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620B1 - 휴대용 도면판 - Google Patents

휴대용 도면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620B1
KR102300620B1 KR1020210030637A KR20210030637A KR102300620B1 KR 102300620 B1 KR102300620 B1 KR 102300620B1 KR 1020210030637 A KR1020210030637 A KR 1020210030637A KR 20210030637 A KR20210030637 A KR 20210030637A KR 102300620 B1 KR102300620 B1 KR 1023006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ing member
supporting
protruding
magnet
support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채성의
Original Assignee
한동건설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동건설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한동건설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100306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6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5/00Drawing boards
    • B43L5/02Drawing boards having means for clamping sheets of paper thereto
    • B43L5/022Drawing boards having means for clamping sheets of paper thereto with magn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7/00Furniture or accessories for furniture,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B97/02Devices for holding or supporting maps, drawings, or the like, including means for preventing rolling-up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휴대용 도면판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은 서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받침부재 및 제2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에 제1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 중 상기 제1 메인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가 마련되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도면판{PORTABLE DRAWING PLATE}
본 발명은 휴대용 도면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휴대용 도면판에 관한 것이다.
공사현장, 시공현장 등에서 구조물의 현황을 파악하거나 또는 지어질 구조물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도면이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도면은 A3 용지 크기의 도면이 사용되며, 이와 같은 도면을 펼쳐놓고 보기 위해 작업자는 도면판을 소지하게 된다.
도면판은 위와 같이 A3 용지의 도면이 올려질 수 있는 크기를 가지는데, 이와 같이 큰 도면판을 사용자가 양손 또는 한손으로 들고 다니게 된다. 그러나 현장에서 계단 또는 좁은 공간에서의 이동시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롭지 못한 경우, 사용자는 안전사고에 노출될 위험이 있었다.
따라서 현장 감측, 계측이라는 필수 불가결적인 이유로 도면판을 사용하여야 하나, 도면판을 들고 다니게 되면 작업자의 위험도가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67349호(2015.11.03. 등록)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보관성 및 사용성이 향상된 휴대용 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사용자의 이동시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이송됨으로써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휴대용 도면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서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받침부재 및 제2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도면판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에 제1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 중 상기 제1 메인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접힌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재의 전면 및 상기 제2 돌출부재의 전면이 맞닿으며,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가 맞닿으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 및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1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2 만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만입부와 상기 제2 만입부는 원호(arc)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에 제1 도면자석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 중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도면자석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의 외측단부와 상기 제2 도면자석부재의 외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420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와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도면자석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 및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와 각각 대응되는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와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의 상측단부와 상기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297 mm 이하이며, 상기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의 상측단부와 상기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297 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돌출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2 돌출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기 제2 돌출부재와 이격되되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돌출부재, 상기 제2 돌출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 및 상기 제2 지지부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1 관통부가 형성된 제1 체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2 관통부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은 접힌 상태에서 자석부재들이 서로를 끌어당기게 되므로,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휴대용 도면판이 저절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은 사용자의 이동시 사용자의 목에 걸어서 이송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양손이 자유로워지고 이를 통해 사용자의 안전이 확보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의 후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의 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을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을 도 4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이 펼쳐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이 접혀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을 사용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100)은 제1 받침부재(110), 제2 받침부재(120), 경첩(130), 거치끈(140) 및 고정자석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는 서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130)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100)은 그 사용시 휴대용 도면판(100)의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를 펼친 상태로 사용하고, 미사용시 또는 이동시 휴대용 도면판(100)의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를 접은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경첩(130)은 제1 받침부재(110)의 내측부 및 제2 받침부재(120)의 내측부를 연결하되, 상하 방향으로 이격된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110)는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전면(110a) 및 후면(110b)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도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는 전면(120a) 및 후면(120b)이 구비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접힌 경우,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및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이 맞닿게 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에 제1 메인자석부재(116)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제1 메인자석부재(116)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메인자석부재(126)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접힌 경우, 제1 메인자석부재(116)와 제2 메인자석부재(126)가 상호간에 자력으로 당기게 됨으로써,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별도로 