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74B1 -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 Google Patents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74B1
KR102302974B1 KR1020210081633A KR20210081633A KR102302974B1 KR 102302974 B1 KR102302974 B1 KR 102302974B1 KR 1020210081633 A KR1020210081633 A KR 1020210081633A KR 20210081633 A KR20210081633 A KR 20210081633A KR 102302974 B1 KR102302974 B1 KR 102302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instrument box
housing
contact
box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명환
Original Assignee
김명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명환 filed Critical 김명환
Priority to KR10202100816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7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1/00Electromechanical 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of consumption
    • G01R11/02Constructional details
    • G01R11/04Housings; Supporting rack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4Housings; Supporting members; Arrangements of termin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2/00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 G01R22/06Arrangements for measuring time integral of electric power or current, e.g. electricity meters by electronic methods
    • G01R22/061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 G01R22/065Details of electronic electricity meters related to mechanical aspec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농사용 계기함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계기판 및 전자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계기함하우징; 및 상기 계기함하우징과 대응되는 형태의 외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계기함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계기함커버는 상부면의 소정면적이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관측되는 커버관측부; 및 상기 커버관측부에 절첩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관측부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서 상기 계기함하우징과 접촉되어 결합되는 커버유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관측부 및 커버유동부는 하단이 외곽을 따라 내측방향이 개방된'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접촉단부가 형성되고상기 계기함하우징은 상단이 외곽을 따라 상측방향이 개방된 '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접촉단부가 형성되는 농사용 계기함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Synthetic resin boxes for watt hour meters and devices}
본 발명은 농업용으로 사용되는 계기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로에 통과된 전력을 흐른 시간 동안 측정하고 기록하기 위하여 적산 전력계를 사용하게 되며 이러한 적산 전력계는 통상 계수기와 작은 전동기로 구성되어지고,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전동기를 작동시켜 전동기 회전자가 회전되어짐에 따라 회전자에 연결된 계수기가 전력의 양을 가산하고 표시한다. 상기 적산 전력계는 통상 이를 보호하는 전력 계기함의 내부에 설치된다.
상기 계기함은 외형이 박스 형상을 갖고 내부 공간은 전력량계가 탑제될 수 있도록 공간이 마련된다. 이러한 계기함은 내충격성, 난열성, 내후성을 갖는 합성 수지 등을 이용하여 제조된다. 계기함은 단상 2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소형과 단상 3선식 및 3상 3선식 전용량, 3상 4선식 전용량에 사용되는 중형으로 구분된다.
종래의 계기함은 전력량계가 부착되는 계기취부판과 전력량계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막는 커버를 포함한다. 이 때, 커버는 계기 취부판의 상부로부터 내려 끼워지며 쉽게 탈착되지 않는 방법으로 고정된다.
이러한 계기함은 전선을 단자에 연결하여 전력량을 계량하기 때문에 계기함 내부로 물이나 이물질이 유입되는 등의 여러가지 원인으로 전선과 단자 사이에 아크가 발생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존 계기함을 대체하여 계기함커버와 계기함하우징 사이의 밀폐구조가 강화된 농사용 계기함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농사용 계기함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계기판 및 전자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계기함하우징; 및 상기 계기함하우징과 대응되는 형태의 외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계기함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계기함커버는 상부면의 소정면적이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관측되는 커버관측부; 및 상기 커버관측부에 절첩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관측부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서 상기 계기함하우징과 접촉되어 결합되는 커버유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관측부 및 커버유동부는 하단이 외곽을 따라 내측방향이 개방된'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접촉단부가 형성되는 농사용 계기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농사용 계기함은 계기함커버가 결합되는 부분인 커버접촉단부 및 하우징접촉단부의 결합구조에 따라 별도의 씰링재 없이 방수구조가 형성되는 농사용 계기함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관측부 및 커버유동부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삽입부접촉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계기함커버와 계기함하우징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계기함커버와 