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2030B1 -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2030B1
KR102302030B1 KR1020210044445A KR20210044445A KR102302030B1 KR 102302030 B1 KR102302030 B1 KR 102302030B1 KR 1020210044445 A KR1020210044445 A KR 1020210044445A KR 20210044445 A KR20210044445 A KR 20210044445A KR 102302030 B1 KR102302030 B1 KR 1023020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zone
discharged water
tank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4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광희
박재형
김유곤
Original Assignee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4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20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20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20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63/00Receptacles for live fish, e.g. aquaria; Terraria
    • A01K63/04Arrangements for treating water specially adapted to receptacles for live fis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39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hollow discs side by side on, or around, one or more tubes, e.g. of the leaf typ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ultrafiltration or micro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4Disinfection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는 육상수조의 배출수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여 연속 처리하는 배출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출수가 저장되는 배출수저장부와,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저장된 배출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혼합부 및 상기 세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취수된 배출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필터와, 복수의 상기 여과필터 사이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부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생성기와,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배출수에 혼합하는 파이프믹서와, 상기 파이프믹서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이 접촉되는 주처리반응조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여재접촉조와, 상기 여재접촉조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미생물 및 부유물질이 흡수되는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Apparatus for Treating Drain Water of Continuous Processing Type}
본 발명은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육상양식장, 검역시행장 등의 육상수조의 배출수부터 발생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수에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방류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의 수산물시장은 1994년 UR협상의 타결로 WTO체제하의 새로운 무역환경을 맞이하게 되었고, 뿐만 아니라 1997년 7월 1일자로 전면개방되게 되었다. 이로 인해, 수산물 수입이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고 수입품목 또한 매우 다양해졌다. 이러한 수입수산물 수입 과정에서 수입수산물 검체와 이와 동반되어 유입되는 동반수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병원체와 미량오염물질에 대한 처리가 필요하다.
현재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수산물은 전국 약 900여개의 검역시행장에서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의 수입검사확인 절차를 거쳐 유통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입검사확인을 거치는 동안에 일정기간 육상수조에서 대기 상태로 머물게 된다.
이때, 수입수산물이 머무는 육상수조의 급이 및 물갈이를 하게 되며, 육상수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에는 국적불명의 생태교란물질과 양식과정에서의 감염된 어체 내 기생하는 병원성 유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이는 방류 연안해역의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는 동시에 연안해역 양식장에서 이 오염된 해수를 취수하여 양식장에 사용할 경우 2차적인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검역시행장 배출수로부터 발생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시설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며, TRO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적정농도를 유지하여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살균, 소독,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는 육상수조의 배출수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여 연속 처리하는 배출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출수가 저장되는 배출수저장부와,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저장된 배출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혼합부 및 상기 세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취수된 배출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필터와, 복수의 상기 여과필터 사이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부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생성기와,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배출수에 혼합하는 파이프믹서와, 상기 파이프믹서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이 접촉되는 주처리반응조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여재접촉조와, 상기 여재접촉조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미생물 및 부유물질이 흡수되는 여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수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 상기 혼합부, 상기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역세 과정을 통해 1차 여과하는 