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4812B1 -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 Google Patents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4812B1
KR102474812B1 KR1020170170408A KR20170170408A KR102474812B1 KR 102474812 B1 KR102474812 B1 KR 102474812B1 KR 1020170170408 A KR1020170170408 A KR 1020170170408A KR 20170170408 A KR20170170408 A KR 20170170408A KR 102474812 B1 KR102474812 B1 KR 1024748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lever member
control unit
engine contro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040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69988A (en
Inventor
김종주
유호준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04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812B1/en
Publication of KR20190069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998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8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81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는, 엔진제어유닛에 부착된 메일커넥터; 상기 메일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메일커넥터;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대해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레버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le connector attach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a female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lever pivotably mounted on the female connector and moving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where the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release position where the female connector is released from the male connector. The lever may include a pair of first lever members pivotally mount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Description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Connector device of engine control unit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본 발명은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차량 소유자로부터 허가받은 사용자) 이외의 외부인이 엔진제어유닛(ECU)에 결합된 커넥터를 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and more particularly, is configured so that a connector coupled to an engine control unit (ECU) cannot be easily separated by an outsider other than a vehicle owner or a manager (a user authorized by the vehicle owner). It relates to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vehicle theft by doing so.

차량용 전자제어유닛인 엔진제어유닛(Engine Control Unit)은 엔진의 시동, 파워트레인의 구동, 변속 등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엔진제어유닛은 복잡한 제어회로 및 제어회로에 연결된 복수의 메일 커넥터(male connector)를 가진다. 복수의 터미널(100개 이상의 터미널)을 가진 1~3개의 피메일 커넥터(female connector)이 엔진제어유닛의 각 메일커넥터에 연결된다. An engine control unit, which is an electronic control unit for a vehicle, is configured to control starting of an engine, driving of a power train, gear shifting, and the like. The engine control unit has a complex control circuit and a plurality of male connector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1 to 3 female connectors having a plurality of terminals (more than 100 terminals) are connected to each male connector of the engine control unit.

30개 이상의 터미널을 가진 커넥터는 엔진제어유닛에 피메일커넥터 및 메일커넥터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반력으로 인해 그 결합이 용이하지 못하므로,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는 레버를 가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해 엔진제어유닛의 조립 및 분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Since the connector having more than 30 terminals is not easy to couple due to the reaction force acting between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male connectors of the engine control unit, the female connector of the engine control unit has a structure with a lever.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assembly and separation of the engine control unit.

한편, 차량의 도난이 빈번한 지역에서는 엔진제어유닛에 이모빌라이저(immobilizer) 및 트랜스폰더(transponder)를 적용함으로써 인증되지 않은 키로는 엔진의 시동을 불가능하게 구성하였다. Meanwhile, in areas where vehicle theft is frequent, an immobilizer and a transponder are appli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so that it is impossible to start the engine with an unauthorized key.

하지만, 엔진제어유닛의 메일 커넥터로부터 피메일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할 경우에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차량 소유자로부터 허가받은 사용자) 이외의 외부인이 진품 엔진제어유닛을 손쉽게 분리한 후에 트릭 엔진제어유닛을 장착할 수 있고, 이러한 트릭 엔진제어유닛을 이용하여 차량을 손쉽게 절취할 수 있다. However, when the female connector is easily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of the engine control unit, an outsider other than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a user authorized by the vehicle owner) easily separates the original engine control unit and then mounts the trick engine control unit. and the vehicle can be easily cut off using this trick engine control unit.

이와 같이, 외부인이 피메일커넥터를 용이하게 분리하지 못하게 하도록 피메일커넥터를 감싸는 도난방지용 브라켓 및 이를 잠그기 위한 잠금장치 등을 장착하는 방안도 제시되었지만, 도난방지용 브라켓 및 잠금장치 등을 별도로 설치함에 따라 제조원가의 상승 및 엔진제어유닛의 주변 장착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었다. In this way, a method of mounting an anti-theft bracket surrounding the female connector and a locking device for locking it has been proposed to prevent an outsider from easily separating the female connector, but by separately installing the anti-theft bracket and locking device, etc. There was a difficulty in securing a mounting space around the engine control unit and an increase in manufacturing cost.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고려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차량 소유자로부터 허가받은 사용자) 이외의 외부인이 엔진제어유닛(ECU)에 결합된 커넥터를 손쉽게 분리할 수 없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in consideration of the above points, and is configured so that an outsider other than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a user authorized by the vehicle owner) cannot easily separate the connector coupl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ECU), thereby preventing vehicle theft. Its purpose is to provide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that can effectively prevent th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는, The connector device of the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엔진제어유닛에 부착된 메일커넥터;Male connector attach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상기 메일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메일커넥터; 및 a female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상기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대해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A lever pivotably mounted on the female connector and moving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release position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released from the male connector;