계기함하우징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해당 기술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의 일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농사용 계기함은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계기판 및 전자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계기함하우징(100); 및 상기 계기함하우징(100)과 대응되는 형태의 외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계기함커버(20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키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커버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계기함커버(200)는 커버관측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관측부(210)는 계기함커버(200)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커버관측부(210)는 소정면적이 투명 아크릴판(211)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아크릴판(211)은 투명하게 형성되어 커버관측부(210)의 외측에서 내측이 관측될 수 있다. 아크릴판(211)의 크기는 계기함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되는 계기판이 아크릴판(211)을 통해 관측가능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커버관측부(210)의 아크릴판(211) 부분을 통해 외부에서 계기함하우징(100)의 내부에 배치된 계기판이 관측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커버관측부 및 커버유동부의 연결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계기함커버(200)는 커버유동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유동부(220)는 커버관측부(210)와 결합 및 분리가능한 구조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커버유동부(220)와 커버관측부(210)의 분리동작은 결합단부(300)의 동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결합단부(300)는 계기함커버(200) 내지 계기함하우징(100)에 연결된 일단이 될 수 있다. 결합단부(300)는 일측이'H'형태의 단면으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관측부(210)의 일측에 삽입 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부(310)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0)의 일측에는 부분 원형 단면의 형태로 형성된 스토퍼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토퍼돌기(320)는 PVC재질로 제작되는 커버유동부(220)의 재질과 이종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스토퍼돌기(320)의 재질은 고무재질로 형성될 수 시 있다. 이에 따라, 삽입부(310)가 커버관측부(210)에 삽입될 경우 수축되어 삽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수축되어 삽입된 스토퍼돌기(320)는 이완되는 탄성력에 의해 커버유동부(220)의 유동이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삽입부(310)가 삽입되는 면은 삽입부접촉면(330)이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삽입부접촉면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삽입부접촉면(330)은 커버유동부(220)가 계기함하우징(100)의 개구된 부분을 닫게되는 경우 커버관측부(210)와 접촉되는 면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삽입부접촉면(330)은 횡방향의 씰링라인(310)이 형성될 수 있다. 씰링라인(310)은 고무 또는 씰링재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씰링라인(310)은 커버유동부(220)의 돌출된 돌기와 커버관측부(210)의 홈의 결합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계기함커버와 계기함하우징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커버유동부(220) 및 커버관측부(210)는 커버접촉단부(230)가 형성될 수 있다. 커버접촉단부(230)는 계기함커버(200)가 계기함하우징(100)과 결합될 경우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커버접촉단부(230)는 수평단부(231)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단부(231)는 커버접촉단부(230)에서 계기함하우징(100)과 접촉되는 상측 부분이 될 수 있다. 수평단부(231)는 단면이 수평하게 형성된 보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또한, 수평단부(231)는 하측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밀폐돌기(231a)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밀폐돌기(231a)는 후술할 하우징접촉단부(130)의 밀폐홈부(131)의 형상과 대응되는 위치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접촉단부(230)는 수평단부(231)와 수직한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된 수직단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직단부(232)는 커버접촉단부(230)에서 후술할 하우징접촉단부(130)의 측면이 접촉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수직단부(231)는 후술할 하우징접촉단부(130)와 소정면적의 갭(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갭(232a)은 밀폐홈부(131)와 밀폐돌기(231a)의 결합으로 계기함하우징(10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한 물이 빠져나가는 공간이 될 수 있다. 갭(232a)은 상협하광의 사다리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갭(232a)은 사다리꼴의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변형예에 따른 계기함커버와 계기함하우징의 결합부분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커버접촉단부(230)에 형성된 수직단부(231)는 복수개의 단차돌기(232b)가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단차돌기(232b)는 상측부터 가장 큰 크기로 배치되어 하측으로 향할수록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단차돌기(232b)에 대응되어 후술할 하우징접촉단부(230)에 단차돌기결합홈(132)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단차돌기(232b)와 단차돌기결합홈(132)의 사이에 갭(232a)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형성된 갭(232a)은 상협하광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접촉단부(230)는 상기 수직단부(232)와 수직한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된 걸림단부(233)가 형성될 수 있다. 