디스크필터와,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2차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믹서는 상기 여과필터에 연결되며, 여과된 배출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며, 오존 및 상기 주처리반응조에서 반송되는 반송수가 순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처리반응조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순환파이프는 중간에 관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믹싱파이프와, 상기 믹싱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듀샤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파이프는 상기 믹싱파이프에 의하여 관경이 변화됨에 따라 난류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오존생성기는 기체 및 액체를 플라즈마 및 전극에 관통시켜 오존을 생성하는오존버블생성기와, 상기 오존버블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과 반송수를 혼합하는 기액혼합펌프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처리반응조는 오존을 통해 배출수의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접촉산화반응조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의 상단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잔류산화물(TRO)의 농도를 측정하는 TRO농도측정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주처리반응조는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조절하는수위조절수조와, 상기 수위조절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핸들 조작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격벽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TRO농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배출수의 오염에 의하여소모된 브로민과 클로린의 총 잔류량에 따라 살균 및 소독의 처리 공정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여재접촉조는 배출수를 순환시키며, 여재 표면에 과잉으로 부착된 미생물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이덕터(Eductor)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에 의하면, 해수를 여과필터에서 여과한 후 오존과 혼합하여 세정 및 살균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념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여과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믹서를 나타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오존생성기를 나타낸 개념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촉산화반응조를 나타낸 ㅅ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세정부를 나타낸 사시도.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조금 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배출수 처리장치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는 육상양식장, 검역시행장 등의 육상수조의 배출수부터 발생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상기 배출수에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여 처리하여 방류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는 일반적으로 육상수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에 혼합된 병원성 유해물질이 포함된 해수를 살균 처리하기 위하여 오존을 공급하는 것이다. 이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면, 해수에 존재하는 브롬(Br-)과 오존의 빠른 반응에 의해 하이포아브롬산(HOBr/OBr-)이 생성되며, 하이포아브롬산은 차아취소산으로도 명칭되며, 차아염소산(HOCl)과 같은 살균제, 산화제로 사용된다. 그리고 해수에서는 오존이 직접 살균 및 산화 작용을 하지 않고, 오존에 의해 발생된 하이포아브롬산(HOBr/OBr-)이 살균제, 산화제 역할을 수행하며, 해수에서는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하이포아브롬산(HOBr/OBr-) 등 모든 산화제를 합산하여 명칭하며 이를 총잔류산화물(TRO)이라고 한다. 해수에서는 총잔류산화물(TRO)의 농도를 측정하고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제거하는데 필요한 적정 농도를 파악하여 오존 주입량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검역시행장 배출수로부터 발생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수처리시설이며,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며, TRO 농도를 실시간으로 측정하여 적정농도를 유지하여 생태교란 유해물질을 살균, 소독, 제거할 수 있는 수처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배출수저장부(100)와, 상기 배출수저장부(100)에서 저장된 배출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200)와, 상기 여과부(20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부(300)와, 상기 혼합부(30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세정하는 세정부(400)와, 상기 혼합부(300) 및 상기 세정부(400)를 제어하는 제어부(500)를 구비한다.
배출수저장부(100)는 검역시행장에 형성되는 것이며, 검역시행장은 수입수산물을 검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수저장부(100)는 수입수산물이 머무는 육상수조의 급이 및 물갈이를 하게 되며, 이때 육상수조에서 배출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것이다. 또한, 배출수저장부(100)에서 저장된 배출수는 병원성 유해물질이 포함된 해수로 해수는 펌프에 의하여 여과부(200)로 전달된다.
이와 같은 배출수저장부(100)의 상부에는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600)이 형성되며, 프레임(600)에는 여과부(200), 혼합부(300), 세정부(400)가 수용되어 제어부(500)에 의하여 제어됨에 따라 배출수를 살균 처리하는 것이다.
이때, 프레임(600)은 H빔, 경량철골,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되며, 복층으로 형성되어 여과부(200), 혼합부(300), 세정부(400)가 수용된다. 그리고 혼합부(300)는 한층으로 형성되는 프레임(600)보다 크게 형성될 경우 프레임(600)의 바닥이 개방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프레임(600)은 복층으로 올라가는 계단이 형성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상기 배출수저장부(100)에서 취수된 배출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필터(210)와, 복수의 상기 여과필터(210) 사이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220)를 구비한다.
이때, 여과필터(210)는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출수저장부(10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역세 과정을 통해 1차 여과하는 디스크필터(211)와, 상기 유량조정조(22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2차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212)를 구비한다.
