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819B1 -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819B1
KR102300819B1 KR1020190130692A KR20190130692A KR102300819B1 KR 102300819 B1 KR102300819 B1 KR 102300819B1 KR 1020190130692 A KR1020190130692 A KR 1020190130692A KR 20190130692 A KR20190130692 A KR 20190130692A KR 102300819 B1 KR102300819 B1 KR 102300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air
unit
respiratory
supply ho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6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47409A (en
Inventor
최희은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30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819B1/en
Publication of KR20210047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740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81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7Pumps therefor
    • A61M16/0066Blowers or centrifugal pumps
    • A61M16/0069Blowers or centrifugal pumps the speed thereof being controlled by respiratory parameters, e.g. by inha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23Detecting or evaluating cough e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8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devices for evaluating the respiratory organs
    • A61B5/087Measuring breath flo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 A61B5/224Measuring muscular streng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16/0009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sub-atmospheric pressure, e.g. during expi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5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with alarm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21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operated by electrical means
    • A61M16/022Control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6Respiratory or anaesthetic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10Preparation of respiratory gases or vapours
    • A61M16/105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20Valves specially adapted to medical respiratory devices
    • A61M16/201Controlled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27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pressure 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 A61M2016/003Accessories therefor, e.g. sensors, vibrators, negative pressure with a flowm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40Respiratory characteristic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lmo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Anesthes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로서, 본체; 환자의 얼굴에 착용되고, 일측으로는 공기 공급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공기를 호기하여 기침이 유도되도록 하는 공기 조절부;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공기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환자의 최대 기침 유량과 호흡 근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호흡 훈련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기 조절부, 측정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호기를 유발시켜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고,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의 호흡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켜, 호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inducing coughing in patients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comprising: a main body; a mask that is worn on the patient's face, and an ai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one side to allow the patient to breathe; an air condition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or exhaling the air from the patient to induce coughing;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supply hos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maximum cough flow rat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by the output signal of the measurement unit, and performing respiratory training on the patien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easu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ir to a patient with reduced respiratory ability, induce exhalation to induce cough in the patient, and discharge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By improv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s respiratory muscles, it is possible to improve breathing ability.

Description

자가 호흡재활 장치{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본 발명은 자가 호흡재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정 및 지역사회에서 자가로 기침 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평가하고, 호흡 능력이 부족한 환자의 흡기근와 호기근을 강화하는 훈련이 시행 가능하며,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의 기침 보조 치료가 가능하고, 기침 능력의 약화가 있는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객담의 배출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nd more particularly, a training for self-evaluating coughing a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and strengthening the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of a patient who lacks breathing 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be implemented, can provide cough assistance treatment for patients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and induce coughing in patients with weakened coughing ability so that sputum is discharged.

일반적으로, 기침은 공기가 기도를 통해 폐로 흡인되었다가 순간적으로 기도 밖으로 배출되는 생리적인 현상이다. 이러한 기침에 의해 폐나 기도 내에 쌓인 객담(가래) 등의 분비물이 기도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In general, coughing is a physiological phenomenon in which air is sucked into the lungs through the airways and then momentarily discharged out of the airways. This cough can cause secretions such as sputum (sputum) accumulated in the lungs or airways to be discharged out of the airways.

여기서, 환자 자신이 본인의 의지에 의하여 기침을 할 수 없는 경우, 예를 들어 호흡근육 마비를 동반한 신경 근질 환자나 제한성 폐 질환자와 같이, 기침 능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기침에 의해 폐나 기도 내 분비물의 배출이 어려워 폐렴으로 진행될 수 있고, 이로 인한 합병증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Here, when the patient cannot cough by his/her own will,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patient with reduced coughing ability, such as a neuromuscular patient with respiratory muscle paralysis or restrictive lung disease, It is difficult to discharge secretions, which can lead to pneumonia, and there is a problem in that complications occur.

따라서,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들이 가정과 지역 사회에서 자가로 기침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측정하고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 운동을 스스로 시행하며 기침을 하여 객담 배출을 하지 못하는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Therefore,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and neuromuscular disease patients self-measured cough a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self-exercise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 strength, and coughing to avoid excreting sputum. It is necessary to induce coughing in patients who cannot, so that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e discharged.

본 발명에 대한 선행기술로는 공개특허 2013-0123640호를 예시할 수 있다.As a prior art for the present invention, Patent Publication No. 2013-0123640 can be exemplified.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의 호흡 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평가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면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의 호흡 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기초로 하여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에게 흡기근과 호기근 근력 훈련 수행하도록 하여 호흡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호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evaluates the respiratory ability and the muscle strength of the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of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and neuromuscular disease, and when the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s selection, chronic lung disease Based on the respiratory ability of disease patients and patients with neuromuscular disease, and the strength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inspiratory and exhalation muscle strength training is performed to patients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to improve breathing ability by improving the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It aims to provide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do this.

또한,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흡기 시 충분한 용적의 공기를 공급하여 폐 운동 및 무기폐 예방을 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면, 환자의 호기 시 음압을 적용하여 환자의 호기 시 기관지 및 기관 내 유속을 증가시켜 폐나 기도 내의 객담 등의 분비물을 상기도로 이동시켜 배출이 용이하게 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들이 가정과 지역 사회에서 자가로 기침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측정하고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 운동을 스스로 시행하는 호흡 재활을 수행하며 기침을 하여 객담 배출을 하지 못하는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을 위한 호흡재활구성과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 배출을 기침 유도의 구성이 단일의 본체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와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의 조작에 호흡재활기능과 기침 유도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lung movement and atelectasis by supplying a sufficient volume of air during inspiration to a patient with reduced breathing abilit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increases the flow rate in the bronchial tubes and trachea during exhalation of a patient and moves secretions such as sputum in the lungs or airways to the upper respiratory tract to facilitate discharge.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respiratory rehabilitation in which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and neuromuscular disease patients measure coughing a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and self-exercise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 strength exercise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induces coughing in patients who cannot discharge sputum by coughing so that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nfiguration of respirator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respiratory ability of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and neuromuscular disease patients and cough induction of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ranged on a single main body, and a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by the user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selectively perform a respiratory rehabilitation function and a cough induction function in the operation of a cough induction selector switch.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로서, 본체; 환자의 얼굴에 착용되고, 일측으로는 공기 공급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공기를 호기하여 기침이 유도되도록 하는 공기 조절부;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공기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환자의 최대 기침 유량과 호흡 근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호흡 훈련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기 조절부, 측정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inducing cough to a patient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comprising: a main body; a mask that is worn on the patient's face, and an ai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one side to allow the patient to breathe; an air condition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or exhaling the air from the patient to induce coughing;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supply hos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maximum cough flow rat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by the output signal of the measurement unit, and performing respiratory training on the patien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easu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상기 공기 공급 호스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이동하는 상기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filter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to filter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he air supply hose.

