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737B1 -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737B1
KR102302737B1 KR1020210043656A KR20210043656A KR102302737B1 KR 102302737 B1 KR102302737 B1 KR 102302737B1 KR 1020210043656 A KR1020210043656 A KR 1020210043656A KR 20210043656 A KR20210043656 A KR 20210043656A KR 102302737 B1 KR102302737 B1 KR 1023027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bar
charger
upper plate
pedestal
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재
Original Assignee
최영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영재 filed Critical 최영재
Priority to KR102021004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7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7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7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30Constructional details of charging st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3/00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 B60L3/0092Electric devices on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safety purpos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e.g. speed, deceleration or energy consumption with use of redundant elements for safety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1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energy transfer between the charging station and the vehicle
    • B60L53/14Conductive energy transfer
    • B60L53/18Cable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40Working vehicles
    • B60L2200/42Fork lift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5Fork lift trucks, Industrial tru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7Facilitating assembling or moun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2Electric charging st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게차 충전을 위하여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가 장착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의 양측에 수직으로 직립되는 수직바를 구비하고, 수직바의 상단에는 상부판을 연결하는 구조로 형성하되 받침대와 상부판은 테두리를 절곡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형성하되 수직바에는 테두리 절곡된 부분이 수용될 수 있도록 끼움부를 마련하여 끼움 조립과 함게 체결구를 이용한 볼트조립에 의하여 각각의 개별 부품을 간단한 작업으로 조립이 가능하도록 함은 물론, 상기 수직바를 현수 연결하는 장착대를 활용하여 충전기를 바닥면으로부터 뜬 상태에서 소정의 높이에 설치하여 전체 거치대 조립구조가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누구나 쉽게 조립이 가능하도록 하고 연결부위가 절곡 및 볼트 조임 방식에 의한 이중 구조로 조립되어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며, 충전기의 상부공간에는 상부판에 조립되는 소화장치를 마련하여 개별 소화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Forklift charger stand}
본 발명은 지게차 충전을 위하여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가 장착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거치대가 조립식 구조로 이루어지면서도 사용의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게차는 내연기관으로 작동하는 지게차와 배터리가 장착되어 전동방식으로 작동하는 전동지게차로 분류되는 것으로, 전동방식의 지게차는 유지비가 적게 들고 매연 소음이나 진동이 없다는 장점이 있어서 많은 산업현장에서 사용한다.
전동방식의 지게차는 충전기를 설치한 별도의 충전구역을 확보하여야 하며, 내장된 배터리가 소진되어 충전이 필요한 경우 충전기가 설치된 장소로 지게차를 이동시킨 후 배터리 커버를 열고 충전기에 형성된 케이블을 지게차 배터리 충전단자에 도킹하여 배터리 충전을 한다.
특히,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는 무게가 가볍고 부피가 작기 때문에 주로 충전구역의 벽면에 설치되는데, 산업현장에서 지게차를 주차한 상태에서 충전이 가능한 공간에서의 설치할 수 있는 벽면 공간은 매우 한정되기 때문에 충전기를 설치할 수 있는 설치장소의 제약이 매우 크다.
그리고 전동 지게차의 사용패턴은 산업현장에서의 근무자가 하루 일과 중 사용된 지게차를 퇴근시 충전시킨 상태로 퇴근하고, 다음날 출근하여 충전된 지게차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화재의 위험이 매우 크고, 따라서 충전구역에는 화재를 예방하기 위한 자동확산 소화장치가 설치된다.