디스크필터(211)는 배출수저장부(100)에서 취수된 배출수를 100㎛로 필터링하는 것이며, 배출수에 포함된 고형물질,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디스크필터(211)는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카트리지가 형성되며, 빠른 유속을 유지함에 따라 차압과 역세 공정으로 필터링하는 자동 역세장치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디스크필터(211)는 디스크에 쌓인 이물질을 역세수(처리유량의 0.5%)를 이용하여 이물질을 제거 후, 여과 성능을 회복하여 이물질은 배출하고 배출수는 유량조정조(220)로 전달하는 것이다.
유량조정조(220)는 디스크필터(211)와 마이크로필터(212) 사이에 형성되며, 디스크필터(211)에 의하여 1차로 여과된 배출수의 유량을 조정하여 마이크로필터(212)로 공급하는 것이다.
마이크로필터(212)는 유량조정조(220)에 저장된 10㎛으로 배출수를 필터링하는 것이며, 마이크로 크기의 다공홀이 형성된 카트리지가 형성되어 유량조정조(220)에 저장된 배출수를 필터링한다. 이와 같이 마이크로필터(212)는 U-PVC로 되어있어 해수의 처리에 적합하며, 배출수에 포함된 고형물질, 부유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그리고 마이크로필터(212)로 배출수의 유입 전·후의 압력(차압)을 측정하여 일정 차압 이상이 발생하면 알림 메시지를 주어 필터의 청소·교체 작업으로 여과 성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한다.
혼합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되어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을 혼합하여 살균 및 세정하는 것으로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생성기(310)와, 상기 오존생성기(310)에서 생성된 오존을 배출수에 혼합하는 파이프믹서(320)와, 상기 파이프믹서(32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이 접촉되는 주처리반응조(330)를 구비한다.
오존생성기(310)는 도 6을 참조하면, 기체 및 액체를 플라즈마 및 전극에 관통시켜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버블생성기(311)와, 오존버블생성기(311)에서 생성된 오존과 반송수를 혼합하는 기액혼합펌프(312)가 형성된다.
오존버블생성기(311)는 산소에 물리, 화학적인 자극으로 에너지를 가해 오존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무성 방전법, 전해법, 광화학법, 고주파 전계법, 방사선 조사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오존을 생성한다. 오존버블생성기(311)는 전극 사이에 유리나 세라믹 같은 유전체를 삽입하고 공기나 산소를 불어넣고 전극에 고압을 가하여 방전 공간에서 오존이 발생하거나 방전 램프에 자외선 파장과 오존 생성파장을 동시에 발생시켜 오존인 OH라디칼을 생성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오존버블생성기(311)에서 생성된 오존은 기액혼합펌프(312)에 의하여 후술되는 주처리반응조(330)에서 반송되는 반송수와 오존을 혼합한다.
그리고 오존버블생성기(311)에서 생성된 오존은 파이프믹서(320)로 공급되어 여과부(20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혼합된다.
파이프믹서(3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여과필터(210)에 연결되며, 여과된 배출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321)와, 상기 공급파이프(321)에 연결되며, 오존 및 상기 주처리반응조(330)에서 반송되는 반송수가 순환되는 순환파이프(322)와, 상기 순환파이프(322)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처리반응조(330)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325)를 구비한다.
공급파이프(321)는 U-PVC로 되어있어 해수의 처리에 적합하며, 오존버블생성기(311) 및 기액혼합펌프(312)에 연결되어 오존 및 오존이 혼합된 반송수가 공급되어 순환파이프(322)로 전달된다. 그리고 순환파이프(322)는 공급파이프(321)가 일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배출파이프(325)가 연결되어 주처리반응조(330)로 배출수를 배출한다. 그리고 순환파이프(322)는 복수가 상부에서 하부로 순환되도록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이며, 중간에 관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믹싱파이프(323)와, 상기 믹싱파이프(323)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듀샤(324)를 구비한다.
이때, 믹싱파이프(323)에 의하여 관경이 변화됨에 따라 순환파이프(322)로 흐르는 배출수에 존재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미생물, Virus, 항생제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 및 살균한다.