임의의 힘을 가하지 않는 이상, 저절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메인자석부재(116) 및 제2 메인자석부재(112)는 모두 자성을 띄는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둘 중 어느 하나만 자성을 띄는 자석으로 마련되고 나머지는 자석에 들러붙는 금속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제1 메인자석부재(116)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메인자석부재(116)는 제1 받침부재(1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상부 메인자석부재(116a)와 제1 하부 메인자석부재(116b)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메인자석부재(116a)는 제1 하부 메인자석부재(116b)보다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상부 메인자석부재(116a)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외측부의 상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1 하부 메인자석부재(116b)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외측부의 하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제2 메인자석부재(126)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메인자석부재(126)는 제2 받침부재(12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상부 메인자석부재(126a)와 제2 하부 메인자석부재(126b)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메인자석부재(126a)는 제2 하부 메인자석부재(126b)보다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상부 메인자석부재(126a)는 제1 상부 메인자석부재(116a)와 대응되며, 제2 하부 메인자석부재(126b)는 제2 하부 메인자석부재(126b)와 대응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2 상부 메인자석부재(126a)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외측부의 상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고, 제2 하부 메인자석부재(126b)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외측부의 하방 모서리에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에 제1 도면자석부재(111)가 마련될 수 있다. 아울러, 제2 받침부재는(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에 마련되며, 제2 도면자석부재(1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도면자석부재(112)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제1 도면자석부재(111)와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도면자석부재(11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 도면자석부재(111)는 제1 받침부재(11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와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111b)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는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111b)보다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제1 상부 메인자석부재(116a)보다 내측 및 하방 측으로 다소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111b)는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중 제1 하부 메인자석부재(115a)보다 내측 및 상방 측으로 다소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도면자석부재(121)는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2 도면자석부재(121)는 제2 받침부재(120)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와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121b)로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는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121b)보다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상방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 중 제2 상부 메인자석부재(126a)보다 내측 및 하방 측으로 다소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125b)보다 내측 및 상방 측으로 다소 치우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펼쳐진 경우, 제1 도면자석부재(111)의 외측단부와 제2 도면자석부재(121)의 외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420 mm 이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도면자석부재(111) 중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와, 제2 도면자석부재(121) 중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의 외측단부(도 1 상에서 제1 상부 도면좌석부재 중 가장 좌측단부)와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의 외측단부(도 1 상에서 제2 상부 도면좌석부재 중 가장 우측단부) 사이의 거리(L1)는 420 mm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1과 같이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111a)의 상측단부와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111b)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L2)는 297 mm 이하일 수 있다. 아울러,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121a)의 상측단부와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121b)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297 mm 이하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이 A3 크기(420mm * 297 mm)의 도면(D)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면자석부재들이 형성하는 영역의 크기가 도면(D)의 크기보다 작아서 제1 메인자석부재(116) 또는 제2 메인자석부재(126)들이 노출되지 않을 수 있고, 그러므로 도면자석부재들과 대응하는 위치에 고정자석부재(150)를 사용하여 도면(D)의 위치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도면자석부재(111)과 제2 도면자석부재(121)는 자성을 띄는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도면판(100)은 고정자석부재(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8을 참조하면, 휴대용 도면판(100)이 펼쳐진 상태에서 도면(D)을 올려놓고 사용하는 경우, 도면(D)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고정자석부재(150)가 마련될 수 있다. 고정자석부재(150)는, 도시된 바와 같이 4개가 마련될 수 있으며, 도면(D)의 위치를 고정하도록 제1 도면자석부재(111) 또는 제2 도면자석부재(121)와 매칭되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고정자석부재(150)는 자성을 띄는 자석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자성을 띄는 제1 도면자석부재(111) 또는 제2 도면자석부재(121)에 들러붙는 금속으로 마련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메인자석부재들과 도면자석부재들은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또는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에 삽입되어 설치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후면(110b)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12)는 제1 받침부재(11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 중 내측부에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12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돌출부재(122)는 제2 받침부재(120)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펼쳐진 경우, 제1 돌출부재(112)와 제2 돌출부재(122)가 맞닿으며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및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 때, 제1 돌출부재(112)와 제2 돌출부재(122)가 서로 맞닿게 됨으로써,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180 도 이상으로 펼쳐지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즉, 제1 돌출부재(112)와 제2 돌출부재(122)는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의 펼쳐지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1 돌출부재(112)와 제2 돌출부재(122)가 맞닿은 상태에서,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및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은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1 및 8을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의 전면(110a) 및 제2 받침부재(120)의 전면(120a)에 도면, 그림 등을 펼쳐서 올려놓을 수 있다.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1 만입부(113)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2 만입부(123)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와 제2 받침부재(120)가 펼쳐진 경우, 제1 만입부(113)와 제2 만입부(123)는 원호(arc)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도 8과 같이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100)을 펼친 상태에서 배에 걸치게 되는 경우, 제1 만입부(113)와 제2 만입부(123)가 형성한 원호(arc) 형상의 단부에 배를 걸칠 수 있게 되므로 사용자가 보다 편안하게 휴대용 도면판(100)을 배에 걸칠 수 있게 된다.
