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519B1 -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 Google Patents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519B1
KR102300519B1 KR1020190143348A KR20190143348A KR102300519B1 KR 102300519 B1 KR102300519 B1 KR 102300519B1 KR 1020190143348 A KR1020190143348 A KR 1020190143348A KR 20190143348 A KR20190143348 A KR 20190143348A KR 102300519 B1 KR102300519 B1 KR 1023005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cabulary
subject
learning
auxiliary
displ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3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6644A (ko
Inventor
안인숙
Original Assignee
안인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인숙 filed Critical 안인숙
Priority to KR1020190143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519B1/ko
Publication of KR202100566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66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5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5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학습대상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가 포함된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인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로 시작하거나, 그 낱글자로 끝나는 단어 또는 그 낱글자가 중간에 들어있는 단어들 중에서 학습자들의 수준을 감안하여 비교적 쉽고 친숙한 보조어휘들을 정하고, 그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를 설명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가 보조어휘와 연계되어 배치되고,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킨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경우 어휘력은 물론 독서력과 함께 더 나아가서 국어력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복수의 학습페이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학습페이지 각각은 독립된 어휘학습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어휘학습교재로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어휘가 표시되는 주제부 및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어휘풀이가 표시되는 풀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부에는, 보조어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Studying Material for Vocabulary using Single Character}
본 발명은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로는, 학습대상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가 포함된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인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로 시작하거나, 그 낱글자로 끝나는 단어 또는 그 낱글자가 중간에 들어있는 단어들 중에서 학습자들의 수준을 감안하여 비교적 쉽고 친숙한 보조어휘들을 정하고, 그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를 설명하도록 하고, 이와 함께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가 보조어휘와 연계되어 배치되고,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학습효과를 극대화시킨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를 이용하여 어휘를 학습하는 경우 어휘력은 물론 독서력과 함께 더 나아가서 국어력을 획기적으로 강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어휘(語彙)란 어떤 특정한 범위 내에서 사용되는 낱말의 총 집합을 뜻하며, 문장을 구성하고 다양한 정보를 나타내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우리나라 국어의 어휘는, 우리말에 본래 있거나 우리말에 기초하여 만든 어휘인 고유어가 있고, 한자를 우리말 용어처럼 쓰는 어휘인 한자어도 있으며, 외국에서 들어온 말을 국어처럼 쓰는 어휘인 외래어 등이 있다. 그 중 한자로 이루어진 어휘의 경우에는 각각의 낱글자가 갖고 있는 한자의 뜻을 알아야 그 어휘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데, 국어 어휘는 대부분 한자로 이루어 진 어휘여서 학습자들은 어휘 학습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한편, 국어과목에서 학생들이 특히 어려워하는 부분은 문법인데, 문법이 어렵다고 하지만,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실제로는 어휘가 약한 것이다. 학생들이 어휘를 익힐 때 확실하게 이해하지 못하고 어렴풋이만 알게 되면, 확실히 이해하지 못하고 넘어간 어휘들로 인하여 지문을 독해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뿐만 아니라 질문의 핵심도 놓치는 경우가 많다.
어휘력은 독서력을 좌우하게 되며, 어휘력과 이를 바탕으로 강화시킨 독서력은 국어학습에 있어 기초이자 핵심이다. 즉 어휘력과 독서력을 기르면 국어력이 생기는 것이다. 그런데 최근에는, 인터넷, 유튜브 등 새로운 매체의 출현과 이들의 일상화로 인하여 활자를 읽을 필요가 점점 없어지고 있다. 특히 젊은 세대들에 있어서는, 짧은 SNS글에 익숙해지다 보니 조금만 어려운 글이 나오면 잘 읽지 못하고 쉽게 당황하거나 뜻을 오해하곤 한다. 하지만 독해력은 진학 등을 위한 시험뿐만 아니라 모든 직업영역에서도 가장 중요한 능력으로 손꼽힌다. 아무리 기술이 눈부시게 발전한다 하더라도 국어력은 더 필요하고 중요해 지게 되는데, 이는 주어지는 정보를 선별하고 조직화하는 모든 과정에 어휘력, 독서력, 국어력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아무리 정보가 차고 넘치더라도 어휘력과 독해력이 없으면 그 정보를 이해하지 못하며, 이에 따라 정보의 활용 및 재생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회 각 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가 되지 못한다.