상기 공기 조절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공기 공급 호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 공급 호스로 상기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공기가 호기되도록 하는 팬을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er may include a motor capable of forward 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applied from the outside, and is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and supplies the air to the air supply hose by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It may include a fan for allowing air to be exhaled through the air supply hose.

상기 공기 조절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ir condition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valve that operates according to a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regulates movement of air through the air supply hose.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전원 스위치,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 흡기 모터 설정키 및 호기 모터 설정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측정된 상기 최대 기침 유량과 호흡 근력, 상기 환자의 호흡 능력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is operated by the user and includes a key input unit including a power switch, a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a cough induction selection switch, an inspiration motor setting key, and an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and the measured maximum cough flow rat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result of the determination of the patient's breathing ability.

상기 호흡 근력은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과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을 포함할 수 있다.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may includ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nd static ex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상기 제어부는, 환자의 기침 유속의 최대치가 270 L/min 이하이면 상기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cough flow rate is 270 L/min or less.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이, 상기 환자 연령의 최대 정적 흡기근 압력 기준 미만일 때 상기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ler may determine that the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when th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less than the maximum static inspiratory muscle pressure standard of the patient's ag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훈련 시, 상기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최대치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상기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이 상기 기준치보다 큰 경우 상기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uring the breathing training, sets a value corresponding to a certain percentag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s a reference value, and opens the valve when the patien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have.

상기 제어부는, 상기 호흡훈련 시, 측정된 상기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최대치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환자의 호흡량이 상기 기준치보다 큰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set a value corresponding to a predetermined ratio of the maximum value of the measured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of the patient during the breathing training as a reference value, and generate a warning sound when the patient's respiration rat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공기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환자에게 상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환자의 폐가 팽창되도록 한 후, 상기 공기 조절부를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폐에 대하여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환자의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침을 유도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to supply the air to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lungs expand, and then controls the air conditioner to form a negative pressure with respect to the patient's lungs, so that the patient's exhalation is achieved. It may induce coughing.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공기 조절부,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may include a rectifying unit configured to rectify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C power and output it to the air conditioner, the pressure measu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and is disposed on a power supply path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to provide the DC power It may include a charging unit for charging the.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자가 호흡재활 장치를 이용하여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의 호흡능력을 평가한 후, 사용자에 의해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면, 평가된 호흡 능력을 이용하여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의 호흡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켜, 호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evaluates the breathing ability of patients with chronic lung disease and neuromuscular disease using the self-rehabilitation device, and then, when the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by the user, breathing using the evaluated breathing ability By improving the muscle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of the patient with weakened ability,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breathing ability.

또한,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해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를 조작되면 환자에게 호기를 유발시켜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만성 폐질환 환자들과 신경근육병 환자들이 가정과 지역 사회에서 자가로 기침능력 및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을 측정하고 흡기근과 호기근의 근력 운동을 스스로 시행하는 호흡 재활을 수행하며 기침을 하여 객담 배출을 하지 못하는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을 위한 호흡재활과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 배출을 위한 기침 유도를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와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 조작에 의해 수행함으로써 단일 기기를 이용하여 호흡재활과 기침 유도의 수행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supply air to a patient with reduced breathing ability, and when the cough induction selection switch is manipulated by the user, the patient exhales and induces the patient to cough so that the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e discharged. .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respiratory rehabilitation in which chronic lung disease patients and neuromuscular disease patients measure coughing ability and muscle strength of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s and self-exercise inspiratory and expiratory muscle strength exercises at home and in the community. It has the effect of inducing coughing in patients who are unable to discharge sputum by coughing so that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e discharged.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spiratory rehabilitation for improving the patient's respiratory ability and cough induction for discharge of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by operating a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and a cough induction selection switch selected by the user to breathe using a single device. Rehabilitation and cough induction have a possible effec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흡기구 지구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graph showing intake port endurance.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self-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는 본체(110), 마스크(120), 공기 조절부(130), 측정부(134), 제어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110 , a mask 120 , an air conditioner 130 , a measurement unit 134 , a control unit 140 and It includes a power supply unit 150 .

이하의 설명에서, 환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에 대하여 흡기 및 호기를 실시하는 자이고,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조작을 하는 자로서, 환자와 사용자는 동일인일 수도 있지만 서로 다른 인(人)일수도 있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patient is a person who performs inhalation and exhalation with respect to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user is a person who operates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atient and the user may be the same person or different persons.

본체(110)는 소정의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고, 후술하는 공기 조절부(130), 측정부(134), 제어부(140) 및 전원 공급부(150)가 배치될 수 있다.The main body 110 has a predetermined size and shape, and an air conditioning unit 130 , a measurement unit 134 , a control unit 140 , and a power supply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may be disposed therein.

여기서, 본체(110)는 일반인의 휴대에 용이한 크기와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Here, the main body 110 is preferably made of a size and shape that is easy for the general public to carry.

마스크(120)는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를 사용하는 환자의 얼굴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된다. 마스크(120)는 환자의 코와 입을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사용 도중에는 얼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The mask 120 is configured to be detachable from the face of the patient using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ask 120 is formed to cover the nose and mouth of the patient, and is configured not to be separated from the face during use.

