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967B1 - 로터리 밸브 - Google Patents

로터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967B1
KR102302967B1 KR1020210050105A KR20210050105A KR102302967B1 KR 102302967 B1 KR102302967 B1 KR 102302967B1 KR 1020210050105 A KR1020210050105 A KR 1020210050105A KR 20210050105 A KR20210050105 A KR 20210050105A KR 102302967 B1 KR102302967 B1 KR 10230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case
foreign substances
discharg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1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진복
Original Assignee
이진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복 filed Critical 이진복
Priority to KR10202100501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4/00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 F16K24/04Devices, e.g. valves, for venting or aerating enclosures for venting on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54Gates or clos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24Details
    • B65G33/34Applications of driving gea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44Mechanical actuating means
    • F16K31/53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 F16K31/535Mechanical actuating means with toothed gearing for rotating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4Bul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05Driving means, constitutive elements or auxiliary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5Screw-conveyors
    • B65G2812/0577Screw-conveyors f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Emptying Of Bunkers, Hoppers, And Tan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대상물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대상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로터 및 상기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고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고정되고 양측에 원형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로터월; 상기 로터월의 외측면에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터월 사이를 이격시켜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로터이격돌기 및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에서 중심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제2 로터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월과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이격돌기 및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월과의 사이 공간에 포집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로터리 밸브 {Rotary Valve}
본 발명은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로터의 회전을 통한 대상물의 유입과 배출을 조절하는 과정 중,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대상물이 유입되는 것을 공기압을 이용하여 방지하고, 로터와 케이스 간 마찰되는 부분에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를 적용하여 수명이 향상된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리 밸브는 투입구로 투입되는 대상물의 배출을 개방하고 차단하기 위해 사용되는데, 이 로터리 밸브 내에 설치된 로터가 회전할 때 대상물이 배출되고, 상기 로터가 정지할 때 대상물의 배출이 정지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 밸브는 상기 로터가 회전함에 의해 로터의 진동 및 측면의 마모가 발생하고, 이를 원인으로 한 로터리 밸브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이물질이 인입되어 로터 회전 장애를 발생시키며, 이로 인해 큰 시간과 비용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로터리 밸브 케이스와 내부에 설치된 로터와의 간격을 최대한 줄이는 방안을 고안하였으나, 결과적으로 미세 이물질의 유입과 유입된 이물질 배출이 용이하지 않아 기능 장애를 막을 수 없었고, 또한, 로터리 밸브 케이스와 내부에 설치된 로터와의 간격을 넓이는 방법을 고안하였으나 내부에 과도한 이물질 유입으로 인한 로터 회전 장애 및 대상물 배출 조정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가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18956호 '기밀성과 내구성이 향상된 로터리밸브'는 로터샤프트가 장기간 회전함에 따라 로터샤프트와 패킹 사이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수명을 늘리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로터리 밸브는 로터샤프트에 유입되는 이물질을 방지하는 기술만이 개시되어 있을 뿐, 로터와 로터리 밸브 케이스 사이의 이물질을 방지하는 다른 어떠한 수단도 개시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들을 개선할 수 있는 기술에 대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케이스와 로터에 각각 돌기를 형성하고, 로터의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공기를 유입하여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며, 케이스와 로터 사이 마찰되는 부분에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를 적용하여 수명을 늘린 로터리 밸브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는, 대상물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대상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로터 및 상기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양측에 원형으로 대칭되어 설치되는 로터월;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월의 외측면에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터월 사이를 이격시켜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로터이격돌기 및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에서 중심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제2 로터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월과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이격돌기 및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로터월과의 사이 공간에 