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58B1 -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 Google Patents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858B1
KR102300858B1 KR1020200078200A KR20200078200A KR102300858B1 KR 102300858 B1 KR102300858 B1 KR 102300858B1 KR 1020200078200 A KR1020200078200 A KR 1020200078200A KR 20200078200 A KR20200078200 A KR 20200078200A KR 102300858 B1 KR102300858 B1 KR 102300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illation
tank
cooling unit
stage
distil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8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관호
Original Assignee
(주)다남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다남산업 filed Critical (주)다남산업
Priority to KR1020200078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858B1/ko
Priority to PCT/KR2021/007943 priority patent/WO2021261934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HPASTEURISATION, STERILISATION, PRESERVATION, PURIFICATION, CLARIFICATION OR AGEING OF ALCOHOLIC BEVERAGES; METHODS FOR ALTER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0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 C12H6/02Methods for increasing the alcohol content of fermented solutions or alcoholic beverages by distil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00Distillation or related exchange processes in which liquids are contacted with gaseous media, e.g. stripping
    • B01D3/001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distillation or rectification of fermented solu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3/00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 C12G3/02Preparation of other alcoholic beverages by ferment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GWINE; PREPARATION THEREOF; ALCOHOLIC BEVERAGES; PREPARATION OF ALCOHOLIC BEVERAGES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C12C OR C12H
    • C12G2200/00Special featur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aporization, Distillation, Condensation, Sublimation, And Cold Tra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솥 위에는 증류통(Neck)이 구비되며, 상기 증류통 내에 포종 또는 sieve tray 등으로 구성된 30단 이하의 증류단(Plate)이 형성되고, 최상부의 증류단에서 증발되는 증기는 1차 냉각부에서 냉각 후, 유출액은 최상부 증류단으로 환류시키고, 이외의 유출액은 2차 냉각부에서 냉각된 후, 계량조에서 계량 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한 후, 이들을 증류주의 향미성분 함량을 미리 설정된 목표치 내에서 임의로 자동조절하여 제조함으로써, 향미를 더욱 농축 분리시킴과 동시에 증류주의 생산성도 증대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추출증류하기 위해 증류단 최상부위에 급수펌프를 장착하여 정제수를 임의로 연속급수하며 추출증류하고, 냉각부에서 유출되는 유출액을 측정하는 센서류(온도, 압력, 무게)가 출력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어부를 통해 급수량, 유출량과 환류량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운전되도록 자동개폐밸브를 자동 개폐시켜 농축율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하였으며, 유출되는 주정분농도와 유출량도, 제어부의 자동제어에 의해 증류하여 1차 감압증류 만으로도 향미성분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농축 분리하고, 유출액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 후, 설정된 배합에 의해 향미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보조열교환기와 증류솥 각각에 온도센서를 구비시켜 증류함에 따라 점차 상승되는 증류솥의 온도와 열교환기의 가열온도는 이에 상응되도록 상승시켜 증류솥의 발효액에 가열 열량을 계량적으로 증대시켜 유출량을 증대시키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Distiller of distilled spirits and distilled soju}
본 발명은 증류식 소주 및 일반적인 증류주의 증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증류솥 위에는 증류통(Neck)이 구비되며, 상기 증류통 내에 포종 또는 sieve tray 등으로 구성된 30단 이하의 증류단(Plate)이 형성되고, 최상부의 증류단에서 증발되는 증기는 1차 냉각부가 구비되어 냉각 후, 유출액은 최상부 증류단으로 환류되는 환류관이 구비되어 환류시키고, 이외의 유출액은 2차 냉각부가 구비되어 냉각된 후, 최종으로 냉각된 유출액은 구비된 각종의 저장조등인 계량조에서 계량 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한 후, 이들을 임의로 배합하여 향미를 조절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의 소주는 전분질이 함유된 원료(주로 곡류), 발효균주 및 물을 사용 발효시킨 후, 수득한 숙성된 술덧을 증류하여 제조한다. 증류방식에 따라, 다단(Multi column)의 연속식 증류기(continuous Still)로 제조되는 주정을 희석하여 제조하는 희석식소주와, 단식 증류기(Pot Sill)로 제조하는 증류식소주로 구별된다.
