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96B1 -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 Google Patents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96B1
KR102302996B1 KR1020200097188A KR20200097188A KR102302996B1 KR 102302996 B1 KR102302996 B1 KR 102302996B1 KR 1020200097188 A KR1020200097188 A KR 1020200097188A KR 20200097188 A KR20200097188 A KR 20200097188A KR 102302996 B1 KR102302996 B1 KR 102302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ter
water supply
supply line
main pipe
narr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7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두현
김덕영
최기원
윤천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대운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주식회사 대운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971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45/00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45/04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 B21B45/08Devices for surface or other treatment of work, specially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for de-scaling, e.g. by brushing hydraul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일측면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 협폭 분사노즐부와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양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 광폭 분사노즐부가 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고,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제1 고압수 공급영역과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의 제2 고압수 공급영역을 각각 차단하여 별도로 내부에 마련하는 메인파이프; 및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1 고압수 공급라인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Descaling header for preventing scattered water interference}
본 발명은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에 대한 것으로,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를 1열로 구성하여 디스케일링 헤더에 배치함으로써 종래의 2열 디스케일링 헤더에서 발생한 비산수 간섭에 의한 스케일 제거능력 감소의 문제를 개선하고, 디스케일링 헤더의 착탈을 용이하게 하여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압연소재의 표면에는 공기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막인 스케일이 형성된다. 스케일을 압연소재의 표면으로부터 박리하여야 향후 진행되는 공정에 있어서 표면스크래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디스케일링 공정은 중요한 작업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스케일을 제거하는 장치인 디스케일링 장치는 압연소재 강판이 이동하는 테이블의 상부 또는 하부에 설치되며, 디스케일링 장치의 헤더로부터 분사되는 고압수에 의해서 압연소재의 스케일이 제거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디스케일링 헤더를 이용하여 강판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으로,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고압수를 공급받아 강판(S)의 표면에 고압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1a, 3a)은 디스케일링 헤더(1, 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 배치된다.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는 고압수의 사용량을 저감하기 위해 협폭의 강판 작업 시에는 강판이 통과하지 않은 양단부에 고압의 워터젯 분사를 하지 않도록 하는 협폭용 디스케일링 헤더(3)와, 광폭의 강판 작업 시에 양단부에만 고압의 워터젯 분사를 수행하는 광폭용 디스케일링 헤더(1)를 포함하여 2열의 헤더를 구비한다.
즉, 협폭용 분사노즐(3a)과 광폭용 분사노즐(1a)은 별도의 열로 구성된 디스케일링 헤더에 각각 장착되고, 2열의 디스케일링 헤더는 압연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 된다. 이에 따라 광폭강판의 스케일 제거 작업의 경우, 도 1a의 A영역은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협폭용 분사노즐(3a)에서 분사된 고압수가 강판(S)과 충돌하여 스케일을 제거함과 동시에 상기 제거된 스케일이 고압수와 함께 앞쪽으로 비산될 수 있다. 이때, 비산된 스케일과 고압수는 전방에 위치한 광폭용 분사노즐(1a)에서 분사된 고압수와 충돌하여 광폭용 분사노즐(1a) 고압수의 강판(S)에 대한 충돌 에너지를 분산시켜 저감시킬 수 있으며, 이는 강판 표면의 스케일 제거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강판(S)의 품질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또한, 디스케일링 헤더의 교체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필요한 경우, 고압수 공급배관과의 연결 및 해제를 위해 플렌지 볼트 해제 및 조립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 협소한 공간에 작업자가 직접 들어가서 작업을 해야하므로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많은 교체 시간이 필요하여 설비 가동시간을 감소시키므로 생산성에 문제를 줄 수 있다.
