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1120B1 -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1120B1
KR102301120B1 KR1020150041016A KR20150041016A KR102301120B1 KR 102301120 B1 KR102301120 B1 KR 102301120B1 KR 1020150041016 A KR1020150041016 A KR 1020150041016A KR 20150041016 A KR20150041016 A KR 20150041016A KR 102301120 B1 KR102301120 B1 KR 1023011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humidity control
water
insulator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1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0282A (ko
Inventor
유한영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US14/685,531 priority Critical patent/US10047949B2/en
Priority to CN201510179880.8A priority patent/CN105042757B/zh
Publication of KR201501202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02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11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11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 G05D22/02Control of humidity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4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nozz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8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air-humidific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2/00Control of humid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Spraying Apparatu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습도 조절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고, 물 저장고와 인접하는 곳에 위치하며 상기 물이 빠져 나오는 노즐, 노즐과 접속하는 제1 전극, 그리고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습도 조절 장치는, 제1 전극과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동부, 그리고 제2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본 발명은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존의 습도 조절 장치는 초음파를 이용한 방식, 그리고 발열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 등을 채용하고 있다.
발열 장치를 기반으로 하는 방식은 물에 열을 가함에 의해 발생되는 수분을 이용하여 습도를 조절한다. 이러한 방식은 열을 기반으로 습도를 조절하기 때문에 수분 증발을 신속히 이룰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전력 소모가 큰 문제점이 있다.
초음파를 이용한 습도 조절 장치는 신속한 가습을 이룰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수분을 이루는 물방울의 크기 커서 넓은 지역으로 수분이 전파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습도 조절 장치의 근처에서는 습도가 높으나 그 외의 지역은 습도가 낮아, 넓은 지역까지 골고루 습도를 조절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특허문헌 1) KR10-2006-0025488 A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넓은 지역까지 수분을 전파시킬 수 있는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습도 조절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고, 상기 물 저장고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물이 빠져 나오는 노즐, 상기 노즐과 접속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 구동부, 그리고 상기 제2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은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는 마이크로 구조와 나노 구조가 결합된 복합 구조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절연체는 불소계를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노즐로부터 물방울이 방사되며, 상기 물방울은 상기 제1 절연체에 튕겨서 공기 중으로 방사될 수 있다.
상기 노즐에는 미세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물 저장고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의 위치는 상기 노즐의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전압은 직류 또는 교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로부터 방사되는 물방울의 양은 상기 전압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물 저장고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곳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빠져 나온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물 저장고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는 제3 전극, 그리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전극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장치는, 상기 제2 전극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체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절연체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빠져 나온 물이 통과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고를 포함하는 습도 조절 장치가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방법은, 상기 물 저장고로부터 상기 물이 빠져 나오는 노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즐과 접속하는 제1 전극과 절연체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압의 인가에 의해, 상기 물을 물방울 형태로 상기 노즐로부터 방사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절연체를 통해, 상기 물방울을 공기 중으로 방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체는 상기 제2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며 초소수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전압은 교류 또는 직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상기 물방울의 크기 또는 양은 상기 전압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방법은, 상기 물저장고에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습도 조절 방법은,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며 절연체가 형성되어 있는 제3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전극에 형성되어 있는 상기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미세 노즐에 의한 전기 방사를 이용함으로써, 가습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넓은 지역까지 가습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물방울의 크기가 미세하고 미세한 물방울을 가속하여 분사하므로, 팬의 사용을 최소화 하여 가습 시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는 전기 방사 방식을 통해 미세한 크기의 수분을 발생시킨다.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는 미세 크기 즉, 나노 또는 마이크로 홀 구조를 가지는 노즐에 전압을 인가하고, 이로 인해 발생하는 물방울의 크기는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 크기로 유동성이 높아 넓은 지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하우징(110), 물 저장고(120), 전극(130a, 130b), 절연체(140), 미세 노즐(150) 및 전극 구동부(160)을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습도 조절 장치(100)의 케이스로서 습기 조절 장치(100)의 전체 형상에 대응된다. 하우징(110)에는 물방울이 외부로 빠져 나갈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멍은 하우징의 상면 또는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물 저장고(120)는 물을 저장하는 탱크이며, 사용자에 의해 물로 채워질 수 있다. 물 저장고(120)는 측면부(121) 및 밑면부(122)를 포함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밑면부(122에는 구멍(H)이 형성되어 물이 빠져 나올 수 있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측면부(121)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물이 빠져 나올 수 있다.