흔히 어휘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단어를 암기하는 방식으로 어휘를 학습하곤 한다. 그러나 외워서 익히는 방식으로 어휘력이나 독서력을 증진시키는 것은 한계가 있을 뿐만 아니라, 외워서 익힌 어휘실력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쉽게 잊혀 지기 때문에 외우는 방법보다는 어휘 자체를 이해해야 하는 학습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하지만 어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해당 어휘에 대한 뜻은 물론 적용방법 등에 대하여 다양하게 공부해야하기 때문에 상당한 시간이 소요되며, 이에 따라 한정된 시간을 국어공부에 배분해야 하는 학습자의 입장에서는, 상당을 시간을 투자하여 어휘를 이해하기 보다는, 어휘를 단시간 내에 외워서 습득하는 방식을 어쩔 수 없이 선호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어휘에 대한 빠른 이해를 통하여 어휘학습을 할 수 있는 교재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 된 본 발명은,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관한 것으로서, 복수의 학습페이지를 가지며, 복수의 학습페이지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독립된 어휘학습영역을 가지도록 하고, 각각의 어휘학습영역마다 각각 하나의 주제어휘를 집중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하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표시되는 주제어휘에 대하여,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를 이용하여 주제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로 시작되거나,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로 끝나는 어휘 또는 그 낱글자를 포함하는 단어들 중에서 학습자의 수준에서 쉽고 친숙한 보조어휘들을 정하여, 그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의 뜻을 설명할 수 있는 설명문구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표시되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각각의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와 그 낱글자가 포함된 보조어휘가 서로 연계 및 대비되게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주제어휘가 보조어휘를 통하여 시각적으로 강조되어 표시되고, 이를 통하여 주제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극대화되도록 하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와 보조어휘를 배치함에 있어 구별되는 색상 등을 사용하고 서로 연계 및 대비되도록 배치함으로써, 일단 주제어휘를 습득하고 난 뒤에는, 그 주제어휘를 보게 되면 그 주제어휘에 대한 보조어휘가 자동으로 연상되고, 보조어휘가 연상되면 보조어휘를 이용한 설명문구가 같이 연상되도록 함으로써 주제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주제어휘에 대한 설명이 표시될 때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의 뜻을 설명하는 부분과 함께, 보조어휘를 이용하지 않고도 주제어휘의 뜻을 설명하도록 하는 부분을 동시에 가지도록 함으로써 주제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증진시키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해당 주제어휘가 활용된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같이 제공하되, 읽을거리 안에 해당 주제어휘를 강조하여 사용함으로써 독서훈련을 통하여 주제어휘를 습득함과 동시에 독서력도 증진시킬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압축한 압축문장 즉, 독서훈련용 읽을거리 중에서 앞뒤 문맥을 통해 주제어휘의 뜻을 새길 수 있는 중심문장을 간추려서 같이 제공함으로써 어휘력 향상은 물론 배경지식을 넓히고 지문독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학습한 주제어휘가 포함되는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문제훈련부를 가지도록 하여 주제어휘에 대한 문제풀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 주제어휘에 대한 한자풀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에 대한 한자와 그 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어휘학습영역 각각을 요약한, 복습용 목차영역이 표시된 복습목차 페이지를 더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복습용 목차영역만 보더라도 학습 완료한 주제어휘에 대한 뜻풀이 내용이 자동으로 연상되어 복습될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는, 복수의 학습페이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학습페이지 각각은 독립된 어휘학습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어휘학습교재로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어휘가 표시되는 주제부; 및 -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어휘풀이가 표시되는 풀이부;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부에는, - 보조어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어휘는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를 하나씩 포함하며, - 상기 주제어휘는 가로쓰기 또는 세로쓰기로 표시되며, - 상기 보조어휘는, 상기 각각의 낱글자 위치에 맞추어 상기 각각의 낱글자를 포함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주제어휘가 가로쓰기인 경우에는 세로쓰기로 표시되고, 상기 주제어휘가 세로쓰기인 경우에는 가로쓰기로 표시되며, 상기 어휘풀이는, 상기 보조어휘를 모두 포함하는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어휘풀이의 문장에서, 상기 각각의 낱글자에 대응되는 보조어휘는 상기 각각의 낱글자의 순서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풀이부에 포함된 상기 보조어휘 중 상기 각각의 낱글자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주제부에 포함된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상기 각각의 낱글자는, 상기 구별되는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역상으로 각각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풀이부에는,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보충설명이 