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316B1 - 공기 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공기 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316B1
KR102299316B1 KR1020200178608A KR20200178608A KR102299316B1 KR 102299316 B1 KR102299316 B1 KR 102299316B1 KR 1020200178608 A KR1020200178608 A KR 1020200178608A KR 20200178608 A KR20200178608 A KR 20200178608A KR 102299316 B1 KR102299316 B1 KR 102299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rame member
outlet
uni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78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기윤
Original Assignee
남기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기윤 filed Critical 남기윤
Priority to KR1020200178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0001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기재의 공기 처리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부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유닛;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배출구가 위치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 처리 장치{Air purifier}
본 발명은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공기를 정화하여 실내로 공급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공기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환풍기는 실외의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여 실내의 공기질을 향상시키는데 사용된다. 환풍기는 구동력을 생성하는 모터의 축에 프로펠러나 블레이드와 같은 회전날개를 회전시킨다. 환풍기는 강제로 공기의 흐름을 유도하여 실내의 공기를 외부의 공기로 교체시켜주거나 또는 특정 구역내의 유독가스 등의 기체를 제거하는 역할로 사용된다.
이와 같은 환풍기는 외기와 통하는 벽이나 천장의 구멍에 설치되며, 설치 형태와 사용용도 및 회전날개의 구조 및 모터의 구성에 따라 다양하게 구분되어 사용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환풍기는 실내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필터를 포함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필터가 장시간 사용되어 먼지가 과도하게 축적되는 경우, 풍량이 감소되고 송풍 성능이 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사용자는 필터를 환풍기로부터 분리하여 세척하거나 새로운 필터를 설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뿐만 아니라, 외부 공기가 필터를 통과하면서 풍량이 감소된다. 종래의 외부 공기가 항상 필터를 통과해서 실내로 공급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외부 공기에 먼지가 포함되지 않아서 필터를 거칠 필요가 없는 상황에서도 필터를 통과하면서 풍량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756588호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공기가 필터를 선택적으로 통과할 수 있게 하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게 하는 공기 처리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부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유닛;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배출구가 위치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한편,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배출구가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며,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를 재순환시키고 정화하여 상기 배출구로 재차 배출하는 공기 정화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공기 정화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부재;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와 경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하는 제1 개폐 부재;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고,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부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유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개폐 부재; 및 상기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배출구에 위치된 공간의 공기 정화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개폐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개폐 부재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배출구를 개폐하는 필터 유닛을 포함한다. 먼지가 외부 공기에 포함된 상황인 경우, 공기 처리 장치는 필터 유닛이 배출구를 폐쇄하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단위 필터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배출구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먼지가 외부 공기에 포함되지 않은 상황인 경우, 공기 처리 장치는 필터 유닛이 배출구를 개방하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단위 필터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구를 통하여 바로 배출됨으로써, 기류가 약해지지 않고 그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공기 처리 장치는 종래의 공기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외부 공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는 실내 공기의 정화가 필요한 경우,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되는 것은 차단하고, 공기 정화 유닛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제1 프레임 부재와 필터 유닛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외부 공기가 필터 유닛에서 정화된 이후에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공기 처리 장치가 건물에 적용되어 외부 공기가 필터 유닛에서 정화된 이후에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외부 공기가 필터 유닛에서 정화되지 않고 배출구로 바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공기 처리 장치가 건물에 적용되어 외부 공기가 필터 유닛에서 정화되지 않고 배출구로 바로 배출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공기 처리 장치가 필터 유닛에 축적된 먼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공기 처리 장치가 외부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5의 공기 처리 장치가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공기 처리 장치가 건물에 적용되어 공기 처리 장치가 실내 공기를 정화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및 도 13은 복수개의 공기 처리 장치가 배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일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100)는 제1 프레임 부재(110), 송풍 유닛(120) 및 필터 유닛(130)을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부재(110)는 공기 처리 장치(100)의 몸체가 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10)는 일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제1 프레임 부재(110)의 형상은 일례로 육면체일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유입구(111)와 배출구(112)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밀폐될 수 있다. 유입구(111)는 건물의 실외로 노출될 수 있고, 배출구(112)는 건물의 실내로 노출될 수 있다. 제1 프레임 부재(110)는 건물의 송풍구 등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 유닛(120)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류를 발생시킨다. 송풍 유닛(120)은 일례로 회전팬과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가 회전팬을 회전시키면 기류가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기류가 유입구(111)에서 배출구(112)를 향하는 방향(정방향)으로 발생되거나, 이와 반대 방향인 배출구(112)에서 유입구(111)를 향하는 방향(역방향)으로 발생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필터 유닛(130)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배출구(112)가 위치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필터 유닛(130)은 복수의 단위 필터(131)를 포함한다. 복수의 단위 필터(131)는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동되어 회전될 수 있다. 필터 유닛(130)은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131)를 회전시켜서 상기 배출구(112)를 개폐할 수 있다.
