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112B1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112B1
KR101395112B1 KR1020120059839A KR20120059839A KR101395112B1 KR 101395112 B1 KR101395112 B1 KR 101395112B1 KR 1020120059839 A KR1020120059839 A KR 1020120059839A KR 20120059839 A KR20120059839 A KR 20120059839A KR 101395112 B1 KR101395112 B1 KR 101395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evaporator
chamber
door
roo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9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6203A (ko
Inventor
최석재
윤석대
이창익
Original Assignee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9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112B1/ko
Publication of KR201301362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62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refrigeration units with respect to devices or objects to be refrigerated, e.g. infrared detectors
    • F25D19/006Thermal coupling structure or inte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2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5/00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 F25B5/04Compress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with several evaporator circuits, e.g. for varying refrigerating capacity arranged in seri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25D11/0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 F25D11/022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with cooling compartments at different temperatures with two or more evapo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1Walls with condui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여, 보관온도가 비슷한 룸끼리 직렬로 냉매를 공급하여 보관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유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발명은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10-0678777호에 따른 냉장고에는 냉장고 본체(1)와, 냉동실(7)과, 제 1 냉장실(8) 및 제 2 냉장실(9)이 포함된다.
또한, 냉동실(7)을 개폐하기 위한 냉동실도어(2), 제 1 냉장실(8)을 개폐하기 위한 제 1 냉장실도어(3) 및 제 2 냉장실(4)을 개폐하기 위한 제 2 냉장실도어(4)가 포함된다.
상세하게, 상기 냉동실(7)의 상부에는 증발기(미도시)로부터 유입되는 냉기를 제 1 냉장실(8)로 보내기 위한 제 1 송풍팬(10)이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7)과 제 1 냉장실(8) 사이에는 제 1 송풍팬(10)에 의해 제 1 냉장실(8)로 냉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로 역할을 하는 제 1 덕트(12)가 형성되며, 제 1 덕트(12) 하부에는 제 1 냉장실(8)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동실(7)로 향하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제 1 냉기토출구(19)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냉동실(7)의 하부에는 증발기(미도시)로 부터 유입되는 냉기를 제 2 냉장실(9)로 보내기 위한 제 2 송풍팬(11)이 구비되고, 상기 냉동실(7)과 제 2 냉장실(9) 사이에는 제 2 송풍팬(11)에 의해 제 2 냉장실(9)로 냉기가 유입되기 위한 유로 역할을 하는 제 2 덕트(13)가 형성되며, 제 2 덕트(13)의 하부에는 제 2 냉장실(9)에서 순환된 냉기가 냉동실(7)로 향하도록 유로 역할을 하는 제 2 냉기토출구(20)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냉동실(7), 제 1 냉장실(8) 및 제 2 냉장실(9)의 일측에는 각각 제 1 온도센서(23), 제 2 온도센서(24) 및 제 3온도센서(25)가 부착되어 있어, 각각 별개로 구획된 냉동실(7), 제 1 냉장실(8), 제 2 냉장실(9)의 온도를 측정하여 미리 설정된 온도 또는 최고온도, 최저온도를 유지하도록 한다.
그러나, 종래의 이러한 냉장고는 저장실이 많아지게 되면 냉매 유로가 복잡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유로전환을 위한 밸브도 많이 설치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보관온도가 비슷한 룸끼리 직렬로 냉매를 공급하여 보관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유로 구조가 단순해지는 냉장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3저장실을 개폐하는 제3도어와, 상기 제4저장실을 개폐하는 제4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이며, 상기 제3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4저장실은 신선실이며, 상기 제1저장실은 상기 제2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1증발기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과 상기 제4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키거나, 상기 제1증발기는 상기 제3저장실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제4저장실을 냉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냉장고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냉장고 본체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실과,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와,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여, 보관온도가 비슷한 룸끼리 직렬로 냉매를 공급하여 보관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유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3저장실을 개폐하는 제3도어와, 상기 제4저장실을 개폐하는 제4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이며, 상기 제3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4저장실은 신선실이며, 상기 제1저장실은 상기 제2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제2저장실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1증발기는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3저장실과 상기 제4저장실 중 적어도 하나를 냉각시키거나, 상기 제1증발기는 상기 제3저장실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증발기는 상기 제4저장실을 냉각시켜서, 보관온도가 비슷한 두개의 저장실의 온도를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냉장고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정면도.
