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822B1 -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9822B1 KR102299822B1 KR1020170076626A KR20170076626A KR102299822B1 KR 102299822 B1 KR102299822 B1 KR 102299822B1 KR 1020170076626 A KR1020170076626 A KR 1020170076626A KR 20170076626 A KR20170076626 A KR 20170076626A KR 102299822 B1 KR102299822 B1 KR 10229982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using
- guide
- mounting rib
- sides
- caugh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30—Vehicles applying the vehicle anti-thef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차량용 제어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차량용 제어장치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하우징의 양측에서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하우징에서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결합 가이드에 삽입되도록 장착 리브가 형성되고, 구속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장착 리브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안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 invention for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is disclosed.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connector is installed; coupling gui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onstraint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oupling guid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a safety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housing, has mounting ribs formed on both side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and has a locking portion formed on the mounting rib so as to be caught by the restraining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커넥터의 탈거 및 하우징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particularly, to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removal of a connector and separation of a housing.
일반적으로 시동장치에서 운전자는 시동키를 시동스위치에 꽂고 시동위치로 돌려 초기시동을 걸게 된다. 시동장치는 시동키를 쉽게 복사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이 도난당할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키 시스템을 이용한 제어장치가 적용된다.In general, in the starting device, the driver inserts the ignition key into the ignition switch and turns it to the starting position to start the initial engine. Since the ignition device can easily copy the ignition key, a control device using a smart key system is applied to eliminate the risk of the vehicle being stolen.
제어장치는 운전자가 소유하고 다니는 스마트키와, 스마트키와 쌍방향 통신을 통해 정당한 운전자임을 판단하는 제어유닛과, 제어유닛의 신호에 따라 엔진을 시동 가능상태로 유지시켜주는 엔진작동유닛과, 운전자의 조작에 의해 차량에 시동을 거는 시동스위치로 구성된다.The control device includes a smart key owned by the driver,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at the driver is a legitimate driver through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smart key, an engine operation unit that maintains the engine in a startable state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It consists of an ignition switch that starts the vehicle by operation.
스마트키는 마이크로 프로세서나 메모리 등의 반도체 칩이 내장되어, 일정거리 내에서 고유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스마트키는 제어유닛으로부터 인증요청신호를 수신받고, 미리 저장되어 있던 고유의 인증신호를 송신한다. 스마트키는 운전자가 항상 몸에 지니고 다니게 되며, 운전석에 앉았을 때 제어유닛과 쌍방향 통신이 가능하다.A smart key has a built-in semiconductor chip such as a microprocessor or memory, and generates a unique signal within a certain distance. The smart key receives an authentication request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s a pre-stored unique authentication signal. The smart key is always carried by the driver, and two-way communication with the control unit is possible when seated in the driver's seat.
제어유닛은 스마트키에 인증신호를 요청하고, 스마트키로부터 인증신호를 받아 정당한 운전자인지를 판단한다. 정당한 운전자라고 판단되면 출력신호를 엔진작동유닛으로 보내 엔진 시동가능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엔진 시동가능 상태에서 운전자가 시동스위치를 누르면 차량의 시동이 걸리게 된다.The control unit requests an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smart key, receives the authentication signal from the smart key, and determines whether the driver is a legitimate driver. If it is determined that the driver is a legitimate driver, an output signal is sent to the engine operation unit to maintain the engine startable state. When the driver presses the ignition switch in the engine startable state, the vehicle is started.
그러나, 종래의 스마트키 시스템이 적용된 경우에도 차량의 도어를 파손시켜 차량의 내부로 침입한 후에 시동제어유닛 등의 전장부품을 탈거, 교체하는 등의 방식으로 차량의 도난이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However, even when the conventional smart key system is applied, vehicle theft occurs by breaking the door of the vehicle and breaking into the vehicle, and then removing and replacing the electrical components such as the ignition control unit.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it.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48170호(2010.03.12. 등록, 고안의 명칭: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스마트키 시동장치)에 개시되어 있다.Background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closed in Republic of Korea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448170 (Registered on March 12, 2010, title of design: smart key starting device having a display uni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커넥터의 탈거 및 하우징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제어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was created to improve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apable of preventing connector removal and housing separation.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는: 커넥터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상기 결합 가이드에 삽입되도록 장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상기 장착 리브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안전 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connector is installed; coupling gui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onstraints formed inside the coupling guid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a safety bracket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housing, having mounting ribs formed on both side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and having hooking portions formed on the mounting ribs so as to be caught by the restraining portion. do it with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에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측에 상기 상부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in which a connection socket part is formed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a lower housing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wherein the coupling guide includes: an upper guid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r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upper housing; and a lower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upper guide.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에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의 상단에 걸리도록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aining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and a step port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so that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while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홀부일 수 있다.The restraining part may be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lower guides, and the engaging part may be a locking hole part caught by the restraining protrusion and restrained.