상기 레버는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레버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ver may include a pair of first lever members pivotally mount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상기 제1레버 부재는 상기 제2레버 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캐비티를 가질 수 있다. The first lever member may have a cavity into which the second lever member is detachably inserted.

상기 캐비티는 키 홈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버 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키홈 구조로 부합하는 키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avity may have a keyway structure, and the second lever member may have a keyway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keyway structure of the cavity.

상기 제2레버 부재는 하나 이상의 돌기 및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second lever member may have a key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and one or more grooves.

상기 제1레버 부재의 캐비티는 상기 제2레버 부재의 돌기 및 홈에 대응하는 하나 이상의 돌기를 가진 키홈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The cavity of the first lever member may have a keyway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corresponding to the protrusions and grooves of the second lever member.

상기 제1레버 부재는 상기 캐비티와 소통하는 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제2레버 부재는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레버 부재가 상기 제1레버 부재의 캐비티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질 수 있다. The first lever member has an engag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the second lever member has an engaging protrusion, and when the second lev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vity of the first lever member, the engaging protrusion forms the engaging hole. can be plugged into

상기 결합돌기는 한 쌍의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oupling protrusion may have a pair of inclined surfaces.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는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쌍의 제1레버 부재는 크로스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may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a cross portion.

상기 한 쌍의 제2레버 부재는 그립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a grip part.

본 발명에 의하면, 피메일커넥터가 엔진제어유닛의 메일커넥터에 결합된 상태에서 제1레버 부재로부터 제2레버 부재를 분리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차량 소유자로부터 허가받은 사용자) 이외의 외부인이 엔진제어유닛(ECU)에 결합된 피메일커넥터를 손쉽게 분리할 수 없게 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차량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structure in which the second lev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ever member in a state where the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of the engine control unit, other than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user authorized by the vehicle owner) It is possible to prevent an outsider from easily separating the female connector coupl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ECU), and through this, vehicle theft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은 분리된 제2레버 부재를 제1레버 부재에 간편하게 결합할 수 있으므로,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은 차량의 교체 내지 수리 등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can easily couple the separated second lever member to the first lever member,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can very conveniently replace or repair the vehicle.

본 발명에 따르면, 도난방지용 브라켓 등과 같이 별도의 도난방지기구를 적용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원가의 절감 및 엔진제어유닛의 주변공간에 대한 패키징 효율을 높일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re is no need to apply a separate anti-theft mechanism such as an anti-theft bracket, manufacturing cost can be reduced and packaging efficiency for the space around the engine control unit can be increas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에서 피메일커넥터가 메일커넥터에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에서 피메일커넥터가 메일커넥터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에서 제2레버 부재가 제1레버 부재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에서 제2레버 부재가 제1레버 부재로붜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의 제1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의 제2레버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의 제1레버 부재 및 제2레버 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7의 A-A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B-B선을 따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제어유닛의 피메일커넥터의 제2레버 부재가 분리도구에 의해 제1레버 부재로부터 분리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a state before a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in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a male connector in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lever member is coupled to a first lever member in a female connector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econd lever member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ever member in the female connector of the engine control unit of FIG. 3;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irst lever member of a female connector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cond lever member of a female connector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plan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first lever member and a second lever member of a female connector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separated.
8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7 .
9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 8 .
10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second lever member of a female connector of an engin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a first lever member by a separating tool.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through exemplary drawings.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of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have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displayed o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in describ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rresponding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In addition,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art, and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y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meaning. don't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엔진제어유닛(10)은 그 내부에 마련된 제어회로 및 제어회로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메일커넥터(11)를 가질 수 있다. 메일커넥터(11)는 엔진제어유닛(10)의 하우징(13)에 일체형으로 부착될 수 있고, 메일커넥터(11)는 복수의 메일 터미널(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1 and 2 , the engine control unit 10 may have a control circuit provided therein and one or more male connectors 11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The male connector 11 may be integrally attached to the housing 13 of the engine control unit 10, and the male connector 11 may have a plurality of male terminals (not shown).