자동확산 소화장치는 충전구역의 천정에 주로 설치되는데, 지게차가 산업현장에서 주로 사용하는 것이라는 점에서 산업현장은 공장건물과 같이 층고가 높은 경우가 많기 때문에 소화장치에 의한 소화효과가 떨어지는 문제가 있으며, 소화장치를 충전기 가까이 설치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선반이나 브라켓을 설치하는 등의 시설이 선제되어야 하기 때문에 설치비용이 지나치게 비싸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렇게 소화장치가 건물에 설치된 이상 이동이 불가능하며, 충전장소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이전설치를 해야 하는 불편함과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여러 대 또는 수십대 이상의 지게차를 보유하는 경우, 지게차 수량과 같은 비율만큼 충전기도 많이 설치해야 하는데, 충전기가 벽면에 주로 설치되기 때문에 충전구역의 한정된 공간에 많은 수의 충전기를 설치할 수 없으므로 더욱 넓은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충전기에 사용되는 전선은 노출되는 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특성상 중량물 등의 찍힘이나 눌림 등 외력에 의하여 손상될 수 있으며, 손상된 전선을 장기간 사용하는 경우 손상된 부분에서 전기적 발열이 이루어져 화재로 진행될 우려가 높기 때문에 전선을 안전하게 보관해야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를 장착하기 위한 거치대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고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외력에 의한 손상시 해당 부품만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고, 충전기와 소화장치가 일체로 장착된 상태에서 충전구역에서 설치위치를 자유롭게 설정할 수 있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서의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와,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직립하게 세워지는 수직바와, 수직바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판 및 양측의 수직바를 현수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고주파 충전기를 설정된 높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대와 상부판은 수직바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될 때 테두리부분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면서 수직바에 끼워 비틀림 되지 않게 조립되도록 테두리절곡부를 형성하고, 수직바는 상기 테두리 절곡부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내입된 구조의 끼움부를 형성하되, 끼움부는 수직바의 양측변이 절곡된 측변절곡부와, 받침대와 상부판을 측방향으로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측변절곡부의 상,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형성되어 받침대의 하단과 상부판의 상단에 각각 밀착되는 체결면을 형성하여 끼움부가 테두리절곡부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끼움 결합되게 하고, 상기 받침대와 상부판에는 수직바가 장착되는 끼움부에 형성된 체결공에 대응하게 체결공을 형성하여 수직바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판과 받침대의 테두리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의 조립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져 절곡구조 및 체결구 조임에 의하여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장착대는 양측변에 수직바에 맞닿게 절곡된 날개부를 형성하여 좌,우 양측의 수직바에 현수 연결하여 고주파 충전기가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에 스탠드 방식으로 장착되게 하고, 고주파 충전기가 장착된 직상부에 소화장치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의 중앙 체결부에 소화장치를 장착하여 거치대가 개별 소화기능을 갖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부판에는 충전기의 전선을 감아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를 형성하는 한편, 충전기와 소화장치를 보호하도록 커버체를 마련하여 외부로부터 손상을 방지하고 소화장치에서 발산된 소화물질이 하방으로만 직분사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에 의하면, 철판을 재단하고 절곡한 조립부속의 규격화와 간단한 조립구조로 인하여 작업성을 크게 개선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음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조립부속의 포장부피를 줄이고 현장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물류비용이 절감되고,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통구조를 크게 개선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충전기함에 소화장치가 장착되기 때문에 개별 소화방식이면서도 근접거리에서 소화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화재예방 효과가 탁월하다.
또한, 다양한 추가 부품들로 옵션을 다양화할 수 있으므로 소비자의 요구에 적합한 품질과 가격의 제품 제공이 가능하며, 산업현장의 한정된 공간에서 공간활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전선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고 지게차에 의한 충돌 등 외력에 의하여 충전기함이 손상되더라도 조립부속만을 교체하여 간단하게 수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특히 충전구역을 이전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소화장치를 제거 후 재장착하는 등의 번거로운 절차가 필요없이 충전기 거치대만을 이동하여 간편하게 충전장소를 이전, 설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의 외관 사시도
도 2은 도 1의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거치대의 사용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거치대에 커버체가 장착된 상태도
도 6은 도 5의 소화장치 분사구조도