상기 구속부의 상측에는 상기 장착 리브가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to slide the mounting rib, and a restraint jaw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insertion guide portion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mounting rib.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는 탈거 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ower guide may further include a removal preventing portion formed to shield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from the outside.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는: 복수의 커넥터가 설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안전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바디; 상기 결합 가이드에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장착 리브; 및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installed; a coupling gui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 restraining part formed inside the coupling guide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 safety bracket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housing, wherein the safety bracket includes: a bracket body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 mounting rib formed to be bent in the bracket body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formed thereon so as to be caught by the restraint portion; and a step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nd formed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에 상단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상부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housing may include: an upper housing in which a connection socket portion is formed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a lower housing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wherein the coupling guide is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re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part is caught by the locking part. an upper guide formed so that the upper end is caught on the step portion; and a lower gui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upper guide.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The restraint portion may b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홀부일 수 있다.The restraining part may be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lower guides, and the engaging part may be a locking hole part caught by the restraining protrusion and restrained.
상기 구속부의 상측에는 상기 장착 리브가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가 형성될 수 있다.An inclined surface portion may be formed on an upp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to slide the mounting rib, and a restraint jaw portion may be form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본 발명에 따르면, 장착 리브가 결합 가이드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 리브의 걸림부가 구속부에 걸리므로, 안전 브라켓이 하우징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커넥터가 접속 소켓부에 교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engaging portion of the mounting rib is caught in the restraining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afety bracket from being detached from the housing. Accordingly, by preventing the other connector from being replaced with the connection socket por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ft of the vehicl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구속부가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의 상단이 장착 리브의 단차부에 걸려 구속되므로, 장착 리브가 결합 가이드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다. 따라서, 상부 하우징을 하부 하우징에서 분리하여 다른 커넥터로 교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is caught by the step portion of the mounting rib in a state where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engaging portion and restrained, the upper housing can be separated from the lower housing when the mounting rib is not separated from the coupling guide. can't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upper housing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housing to be replaced with another connecto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탈거 방지부가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므로, 장착 리브를 하부 하우징의 양측면에서 벌리기 위해 장착 리브의 단부에 공구가 진입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removal preventing portion shields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from the outside, it is possible to block the tool from entering the end of the mounting rib to spread the mounting rib from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하부 하우징의 하부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lower guide of a lower housing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의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차량용 제어장치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process of explaining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the thickness of the lines or the size of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and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addition, the terms to be described later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which may vary according to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Therefor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First, a control apparatus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하부 하우징의 하부 가이드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the lower guide of the lower housing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5 is the present invention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safety bracket on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is inserted.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는 하우징(110), 결합 가이드(130) 및 안전 브라켓(150)을 포함한다. 1 to 6 ,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차량용 제어장치는 글로브박스(미도시)의 뒤쪽에 설치된다. 차량용 제어장치의 내부에는 시동제어유닛(미도시) 등이 설치된다.The vehicle control device is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glove box (not shown). An ignition control unit (not shown) and the like are installed inside the vehicle control device.