더 포함되어 표시되되, 상기 보충설명에는 상기 보조어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어 있는, 독서훈련용 읽을거리가 표시되는 독서훈련부; 및 -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압축하되,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도록 압축한 문장이 표시되는 압축문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이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식별번호, 상기 주제어휘 및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한자풀이가 표시되는 표제부; 및 - 상기 주제어휘에 관한 문제가 제시되는 문제훈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제부, 상기 독서훈련부 및 상기 압축문장부에 포함된 상기 주제어휘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가장 상단에 상기 표제부가 위치하며, 상기 주제부, 상기 풀이부, 상기 독서훈련부, 상기 압축문장부 및 상기 문제훈련부는 상기 표제부 하단에 위치하되, 좌측에는 상기 주제부가 위치하며,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상기 풀이부, 상기 독서훈련부, 상기 압축문장부 및 상기 문제훈련부의 순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상술한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을 요약한 복습용 목차영역이 표시된 복습목차 페이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에는 - 상기 식별번호, - 상기 주제어휘, - 상기 주제어휘에 대응되는,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에 대한 요약제목 및 - 상기 주제어휘가 위치한 페이지가 포함되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로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서, 학습페이지 각각은 하나 이상의 독립된 어휘학습영역을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을 통하여 하나의 주제어휘를 다양한 방법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학습자가 각각의 주제어휘별로 집중적이고 효과적으로 학습하여 완전하게 이해하면서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은 주제어휘가 표시되는 주제부와 주제어휘에 대한 어휘풀이가 표시되는 풀이부를 가지고 있으며, 풀이부에 표시되는 어휘풀이는 각각의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로 시작되거나, 그 낱글자로 끝나는 어휘 또는 그 낱글자를 중간에 포함하는 단어들 중에서 학습자의 수준에서 쉽고 친숙한 보조어휘를 이용하여 주제어휘의 뜻을 설명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학습자들은 자신들이 익히 알고 있는 단어로 주제어휘의 뜻을 이해하고 익힐 수 있고, 이에 따라 매우 쉽게 주제어휘를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서 주제어휘가 표시되는 주제부에는 주제어휘와 함께 보조어휘도 표시되도록 하는데, 보조어휘는,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 위치에 맞추어 각각의 낱글자를 포함하여 표시되도록 하고, 주제어휘가 가로쓰기인 경우에는 보조어휘는 세로쓰기로 표시되고, 주제어휘가 세로쓰기인 경우에는 보조어휘는 가로쓰기로 표시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주제어휘와 보조어휘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구분되면서도 서로 대조되어 학습자에게 각인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주제어휘의 낱글자로 보조어휘가 시작되거나 끝나는 것처럼 보이는 동시에, 보조어휘에 포함된 낱글자들로 주제어휘가 구성된 것처럼 보이기도 하기 때문에 학습자에게는 주제어휘와 보조어휘가 연동되어 각인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주제어휘를 보게 되는 경우 보조어휘가 자동으로 연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서 풀이부에 포함된 어휘풀이의 문장은, 각각의 낱글자에 대응되는 보조어휘가 각각의 낱글자의 순서대로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에, 주제부에 표시되는 보조어휘를 표시된 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읽기만 해도 어휘풀이와 거의 동일한 문장으로 읽히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학습자가 주제어휘에 대한 학습을 끝낸 후에는 주제부만 보고도 그 뜻풀이를 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풀이부에 포함된 보조어휘 중 각각의 낱글자는 나머지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며, 주제부에 포함된 각각의 낱글자는, 구별되는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역상표시로 되고, 보조어휘는 주제어휘와 대조되게 표시하기 때문에,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서 주제어휘가 시각적으로 강조됨과 동시에 보조어휘는 주제어휘에 대비되어 나타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주제어휘를 익히고 난 뒤에는, 그 주제어휘를 보게 되면 그 주제어휘에 대한 보조어휘가 쉽게 연상될 수 있고, 보조어휘가 연상되면 보조어휘를 이용한 설명문구가 같이 연상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제어휘에 대한 학습효과를 더욱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의 풀이부에는, 주제어휘에 대한 어휘풀이와 함께 보충설명이 더 포함될 수 있고, 보충설명에는 보조어휘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우리말 중심의 풀이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학습자는 주제어휘에 대하여, 한자어 중심의 해석인 ‘어휘풀이’와 우리말 중심으로 해석한 ‘보충설명’을 대비하여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주제어휘에 대한 서로 대비되는 뜻풀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는, 해당 주제어휘가 활용된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같이 제공하되, 독서훈련용 읽을거리 안에 해당 주제어휘를 강조하여 사용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가 주제어휘를 익히면서 독서력도 함께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는 