포집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를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터월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포집되는 이물질 배출을 유도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이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주입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내측면에서 외측면으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공기주입홀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는, 상기 케이스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접하는 면이 내마모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방할 경우 내부 상태를 확인 가능한 보조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배출부는,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출부힌지 및 타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출부고정레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는, 케이스와 로터에 각각 돌기를 형성하고, 공기를 로터리 밸브 케이스와 내부 로터 사이로 공급시켜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유입된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 또는 배출 가능하여 이물질 축적으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와 로터 사이 마찰되는 부분에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를 적용하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로터와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주입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출부의 결합 형태가 힌지로 치환되어 타측에 설치되는 레버로 고정된 모습의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출부가 힌지 결합에 의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의 설명은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하는 내용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되는 용어로서, 그 자체에 의미가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이하에서 기재되는 "포함하다", "구비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로터리 밸브의 로터와 케이스 일부의 단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공기주입홀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배출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로터리 밸브(1)는 케이스(10), 로터(20) 및 공기주입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10)는 대상물의 유입과 배출을 위한 유입구와 배출구를 형성하며 내부에 로터(20)가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공간이 형성된다. 참고로 대상물로는 톱밥, 우드칩, 펠릿 등으로 여러 형태의 대상물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10)는 케이스월(110), 케이스이격돌기(120), 배출부(130), 공기주입홀(140) 및 보조커버(150)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스월(110)은 케이스(10) 측면을 구성하며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는데, 이는 케이스(10) 내부 구성의 청소 및 교체가 용이하도록 한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사항은 아니며, 분리 및 결합되는 형태나 방법은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월(110)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으로 분리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 또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여러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케이스월(110)은 하단에 배출부(13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이를 위해 케이스월(110)에 배출부(130)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배출부(130)의 설명에서 보다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케이스이격돌기(120)는 로터(20)와 일정 간격을 이격되어 공간을 형성하기 위해 케이스월(110) 내측면에 형성되는데, 케이스월(110)에 로터샤프트(210)가 설치되는 위치를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그 폭, 높이 및 전체 반지름의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로터이격돌기(240)와 제2 로터이격돌기(250) 사이의 홈에 밀착 삽입되어 로터(20)가 원활하게 회전하면서 이물질의 유입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크기 및 위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대한 설명은 하기 제1 로터이격돌기(240)와 제2 로터이격돌기(250)의 설명에서 보다 자세하게 하기로 한다.
배출부(130)는 케이스(10)와 로터(20) 사이의 이격 공간으로 틈을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통로이다.
여기서 배출부(130)는 케이스월(110) 하단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는데, 이는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240, 250)와 케이스이격돌기(110)에 의해 로터(20)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이격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포집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따라서, 배출부(130)의 결합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상기 이물질이 포집될 것으로 예상되는 케이스(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케이스(10) 내부에 축적되는 이물질을 최소화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배출부(130)는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하여 이물질 누적으로 인한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탈부착 방법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나사, 클립 등 여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배출부(130)는 배출부판(131), 배출홀(132) 및 배출관(133)을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판(131)은 배출부(130)의 몸체를 형성하는 판으로, 상기 케이스월(110)에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며, 배출부판(131) 상에 배출홀(132)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홀(132)은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상기 배출판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케이스(10)와 로터(2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포집되는 이물질의 배출을 유도한다.