하우징(110)에는 커넥터(120)가 복수개 설치된다. 복수의 커넥터(120)에는 차량의 시동에 관련된 전선(미도시) 등이 연결된다. 시동에 관련되는 커넥터(120)의 상측은 안전 브라켓(150)에 의해 커버된다.A plurality of
하우징(110)은 커넥터(120)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112)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111)과, 상부 하우징(111)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115)을 포함한다. 상부 하우징(111)과 하부 하우징(115)은 조립 후크(미도시)에 의해 서로 조립된다.The
커넥터(120)에는 후크부(123)가 형성되고, 하우징(110)에는 커넥터(120)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112)가 설치된다. 접속 소켓부(112)의 내부에는 후크부(123)가 걸려 구속되는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A
결합 가이드(130)는 하우징(110)의 양측에 형성된다. 결합 가이드(130)는 하우징(110)의 상하방향으로 나란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The
결합 가이드(130)는 상부 가이드(131)와 하부 가이드(133)를 포함한다. 상부 가이드(131)는 상부 하우징(111)의 양측에 장착 리브(152)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131)는 장착 리브(152)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상부 가이드(131)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우징(110)의 측면에 나란하게 절곡되는 대략 "L" 형태로 형성된다.The
하부 가이드(133)는 하부 하우징(115)의 양측의 측면에 상부 가이드(131)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하부 가이드(133)는 장착 리브(152)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한 쌍이 형성된다. 하부 가이드(133)는 하우징(110)의 측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된 후 하우징(110)의 측면에 나란하게 절곡되는 대략 "L" 형태로 형성된다.The
구속부(140)는 하우징(110)의 양측에서 결합 가이드(130)의 내측에 형성된다. 구속부(140)에 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e restraining
안전 브라켓(150)은 하우징(110)에서 커넥터(120)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된다. 안전 브라켓(150)의 양측에는 결합 가이드(130)에 삽입되도록 장착 리브(152)가 형성된다. 장착 리브(152)에는 구속부(140)에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부(153)가 형성된다.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장착 리브(152)의 걸림부(153)가 구속부(140)에 걸리므로, 안전 브라켓(150)이 하우징(110)에서 탈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커넥터(120)가 접속 소켓부(112)에 교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The
안전 브라켓(150)은 복수의 커넥터(120)의 상측을 커버하도록 폭이 좁고 길게 형성되는 사각판 형태의 브라켓 바디(151)와, 브라켓 바디(151)의 양측에 절곡되게 형성되는 장착 리브(152)를 포함한다. 장착 리브(152)는 브라켓 바디(151)와 수직하게 절곡된다.The
구속부(140)는 하부 하우징(115)의 양측에 형성되고, 장착 리브(152)의 양측에는 구속부(140)가 걸림부(153)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131)의 상단에 걸리도록 단차부(155)가 형성된다. 구속부(140)가 걸림부(153)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부 가이드(131)의 상단이 장착 리브(152)의 단차부(155)에 걸려 구속되므로, 구속부(140)는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단차부(155)는 상부 하우징(111)이 하부 하우징(115)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서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상부 하우징(111)을 하부 하우징(115)으로부터 분리시킬 수 없으므로, 상부 하우징(111)을 하부 하우징(115)에서 분리하여 다른 커넥터(120)로 교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straining
구속부(140)는 하부 가이드(133)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이고, 걸림부(153)는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홀부이다. 결합 가이드(130)에 장착 리브(152)가 삽입되면, 걸림홀부가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된다.The restraining
구속부(140)의 상측에는 장착 리브(152)가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부(141)가 형성되고, 구속부(142)의 하측에는 걸림부(153)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142)가 형성된다. An
구속부(140)의 상측에 경사면부(141)가 형성되므로, 장착 리브(152)가 경사면부(141)를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결합 가이드(130)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구속부(140)의 하측에는 걸림부(153)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142)가 형성되므로,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이, 장착 리브(152)가 하우징(110)의 양측면에서 떨어지지 않도록 결합 가이드(130)가 장착 리브(152)의 양측을 구속하므로, 장착 리브(152)의 걸림부(153)가 구속부(140)에서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 삽입된 상태로 구속되면, 결합 가이드(130)가 파손되지 않는 한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서 빠지지 않게 된다.Since the
장착 리브(152)의 단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삽입 가이드부(154)가 형성된다. 따라서, 장착 리브(152)가 결합 가이드(130)에 삽입될 때에 삽입 가이드부(154)가 구속부(140)의 경사면부(141)를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삽입 가이드부(154)의 양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An inclined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실시예에서는 제2 실시예에 비해 하부 가이드의 형태가 차이가 있으므로, 아래에서는 하부 가이드에 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Next,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since the shape of the lower guide is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embodiment, the lower guide will be described below.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제어장치에서 결합 가이드에 안전 브라켓의 장착 리브가 삽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7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vehicle control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and FIG. 9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mounting rib of the safety bracket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in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하부 가이드(133)는 장착 리브(152)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는 탈거 방지부(135)를 더 포함한다. 이때, 탈거 방지부(135)는 장착 리브(152)이 단부측을 차폐시키도록 한 쌍의 하부 가이드(133)의 하측을 서로 연결한다. 탈거 방지부(135)의 두께는 하부 가이드(133)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7 to 9 , the
탈거 방지부(135)가 장착 리브(152)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므로, 장착 리브(152)를 하부 하우징(115)의 양측면에서 벌리기 위해 하우징(110)의 외측에서 장착 리브(152)의 단부에 공구가 진입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안전 브라켓(150)이 결합 가이드(13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Since the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 shown in the drawings, this is merely exemplary, and it is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will understand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Accordingly,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fined by the claims.