이중에서, 희석식소주는 연속식 증류방법으로 제조하는 정제된 음료용주정을 희석하여 제조하며, 상기의 연속식 증류방법은 발효주를 연속식으로 증류기에 주입 및 가열하여 증류하는 방법으로서,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다단으로 구성된 여러 개(3개 이상)의 증류탑이 수백단의 증류단이 구비된 연속식 증류기로 증류하므로, 이러한 증류단을 상승하며 증류되는 동안 분리되므로 최종적으로는 불순물이 거의 없는 주정으로 정제되고, 이를 희석하여 제조하는 희석식소주는 불순물이 거의 없어 장기간의 숙성이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과 발효주 본연의 향미가 전혀 포함 되지 않는다는 단점이 있다.
이렇듯 증류식소주의 품질은 원료의 종류와 이를 발효시키기 이전의 전분질을 당화시키기 위한 증자방법, 전분질을 당으로 전환시키는 당화효소제의 종류와 제조방법과 사용량, 발효방법 등에 따라 품질이 영향을 받지만, 특히 발효 후의 증류기와 증류방법에 따라 품질이 크게 좌우 될수 있으며, 증류식소주의 품질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증류기는, 통상으로 형태가 간단한 단식 증류기를 사용하며, 이러한 단식증류기는, 고형물이나 휘발성 성분이 잔존되는 발효물인 술덧(Beer)을 증류솥에 담아 이를 가열하여, 증류되는 기체가 통과하는 증류통(Neck)을 거친 후, 이를 냉각시켜 액체로 응축하는 냉각부 및 액화된 증류액을 받는 분취조로 구성되며, 증류방법으로는 상압 또는 감압 하에서 증류하며, 증류 후 냉각부에서 유출되는 증류주는 초류, 중류, 후류로 분취하여 증류주를 제조한다.
그런데 상기 단식 증류기로 증류하기 전 전분질 원료를 발효시킨 발효요 중에는 알코올 이외에, 원료에 따라 50여종 이상의 향미성분 등이 함유되므로, 이러한 발효주를 증류하는 경우에는 향미성분들이 알콜과 함께 전량이 유출되는 공비(Azeotropic distilled)로, 휘석식 소주에 비해 향미성분이 과다하여, 장기간 저장 숙성시켜야 하여, 제조원가가 높아지고, 고가로 판매되나 증류주의 독특한 향미성분이 과다하여, 오랫동안 희석식소주를 음용하여 온 소비자들로부터 외면 당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리고, 본 출원인은 증류식 소주의 향미를 개선하기 위해 본 출원인이 출원하였던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3912호는 증류솥 위의 증류통 내에는 20단 이하의 증류단(포종, sieve tray 등)으로 냉각 환류하여 분취하여 향미성분을 조절가능하였으나, 농축율이 충분치 못해 향미성분이 잔존되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의 등록특허공보 제 10-1578097호의 경우 1차 상압증류 후 2차 감압증류하여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73912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57609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44921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증류솥 위에는 증류통(Neck)이 구비되며, 상기 증류통 내에 포종 또는 sieve tray 등으로 구성된 30단 이하의 증류단(Plate)이 형성되고, 최상부의 증류단에서 증발되는 증기는 1차 냉각부에서 냉각 후, 유출액은 최상부 증류단으로 환류시키고, 이외의 유출액은 2차 냉각부에서 냉각된 후, 계량조에서 계량 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한 후, 이들을 증류주의 향미성분 함량을 미리 설정된 목표치 내에서 임의로 자동조절하여 제조함으로써, 향미를 더욱 농축 분리시킴과 동시에 증류주의 생산성도 증대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추출증류하기 위해 증류단 최상부위에 급수펌프를 장착하여 정제수를 임의로 연속급수하며 추출증류하고, 냉각부에서 유출되는 유출액을 측정하는 센서류(온도, 압력, 무게)가 출력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어부를 통해 급수량, 유출량과 환류량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운전되도록 자동개폐밸브를 자동 개폐시켜 농축율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하였으며, 유출되는 주정분농도와 유출량도, 제어부의 자동제어에 의해 증류하여 1차 감압증류 만으로도 향미성분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농축 분리하고, 유출액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 후, 설정된 배합에 의해 향미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보조열교환기와 증류솥 각각에 온도센서를 구비시켜 증류함에 따라 점차 상승되는 증류솥의 온도와 열교환기의 가열온도는 이에 상응되도록 상승시켜 증류솥의 발효액에 가열 열량을 계량적으로 증대시켜 유출량을 증대시키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증류솥 위의 증류통(Neck)내부는 30단 이하의 증류단으로 구비되며, 상기 30단의 증류단 중 상부의 증류단에는 정제수를 연속 급수하는 급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30단의 증류단 중 