마스크(120)에는 소정의 길이와 직경을 갖는 공기 공급 호스(122)가 연결된다.An air supply hose 122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diameter is connected to the mask 120 .

기관 절개가 있는 환자에서는 기관절개관에 연결 가능하며, 공기 공급 호스와 연결되는 별도의 튜브를 이용한다.In patients with tracheostomy, it can be connected to the tracheostomy tube, and a separate tube connected to the air supply hose is used.

공기 공급 호스(122)는 환자의 호흡을 위한 공기를 공급하고, 환자에게서 호기된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The air supply hose 122 supplies air for the patient's breathing and allows the exhaled air to be discharged from the patient.

여기서, 공기 공급 호스(122)의 일부는 본체(110) 내에 배치되고, 나머지 일부는 본체(110) 외부로 연장된다. 본체(110) 내부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 호스(122)에는 후술하는 팬(132)의 배치가 용이한 직경을 갖는다. 그리고, 본체(110) 외부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 호스(122)는 본체(110) 내부로 배치되는 공기 공급 호스(122)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져 환자의 위치 변화에 대한 대응이 용이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a part of the air supply hose 122 is disposed within the body 110 , and the remaining part extends outside the body 110 . The air supply hose 122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has a diameter that facilitates the arrangement of the fan 132,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addition, the air supply hose 122 disposed outside the body 110 has a smaller diameter than the air supply hose 122 disposed inside the body 110 and is made of a flexible material to facilitate response to a change in the patient's position. It is preferable to be configured.

여기서, 공기 공급 호스(122) 상에는 공기 공급 호스(122)를 이동하는 공기에 포함된 먼지와 세균을 여과하는 필터(124)가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면에는 미도시되어 있으나, 배출된 객담을 위생적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객담 배출주머니가 배치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a filter 124 for filtering dust and bacteria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he air supply hose 122 is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122 . 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 sputum discharge bag capable of hygienically separating and discharging the discharged sputum may be disposed.

공기 조절부(130)는 본체(110) 상에 배치되어, 공기 공급 호스(122)와 마스크(120)를 통해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거나, 환자가 호기한 공기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호기된 공기는 마스크(120)와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The air conditioning unit 130 is disposed on the main body 110, supplies air to the patien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and the mask 120, or moves the air exhaled by the patient. Here, the exhal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mask 120 and the air supply hose 122 .

공기 조절부(130)는 모터(M), 팬(132), 밸브(136)를 포함한다. The air conditioning unit 130 includes a motor M, a fan 132 , and a valve 136 .

모터(M)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소정의 회전수로 정회전 또는 역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The motor M is configured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at a predetermined number of revolutions by a control signal output from th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모터(M)는 본체(110) 내부의 소정 위치에 배치된다.The motor M is dispos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inside the body 110 .

팬(132)은 중심축이 모터(M)의 구동축에 연결되어 모터(M)의 동작에 연동하여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해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거나,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해 호기 즉, 환자가 뱉은 공기를 흡기하도록 한다. The fan 132 has a central shaft connected to the drive shaft of the motor M to rotate forward or reverse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and supplies air to the patien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or the air supply hose Exhale through (122), that is, inhale the air exhaled by the patient.

팬(132)은 본체(110) 내에 배치되는 공기 공급 호스(122)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an 132 may be disposed on an air supply hose 122 disposed within the body 110 .

밸브(136)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의해 개폐 동작하며,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단속한다. 따라서, 밸브(136)의 동작에 의해 공기의 공급이 단속되거나 환자가 호기한 공기가 단속될 수 있다. The valve 136 is opened and closed by th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and regulates the movement of air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 Accordingly, the supply of air may be interrupted or the air exhaled by the patient may be interrupted by the operation of the valve 136 .

측정부(134)는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해 이동하는 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후술하는 제어부(140)로 출력한다. 즉, 측정부(134)는 환자가 흡기할 때 또는 환자가 호기할 때, 공기의 유량, 압력 및 유량과 압력의 변화 주기를 각각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134)의 측정 결과는 환자의 호흡 능력을 판단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measurement unit 134 measures the pressure and flow rate of air moving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and outputs a corresponding signal to th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That is, the measurement unit 134 may measure a flow rate, pressure, and a change period of the flow rate and pressure of the air when the patient inhales or when the patient exhales. The measurement result of the measurement unit 134 may be used as data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breathing ability.

제어부(140)는 측정부(134)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의해 일정 시간 동안의 환자의 최대 호흡량, 흡기와 호기 시 공기의 최대 압력 및 흡기근 지구력을 측정한다. The control unit 140 measures the patient's maximum respiration volume for a predetermined time, the maximum air pressure during inspiration and exhalation, and the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by the signal output from the measurement unit 134 .

이때, 흡기근 지구력 측정시에는 폐의 기능적 잔기 용적 상태에서 전체 폐용적에 이르는 흡기근 압력을 시간과 곱하여 산출된 압력시간단위(PTU; pressure time unit)로 표시한다.At this time, when measuring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it is expressed as a pressure time unit (PTU)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nspiratory muscle pressure from the functional residual volume of the lung to the total lung volume by the time.

도 2는 흡기구 지구력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2 is a graph showing intake port endurance.

도 2에서 도시된 선의 하부 면적(빗금 표시됨)이 흡기근 지구력을 나타낸다.The lower area of the line shown in FIG. 2 (hatched) represents the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제어부(140)는 환자의 최대 호흡량과 흡기와 호기 시의 공기의 최대 압력을 환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하는 기준값과 비교하여 환자가 정상 상태, 호흡 훈련 필요 상태인지 판단한 후, 사용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compares the patient's maximum respiration amount and the maximum pressure of air during inspiration and exhalation with a reference value for determining the patient's health state, determines whether the patient is in a normal state or a state requiring breathing training, and then informs the user.