이를 위한 필터 유닛(130)은 일례로 하우징(132) 및 체결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2)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배출구(112)가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131)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면에 도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복수의 단위 필터(131)는 하우징(132)의 내부에 상하방향으로 나란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단위 필터(131)는 모두 동일한 각도로 회전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필터(131)는 서로 링크 결합될 수 있다. 복수의 단위 필터(131)가 동일한 각도 및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링크 결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복수의 단위 필터(131)가 가상의 동일면 상에 위치되어 배출구(112)를 폐쇄할 수 있다. 이와 반대로, 복수의 단위 필터(131)가 동일면 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일정 각도만큼 회전되면, 배출구(112)를 개방할 수 있다.
체결 부재(미도시)는 상기 하우징(132)을 상기 프레임에 체결할 수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체결 부재는 일례로 하우징(132)과 제1 프레임 부재(110)간 서로 접촉되는 부분을 체결하는 볼트일 수 있다.
한편, 하우징(132)의 일측에는 위치 설정 돌기(P)가 있을 수 있다. 위치 설정 돌기(P)는 하우징(132)이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목표 위치에 결합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위치 설정 돌기(P)와 대응되는 부분에는 위치 설정 돌기(P)가 대응되는 크기로 인입된 위치 안내홀(H)이 있을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같은 위치 설정 돌기(P)와 위치 안내홀(H)을 사용하여 제1 프레임 부재(110)와 하우징(132)을 정확하고 편리하게 조립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100)는 배출구(112)를 개폐하는 필터 유닛(130)을 포함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량의 먼지가 외부 공기에 포함된 상황인 경우, 공기 처리 장치(100)는 필터 유닛(130)이 배출구(112)를 폐쇄하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단위 필터(131)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다음 배출구(112)를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그러므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처리 장치(100)가 건물에 설치되는 경우, 실내의 공기가 깨끗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일반적인 송풍기(10)는 실내의 공기를 배출시킬 수 있다.
이와 다르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지가 외부 공기에 포함되지 않은 상황인 경우, 공기 처리 장치(100)는 필터 유닛(130)이 배출구(112)를 개방하게 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단위 필터(131)를 통과하지 않고 배출구(112)를 통하여 바로 배출됨으로써, 기류가 약해지지 않고 그대로 배출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처리 장치(100)는 종래의 공기 처리 장치와 비교하여 외부 공기를 실내로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공기 처리 장치(100)는 필터 유닛(130)에 먼지가 많이 축적된 경우,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송풍 유닛(120)은 배출구(112)에서 유입구(111)를 향하는 역방향으로 기류(F)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필터 유닛(130)에 축적된 먼지(D)가 기류(F)를 타고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먼지 제거 작업은 기준 시간 마다 자동적으로 실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준 시간이 일주일인 경우, 공기 처리 장치(100)는 일주일마다 송풍 유닛(120)을 동작시켜서 필터 유닛(130)에 축적된 먼지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따로 청소 작업을 실시하지 않아도 되므로, 유지 보수가 더욱 편리하게 실시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는 공기 정화 유닛(2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정화 유닛(220)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111)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며, 상기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를 재순환시키고 정화하여 상기 배출구(112)로 재차 배출한다. 공기 정화 유닛(220)은 실내 공기의 정화가 필요한 경우에 동작될 수 있다.