도 2,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후면(110b) 중 제1 돌출부재(112)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부재(11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 중 제2 돌출부재(122)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2 지지부재(125)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재(125)는 제1 지지부재(115)와 대응하는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제1 지지부재(115)는 제1 받침부재(110)의 후면(110b)의 외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하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2 지지부재(125)는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의 외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하방측으로 치우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2, 4 및 5를 참조하면, 제1 받침부재(110)는, 제1 받침부재(110)의 후면(110b)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1 관통부(114a)가 형성된 제1 체결부재(114)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받침부재(120)는,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2 관통부(124a)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124)가 마련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2와 같이 제1 체결부재(114)는 제1 받침부재(110)의 후면(110b)의 외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와 같이 제2 체결부재(124)는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의 외측부에 인접하게 마련되되, 상방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결부재(114)에 형성된 제1 관통부(114a)와, 제2 체결부재(124)에 형성된 제2 관통부(124a)는 도 8 및 9와 같이 거치끈(140)이 체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100)은 거치끈(140)이 마련되되, 거치끈(140)이 제1 관통부(114a) 및 제2 관통부(124a)에 체결됨으로써 사용자가 거치끈(140)을 자신의 목에 걸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시 또는 이동시 거치끈(140)을 통해 휴대용 도면판(100)을 목에 걸 수 있으므로, 휴대용 도면판(100)의 사용 및 이동시 편의성이 확보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제1 돌출부재(112), 제2 돌출부재(122), 제1 지지부재(115), 제2 지지부재(125), 제1 체결부재(114) 및 제2 체결부재(124)는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에 각각 마련되는 부재들이 동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휴대용 도면판(100)을 펼친 상태에서 바닥에 놓고 사용하는 경우,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에 각각 마련되는 부재들이 휴대용 도면판(100)을 지지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의 후면(120b)에 각각 마련되는 부재들이 동일한 두께를 가지므로, 바닥에 휴대용 도면판(100)을 놓고 사용하는 경우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가 골고루 지탱될 수 있으며, 또한 지지부재 및 체결부재가 돌출부재와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의 외측단부들이 바닥으로 쳐지는 것이 방지되므로 경첩(130)에 과도한 벤딩 모멘트가 작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휴대용 도면판(100)이 접히는 경우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가 각각 A1 및 A2 방향으로 회동하며 전면들이 가까워지고, 휴대용 도면판(100)이 펼쳐지는 경우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가 각각 B1 및 B2 방향으로 회동하며 전면들이 수평면을 이룰 수 있다. 도 7은 제1 받침부재(110) 및 제2 받침부재(120)가 접혀서 포개진 상태를 나타낸다.
이하, 도 8 내지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사용상태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과 같이 본 실시예는 휴대용 도면판(100)을 펼친 상태에서 도면(D)을 휴대용 도면판(100)에 올려놓고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거치끈(140)을 목에 걸어 사용하므로, 사용자가 휴대용 도면판(100)을 보다 쉽게 들고 있을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도면판(100)에 도면(D)이 고정자석부재(150)에 의해 고정되므로, 바람이 부는 기상 악조건에서도 도면(D)이 날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본 실시예는 휴대용 도면판(100)을 접은 상태에서 보관할 수 있다. 이 때, 거치끈(140)을 목에 걸어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양손이 자유로워지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좁은 골목 또는 계단 등에서 안전사고가 나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휴대용 도면판(100)을 접혀져 그 크기(레이아웃)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다 쉽게 운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휴대용 도면판 110: 제1 받침부재
111: 제1 도면자석부재 112: 제1 돌출부재
113: 제1 만입부 114: 제1 체결부재
115: 제1 지지부재 116: 제1 메인자석부재
120: 제2 받침부재 121: 제2 도면자석부재
122: 제2 돌출부재 123: 제2 만입부
124: 제2 체결부재 125: 제2 지지부재
126: 제2 메인자석부재 130: 경첩
140: 거치끈 150: 고정자석부재

Claims (9)

  1. 서로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도록 경첩을 통해 연결되는 제1 받침부재 및 제2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휴대용 도면판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에 제1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상기 제1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제1 돌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 중 상기 제1 메인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메인자석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내측부에서 상기 제2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돌출되는 제2 돌출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접힌 경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 및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이 맞닿으며,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상기 