최상부의 증류단과 연결되어 증류단에서 증발되는 증기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1차 냉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1차 냉각부의 유출액을 대부분 최상부 증류단으로 환류시키고, 상기 1차 냉각부의 나머지 유출액을 전달받아 2차 냉각시키는 2차 냉각부가 형성되며, 상기 2차 냉각부와 연결되어 2차 냉각부에서 냉각된 유출액을 계량하는 계량조가 형성되고, 상기 계량조에서 계량분리된 유출액을 초류, 중류, 후류로 분취하는 분취조가 형성되며, 감압증류를 위해 분취조 등을 감압시키는 진공펌프와 진공조절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증류솥과 증류단과 냉각부와 계량조와 분취조와 진공펌프 및 진공조절조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증류솥과 증류단과 냉각부와 계량조와 분취조와 진공펌프 및 진공조절조에는 센서류(온도,압력,무게)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센서류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자동밸브를 개폐시켜 환류량과 유출량을 제어하여 향미성분함량을 조절하는 제어부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는 증류솥 위에는 증류통(Neck)이 구비되며, 상기 증류통 내에 포종 또는 sieve tray 등으로 구성된 30단 이하의 증류단(Plate)이 형성되고, 최상부의 증류단에서 증발되는 증기는 1차 냉각부에서 냉각 후, 유출액은 최상부 증류단으로 환류시키고, 이외의 유출액은 2차 냉각부에서 냉각된 후, 계량조에서 계량 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한 후, 이들을 증류주의 향미성분 함량을 미리 설정된 목표치 내에서 임의로 자동조절하여 제조함으로써, 향미를 더욱 농축 분리시킴과 동시에 증류주의 생산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추출증류하기 위해 증류단 최상부위에 급수펌프를 장착하여 정제수를 임의로 연속급수하며 추출증류하고, 냉각부에서 유출되는 유출액을 측정하는 센서류(온도, 압력, 무게)가 출력하는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여 제어부를 통해 급수량, 유출량과 환류량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운전되도록 자동개폐밸브를 자동 개폐시켜 농축율을 대폭 향상시키도록 하였으며, 유출되는 주정분농도와 유출량도, 제어부의 자동제어에 의해 증류하여 1차 감압증류 만으로도 향미성분을 미리 설정한 목표치로 농축 분리하고, 유출액을 초류조, 중류조, 후류조로 분취 후, 설정된 배합에 의해 향미를 조절할 수 있었으며, 보조열교환기와 증류솥 각각에 온도센서를 구비시켜 증류함에 따라 점차 상승되는 증류솥의 온도와 열교환기의 가열온도는 이에 상응되도록 상승시켜 증류솥의 발효액에 가열 열량을 계량적으로 증대시켜 유출량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나타낸 배치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를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는 증류솥(10) 위의 증류통(Neck)내부는 30단 이하의 증류단(20)으로 구비되며, 상기 30단 이하의 증류단(20) 중 상부의 증류단(22)에는 정제수를 연속 급수하는 급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30단 이하의 증류단(20) 중 최상부의 증류단(21)과 연결되어 30단 이하의 증류단(20)에서 증발되는 증기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1차 냉각부(30)가 형성되며, 상기 1차 냉각부(30)에서 유출된 유출액을 대부분 최상부 증류단(21)으로 환류시키고, 상기 1차 냉각부(30)의 나머지 유출액을 전달받아 2차 냉각시키는 2차 냉각부(40)가 형성되며, 상기 2차 냉각부(40)와 연결되어 2차 냉각부(40)에서 냉각된 유출액을 계량하는 계량조(50)가 형성되고, 상기 계량조(50)에서 계량분리된 유출액을 초류조(61), 중류조(62), 후류조(63)로 분취하는 분취조(60)가 형성되며, 상기 분취조(60)의 감압증류를 위해 분취조(60)를 감압시키는 진공펌프(71)와 진공조절조(70)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증류솥(10)과 30단 이하의 증류단(20)과 냉각부(30,40)와 계량조(50)와 분취조(60)와 진공펌프(71) 및 진공조절조(7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110)가 양측에 설치되는데, 상기 자동개폐밸브(110)는 솔레노이드 밸브, 전자 밸브 등으로 사용된다. 이때, 상기 자동개폐밸브(110)는 입구측과 출구측에 각각 설치되는데, 상기 입구측과 출구측에 하나씩 또는 양측으로 두개씩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증류솥(10)과 30단 이하의 증류단(20)과 냉각부(30,40)와 계량조(50)와 분취조(60)와 진공펌프(71) 및 진공조절조(70)에는 센서류(120)가 장착되는데, 상기 센서류(120)는 온도센서(Ti), 압력센서(Pi), 무게센서(Wi), 비중센서, 진공센서 등으로 이루어지고, 장치의 조건과 상황에 따라 온도센서, 압력센서 ,무게센서 모두 설치되거나 일부만 설치된다.
