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0377B1 -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 Google Patents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0377B1
KR102300377B1 KR1020200008430A KR20200008430A KR102300377B1 KR 102300377 B1 KR102300377 B1 KR 102300377B1 KR 1020200008430 A KR1020200008430 A KR 1020200008430A KR 20200008430 A KR20200008430 A KR 20200008430A KR 102300377 B1 KR102300377 B1 KR 1023003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tone
coupling member
grinder
grinding
manufact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84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4776A (ko
Inventor
최승용
Original Assignee
최승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용 filed Critical 최승용
Priority to KR10202000084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0377B1/ko
Publication of KR20210094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47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03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03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18/00Manufacture of grinding tools or other grinding devices, e.g. whe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4D18/009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3/0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 B24D3/02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 B24D3/20Physical features of abrasive bodies, or sheets, e.g. abrasive surfaces of special nature; Abrasive bodies or sheets characterised by their constituents the constituent being used as bonding agent and being essentially organic
    • B24D3/28Resins or natural or 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DTOOLS FOR GRINDING, BUFFING OR SHARPENING
    • B24D5/00Bonded abrasive wheels, or wheels with inserted abrasive blocks, designed for acting only by their periphery; Bushings or mountings therefor
    • B24D5/16Bushings; Mountings

Abstract

본 발명의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은, a) 연삭숫돌 재료를 배합하는 단계; b) 배합된 연삭숫돌 혼합재료를 연삭숫돌 형상으로 성형하여 연삭숫돌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재료로 가공제조된 결합부재를 상기 b) 단계를 거쳐 성형된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쳐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소성시킴으로써,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이 소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재가 일체화된 연삭숫돌이 완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Grinding wheel manufacturing method integrally equipped with grinder coupling members and grinding wheel manufactured by this same method}
본 발명은 착탈이 용이하도록 개선된 연삭숫돌을 원가절감과 사용성이 향상되도록 개선한 연삭숫돌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착탈이 용이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그라인더는 본체에 설치된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둥근 연삭숫돌을 장착하여 회전동작시켜 공작물을 연마하거나 절단작업을 하는 장치로서, 재료를 잘라낸 부분에 버(burr)를 제거하거나 용접 가공을 한 후 용착부분에 생기는 띠모양의 용접비드(Weld Bead)를 제거하거나, 철골의 절단 등에 사용된다.
이러한 그라인더는 이동 편리성에 따라 고정형과 휴대형으로 나눠지며, 고정형 그라인더는 다량의 가공물을 정해진 장소에서 가공하는데 적합하며, 휴대형 그라인더는 여러 장소의 소량의 가공물을 가공하는데 적합하다.
이동 및 휴대가 편리한 휴대형 그라인더는 철물 가공, 생산 제조, 건축, 인테리어, 간판 등 산업전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통상적으로, 휴대형 그라인더는 고정형 그라인더에 장착되는 연삭숫돌보다 작은 지름 100mm~125mm의 연삭숫돌이 사용되며, 이에 따라 마모에 의한 연삭숫돌 교체를 자주 해주어야 한다.
하지만, 연삭숫돌을 교체할 경우, 그라인더에 장착된 연삭숫돌을 먼저 분리해야 하는데, 이때, 별도의 소켓 렌치와 스패너를 이용하여 스패너로는 피동축을 잡고 소켓 렌치로 연삭숫돌을 피동축에 고정시키고 있는 너트를 풀거나 결합시켜야 한다.
하지만, 너트가 피동축에 나사결합되어 연삭숫돌에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너트를 풀기가 어려워 많은 힘이 들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연삭숫돌을 조립할 때도 많은 힘과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등록특허 10-1900082호에서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를 제시하였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인에 제시된 등록특허 10-1900082호의 그라인더는 몸체(1001)에 내장된 모터(1002)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는 피동축(1003)이 구비된 그라인더(1000)에 있어서, 상방으로 형성된 결합홈(1111)의 내주면에 제1 고정홈(1113)이 형성된 고정부재(1110)의 중앙이 상기 피동축(1003)에 관통 삽입되고, 상기 피동축(1003)에 삽입 및 체결되며 고정부재(1110)를 상기 피동축(1003)에 고정시키는 스페이서(1120) 및 고정너트(1130)가 구비된 고정구(1100); 및 상기 고정구(110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1210)의 상면에 연삭숫돌(10)이 배치되고, 상기 결합부재(1210) 상측에 상기 연삭숫돌(10)을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클립(1220)이 결합된 디스크(1220);를 포함한다.