여기서, 환자의 최대 호흡량은 환자가 최대로 흡기한 이후 이를 호기하였을 때의 유량(flow rate)으로, 기침 유량으로 표기할 수 있다. Here, the patient's maximum respiration rate is a flow rate when the patient exhales after maximally inhaling, and may be expressed as a cough flow rate.

또한, 최대 흡기 시 흡기되는 공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은 폐의 기능적 잔기 용적 상태에서 최대로 흡기시 측정된 압력(cmH2O)으로 정의되고, 호기 시 호기되는 공기의 압력을 나타내는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은 전체 폐 용적 상태에서 호기 시 측정된 압력(cmH2O)으로 정의된다.In addition, th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which represents the pressure of the inhaled air at the time of maximal inspiration, is defined as the pressure (cmH 2 O) measured at the time of maximal inspiration in the state of the functional residual volume of the lung, and represents the pressure of the exhaled air during exhalation. Static expiratory oral pressure is defined as the pressure measured during exhalation at full lung volume (cmH 2 O).

따라서,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과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은 환자의 호흡 근력을 나타낼 수 있다. Therefor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nd static ex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can represent the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그리고 흡기근 지구력 측정은 폐의 기능적 잔기 용적 상태에서 전체 폐용적에 이르기 까지 흡기근 압력을 시간과 곱하여 산출된 면적, 즉 압력시간단위(PTU)로 표시한다. And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measurement is expressed in the area calculated by multiplying the inspiratory muscle pressure by time from the functional residual volume of the lung to the total lung volume, that is, the pressure time unit (PTU).

흡기근 지구력은 단순 흡기근 최대압력 보다 만성폐쇄성폐질환에서 사망률과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보고되고 있어, 급성악화 예측 시 필요한 지표이다.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is reported to have a more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mortality in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than simple inspiratory maximal pressure, so it is a necessary indicator for predicting acute exacerbation.

또한, 제어부(140)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가 수행하는 바와 같이 기침을 유도하여 객담이 배출되도록 하는 호흡 치료를 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40 may perform a respiratory treatment in which the sputum is discharged by inducing coughing as performed by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ior art.

제어부(140)의 판단과 이에 따른 호흡 훈련 등에 대한 상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Details of the determination of the controller 140 and the breathing training according thereto will be described later.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제어부의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3 is a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the configuration of a control unit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40)는 키 입력부(SW)와 표시부(146)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3 , the control unit 140 includes a key input unit SW and a display unit 146 .

키 입력부(SW)는 본체(110)의 외주면 상에 배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원 스위치(SW1), 호흡 훈련 선택키(SW2), 기침 유도 선택키(SW3), 흡기 모터 설정키(SW4) 및 호기 모터 설정키(SW5)를 포함한다. The key input unit SW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main body 110 and operated by the user, a power switch SW1, a breathing training selection key SW2, a cough induction selection key SW3, and an intake motor setting key SW4 ) and an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SW5).

전원 스위치(SW1)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후술하는 전원 공급부(150)에서의 전원 공급을 단속한다.The power switch SW1 is operated by the user to intermittently supply power from the power supply unit 150 to be described later.

호흡 훈련 선택키(SW2)는 환자의 호흡 능력 향상을 위한 호흡 훈련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키이다.The breathing training selection key SW2 is a key for performing breathing training to improve the patient's breathing ability.

호흡 훈련은 환자가 흡기를 하거나, 환자로부터 소정량의 호기를 반복적으로 하도록 하여 호흡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이다. Respiratory training is a method of improving the muscular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by repeatedly inhaling or exhaling a predetermined amount from the patient.

기침 유도 선택키(SW3)는 환자로부터 기침을 유도하여 호흡 치료를 선택하는 키이다. The cough induction selection key SW3 is a key for inducing coughing from a patient to select a respiratory treatment.

기침 유도는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폐가 팽창되도록 한 후,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환자의 폐가 수축되도록 하는 과정을 복수의 회수로 수행하며 환자의 객담이 배출되도록 하는 방법이다.Cough induction is a method in which the patient's lungs are expanded by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and then exhaled so that the patient's lungs are contracted a plurality of times, and the patient's sputum is discharged.

흡기 모터 설정키(SW4)는 환자에 대한 공기 공급 시, 모터(M)의 동작 정도를 가감한다.The intake motor setting key SW4 adjusts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motor M when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호기 모터 설정키(SW5)는 환자의 호기 시 모터(M)의 동작 정도를 가감한다.The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SW5) adjusts the degree of operation of the motor (M) during exhalation of the patient.

흡기 모터 설정키(SW4)와 호기 모터 설정키(SW5)는 각각 '▲'형태의 승강키와 '▼'형태의 하강키를 포함할 수 있다.The intake motor setting key SW4 and the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SW5 may include a '▲' type up/down key and a '▼' type down key, respectively.

여기서, 흡기 모터 설정키(SW4)와 호기 모터 설정키(SW5)에 의해 설정된 모터의 동작량은 표시부(146)를 통해 환자에게 알려줄 수 있다. Here, the operation amount of the motor set by the intake motor setting key SW4 and the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SW5 may be notified to the patient through the display unit 146 .

표시부(146)는 측정부(134)에서 측정한 측정값, 모터의 동작 설정량, 후술하는 제어부(140)의 판단 결과를 환자와 사용자에게 표시하여 알려준다. The display unit 146 displays and informs the patient and the user of the measurement valu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34 , the set amount of the motor operation, and the determination result of the control unit 14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전원 공급부(150)는 상술한 구성 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 공급부(15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로 정류하여 출력하는 정류부(152)와 정류부(15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154)를 포함한다.The power supply unit 150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the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components. The power supply unit 150 includes a rectifying unit 152 for rectifying and outputting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C and a charging unit 154 for charging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152 .

