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898B1 -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898B1
KR102299898B1 KR1020210107331A KR20210107331A KR102299898B1 KR 102299898 B1 KR102299898 B1 KR 102299898B1 KR 1020210107331 A KR1020210107331 A KR 1020210107331A KR 20210107331 A KR20210107331 A KR 20210107331A KR 102299898 B1 KR102299898 B1 KR 1022998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inlet
outlet
filter
flow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073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수
황필강
김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마이크로필터
Priority to KR10202101073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8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8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8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16Valves
    • B01D2201/167Single-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23/121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the refrigerator is characterised by a water filter for the water/ice dispen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31/00Details or arrangements of 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5D2331/80Type of cooled receptacles
    • F25D2331/806Dispens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원수를 정제하여 정수를 출수하는 필터와, 상기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제1 밸브와,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하는 제2 밸브와,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탱크와, 상기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제3 밸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WATER PURIFICATION SYSTEM AND REFRIGERATOR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로 정수를 공급하는 정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냉장고는 냉동사이클을 이동하여 내부에 저장실 내로 냉기를 공급함으로써, 상기 저장실 내의 식품을 신선하게 보관하는 가전기기이다.
또한, 냉장고는 냉장실 및 냉동실을 구비하고, 상기 냉동실에는 얼음이 저장된다.
최근의 냉장고는 아이스 메이커(Ice maker)를 구비하고, 사용자에게 음용수를 제공하는 디스펜서(Dispenser)가 설치되기도 한다.
따라서, 최근의 냉장고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로 정수된 물을 제공하기 위한 정수 시스템이 설치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필터(100), 밸브(200) 및 워터탱크(300)를 포함한다.
필터(100)는 원수를 공급받아 정제시킨 후, 정제된 정수를 출수한다. 필터(100)의 내부에는 상기 원수를 정제시키는 여과부재가 배치된다.
필터(100)는 입구 및 출구를 구비한다. 필터(100)의 입구에는 제1 유로(410)의 일단이 연결된다. 제1 유로(410)를 통해 원수가 필터(100)의 입구로 유입된다.
밸브(200)는 2웨이 밸브(2way valve)로 형성된다. 즉, 밸브(200)는 하나의 입구와 두 개의 출구를 구비한다. 밸브(200)의 입구는 필터(100)의 출구와 제2 유로(420)를 통해 연결된다. 필터(100)에서 출수되는 정수는 제2 유로(420)를 통과하여 밸브(200) 내로 유입된다.
밸브(200)의 두 개의 출구 중, 제1 출구는 냉장고에 구비된 아이스 메이커(500)와 제3 유로(430)를 통해 연결되고, 제2 출구는 워터탱크(300)의 입구와 제4 유로(440)를 통해 연결된다. 밸브(200)가 상기 제1 출구를 개방하는 경우, 밸브(200) 내의 정수는 제3 유로(430)를 통과하여 아이스 메이커(500)로 이동된다. 또한, 밸브(200)가 상기 제2 출구를 개방하는 경우, 밸브(200) 내의 정수는 제4 유로(440)를 통과하여 워터탱크(300)로 이동된다.
워터탱크(300)는 밸브(200)로부터 공급되는 정수를 저장하고, 저장된 정수를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펜서(600)로 공급한다.