파이프믹서(320)에서 오존이 혼합된 배출수는 주처리반응조(330)에 의하여 오존이 효과적으로 접촉되어 총잔류산화물(TRO)를 측정한다.
주처리반응조(330)는 파이프믹서(320)에서 오존과 혼합된 배출수에 의하여 생성된OH라디칼을 통해 배출수의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접촉산화반응조(331)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331)의 상단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332)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331)의 내부에 형성되며, 잔류산화물(TRO)의 농도를 측정하는 TRO농도측정기(333)를 구비한다.
접촉산화반응조(331)는 도 7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프레임(600)에 형성되는 복수의 층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배출수가 수용되는 수용챔버가 형성된다. 수용챔버는 중심에 파이프믹서(320)의 배출파이프(325)가 연결되며, 파이프믹서(320)에서 공급된 배출수는 원통으로 형성되는 원형관(337)으로 공급된다. 원형관(337)은 하부가 막힘 구조로 형성되어 파이프믹서(320)를 통해 공급되는 배출수가 원형관(337)에 저장되어 넘쳐 흘러 접촉산화반응조(331)에 가득 차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원형관(337)의 하부에는 하단에 다공형 배관이 복수로 형성되며, 다공형 배관은 접촉산화반응조(331)에 공급되는 배출수의 고형물질(SS)이 유입되지 않도록 한다. 이는 다공형 배관의 다공홀이 고형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며, 고형물질은 침전되거나 상승하여 제거된다. 그리고 접촉산화반응조(331)에서 오존에 의하여 살균되지 않은 배출수는 기액혼합펌프(312)로 반송되어 오존에 의하여 재혼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수는 접촉산화반응조(331)에 저장되면 상부에 설치된 스컴제거장치(332)에 의하여 이물질이 제거된다. 스컴제거장치(332)는 회전 및 진동함에 따라 배출수의 상부에 부상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고형물질(SS) 등의 이물질이 제거된다.
또한, 원형관(337)은 배출수의 잔류산화물(TRO) 농도를 측정하는 TRO농도측정기(333)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TRO농도측정기(333)는 배출수의 유해물질 제거를 위한 최적의 잔류산화물(TRO) 농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배출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소모된 브로민(bromine, HOBr/OBr-)과 클로린(chlorine, HOCl/OCl-)의 총 잔류량이 총잔류산화물(TRO)로 실시간으로 측정이 되며, 살균 및 소독의 효과적 처리 단계를 결정하여 필요한 공정이 진행될 수 있도록 전체 시스템을 운전하는 것이다.
그리고 TRO농도측정기(333)는 DPD 흡광분석법을 사용하여 총 잔류염소를 측정하는 장치로 급수 펌프를 통해 유량을 제어할 수 있으며, 자동화된 시스템이 배출수의 TRO 생성량을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이때, TRO농도측정기(333)에서 측정된 TRO 값은 배출수의 오염 정도에 따라 오존 및 브로민의 소모량이 많거나 적어지며, 이에 따른TRO 값이 변하는 것이다.
그리고 배출수의 오존 주입량으로 브로민 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배출수 내의 각종 오염물질 및 유해물질에 브로민이 반응하여 살균·산화작용을 일으키며, 반응 후 수중에 남아있는 브로민에 의해 TRO 값이 유지됨에 따라 제어부(500)에서 TRO의 셋팅값(TRO Setting Value)을 정하고, 실시간 TRO를 측정하여 그 차이에 따라 오존 주입량의 증·감을 통해 유입 수질의 변동에 따른 브로민의 소비량 변화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TRO 농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TRO농도측정기(333)를 설정한다.