전극은 제1 전극(130a) 및 제2 전극(130b)을 포함하며, 제1 전극(130a) 및 제2 전극(130b)에는 전압이 인가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전극(130a)은 물 저장고(120)의 밑면부(122) 에 위치하며 미세 노즐(150)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제1 전극(130a)에도 물방울이 나올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130a)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미세 노즐(150)과 접촉되는 물 저장고(120)의 물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전기장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전기 방사가 발생된다.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전기장이 발생하며, 이 전기장으로 인해 저장고(120)의 물과 제2 전극(130b) 사이 정전기력이 발생한다. 이러한 정전기력으로 인해 물방울이 형성되어 미세 노즐(150)로 배출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1 전극(130a)은 물 저장고(120)의 측면부(121)에도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대응되는 제2 전극이 마주보며 형성될 수 있다.
제2 전극(130b) 제1 전극(130a)과 마주보게 형성되어 있다. 제2 전극(130b)은 제1 전극(130a)와 달리 하나의 판 형태로 제1 전극(130a)과 대향할 수 있다. 한편, 도 1에 나타내지 않았지만, 제2 전극(130b)은 측면부(121)의 제1 전극(130a)과 대향하는 위치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절연체(140)는 제2 전극(130b)의 상면에 형성되며, 절연체(140)의 표면은 초소수성(superhydrophobic) 성질을 가진다. 절연체(140)의 표면이 초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 구조로 형성되거나 또는 초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로 표면 처리됨으로써, 초소수성 성질이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절연체(140)의 표면이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경우, 물방울이 표면에 흡착되지 않고 물방울 형태로 튕겨져 나와 공기 중에 방사된다.
초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 구조는 마이크로 구조와 나노 구조가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먼저 3차원 형태로 마이크로 구조가 형성되고 마이크로 구조 위에 나노 구조로 3차원 구조를 가지는 구조를 가진다. 여기서, 3차원 형태의 마이크로 구조는 오목 또는 볼록 형태의 구조를 가지게 되며 그 크기가 마이크로미터의 크기를 가진다. 또한 나노 구조는 이러한 마이크로 구조의 표면에 오목 또는 볼록 형태로 나노 미터 크기의 크기를 가지는 구조를 말한다.
그리고 초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은 불소계(F)를 포함하는 물질일 수 있다. 또한, 절연체(140)의 표면을 초소수성 특성을 가지는 물질 구조에 불소계 물질을 코딩함으로써, 초소수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미세 노즐들(150)은 각각 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밑변부(122)에 형성된다. 그리고 미세 노즐(150)은 물과 전기적으로 접촉될 수 있도록 물과 접촉한다. 미세 노즐들(150)은 어레이 모양으로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미세 노즐(150)은 물이 방사되는 입구로서 역할을 수행한다. 한편, 도 1 및 도 2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미세 노즐들(150)은 측면부(121)에도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미세 노즐들(150)은 식각과 증착 등의 방법이 사용되는 반도체 공정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미세 노즐들(150)은 기존의 마이크로 니들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전극 구동부(160)는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 또는 직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직류 형태의 전원은 펄스(pulse)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교류 형태의 전원은 사이파(sine wave), 삼각파(triangular wave), 구형파(rectangular wave)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에 사이에 전압이 인가되는 경우, 미세 노즐(150)에 전기장이 발생하여 전기 방사가 발생된다. 전기 방사는 액상 물질의 표면 장력과 외부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힘(정전기력)에 의해, 액상 물질이 방사되는 현상이다. 표면 장력이 정전기력보다 클 경우에는, 액체는 표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그러나, 정전기력이 표면 장력보다 클 경우, 액체는 표면에서 탈출하여 공기 중으로 방사된다. 이러한 전기 방사로 인하여 방출되는 액체의 크기 및 양은 미세 노즐(150)의 크기 및 인가되는 전압의 물리적인 특성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미세 노즐(150)의 크기를 줄이고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을 교류 또는 직류 형태로 설정하는 경우, 미세 노즐(150)로부터 방사되는 물방울의 크기 및 양은 물리적인 인자 즉, 전압의 크기, 주파수, 폭 등을 변화시켜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전극 구동부(160)는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전압 펄스를 인가하며, 이로 인해 미세 노즐(150)과 절연체(140) 사이에 전기장에 발생한다.