여기서 배출홀(132)의 형태는 한정되지 않으며, 여러 형태로 상기 배출부판(131)을 관통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위치 및 크기 또한 한정되지 않고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배출홀(132)은 배출관(133)이 일부 삽입 연결되어 탈부착 가능하게 형성됨으로써 축적된 이물질 청소 및 교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배출관(133)은 상기 배출홀(132)에 일부 삽입 연결되어 상기 배출홀(132)에 의해 배출되는 이물질을 사용자가 의도하는 곳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 때, 배출관(133)은 내부 홀의 크기 및 길이가 한정되지 않으며 이물질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가 원하는 곳으로 이송 가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배출관(133)은 흡입부(미도시) 등의 외부에서 이물질을 흡입하는 구성에 연결되어 이물질 배출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는데, 흡입부(미도시)의 흡입 방식 및 형태는 한정되지 않고 진공 흡입 등 여러 예시로 구성이 가능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도 7은 도 1에 도시된 배출부의 결합 형태가 힌지로 치환되고 타측에 설치되는 레버로 고정된 모습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배출부가 힌지 결합에 의해 열린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배출부(130)는, 배출부힌지(137) 및 배출부고정레버(13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출부힌지(137)는 상기 배출부판(131)의 일측에 회동 가등하도록 결합되며, 동일 회전축 상에 복수로 존재 가능하고, 힌지의 형태는 회동 가능한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고정레버(138)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부판(131) 일측에 회동 가능도록 결합된 레버부(138a)와 상기 레버부(138a)가 결합된 배출부판(131) 일측면과 접하는 케이스월(110)에 결합되어 상기 레버부(138a)가 걸려 고정되는 고정부(138b)로 구분되며, 결합의 위치는 한정되지 않고 서로 위치가 치환될 수 있으며, 레버부(138a)의 형태, 레버부(138a) 회동 방향 및 고정부(138b) 고정 방식 등의 변경을 통한 한정되지 않은 여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배출부힌지(137) 및 배출부고정레버(138)를 통해 배출부(130)가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배출홀(132) 및 배출관(133)의 청소 및 배출관(133) 교체가 용이하게 될 수 있다.
공기주입홀(140)은 케이스월(110)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외측 경시지게 형성되고, 공기주입부(미도시)와 결합되어 공기주입부(미도시)로부터 주입된 공기가 제1 로터이격돌기(240)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상기 케이스월(110) 상에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주입홀(140)을 통해 제1 로터이격돌기(240) 측으로 유입된 공기는 공기주입홀(140)이 로터(20)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제1 로터이격돌기(240)가 형성하는 원의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대부분 빠른 속력으로 이물질을 외측으로 밀어내는 역할을 하고, 일부 내측으로 흐르는 공기는 상기 케이스이격돌기(120)와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240, 250)의 틈으로 유입된 이물질을 케이스(10)와 로터월(210) 사이 이격공간으로 유도하는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공기주입홀(140)에 공기주입부(미도시)가 공기를 주입하는 방법은 한정되지 않으며, 결합 형태는 관, 또는 튜브 등의 여러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공기주입홀(140)은 케이스월(110)의 상부에 원주방향을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월(110)마다 시계의 3시, 9시, 12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일 수 있으나, 개수는 한정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 더 많은 공기주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보조커버(150)는 케이스월(110) 상에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방하여 이물질 축적 및 내부 구성의 마모 등의 내부 상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커버(150)는 형태나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케이스월(110) 상의 여러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나, 개방 시 상기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240, 250)가 보일 수 있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결합방식 또한 개방 가능한 여러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보조커버(150)에 투명한 소재를 적용하여 형성하거나, 보조커버(150)의 일부만 투명한 소재로 형성된 투명창을 구성하여, 보조커버(150)를 개방하지 않아도 내부 상태를 확인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로터(20)는 상기 케이스(10)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유입구로 투입된 대상물이 배출구로 이동하는 것을 조절한다.
여기서, 로터(20)는 상기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로터샤프트(210), 로터블레이드(220), 로터월(230), 제1 로터이격돌기(240) 및 제2 로터이격돌기(250)를 포함할 수 있다.
로터샤프트(210)는 로터(20)를 회전의 중심이 되는 축으로써 케이스(10)에 폭 방향으로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로터(20)와 고정되어 회전력을 전달하여 로터(20)를 회전시켜 대상물을 이동시키도록 한다.
이 때, 로터샤프트(210)는 상기 로터(20)를 회전시키기 동력을 얻기 위해 동력공급부(미도시)와 연결되는데, 동력공급부(미도시)는 모터, 엔진 등의 여러 방식으로 형성되며, 로터샤프트(210)와 동력공급부의 연결 방식은 벨트, 체인 혹은 직접 연결 등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법으로 연결되어 로터(20)에 동력을 공급할 수 있다.