1.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19111호(2012.02.24 공개) 2.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97440호(2017.08.01 공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를 1열로 구성하여 디스케일링 헤더에 배치함으로써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의 강판에 대한 고압수의 충돌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디스케일링 헤더와 고압수 배관 사이의 착탈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일측면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 협폭 분사노즐부와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양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 광폭 분사노즐부가 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고,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제1 고압수 공급영역과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의 제2 고압수 공급영역을 각각 차단하여 별도로 내부에 마련하는 메인파이프; 및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1 고압수 공급라인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메인파이프에 외주면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고압수를 분사하는 노즐분사홀과, 고압수가 노즐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노즐몸체 타단부에 형성된 슬릿형의 입수홀과, 상기 노즐분사홀과 입수홀 사이의 노즐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 또는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는 분사노즐 각각의 중심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도록 일렬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은, 상기 메인파이프와 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메인파이프의 중심영역과 연통되며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은,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통하는 브리지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파이프 일단부로부터 제공된 고압수는 상기 메인파이프의 타단부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2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는,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의 일단부에 각각 고압수 공급배관을 연결시키는 퀵 커플링부를 구비하는 배관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는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를 1열로 구성하여 디스케일링 헤더에 배치함으로써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여 고압수의 충돌에너지 저감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스케일 제거작업을 효과적을 수행하여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의 고압수 공급영역을 별도로 각각 제공하는 메인파이프를 구비함으로써 광폭 분사노즐부와 협폭 분사노즐부의 고압수의 충돌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나아가서, 고압수 공급라인의 일단부에 각각 고압수 배관을 연결시키는 퀵 커플링을 구비하는 배관연결모듈을 포함하여 디스케일링 헤더와 고압수 배관 사이의 착탈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디스케일링 헤더를 이용하여 강판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2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배관연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의 스케일링 헤더를 이용하여 강판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일측면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도2의 I-I'에 따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분사노즐을 나타낸 사시도,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의 배관연결모듈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10)는 메인파이프(100)와,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과,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을 포함하며, 상기 메인파이프(100),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 및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디스케일링 헤더(10)는 헤더클램프(600)와 결합하는 클램프 결합부(130)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메인파이프(100)는 일측면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N)로 구성된 협폭 분사노즐부(110)와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110)의 양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N)로 구성된 광폭 분사노즐부(120)가 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와 달리 광폭 강판의 스케일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하더라도 광폭 분사노즐부(120)와 협폭 분사노즐부(110)를 1열로 구성하여 디스케일링 헤더(10)에 배치함으로써 비산수 간섭을 방지할 수 있으며, 고압수의 충돌에너지 저감문제를 해결하여 스케일 제거작업을 효과적을 수행하며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광폭 분사노즐부(120)와 협폭 분사노즐부(110)를 구성하는 상기 분사노즐(N)은 상기 메인파이프(100)에 외주면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노즐몸체(N10)와, 상기 노즐몸체(N10)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고압수를 분사하는 노즐분사홀(N20)과, 고압수가 노즐몸체(N10)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노즐몸체 타단부에 형성된 슬릿형의 입수홀(N30)과, 상기 노즐분사홀(N20)과 입수홀(N30) 사이의 노즐몸체(N10)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미도시)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입수홀(N30)은 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방사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디스케일링에 이용되는 고압수는, 디스케일링 후 강판의 품질과 직결되므로 깨끗한 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분사 전 고압수 내부의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노즐몸체(N10) 내부는 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노즐몸체(N10)는 내부에 필터를 구비함으로써 분사되는 고압수의 압력 또는 유량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고압수의 압력과 유량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도록 노즐몸체(N10)의 직경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한된 메인파이프(100) 외측면 영역 내에 구비되는 분사노즐(N)의 효율적 배치를 위하여,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110) 또는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120)는 분사노즐(N) 각각의 중심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도록 일렬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메인파이프(100)는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110)의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과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120)의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을 각각 차단하여 별도로 내부에 마련할 수 있다. 즉, 메인파이프(100) 내부를 별도로 구획하고, 협폭 분사노즐부(110)와 광폭 분사노즐부(120)에 공급하는 고압수의 영역을 서로 차단함으로써, 협폭 분사노즐부(110)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고압수 영역인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과, 광폭 분사노즐부(120)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고압수 영역인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을 마련할 수 있다.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과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을 별도로 마련함으로써 폭이 좁은 협폭의 강판 디스케일링 공정을 수행할 경우, 광폭 분사노즐부(120)에 고압수를 공급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고압수의 분사를 최소화하여 고압수 공급에 필요한 펌프구동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강판의 온도 강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광폭의 강판 디스케일링 공정을 수행할 경우, 광폭 분사노즐부(120)가 협폭 분사노즐부(110)와 함께 작동하더라도 별도의 고압수 공급영역을 마련함으로써 강판에 대한 각각의 분사노즐의 고압수 충돌 에너지는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10)는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은 상기 메인파이프(100)와 접하여 위치하되, 결합되어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파이프(100)의 중심영역과 연통되고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예로써,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은 제1 고압수 공급배관(401)과 연결된 제1 고압수 공급관(214)과, 메인파이프의 제1 고압수 공급영역(101)과 연결된 제1 고압수 공급부(212)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협폭 분사노즐부(110)가 배치되는 메인파이프(100)의 중앙부, 즉 제1 고압수 영역(101)은 그와 연통되는 제1 고압수 공급부(212)가 접하여 위치하며,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의 제1 고압수 공급관(214)은 제1 고압수 공급부(212)의 일단부와 연결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은, 상기 메인파이프(100)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통하는 브리지라인(222)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파이프(100) 일단부로부터 제공된 고압수는 상기 메인파이프(100)의 타단부로 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파이프(100)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에 고압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은 상기 메인파이프(100) 일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된 제2 고압수 공급관(224)을 포함하며, 제2 고압수 공급관(224)을 통하여 제2 고압수 공급배관(402)으로부터 제공된 고압수를 메인파이프(100) 일단부의 제2 고압수 공급영역(102) 및 브리지라인(222)에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압수 공급배관(401)과 연결되는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과 제2 고압수 공급배관(402)과 연결되는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을 디스케일링 헤더(10)의 일단부에 구비함으로써, 하부에 위치한 고압수 공급배관과 연결한 종래에 비하여 작업자의 위험 없이 고압수 공급배관(400)과 디스케일링 헤더(10)의 교체 작업 또는 유지보수 작업이 용이해질 수 있다.