즉, 정류부(152)에서는 교류를 직류로 정류하여 전원을 필요로 하는 구성 요소로 공급한다. 여기서, 충전부(154)는 전원 공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정류부(152)에서 출력되는 직류 전원을 충전하여 교류 전원이 공급이 정지된 상태에서도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충전부(154)는 호흡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가 위치한 곳의 전원 사정이 불량한 경우에도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다. That is, the rectifier 152 rectifies alternating current into direct current and supplies power to components that require power. Here, the charging unit 154 may be disposed on the power supply path to charge the DC power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152 to supply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even when the AC power supply is stopped. In addition, the charging unit 154 enables the use of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when the power supply at the location where the patient who needs respiratory treatment is located is poor.

본 실시예에서, 충전부(154)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를 사용하지만,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rging unit 154 uses a lithium polymer battery, but various types of batteries may be used according to the user's needs.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Let's look at the operation of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사용자는 환자가 위치한 곳으로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를 이동시킨 후, 환자에게 마스크(120)를 착용하도록 한다.After the user moves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to a location where the patient is located, the user puts the mask 120 on the patient.

그리고, 사용자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SW1)를 ON 조작하여,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한다. Then, the user operates the power switch SW1 of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lf-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is started.

사용자는 우선, 환자의 최대기침유량, 흡기와 호기 시의 최대 압력 및 흡기근 지구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 능력을 판단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The user first measures the patient's maximum cough flow, maximum pressure during inspiration and exhalation, and inspiratory muscle endurance, and uses these to determine the patient's breathing ability.

환자는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평소와 같이 호흡을 수행하도록 한다. 여기서, 모터(M)의 동작은 이루어지지 않는다. The patient is to perform breathing as usual while wearing the mask 120 . Here, the operation of the motor M is not made.

환자의 호흡(흡기와 호기를 포함함)에 의해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해 공기의 이동이 이루어지고, 측정부(134)는 공기 공급 호스(122)를 이동하는 공기의 이동량 또는 압력을 연속적으로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한다. Air is moved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by the patient's breathing (includ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and the measurement unit 134 continuously measures the amount or pressur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 to measure and output the corresponding signal.

측정부(134)에서 출력된 신호는 후술하는 제어부(140)에 입력되는 한편, 미도시된 소정의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The signal output from the measurement unit 134 may be input to the control unit 140 to be described later, while being stored in a predetermined memory (not shown).

제어부(140)는 측정부(134)에서 출력된 신호를 이용하여 일정 시간 동안 환자의 호흡량, 호흡 압력 및 호흡 변화 주기를 측정한다. 호흡량, 호흡 압력 및 호흡 변화 주기는 후술하는 호흡 훈련에서의 환자의 호흡 능력 판단의 기준 자료로 사용될 수 있다. The control unit 140 measures the patient's respiration volume, respiration pressure, and respiration change period for a predetermined time by using the signal output from the measurement unit 134 . Respiratory volume, respiration pressure, and respiration change cycle may be used as reference data for judging a patient's respiration ability in respiration training,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제어부(140)는 환자의 호흡량에 따라 다음과 같은 판단을 할 수 있다. The controller 140 may make the following determination according to the patient's respiration amount.

환자의 호흡 유량의 최대치가 270 L/min 이하이면,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한다. If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respiratory flow rate is 270 L/min or less, it is determined that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여기서, 환자의 호흡 유량의 최대치는 사용자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Here, the maximum value of the respiratory flow rate of the patient may be changed according to the user.

예를 들어, 흡기근 압력이 흡기근 약화와 관련된 연령별 최대 흡기근 압력 절대 기준 미만 일 때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 기준은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과 동일하게 판단할 수 있다. For example, when the inspiratory muscle pressure is less than the absolute standard of the age-specific maximum inspiratory muscle pressure related to inspiratory muscle weakness, it may be determined that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In addition, the static ex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criterion may be determined to be the same as th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 사용전에, 환자의 연령을 입력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호흡 능력 평가시 연령별 절대 기준 수치를 환자의 훈련 판단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refore, before using the self-rehabilitation apparatus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process of inputting the patient's age, and to apply the absolute reference value for each age to the training determination of the patient when evaluating the respiratory ability.

연령별 최대 흡기근 압력 절대 기준은 다음의 [표 1]에 개시되어 있다. The absolute standard of maximum inspiratory muscle pressure by age is disclosed in [Table 1] below.

환자의 흡기근 압력이 [표 1]에 기재된 흡기근 압력 기준보다 작은 압력을 나타내면 흡기근이 약화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If the patient's inspiratory muscle pressure is less than the inspiratory muscle pressure standard described in [Table 1],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inspiratory muscle is weakened.

연령age 최대 흡기근 압력(Plmax) 단위 cmH2OMaximum inspiratory muscle pressure (Plmax) in cmH 2 O 남성male 여성woman 40세 미만under 40 6363 5858 40 내지 60세40 to 60 years old 5555 5050 61세 내지 80세 61 to 80 years old 4747 4343 80세 초과over 80 4242 3838

한편, 환자의 호흡 유량의 최대치가 270 L/min를 초과하면, 환자의 호흡은 정상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respiratory flow rate exceeds 270 L/min, it can be determined that the patient's breathing is normal.

환자에게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40)는 다음과 같이 공기 조절부(130)를 제어하며 환자가 호흡 훈련을 하도록 한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 needs breathing training, the control unit 140 controls the air conditioning unit 130 as follows and allows the patient to perform breathing training.

우선, 제어부(140)에는 측정부(134)에서 측정한 최대기침유량과 흡기와 호기 시의 최대 압력에 따른 호흡 기준치가 설정된다. First, the control unit 140 sets a respiratory reference value according to the maximum cough flow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34 and the maximum pressure during inspiration and exhalation.

즉, 제어부(140)에는 측정부(134)에서 측정한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최대치에 대하여 일정 비율의 해당하는 수치가 기준치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개별 환자의 능력에 따른 적정 훈련 기준치가 생성되어 효과적인 호흡훈련을 실시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최대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50%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준치로 설정하지만, 이는 환자 개개인의 상태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기준치의 설정은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다. That is, in the controller 140 , a value corresponding to a certain ratio of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measured by the measurement unit 134 is set as a reference value. Accordingly, an appropriate training reference value is generated according to the ability of each patient, and effective breathing training can be perform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value corresponding to 50% of the patient's maximum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set as a reference value, but this may be changed according to an individual patient's condition. The reference value can be set by the user.