로터블레이드(220)는 상기 로터샤프트(2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한정되지 않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에 의해 상부에 위치한 경우 복수의 로터블레이드(220) 사이 공간에 대상물이 담길 수 있으며, 담긴 대상물은 회전에 의해 하부로 이동하여 케이스(10)의 배출구로 배출되며, 회전이 멈춘 경우는 대상물이 통과하여 배출되는 것을 막는 벽의 역할을 한다.
여기서, 로터블레이드(220)는 폭이 로터월(230)에 접하게 형성되어 측면으로 대상물이 유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터월(230)은 로터(20) 양 측에 대칭으로 형성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로터블레이드(220)와 접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로터(20)의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로터샤프트(210)를 중심으로 하는 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로터이격돌기(240)는 상기 로터월(230)의 외측면에 로터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케이스(10)와 로터월(230) 사이를 이격시켜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함과 동시에 이물질의 유입을 1차로 막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제1 로터이격돌기(240)의 폭, 높이 및 전체 반지름 크기는 한정되지 않으나, 케이스(10)와 로터월(230)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월(230) 범위 내에서 원주를 따라 최대한 외측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제1 로터이격돌기(240)는 상기 케이스(10)와 맞닿아 회전하여 마찰에 의해 마모가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면(T)에 내마모성이 강한 텅스텐과 같은 소재를 적용할 수 있고, 텅스텐 이외에도 상기 로터(20)를 이루는 기존 소재보다 내마모성이 강한 소재일 경우 한정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또한, 내마모성 소재 적용 방법은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240)에 홈을 형성하여 삽입하는 방법이나 용접하는 등의 한정되지 않은 여러 방법이 적용될 수 있으며, 내마모성 소재가 적용되는 부분의 넓이나 범위 또한 한정되지 않고 확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제2 로터이격돌기(250)는 로터샤프트(210)를 중심으로 원형으로 형성된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240)에서 로터샤프트(210) 쪽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제1 로터이격돌기(240)와 동심원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2 로터이격돌기는(250)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240) 사이에 형성되는 홈의 양 측벽에 상기 케이스이격돌기(120)가 각각 접하여 체결 가능한 정도로 제1 로터이격돌기와 이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또한,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또는 축소되어 표시될 수 있으므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크기나 형상에 본 발명이 구속되는 것은 아니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로터리밸브 10 : 케이스
110 : 케이스월 120 : 케이스이격돌기
130 : 배출부 131 : 배출부판
132 : 배출홀 133 : 배출관
134 : 흡착방지부재 135 : 스크류컨베이어
136 : 스크류동력전달부 137 : 배출부힌지
138 : 배출부고정레버 138a : 레버부
138b : 고정부 140 : 공기주입홀
150 : 보조커버 20 : 로터
210 : 로터샤프트 220 : 로터블레이드
230 : 로터월 240 : 제1 로터이격돌기
250 : 제2 로터이격돌기 260 : 고정선기어
270 : 회전톱니 280 : 클리닝기어
T : 내마모소재적용면

Claims (9)

  1. 대상물의 유입구와 배출구가 형성되고, 내부에 작동공간이 마련된 케이스;
    상기 케이스 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회전에 의해 대상물의 이동을 조절하는 로터 및
    상기 케이스와 로터 사이로 공기를 공급하여,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공기주입부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는,
    상기 케이스를 관통하고, 축으로 연결되어 회전동력을 전달하는 로터샤프트;
    상기 로터 샤프트를 중심으로 고정되고, 양측에 원형으로 대칭되어 형성되는 로터월;
    상기 로터월의 외측면에 원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터월 사이를 이격시켜 일정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는 제1 로터이격돌기 및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에서 중심측으로 일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되어 동심원을 이루는 제2 로터이격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는,
    측면을 구성하는 케이스월의 내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및 제2 로터이격돌기 사이로 삽입되어 상기 로터월과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스이격돌기 및
    상기 케이스월의 하단에 결합되며, 상기 로터월과의 사이 공간에 포집된 상기 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출부를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상기 케이스와 상기 로터월 사이 공간을 통해 하측으로 포집되는 이물질 배출을 유도하도록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점점 넓어지는 형상으로 형성된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홀에 의해 배출된 이물질이 이송되는 배출관을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공기주입부가 결합되어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 측으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되, 외측면에서 내측면으로 외측 경사지게 형성되어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는 복수의 공기주입홀을 더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로터이격돌기는,
    상기 케이스와의 마찰에 의한 마모를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케이스와 접하는 면이 내마모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터리 밸브.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측면에 개방이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개방할 경우 내부 상태를 확인 가능한 보조커버를 더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
  6. 삭제
  7. 삭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는,
    일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출부힌지 및
    타측에 고정 가능하도록 결합된 배출부고정레버를 더 포함하는 로터리 밸브.