또한,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압축한 압축문장 즉, 독서훈련용 읽을거리 중에서 앞뒤 문맥을 통해 주제어휘의 뜻을 새길 수 있는 중심문장을 간추려서 같이 제공함으로써 어휘력 향상은 물론 배경지식을 넓히고 지문독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더불어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는, 주제어휘가 포함되는 문제를 풀어볼 수 있는 문제훈련부를 가지도록 하기 때문에 학습자들에게 주제어휘에 대한 문제풀이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각각의 어휘학습영역에는 또한, 주제어휘에 대한 한자풀이가 표시되도록 함으로써 해당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에 대한 한자와 그 뜻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어휘학습영역 각각이 표제부, 주제부, 풀이부, 독서훈련부, 압축문장부 및 문제훈련부를 가지는 경우 가장 상단에 상기 표제부가 위치하도록 하고, 나머지는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되, 좌측에는 주제부가 위치하며,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풀이부, 독서훈련부, 압축문장부 및 문제훈련부의 순서로 위치하도록 하기 때문에 학습자는 먼저 표제부에서 주제어휘를 인식하고, 주제부에서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와 이에 연계된 보조어휘를 한 눈에 보고 대강의 뜻을 추측하게 할 수 있으며, 풀이부에서 정확한 뜻을 습득한 뒤, 독서훈련부에 제시된 문장의 독서를 통하여 해당 주제어휘에 대한 사례와 그 뜻을 다시 새기면서 독서역량을 키우게 되며, 압축문장부를 통하여 독서훈련부에 제시된 문장을 압축하는 훈련을 한 뒤 마지막으로 문제훈련부에서 주제어휘의 뜻을 정확하게 습득하였는지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주제어휘를 체계적인 방법으로 습득할 수 있도록 주제부, 풀이부 등 각각의 부분이 학습자의 학습순서에 따라 과학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복습목차 페이지를 더 포함하는데, 복습목차 페이지에는 복습용 목차영역이 표시되며, 복습용 목차영역에는 식별번호, 주제어휘, 주제어휘에 대응되는 읽을거리를 요약한 제목 및 주제어휘가 위치한 페이지가 표시되도록 하기 때문에 복습용 목차영역에서 주제어휘와 읽을거리를 요약한 제목만 보게 되더라도 학습 완료한 주제어휘에 대한 뜻풀이 내용이 자동으로 연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서, 학습페이지와 학습페이지에 포함된 어휘학습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어휘학습영역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어휘학습영역의 제1실시예에서, 주제어휘가 여러 개의 낱글자로 이루어 진 경우의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어휘학습영역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어휘학습영역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어휘학습영역의 제4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어휘학습영역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어휘학습교재에서 학습페이지에 포함된 어휘학습영역의 실제 적용사례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복습목차 페이지와 복습목차 페이지에 포함된 복습용 목차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복습용 목차영역의 상세 내용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어휘학습교재에서 복습목차 페이지에 포함된 복습용 목차영역의 실제 적용사례이다.
이하에서 상술한 목적과 특징이 분명해지도록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할 것이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한 공지기술 중 이미 그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는 것으로서, 그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는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하였으므로,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용어가 가지는 의미로서 본 발명을 파악하여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 예들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다양한 부가적 실시 예들을 가질 수 있는데, 여기에서는 특정한 실시 예들이 도면에 표시되고 관련된 상세한 설명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실시 예들을 특정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 예들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이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한 설명 가운데 “제1”, “제2”, “첫째” 또는“둘째”등의 표현들이 실시 예들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수식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표현들은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및/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표현들은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 짓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에 포함된 학습페이지와, 각각의 학습페이지에 포함된 어휘학습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는 복수의 학습페이지(10)를 가지며, 상기 학습페이지(10) 각각은 독립된 어휘학습영역(100)을 하나 이상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휘학습영역(100) 각각은 학습자에게 이해시키고 학습시키기 위한, 주제어휘에 대한 다양한 학습용 자료가 모두 체계적으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하나의 주제어휘는 상기 어휘학습영역(100) 하나만으로 모두 설명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어휘학습영역(100) 각각은 상기 학습페이지(10) 하나를 넘지 않는 분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하나의 학습페이지(10)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휘학습영역(100)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서는 하나의 학습페이지(10)에 두 개의 어휘학습영역(100)을 가지는 사례가 도시되어 있다.