상기 디스케일링 헤더(10)는, 고압수 공급배관(400)과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의 일단부에 각각 고압수 공급배관(400)을 연결시키는 퀵 커플링부를 구비하는 배관연결모듈(5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로써, 디스케일링 공정 시 분사노즐(N)로부터 방출되는 고압수의 효과적인 분사압을 위하여 상기 고압수 공급배관(400)에서 상기 메인파이프(100)로 공급되는 고압수 유량은 150 내지 200bar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관연결모듈(500)은 지지를 위한 하부 프레임(510)과, 제1 고압수 공급관(214) 또는 제2 고압수 공급관(224)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공급관 지지부(530)와, 상기 공급관 지지부(530)를 하부 프레임(510)에 대해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부(515)와, 상기 제1 고압수 공급관(214) 또는 제2 고압수 공급관(224)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 퀵커플링부(520)와, 상기 고압수 공급배관(400)의 일단부와 결합되는 공급배관 지지부(540)와, 상기 공급배관 지지부(540)의 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퀵커플링부(520)와 결합되는 제2 퀵커플링부(550) 및 상기 공급관 지지부(530)의 상측과 착탈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드부(515)를 수평이동 시키는 유압실린더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퀵커플링부(520)의 내주면(525)에는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퀵거플링부(550)의 외주면에는 링형의 패킹(555)이 구비되어 제1 퀵커플링부(520)와 제2 퀵거플링부(550)는 실링이 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유압실린더부(560)의 일단부인 실린더(565)가 회전 가능하도록 타단부는 공급배관 지지부(540)에 고정이 될 수 있으며, 유압실린더부(560)의 실린더(565)는 공급관 지지부(530)에 결합된 후 유압실린더부(560)의 압축 또는 인장의 작동에 따라 슬라이드부(515)가 수평이동함으로써 제1 퀵커플링부(520)가 제2 퀵커플링부(550)와 연결(clamp) 또는 해제(unclamp)될 수 있다. 따라서 배관연결모듈(500)은 제1 고압수 공급라인(210)과 제2 고압수 공급라인(220)의 일단부, 즉 디스케일링 헤더(10)의 일단부에 위치하여 고압수 공급배관(400)과 디스케일링 헤더(10)를 결합시킴으로써, 종래의 플렌지를 이용한 방식보다 고압수 공급배관과의 연결 및 해제를 더욱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안전을 보호하고,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10)는 광폭 분사노즐부(120)와 협폭 분사노즐부(110)를 1열로 구성하여 디스케일링 헤더(10)에 배치함으로써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여 고압수의 충돌에너지 저감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스케일 제거작업을 효과적을 수행하여 표면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광폭 분사노즐부(120)와 협폭 분사노즐부(110)의 고압수 공급영역을 별도로 각각 제공하는 메인파이프(100)를 구비함으로써 광폭 분사노즐부(120)와 협폭 분사노즐부(110)의 고압수의 충돌 에너지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나아가서, 고압수 공급라인의 일단부에 각각 고압수 배관을 연결시키는 퀵 커플링을 구비하는 배관연결모듈(500)을 포함하여 디스케일링 헤더(10)와 고압수 공급배관(400) 사이의 착탈을 용이하게 수행함으로써 교체 작업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 디스케일링 헤더
100; 메인파이프
101; 제1 고압수 공급영역
102; 제2 고압수 공급영역
110; 협폭 분사노즐부
120; 광폭 분사노즐부
130; 클램프 결합부
210; 제1 고압수 공급라인
220; 제2 고압수 공급라인
222; 브리지라인
500; 배관연결모듈
510; 하부 프레임
520; 제1 퀵커플링부
530; 공급관 지지부
540; 공급배관 지지부
550; 제2 퀵커플링부
560; 유압실린더부
600; 헤더클램프
N; 분사노즐

Claims (6)

  1. 협폭 분사노즐부와 광폭 분사노즐부를 포함하되,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는 일측면의 중앙영역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되고,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양측에 위치한 복수개의 분사노즐로 구성된 광폭 분사노즐부가 축 방향을 따라 일렬로 구비되고,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의 제1 고압수 공급영역과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의 제2 고압수 공급영역을 각각 차단하여 별도로 내부에 마련하는 메인파이프; 및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1 고압수 공급라인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공급하는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압수 공급라인과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은 디스케일링 헤더의 일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은, 상기 메인파이프의 일단부와 타단부를 연통하는 브리지라인을 포함하여 상기 메인파이프 일단부로부터 제공된 고압수는 상기 메인파이프의 타단부로 이동하고, 상기 