또한, 상기 30단 이하의 증류단(20) 중 최상부 증류단(21)의 아래단인 상부 증류단(22)에 장착된 정제수 자동 급수펌프(80)에 의한 연속 급수로 추출 증류하여 증류액을 농축 분리하여 유출되는 증류액의 주정분이 85도(용량%)이하로 증류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당출원인의 등록특허공보 제10-0773912호의 단점인 농축율 향상을 보완하가 위해, 또한 당출원인의 제10-1576097호의 2차 증류의 단점을, 단지 1차 감압증류 방법만으로, 농축분리를 더욱 보강 개선하기 위해, 30단 이하의 증류단(포종이나 sieve tray)과 1차 냉각부(30)와 2차 냉각부(40)로 구성된 단식증류기의 증류단(30단이하) 상부(최종 단 두 번째 이하단)에 급수관을 하부 증류단(23)의 하부 바닥부분에 설치하여 정제한 급수량을 전체유출량의 1/100 내지 10/1 범위 내로 급수하고 공비되는 불순물(주정이외의 성분)을 추출 증류하여 이들의 함량을 1/10 이하로 대폭 절감시키어 개량 가능하게 되었으며, 증류기장치(증류솥, 증류탑, 냉각부, 계량조, 분취조)들의 감압도를 600mmHg이하에서 700mmHg 범위 내에서 유지시키기 위해 진공펌프(수봉식, oil 식)와 진공조절조(예:-740mmHg 유지조)와 증류솥(10)에는 전자식 진공센서를 장착시키어 부대 설비로 하였으며, 증류솥 상부의 압력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진공조절조(70)의 자동개폐밸브(110)가 개폐되면서 압력이 유지된다.
또한, 일정한 품질로 유출시키기 위해 환류비율은 1차 냉각부(30) 전의 최상부 증류단(21)에서 유출되는 알콜 증기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감도±0.2℃), 또는 비중센서(감도±0.0002)를 장착하여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에서 감지하고, 상기 제어부(100)의 내장된 software의 연속제어로 자동개폐밸브(110)를 개페하여 환류되는 환류 양과 환류 이외의 유출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자동개폐밸브(110)를 증류단(환류) 유입부와 2차 냉각부(40)의 유입부에 각각 2개를 장착하여 제어부(100)에 의해 자동 개폐되어 환류유입량 및 환류 이외의 유출량을 자동조절하며, 초기의 유출량은 전체 주정분의 1/10이하로 초류조(61)에 분취하고 후류의 유출량은 전체 주정분의 1/10이하로 후류조(63)에 분취하며, 전체 주정분의 80/100이상은 중류조(62)에서 분취함으로써, 이러한 분취 액을 임의로 배합 조절하여 향미를 조절할 수 있는 증류기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증류단(30단 이하의 증류단이 보강된 부위)의 최상부 증류단(예: 28단 이하의 증류단)에 막분리방식 등으로 정제한 정제수를 증류단의 바닥에 전체유출량의 1/100 내지 10/1 연속자동급수하여, 주정분 이외에 공비되는 불순물을 추출증류한다.