그리고, 제어부(140)는 호흡 훈련 중,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이 설정된 기준치보다 큰 경우에는 미도시된 경고부를 통해 소정의 경고음을 출력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patien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greater than a set reference value during breathing training, the controller 140 may output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through a warning unit (not shown).

본 발명의 자가 호흡재활 장치는 다음과 같이 호흡 훈련을 수행한다.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performs breathing training as follows.

환자는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공기 공급 호스(122) 상의 공기가 환자에게 이동하며 흡입되고, 측정부(134)는 공기 공급 호스(122)를 통한 공기의 이동량을 측정한다. The patient inhales air while wearing the mask 120 . At this time, the air on the air supply hose 122 moves and is sucked into the patient, and the measurement unit 134 measures the amount of movement of the air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

여기서, 환자가 자신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50%, 즉 설정 기준치 이상으로 흡기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경고음을 발생하여 환자에게 알려준다. Here, when the patient inhales 50% of his/her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that is, more than a set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generates a predetermined warning sound to notify the patient.

이 경우 환자는 얼굴에서 마스크(120)를 이탈시킨 후, 호기 즉, 숨을 내쉬도록 하며, 이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흡기 근육이 훈련되도록 한다. In this case, after the patient removes the mask 120 from the face, the patient exhales, that is, exhales, and repeats this operation to train the inspiratory muscles.

반대로, 호기 근육을 훈련시키는 경우, 환자는 마스크는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를 한다. 상기 측정부는 환자의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을 측정하고, 자신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50%이상이 되면 경고음을 발생하여 환자에게 알려준다. 이 경우 환자는 마스크(120)를 얼굴에서 이탈시켜 공기를 흡입하도록 하며, 이 작업을 반복적으로 실시하여 호기 근육이 훈련되도록 한다. Conversely, when training the exhalation muscle, the patient exhales while wearing the mask. The measuring unit measures the patient's static ex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nd generates an alarm to notify the patient when 50% or more of i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reached. In this case, the patient removes the mask 120 from the face to inhale the air, and repeats this operation to train the exhalation muscle.

한편, 마스크(120)의 탈착에 의해 공기의 흡입과 호기의 전환이 이루어질 수 있지만, 마스크(120)를 탈착하는 과정에서 마스크(120)가 정해진 위치를 이탈하거나 공기의 누설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공급 호스(122) 상에 배치된 밸브(136)를 이용하여, 밸브(136)가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도록 하여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를 계속 유지하며 공기의 흡입과 호기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although the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air can be switched by detachment of the mask 120 , in the process of detaching the mask 120 , the mask 120 may deviate from a predetermined position or air leakage may occur,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by using the valve 136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122, the valve 136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air so as to keep the state wearing the mask 120 and A diversion of air intake and exhalation may be achieved.

밸브(136)를 사용하여 호흡 훈련을 수행하는 경우를 설명하기로 한다.A case in which breathing training is performed using the valve 136 will be described.

기준치의 설정은 이전의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Since the setting of the reference value is the same as in the previous embodimen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환자는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공기를 흡입한다. 이때,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공기 공급 호스(122) 상의 공기가 환자에게 이동하며 흡입되고, 측정부(134)는 공기 공급 호스(122)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자의 흡기량을 측정한다. The patient inhales air while wearing the mask 120 . At this time, the valve maintains the closed state, the air on the air supply hose 122 moves to the patient and is sucked in, and the measuring unit 134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y hose 122 to measure the patient's intake amount. .

여기서, 환자가 자신의 최대흡기량의 50%, 즉 기준치 이상으로 흡기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밸브(136)를 개방시켜 내부의 음압을 해제시켜 환자가 호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밸브가 개방된 후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는 다시 밸브를 폐쇄시킨다. 밸브가 폐쇄되면 환자는 다시 흡기 운동을 시작한다. 이와 같이 흡기와 호기를 반복하여 실시하여 환자는 흡기 근육을 훈련시킨다. Here, when the patient inhales 50% of his or her maximum inspiratory amount, that is, more than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136 to release the internal negative pressure so that the patient can exhale. After a predetermined time elapses after the valve is opened, the control unit closes the valve again. When the valve closes, the patient resumes inspiratory exercise. By repeating inhalation and exhalation in this way, the patient trains the inspiratory muscles.

한편, 환자가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를 하며 호흡 훈련을 하는 경우, 환자는 마스크(120)를 착용한 상태에서 호기한다. 이때, 밸브는 폐쇄된 상태를 유지하며, 환자는 공기 공급 호스(122)로 호기하고, 상기 측정부(134)는 공기 공급 호스(122)의 압력을 측정하여 환자의 호기량을 측정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tient exhales while wearing the mask 120 and breathing training, the patient exhales while wearing the mask 120 . At this time, the valve maintains a closed state, the patient exhales through the air supply hose 122 , and the measurement unit 134 measures the pressure of the air supply hose 122 to measure the patient's exhalation volume.

여기서, 환자가 자신의 최대호기량의 50%, 즉 기준치 이상으로 호기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밸브(136)를 개방시켜 내부의 압력을 해제시켜 환자가 흡기를 할 수 있도록 한다. 일정시간이 지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밸브를 다시 폐쇄시킨다. 상기 밸브가 폐쇄되면 환자는 호기 운동을 다시 시작한다. 이와 같이 호기와 흡기를 반복하여 실시하여 환자는 호기 근육을 훈련시킨다. Here, when the patient exhales more than 50% of his/her maximum expiratory volume, that is, the reference value, the control unit opens the valve 136 to release the internal pressure so that the patient can inhale. After a certain period of time, the control unit closes the valve again. When the valve closes, the patient resumes exhalation. By repeating exhalation and inhalation in this way, the patient trains the exhalation muscle.