메인파이프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제2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제공하고,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과 상기 제2 고압수 공급라인의 일단부에 각각 고압수 공급배관을 연결시키되, 유압실린더의 작동으로 수평이동하여 연결시키는 퀵 커플링부를 구비하는 배관연결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노즐은, 상기 메인파이프에 외주면이 결합되는 원통형의 노즐몸체와, 상기 노즐몸체의 일단부에 형성되어 고압수를 분사하는 노즐분사홀과, 고압수가 노즐몸체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노즐몸체 타단부에 형성된 슬릿형의 입수홀과, 상기 노즐분사홀과 입수홀 사이의 노즐몸체 내부에 위치하는 필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협폭 분사노즐부 또는 상기 광폭 분사노즐부는 분사노즐 각각의 중심이 지그재그형으로 배열되도록 일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압수 공급라인은, 상기 메인파이프와 접하여 위치하되 상기 메인파이프의 중심영역과 연통되며 상기 제1 고압수 공급영역에 고압수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5. 삭제
  6. 삭제
KR1020200097188A 2020-08-04 2020-08-04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KR102302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88A KR1023029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7188A KR1023029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96B1 true KR102302996B1 (ko) 2021-09-16

Family

ID=77926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7188A KR102302996B1 (ko) 2020-08-04 2020-08-04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9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1U (ko) * 1993-06-28 1995-01-04 한문성 보조물을 이용한 현관문 손잡이 안전장치
JP2004216454A (ja) * 2002-12-25 2004-08-05 Kyoritsu Gokin Co Ltd デスケーリングノズル
KR20120019111A (ko)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상향식 연료공급 목재펠릿 버너
KR20140042513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분사 장치
KR20170097440A (ko) 2016-02-18 2017-08-28 전영권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1451U (ko) * 1993-06-28 1995-01-04 한문성 보조물을 이용한 현관문 손잡이 안전장치
JP2004216454A (ja) * 2002-12-25 2004-08-05 Kyoritsu Gokin Co Ltd デスケーリングノズル
KR20120019111A (ko) 2010-08-25 2012-03-06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상향식 연료공급 목재펠릿 버너
KR20140042513A (ko) * 2012-09-28 2014-04-07 주식회사 포스코 냉각수 분사 장치
KR20170097440A (ko) 2016-02-18 2017-08-28 전영권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0213347T2 (de) Düse zur luftunterstützten Zerstäubung von Flüssigkeiten
JPH0890365A (ja) 部品まくれ除去機または洗浄機を有する工作機械
EP1899092A1 (de)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oberflächenreinigung von drehbeweglichen giessrollen einer bandgiessmaschine
KR101464480B1 (ko) 팁 드레서 크리너
KR102302996B1 (ko) 비산수 간섭을 방지하는 디스케일링 헤더
JP6375424B1 (ja) 濾過装置
GB2143254A (en) Method of and cleaning apparatus for cleaning a strip of metallic material
KR100679132B1 (ko) 관입형 분사관을 구비하는 여과사 세척장치
KR100711772B1 (ko) 열간 압연 장치 및 방법
KR101620105B1 (ko) 워터젯 홀 가공장치
WO2015144631A1 (de) Vorrichtung zur berührungslosen walzenreinigung und verfahren hierfür
KR20190045447A (ko) 쿨런트 탱크 필터의 눈막음 제거 장치
CN211888414U (zh) 一种新型铝冷轧机
US6540304B2 (en) Water spray assembly
CN210024630U (zh) 一种等离子表面处理机固定喷枪加工用打孔装置
DE102010016038B4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und Kühlung von Werkstücken
CN220554623U (zh) 扬尘控制装置
KR20020052855A (ko) 탈지설비의 칩 제거장치
CN114453956B (zh) 一种闪光焊机光整刀冷却清洗装置
CN212246470U (zh) 一种水利工程用的废弃污水处理装置
JP2005528216A (ja) 液圧的なスケール除去設備のための噴射ビーム
JP2005528216A5 (ko)
KR100197640B1 (ko) 업세팅 프레스의 프레스공구의 냉각장치 및 그 장치의 작동방법
CN212042854U (zh) 一种用于铣床的铁屑清理装置
CN220112875U (zh) 一种金属制品制造用冷却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