워터탱크(300)의 출구는 냉장고에 구비된 디스펜서(600)와 제5 유로(450)를 통해 연결된다. 워터탱크(300) 내에 저장된 정수는 제5 유로(450)를 통해 디스펜서(600)로 이동된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910호(2010.07.15. 공개일)(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로 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의 정수 시스템은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필터 헤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는 물이 유입되는 제1유입구 및 제1유입유로가 형성되고, 물이 유출되는 제1유출구 및 제1유출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1유입유로 및 상기 제1유출유로를 연통하는 바이패스유로가 형성된다.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 구비된 밸브유닛이, 상기 제1유입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 사이와 상기 제1유출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 사이를 차단하고,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 사이를 개방하며, 상기 제1유출유로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 사이를 개방한다. 따라서,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 결합된 상태일 때,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필터 헤드 어셈블리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유입유로를 통해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를 거쳐서 정제된 후, 상기 제1유출유로를 거쳐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밸브유닛이 상기 제1유입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 사이와 상기 제1유출유로 및 상기 바이패스유로 사이를 개방하고, 상기 제1유입유로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 사이를 차단하며, 상기 제1유출유로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 사이를 차단한다. 따라서,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서 분리된 상태일 때, 상기 제1유입구를 통해 필터 헤드 어셈블리 내로 유입된 물은, 상기 제1유입유로를 통해 상기 바이패스유로로 유입된 후, 상기 제1유출유로를 거쳐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배출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 설치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 정수 시스템 내의 수압이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로 그대로 전달되기 때문에,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를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에 설치해서 사용하는 경우라도, 상기 정수필터 어셈블리 및 상기 필터 헤드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에 원수에 포함된 이물질이 끼이는 경우, 유로 내의 압력을 증가시키고, 이렇게 증가된 압력에 의해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제1유출구를 통해 배출된 정수가 저장탱크유닛에 저장된 후,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되는데, 상기 저장탱크유닛 내의 잔수가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로 유입되어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81910호(2010.07.15. 공개일)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필터 헤드에서 누수 발생 시 필터의 교체가 용이하고 상기 필터 헤드의 이물을 방지할 수 있는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필터, 제1 밸브, 제2 밸브, 워터탱크 및 제3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필터는 원수를 정제하여 정수를 출수한다. 상기 제1 밸브는 상기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한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한다.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로 공급한다. 상기 워터탱크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아이스 메이커로 제공되지 않고 상기 디스펜서에만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시스템에는 제1 유로, 제2 유로, 제3 유로, 제4 유로, 제5 유로, 분기관, 제6 유로, 제7 유로 및 제8 유로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1 밸브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1 밸브의 출구와 상기 필터의 입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3 유로의 일단은 상기 필터의 출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4 유로의 일단은 상기 제2 밸브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5 유로의 일단은 상기 워터탱크의 입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분기관은 상기 제3 유로의 타단과 상기 제4 유로의 타단과 상기 제5 유로의 타단을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6 유로는 상기 제2 밸브의 출구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7 유로는 상기 워터탱크의 출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입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8 유로는 상기 제3 밸브의 출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내에는 메쉬 필터(Mesh filt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의 출구 내에는 플로우 미터(Flow meter)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는 1웨이 밸브일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의 입구와 상기 제2 밸브의 입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의 입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입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밸브의 출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출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는 본체 및 정수 시스템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에는 저장실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는 상기 저장실에 적어도 하나의 서랍을 구비한다. 상기 정수 시스템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랍의 일측에 설치된다. 상기 정수 시스템은 제1 밸브, 제2 밸브, 워터탱크 및 제3 밸브로 구성된다. 상기 제1 밸브는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한다. 상기 제2 밸브는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정수를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한다. 상기 워터탱크는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한다. 상기 제3 밸브는 상기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로 공급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는, 필터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 밸브가 구성되기 때문에,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제1 밸브를 닫아 상기 원수를 차단하여서, 상기 아이스 메이커 및 상기 디스펜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물을 상기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제3 밸브가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디스펜서를 사용하지 않을 시 상기 제3 밸브를 닫아서 상기 워터탱크 내의 잔수가 상기 디스펜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상기 워터탱크 내의 잔수에 의한 상기 디스펜서에서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의 헤드에서 누수가 발생될 시 상기 제1 밸브를 닫아 상기 원수를 차단하여서, 누수 피해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필터의 교체시 상기 제1 밸브를 닫아 상기 원수의 압력을 해제하여 상기 필터를 쉽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내에 메쉬 필터가 배치되고, 제2 밸브의 출구 내에는 플로우 미터가 배치되기 때문에, 필터의 유량, 아이스 메이커 및 디스펜서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증가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제3 밸브가 사이즈가 작은 1웨이 밸브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정수 시스템을 냉장고에 설치 시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이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밸브 및 제3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이 설치된 냉장고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이 설치되는 냉장고(1)는, 저장실이 형성된 본체(7)와, 본체(7)의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8A, 8B, 9)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7)는 전면이 개구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체(7)의 개구된 전면은 상기 저장실의 개구된 전면일 수 있다. 도어(8A, 8B, 9)는 본체(7)의 전면이 개구된 상기 저장실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 및 냉동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은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어(8A, 8B, 9)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8A, 8B)와, 상기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9)를 포함할 수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냉장실이 상기 냉동실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경우에, 냉장실 도어(8A, 8B)는 냉동실 도어(9)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도 있다.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냉장실 도어(8A, 8B)는, 상기 냉장실의 일부를 개폐하는 제1 냉장실 도어(8A)와, 상기 냉장실의 나머지부를 개폐하는 제2 냉장실 도어(8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냉장실 도어(8A)는 상기 냉장실의 좌측부를 개폐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상기 냉장실의 우측부를 개폐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를 전방에서 바라볼 시, 제1 냉장실 도어(8A)는 제2 냉장실 도어(8B)의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냉장실 도어(8B)는 제1 내장실 도어(8A)의 우측에 배치될 수 있다.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 도어(8A, 8B)는 두 개로 구비되지 않고 하나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고, 냉동실 도어(9)는 하나로 구비되지 않고 두 개의 도어로 구비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냉장고는, 상기 냉장실이 구비되지 않고 냉동실만 구비된 냉동고로 형성될 수도 있고, 상기 냉동실이 구비되지 않고 상기 냉장실만 구비된 냉장고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실에는 식품을 내부에 보관하는 서랍(5, 6)이 배치될 수 있다. 서랍(5, 6)은 상기 냉장실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서랍(5, 6)은 전후로 슬라이딩 방식으로 개폐될 수 있다.