이러한 그라인더는 작업에 사용될 연삭숫돌(10)의 양측에서 결합부재(1210) 및 고정클립(1220)을 결합하여 연삭숫돌(10)에 디스크(1200)를 결합시켜 준비한다, 이때, 고정클립(1120)에 형성된 걸림턱(1222)을 연삭숫돌(10)의 중공부에 관통시키고, 결합부재(1210)에 형성된 제2고정홈(1213)에 걸리도록 결합시킬 수 있다.
피동축(1003)에 고정부재(1110)를 관통삽입하고 스페이서(1120) 및 고정너트(1130)를 통해 피동축(1003)에 고정시키는 형태로 고정구(1100)를 피동축(1003)에 결합시켜 놓은 상태에서, 결합부재(1210)에 형성된 고정돌기(1214)를 고정부재(1110)에 형성된 제1고정홈(1113)에 삽입하고 회전시켜 결합하는 방식으로, 연삭숫돌(10)이 조립된 디스크(1200)를 고정구(1100)에 결합하여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종래의 그라인더는 연삭숫돌(10)의 교체 장착이 용이하기는 하나, 연삭숫돌(10)을 피동축(1003)에 고정된 고정구(1100)에 결합시키기 위한 디스크(1200) 즉, 결합부재(1210) 및 고정클립(1220)이 플라스틱 사출에 의해 형성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결합부재(1210) 및 고정클립(1220)이 연삭숫돌(10)에 조립되는 형태였기 때문에, 실제 제품 생산 시와 작업자 사용 시에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었다. 제품 생산 시 문제점으로는 우선, 제품 생산 시 플라스틱 사출품을 별도 생산하여 소성된 연삭숫돌의 결합구 위치에 별도로 가공부착하거나(첫번째 방법), 소성하여 열경화된 연삭숫돌을 특수하게 가공된 사출기계에 삽입하여 결합구를 부착하는 방식으로 생산(두번째 방법)하므로 우선 생산 과정상에 추가 공정이 많게 되어 대량생산되더라도 원가를 낮추기가 어렵고 생산과정상 불량률을 제어하기도 어려워, 결국에는 소비자에게 공급되는 가격이 기존 제품의 가격에 비하여 현저하게 높게 됨에도 불구하고 사용자 만족도는 떨어지는 등 사용자 접근성이 부족하였다.
또한 제품 사용 시 문제점으로는, 이미 소성되어 열경화된 연삭숫돌에 후가공 형태로 플라스틱 결합구를 부착함으로서 열경화된 연삭숫돌과 나중에 결합하게 되는 결합구를 완전히 일치시키기 어려워 일반적으로 12,000rpm이상으로 회전하며 사용되는 휴대용 그라인더 연삭숫돌의 사용 환경 상, 완전한 동심성(同心性)과 일체성(一體性)을 확보하지 못하여, 고속회전되며 사용하는 작업 특성상 떨림이 심하게 되면 작업자의 작업 정확성이 낮아지며 작업자 피로도가 상승하고, 이를 장시간 사용하게 되면 근골격계 질환에 노출될 수 있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00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서, 본 출원인에 의해 제시했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00082호의 그라인더를 개선하여 그라인더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재를 다이케스팅을 이용한 금속재질로 구성하하고 연삭숫돌의 제조과정 중에서 연삭숫돌에 일체화시킴으로써 기존 연삭숫돌의 그라인더 구동에 따른 동심성 문제를 해소하고 기존 그라인더의 디스크에 대한 구성을 간소화하여 제조원가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개선된 형태를 갖는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은, a) 연삭숫돌 재료를 배합하는 단계; b) 배합된 연삭숫돌 혼합재료를 연삭숫돌 형상으로 성형하여 연삭숫돌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재료로 가공제조된 결합부재를 상기 b) 단계를 거쳐 성형된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에 결합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쳐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소성시킴으로써,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이 소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재가 일체화된 연삭숫돌이 완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a) 단계는 연삭숫돌의 주재료인 인조지립과 분말 형태의 알킬페놀수지 를 혼합한 혼합원료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원료에 액상 형태의 알킬페놀수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130~250℃의 온도에서 20시간 이상 동안 소성하여 열경화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은 그라인더의 피동축에 고정결합된 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연삭숫돌의 하면에 