블록(B2)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원터치결합블록(TB)에 의해, 보다 손쉽게 호스(H)를 주입구(11)에 고정 및 분리할 수 있어, 사용 편의성을 대폭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 및 구성을 갖는 다각 팽창형 튜브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P : 튜브
10 : 본체 11 : 주입구
13 : 팽창부 15 : 내각형성부
20 : 형상유지부재 21 : 변
23 : 꼭짓점부 25 : 접이선

Claims (4)

  1. 유체 공급을 위한 주입구가 구비되고, 내측에 팽창부가 형성되는 본체;
    상기 본체가 팽창하면 단면형상이 다각형을 이루도록 상기 본체 내측에 구비되는 형상유지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는 내부에 팽창부를 갖는 밀폐형 부재이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복수개가 구비되고,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삼각형의 형상으로 플렉서블한 재질로 이루어지되, 상기 본체가 팽창하면, 상기 형상유지부재의 어느 한 내각이 상기 본체 내측의 내각형성부가 형성하는 내각과 동일하도록 이루어지고, 형상유지부재의 내각을 형성하는 두 변부가 상기 본체의 내각형성부를 형성하는 두 면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상기 형상유지부재에는 접이선이 더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팽창형 튜브.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유지부재는 본체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각 변부에는 날개부를 더 도입하여, 상기 형상유지부재를 보다 손쉽게 본체 내측에 고정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팽창형 튜브.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외양측 단부의 각 모서리부분에는 보강귀가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본체는 보강원사가 상기 본체의 길이방향이나 나선형으로 내장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팽창형 튜브.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유체를 주입하기 위한 호스가 연결되는 주입구가 더 구비되고,
    상기 호스와 주입구는 원터치결합블록에 의해 상호 결합되되,
    상기 원터치결합블록은
    상기 호스에 구비되며 양측으로 돌출 가능하게 구비되는 한 쌍의 고정팔이 구비되는 제1블록과,
    상기 주입구에 구비되어 상기 제1블록이 인입되는 끼움홈과 상기 끼움홈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이 인입되는 인입홈이 형성된 제2블록과,
    상기 제1블록에 구비되어 상기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인입방지추 및 상기 인입방지추의 승하강을 유도하며 상기 제1블록에 힌지 가능하게 결합되는 핸들러 및 상기 핸들러와 인입방지추를 연결하는 와이어를 포함하는 인입방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제1블록을 상기 끼움홈에 삽입하고, 상기 핸들러를 동작하면, 상기 인입방지추가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로 이동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을 상기 인입홈에 내삽시켜 상기 제1블록을 제2블록에 고정하고,
    상기 한 쌍의 고정팔 사이에 인입방지추가 위치하여 상기 한 쌍의 고정팔의 후퇴를 불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각 팽창형 튜브.
KR1020210020896A 2021-02-17 2021-02-17 다각 팽창형 튜브 KR102303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96A KR102303184B1 (ko) 2021-02-17 2021-02-17 다각 팽창형 튜브
KR1020210076916A KR20220117783A (ko) 2021-02-17 2021-06-14 다각 팽창형 튜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0896A KR102303184B1 (ko) 2021-02-17 2021-02-17 다각 팽창형 튜브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16A Division KR20220117783A (ko) 2021-02-17 2021-06-14 다각 팽창형 튜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3184B1 true KR102303184B1 (ko) 2021-09-23

Family

ID=7792622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0896A KR102303184B1 (ko) 2021-02-17 2021-02-17 다각 팽창형 튜브
KR1020210076916A KR20220117783A (ko) 2021-02-17 2021-06-14 다각 팽창형 튜브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6916A KR20220117783A (ko) 2021-02-17 2021-06-14 다각 팽창형 튜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30318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97A (ko) * 2017-11-01 2019-05-09 이호석 플랙시블한 튜브가 적용된 hc구조물 및 생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9297A (ko) * 2017-11-01 2019-05-09 이호석 플랙시블한 튜브가 적용된 hc구조물 및 생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783A (ko) 2022-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5704B1 (ko) 터널 배면 공동 그라우팅 주입 방법 및 그 장치
KR101725330B1 (ko) 압력조절부재가 구비된 그라우팅 장치
KR101027963B1 (ko) 건설공사용 말뚝 및 인장부재를 위한 천공 확대부 콘크리트 시공방법
JPH04231595A (ja) 下水管を衛生処置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102303184B1 (ko) 다각 팽창형 튜브
JP2001311387A (ja) 既設管路の補修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補修材並びに管路
KR101066612B1 (ko) 지수판을 구비한 복합 쉘 파일 및 이를 이용한 주열식 영구 벽체 차수 공법
KR101566229B1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의 제조장치, 이의 제조방법 및 맨홀의 접속관 연결방법
KR20100094071A (ko) 가압식 소일네일링 공법을 적용한 사면 안착형 보강토 옹벽시공방법과 보강토 옹벽블록
KR20090083661A (ko) 옹벽 축조용 블록
CN107023061B (zh) 装配式塑料市政排水检查井及施工方法
KR20070014806A (ko) 마이크로 파일 기초구조물
KR100718264B1 (ko) 공기압을 이용한 거푸집
KR20150029421A (ko) 접속관종 호환이 가능한 맨홀
KR100697333B1 (ko) 도로 및 단지 사면 안정용 압력 네일링 패커
KR100564234B1 (ko) 공동주택의 수직하중으로 인한 파손 방지 상하수관
KR200469455Y1 (ko) 매립형 엘보우 조립체
JP3585567B2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の施工方法、コンクリート製品及び埋込インサート
KR100642295B1 (ko) 맨홀 접속관 및 그 연결구조
JP2008013931A (ja) セメント系構造物の止水方法及びそれに使用する止水構造
JPH09310420A (ja) コンクリート打ち継ぎ部の止水工法
JP2004244977A (ja) 管体の開口端面を閉塞する仮止め閉塞具
JP2007009508A (ja) 劣化した既設コンクリート製の下水道の補修方法
JP3805325B2 (ja) 床形成方法及び目地形成具及び目地形成構造
KR19990046507A (ko) 다발관"케이블"에의한콘크리트시공"조인트그라우팅"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