각 피메일커넥터(12)가 각 메일커넥터(1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각 피메일커넥터(12)는 복수의 피메일 터미널(미도시)을 가진 하우징(14)과, 하우징(14)의 상부를 덮는 커버(16)와, 하우징(14)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레버(20)와, 레버(20)의 피벗작동에 의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더(18)를 가질 수 있다. Each female connector 12 may be configured to be detachably coupled to each male connector 11 . Each female connector 12 includes a housing 14 having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not shown), a cover 16 covering an upper portion of the housing 14, and a lever pivotably mounted on the housing 14. (20) and a slider (18) sliding by the pivoting operation of the lever (20).

하우징(14)의 내부에 복수의 피메일 터미널(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고, 피메일커넥터(12)가 메일커넥터(11)에 결합됨으로써 피메일 터미널(미도시)은 메일커넥터(11)의 메일 터미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A plurality of female terminals (not shown) may be provided inside the housing 14, and as the female connector 12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1, the female terminal (not shown) is connected to the male connector 11. It can be connected to the mail terminal (not shown) of.

레버(20)가 하우징(14)의 측면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고, 하우징(14)에는 피벗축(23)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레버(20)는 해제위치(P1) 및 결합위치(P2) 사이로 이동할 수 있다. 해제위치(P1)는 피메일커넥터(12)가 메일커넥터(11)에 대해 해제되는 위치일 수 있고, 결합위치(P2)는 피메일커넥터(12)가 메일커넥터(11)에 대해 결합되는 위치일 수 있다. The lever 20 may be pivotally mounted on the side of the housing 14, and the pivot shaft 23 may be rotatably mounted on the housing 14. Accordingly, the lever 20 can move between the releasing position P1 and the engaging position P2. The releasing position P1 may be a position where the female connector 12 is released from the male connector 11, and the engaging position P2 is a position where the female connector 12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1. can be

도 2와 같이, 레버(20)가 일측방향으로 피벗하여 결합위치(P2)로 이동함에 따라 피메일커넥터(12)의 하우징(14)이 메일커넥터(11)를 향해 이동함으로써 피메일커넥터(12)가 메일커넥터(11)에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2, as the lever 20 pivots in one direction and moves to the coupling position P2, the housing 14 of the female connector 12 moves toward the male connector 11, thereby causing the female connector 12 ) may be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1.

도 1과 같이, 레버(20)가 타측방향으로 피벗하여 해제위치(P1)로 이동함에 따라 피메일커넥터(12)의 하우징(14)이 메일커넥터(1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피메일커넥터(12)가 메일커넥터(1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 as the lever 20 pivots to the other side and moves to the releasing position P1, the housing 14 of the female connector 12 moves in a direction away from the male connector 11, thereby causing the female connector 12 to move away from the female connector 11. The connector 12 can be separated from the male connector 11.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20)는 피메일커넥터(12)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 및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3 to 6, the lever 20 is provided on a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pivotally mounted on the female connector 12 and on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A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detachably coupled may be included.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는 피메일커넥터(12)의 하우징(4)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may be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housing 4 of the female connector 12 .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는 크로스부(24, cross portion)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크로스부(24)가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 사이를 가로질러 연결됨으로써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를 일체형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크로스부(24)가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를 일체형으로 연결함으로써 레버(20)의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a cross portion 24, and the cross portion 24 crosses between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and is connected to one another.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may be integrally connected. In this way, since the cross portion 24 integrally connects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the rigidity of the lever 20 can be greatly enhanced.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1레버 부재(21)는 그 일단에 형성된 관통공(21a)을 가질 수 있고, 각 제1레버 부재(21)의 관통공(21a)은 하우징(14)의 피벗축(23)에 장착될 수 있다. 각 제1레버 부재(21)의 일단 외면에는 복수의 톱니부(21b)가 형성될 수 있고, 각 제1레버 부재(21)의 피벗 시에 복수의 톱니부(21b)가 하우징(14)의 결합부(미도시)에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5 , each first lever member 21 may have a through hole 21a formed at one end thereof, and the through hole 21a of each first lever member 21 is a housing 14 It can be mounted on the pivot axis 23 of. A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21b may b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one end of each first lever member 21, and when each first lever member 21 is pivoted, the plurality of toothed portions 21b of the housing 14 It may be selectively coupled to a coupling part (not shown).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는 제1레버 부재(21)들 사이의 이격간격에 대응하여 이격될 수 있다.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는 한 쌍의 제1레버 부재(21)에 개별적으로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레버 부재(22)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may be spaced apart corresponding to the spacing between the first lever members 21 .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may be individually and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21, and the second lever members 22 may be elong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는 그립부(25)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될 수 있고, 그립부(25)가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를 가로질러 연결함으로써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의 강성이 대폭 강화될 수 있다. 그립부(25)는 사용자의 파지가 용이하게 구조의 외면을 가질 수 있고, 이러한 그립부(25)에 의해 한 쌍의 제2레버 부재(22)의 보관 및 조작을 매우 간편하게 할 수 있다.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may be integrally connected by the grip part 25, and the grip part 25 connects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across, thereby connecting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to each other. The rigidity of (22) can be greatly enhanced. The grip part 25 may have an outer surface of the structure for easy grip by a user, and storage and operation of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22 can be very conveniently performed by the grip part 25 .

