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9037B1 -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 Google Patents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9037B1
KR102299037B1 KR1020190179550A KR20190179550A KR102299037B1 KR 102299037 B1 KR102299037 B1 KR 102299037B1 KR 1020190179550 A KR1020190179550 A KR 1020190179550A KR 20190179550 A KR20190179550 A KR 20190179550A KR 102299037 B1 KR102299037 B1 KR 102299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rotation
compaction roller
support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95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5948A (ko
Inventor
이강태
안종석
Original Assignee
이강태
안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강태, 안종석 filed Critical 이강태
Priority to KR10201901795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9037B1/ko
Publication of KR202100859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59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9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9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29/00Rollers
    • A01B29/02Rollers with smooth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16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rotating or circulating non-propelled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10)에 장착된 엔진(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전륜다짐롤러(12)와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후륜다짐롤러(13)를 포함한 관리기에 부착하는 관리기 부착형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 작업자의 착석을 위한 안장(110), 상기 안장(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결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대에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가 결합되어, 상기 안장(110)의 하중이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를 통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RIDEABLE COMPACTOR FOR ATTACHING TO CULTIVATOR}
본 발명은 다지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형 농기계인 관리기에 부착하여 지면의 흙을 단단하게 다지기 위한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에 관한 것이다.
농작물을 경작하기 위해선 굳어버린 토양을 경운·쇄토하기 위해 트랙터 등으로 로터리 작업을 한다.
하지만 로터리 작업으로 흙이 부드러워진 상태에서 농작물을 이식하는 작업을 하게 되면 빠른 수분의 증발로 온도 유지가 어렵고, 겨울철 냉한기때 농작물의 초기 생육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흙 위에 비닐을 씌우는 멀칭작업을 할 때 작업자가 흙 위를 밝게되면 발자국이 생기고 그로 인해 움푹 꺼진 부분에 물고임 현상이 생겨, 고품질의 농산물 생산에 차질이 생기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이랑 등에 대한 다지기 작업을 하게 되면, 꾸준한 수분과 온도 유지로 농작물의 초기 생육에 유리하며, 또한 고른 다짐작업으로 인해 뿌리의 생착률이 높아져 농작물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한편, 관리기(CULTIVATOR)는 소형 다목적 농기계로, 보급 초기에는 과수원의 중경 제초 작업과 퇴구비 설치를 위한 골타기 및 골파기작업에 이용되었으나, 최근에는 하우스 내 파종, 이식상(移埴床) 조성을 비롯하여 배수구설치 등 다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관리기는 지형이 좁은 곳이나 험한 곳에서도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으며, 농사를 짓는데 필요한 각종 농기구 등과 같은 작업기를 설치함으로써, 적은 인원으로도 관리기의 엔진 동력을 이용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에는 트랙터 등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 역시 트랙터 등에 비하여 작고 가벼워 보관 및 장착이 용이하기 때문에, 개인 농가에서도 구매하여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도 1은 종래 다짐작업이 가능한 관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종래 관리기(1)는, 엔진(11)에서 구동력을 얻어 회전운동을 하는 전륜축의 좌우 양측에 폭이 넓은 한 쌍의 전륜다짐롤러(12)를 장착하고, 관리기(1)의 후부에 후륜다짐롤러(13)를 장착하여, 다짐작업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종래 관리기(1)는, 관리기 본체(10) 후부에 고정된 결합지지대(15)와, 상기 결합지지대(15)의 말단부에 체결수단(16)에 의해 삽입결합되는 연결부재(14)를 포함하되, 여기서 연결부재(14)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형성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였기 때문에, 후륜다짐롤러(13)에 잦은 끌림현상이 발생하여 이로 인해 다짐작업의 반복을 필요로 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도 1의 미설명도면부호 h는 작업자가 관리기(1)를 운전하기 위해 파지하는 손잡이를 가리킨다.
참외를 경작하는 농가에서는 한 가구당 10개에서 수십개의 비닐하우스를 경작하므로, 통상적으로 1개의 비닐하우스에 대한 최소한의 보행거리가 600 ~ 1,000m 가량되기 때문에, 다짐작업을 반복하게 되면 작업자의 피로도는 말로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기술에 대한 요구가 제기되고 있는 실정이다.