호흡 훈련이 일정 이상 반복되어 호흡력이 향상된 것으로 판단되면, 호흡 능력을 측정하는 과정을 수행하여 환자의 호흡 능력을 다시 측정할 수 있다.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breathing power is improved by repeating the breathing training for a certain period or more, the breathing ability of the patient may be measured again by performing a process of measuring the breathing ability.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가 호흡재활 장치는 종래의 자가 호흡재활 장치와 같이 환자의 기침을 유도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induce a patient's cough like a conventional self-respiration rehabilitation apparatus.

기침의 유도는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Induction of cough can be made as follows.

사용자가 환자가 위치한 곳으로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를 이동시킨 후, 환자에게 마스크(120)를 착용하도록 한다.After the user moves the self-rehabilitation device 100 to the location where the patient is located, the patient is asked to wear the mask 120 .

이후,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전원 스위치(SW1)을 ON 조작하여, 자가 호흡재활 장치(100)의 동작이 개시되도록 한다. Thereafter, the power switch SW1 of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is operated ON,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100 is started.

사용자는 기침 유도 선택키(SW3)을 조작한다. 기침 유도 선택키(SW3)이 조작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모터(M)가 정회전하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여 환자의 폐가 팽창되도록 한다. The user operates the cough induction selection key SW3. When the cough induction selection key SW3 is operated, the motor M rotates forwar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to supply air to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lungs are inflated.

환자에 대한 공기 공급이 이루어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140)의 제어에 의해 모터(M)가 역회전되도록 하여 환자의 폐에 대하여 음압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폐 내부의 공기가 호기되며, 폐가 수축되도록 하여 기침을 유도하고 이에 따라 기침과 함께 객담이 배출되도록 한다. When a predetermined time has elapsed after the air supply to the patient is made, the motor M is reversely rotated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40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against the lungs of the patient, so that the air inside the lungs is exhaled, and the lungs Induce coughing by contracting it, and sputum is expelled along with the cough.

상기와 같은 폐의 팽창과 수축을 복수의 회수(예를 들어 5회)로 반복하며, 기침을 유도하여 객담이 배출되도록 한다. Th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lungs as described above are repeated a plurality of times (eg, 5 times), and cough is induced so that sputum is discharged.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가 일정한 공기 흡입과 호기를 반복하도록 하여 호흡 근육의 근력을 향상시킴으로써, 호흡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호흡 능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고, 호기를 유도하여 환자의 기침을 유도하여 폐나 기도 내의 분비물이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the patient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to repeat constant inhalation and exhalation of air to improve the muscle strength of the respiratory muscles, thereby improving breathing ability, supplying air to a patient with reduced breathing ability, , by inducing exhalation, inducing coughing in the patient, so that secretions in the lungs or airways are discharged.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which is merely exemplary,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therefrom. 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spirit of the appended claims.

100: 자가 호흡재활 장치 110: 본체
120: 마스크 130: 공기 조절부
134: 측정부 140: 제어부
150: 전원 공급부
100: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110: body
120: mask 130: air conditioning unit
134: measurement unit 140: control unit
150: power supply

Claims (12)