한편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영역(100)의 제1실시예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 각각은,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어휘(111)가 표시되는 주제부(110) 및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어휘풀이(121)가 표시되는 풀이부(120)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좌측에 상기 주제부(110)가 위치하도록 하고, 우측에 상기 풀이부(120)가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학습자의 시선이 좌측부터 시작하여 우측으로 흐르는 것이 자연스럽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먼저 주제어휘(111)를 본 다음에 어휘풀이(121)를 보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주제부(110)에는, 상기 주제어휘(111)가 표시될 때,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1110)가 포함된 보조어휘(115)가 같이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어휘(115)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1110)로 시작하거나,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로 끝나는 단어 또는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를 포함하는 단어들 중에서 학습자의 수준을 감안하여 쉽게 느껴지거나 친숙하고 익히 알만한 단어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의 사례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제어휘(111)는 ‘도용’이고, 이 때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는 ‘도’(1110a)와 ‘용’(1110b)이 될 것인데, 이에 대응되는 각각의 보조어휘(115)는 낱글자 ‘도’(1110a)로 시작되는 ‘도둑질’(115a)과 낱글자 ‘용’(1110b)으로 끝나는 ‘사용’(115b)이 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1실시예에서 상기 주제부(110)에 포함되는 상기 주제어휘(111)는 가로쓰기로 하고, 상기 보조어휘(115)는 세로쓰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보조어휘(115)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a)가 위치한 곳에서 세로쓰기로 시작하여 아래방향으로 표시하거나(115a),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b)가 있는 위치에서 끝나도록 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115b)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보조어휘(115)가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로 시작하는 어휘인 경우에는 상기 주제어휘의 낱글자(1110)에서 시작하여 아래방향으로 표시하고, 상기 보조어휘(115)가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로 끝나는 어휘인 경우에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가 있는 위치에서 끝나도록 위에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로 시작하거나 끝나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찾을 수 없거나 적정하지 않은 단어 밖에 없는 경우에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가 중간에 포함된 어휘를 상기 보조어휘(115)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학습자의 주목을 끌 수 있도록 시각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로 시작하는 단어나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낱글자(1110)로 끝나는 단어로만 상기 보조어휘(115)를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풀이부(120)에는 상기 어휘풀이(121)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어휘풀이(121)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모두 포함하는 문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어휘풀이(121) 문장에는 ‘도둑질’이라는 보조어휘(115a)와 ‘사용’이라는 보조어휘(115b)가 모두 사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 때 각각의 보조어휘(115) 즉,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에 대응되는 각각의 보조어휘(115a, 115b)는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의 순서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각의 보조어휘(115a, 115b)를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 순서대로 하면 ‘도둑질’(115a)이 먼저 나오고 ‘사용’(115b)이 나중에 나오므로 상기 어휘풀이(121)의 문장에도 ‘도둑질’(115a)이 먼저 나오고 ‘사용’(115b)이 나중에 나오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의 사례에서 상기 어휘풀이(121)는 “도둑질하여 사용함”이라는 문장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렇게 상기 어휘풀이(121)를 구성하게 되면, 상기 주제부(110)를 보는 과정에서 상기 어휘풀이(121)가 자연스럽게 연상되거나 추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풀이부(120)에서, 상기 어휘풀이(121) 문장에 포함된 상기 보조어휘(115)를 표시함에 있어서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구성하는 낱글자 중 상기 주제어휘(111)의 낱글자(1110)에 해당하는 낱글자에 대하여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렇게 하는 경우 상기 구별되는 색상으로 되어있는 글자만 읽게 되면, 상기 주제어휘(111)로 읽히게 되는 것이며, 이를 통하여 이 어휘풀이(121) 문장이 해당 주제어휘(111)에 관한 문장이라는 것을 학습자가 용이하게 파악하고, 이를 통하여 학습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어휘(115)를 구성하는 낱글자 모두는 볼드체나 밑줄 등으로 강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학습자는 강조된 글자인 상기 보조어휘(115)만 읽어도 상기 어휘풀이(121) 문장의 대부분이 읽혀지는 것이어서 이를 통하여 학습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게 된다. 즉 도 2의 사례에서 보듯이 ‘도둑질’(115a)과 ‘사용’(115b)이라는 보조어휘는 모두 볼드체로 하고, 그 중 상기 주제어휘(111)의 낱글자(1110a, 1110b)에 해당하는 ‘도’ 와 ‘용’은 오렌지색으로 하며, 나머지 글자들은 검은 색으로 사용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주제부(110)에 포함된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는, 상기 구별되는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역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구별되는 색상인 오렌지색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낱글자를 흰색으로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역상표시가 되게 하는 것이다. 이와 더불어 상기 주제부(110)에 포함된 상기 보조어휘(115) 중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를 제외한 글자들은, 상기 구별되는 색상과 대조되는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보조어휘(115) 중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를 제외한 글자들인 ‘둑질’과 ‘사’는 오렌지색과 대조될 수 있는 연한 회색바탕의 사각형 안에 검정색 또는 진한 회색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기 주제어휘(111)와 상기 보조어휘(115)는 서로 대조되어 비교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상기 보조어휘(115)가 상기 주제어휘(111)를 설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제1실시예에서, 상기 주제어휘(111)가 4개의 낱글자(1110)로 이루어 진 사례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제어휘(111)가 세 개 이상의 낱글자로 이루어 진 경우에도 얼마든지 적용할 수 있으며, 이는 앞으로 설명하는 모든 실시예에서도 마찬가지이다.