걸림단부(233)는 볼(233a)과 스프링(233b)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프링(233b)은 볼(233a)에 후술할 하우징접촉단부(130)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걸림단부(233)는 볼(233a)의 구름이동으로 계기함커버(200)와 계기함하우징(100)의 결합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볼(233a)의 구름이동이 용이하게 계기함하우징의 일측에 형성된 구름유로(132)가 형성될 수 있다. 구름유로(132)는 볼(233a)의 직경에 대응되는 폭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구름유로(132)는 하우징접촉단부(130)의 일측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된 커버접촉단부(230)는 커버관측부(210)에서 소정비율의 제1 수평경로(L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커버관측부(210)에 형성된 제1 수평경로(L1)에 소정 각도 굽어진 방향으로 연장된 경사로(L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경사로(L2)에 연장되어 제1 수평경로(L1)와 대응되는 각도로 수평하게 연장된 제2 수평경로(L3)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유동부(220)는 커버관측부(210)보다 소정 낮은 위치에서 상기 계기함하우징(100)과 접촉되어 결합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하우징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하우징은 계기판이 장착되는 계기판장착부(110) 및 전자부품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계기판장착부(110)는 계기함하우징(100)의 상측의 소정비율을 차지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다. 이때, 계기판장착부(110)의 크기는 커버관측부(210)의 크기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계기판장착부(110)는 전자부품결합부(120)보다 소정 높은 격벽으로 둘러쌓인 형태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하우징은 전자부품결합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부품결합부(120)는 계기판에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나 계기판을 컨트롤하는 입력버튼 등이 결합되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기함하우징(100)은 하우징접촉단부(130)가 형성될 수 있다. 도 7의 커버접촉단부(230)와 하우징접촉단부(130)의 결합을 나타낸 확대도를 살펴보면, 하우징접촉단부(130)는 상단이 외곽을 따라 상측방향이 개방된'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접촉단부(130)의 개방된 공간은 밀폐홈부(131)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밀폐홈부(131)는 물이 들어가지 않도록 형성된 구조의 가장 내측부분이 될 수 있다. 밀폐홈부(131)은 커버접촉단부(230)의 경로와 대응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계기함하우징(100)은 좌측 및 우측에 대칭형태로 상기 계기함커버(200)와 함께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측면결합단부(40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측면결합단부(400)는 계기함커버(200)와 접촉되며 수평한면으로 형성되는 나사안착면(410); 및 계기함하우징이 설치장소에 지지되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수직고리단부(420); 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나사안착면(410)에는 팝너트(411)가 삽입될 수 있다. 팝너트(411)는 상측에 하측방향으로 나사가 체결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팝너트(411)는 계기함커버(200)와 계기함하우징(100)을 관통하는 형태로 체결되는 나사가 삽입되는 부품이 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 본 실시예들에 따른 농사용 계기함은 계기함커버 간의 강화된 결속구조를 형성하여 O-ring이나 씰링재 없이 방수구조가 형성되는 농사용 계기함이 제공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계기함하우징 130 : 하우징접촉단부
200 : 계기함커버 210 : 커버관측부
220 : 커버유동부 230 : 커버접촉단부
231 : 수평단부 231a : 밀폐돌기
232 : 수직단부 233 : 걸림단부
300 : 결합단부 310 : 삽입부
320 : 스토퍼돌기 400 : 측면결합단부
410 : 나사안착부 411 : 팝너트
420 : 수직고리단부

Claims (5)

  1. 농사용 계기함에 있어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형태로 계기판 및 전자장치가 내측에 구비되는 공간이 형성되는 계기함하우징(100); 및
    상기 계기함하우징(100)과 대응되는 형태의 외형으로 형성되고 일측면에 접촉되는 형태로 결합되는 계기함커버(200); 를 포함하고
    상기 계기함커버(200)는
    상부면의 소정면적이 투명 아크릴판으로 형성되어 외부에서 내부가 관측되는 커버관측부(210); 및
    상기 커버관측부(210)에 절첩되는 구조로 연결되어 상기 커버관측부(210)보다 소정 높이 낮은 위치에서 상기 계기함하우징(100)과 접촉되어 결합되는 커버유동부(220); 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관측부(210) 및 커버유동부(220)는
    하단이 외곽을 따라 내측방향이 개방된'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커버접촉단부(230)가 형성되고
    상기 계기함하우징(100)은
    상단이 외곽을 따라 상측방향이 개방된 'ㄷ'형태로 돌출되어 형성된 하우징접촉단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접촉단부(230)는
    상기 계기함하우징(100)과 접촉되도록 수평하게 형성되어 일측에 하측방향으로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된 밀폐돌기(231a)가 형성된 수평단부(231);
    상기 수평단부(231)와 수직한 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형성된 수직단부(232); 및
    상기 수직단부(232)와 수직한방향으로 굽어진 형태로 소정높이 돌출된 걸림단부(233); 를 포함하는 농사용 계기함.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기함하우징(100)은
    좌측 및 우측에 대칭형태로 상기 계기함커버(200)와 함께 나사가 체결될 수 있는 측면결합단부(400)가 형성되고
    상기 측면결합단부(400)는
    상기 계기함커버(200)와 접촉되며 수평한면으로 형성되는 나사안착면(410); 및
    상기 계기함하우징(100)이 지지되도록 나사가 체결되는 수직고리단부(420); 를 포함하고