서랍(5, 6)은 제1 서랍(5) 및 제2 서랍(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랍(5) 및 제2 서랍(6)은 서로 좌우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서랍(5)의 양측과 제2 서랍(6)이 양측은, 냉장고(1)에서 데드존(A, B, C)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은 냉장고(1)의 데드존(A, B, C)중 하나에 설치되어, 냉장고(1)는 냉장실의 공간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정수 시스템은 반드시 상기 냉장실에 설치될 필요는 없고, 상기 냉동실에도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정수 시스템은 냉장고의 저장실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의 서랍의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냉장실에 서랍(5, 6)이 두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은 제1 서랍(5) 및 제2 서랍(6) 사이인 제1 데드존(A)과, 제1 서랍(5)의 외측인 제2 데드존(B)과, 제2 서랍(6)의 외측인 제3 데드존(C)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에 서랍이 하나만 구비되는 경우, 본원발명의 정수 시스템은 상기 서랍의 양측 중 하나에 설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은 냉장고(1)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정수 시스템은 커버(10), 필터(20), 밸브유닛(30; 도 5 참조) 및 워터탱크(40)를 포함할 수 있다.
커버(10)는 상기 정수 시스템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커버(10)는 상기 정수 시스템을 냉장고(1)에 설치하는 외부 구성일 수 있다.
필터(20)는 원수를 정제하여 정수를 출수할 수 있다. 워터탱크(40)는 필터(20)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할 수 있다. 워터탱크(40)는 상기 냉장실 내의 냉기와 열교환되어서 내부에 저장된 상기 정수를 냉각시킬 수 있다.
밸브유닛(30)은 3개의 밸브(31, 32, 33)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밸브유닛(30)은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31)는 필터(20)로 상기 원수를 공급할 수 있다. 제1 밸브(31)는 물의 흐름방향으로 필터(20)보다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에는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제1 밸브(31)의 내부로 유입된 원수가 출수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20)에는 제1 밸브(31)로부터 상기 원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필터(20)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원수가 정제된 정수가 출수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워터탱크(40)에는 필터(20)로부터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워터탱크(40) 내로 유입된 정수가 출수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밸브(32)는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냉장고(1)에 설치된 아이스 메이커(500)로 공급할 수 있다. 아이스 메이커(500)는 제2 밸브(32)로부터 공급되는 상기 정수를 냉각하여 얼음으로 만들 수 있다. 제2 밸브(32)에는 필터(20)로부터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제2 밸브(32)의 내부로 유입된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밸브(33)는 워터탱크(40)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600)로 공급할 수 있다. 디스펜서(600)는 냉장고(1)의 냉장실 도어(8) 전방측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600)는 사용자에게 상기 정수를 제공할 수 있다. 제3 밸브(33)에는 워터탱크(40)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정수가 유입되는 입구와, 상기 제3 밸브(33) 내로 유입된 상기 정수가 출수되는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밸브(31)의 입구에는 제1 유로(61)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제1 유로(61)는 타단을 통해 외부로부터 상기 원수를 제공받아 제1 밸브(31)로 공급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출구와 필터(20)의 입구는 제2 유로(62)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 유로(62)의 일단은 제1 밸브(31)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2 유로(62)의 타단은 필터(20)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출구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원수는 제2 유로(62)를 통과하여 필터(20)의 입구를 통해 필터(20)의 내부로 유입된 후, 필터(20)의 내부에 구비된 여과부재를 통해 정제될 수 있다.