이러한 전기장에 의해 정전기력이 유도되며, 이 정전기력에 의해 미세 노즐(150)에 있는 물이 바깥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미세 노즐(150)로 밀려나온 물 방울은 정전기력에 의해 제2 전극(130b)으로 방사된다. 이때, 정전기력의 크기는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의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즉, 전압의 크기, 주파수 및 폭에 의해 물방울의 크기 및 양이 결정된다.
절연체(140)의 표면은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므로, 미세 노즐(150)로부터 방사되는 물방울은 절연체(140)에 부착되지 않고 튕겨져 나가게 된다. 이를 통해, 수백 나노미터의 크기를 가지는 물방울이 공기 중으로 방사할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초소수성을 가지는 연 잎에 물방울이 튕겨져 가는 원리와 유사한다.
한편, 절연체(140)의 표면에 형성되는 초소수성 표면은 접촉각이 150도 이상인 경우, 물이 퍼지지 않고 방울 형태를 가진다. 이를 통해, 미세 노즐(150)로부터 방사되는 물방울은 초소수성 표면에 퍼지지 않고 튕겨져 나가게 되고, 그 크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공기 중으로 방사된다.
이러한 미세 물방울은 마이크로 또는 밀리미터 크기의 물방울 보다 표면적이 크기 때문에 공기와 쉽게 접촉하여 증발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는 기존의 가습기 보다 훨씬 높은 수분 공급을 할 수 있다. 즉, 미세 노즐의 개수 조절하고 인가하는 전압의 크기, 주파수 및 폭을 조절함으로써, 가습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기존의 가습기보다 전력 소비를 줄일 수 있다.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인가되는 전기장의 크기는 수 kV로 높지만, 제1 전극(130a)과 제2 전극(130b) 사이에 흐르는 전류가 거의 없으므로, 소모되는 전력이 아주 낮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즉, 기존의 습도 조절 장치에서 소음의 원인이 되는 초음파 및 팬을 없앰으로써, 소음을 최소화할 수 있다. 미세 노즐(150)로부터 방사되는 물입자의 크기는 나노미터 또는 마이크로미터로 기존의 초음파 방식에 비해 작아 유동성이 뛰어나다. 따라서, 팬이 없거나 팬이 있다고 하더라도 팬에 적은 파워를 인가하더라도 넓은 지역으로 골고루 가습을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높은 가습력을 가질 수 있다. 즉, 미세 노즐(150)의 개수를 조절함으로써, 기존 가습 장치와 같은 파워를 가지더라도 보다 높은 가습력을 얻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팬(170)이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습도 조절 장치(100)와 동일하다.
팬(170)은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4와 달리, 팬(170)은 하우징(170)의 측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팬(170)은 모터에 의해 구동되고 생성된 물방울을 외부로 배출시킨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압력부(18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습도 조절 장치(100)와 동일하다.
도 1과 같은 습도 조절 장치(100)에 의한 물방울의 배출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표면 장력과 정전기력의 차이에 의해 발생되는 물방울의 발생은 표면장력이 높아 물방울의 배출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압력부(180)가 물 저장고(120)에 압력을 발생시킴으로써, 용이하게 물방울을 배출시킬 수 있다.