    상기 나사안착면(410)는 팝너트(411)가 삽입되는 농사용 계기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계기함커버(200)는
    상기 커버관측부(210)와 상기 커버유동부(220)가 연결되는 결합단부(300)가 연결되며
    상기 결합단부(300)는
    'H'단면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커버관측부(210)에 삽입가능하게 형성된 삽입부(310)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310)의 일측에는 부분구체의 형태로 형성된 스토퍼돌기(320)가 형성된 농사용 계기함.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단부(233)는
    볼(233a)과 스프링(233b)이 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33b)은 볼(233a)에 상기 하우징접촉단부(130) 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고 상기 볼(233a)은 상기 계기함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구름유로(132)를 통해 이동되어 상기 계기함커버(200)와 상기 계기함하우징(100)의 결합이 형성되는 농사용 계기함
KR1020210081633A 2021-06-23 2021-06-23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KR1023029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33A KR102302974B1 (ko) 2021-06-23 2021-06-23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1633A KR102302974B1 (ko) 2021-06-23 2021-06-23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74B1 true KR102302974B1 (ko) 2021-09-15

Family

ID=77793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1633A KR102302974B1 (ko) 2021-06-23 2021-06-23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74B1 (ko)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772A (ja) * 1992-02-03 1993-08-24 Yamatake Honeywell Co Ltd 現場設置用計器
JPH07260826A (ja) * 1994-03-18 1995-10-13 Toshiba Meter Techno Kk 防滴形計器
JP2008026277A (ja) * 2006-07-25 2008-02-07 Kawamura Electric Inc 電力量計収納ケース
JP2011002275A (ja) * 2009-06-17 2011-0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カバー
KR20130059937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력공사 계량기 보호함
JP2013257286A (ja) * 2012-06-14 2013-12-26 Ge Fuji Meter Co Ltd 電力量計の防水構造
JP2015219173A (ja) * 2014-05-20 2015-12-07 中国電力株式会社 計器取り除き後の管理器具
JP2017211246A (ja) * 2016-05-24 2017-11-30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電力量計収納ケース
JP2018004580A (ja) * 2016-07-08 2018-01-11 東光東芝メータ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量計用化粧箱
JP2018179771A (ja) * 2017-04-13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量計
JP2019200095A (ja) * 2018-05-15 2019-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量計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15772A (ja) * 1992-02-03 1993-08-24 Yamatake Honeywell Co Ltd 現場設置用計器
JPH07260826A (ja) * 1994-03-18 1995-10-13 Toshiba Meter Techno Kk 防滴形計器
JP2008026277A (ja) * 2006-07-25 2008-02-07 Kawamura Electric Inc 電力量計収納ケース
JP2011002275A (ja) * 2009-06-17 2011-01-06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計器カバー
KR20130059937A (ko) * 2011-11-29 2013-06-07 한국전력공사 계량기 보호함
JP2013257286A (ja) * 2012-06-14 2013-12-26 Ge Fuji Meter Co Ltd 電力量計の防水構造
JP2015219173A (ja) * 2014-05-20 2015-12-07 中国電力株式会社 計器取り除き後の管理器具
JP2017211246A (ja) * 2016-05-24 2017-11-30 河村電器産業株式会社 電力量計収納ケース
JP2018004580A (ja) * 2016-07-08 2018-01-11 東光東芝メーター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力量計用化粧箱
JP2018179771A (ja) * 2017-04-13 2018-11-15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量計
JP2019200095A (ja) * 2018-05-15 2019-11-21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力量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026196A1 (en) Digital multimeters including a ruggedized jacket
US20130094125A1 (en) Electronic Meter Register And Method Having A Bottom Formed By Sealing Material
US7265966B2 (en) Modular housing for electrical instrument and mounting member therefor
BR112013025229B1 (pt) medidor de fluxo
KR102302974B1 (ko) 합성수지제 농사용 계기함
CN108306155A (zh) 接线装置及空调
KR101548177B1 (ko) 다세대용 전력량계의 고정구조
CN207743489U (zh) 接线装置及空调
JP2016017834A (ja) 電力量計用端子アダプタ
CN102768298B (zh) 浪涌电流检测装置
JP2009036662A (ja) 電力量計
JP6673058B2 (ja) 電子式電力量計
KR101757834B1 (ko) 전력선 통신 기반의 원격 검침용 계측장치
US3142001A (en) Ringless meter socket having combined positioner and rainshield
GB1587521A (en) Ancillary device for an electricity meter
JP4190307B2 (ja) 通信端局付き電力量計
JP2019200095A (ja) 電力量計
KR101932841B1 (ko) 계량기 관측 장치
CN209979777U (zh) 一种具有优良气密性的电子电气故障检测装置
CN207743465U (zh) 防护盖板及空调
KR101304100B1 (ko) 전자식 계량기의 외부자력 차단장치
JP2022180808A (ja) 電力量計
JP6794910B2 (ja) 電力量計
RU2282200C1 (ru) Корпус счетчика электрической энергии
KR200273199Y1 (ko) 잠망경이 부설된 적산전력계용 수납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