도 4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개략도.
도 7 내지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냉각장치 유로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냉각장치 유로 구조를 보이는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적으로,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1실시예>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냉장고는, 냉장고 본체(100)와, 상기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과, 제3저장실(130)과, 제4저장실(140)을 포함하는 저장실과, 상기 제1저장실(110)을 개폐하는 제1도어(210)와, 상기 제2저장실(120)을 개폐하는 제2도어(220)와, 상기 제3저장실(130)을 개폐하는 제3도어(230)와, 상기 제4저장실(140)을 개폐하는 제4도어(240)를 포함하는 도어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장고 본체(100)는 상기 저장실을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전면에는 상기 도어가 설치된다.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100)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과, 제3저장실(130)과, 제4저장실(140)을 포함하여 4개가 형성된다. 저장실은 각각 구획되어 형성된다.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과, 제3저장실(130)과, 제4저장실(140)은 전면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제1저장실(110) 및 제2저장실(120)은 좌측 또는 우측 중 어느 하나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형성되는 냉동실이며, 제3저장실(130)은 나머지 하나의 상부에 형성되는 냉장실이고, 제4저장실(140)은 나머지 하나의 하부에 형성되는 신선실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은 좌측상하부에 각각 형성되며, 제3저장실(130)과 제4저장실(140)은 우측상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이와 같이 각 저장실이 배치되어, 각 식품의 보관온도에 맞게 저장할 수 있어서 각 식품을 더욱 효과적으로 오랫동안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고, 각 저장실의 식품의 냄새가 섞이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자주 꺼내서 사용하는 식품은 상부에 보관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보관온도가 낮은 저장실은 하부에 배치하여 냉기 유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1저장실(110)과 상기 제2저장실(120)은 냉동실이며, 상기 제3저장실(130)과 상기 제4저장실(140)은 냉장실역할을 하여서, 냉동실과 냉장실을 두개 구비하여 냉동 또는 냉장되는 식품을 구별하여 저장할 수 있어서 보관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냉동실은 제1냉동실(110)과, 상기 제1냉동실(110)보다 온도가 낮은 제2냉동실(120)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제2냉동실(120)에는 장기보관하는 냉동식품을 보관할 수 있어서 더욱 효과적으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냉장실 역할을 하는 저장실은 냉장실(130)과, 냉장실(130)보다 온도가 낮은 신선실(140)을 포함하여, 신선실(140)에는 김치나 야채를 더욱 효과적으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냉동실(120)은 제1냉동실(110)보다 온도가 낮고, 제1냉동실(110)은 상기 신선실(140)보다 온도가 낮으며, 신선실(140)은 냉장실(130)보다 온도가 낮다. 이로 인해 다양한 식품을 다양한 보관온도의 저장실에 저장할 수 있어서 효과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2냉동실(120)은 내부에 서랍(121)이 설치되어, 장기보관하는 냉동식품을 용이하게 보관할 수 있고, 냉기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장기 보관되는 제2냉동실(120) 안쪽에 보관된 식품까지도 용이하게 사용자가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서랍(121)은 여러개 구비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서랍(121)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상대적으로 상부에 배치되는 서랍(121)은 내부공간이 작게 구비되고, 하부에 배치되는 서랍(121)은 내부공간이 크게 구비될 수 있다.
제1냉동실(110)은 내부에 선반(111)이 수평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용이하게 단기보관하는 냉동식품을 넣고 빼낼 수 있게 된다.
선반(111)은 여러개 구비될 수 있으며, 여러개의 선반(111)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선실(140)은 제1공간부(141)와, 상기 제1공간부(141)와 구획되며 제1공간부(141)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공간부(142)를 포함한다.
제2공간부(142)는 이하 서술되는 바와 같이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며, 제2공간부(142)의 냉기는 제1공간부(141)로 공급된다.