동심축으로 일체화된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부싱(Bushing)의 역할을 하는 결합부재를 기존의 플라스틱 사출가공으로 제작한 사출부싱을 사용하지 않고, 소성과정에서 열변형이 되지 않는 금속재료를 다이케스팅 가공하여 결합부재 형태로 제조힌 금속재질의 결합부재를 준비하고, 이 금속재질의 결합부재를 연삭숫돌의 제조과정의 소성 전단계에서 성형된 연삭숫돌에 부착결합한 후, 금속재질의 결합부재가 부착결합된 성형된 연삭숫돌을 함께 소성시킴으로써 결합부재가 연삭숫돌에 영구히 일체화된 것이기 때문에, 동심성이 일정하여 생산 공정상에 불량률을 제어하거나 결합방식 등의 개선 필요 사항이 발생하였을 때, 이를 생산에 적용하기에 용이하고, 휴대용 그라인더에 장착하여 사용할 때 동심성(同心性)의 불일치로 인한 떨림 현상이 없어 안정적인 사용성을 확보할 수 있어 초기 본 발병의 의도대로 간편하게 착탈이 가능하고, 가격이 합리적이며, 착탈 방식의 변경으로 인한 또 다른 불편함이 없어 사용자의 사용성이 우수해져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작업자의 피로도를 감소시켜 연삭능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기존의 고정클립의 구성이 필요가 없어 부품수를 줄일 수 있을 뿐 아니라, 결합부재에 마찰돌기나 고정홈 등의 복잡한 구조가 필요 없기 때문에 결합부재의 구조를 대폭 간단하게 구성하여 제조가 매우 용이함은 물론, 생산 후 별도 과정을 통하여 추가 공정하지 않으므로 원가가 큰 폭으로 절감되고 기능적인 부문에서도 사용자에게 적합한 제품으로 발명되었다.
도 1은 종래의 그라인더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그라인더의 고정구 및 디스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1의 그라인더의 고정구 및 디스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삭숫돌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삭숫돌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삭숫돌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직각으로 도시된 식각 영역은 라운드지거나 소정 곡률을 가지는 형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은 속성을 가지며, 도면에서 예시된 영역들의 모양은 소자의 영역의 특정형태를 예시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실시 예들은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들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아래의 특정 실시 예들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은 발명을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이해를 돕기 위해 작성되었다. 하지만, 본 발명을 이해할 수 있을 정도로 이 분야의 지식을 갖고 있는 독자는 이러한 여러 가지의 특정적인 내용들이 없어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경우에는, 발명을 기술하는데 있어서 흔히 알려졌으면서 발명과 크게 관련 없는 부분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 별 이유 없이 혼돈이 오는 것을 막기 위해 기술하지 않음을 미리 언급해 둔다.
이하,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의 연삭숫돌(100)은 하면에 결합부재(110)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며, 결합부재(110)에는 그라인더(1000)의 피동축(1003)에 결합되는 고정부(1100)에 조립하기 위한 고정돌기(112)가 구비된다.
본 발명의 연삭숫돌(100)은 주원료인 인조지립에 알킬페놀수지 분말 및 액상 수지를 결합제로 혼합 성형 건조 후 전기로 등의 소성로에셔 열경화시켜 제조되는 레지노이드(resinoid) 본딩형 연삭숫돌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연삭숫돌(100)은 결합부재(110)가 하면에 동심축으로 일체화된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연삭숫돌(100)의 제조를 위한 소성가공시 금속가공된 결합부재(110)를 연삭숫돌(100)과 함게 소성시킴으로써, 금속재질의 결합부재(110)가 연삭숫돌(100)에 완전히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삭숫돌의 제조방법은, 연삭숫돌의 재료배합단계(s10)와, 배합된 연삭숫돌 재료의 성형단계(s20)와, 금속재료로 가공제조된 결합부재를 연삭숫돌에 밀착시켜 결합하는 단계(s30); 결합부재와 연삭숫돌의 소성단계(s40)를 포함하는 과정을 통해 결합부재가 일체화된 연삭숫돌이 제조될 수 있다.