도 7은 본 발명의 충전기의 다른 장착구조를 나타낸 배열상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 9는 도 8의 측면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00)와,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직립하게 세워지는 수직바(200)와, 수직바(200)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판(300) 및 양측의 수직바를 현수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고주파 충전기(C)를 설정된 높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으로서, 용접작업이 없이도 거치대가 개별 부속들의 조립에 의하여 조립식으로 간단하게 조립되고,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C)가 수용되면서도 소화장치(Automatic Diffusion Extinguisher)를 내장하여 개별 거치대 내에서 화재예방이 이루어지며, 조립상태에서의 견고함을 유지하여 충돌 등의 외력이 발생하더라도 거치대는 물론, 충전기(C) 및 소화장치(A)가 쉽게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의 거치대는 금속판으로 제작되는 것으로, 고주파 방식의 충전기(C)가 거치될 수 있도록 공간을 구성하며, 받침대(100)와 수직바(200)와 상부판(300)과 장착대(400)가 각 연결부위에서 체결구(B)에 의하여 조립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은 수직바(200)의 상,하단에 각각 조립되는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이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판상구조의 금속판 테두리를 하부측으로 절곡하여 테두리절곡부(120,32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테두리절곡부(120,320)에 의하여 소정의 높이를 갖도록 구성된 받침대(100)는 수직바(200)의 하단에, 상부판(300)은 수직바(200)의 상단에 각각 끼워 조립되는 것으로서, 상기 수직바(200)는 상기 테두리절곡부(120,32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내입된 구조의 끼움부(220)를 형성하여 받침대(100)와 수직바(200)의 테두리에 수직바를 끼워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수직바(200)도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을 조립하기 위한 내입된 끼움부(220)를 구성함에 있어서 판상구조의 금속판을 절곡하여 제작하는 것으로서, 끼움부(220)는 수직바의 양측변을 절곡하여 측변절곡부(222)을 형성하고, 수직바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곡하여 체결면(224)을 형성함으로써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의 테두리에 수직바(200)를 끼워 조립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바(200) 상단의 체결면(224)은 측변절곡부(222)의 상단으로부터 이격된 높이에서 절곡되게 함으로써 상부판(300)의 테두리를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220)를 구성하며, 이때 이격된 폭은 상부판(300)의 절곡된 테두리부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끼움부(220)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상부판(300)이 수직바(200)의 끼움부(220)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직바(200) 하단의 체결면(224)은 측변절곡부(222)의 하단으로부터 이격되게 낮은 높이에서 절곡되게 함으로써 받침대(100)의 테두리를 끼워 수용할 수 있도록 끼움부(220)를 구성하며, 이때 이격된 폭은 받침대(100)의 절곡된 테두리부분의 높이에 대응하도록 끼움부(220)의 폭을 설정함으로써 받침대(100)가 수직바(200)의 끼움부(220)에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 견고한 조립구조를 가지며,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수직바(200)의 상,하단에 형성된 끼움부(220)의 체결면(224)은 각각 받침대(100)의 하단과 상부판(300)의 상단에 각각 밀착되며, 이에 따라서 받침대(100)와 수직바(200)와 상부판(300)이 모두 판상구조의 금속판을 사용하여 제작함에도 불구하고 수직바(200)의 상,하단에 장착된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이 끼움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하게 끼움 고정되는 것이고, 비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에는 수직바(200)가 장착되는 끼움부(220)에 형성된 체결공(240)에 대응하게 체결공(140,340)이 형성되어 수직바(20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판(300)과 받침대(100)의 테두리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B)의 조립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져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면서도 견고한 구조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받침대(100), 수직바(200), 상부판(300)에 형성되는 체결공(140,240,340)은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의 테두리에서 수직바(200)가 체결되는 코너부분에 형성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체결공을 측방향으로 병렬 배치함으로써 전,후,좌,우측으로의 비틀림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조립에 대한 내구성을 강화하여 충돌 등의 외력이 작용하더라도 쉽게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에 형성된 체결공(140,340)은 나선구조의 탭을 형성하면 별도의 너트가 필요없이 볼트 고정만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체결구(B)가 체결된 체결부위의 손상을 방지함으로써 유지보수를 위하여 분해, 재조립할 때 간편하게 유지, 보수할 수 있으며, 파손이나 변형이 발생하더라도 전체 거치대가 파손되거나 손상되는 것이 아닌 일부 부속에만 한정되므로 부분 교체로도 유지보수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기 장착대(400)는 양측이 수직바(200)에 조립되는 것으로, 장착대(400)가 지면이나 바닥으로부터 소정의 높이로 뜬 상태로 장착이 이루어진다.