또한, 제어부(500)는 이와 같이 TRO농도측정기(333)를 제어하는 방법은 스템(Step) 제어에 의한 단계별 제어와 PID 제어에 의한 비례/적분/미분 제어가 형성된다. 여기서, 스텝(Step) 제어에 의한 단계별 제어는 4가지의 Step별 탁도 또는 TRO 농도를 설정하고, 그 범위에 맞는 운전을 실시하도록 하는 운전 방법이다. TRO 값이 충분히 유지될 경우, 오존 주입 %를 줄여주고, 반대의 경우 주입 % 를 올려주는 것으로, 유입 수질이 비교적 일정하고 변동폭이 크지 않을 경우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리고 PID 제어에 의한 TRO 농도 제어는 실시간 TRO 농도값(TRO Present Value)을 반복하여 측정하고, TRO 셋팅값(TRO Setting Value)과 비교하여 오조 주입%를 제어하는 방법이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시운전 시 기본 측정값(오존 주입%에 따른 오존농도 및 이에 따른 TRO 농도)을 바탕으로 오존 주입% 최대, 최소값, 제어주기, 적분변수, 비례계수, 미분변수를 입력하여, 가장 최적의 현장 운전값을 찾아 셋팅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접촉산화반응조(331)는 내부의 오존을 제거하기 위한 오존제거장치(339)가 형성되며, 오존제거장치(339)는 배출수를 살균하기 위한 오존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때, 오존을 제거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함에 따라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주처리반응조(330)는 접촉산화반응조(331)의 후단에 형성되며, 다공형 배관을 통해 유입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조(334)가 형성된다. 수위조절수조(334)는 중심에 격벽(335)이 형성되며, 격벽(335)은 핸들(336)에 의하여 높이가 조절된다. 이때, 격벽(335)의 높이는 배출수의 스컴 제거 여부에 따라 조절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수위조절수조(334)에 의하여 접촉산화반응조(331)의 배출수 수위가 조절되는 것이며, 수위조절수조(334)의 격벽(335)을 넘은 배출수는 여재접촉조(410)로 전달된다.
주처리반응조(330)에서 전달된 세정부(400)로 전달되며, 세정부(400)는 상기 혼합부(300)에서 공급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여재접촉조(410)와, 상기 여재접촉조(410)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미생물 및 부유물질이 흡수되는 여재(420)가 형성된다.
이때, 여재접촉조(410)는 도 9을 참조하면, 여재(420)(Media)의 역세를 위해 설치하는 것으로 오존에 의하여 제거되지 않은 부유물질 및 고형물질과 미생물이 여재(420)에 부착되어 제거되는 것이다. 여재접촉조(410)는 하부에 2개의 수평라인으로 장착되며, 각 라인에는 복수의 이덕터(411)가 설치된다. 그리고 여재(420)에 부착된 미생물의 두께 및 오염도에 따라 이덕터(411)에 의하여 세정 강도를 조절하며, 세정 시 비중이 낮은 여재(420)의 경우 유체의 흐름에 의한 와류 운동이 발생하여 세정 효과가 높아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에 의하여 배출수에 존재하는 생태교란 유해물질 (미생물, Virus, 항생제 등)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최적의 유해물질 제거 효과를 위해 실시간 TRO 제어를 실시하는 것이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배출수저장부 200: 여과부
210: 여과필터 211: 디스크필터
212: 마이크로필터 220: 유량조정조
300: 혼합부 310: 오존생성기
311: 오존버블생성기 312: 기액혼합펌프
320: 파이프믹서 321: 공급파이프
322: 순환파이프 323: 믹싱파이프
324: 레듀샤 325: 배출파이프
330: 주처리반응조 331: 접촉산화반응조
332: 스컴제거장치 333: TRO농도측정기
334: 수위조절수조 335: 격벽
336: 핸들 337: 원형관
338: 다공홀 배관 339: 오존제거장치
400: 세정부 410: 여재접촉조
411: 이덕터 420: 여재
500: 제어부 600: 프레임

Claims (10)

  1. 육상수조의 배출수에서 발생하는 유해물질을 오존 또는 오존에 의해 발생된 총잔류산화물(TRO)을 이용하여 연속 처리하는 배출수 처리장치에 있어서,
    배출수가 저장되는 배출수저장부와,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저장된 배출수의 이물질을 여과하는 여과부와,
    상기 여과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을 혼합하는 혼합부와,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세정하는 세정부와,
    상기 혼합부 및 상기 세정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여과부는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취수된 배출수를 여과하는 복수의 여과필터와,
    복수의 상기 여과필터 사이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유량을 조정하는 유량조정조를 구비하고,
    상기 혼합부는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생성기와,