제1레버 부재(21)는 제2레버 부재(22)의 일단이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캐비티(26)를 가질 수 있다.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 및 제2레버 부재(22)는 상호 부합하는 키 및 키홈 구조로 규격화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정해진 규격의 제2레버 부재(22)만이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first lever member 21 may have a cavity 26 into which one end of the second lever member 22 is detachably inserted.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and the second lever member 22 may be standardized as a mutually matching key and keyway structure, and through this, only the second lever member 22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 is the first lever. It can be easily inserted into the cavity 26 of the member 21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레버 부재(22)는 하나 이상의 돌기(27a) 및 하나 이상의 홈(27b)을 가짐으로써 키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는 제2레버 부재(22)의 돌기(27a) 및 홈(27b)에 대응하는 복수 의 돌기(26a, 26b, 26c)를 가짐으로써 제2레버 부재(22)의 키 구조에 정확하게 부합하는 캐비티(26)의 키홈 구조를 구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정해진 규격의 제2레버 부재(22)만이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안정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second lever member 22 may be configured as a key structure by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27a and one or more grooves 27b.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has a plurality of projections 26a, 26b, and 26c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ons 27a and grooves 27b of the second lever member 22, so that the second lever member It is possible to configure the keyway structure of the cavity 26 to exactly match the key structure of (22). Through this, only the second lever member 22 of a predetermined standard can be stably inserted into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 및 제2레버 부재(22)가 상호 부합하는 키 및 키홈 구조로 규격화됨에 따라, 정해진 규격의 제2레버 부재(22)만이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and the second lever member 22 are standardized as a mutually matching key and keyway structure, only the second lever member 22 of the predetermined standard It may be detachably coupled to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레버 부재(21)는 캐비티(26)와 소통하는 결합공(28)을 가질 수 있고, 제2레버 부재(22)는 결합돌기(29)를 가질 수 있다. 결합돌기(29)는 한 쌍의 경사면(29a)을 가질 수 있고, 한 쌍의 경사면(29a)은 전후방향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레버 부재(22)의 단부가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삽입 내지 분리될 때, 결합돌기(29)는 한 쌍의 경사면(29a)을 통해 결합공(28)에 용이하게 결합 내지 분리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2레버 부재(22)가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삽입되면, 제2레버 부재(22)의 결합돌기(29)는 제1레버 부재(21)의 결합공(28)에 끼워짐으로써 제2레버 부재(22)는 제1레버 부재(2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S. 8 and 9 , the first lever member 21 may have an engaging hole 28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26, and the second lever member 22 may have an engaging protrusion 29. can have The coupling protrusion 29 may have a pair of inclined surfaces 29a, and the pair of inclined surfaces 29a may be formed symmetrically in the front-rear direction. When the end of the second lever member 22 is inserted into or separated from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the engaging protrusion 29 enters the engaging hole 28 through a pair of inclined surfaces 29a. It can be easily bonded or separated. Through this, when the second lever member 22 is inserted into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the engaging protrusion 29 of the second lever member 22 becomes the engaging hole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By fitting into (28), the second lever member 22 can be firmly coupled to the first lever member 21.