이를 위하여 장착대(400)를 금속판의 양측을 절곡하여 날개부(420)를 형성함으로써 장착대(400) 양측변에 형성된 날개부(420)가 수직바(200)의 내면에 맞닿아 수직바(200)에 현수 연결되게 조립이 이루어지며, 그 장착대(400)에는 충전기(C)가 장착되어 충전기가 지면으로부터 설정된 높이에 스탠드 방식으로 장착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충전기(C)가 장착된 상부에는 일정한 면적의 공간이 마련되어 소화장치(A)가 위치될 수 있는 것으로, 고주파 충전기가 장착된 직상부에 소화장치가 근접하게 배치될 수 있도록 상기 상부판(300)의 중앙에는 체결부(360)를 형성하여 소화장치(A)가 볼트 조립방식으로 간편하게 장착할 수 있게 됨은 물론, 충전기(C)와의 근접거리에서 화재를 감지하여 화재예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충전기(C)에서 화재가 발생하더라도 케이스본체(100) 내부에서 화재가 진압되기 때문에 매우 짧은 시간에 안전하게 화재 진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별 거치대마다 소화장치(A)가 장착되어 개별 소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대의 상단에는 고주파 충전기(C)의 전선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500)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걸고리(500)는 고리본체(520)의 상부가 상부판(300)에 체결되되, 체결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절곡면(540)이 형성되어 체결구(B)를 이용하여 상부판(300)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리본체(520)는 양측에 하향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부(522)를 형성하면 전선을 고리본체(520)에 권취하여 걸어 고정한 상태에서 전선이 안정적으로 거치될 수 있으며, 전선을 사용하고 다시 권취하는 과정에서 전선의 피복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판(30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이나 충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충전기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로써 투명재질의 커버체(60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커버체(600)는 실내에서 사용하는 경우는 물론, 충전기 거치대가 야외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에도 눈, 비로부터 보호하도록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서, 커버체(600)는 투명한 아크릴이나,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소재 등 경량소재이면서 강도가 높은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커버체(600)는 상부판(300)의 하단에 전면과 좌,우측면 또는 이에 더하여 뒷면을 차단하도록 하여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거치대에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렇게 하부만 개방되는 구조를 갖도록 함으로써 충전기에서 발열 등에 의하여 화재가 발생하는 경우 소화물질이 무분별하게 확산되지 않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체(600) 내에서 충전기를 향하여 직분사되게 함으로써 소화기능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커버체(600)를 조립식으로 설치하는 경우, 상부판(300)에 수직바(200)를 조립할 때 일체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 테두리절곡부(320)에 형성된 체결공(340)에 대응하게 커버체(600)에도 구멍을 형성하여 체결구(B)가 수직바(200)와 커버체(600)를 관통하여 상부판(300)에 조립 고정함으로써 동시에 고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수직바(200)에 형성되는 체결공(240)을 일방향으로 길이가 긴 장공으로 형성하면 금속판 절곡과정에서 공차가 발생하더라도 그 공차에 대응하여 움직임되게 함으로써 수직바(200)의 조립을 더욱 쉽게 할 수 있게 되며,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커버체(600)를 일체로 조립하는 경우에도 커버체(600)의 두께에 대응하여 미세하게 조립위치 가변이 가능하기 때문에 체결구(B)를 이용한 고정시 정위치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즉, 수직바(200) 상단의 체결면(224)이 상부판(300) 상단의 체결공(340)에 체결구(B)로 조립이 이루어질 때, 커버체(600)를 함께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 수직바(200)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벌려서 조립이 이루어지고, 반대로 커버체(600)가 없이 조립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양측 수직바(200) 간의 간격을 미세하게 좁혀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커버체(600)를 옵션 기능으로 부가하거나 제외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고주파 충전기(C)를 장착하기 위한 장착대(400)는 상기 날개부(420)의 절곡된 폭이 수직바(200) 양측의 절곡된 측변절곡부(222)의 사이에 안착되어 전,후방 유동을 방지하면서 레일 구조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수직바(200)에 형성된 장착홀(260)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홀(260)이 병렬로 배열되어 장착대(400)의 장착 높낮이를 다양하게 설정하거나 복수의 고주파 충전기를 병렬로 배치할 수 있다.