연삭숫돌의 재료배합단계(s10)은, 연삭숫돌의 주원료인 소정 입자 크기의 지립에 분말 및 액상 수지를 결합제로 혼합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분말 및 액상 수지로 이루어진 결합제는 접착력과 열흡수력, 기공 형성 등의 기능이 있어야 하는데, 우수한 가공용 수지로는 알킬페놀수지가 알려져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알킬페놀수지가 분말 형태와 액상 형태로 각각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즉, 본 발명에서 결합제는 액상 타입과 분말 타입의 두가지가 사용되며, 액상 타입 알킬페놀수지는 점결제(Resin Binder)로 사용하며 분말 타입 알킬페놀수지는 연삭숫돌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에서 연삭숫돌의 재료배합단계(s10)은 분말 형태의 알킬페놀수지와 인조지립을 배합하여 혼합분말을 준비하고, 이 준비된 혼합분말에 액상 알킬페놀수지를 혼합하여 반죽하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배합된 연삭숫돌 재료의 성형단계(s20)는, s10단계를 통해 반죽된 연삭숫돌의 재료반죽을 기계적인 과정을 통해 원형 디스크 등의 연삭숫돌 형상으로 성형하여 연삭숫돌 성형물을 제조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결합부재(110)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지며, 소정의 금속재료를 다이케스팅 가공을 통해 도 4와 같이 외주면에 고정돌기가 구비된 원판형태로 제조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결합부재를 연삭숫돌에 결합하는 단계(s30)는, s20 단계를 통해 제조된 연삭숫돌 성형물의 하면 금속재료로 가공제조된 결합부재(110)를 고압으로 밀착시켜 결합시키도록 구성된다.
다음으로, 결합부재와 연삭숫돌의 소성단계(s40)는, s30 단계를 거쳐 결합부재(110)가 밀착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130~250℃의 온도에서 20시간동안 이상, 고온 소성시킨다, 이로 인해, 연삭숫돌 성형물이 소성에 의해 연삭숫돌로 완성됨과 함께, 연삭숫돌(100)에 결합부재(110)가 완벽하게 결합되어 일체화됨으로써, 본 발명의 결합부재(110)가 일체화된 연삭숫돌(100)이 제조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본 발명의 결합부재(110)가 일체화된 연삭숫돌(100)은 기존과 동일하게 결합부재(110)의 고정돌기(112)를 그라인더의 피동축(1003)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1110)의 제1고정홈(1113)에 삽입하고 회전결합한 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연삭숫돌(100)은 결합부재(110)가 일체화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과 같이 별도로 플라스틱 사출제조된 결합부재와 고정클립을 연삭숫돌에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을 뿐 아니라, 동심성(同心性)을 갖게 되어 휴대용 그라인더에 결합시켜 사용 시 결합구의 조립상태로 인한 떨림 현상이 해소되어 사용자의 사용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게 되었다.