제1공간부(141)는 제2공간부(142) 보다 내부 공간이 좁도록 형성된다.
신선실(140)의 제1공간부(141)와 제2공간부(142)의 온도가 다르게 되어 제1공간부(141)와 제2공간부(142)에 각각 보관온도가 다른 식품을 보관할 수 있어서 식품을 더욱 효과적으로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공간부(141)에는 야채, 과일을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고, 제2공간부(142)에는 김치를 효과적으로 장기간 보관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공간부(141)와 제2공간부(142)를 연통시키는 연통구멍(143)이 형성되어, 제2공간부(142)의 냉기를 제1공간부(141)에 연통구멍(143)을 통해 공급할 수 있다.
연통구멍(143)에는 냉기 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팬(410)이 설치된다.
또한, 냉기의 유입을 조절하는 댐퍼(미도시)가 연통구멍(143)에 설치될 수 있
연통구멍(143)은 여러개 형성될 수 있으며, 각 연통구멍(143)에는 팬(410)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냉기가 유입되는 연통구멍(143)에만 팬(410)이 설치될 수도 있다.
여러개의 연통구멍(143)을 통해 상대적으로 온도가 높은 냉기는 제1공간부(141)로 이동되고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은 냉기는 제2공간부(142)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여러개의 연통구멍(143)을 통해 냉기가 유입 및 유출되어(냉기가 순환되어) 냉기 공급이 더욱 원활하게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통구멍(143)을 통해 냉기를 공급하여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구조가 단순화되어 저장실의 공간이 최대화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공간부(142)의 냉기를 제1공간부(141)로 공급하는 냉기덕트(144)가 구비되어 냉기를 다양한 위치에서 공급할 수 있다.
냉기덕트(144)에는 냉기 공급이 원활하게 되도록 팬(410)이 설치될 수 있다.
냉기덕트(144)를 통해 냉기를 공급하는 구조는 한국등록특허 제210471호에 제시된 것과 같이 냉장고에서 적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110)을 개폐하는 제1도어(210)와, 상기 제2저장실(120)을 개폐하는 제2도어(220)와, 상기 제3저장실(130)을 개폐하는 제3도어(230)와, 상기 제4저장실(140)을 개폐하는 제4도어(240)를 포함한다.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와 제3도어(230)와 제4도어(240) 중에 적어도 하나에는 좌우개폐식 홈바(231)가 형성된다.
홈바(231)는 제3저장실(130)을 개폐하는 제3도어(230)에 형성되어, 홈바(231)에 주로 보관하는 음료 등과 냉장실(130)의 보관온도와 유사하여 홈바(231)의 온도유지가 효과적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서있는 자세로 홈바(231)에 저장된 식품을 꺼낼 수 있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홈바(231)를 개폐하는 홈바도어(232)는 좌우회동식으로 개폐하는 도어가 양측에 배치되어 좌우개폐식이다.
이와 같이 홈바(231)가 형성되어, 잦은 도어 개폐로 냉기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
홈바(231)가 형성되는 도어인 제3도어(230)는 냉장고 본체(100)에 일측이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좌우회동식으로 개폐하여, 홈바(231)에 보관된 식품의 위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홈바(231)는 홈바(231)가 형성되는 도어인 제3도어(230)의 크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어, 냉장고 외관이 미려해지며, 홈바(231)의 공간도 최대화시킬 수 있다.
홈바(231)가 형성되지 않은 나머지 도어인 제1도어(210)와 제2도어(220)와 제4도어(240)도 일측이 냉장고 본체(100)에 힌지를 통해 연결되어 좌우회동식으로 개폐한다. 이와 같이 상기 도어는 좌우회동식으로 개폐하여,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는 동시에 식품을 보관온도에 맞게 각각의 저장실에 보관할 수 있어서 냉기 유출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한다.
도 7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600)와, 압축기(600)에 연결되는 응축기(700)와, 응축기(700)에 연결되는 모세관과, 상기 모세관에 연결되는 증발기를 포함한다.