제2 돌출부재가 맞닿으며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 및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이 수평면을 이루며,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기 제1 돌출부재와 이격된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1 지지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기 제2 돌출부재와 이격되되 상기 제1 지지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돌출되는 제2 지지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1 관통부가 형성된 제1 체결부재가 마련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후면 중 상측 단부에 마련되되 제2 관통부가 형성된 제2 체결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1 돌출부재, 상기 제2 돌출부재, 상기 제1 지지부재, 상기 제2 지지부재, 상기 제1 체결부재 및 상기 제2 체결부재는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1 만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상단에서 경사지도록 만입되는 제2 만입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만입부와 상기 제2 만입부는 원호(arc) 형상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전면에 제1 도면자석부재가 마련되며,
    상기 제2 받침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전면 중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와 대응하는 위치에 제2 도면자석부재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받침부재와 상기 제2 받침부재가 펼쳐진 경우,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의 외측단부와 상기 제2 도면자석부재의 외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420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도면자석부재는, 상기 제1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와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제2 도면자석부재는, 상기 제2 받침부재의 높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 및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와 각각 대응되는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와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로 마련되고,
    상기 제1 상부 도면자석부재의 상측단부와 상기 제1 하부 도면자석부재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297 mm 이하이며,
    상기 제2 상부 도면자석부재의 상측단부와 상기 제2 하부 도면자석부재의 하측단부 사이의 거리는 297 mm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도면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210030637A 2021-03-09 2021-03-09 휴대용 도면판 KR102300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37A KR102300620B1 (ko) 2021-03-09 2021-03-09 휴대용 도면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637A KR102300620B1 (ko) 2021-03-09 2021-03-09 휴대용 도면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0620B1 true KR102300620B1 (ko) 2021-09-09

Family

ID=777775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637A KR102300620B1 (ko) 2021-03-09 2021-03-09 휴대용 도면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62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88Y1 (ko) * 2000-02-24 2000-09-01 박기홍 절첩식 휴대용 칠판
KR200372727Y1 (ko) * 2004-10-25 2005-01-27 김영부 휴대용 독서대
KR20090105805A (ko) * 2009-02-26 2009-10-07 조성욱 물품보관함
KR20110001160U (ko) * 2009-07-27 2011-02-08 허은석 휴대용 접이식 공부 가방
KR20110011371U (ko) * 2010-06-03 2011-12-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접이식 정비 현황판
KR101567349B1 (ko) 2015-04-27 2015-11-10 (주) 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작성을 위한 현장조사용 도면판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94688Y1 (ko) * 2000-02-24 2000-09-01 박기홍 절첩식 휴대용 칠판
KR200372727Y1 (ko) * 2004-10-25 2005-01-27 김영부 휴대용 독서대
KR20090105805A (ko) * 2009-02-26 2009-10-07 조성욱 물품보관함
KR20110001160U (ko) * 2009-07-27 2011-02-08 허은석 휴대용 접이식 공부 가방
KR20110011371U (ko) * 2010-06-03 2011-12-09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접이식 정비 현황판
KR101567349B1 (ko) 2015-04-27 2015-11-10 (주) 일신이앤씨 도로대장 및 도로기반 지하시설물 작성을 위한 현장조사용 도면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28669B1 (en) Suspended table assembly
US6853432B2 (en) LCD module and a combination switch using the same
JP4281791B2 (ja) 情報通信端末システム
US9848692B1 (en) Attaching loop member to mount printing device on belt-like member worn by user
JP2021185444A (ja) 携帯用情報機器
KR102300620B1 (ko) 휴대용 도면판
ITUD20130007U1 (it) "custodia protettiva"
US6508451B1 (en) Accessory support apparatus for hand held device
JP4533712B2 (ja) 電子機器
TWM525043U (zh) 保護套及電子裝置組合
US20210096598A1 (en) Foldable image display device
JP2013151842A (ja) 天井用目地装置
KR101848739B1 (ko) 완강기 지지대
JP3925097B2 (ja) プリント基板取り付け構造
US6299366B1 (en) Keyboard rotatable to vertical position above desk
JP2016211640A (ja) 固持装置
JP2002253350A (ja) デスク、およびオプション物
JP3751381B2 (ja) 対向型デスクトップパネル
KR102532134B1 (ko) 고정 및 크기조절이 가능한 휴대용 가림판
JP4579087B2 (ja) 配線機能付き机
JP6837832B2 (ja) 天板付家具
CN116610220A (zh) 键盘、支架以及键盘支架组
KR20230168366A (ko) 휴대 단말기 거치장치
KR200157901Y1 (ko) 페이져의 크레들 장치
KR100587362B1 (ko) 영상표시장치용 스탠드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