  9. 삭제
KR1020210050105A 2021-04-16 2021-04-16 로터리 밸브 KR10230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05A KR102302967B1 (ko) 2021-04-16 2021-04-16 로터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05A KR102302967B1 (ko) 2021-04-16 2021-04-16 로터리 밸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967B1 true KR102302967B1 (ko) 2021-09-15

Family

ID=77793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105A KR102302967B1 (ko) 2021-04-16 2021-04-16 로터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87Y1 (ko) * 2022-01-25 2022-04-20 주식회사 조일기업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밸브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840B2 (ja) * 2003-06-11 2009-11-11 大 岡村 ロータリーバルブ
KR20180040042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티이에스 준설 퇴적물 이송장치
KR102168422B1 (ko) * 2020-06-11 2020-10-21 (주)비에스테크놀로지 로터리 밸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0840B2 (ja) * 2003-06-11 2009-11-11 大 岡村 ロータリーバルブ
KR20180040042A (ko) * 2016-10-11 2018-04-19 주식회사 티이에스 준설 퇴적물 이송장치
KR102168422B1 (ko) * 2020-06-11 2020-10-21 (주)비에스테크놀로지 로터리 밸브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5287Y1 (ko) * 2022-01-25 2022-04-20 주식회사 조일기업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밸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967B1 (ko) 로터리 밸브
US6599339B2 (en) Grill assembly of a cyclone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 vacuum cleaner
KR20070041233A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US20210039144A1 (en) Pipeline pig with rotating circumferential brush and scraper disc with wear-wear-resistant insert
KR101635538B1 (ko) 펌프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80087117A (ko) 고체 물질을 포함하는 오염액을 배출하기 위한 펌프
CN1425109A (zh) 具有动力轴封的泵
US8739961B2 (en) Path changing rotational conveyor for lightweight articles
CN103410775B (zh) 风机叶轮、系统和传动装置结构系列
US7182724B2 (en) Disposable centrifuge rotor
KR100702209B1 (ko) 더블 블레이드밸브
CZ288618B6 (cs) Způsob ovládání funkce kombinace odstředivého a vakuového čerpadla a odstředivé čerpadlo se separací plynu
KR200491740Y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로터리 밸브
TWI325030B (en) Pump
CN111169947B (zh) 一种自清理、低噪音的管链式饲料输送机
RU2583482C2 (ru) Центробежный насос для жидкостей, содержащих твердые веществ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плотнения зазора
KR100957764B1 (ko) 세그먼트의 분리가 용이한 개폐 밸브
US7014439B2 (en) Vane pump having volume variable pump chambers communicatable with inlet and outlet
KR200495287Y1 (ko) 이물질 제거 효율이 향상된 로터리 밸브
KR102005320B1 (ko) 세척배출 밸브용 배출속도 조절장치
US2627610A (en) Nonclog flow control device
CN202170854U (zh) 往复式调剖泵
KR102381264B1 (ko) 걸림방지링에 의해 이물질의 걸림을 최소화한 펌프
KR101027251B1 (ko) 케이싱 구조와 베어링 하우징의 이동구조가 개선된 슬러지펌프
JP2008253432A (ja) 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