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주제어휘(111)는 ‘동문서답’이며,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1110)는 ‘동’(1110a), ‘문’(1110b), ‘서’(1110c), ‘답’(1110d)이 될 것이며, 상기 각각의 낱글자로 시작되거나 끝나는 상기 보조어휘(115)는 각각 ‘동쪽’(115a), ‘질문’(115b), ‘서쪽’(115c) 및 ‘대답’(115c)이 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풀이부(120)에 포함되는 상기 어휘풀이(121)는 “동쪽을 질문하는데, 서쪽을 대답함”이 되며, 이는 상기 보조어휘(115)가 차례대로 포함된 문장이어서 상기 주제부(110)만 보더라도 “동쪽을 질문하는데, 서쪽을 대답함”이라는 문장이 자연스럽게 추정 또는 연상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보조어휘(115) 안에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가 상기 구별되는 색으로 포함되므로 상기 구별되는 색의 낱글자만 읽으면 ‘동문서답’이 되므로 어휘를 쉽게 이해하고 익힐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위에서 설명한 제1실시예와 비교해 볼 때, 상기 주제부(110)에서 상기 주제어휘(111)를 가로쓰기로 하고 상기 보조어휘(115)를 세로쓰기로 한 제1실시예와 달리, 제2실시예에서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세로쓰기로 하고 상기 보조어휘(115)를 가로쓰기로 한 점만 다를 뿐 나머지는 모두 동일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주제부(110)에서 상기 주제어휘(111)는 가로쓰기 또는 세로쓰기로 표시될 수 있으며, 상기 보조어휘(115)는,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 위치에 맞추어 상기 각각의 낱글자(1110a, 1110b)를 포함하여 표시되도록 하되, 상기 주제어휘(111)가 가로쓰기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세로쓰기로 표시되고, 상기 주제어휘(111)가 세로쓰기인 경우에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가로쓰기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5는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바 있는 제1실시예 또는 제2실시예의 특징에 더하여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풀이부(120)에는, 상기 어휘풀이(121)외에도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보충설명(122)이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상기 보충설명(122)에는 상기 보조어휘(115)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어휘풀이(121)는 상기 보조어휘(115)를 사용하고, 상기 보조어휘(115)는 상기 주제어휘(111)의 낱글자(1110)를 포함하는 어휘이기 때문에 상기 어휘풀이(121)는 한자어 중심의 설명이 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충설명(122)을 더 포함하도록 하고, 상기 보충설명(122)에 상기 보조어휘(115)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였기 때문에 상기 보충설명(122)에서 한자어는 제한적으로만 들어가게 되며 우리말 중심의 풀이가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따라 학습자는 주제어휘에 대하여, 한자어 해석 중심인 상기 어휘풀이(121)와 함께 우리말 중심 해석인 상기 보충설명(122)을 대비하여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서로 대비되는 뜻풀이를 통하여 학습자의 이해와 학습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제4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제1실시예 내지 제3실시예의 특징들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독서훈련부(130) 및 압축문장부(140)를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독서훈련부(130)는 독서훈련용 읽을거리가 표시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에는 상기 주제어휘(111)가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학습자는 상기 주제부(110) 및 상기 풀이부(120)를 통하여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학습을 한 후에 상기 독서훈련부(130)에 포함된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읽음으로서 상기 주제어휘(111)가 실제 적용된 사례를 살펴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주제어휘(111)의 뜻을 더욱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일정량의 독서를 통하여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압축문장부(140)는 상기 독서훈련부(130)에 독서훈련용으로 제시된 상기 읽을거리를 압축한 압축문장이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축문장은 상기 읽을거리의 내용을 압축하되,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도록 압축한 문장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압축문장부(140)에서 제시되는 상기 압축문장은 앞뒤 문맥을 통해 상기 주제어휘(111)의 뜻을 새길 수 있는 중심문장을 간추려서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학습자로 하여금 어휘력 향상과 더불어 지문독해를 도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서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거두게 된다. 상기 독서훈련부(130) 및 상기 압축문장부(140)에 포함된 상기 주제어휘(111)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 즉 상기 주제부(110) 및 상기 풀이부(120)에 사용된 상기 구별되는 색상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독서훈련부(130) 및 상기 압축문장부(140)를 통한 학습과정에서도 상기 주제어휘(111)를 자연스럽게 학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대한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5실시예는 위에서 살펴 본 제4실시예의 특징들 모두에 더하여,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에 표제부(150) 및 문제훈련부(160)을 더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제부(150)는 식별번호(151), 상기 주제어휘 표시부(152) 및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한 한자풀이(153)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식별번호(151)는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의 순서 및 위치를 식별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추후에 설명할 ‘복습용 목차영역’에서도 사용되는 수단이기도 하다. 그리고 상기 주제어휘 표시부(152)는 상기 식별번호(151) 옆의 적정위치에 상기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한자풀이(153)는 상기 주제어휘(111)를 구성하는 각각의 낱글자(1110)에 대한 한자에 그 뜻과 음을 병기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제어휘(111)가 ‘도용’인 경우 한자 ‘盜用’에 ‘도둑 도’ 및 ‘쓸 용’을 병기해 주는 것이다. 또한 상기 문제훈련부(160)는 학습자가 학습한 상기 주제어휘(111)에 관한 문제가 제시되는 부분으로서, 어휘풀이(121), 보충설명(122), 독서훈련부(130) 및 압축문장부(140)를 통하여 익힌 어휘의 뜻을 확인문제를 통하여 다시 익히고 문제적응력도 기를 수 있게 하는 부분이다.