이를 위한 공기 정화 유닛(220)은 일례로, 제2 프레임 부재(221), 제1 개폐 부재(222), 먼지 제거 부재(223), 제2 개폐 부재(224) 및 제어부(22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221)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221)는 제1 프레임 부재(110)의 하측과 유입구(111)가 위치된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프레임 부재(221)는 후술할 제1 개폐 부재(222), 먼지 제거 부재(223), 제2 개폐 부재(224)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손잡이 부재(227)가 제2 프레임 부재(221)의 외측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의 수리가 필요한 경우, 제1 프레임 부재(110)와 제2 프레임 부재(221)의 분해가 필요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손잡이 부재(227)를 잡고, 제1 프레임 부재(110)로부터 제2 프레임 부재(221)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224)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21)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와 경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21)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유입구(111)에 인접한 부분이 관통되고, 제2 개폐 부재(224)는 관통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먼지 제거 부재(223)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21)에 설치되고,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한다. 먼지 제거 부재(223)는 하나 또는 두개일 수 있다.
한편, 공기 정화 유닛(220)은 기류 제어 부재(2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류 제어 부재(226)가 제2 프레임 부재(221) 내부에서 먼지 제거 부재(223)에 인접한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기류 제어 부재(226)는 제2 프레임 부재(221)의 내부의 기류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프레임 부재(221)의 내부의 개방된 정도를 조절하여 기류가 강하게 발생되게 하거나, 기류가 약하게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프레임 부재(221)의 내부를 통과하는 기류가 적절하게 조절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224)는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에서 유입구(111)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한다. 제2 개폐 부재(224)는 유입구(111)가 위치될 수 있는 실외로부터 유입구(111)로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거나 허용할 수 있다. 제2 개폐 부재(224)는 일례로 셔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제어부(225)는 상기 제1 개폐 부재(222) 및 제2 개폐 부재(224)의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225)는 공기 처리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공기 정화 유닛(220)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의 동작 과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9을 참조하면, 외부 공기가 실내로 바로 공급되어야 하는 경우, 제2 개폐 부재(224)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21)를 폐쇄하고, 기류 제어 부재(226)는 제2 프레임 부재(221)의 내부를 폐쇄함으로써, 공기 정화 유닛(220)의 내부는 완전히 폐쇄된다. 이에 따라, 외부 공기가 송풍 유닛(120)과 필터 유닛(130)을 지나서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이때, 필터 유닛(130)은 배출구(112)를 개방할 수도 있고, 폐쇄할 수도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배출구(112)에 위치된 공간의 공기 정화가 필요한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제어부(225)는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111)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개폐 부재(224)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25)는 상기 제2 프레임 부재(221)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110)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개폐 부재(222)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정화 유닛(220)의 내부가 개방되어 제1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와 연통되고, 외부 공기는 실내로 유입되지 않게 된다. 실내 공기는 공기 정화 유닛(220)을 지나서 1차로 정화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유닛(130)은 상기 배출구(112)를 개방할 수도 있고, 폐쇄할 수도 있다. 공기 정화 유닛(220)을 통과한 공기는 송풍 유닛(120)과 필터 유닛(130)을 순차적으로 지나면서 2차로 정화되어서 실내로 공급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내에서 생활하는 사용자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로부터 공급되는 깨끗한 공기로 호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는 전술한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100, 도 1 참조)와 다르게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기능도 실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도 13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는 좌우 방향 및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처리 장치(200)가 이와 같이 배열되는 것으로 한정하지는 않으며, 다양한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지금까지 참조한 도면과 기재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200: 공기 처리 장치 110: 제1 프레임 부재
111: 유입구 112: 배출구
120: 송풍 유닛 130: 필터 유닛
131: 단위 필터 132: 하우징
220: 공기 정화 유닛 221: 제2 프레임 부재
222: 제1 개폐 부재 223: 먼지 제거 부재
224: 제2 개폐 부재 225: 제어부
226: 기류 제어 부재

Claims (5)

  1.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와,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프레임 부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의 내부에 설치되고, 기류를 발생시키는 송풍 유닛; 및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배출구가 위치되는 부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나란하게 배치되고 서로 연동되어 회전되는 복수의 단위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의 회전에 따라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필터 유닛;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유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차단하며, 상기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를 재순환시키고 정화하여 상기 배출구로 재차 배출하는 공기 정화 유닛;을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배출구가 위치되는 부분과 대응되도록 이루어지고, 내부에 상기 복수의 단위 필터가 일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을 상기 프레임에 체결하는 체결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정화 유닛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 결합되는 제2 프레임 부재;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에서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와 경계 부분에 설치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가 서로 연통되거나 차단되게 하는 제1 개폐 부재;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에 설치되고, 공기에 포함된 먼지를 제거하는 먼지 제거 부재;
    상기 제1 프레임 부재에서 유입구에 인접하게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2 개폐 부재; 및
    상기 제1 개폐 부재 및 제2 개폐 부재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공기 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에 위치된 공간의 공기 정화가 필요한 경우,
    상기 필터 유닛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하고,
    상기 제어부는,
    외부 공기가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제2 개폐 부재를 제어하고,
    상기 제2 프레임 부재와 상기 제1 프레임 부재가 서로 연통되도록 상기 제1 개폐 부재를 제어하는 공기 처리 장치.