필터(20)의 출구에는 제3 유로(63)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고, 제2 밸브(32)의 입구에는 제4 유로(64)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으며, 워터탱크(40)의 입구에는 제5 유로의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3 유로(63)의 타단과, 제4 유로(64)의 타단과, 제5 유로(65)의 타단은 분기관(5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20)의 출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는 제3 유로(63)를 통과하여 분기관(50)으로 이동될 수 있다. 분기관(50)으로 이동된 상기 정수는 제4 유로(64)를 통과하여 제2 밸브(32)의 입구를 통해 제2 밸브(32) 내로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분기관(50)으로 이동된 상기 정수는 제4 유로(64)를 통과하여 워터탱크(40)의 입구를 통해 워터탱크(40)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출구는 제6 유로(66)를 통해 아이스 메이커(5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6 유로(66)의 일단은 제2 밸브(32)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6 유로(66)의 타단은 아이스 메이커(5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출구로부터 출수되는 상기 정수는 제6 유로(66)를 통과하여 아이스 메이커(5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밸브(33)의 입구는 제7 유로(67)를 통해 워터탱크(40)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7 유로(67)의 일단은 워터탱크(40)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7 유로(67)의 타단은 제3 밸브(33)의 입구와 연결될 수 있다. 워터탱크(40)의 출구를 통해 출수되는 상기 정수는 제7 유로(67)를 통과하여 제3 밸브(33)의 입구를 통해 제3 밸브(33) 내로 유입될 수 있다.
제3 밸브(33)의 출구는 제8 유로(68)를 통해 디스펜서(6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8 유로(68)의 일단은 제3 밸브(33)의 출구와 연결될 수 있고, 제8 유로(68)의 타단은 디스펜서(6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3 밸브(33)의 출구를 통해 출수되는 상기 정수는 제8 유로(68)를 통과하여 디스펜서(600)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로(61), 제2 유로(62), 제3 유로(63), 제4 유로(64), 제5 유로(65), 제6 유로(66), 제7 유로(67) 및 제8 유로(68)는 길이방향을 따라 내부가 빈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8 유로(61, 62, 63, 64, 65, 66, 67, 68)는 길이방향을 따라 물을 이동시킬 수 있는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내지 8 유로(61, 62, 63, 64, 65, 66, 67, 68)는 튜브, 호스 및 금속관 중 적어도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밸브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밸브유닛(30)은 제1 밸브(31), 제2 밸브(32), 제3 밸브(33) 및 커플링 브래킷(34)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는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 중 어느 하나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입구(32A) 및 제3 밸브(33)의 입구(33A)는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는 제2 밸브(32)의 입구(32A) 및 제3 밸브(33)의 입구(33A) 사이의 중간 지점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는 제2 밸브(32)의 입구(32A) 및 제3 밸브(33)의 입구(33A)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 및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는 커플링 브래킷(34)에 결합되어 하나의 밸브유닛(3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밸브유닛(30)을 커버(10)에 설치가 용이해지고, 밸브유닛(30)이 차지하는 설치공간을 줄일 수 있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제1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2 밸브 및 제3 밸브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1 밸브(31)의 입구(31A) 내에는 메쉬 필터(Mesh filter; 35)가 배치될 수 있다. 메쉬 필터(35)는 제1 밸브(31)의 입구(31A)로 유입된 상기 원수에서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그리고, 제2 밸브(32)의 출구(32B) 내에는 플로우 미터(Flow meter; 36)가 배치될 수 있다. 플로우 미터(36)는 제2 밸브(32)의 출구(32B)를 통해 출수되는 상기 정수의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만약, 메쉬 필터(35) 및 플로우 미터(36)가 하나의 밸브에 설치되는 경우, 물이 메쉬 필터(35)를 통과하면서 물의 유량이 감소되고, 이후에 물이 플로우 미터(36)를 통과하면서 물의 유량이 한번 더 감소된다. 이 경우, 밸브에서 출수되는 물의 유량이 감소할 수 밖에 없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에서는 메쉬 필터(35) 및 플로우 미터(36)가 하나의 밸브에 설치되지 않고, 서로 다른 밸브에 설치되기 때문에, 정수 시스템의 전체 유로 내의 물의 유량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아이스 메이커(500) 및 디스펜서(600)로 공급되는 물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는 1웨이 밸브(1way valve)일 수 있다. 즉,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 각각은 하나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가질 수 있다.