압력부(180)가 물 저장고(120)에 압력을 부가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물 저장고(120)의 압력이 높아지고, 이로 인해 물방울에 가해지는 힘이 높게 된다. 이를 통해, 낮은 전압으로도 물방울을 배출시킬 수 있다. 압력부(180)는 펌프 등을 통해 구현될 수 있는데, 압력부(180)를 통해 물 저장고(120)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을 지식을 가진 자는 알 수 있는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제2 전극(130b') 및 절연체(140')가 변형되고 제3 전극(130c) 및 절연체(14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 도 1의 습도 조절 장치(100)와 동일하다.
제2 전극(130b') 및 절연체(140')에는 도 1과 달리 물방울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전극(130b') 및 절연체(140')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구멍(H')이 형성될 수도 있고, 전체적으로 가운데가 비어 있을 수 있다. 즉, 제2 전극(130b' 및 절연체(140')는 망사 형태로 물방울이 지나갈 수 있는 형태 또는 전체적으로 가운데가 비어 있는 링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도 조절 장치(100''')는 제3 전극(130c), 절연체(140'') 및 전극 구동부(160')가 추가된다. 제3 전극(130c)은 제2 전극(130b')을 통과한 물방울을 가속시키기 가속 전극에 해당한다. 그리고 절연체(140'')는 도 1의 절연체(140)와 동일한 역할을 수행하며, 절연체(140'')의 표면은 초소수성 성질을 가진다. 전극 구동부(160')는 제2 전극(130b')와 제3 전극(130c) 사이에 전압을 인가한다.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은 교류 또는 직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전극 구동부(160)에 의해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미세 노즐(150)로부터 물방울이 배출되고, 이 배출된 물방울 중 일부는 절연체(140')에 의해 공기 중에 방사된다. 그리고 미세 노즐(150)로부터 배출된 물방울 중 일부는 구멍(H')를 통과하고, 구멍(H')를 통과한 물방울은 전극 구동부(160')에 인가되는 전압에 의해 더욱 가속된다. 가속된 물방울은 절연체(140'')에 의해 공기 중으로 튕겨져나가 외부로 더욱더 쉽게 배출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20)

  1.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고,
    상기 물 저장고와 인접한 곳에 위치하며, 상기 물이 빠져 나오는 노즐,
    상기 노즐과 접속하는 제1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대향하는 제2 전극,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1 전극 구동부,
    상기 제2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제1 절연체,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는 제3 전극, 그리고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3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극을 통과하는 물방울을 가속시키는 제2 전극 구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절연체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빠져 나온 물이 통과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습도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마이크로 구조와 나노 구조가 결합된 복합 구조인 습도 조절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불소계를 포함하는 물질로 표면 처리되는 습도 조절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이 상기 제1 전극과 상기 제2 전극 사이에 인가되는 경우, 상기 노즐로부터 물방울이 방사되며, 상기 물방울은 상기 제1 절연체에 튕겨서 공기 중으로 방사되는 습도 조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에는 미세 크기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습도 조절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고에는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의 위치는 상기 노즐의 위치에 대응하는 습도 조절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직류 또는 교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노즐로부터 방사되는 물방울의 양은 상기 전압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습도 조절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고를 감싸는 하우징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은 상기 하우징과 인접한 곳에 위치하는 습도 조절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 위치하며, 상기 빠져 나온 물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팬을 더 포함하는 습도 조절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고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부를 더 포함하는 습도 조절 장치.
  12. 삭제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 상면에 형성되는 제2 절연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습도 조절 장치.