  5. 삭제
KR1020200178608A 2020-12-18 2020-12-18 공기 처리 장치 KR102299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08A KR102299316B1 (ko) 2020-12-18 2020-12-18 공기 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78608A KR102299316B1 (ko) 2020-12-18 2020-12-18 공기 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9316B1 true KR102299316B1 (ko) 2021-09-07

Family

ID=77796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78608A KR102299316B1 (ko) 2020-12-18 2020-12-18 공기 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3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48A (ja) * 1994-07-20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フィルタ取付装置
JPH10185265A (ja) * 1996-12-18 1998-07-14 Nisshin Steel Co Ltd 油分解機能をもつレンジフード
JP2008116158A (ja) * 2006-11-07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KR101756588B1 (ko) 2016-04-27 2017-07-26 나기원 방화용 환풍기
KR101971456B1 (ko) * 2018-08-27 2019-08-13 오경철 에너지 절약형 댐퍼 구조와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탈취 기능을 갖는 급기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2248A (ja) * 1994-07-20 1996-02-02 Fujitsu General Ltd フィルタ取付装置
JPH10185265A (ja) * 1996-12-18 1998-07-14 Nisshin Steel Co Ltd 油分解機能をもつレンジフード
JP2008116158A (ja) * 2006-11-07 2008-05-2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換気装置
KR101756588B1 (ko) 2016-04-27 2017-07-26 나기원 방화용 환풍기
KR101971456B1 (ko) * 2018-08-27 2019-08-13 오경철 에너지 절약형 댐퍼 구조와 미세먼지 제거 및 살균탈취 기능을 갖는 급기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015096A (ko) 슬림형 공기처리장치
JP4392310B2 (ja) 送風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TWI572829B (zh) 空氣清淨機
KR20150028171A (ko) 제습기
JP2005043032A (ja) 空気清浄機
KR101276193B1 (ko) 차량용 공기정화기
JP2008145090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1013379B1 (ko) 공기청정기
KR102319068B1 (ko) 냉,난방 및 환기 그리고 자동청소기능을 갖는 복합형 팬코일유니트 및 그 제어방법
JP3799347B2 (ja) 空気調和機
KR102299316B1 (ko) 공기 처리 장치
KR100819732B1 (ko) 전열교환기
KR20080092201A (ko) 환기장치 및 이를 갖춘 공기조화기
KR100359997B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CN105465942B (zh) 热交换式换气装置
KR20060098281A (ko) 환기시스템
KR100531084B1 (ko) 공기청정시스템 및 그 운전방법
KR200205601Y1 (ko) 공기의 흡배출에 의한 공기정화 환풍기
KR200321779Y1 (ko) 환기유니트 제어장치
KR20220003879A (ko) 공기 정화 장치
KR100563527B1 (ko) 공기청정시스템의 운전방법
KR100531088B1 (ko) 공기청정기
KR101284962B1 (ko) 가습공기청정기
KR200435911Y1 (ko) 데시칸트 제습기
KR20060098284A (ko)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