    상기 오존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을 배출수에 혼합하는 파이프믹서와,
    상기 파이프믹서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에 오존이 접촉되는 주처리반응조를 구비하고,
    상기 세정부는 상기 혼합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가 저장되는 여재접촉조와,
    상기 여재접촉조에 형성되며, 배출수의 미생물 및 부유물질이 흡수되는 여재를 구비하고,
    상기 주처리반응조는 오존을 통해 배출수의 미세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접촉산화반응조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하단이 막힘 구조로 형성되어 배출수가 저장되는 원형관과,
    상기 원형관의 하단에 형성되며, 상기 원형관에서 넘쳐 흐르는 배출수에 혼합된 이물질을 여과하는 다공형 배관과,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의 상단에 형성되며, 회전 및 진동함에 따라 배출수의 상부에 부상되는 스컴을 제거하는 스컴제거장치와,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잔류산화물(TRO)의 농도를 측정하는 TRO농도측정기를 구비하고,
    상기 주처리반응조는 상기 접촉산화반응조에서 공급되는 배출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수위조절수조와,
    상기 수위조절수조의 내부에 형성되며, 핸들 조작에 의하여 승하강하는 격벽을 구비하고,
    상기 수위조절수조의 배출되는 배출수는 상기 격벽을 넘어 상기 여재접촉조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수저장부의 상부에 형성되며, 상기 여과부, 상기 혼합부, 상기 세정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되는 프레임을 더 포함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는 상기 배출수저장부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역세 과정을 통해 1차 여과하는 디스크필터와,
    상기 유량조정조에서 공급되는 배출수를 2차 여과하는 마이크로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믹서는 상기 여과필터에 연결되며, 여과된 배출수가 공급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며, 오존 및 상기 주처리반응조에서 반송되는 반송수가 순환되는 순환파이프와,
    상기 순환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며, 상기 주처리반응조로 배출하는 배출파이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파이프는 중간에 관경이 다르게 형성되는 믹싱파이프와,
    상기 믹싱파이프의 단부에 형성되는 레듀샤를 구비하고,
    상기 순환파이프는 상기 믹싱파이프에 의하여 관경이 변화됨에 따라 난류가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생성기는 기체 및 액체를 플라즈마 및 전극에 관통시켜 오존을 생성하는 오존버블생성기와,
    상기 오존버블생성기에서 생성된 오존과 반송수를 혼합하는 기액혼합펌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TRO농도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한 배출수의 오염에 의하여소모된 브로민과 클로린의 총 잔류량에 따라 살균 및 소독의 처리 공정을 제어하는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여재접촉조는 배출수를 순환시키며, 여재 표면에 과잉으로 부착된 미생물 및 부유물질을 제거하는 이덕터(Eductor)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KR1020210044445A 2021-04-06 2021-04-06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KR1023020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45A KR102302030B1 (ko) 2021-04-06 2021-04-06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4445A KR102302030B1 (ko) 2021-04-06 2021-04-06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2030B1 true KR102302030B1 (ko) 2021-09-16

Family

ID=779267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4445A KR102302030B1 (ko) 2021-04-06 2021-04-06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20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357B1 (ko) 2021-11-16 2022-05-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사육수 정화 및 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입 수산물 검역시행장치