즉, 장착대 양측의 날개부(420)가 수직바(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바(200)에 형성된 장착홀(260)에 대응하게 날개부(420)에도 장착홀(460)이 형성되어 체결구(B)로 조립되는데, 이때 수직바(200)에 형성된 장착홀(460)을 상,하 병렬로 배열되도록 다단으로 구성하면 거치대가 설치되는 장소에 따라서, 또는 지게차의 충전소켓의 높낮이에 따라서 충전기(C)의 높낮이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음은 물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2층 또는 3층 구조 등으로 충전기(C)를 거치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으며, 하나의 소화장치(A)로 종배열된 충전기(C)의 화재예방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의 전,후방 길이를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하고, 중앙에 수직바(200)를 조립하는 구조로 형성하면 거치대의 양면으로 충전기를 거치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협소한 공간이나 양방향으로 충전기 설치가 필요한 경우에 설치여건에 따라서 양면으로 충전기가 배치될 수 있으므로 공간활용을 더욱 효율적으로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장착대(400)는 전면에 설치되는 충전기와 뒷면에 설치되는 충전기의 설정 높낮이를 달리 장착하면 충전기를 장착대(400)에 조립할 때 장착대의 후면에서 간단하게 조립이 가능하기 때문에 설치가 용이하고, 충전기의 교체나 유지보수가 필요한 경우 각 충전기를 개별 분리하여 간단하게 점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양면으로 배치되는 충전기(C)의 상단 중앙, 즉 상부판(300)에 장착되는 소화장치(A)를 중앙에 위치시킴으로써 하나의 소화장치로 양면에 장착된 충전기에 모두 소화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동일한 소방효과를 가지면서도 설치 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다.
100: 받침대
120: 테두리절곡부 140: 체결공
200: 수직바
220: 끼움부 222: 측변절곡면 224: 체결면
240: 체결공 260: 장착홀
300: 상부판
320: 테두리절곡부 340: 체결공 360: 체결부
400: 장착대 420: 날개부 460: 장착홀
500: 걸고리 520: 걸이본체 522: 경사부
540: 절곡면 600: 커버체

Claims (5)

  1. 지면에 지지되는 받침대(100)와, 받침대의 양측면에서 직립하게 세워지는 수직바(200)와, 수직바(200)의 상단에 장착되는 상부판(300) 및 양측의 수직바를 현수 연결하도록 장착되어 고주파 충전기(C)를 설정된 높이에 거치할 수 있도록 하는 장착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고주파 충전기(C)가 장착되는 상단에 소화장치(Automatic Diffusion Extinguisher)가 장착되어 개별 거치대 내에서 화재예방이 이루어지는 고주파 충전기(C)용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은 소정의 두께를 갖도록 하기 위하여 판상구조의 금속판 테두리를 하부측으로 절곡한 테두리절곡부(120,320)가 형성되고,
    상기 수직바(200)는 수직바의 양측변을 절곡하여 측변절곡부(222)을 형성하고, 수직바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절곡하여 체결면(224)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테두리절곡부(120,320)의 상하 높이에 대응하는 폭으로 내입된 구조의 끼움부(220)가 형성되어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의 테두리를 수직바(200)의 끼움부(220)에 끼워 끼움부(220)가 테두리절곡부(120,320)의 상,하단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에는 수직바(200)가 장착되는 끼움부(220)에 형성된 체결공(240)에 대응하게 체결공(140,340)이 형성되어 수직바(200)의 상단과 하단이 각각 상부판(300)과 받침대(100)의 테두리 부분에 끼워진 상태에서 체결구(B)의 조립에 의하여 고정이 이루어지되, 상기 받침대(100)와 상부판(300)에 형성된 체결공(140,340)에는 나선구조의 탭이 형성되어 너트가 필요없이 볼트로 이루어진 체결구(B) 고정만으로 간단하게 조립이 이루어지고,
    상기 장착대(400)는 양측변에 수직바(200)에 맞닿게 절곡된 날개부(420)가 형성되되, 날개부(420)는 수직바(200) 양측의 절곡된 측변절곡부(222) 사이에 안착되어 전,후방 유동을 방지하면서 레일 구조로 상,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장착대(400)의 장착 높낮이를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상부판(300)의 중앙에는 체결부(360)에 의하여 소화장치(A)가 장착되어 개별 소화기능을 지지면서 근접 거리에서 화재예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부판(300)의 하단에 충전기의 파손이나 손상을 방지하기 위한 구조의 투명재질의 커버체(600)가 장착되되, 커버체(600)는 소화물질이 무분별하게 확산되지 않고 충전기를 향하여 직분사되어 소화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전면과 좌,우측면을 차단하면서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거치대에 조립식으로 설치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판(300)에는 고주파 충전기(C)의 전선을 걸어 고정할 수 있도록 걸고리(500)가 장착되고,