즉, 본 발명은 연삭숫돌(100)의 제조과정 중 소성과정 전에 금속재료로 이루어진 결합부재(110)를 연삭숫돌 성형물에 부착시킨 후, 연삭숫돌과 함께 고온에서 소정시간동안 소성시킴으로써, 연삭숫돌(100)에 결합부재(110)가 영구히 일체화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연삭숫돌과 결합구가 동심성을 갖게 되어 휴대용 그라인더의 동작 시 후가공형태로 결합한 결합구로 인한 떨림현상을 사라지게 하여 연삭효율이 월등히 향상될 수 있고, 작업성이 향상되어 애초 발명이 의도한 간편한 착탈방식과 사용자 편리성을 완전히 충촉시키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존에 비해 별도의 고정클립(1220)에 대한 구성이 필요 없기 때문에, 부품수를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해 제조단가를 대폭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기존의 결합부재에 형성되는 마찰돌기나 제2고정홈(1213) 등의 구성을 배제하여 결합부재(110)의 구조를 대폭 간단하게 설계할 수 있어 제조가 매우 용이하고 제조단가를 더욱 절감할 수 있게 해준다.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할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연삭숫돌
110...결합부재
112...고정돌기

Claims (4)

  1. 그라인더의 피동축에 고정설치된 고정부재의 고정홈에 삽입하고 회전결합하여 사용되는 연삭숫돌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a) 연삭숫돌 재료를 배합하는 단계;
    b) 배합된 연삭숫돌 혼합재료를 연삭숫돌 형상으로 성형하여 연삭숫돌 성형물을 제조하는 단계;
    c) 금속재료를 다이캐스팅 가공을 통해 제조된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고정홈에 결합이 이루어지는 고정돌기를 구비한 원판형태로 제조된 결합부재를 준비하고, 준비된 결합부재를 상기 b) 단계를 거쳐 성형된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에 밀착시켜 결합시키는 단계;
    d) 상기 c) 단계를 거쳐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소성시킴으로써, 상기 연삭숫돌 성형물이 소성되면서 상기 결합부재가 일체화된 연삭숫돌이 완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a) 단계는 연삭숫돌의 주재료인 인조지립과 분말 형태의 알킬페놀수지를 혼합한 혼합분말을 제조하고, 상기 혼합분말에 액상 형태의 알킬페놀수지를 혼합하여 반죽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상기 d) 단계는, 상기 결합부재가 결합된 연삭숫돌 성형물을 소성로에 넣어 130~250℃의 온도에서 20시간이상 동안 소성하여 열경화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기재된 연삭숫돌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로서,
    그라인더의 피동축에 고정결합된 고정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재가 연삭숫돌의 하면에 동심축으로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KR1020200008430A 2020-01-22 2020-01-22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KR1023003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30A KR102300377B1 (ko) 2020-01-22 2020-01-22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8430A KR102300377B1 (ko) 2020-01-22 2020-01-22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6A KR20210094776A (ko) 2021-07-30
KR102300377B1 true KR102300377B1 (ko) 2021-09-09

Family

ID=771484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8430A KR102300377B1 (ko) 2020-01-22 2020-01-22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0377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7886B1 (ko) * 2000-02-12 2002-10-25 제일연마공업주식회사 노패드 탄성 옵셋트 연삭숫돌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24297B1 (ko) * 2013-07-26 2015-06-03 제일연마공업주식회사 판유리 연마용 탄성휠 및 그 제조방법
KR101900082B1 (ko) 2018-05-14 2018-09-18 최승용 디스크의 교체가 용이한 그라인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4776A (ko) 2021-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90910B (zh) 手持式打磨機之研磨片拆裝裝置
EP1791678B1 (en) Grinding wheel
JP4365377B2 (ja) 鋸刃用の肩部ブッシュ
US9050706B2 (en) Segmented profiled wheel and method for making same
CN108698198B (zh) 手持式研磨机及手持式研磨机的研磨盘的结合方法
US9028303B2 (en) Abrasive article for shaping of industrial materials
JP2010052081A (ja) 回転砥石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って製造された回転砥石
KR102300377B1 (ko) 그라인더 결합부재를 일체로 구비한 연삭숫돌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연삭숫돌
CN101594967A (zh) 带有一体化安装板的盘式磨轮
US20200236904A1 (en) Enhanced Rotary Tool Grinder System and Method
JP2005501744A (ja) 研削ホイール用の埋込み式即時交換コネクタ
US20140045414A1 (en) Surface machining tool
KR101914269B1 (ko) 핸드 그라인더용 절단석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30096A (ko) 가공이 용이하도록 구성되는 그라인딩 공구 및 그의 제조방법
JP7233132B2 (ja) 回転刃具
KR102505476B1 (ko) 핸드 그라인더의 가공디스크 착탈장치
CN103386671B (zh) 用于将工作元件适配到动力工具轴端的适配器及成型方式
JP7020717B1 (ja) 回転刃具
KR102027063B1 (ko) 그라인딩기기의 조우와 연마패드 체결방법
SE544763C2 (en) Abrasive tools for grinding and polishing concrete surfaces
CN211029666U (zh) 一种切磨两用的砂布轮
KR200272369Y1 (ko) 복합구성의 연삭휠어셈블리
JPH0871926A (ja) メタルボンド砥石および該砥石の目立て装置
KR20230095724A (ko) 핸드 그라인더의 디스크 고정장치
JP2006026763A (ja) グラインダーディス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