KR102408977B1 (ko) * 2022-02-25 2022-06-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효율 대용량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408959B1 (ko) * 2022-02-25 2022-06-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효율 대용량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775B1 (ko) * 1998-03-14 2000-03-02 조민근 다중 병렬식 생물막 여과 오폐수 처리장치
KR100296887B1 (ko) * 1998-10-09 2001-10-26 조현서 해산어육상축양장의수질개선방법및그장치
JP2004000958A (ja) * 2002-04-25 2004-01-08 Plasteral Sa スイミングプールの水処理プラント
KR20050012876A (ko) * 2005-01-13 2005-02-02 아쿠아셀 주식회사 생물막공법의 중수도시스템
KR20050093725A (ko) * 2005-07-13 2005-09-23 백구엔지니어링(주) 산화 가압 부상장치
KR100951578B1 (ko) * 2008-03-10 2010-04-09 최영규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45775B1 (ko) * 1998-03-14 2000-03-02 조민근 다중 병렬식 생물막 여과 오폐수 처리장치
KR100296887B1 (ko) * 1998-10-09 2001-10-26 조현서 해산어육상축양장의수질개선방법및그장치
JP2004000958A (ja) * 2002-04-25 2004-01-08 Plasteral Sa スイミングプールの水処理プラント
KR20050012876A (ko) * 2005-01-13 2005-02-02 아쿠아셀 주식회사 생물막공법의 중수도시스템
KR20050093725A (ko) * 2005-07-13 2005-09-23 백구엔지니어링(주) 산화 가압 부상장치
KR100951578B1 (ko) * 2008-03-10 2010-04-09 최영규 저에너지를 사용하는 오존 수처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357B1 (ko) 2021-11-16 2022-05-30 어업회사법인주식회사블루젠 사육수 정화 및 여과장치를 이용한 수입 수산물 검역시행장치
KR102408977B1 (ko) * 2022-02-25 2022-06-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효율 대용량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KR102408959B1 (ko) * 2022-02-25 2022-06-14 해성엔지니어링 주식회사 고효율 대용량 오존발생장치를 이용한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2030B1 (ko) 연속 처리식 육상수조 배출수 처리장치
US1051905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treatment of ballast water
JP5408661B2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およびバラスト水処理方法
US11046597B2 (en) Method of membrane-coupled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and its application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f the same
KR101818996B1 (ko) 마이크로 버블 발생기 및 마이크로 버블, 저농도 오존과 자외선램프를 이용한 고도처리 시스템
KR100864806B1 (ko) 처리효율을 극대화한 고도수처리시스템
KR101210558B1 (ko) 플라즈마 수처리장치
KR20090038573A (ko) 자외선 살균장치의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JP2006272184A (ja) 紫外線照射を利用した水処理システム
KR101638970B1 (ko) 엠비비알을 이용한 선박용 오폐수 처리 장치
JP4555081B2 (ja) 船舶用海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2054625B1 (ko) 오폐수 처리 장치
WO2019088015A1 (ja) 洗浄水処理装置と洗浄水処理方法
JPH11290848A (ja) 濾過方法及び装置
US20220073395A1 (en) Industrial waste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garment finishing, jeans and denim industry
KR102330266B1 (ko) 난분해성 유기물질 처리용 순환식 자외선 고도처리장치 및 방법
JP4897255B2 (ja) 水処理装置及び方法
JP4098577B2 (ja) 紫外線消毒装置を用いた下水消毒システム
JP2000288559A (ja) 水酸化ラジカルを利用した排水処理方法及び排水処理装置
RU2170713C2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ных сред
KR102380257B1 (ko) 분리막 기술을 적용한 양식장 사육수 처리 시스템
JP2010094676A (ja) 紫外線照射を利用した水処理システム
JP4144394B2 (ja) 膜濾過器の膜洗浄装置
RU2113860C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очистки и стерилизации эндоскопов
KR102260290B1 (ko) 미세버블 및 자외선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