    상기 걸고리(500)는 고리본체(520)의 상부가 상부판(300)에 체결되되, 체결상태에서의 유동을 방지하도록 절곡된 구조의 절곡면(540)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충전기(C)가 장착되는 장착대(400)는 장착대 양측의 날개부(420)가 수직바(200)의 내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직바(200)에 형성된 장착홀(260)에 대응하게 날개부(420)에도 장착홀(460)이 형성되어 체결구(B)로 조립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200)에 형성된 장착홀(260)은 상,하 방향으로 복수의 장착홀(260)이 병렬로 배열되어 장착대(400)의 장착 높낮이를 다양하게 설정하거나 복수의 고주파 충전기를 병렬로 배치할 수 있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KR1020210043656A 2021-04-02 2021-04-02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KR1023027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656A KR102302737B1 (ko) 2021-04-02 2021-04-02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3656A KR102302737B1 (ko) 2021-04-02 2021-04-02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737B1 true KR102302737B1 (ko) 2021-09-14

Family

ID=777745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3656A KR102302737B1 (ko) 2021-04-02 2021-04-02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7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44A (ko) * 2010-07-14 2012-01-20 김학성 커버체를 가진 지게차 캐빈
JP2021035321A (ja) * 2019-08-27 2021-03-01 張偉萍 安全消火装置付きの自動充電設備
KR102223366B1 (ko) *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KR20210026970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스필 전기 충전 키오스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7344A (ko) * 2010-07-14 2012-01-20 김학성 커버체를 가진 지게차 캐빈
JP2021035321A (ja) * 2019-08-27 2021-03-01 張偉萍 安全消火装置付きの自動充電設備
KR20210026970A (ko) * 2019-09-02 2021-03-10 주식회사 스필 전기 충전 키오스크 어셈블리
KR102223366B1 (ko) * 2020-07-13 2021-03-04 김준수 캐노피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47877B1 (ko) 케이블 고정장치를 구비한 케이블 트레이
US7735794B1 (en) Adjustable fixture mounting bracket for suspended ceiling
US10288269B2 (en) Ceiling system
US8511007B2 (en) Solar support structure
US8297579B1 (en) Electrical box hanger assembly for a suspended ceiling
US8079192B2 (en) Suspended ceiling grid system
KR102015851B1 (ko) 공동주택용 천장 케이블 트레이
US10233640B1 (en) Drop ceiling attachment assembly
EP2327843A1 (en) Self-supporting modular panel, particularly for office furnishing
KR102302737B1 (ko) 지게차 충전기 거치대
KR102053964B1 (ko) 벽걸이용 브라켓
JP3406794B2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
KR20170133050A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US8342722B1 (en) Light system
KR102313495B1 (ko) 지게차 충전기함
US7673430B1 (en) Recessed wall-wash staggered mounting system
KR102038688B1 (ko) 케이블 트레이 렁 설치구조
KR101216322B1 (ko) 케이블 트레이의 사이드레일 결속지지대
EP3323317B1 (en) A showcase, especially for stores
CN103026146A (zh) 缆线支撑结构
KR101923033B1 (ko) 지지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고조립체
US20240059163A1 (en) Electric vehicle charging system with ceiling mounted electrical power distribution
CN204983608U (zh) 一种安装用吊篮
CN219222676U (zh) 一种空调外机保护罩
EP2889442B1 (en) Indoor office-type modular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