상기 증발기는 제1저장실(110)을 냉각시키는 제1증발기(310)와, 제2저장실(120)을 냉각시키는 제2증발기(320)와, 제3저장실(130)을 냉각시키는 제3증발기(330)와, 제4저장실(140)을 냉각시키는 제4증발기(340)를 포함한다.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에는 제1모세관(510)과 제2모세관(520)과 제3모세관(530)과 제4모세관(540)이 연결되어 있는 것과 같이 각각의 증발기에는 각각 모세관이 연결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각의 저장실별로 각각 증발기를 구비하여, 각각의 저장실을 서로 다른 온도로 유지시킬 수 있어서 다양한 식품을 보관온도에 맞게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는 상기 저장실을 직냉 또는 간냉 또는 직간냉 방식으로 냉각시켜서, 각 저장실의 보관온도를 더욱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저장실(110)과 상기 제2저장실(120)과 상기 제3저장실(130)은 간냉식으로 냉각되고, 상기 제4저장실(140)은 직간냉식으로 냉각된다.
따라서, 제1저장실(110)에는 제1덕트와 상기 제1덕트에 설치되는 제1팬이 구비되고, 제2저장실(120)에는 제2덕트와 상기 제2덕트에 설치되는 제2팬이 구비되고, 제3저장실(130)에는 제3덕트와 상기 제3덕트에 설치되는 제3팬이 구비된다.
각각의 덕트 내부에는 각각의 증발기가 배치되어, 증발기를 통해 냉각된 공기(냉기)는 각각의 덕트에 설치되는 팬에 의해 각 저장실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간냉식으로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방식은 냉장고에 이용되고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 및 도시를 생략하기로 한다.
제4저장실(140)의 제2공간부(142)에는 제4덕트와 상기 제4덕트에 설치되는 제4팬이 구비되어, 제4증발기(340)는 간냉식으로 제4저장실(140)의 제2공간부(142)를 냉각시킨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증발기(340)의 출구(341)가 제4저장실(140)의 제2공간부(142)의 외측면을 감싸서 직냉식으로 냉각시켜서, 제4저장실(140)의 제2공간부(142)를 직냉식과 간냉식 두가지 방식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4증발기(340)는 제2공간부(142)를 직간냉식으로 냉각시킨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선실을 냉각시키는 두개의 증발기(제4증발기(340)와 제5증발기(350))를 포함할 수 있다.
두개의 증발기 중 하나의 증발기인 제4증발기(340)는 신선실(140)을 간냉식으로 냉각시키고, 나머지 하나의 증발기인 제5증발기(350)는 신설실(140)의 외측면을 감싸도록 설치되어 신선실(140)을 직냉식으로 냉각시킨다.
상세하게는, 제4증발기(340)는 신선실(140)의 제2공간부(142)를 간냉식으로 냉각시키고, 제5증발기(350)는 신선실(140)의 제2공간부(142)를 직냉식으로 냉각시켜서 신선실(140)의 제2공간부(142)가 직간냉식으로 냉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저장실이 냉각되어, 각 저장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 즉, 제4저장실(140)은 직간냉식으로 냉각되어 직냉식으로 냉각했을 때의 이점과 간냉식으로 냉각했을 때의 이점을 모두 가질 수 있다.
또한, 냉동실인 제1저장실(110)과 제2저장실(120)과 냉장실인 제3저장실(130)은 간냉식으로 냉각되고, 신선실인 제4저장실(140)은 직간냉식으로 냉각되어, 야채나 김치와 같은 신선식품을 더욱 오랫동안 효과적으로 보관할 수 있다.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는 개별적으로 제어되어, 각각의 저장실의 보관온도를 더욱 정밀하게 유지할 수 있다.