2웨이 밸브는 하나의 입구와 두 개의 출구를 가지는 밸브로서, 1웨이 밸브에 비해 사이즈가 크게 형성된다. 따라서, 밸브유닛(30)이 2웨이 밸브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정수 시스템을 냉장고(1)의 데드존(A)에 설치할 시 공간적 제약을 받게 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은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가 모두 1웨이 밸브로 형성되기 때문에, 밸브유닛(30)을 냉장고(1)의 데드존(A)에 설치가 가능해질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 및 출구(31B)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일직선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 및 출구(31B)는 도면상 수평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 및 출구(31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입구(32A) 및 출구(32B)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되게 연장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입구(32A)는 도면상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2 밸브(32)의 출구(32B)는 도면상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3 밸브(33)의 입구(33A) 및 출구(33B)는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서로 직교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3 밸브(33)의 입구(33A)는 도면상 수평으로 연장되고, 제3 밸브(33)의 출구(33B)는 도면상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입구(32A)와 제3 밸브(33)의 입구(33A)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밸브(32)의 출구(32B)와 제3 밸브(33)의 출구(33B)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와 제2 밸브(32)의 입구(32A)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입구(31A)와 제3 밸브(33)의 입구(33A)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출구(31B)와 제2 밸브(32)의 입구(32A)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의 출구(31B)와 제3 밸브(33)의 입구(33A)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 각각의 입구(31A, 32A, 33A) 및 출구(31B, 32B, 33B)의 배치 구조를 통해 밸브유닛(30)의 전체적인 사이즈를 축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밸브유닛(30)의 사이즈 축소를 통해 상기 정수 시스템을 냉장고(1)의 데드존(A)에 설치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1)는, 필터(20)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 밸브(31)가 구성되기 때문에, 아이스 메이커(500) 및 디스펜서(6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제1 밸브(31)를 닫아 상기 원수를 차단하여서, 아이스 메이커(500) 및 디스펜서(600)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고, 필터(20)의 교체 시에도 제1 밸브(31)를 닫고 필터(2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워터탱크(40)에서 출수되는 정수를 디스펜서(600)로 공급하는 제3 밸브(33)를 구비하기 때문에, 디스펜서(600)를 사용하지 않을 시 제3 밸브(33)를 닫아서 워터탱크(40) 내의 잔수가 디스펜서(600)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서 디스펜서(600)에서 누수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31)의 입구(31A) 내에 메쉬 필터(35)가 배치되고, 제2 밸브(32)의 출구(32B) 내에는 플로우 미터(36)가 배치되기 때문에, 아이스 메이커(500) 및 디스펜서(600)로 공급되는 정수의 유량이 증가될 수 있다.
또한, 제1 밸브(31), 제2 밸브(32) 및 제3 밸브(33)가 사이즈가 작은 1웨이 밸브로 형성되기 때문에, 상기 정수 시스템을 냉장고(1)에 설치 시 공간적 제약을 적게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냉장고 10 : 커버
20 : 필터 31 : 제1 밸브
31A : 제1 밸브의 입구 31B : 제1 밸브의 출구
32 : 제2 밸브 32A : 제2 밸브의 입구
32B : 제2 밸브의 출구 33 : 제3 밸브
33A : 제3 밸브의 입구 33B : 제3 밸브의 출구
35 : 메쉬 필터 36 : 플로우 미터
40 : 워터탱크 50 : 분기관
61 : 제1 유로 62 : 제2 유로
63 : 제3 유로 64 : 제4 유로
65 : 제5 유로 66 : 제6 유로
67 : 제7 유로 68 : 제8 유로
500 : 아이스 메이커 600 : 디스펜서

Claims (6)

  1. 원수를 정제하여 정수를 출수하는 필터;
    상기 필터로 상기 원수를 공급하는 제1 밸브;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하는 제2 밸브;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탱크; 및
    상기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제3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3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되되,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는 하나의 커플링 브라켓에 연결되는 밸브유닛으로 구성되고 각각 하나의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1웨이 밸브로 형성되는 정수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밸브의 출구와 상기 필터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2 유로;
    상기 필터의 출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3 유로;
    상기 제2 밸브의 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4 유로;
    상기 워터탱크의 입구에 일단이 연결되는 제5 유로;
    상기 제3 유로의 타단과, 상기 제4 유로의 타단과, 상기 제5 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분기관;
    상기 제2 밸브의 출구와 상기 아이스 메이커를 연결하는 제6 유로;
    상기 워터탱크의 출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입구를 연결하는 제7 유로; 및
    상기 제3 밸브의 출구와 상기 디스펜서를 연결하는 제8 유로;를 더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내에 배치되는 메쉬 필터와,
    상기 제2 밸브의 출구 내에 배치되는 플로우 미터를 더 포함하는 정수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는 일직선상에 배치되는 정수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밸브의 입구와 상기 제2 밸브의 입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밸브의 입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입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밸브의 출구와 상기 제3 밸브의 출구는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수 시스템.