그리고, 최상부 증류단(21)의 바닥에는 비중센서(미도시)를 장착하든가, 최상부 증류단(21)에서 1차 냉각부(30) 사이에 증발되는 증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정밀도±0.2℃)를 장착하여 온도센서에서 감지 후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유출되는 증기의 알콜분을 측정할 수 있으며, 비중계의 경우에는 냉각부(30,40)로 증발되는 30단 이하의 증류단(20)의 하부에 응축된 응축액의 비중을 측정하는 비중센서(감도±0.0002)를 장착하여 유출되는 응축액의 알콜분을 측정할 수 있으며, 1차 냉각부(30)에서 유출되어 최상부 증류단(21)으로 환류되는 부위와 2차 냉각부(40)로 유입되는 부위에 각각 자동개폐밸브(110)를 장착하고, 유출되는 주정분(끓는온도:bp)과 연동하며, 유출량(무게/시간)을 각종센서류(온도, 압력, 무게)의 출력신호를 감지하는 제어부(100)에 의해 연속조절 및 자동조절토록 하였으며, 유출액을 계량조(50)에 수취 후 무게센서(감도±0.0002)에 의해 출력되는 신호를 제어부(100)에 의해 분취량을 자동개폐밸브(110)의 조절토록 하였으며, 특히 운전 전에 미리 설정한 범위 내에서 목표치를 입력하여 향미성분 및 유출량 등이 설정 목표대로 자동 분취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증류솥(10)의 증류액을 가열하는 열량을 증대 및 조절하기 위해 증류솥(10)과 전열멸적을 증대시키는 보조열교환기(90) 사이에 순환펌프(91)를 장착하고, 가열 증류시의 가열 열량을 임의로 조절할 수 있도록 증류솥(10)과 가열관에도 온도센서를 장착하여 증류됨에 따라 증류솥(10)의 온도가 상승되므로 가열관의 온도를 증대시켜 온도차와 가열관의 면적증대로 가열 열량을 증대조절토록 하였으며, 이 또한 제어부(100)에 의한 설정된 목표치로 가열량을 증대할 수 있다.
10 : 증류솥
20 : 증류단 21 : 최상부 증류단
22 : 상부 증류단 23 : 하부 증류단
30 : 1차 냉각부 40 : 2차 냉각부
50 : 계량조
60 : 분취조 61 : 초류조
62 : 증류조 63 : 후류조
70 : 진공조절기 71 : 진공펌프
80 : 정제수 자동 급수펌프
90 : 보조열교환기 91 : 순환펌프
100 : 제어부 110 : 자동개폐밸브
120 : 센서류

Claims (3)

  1. 증류솥(10) 위의 증류통(Neck)내부는 30단 이하의 증류단(20)으로 구비되며, 상기 30단 이하의 증류단(20) 중 상부의 증류단(22)에는 정제수를 연속 급수하는 급수관이 구비되고, 상기 30단 이하의 증류단(20) 중 최상부의 증류단(21)과 연결되어 30단 이하의 증류단(20)에서 증발되는 증기를 액체로 응축시키는 1차 냉각부(30)가 형성되며, 상기 1차 냉각부(30)에서 유출된 유출액을 대부분 최상부 증류단(21)으로 환류시키고, 상기 1차 냉각부(30)의 나머지 유출액을 전달받아 2차 냉각시키는 2차 냉각부(40)가 형성되며, 상기 2차 냉각부(40)와 연결되어 2차 냉각부(40)에서 냉각된 유출액을 계량하는 계량조(50)가 형성되고, 상기 계량조(50)에서 계량분리된 유출액을 초류조(61), 중류조(62), 후류조(63)로 분취하는 분취조(60)가 형성되며, 감압증류를 위해 상기 분취조(60)를 감압시키는 진공펌프(71)와 진공조절조(70)가 형성되고,
    상기 증류솥(10)과 30단 이하의 증류단(20)과 냉각부(30,40)와 계량조(50)와 분취조(60)와 진공펌프(71) 및 진공조절조(70)의 입구측과 출구측에는 내부를 개폐하는 자동개폐밸브(110)가 양측에 설치되고,
    상기 증류솥(10)과 30단 이하의 증류단(20)과 냉각부(30,40)와 계량조(50)와 분취조(60)와 진공펌프(71) 및 진공조절조(70)에는 센서류(120)가 장착되며,
    상기 센서류(120)에서 감지되는 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수신된 신호에 따라 자동개폐밸브(110)를 개폐시켜 환류량과 유출량을 제어하여 향미성분함량을 조절하는 제어부(100)가 더 형성되고,
    상기 최상부 증류단(21)의 바닥에는 비중센서(감도±0.0002) 또는 온도센서(정밀도±0.2℃)를 장착하고, 상기 최상부 증류단(21)과 1차 냉각부(30) 사이에 증발되는 증기의 알콜분을 비중센서 또는 온도센서에서 감지한 후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제어부(100)에 전달하여 알콜분을 측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2. 삭제
  3. 삭제
KR1020200078200A 2020-06-26 2020-06-26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KR102300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00A KR102300858B1 (ko) 2020-06-26 2020-06-26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PCT/KR2021/007943 WO2021261934A1 (ko) 2020-06-26 2021-06-24 증류식 소주 증류기 및 증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8200A KR102300858B1 (ko) 2020-06-26 2020-06-26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858B1 true KR102300858B1 (ko) 2021-09-10

Family