즉, 응축기(700)와 각각의 모세관 및 증발기 사이에는 유로전환밸브가 설치되어, 냉매를 각각의 증발기로 개별적으로 분배되어 개별적으로 제어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냉매를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로 각각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5방향밸브(810)일 수 있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냉매를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로 각각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두개의 3방향밸브(820)로 구비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냉매를 제1증발기(310)와 제2증발기(320)와 제3증발기(330)와 제4증발기(340)로 각각 개별적으로 분배하는 네개의 솔레노이드밸브(830)를 포함하여, 각각의 증발기가 효과적으로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600)에 연결되는 제1냉매유로(910), 제1냉매유로(910)에서 분기되는 제1증발기(310) 및 제2증발기(3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제1냉매유로(910)는 유로전환밸브(800)와 모세관 및 증발기 사이에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저장실이 3개 이상인 4개일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800)가 구비되나, 저장실이 2개일 경우에는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되지 않고 두개의 증발기가 병렬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냉매유로(910)가 두개의 유로(911,912)로 분기되어 제1모세관(510) 및 제2모세관(520)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1모세관(510) 및 제2모세관(520)에 직결되는 제1증발기(310) 및 제2증발기(320)는 병렬로 연결된다.
즉, 제1냉매유로(910) 하나의 관을 통해 제1냉매유로(910)에 분기되어 연결된 두개의 증발기로 냉매가 동시에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보관온도가 비슷한 룸끼리 병렬로 냉매를 공급하여 보관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유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전술한 바와 다르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저장실(130)을 냉각시키는 제3증발기(330)와 제4저장실(140)을 냉각시키는 제4증발기(340)가 제1냉매유로(910)에서 분기될 수 있다.
제2냉매유로(920)가 두개의 유로(921,922)로 분기되어 제3모세관(530) 및 제4모세관(540)에 연결된다. 제2냉매유로(920)는 제1냉매유로(910)와 동일한 역할 및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제3모세관(530) 및 제4모세관(540)에 직결되는 제3증발기(330) 및 제4증발기(340)는 병렬로 연결된다.
<제2실시예>
전술한 실시예에서와 동일한 구성 및 기능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600)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320)와, 제2증발기(320)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31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유로전환밸브(800)의 하류에 연결된 제1모세관(501)에 제2증발기(320)가 연결되고, 제2증발기(320)의 출구에 제1증발기(310)의 입구가 연결되어, 제2증발기(320)와 제1증발기(310)가 직렬로 연결된다.
나아가, 유로전환밸브(800)의 하류에 연결된 제2모세관(502)에 제4증발기(340)가 연결되고, 제4증발기(340)의 출구에 제3증발기(330)의 입구가 연결되어, 제4증발기(340)와 제3증발기(330)가 직렬로 연결된다.
따라서, 유로전환밸브(800)를 통해 공급된 냉매는 제1모세관(501)을 거친뒤 제2증발기(320)를 통과한 후 제1증발기(310)를 통과하여 제2저장실(120)과 제1저장실(110)을 냉각시킨 후에 압축기(600)로 공급된다.
또한, 유로전환밸브(800)를 통해 공급된 냉매는 제2모세관(502)을 거친뒤 제4증발기(340)를 통과한 후 제3증발기(330)를 통과하여 제4저장실(140)과 제3저장실(130)을 냉각시킨 후에 압축기(600)로 공급된다.
즉, 직렬연결되는 두개의 증발기 중 상류에 배치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는 저장실의 보관온도가 하류에 배치되는 증발기에 의해 냉각되는 저장실보다 보관온도가 낮다.
따라서, 제1모세관(501)에 제2증발기(320)가 연결된 경우, 그 하류에는 제1증발기(310) 대신 제3증발기(330) 또는 제4증발기(340)가 선택적으로 직렬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모세관(502)에는 제1증발기(310)가 연결되며, 그 하류에는 제2증발기(320) 하류에 연결되지 않은 나머지 증발기가 직렬 연결되는 조합이 가능할 것이다.