또한 도 7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서 상기 어휘학습영역(100) 각각은, 가장 상단에 상기 표제부(150)가 위치하도록 하며, 상기 주제부(110), 상기 풀이부(120), 상기 독서훈련부(130), 상기 압축문장부(140) 및 상기 문제훈련부(160)는 상기 표제부(150) 하단에 위치하도록 하되, 좌측에는 상기 주제부(110)가 위치하며,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상기 풀이부(120), 상기 독서훈련부(130), 상기 압축문장부(140) 및 상기 문제훈련부(160)의 순서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본 발명은 이러한 배치를 통하여 학습자가 상기 주제부(110), 상기 풀이부(120), 상기 독서훈련부(130), 상기 압축문장부(140) 및 상기 문제훈련부(160)의 순서로 학습을 할 수 있게되며, 이에 따라 어휘를 익한다음에 독서훈련을 통하여 적용사례를 익히고, 마지막으로 문제훈련을 통하여 문제적응력을 기를 수 있게 된다. 도 8은 지금까지 살펴 본 상기 어휘학습영역(100)이 상기 학습페이지(10)에 실제로 적용된 사례를 보여주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에서, 복습목차 페이지와 복습목차 페이지에 포함된 복습용 목차영역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어휘학습교재는 상기 학습페이지(10)와는 별개로 상기 복습목차 페이지(2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복습목차 페이지(20)에는 도 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200)이 복수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0에는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200)의 상세내용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200) 각각은 도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주제어휘(111)를 하루 정도에 학습할 수 있는 분량으로 모아놓고 각각의 주제어휘(111)별로 상기 식별번호(151) 및 상기 식별번호에 대응되는 각각의 주제어휘(111)를 표시하도록 한 후, 상기 주제어휘(111)에 대응되는 상기 읽을거리에 대한 요약제목(201)을 포함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약제목(201)은 상기 독서훈련부(130)에 포함되어 있는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요약한 제목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 압축문장의 경우 상기 주제어휘(111)가 포함되어 압축된 것이지만, 상기 요약제목(210)에는 상기 주제어휘(111)가 포함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학습자는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200)에서 상기 주제어휘(111)와 상기 요약제목(201)을 보고, 이에 힌트를 얻어 상기 독서훈련부(130)에서 제시된 읽을거리와 상기 압축문장부(140)에 제시된 압축문장을 연상할 수 있으며, 그 과정에서 보조어휘(115)까지도 연상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200)만 보고도 그날에 학습한 모든 주제어휘(111)에 대한 복습을 할 수 있으며, 복습하는 과정에서 충분히 숙지하지 못했다고 판단되는 주제어휘(111)에 대하여는 상기 주제어휘가 위치한 페이지(202)를 참조하여 다시 찾은 후 미흡하게 익힌 주제어휘에 대한 재학습을 편리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어휘학습교재에서 복습목차 페이지와 복습목차 페이지에 포함된 복습용 목차영역의 실제 사례이다.
상술한 여러 가지 예로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예들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학습페이지 20 복습목차 페이지
100 어휘학습영역
110 주제부 111 주제어휘 115 보조어휘 120 풀이부
121 어휘풀이 122 보충설명
130 독서훈련부 140 압축문장부
150 표제부 151 식별번호
152 주제어휘 표시부 153 한자풀이
160 문제훈련부
200 복습용 목차영역
201 요약제목 202 주제어휘가 위치한 페이지
1110 낱글자

Claims (8)

  1. 복수의 학습페이지와 복습목차 페이지를 가지며, 상기 복수의 학습페이지 각각은 독립된 어휘학습영역을 하나 이상 포함하는 어휘학습교재로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학습하고자 하는 주제어휘가 표시되는 주제부;
    -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어휘풀이가 표시되는 풀이부;
    -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어 있는, 독서훈련용 읽을거리가 표시되는 독서훈련부; 및
    - 식별번호, 상기 주제어휘 및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한자풀이가 표시되는 표제부; 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부에는,
    - 상기 주제어휘와 같이 표시되는 보조어휘를 포함하되, 상기 보조어휘는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각각 하나씩 포함하되,
    - 상기 주제어휘는, 가로쓰기로 표시되며,
    - 상기 보조어휘는, 상기 주제어휘가 표시된 낱글자 각각의 위치에 맞추어,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포함하는 세로쓰기로 표시되되,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로 시작하거나,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로 끝나거나,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중간에 포함하는 어휘이며,
    상기 어휘풀이는, 상기 보조어휘를 모두 포함하는 문장이며,
    상기 풀이부에 포함된 상기 보조어휘는 볼드체로 하되, 상기 보조어휘에 포함된 낱글자 중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와 같은 글자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으로 표시되며,
    상기 주제부에 포함된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 각각은, 상기 구별되는 색상을 바탕색으로 하는 사각형 안에 백색으로 역상 표시하며
    상기 복습목차 페이지에는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을 요약하되, 상기 주제어휘가 일정분량이 되도록 모아 놓은 복습용 목차영역이 복수로 표시되며,
    상기 복습용 목차영역에는
    - 상기 식별번호,
    - 상기 주제어휘,
    - 상기 주제어휘에 대응되는,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에 대한 요약제목 및
    - 상기 주제어휘가 위치한 페이지가 포함되며,