그리고, 제2레버 부재(22)를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로부터 분리하고자 할 경우에는 도 10과 같이 분리도구(41)를 이용하여 제2레버 부재(22)의 결합돌기(29)를 눌러줌으로써 제2레버 부재(22)가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로부터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And, when it is desired to separate the second lever member 22 from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as shown in FIG. By pressing 29, the second lever member 22 can be easily separated from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도 3과 같이, 레버(20)가 결합위치(P2)로 이동함으로써 피메일커넥터(12)가 엔진제어유닛(10)의 메일커넥터(11)에 결합된다. 그 이후에, 도 4와 같이, 제1레버 부재(21)로부터 제2레버 부재(22)를 분리하면 제1레버 부재(21)의 타단과 피벗축(23) 사이의 거리가 매우 가까워지므로 제1레버 부재(21)를 해제위치(P1)를 피벗하기 매우 어려운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제1레버 부재(21)의 지렛대 작용이 효과적으로 구현될 수 없는 상태가 된다. 이렇게 제1레버 부재(21)로부터 제2레버 부재(22)가 분리되면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은 제2레버 부재(22)를 별도로 보관한다. As shown in FIG. 3 , the female connector 12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11 of the engine control unit 10 by moving the lever 20 to the engaging position P2 . After that, as shown in FIG. 4, when the second lever member 2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ever member 21, the distance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and the pivot shaft 23 becomes very close. It may be very difficult to pivot the lever member 21 to the release position P1. That is, the lever action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can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When the second lever member 22 is separated from the first lever member 21 in this way,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stores the second lever member 22 separately.

그 이후에, 차량이 주차된 상태에서, 차량 소유자 또는 관리인 등 이외의 외부인이 제1레버 부재(21)에 다른 부재를 결합하려 하더라도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의 키 홈구조로 인해 다른 부재를 결합하기 어려운 상태이다. After that, in a state where the vehicle is parked, even if an outsider other than the vehicle owner or manager tries to couple another member to the first lever member 21, the keyway structure of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Due to this, it is difficult to combine other members.

이와 같이, 다른 부재가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결합될 수 없으므로 외부인이 차량을 탈취하고자 제1레버 부재(21)의 캐비티(26)에 다른 부재를 결합하더라도 제1레버 부재(21)를 해제위치(P1)로 이동시키기 어려워질 수 있다. 즉, 제1레버 부재(21)에 의한 지렛대작용을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없으므로 차량의 도난을 효과적으로 방지 내지 지연할 수 있다. As such, since other members cannot be coupled to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even if an outsider couples another member to the cavity 26 of the first lever member 21 to steal the vehicle, the first lever It may become difficult to move the member 21 to the release position P1. That is, since the leverage action by the first lever member 21 cannot be effectively implemented, the theft of the vehicl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or delayed.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to explai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rang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엔진제어유닛 11: 메일커넥터
12: 피메일커넥터 13: 하우징
14: 하우징 16: 커버
18: 슬라이더 20: 레버
21: 제1레버 부재 22: 제2레버 부재
23: 피벗축 24: 크로스부
25: 그립부 26: 캐비티
28: 결합공 29: 결합돌기
10: engine control unit 11: male connector
12: female connector 13: housing
14: housing 16: cover
18: slider 20: lever
21: first lever member 22: second lever member
23: pivot axis 24: cross section
25: grip part 26: cavity
28: coupling hole 29: coupling protrusion

Claims (9)