이와 같이, 보관온도가 비슷한 룸끼리 직렬로 냉매를 공급하여 보관온도 유지를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동시에 유로 구조가 단순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냉장고 본체 110 : 제1저장실, 제1냉동실
111 : 선반 120 : 제2저장실, 제2냉동실
121 : 서랍 130 : 제3저장실, 냉장실
140 : 제4저장실, 신선실 141 : 제1공간부
142 : 제2공간부 210 : 제1도어
220 : 제2도어 230 : 제3도어
231 : 홈바 232 : 홈바도어
240 : 제4도어 310 : 제1증발기
320 : 제2증발기 330 : 제3증발기
340 : 제4증발기 341 : 제4증발기출구

Claims (3)

  1. 냉장고 본체;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복수개의 저장실;
    상기 복수개의 저장실을 각각 개폐하는 도어;
    상기 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각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냉각장치는 압축기와, 상기 압축기에 연결되는 제2증발기와, 상기 제2증발기의 하류에 직렬로 연결되는 제1증발기를 포함하며,
    상기 저장실은 신선실을 포함하며,
    상기 제2증발기는 간냉식으로 상기 신선실을 냉각시키고, 상기 제2증발기의 출구가 상기 신선실의 외측면을 감싸서 직냉식으로 냉각시키는 냉장고.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기 냉장고 본체에 형성되는 제1저장실과, 제2저장실과, 제3저장실과, 제4저장실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는 상기 제1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와, 상기 제2저장실을 개폐하는 제2도어와, 상기 제3저장실을 개폐하는 제3도어와, 상기 제4저장실을 개폐하는 제4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저장실과 상기 제2저장실은 냉동실이며, 상기 제3저장실은 냉장실이고, 상기 제4저장실은 신선실이며,
    상기 제3저장실은 상기 제4저장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증발기는 상기 제3저장실을 냉각시키는 냉장고.
KR1020120059839A 2012-06-04 2012-06-04 냉장고 KR101395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839A KR101395112B1 (ko) 2012-06-04 2012-06-04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9839A KR101395112B1 (ko) 2012-06-04 2012-06-04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03A KR20130136203A (ko) 2013-12-12
KR101395112B1 true KR101395112B1 (ko) 2014-05-19

Family

ID=499830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9839A KR101395112B1 (ko) 2012-06-04 2012-06-04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1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9698B1 (ko) * 2022-03-21 2023-01-19 (주)삼영이엔지 항온항습장치
KR102637296B1 (ko) * 2023-07-25 2024-02-16 주식회사 차고엔지니어링 Cda를 활용한 칠러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520A (ja) 1999-06-02 2000-12-15 Toshiba Corp 冷蔵庫
KR20070094287A (ko) * 2006-03-17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808180B1 (ko) * 2006-11-09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사이클장치 및 냉장고
KR100915427B1 (ko) 2009-02-06 2009-09-03 윤근진 혈장 급속 냉동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46520A (ja) 1999-06-02 2000-12-15 Toshiba Corp 冷蔵庫
KR20070094287A (ko) * 2006-03-17 2007-09-20 삼성전자주식회사 냉장고 및 그 운전제어방법
KR100808180B1 (ko) * 2006-11-09 2008-02-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동사이클장치 및 냉장고
KR100915427B1 (ko) 2009-02-06 2009-09-03 윤근진 혈장 급속 냉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6203A (ko) 2013-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040442A1 (zh) 冰箱
KR20160148387A (ko) 냉장고의 제빙시스템 및 제빙방법
KR101835336B1 (ko) 냉장고
KR20100056127A (ko) 바텀프리져타입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WO2018040441A1 (zh) 冰箱
KR101872607B1 (ko) 냉장고
KR20120000642A (ko) 모듈식 냉장고
KR101395112B1 (ko) 냉장고
KR20140046618A (ko) 냉장고
KR102147213B1 (ko) 김치냉장고
JP2007187362A (ja) 冷蔵庫
JP2017116121A (ja) 冷蔵庫
KR102222501B1 (ko) 냉장고
KR20140086940A (ko) 냉장고
KR20140086939A (ko) 냉장고
KR20140070519A (ko) 냉장고
KR20130136200A (ko) 냉장고
KR20130136197A (ko) 냉장고
KR20130136201A (ko) 냉장고
KR20130136202A (ko) 냉장고
KR20130136195A (ko) 냉장고
KR20130136196A (ko) 냉장고
JP2001330361A (ja) 冷蔵庫
KR20140086941A (ko) 냉장고
KR101954709B1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