    상기 요약제목에는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풀이의 문장에서,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 각각에 대응되는 보조어휘는 상기 주제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 각각의 순서대로 위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이부에는, 상기 주제어휘에 대한 보충설명이 더 포함되어 표시되되, 상기 보충설명에는 상기 보조어휘가 포함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상기 독서훈련용 읽을거리를 압축하되, 상기 주제어휘가 포함되도록 압축한 문장이 표시되는 압축문장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 상기 주제어휘에 관한 문제가 제시되는 문제훈련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표제부, 상기 독서훈련부 및 상기 압축문장부에 포함된 상기 주제어휘는 다른 글자와 구별되는 색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어휘학습영역 각각은
    가장 상단에 상기 표제부가 위치하며,
    상기 주제부, 상기 풀이부, 상기 독서훈련부, 상기 압축문장부 및 상기 문제훈련부는 상기 표제부 하단에 위치하되,
    좌측에는 상기 주제부가 위치하며, 우측에는 위에서부터 상기 풀이부, 상기 독서훈련부, 상기 압축문장부 및 상기 문제훈련부의 순서로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8. 삭제
KR1020190143348A 2019-11-11 2019-11-11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KR1023005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48A KR102300519B1 (ko) 2019-11-11 2019-11-11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3348A KR102300519B1 (ko) 2019-11-11 2019-11-11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44A KR20210056644A (ko) 2021-05-20
KR102300519B1 true KR102300519B1 (ko) 2021-09-09

Family

ID=76142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3348A KR102300519B1 (ko) 2019-11-11 2019-11-11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519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0891B1 (ko) * 2012-05-16 2013-12-13 백성욱 큐알코드를 활용한 학습기능을 제공하는 자격증 교재
KR20160000383A (ko) * 2014-06-24 2016-01-04 안인숙 한자어 학습용 교재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사자생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6644A (ko) 2021-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Zhou Learning styles and teaching styles in college english teaching.
US20080206724A1 (en) Vowel based method of teaching the reading of English
JP2004046274A (ja) アルファベットのイメージ音読システム
Fotovatian et al. Comparison of the efficiency of reading comprehension strategies on Iranian university students' comprehension
Zhang et al. Research on L2 Chinese character acquisition
Budiharso Reading strategies in EFL classroom: A theoretical review
McCarthy Grammar Drills: What CALL Can and Cannot Do.
Rotter Creating instructional materials for all pupils: Try COLA
KR102300519B1 (ko) 어휘를 구성하는 낱글자를 통하여 어휘를 익힐 수 있는 어휘학습교재
Okuyama CALL Vocabulary learning in Japanese: Does Romaji help beginners learn more words?
Yusuf Towards improvement in the teaching of reading comprehension in primary schools: The need to activate pupils’ relevant schema
Williams Post-intensive instruction effects on L2 English lexical development
Bodrova et al. A framework for early literacy instruction: Aligning standards to developmental accomplishments and student behaviors. Pre-K through kindergarten
KR102622876B1 (ko) 한자 학습 교재
Tsai The role of visuo-spatial and verbal working memory in L2 Japanese reading proficiency
Hajilari Does cultural knowledge matter?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ultural knowledge on reading comprehension of Iranian EFL learners
JP2014021417A (ja) 外国語単語学習用教材及び外国語単語教育方法
Rasiban et al. Using Mnemonic-Based Applications to Learning Japanese Hiragana Characters
Bentley Teaching spelling: Some questions answered
Putri An Analysis if Students Ability In Reading Comprehension Descriptive Text At The Tenth Grade of SMKN 5 Padang
KR950013465B1 (ko) 한자 학습교재
Fregeau et al. Assessing ELLs in ESL or mainstream classrooms: Quick fixes for busy teachers
Benjamin Linguistic Justice: Black Language, Literacy, Identity, and Pedagogy
Montgomery Dyslexia in the L2 Classroom: Recognizing and Supporting Undiagnosed Students in Japan
Bushra et al.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Reading Skills by Using Cartoon Clips/Comic Strips in Saudi Contex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