엔진제어유닛에 부착된 메일커넥터;
상기 메일커넥터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피메일커넥터;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결합되는 결합위치 및 상기 피메일커넥터가 상기 메일커넥터에 대해 해제되는 해제위치 사이로 이동하는 레버;를 포함하고,
상기 레버는 피메일커넥터에 피벗가능하게 장착된 한 쌍의 제1레버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제2레버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레버 부재는 상기 제2레버 부재가 분리가능하게 삽입되는 캐비티를 가지고,
상기 제1레버 부재는 상기 캐비티와 소통하는 결합공을 가지고, 상기 제2레버 부재는 결합돌기를 가지며, 상기 제2레버 부재가 상기 제1레버 부재의 캐비티에 삽입되면 상기 결합돌기가 상기 결합공에 끼워지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Male connector attached to the engine control unit;
a female connector detachably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lever pivotably mounted on the female connector and moving between an engagement position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coupled to the male connector and a release position in which the female connector is released from the male connector;
The lever includes a pair of first lever members pivotally mounted to the female connector and a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detachably coupled to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The first lever member has a cavity into which the second lever member is detachably inserted,
The first lever member has an engaging hole communicating with the cavity, the second lever member has an engaging protrusion, and when the second lever member is inserted into the cavity of the first lever member, the engaging protrusion forms the engaging hole. The connector device of the engine control unit to be inserted into th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캐비티는 키 홈구조로 구성되고, 상기 제2레버 부재는 상기 캐비티의 키홈 구조로 부합하는 키구조로 구성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nnector device of the engine control unit, wherein the cavity is composed of a keyway structure, and the second lever member is composed of a key structure corresponding to the keyway structure of the cavity.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레버 부재는 하나 이상의 돌기 및 하나 이상의 홈을 가진 키 구조로 구성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3,
The second lever member is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composed of a key structure having one or more protrusions and one or more grooves.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레버 부재의 캐비티는 상기 제2레버 부재의 돌기 및 홈에 대응하는 복수의 돌기를 가진 키홈 구조로 구성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cavity of the first lever member corresponds to the protrusion and groove of the second lever member.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composed of a keyway structure having a plurality of protrusions.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돌기는 한 쌍의 경사면을 가지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coupling protrusion is a connector device of an engine control unit having a pair of inclined surfaces.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는 상기 피메일커넥터의 폭에 대응하는 간격으로 이격되고, 상기 한 쌍의 제1레버 부재는 크로스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are spaced apart at intervals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emale connector, and the pair of first lever members are integrally connected by a cross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레버 부재는 그립부에 의해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엔진제어유닛의 커넥터장치.
The method of claim 1,
The pair of second lever members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connector device of the engine control unit by a grip part.
KR1020170170408A 2017-12-12 2017-12-12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KR1024748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08A KR102474812B1 (en) 2017-12-12 2017-12-12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0408A KR102474812B1 (en) 2017-12-12 2017-12-12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88A KR20190069988A (en) 2019-06-20
KR102474812B1 true KR102474812B1 (en) 2022-12-06

Family

ID=671036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0408A KR102474812B1 (en) 2017-12-12 2017-12-12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812B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141A (en) * 2005-10-06 2009-03-19 エフシーアイ Electric connector
JP2011222740A (en)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Lock mechanism of electronic equipment unit, electronic equipment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88676B1 (en) * 2010-10-14 2012-10-08 영화테크(주) Junction box for automotive vehic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2141A (en) * 2005-10-06 2009-03-19 エフシーアイ Electric connector
JP2011222740A (en) * 2010-04-09 2011-11-04 Sony Corp Lock mechanism of electronic equipment unit, electronic equipment unit, and electronic equipmen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9988A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032058B (en) Locking device for locking lid to contact carrier module
US936889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348019B1 (en) Connector assembly with locking feature
JP2008027652A (en) Connector with lever
JP3944179B2 (en) connector
KR102474812B1 (en) Connector apparatus for engine control unit
RU2505879C2 (en)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having connecting device for connection with additional modular electrical apparatus
US20080182448A1 (en) Divided Spring Arm
KR20160139689A (en) Slim 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s
EP287674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safety restraint system
JP6191445B2 (en) Charging connector
US7618278B2 (en) Closed housing for a locking element of a plug-in connection
JP4592463B2 (en) Electrical connector
WO2014111133A1 (en) Seale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20130224985A1 (en) Connector
EP2842817B1 (en) Steering lock device
US9073507B2 (en) Steering lock device
CN105228866A (en) Electrical steering column lock system
JP5151656B2 (en) Harness prevention structure of harness connector
EP2894652A1 (en) Engine starting device
JP2020126842A (en) Locking device for locking lever of multipole electrical connector housing
JP2017021929A (en) Charge cable lock device
WO2017094460A1 (en) Connector
JP6407583B2 (en) Vehicle control device
JP2012201345A (en) Vehicle theft preventing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