  14. 삭제
  15. 내부에 물을 저장하는 물 저장고를 포함하는 습도 조절 장치가 습도를 조절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물 저장고로부터 상기 물이 빠져 나오는 노즐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노즐과 접속하는 제1 전극과 제1 절연체가 형성되어 있는 제2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
    상기 전압의 인가에 의해, 상기 물을 물방울 형태로 상기 노즐로부터 방사시키는 단계,
    상기 제2 전극과, 상기 제2 전극과 대향하는 제3 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제2 전극을 통과하는 물방울을 가속화시키는 단계, 그리고
    상기 제1 절연체를 통해, 상기 물방울을 공기 중으로 방사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전극 및 상기 제1 절연체에는 상기 노즐로부터 빠져 나온 물이 통과하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습도 조절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절연체는 상기 제2 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며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습도 조절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은 교류 또는 직류 형태를 가지며,
    상기 물방울의 크기 또는 양은 상기 전압의 물리적 특성에 의해 결정되는 습도 조절 방법.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물 저장고에 압력을 인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습도 조절 방법.
  1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전극에 제2 절연체가 형성되어 있는 습도 조절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연체는 초소수성 성질을 가지는 습도 조절 방법.
KR1020150041016A 2014-04-17 2015-03-24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KR1023011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685,531 US10047949B2 (en) 2014-04-17 2015-04-1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CN201510179880.8A CN105042757B (zh) 2014-04-17 2015-04-16 用于控制湿度的设备和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40046302 2014-04-17
KR1020140046302 2014-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82A KR20150120282A (ko) 2015-10-27
KR102301120B1 true KR102301120B1 (ko) 2021-09-10

Family

ID=54428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1016A KR102301120B1 (ko) 2014-04-17 2015-03-24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01120B1 (ko)
CN (1) CN1050427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98714A (zh) * 2014-12-03 2017-08-01 皇家飞利浦有限公司 湿度调节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968A (ja) * 2005-01-25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霧化装置
JP2007260625A (ja) * 2006-03-29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
CN101972723A (zh) 2010-08-30 2011-02-16 顾文华 多级静电喷射系统及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39692B2 (ja) * 2003-06-04 2009-03-18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空気清浄機
US7022982B2 (en) * 2004-02-12 2006-04-04 Agilent Technologies, Inc. Ion source frequency feedback device and method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04968A (ja) * 2005-01-25 2006-08-1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霧化装置
JP2007260625A (ja) * 2006-03-29 2007-10-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静電霧化装置
CN101972723A (zh) 2010-08-30 2011-02-16 顾文华 多级静电喷射系统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0282A (ko) 2015-10-27
CN105042757A (zh) 2015-11-11
CN105042757B (zh) 201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1024766A1 (ja) 放電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静電霧化装置
JP4396580B2 (ja) 静電霧化装置
EP2218513A1 (en) Fixing machine
JP6090637B2 (ja) 有効成分発生装置
JP2009131407A (ja) ドライヤー
JP5221942B2 (ja) 静電霧化装置およびドライヤー
WO2013047168A1 (ja) 静電霧化装置
JP2006204968A (ja) 霧化装置
TWM439524U (en) Atomization structure with improved vent sheet and atomization device thereof
KR102301120B1 (ko) 습도 조절 장치 및 방법
JP2010082213A (ja) 還元水ミスト散布装置内蔵型ヘアケア機器
JP2011067738A (ja) 放電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静電霧化装置
US10047949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humidity
JP5423813B2 (ja) 霧化器
KR102179398B1 (ko) 금형을 이용한 마이크로 노즐 어레이 제조 방법 및 정전분무 시스템
KR102264120B1 (ko) 피부 치료용 플라즈마 발생장치
JP2013111558A (ja) ラジカル発生装置及び窒素酸化物発生装置
JP2009101279A (ja) 静電霧化装置
JP2010213739A (ja) 静電霧化装置を備えたヘアドライヤー
JP2013075266A (ja) 静電霧化装置
WO2002030163A1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static electricity using ultra-fine particles
KR102179526B1 (ko) 금형을 이용한 마이크로 노즐 어레이 제조 방법
JP5179261B2 (ja) 静電霧化装置
JP2010099640A (ja) 静電霧化装置
JP6899542B2 (ja) 放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