ID=77777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8200A KR102300858B1 (ko) 2020-06-26 2020-06-26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8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170B1 (ko) 2021-11-23 2022-08-02 주식회사 화요 증류주 자동 분획 증류장치
KR102505678B1 (ko) 2022-10-05 2023-03-03 주식회사 우승산업 주류 제조용 증류기
KR102507081B1 (ko) 2022-10-05 2023-03-07 주식회사 우승산업 주류 제조용 동증류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12B1 (ko) 2006-11-30 2007-11-06 (주)다남산업 증류식 소주 제조용 단식 감압증류기
KR101576097B1 (ko) 2014-01-05 2015-12-09 (주)다남산업 증류식소주용 증류기 및 증류방법
JP2018069173A (ja) * 2016-10-31 2018-05-10 霧島高原ビール株式会社 酒類の蒸留装置及びアルコール濃度センサ
KR101944921B1 (ko) 2016-10-05 2019-02-01 (주)다남산업 발효주 증류기 및 증류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3912B1 (ko) 2006-11-30 2007-11-06 (주)다남산업 증류식 소주 제조용 단식 감압증류기
KR101576097B1 (ko) 2014-01-05 2015-12-09 (주)다남산업 증류식소주용 증류기 및 증류방법
KR101944921B1 (ko) 2016-10-05 2019-02-01 (주)다남산업 발효주 증류기 및 증류방법
JP2018069173A (ja) * 2016-10-31 2018-05-10 霧島高原ビール株式会社 酒類の蒸留装置及びアルコール濃度センサ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170B1 (ko) 2021-11-23 2022-08-02 주식회사 화요 증류주 자동 분획 증류장치
KR102505678B1 (ko) 2022-10-05 2023-03-03 주식회사 우승산업 주류 제조용 증류기
KR102507081B1 (ko) 2022-10-05 2023-03-07 주식회사 우승산업 주류 제조용 동증류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0858B1 (ko)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
KR102428170B1 (ko) 증류주 자동 분획 증류장치
KR101576097B1 (ko) 증류식소주용 증류기 및 증류방법
US3985624A (en) Device for continuous sampling, especially in a distillation column for topping crude petroleum
KR102456865B1 (ko) 증류식 소주 및 증류주용 증류기의 증류방법
US434732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lcohol
CN108823050A (zh) 一种伏特加及gin酒的酿造系统
WO2021261934A1 (ko) 증류식 소주 증류기 및 증류방법
US3002894A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growth of microbial cultures
CA2001563A1 (en) Process for monitoring and/or differentiating liquids typically encountered in brewing
FI127521B (en) DEVICE AND METHOD FOR REMOVING ALCOHOLIC BEVERAGE
Waisnawa et al. The Effect of Heating Temperature and Duration Process of Nira Fermentation by the Content of Alcohol in the Process of Arak Distillation
RU2698973C1 (ru) Способ выдержки вискового дистиллята
CN211435143U (zh) 甲醇精馏系统
SU1636004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ректификационным блоком
JPH0662826A (ja) 焼酎蒸留方法及び装置
KR20020014300A (ko) 식용 에탄올 증류 설비에서의 에너지 절감을 위한 공정제어장치
CN104131099B (zh) 快速监控混种酵母增殖的方法
WO2022022914A1 (en) Plant and method for reducing an alcohol content in a beverage
KR20230174993A (ko) 개선된 다단환류 증류기 및 이를 이용한 증류주의 제조 방법
EP3945129A1 (en) Inoculation station and method for monitoring an inoculation station for a plant for reducing an alcohol content in a beverage
CN101910398A (zh) 控制葡萄酒内物质浓度的方法和装置
CN210916015U (zh) 一种新型蒸酒设备
CN208320028U (zh) 单级双循环汽液平衡釜
Boiarchuk et al. THE IMPACT OF STILLAGE FILTRATE ON THE SYNTHESIS OF VOLATILE IMPURITIES OF ALCOHOL AND THE OPTIMIZATION OF THE RECTIFICATION PROCES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