호흡 훈련을 통해 호흡 능력이 약화된 환자의 호흡 능력을 향상시키고, 상기 환자에게 기침을 유도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로서,
본체;
환자의 얼굴에 착용되고, 환자의 코와 입을 감싸며, 일측으로는 공기 공급 호스가 연결되어 상기 환자의 호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마스크;
상기 본체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상기 환자에게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환자로부터 상기 공기를 호기하여 기침이 유도되도록 하는 공기 조절부;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이동하는 상기 공기의 유량 또는 압력을 측정하여 해당하는 신호를 출력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의 출력 신호에 의해 상기 환자의 최대 기침 유량과 호흡 근력을 측정하고, 측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환자에 대한 호흡 훈련을 수행하는 제어부; 및
상기 공기 조절부, 측정부 및 제어부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조절부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제어 신호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이 가능한 모터와,
상기 공기 공급 호스 상에 배치되고,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인가받아 상기 공기 공급 호스로 상기 공기를 공급하거나,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해 공기가 호기되도록 하는 팬과,
상기 제어부의 제어 신호에 의해 동작하고,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통한 공기의 이동을 단속하는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전원 스위치,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 흡기 모터 설정키 및 호기 모터 설정키를 포함하는 키 입력부와,
측정된 상기 최대 기침 유량과 호흡 근력(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과 정적 호기근 구강 압력을 포함함), 상기 환자의 호흡 능력 판단 결과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터의 동작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에서 상기 환자의 호흡 능력을 측정하며,
상기 환자의 호흡 유량의 최대치가 270 L/min 이하이거나, 상기 정적 흡기근 구강 압력이 상기 환자 연령의 최대 정적 흡기근 압력 기준 미만이면 상기 환자의 호흡 훈련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훈련 모드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마스크를 착용하고, 상기 환자의 정적 호흡근 구강 압력의 최대치의 일정비율에 해당하는 수치를 기준치로 설정하고,
상기 환자의 공기 흡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흡기량이 상기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흡기 근육을 훈련시키고,
상기 환자의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호기량이 상기 기준치보다 크면, 상기 밸브를 개방하여 흡기가 이루어지도록 하며, 호기 근육을 훈련시키고,
상기 기침 유도 선택 스위치가 조작되면,
상기 공기 조절부의 모터가 정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환자에게 상기 공기를 공급하여 상기 환자의 폐가 팽창되도록 한 후,
상기 공기 조절부의 모터가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기 환자의 폐에 대하여 음압이 형성되도록 하여 상기 환자의 호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기침을 유도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
As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improves the breathing ability of a patient with weakened breathing ability through breathing training, and induces coughing in the patient,
main body;
a mask that is worn on the patient's face, covers the patient's nose and mouth, and an air supply hose is connected to one side to allow the patient to breathe;
an air conditioning unit disposed in the main body, supplying air to the patient through the air supply hose, or exhaling the air from the patient to induce coughing;
a measuring unit measuring the flow rate or pressure of the air moving through the air supply hose and outputting a corresponding signal;
a control unit for measuring the maximum cough flow rat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of the patient by the output signal of the measurement unit, and performing respiratory training on the patient based on the measurement result; and
and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power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measu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The air conditioning unit,
A motor capable of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by an externally applied control signal;
a fan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and receiving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to supply the air to the air supply hose or to exhale the air through the air supply hose;
It operates according to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unit, and includes a valve that regulates the movement of air through the air supply hose,
The control unit is
A key input unit operated by a user and comprising a power switch, a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a cough induction selection switch, an inspiration motor setting key and an exhalation motor setting key;
and a display unit for displaying the measured maximum cough flow rate and respiratory muscle strength (including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nd static ex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nd a result of determining the patient's respiratory ability,
Measuring the breathing ability of the patient in a stat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motor is not made,
If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respiratory flow rate is 270 L/min or less, or the static in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is less than the maximum static inspiratory muscle pressure standard of the patient's age, it is determined that the patient's breathing training is necessary,
When the training mode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Wearing the mask, setting a value corresponding to a certain percentage of the maximum value of the patient's static respiratory muscle oral pressure as a reference value,
Let the patient inhale the air, and when the intake amount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pen the valve to allow the exhalation to occur, train the inspiratory muscle,
To make the patient exhale, if the exhalation volum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open the valve to make inhalation, train the exhalation muscle,
When the cough induction selection switch is operated,
After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o rotate forward to supply the air to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lungs are inflated,
A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inducing cough by controlling the motor of the air conditioning unit to rotate in reverse so that a negative pressure is formed against the lungs of the patient so that the patient's exhalation is mad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 호스 상에 배치되어, 상기 공기 공급 호스를 이동하는 상기 공기에 포함되어 있는 세균과 이물질을 여과하는 필터를 더 포함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Disposed on the air supply hose,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apparatus further comprising a filter for filtering bacteria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moving the air supply hos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환자의 호흡량이 상기 기준치보다 큰 경우 경고음을 발생시키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unit is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that generates a warning sound when the patient's respiration rate is greater than the reference valu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공급부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정류하여 상기 공기 조절부, 상기 압력 측정부 및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정류부와,
상기 정류부에서 출력되는 전원 공급 경로 상에 배치되어 상기 직류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부를 포함하는 자가 호흡재활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power supply unit,
a rectifying unit rectifying AC power input from the outside into DC power and outputting it to the air conditioning unit, the pressure measuring unit, and the control unit;
Self-respiratory rehabilitation device including a charging unit disposed on the power supply path output from the rectifying unit to charge the DC power.
KR1020190130692A 2019-10-21 2019-10-21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KR10230081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92A KR102300819B1 (en) 2019-10-21 2019-10-21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692A KR102300819B1 (en) 2019-10-21 2019-10-21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09A KR20210047409A (en) 2021-04-30
KR102300819B1 true KR102300819B1 (en) 2021-09-14

Family

ID=7574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692A KR102300819B1 (en) 2019-10-21 2019-10-21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819B1 (e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KR100516324B1 (en) 2003-03-31 2005-09-26 강성웅 A device for assisting cough, lung expansion in patients with paralytic bulbar musculature
KR101038262B1 (en)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KR101130776B1 (en) * 2010-03-26 2012-03-28 (주)서일퍼시픽 Cough assist apparatus
KR101752904B1 (en) * 2016-06-29 2017-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Respiratory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31328B1 (en) 1997-06-17 1999-11-15 문재호 Breathing training device of pulmonary disease patient and chest physical remedy system using thereof
KR100516324B1 (en) 2003-03-31 2005-09-26 강성웅 A device for assisting cough, lung expansion in patients with paralytic bulbar musculature
KR101130776B1 (en) * 2010-03-26 2012-03-28 (주)서일퍼시픽 Cough assist apparatus
KR101038262B1 (en) 2011-02-10 2011-06-01 (주)서일퍼시픽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and cough assistance machine using the direction change valve module
KR101752904B1 (en) * 2016-06-29 2017-07-03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Respiratory rehabilitation system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7409A (en) 2021-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68114B1 (en) Breathing training, monitoring and/or assistance device
CN106581833B (en) Breathing machine
JP6843850B2 (en) Breathing training, observation and / or auxiliary equipment
US8584675B2 (en) Device for removing pulmonary secretions
JP2018535728A5 (en)
JP4212778B2 (en) Positive pressure ventilator
EP1663361A2 (en) Insufflation-exsufflation system for removal of broncho-pulmonary secretions with automatic triggering of inhalation phase
CN112138341B (en) Breathe nursing and contract lip and breathe trainer
CN111195383A (en) Device for respiratory healthcare and for training and improving respiratory function
CN10408050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assisted ventilation
CN113181603A (en) Big data recording's cardiothoracic surgery patient nursing is with lung training device that exhales
Mlcak et al. Lung compliance, airway resistance, and work of breathing in children after inhalation injury
JP20225465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assisted ventilation
EP2379147B1 (en) Phasic respiratory therapy
JP201920586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mproved assisted ventilation
KR102300819B1 (en) Device of self pulmonary rehabilitation
Lawrence et al. Ventilation dur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hich method?
JP2011030990A (en) Lifesaving navigation device of portable respirator
CN209221256U (en) A kind of cough exercising apparatus for tracheotomy patients
CN214050379U (en) Breathe vital capacity trainer that internal medicine nursing was used
CN212522911U (en)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for respiratory muscle strength reduction
CN111214741A (en) Artificial pneumatic control cough auxiliary device and auxiliary method
JP4469459B2 (en) Intermittent positive pressure ventilator
CN213852992U (en) Lip-contracting breathing device
CN212880495U (en) Artificial pneumatic control cough auxiliar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