100: 하우징 111: 상부 하우징
112: 접속 소켓부 115: 하부 하우징
120: 커넥터 123: 후크부
130: 결합 가이드 131: 상부 가이드
133: 하부 가이드 135: 탈거 방지부
140: 구속부 141: 경사면부
142: 구속턱부 150: 안전 브라켓
151: 브라켓 바디 152: 장착 리브
153: 걸림부 154: 삽입 가이드부100: housing 111: upper housing
112: connection socket part 115: lower housing
120: connector 123: hook portion
130: coupling guide 131: upper guide
133: lower guide 135: removal prevention part
140: restraint portion 141: inclined surface portion
142: restraint jaw 150: safety bracket
151: bracket body 152: mounting rib
153: engaging portion 154: insertion guide portion
Claims (14)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양측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고, 양측에 상기 결합 가이드에 삽입되도록 장착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상기 장착 리브에 걸림부가 형성되는 안전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양측에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측에 상기 상부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는 탈거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거 방지부는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차폐시키도록 한 쌍의 상기 하부 가이드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탈거 방지부의 두께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a housing in which the connector is installed;
coupling guid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Constraints formed inside the coupling guide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and
It includes a safety bracket that is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housing, has mounting ribs formed on both side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and a locking part is formed on the mounting rib so as to be caught by the restraining part,
The housing is
an upper housing in which a connection socket part is formed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a lower housing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The coupling guide is
an upper guid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re inserted into both sides of the upper housing; and
and a lower guid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upper guide,
The lower guide further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formed to shield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from the outside,
The detachment prevention unit connects the lower sides of the pair of lower guides to each other to shield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lower guide.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에는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 가이드의 상단에 걸리도록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estraining portion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housing,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step port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so that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upper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4. The method of claim 3,
The restraining part is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lower guides,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s a locking hole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restraint protrusion.
상기 구속부의 상측에는 상기 장착 리브가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An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mounting rib slide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restraining jaw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insertion guide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mounting rib.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결합 가이드;
상기 하우징의 측면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내측에 형성되는 구속부; 및
상기 하우징에서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안전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안전 브라켓은,
복수의 상기 커넥터의 상측을 가로지르도록 설치되는 브라켓 바디;
상기 결합 가이드에 삽입되도록 상기 브라켓 바디에서 절곡되게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에 걸려 구속되도록 걸림부가 형성되는 장착 리브; 및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 가이드의 상단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단차부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커넥터가 접속되도록 접속 소켓부가 형성되는 상부 하우징; 및
상기 상부 하우징에 조립되는 하부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 가이드는,
상기 상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장착 리브의 양측이 삽입되도록 상하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가 상기 걸림부에 걸려 구속된 상태에서 상기 단차부에 상단이 걸리도록 형성되는 상부 가이드; 및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상기 상부 가이드와 나란하게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하부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가이드는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도록 형성되는 탈거 방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탈거 방지부는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측을 차폐시키도록 한 쌍의 상기 하부 가이드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고,
상기 탈거 방지부의 두께는 상기 하부 가이드의 두께와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a housing in which a plurality of connectors are installed;
a coupling gui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using;
a restraining part formed inside the coupling guide from the side of the housing; and
a safety bracket installed to cross the upper side of the connector in the housing;
The safety bracket is
a bracket body installed to cross upper sides of the plurality of connectors;
a mounting rib formed to be bent in the bracket body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coupling guide and having a locking portion formed thereon so as to be caught by the restraint portion; and
and a step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nd formed to be caught on the upper end of the coupling guide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ing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The housing is
an upper housing in which a connection socket part is formed to connect the connector; and
a lower housing assembled to the upper housing;
The coupling guide is
an upper guide formed in a vertical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of the mounting rib are inserted into a side surface of the upper housing, and an upper guide is formed so that an upper end is caught by the step portion in a state in which the restraint portion is caught by the locking portion; and
and a lower guide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in a vertical direction in parallel with the upper guide,
The lower guide further includes a detachment preventing portion formed to shield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from the outside,
The detachment prevention unit connects the lower sides of the pair of lower guides to each other to shield the end side of the mounting rib,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thickness of the separation preventing portion is formed to be the same as the thickness of the lower guide.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하우징의 측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restraint portion is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lower housing.