  6. 저장실이 형성되고, 상기 저장실에 적어도 하나의 서랍을 구비하는 본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랍의 일측에 설치되는 정수 시스템;을 포함하고,
    상기 정수 시스템은,
    필터로 원수를 공급하는 제1 밸브;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정수를 아이스 메이커로 공급하는 제2 밸브;
    상기 필터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저장하는 워터탱크; 및
    상기 워터탱크에서 출수되는 상기 정수를 디스펜서로 공급하는 제3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되고,
    상기 제3 밸브의 입구 및 출구는 서로 직교되게 연장되되,
    상기 제1 밸브, 상기 제2 밸브 및 상기 제3 밸브는 하나의 커플링 브라켓에 결합되는 밸브유닛으로 구성되고 하나의 입구와 출구를 포함하는 1웨이 밸브로 형성되는 냉장고.
KR1020210107331A 2020-03-18 2021-08-13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2998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07331A KR102299898B1 (ko) 2020-03-18 2021-08-13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034 2020-03-18
KR1020210107331A KR102299898B1 (ko) 2020-03-18 2021-08-13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034 Division 2020-03-18 2020-03-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898B1 true KR102299898B1 (ko) 2021-09-09

Family

ID=77777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7331A KR102299898B1 (ko) 2020-03-18 2021-08-13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89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38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81910A (ko)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08433A (ko) * 2011-07-12 2013-01-22 아이닉스 주식회사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2016002352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55741A (ko) * 2016-04-29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1038A (ko) * 2009-01-05 2010-07-14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00081910A (ko) 2009-01-07 2010-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20130008433A (ko) * 2011-07-12 2013-01-22 아이닉스 주식회사 필터카트리지가 장착된 냉온 살균정수꼭지
KR20160023528A (ko) * 2014-08-22 2016-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KR20160055741A (ko) * 2016-04-29 2016-05-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6914B2 (en) Water filter device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65417B1 (ko) 냉장고
EP2206996B1 (en) Refrigerator having a water filter device
US20150225225A1 (en) Refrigerator
KR20120006353A (ko) 냉장고
KR101717701B1 (ko) 정수필터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냉장고
KR102299898B1 (ko)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2314517B1 (ko) 정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EP1945061A1 (en) Modular kitchen furniture
BRPI0902419B1 (pt) refrigerador
KR20090077392A (ko) 정수시스템과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170067705A (ko) 냉장고
KR20140047336A (ko) 냉장고
CN116324317A (zh) 冰箱
KR101395112B1 (ko) 냉장고
KR100657766B1 (ko) 세균번식방지 시스템을 갖는 냉온수기
KR102131232B1 (ko) 냉장고
US20220381507A1 (en) Refrigerator
CN109708406A (zh) 冰箱水路系统及具有其的冰箱
KR100894475B1 (ko) 온수 공급 기능을 구비한 냉장고
KR100748521B1 (ko) 정수필터를 구비한 냉장고
KR200241242Y1 (ko) 김치냉장고용 냉매분배장치
KR20080101750A (ko) 냉장고
KR20220122176A (ko) 냉장고
KR20000073340A (ko) 필터내장형 냉장고의 정수유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