상기 구속부는 상기 하부 가이드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구속돌기부이고,
상기 걸림부는 상기 구속돌기부에 걸려 구속되는 걸림홀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restraining part is a restraining protrusion formed to protrude between the lower guides,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locking portion is a locking hole portion that is caught by the restraint protrusion.
상기 구속부의 상측에는 상기 장착 리브가 슬라이딩되도록 경사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구속부의 하측에는 상기 걸림부가 걸려 구속되도록 구속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12. The method of claim 11,
An inclined surface portion is formed on the upp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mounting rib slides,
A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restraining jaw portion is formed on a lower side of the restraint portion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caught and restrained.
상기 장착 리브의 단부에는 경사진 형태의 삽입 가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제어장치.
9. The method of claim 8,
The control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n inclined insertion guide portion is formed at an end of the mounting rib.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626A KR102299822B1 (en) | 2017-06-16 | 2017-06-16 |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626A KR102299822B1 (en) | 2017-06-16 | 2017-06-16 |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634A KR20180137634A (en) | 2018-12-28 |
KR102299822B1 true KR102299822B1 (en) | 2021-09-09 |
Family
ID=65008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626A KR102299822B1 (en) | 2017-06-16 | 2017-06-16 |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9822B1 (en)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8413Y2 (en) * | 1992-05-12 | 1999-08-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Mounting structure for case members |
JP2001257033A (en) * | 2000-03-08 | 2001-09-21 | Sumitomo Wiring Syst Ltd | Junction box |
JP3482927B2 (en) * | 1999-11-02 | 2004-01-06 | 住友電装株式会社 | Electrical junction box |
JP4150378B2 (en) * | 2005-02-09 | 2008-09-17 | サミー株式会社 | Connector pull-out restriction device |
-
2017
- 2017-06-16 KR KR1020170076626A patent/KR102299822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98413Y2 (en) * | 1992-05-12 | 1999-08-09 | 矢崎総業株式会社 | Mounting structure for case members |
JP3482927B2 (en) * | 1999-11-02 | 2004-01-06 | 住友電装株式会社 | Electrical junction box |
JP2001257033A (en) * | 2000-03-08 | 2001-09-21 | Sumitomo Wiring Syst Ltd | Junction box |
JP4150378B2 (en) * | 2005-02-09 | 2008-09-17 | サミー株式会社 | Connector pull-out restriction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137634A (en) | 2018-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348019B1 (en) |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 |
EP1602539A1 (en) | Vehicle security device and id code management device | |
US9540062B2 (en) | Motorcycle | |
EP1582659A2 (en) | Door handle for vehicle | |
KR102299822B1 (en) | Controlling apparatus for vehicle | |
JP4867862B2 (en) | Connector removal prevention device | |
KR20050085798A (en) | Antitheft system | |
US7274788B2 (en) | Mounting for electronic accessories for vehicles | |
KR101678808B1 (en) | Burglarproof device of vehicles | |
KR101830403B1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 |
JP6529331B2 (en) | Charger for car | |
JP2017041349A (en) | connector | |
KR101904838B1 (en) | Locking apparatus of connector | |
KR101850458B1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 |
JP2001076816A (en) | Connector incomplete engagement preventing structure | |
JP4941742B2 (en) | Female connector | |
KR100888104B1 (en) | Apparatus of steering lock | |
JP2009248676A (en) | Wire harness routing structure in vehicular seat | |
JP2009117061A (en) | Connector assembly | |
JP2012201345A (en) | Vehicle theft preventing structure | |
KR20200045846A (en) | Anti-theft structure for electronic control unit | |
KR101850460B1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 |
KR101850459B1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 |
KR101850461B1 (en) | Structure for assembling reinforcement of junction block | |
KR102474812B1 (en) |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