KR 0445452 Y1 KR 0182600 Y1
본 발명은, 관리기의 후부에 장착된 다짐롤러에 대해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종래 대비 더 단단한 평탄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10)에 장착된 엔진(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전륜다짐롤러(12)와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후륜다짐롤러(13)를 포함한 관리기에 부착하는 관리기 부착형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 작업자의 착석을 위한 안장(110), 상기 안장(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결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대에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가 결합되어, 상기 안장(110)의 하중이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를 통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가이드부(131)의 수직부과 상기 지지대(120)의 수직방향은 나란히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는,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 결합지지대(134)와,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와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2 결합지지대(132)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결합지지대(134) 및 상기 제2 결합지지대(132)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파이프(133)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파이프(133)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지지대(134, 132)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안장(110) 및 상기 후륜다짐롤러(13)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고정 결합된 ㄷ자형으로 절곡된 회전지지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지지대(134)의 일 단부는, 상기 회전지지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110) 및 상기 후륜다짐롤러(13)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이동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는, 후측 말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는, 추가후륜다짐롤러(230)와, 상기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추가회전가이드부(220)와, 상기 끼움삽입공에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추가회전가이드(220)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연결파이프(2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추가회전가이드부(220)는, 후측에 또 다른 상기 연장연결파이프(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형성된 추가끼움삽입공(2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후륜다짐롤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는,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회전축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330), 및 각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330)에 결합되는 ㄷ자형 연결부재(320)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재(330)는,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ㄷ자형 연결부재(320)는, 상기 결합지지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링크부재(330)는, 일 단부에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편(331)과, 일 단부에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편(33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재편(331)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링크부재편(332)의 타 단부는 서로 링크부재편연결축(335)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면접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는 관리기의 후부에 장착된 다짐롤러에 대해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하여 종래 대비 더 단단한 평탄작업이 가능하고,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후륜다짐롤러의 후부에 직렬로 추가후륜다짐롤러를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 각 축이 링크부재로 결합되어, 다짐작업의 효율성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고,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상기 후륜다짐롤러를 끌리게 하여 토사를 모으는 등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다짐작업이 가능한 관리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종래 관리기에 장착되는 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다지기의 안장 및 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다짐롤러의 결합지지봉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 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100)는, 본체(10)에 장착된 엔진(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전륜다짐롤러(12)와 본체(10)의 후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 후륜다짐롤러(13)를 포함하되,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와, 작업자의 착석을 위한 안장(110)과, 안장(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와,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결합지지대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대에 지지대(120) 및 회전가이드부(131)가 결합되어, 안장(110)의 하중이 지지대(120) 및 회전가이드부(131)를 통해 후륜다짐롤러(13)에 가해지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100)는 관리기(1)의 후부에 장착된 후륜다짐롤러(13)에 대하여 중력방향으로 하중을 지속적으로 가함으로써, 종래 작업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후륜다짐롤러(13)의 끌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작업자의 체중으로 인하여 후륜다짐롤러(13)에 하중이 지속적으로 가해짐으로써 종래 대비 더 단단한 평탄작업이 가능하고, 다짐작업의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다만, 도 3에 도시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가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들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용다지기의 안장 및 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지지대(132~134)에는, 작업자의 착석을 위한 안장(110)의 상방으로 지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지지대(120)와, 후륜다짐롤러(13)가 회전가능하도록 회전축 양단 각각에 각 단부가 결합된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가 결합될 수 있다.
작업자가 관리기를 사용하여 다짐작업을 하기 위해 안장(110)에 착석하였을 때, 작업자의 하중이 지지대(120) 및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를 통해 후륜다짐롤러(13)에 중력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후륜다짐롤러(13)의 끌림 없어 단단한 평탄작업이 가능하다.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는 광폭 후륜다짐롤러(13)의 폭방향과 나란한 수평부와 수평부 양단으로부터 수직하게 하향 연장된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상기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의 수직부는 지지대(120)의 수직방향과 나란히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지지대(120)는 상기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의 수평부에서 수직하게 상향 연장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지대(120)의 상부 말단부에 안장(110)이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 또는 이에 결합된 상기 결합지지대(132~134)에는,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안장(110)에 착석하였을 때 발을 올려놓을 수 있는 발판(111)이 부착되어, 사용자가 안장(110)에 편안하게 착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지지대는 하나의 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하는 것은 아니며,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132~134)는, 도 3 및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결합지지대(134)와 제2 결합지지대(132)로 나누어질 수 있고, 두 제1 및 제2 결합지지대(132, 134)는 그 사이에 개재된 연결파이프(133)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지지대(134)는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이고, 제2 결합지지대(132)는 지지대(120) 및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와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으로서, 연결파이프(133)의 양단 각각은 상기 제1 및 제2 결합지지대(132, 134)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연결파이프(133)에는 복수의 관통홀(1331~1334)이 형성되어 있고, 이는 제1 결합지지대(134)의 말단부에 형성된 관통홀 및/또는 제2 결합지지대(132)의 말단부에 형성된 관통홀과 핀 따위와 같은 체결수단을 통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연결파이프(133)의 복수의 관통홀(1331~1334)에 결합된 제1 및/또는 제2 결합지지대(132, 134)의 결합 위치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132~134)의 길이가 신장 또는 신축되어, 제2 결합지지대(132)에 결합된 안장(110) 및 후륜다짐롤러(13)가 전후방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는 관리기 본체(10)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고정 부착될 수 있으나 이에 한하지 않고, 본체(10)와 상기 결합지지대 사이에는 ㄷ자형으로 절곡된 회전지지플레이트(140)가 설치될 수 있다.
ㄷ자형으로 절곡된 회전지지플레이트(140)의 개구부가 상기 결합지지대를 향하도록 본체(10)의 후부에 고정 결합되고, 개구부 내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회전축에 상기 결합지지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어, 결합지지대가 회전축을 중심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로 회동할 수 있다.
몰론,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ㄷ자형의 회전지지플레이트(140) 내에 회전축을 마련하기 위해 ㄷ자형의 회전지지플레이트(140)를 수직방향으로 관통하는 핀 따위가 결합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결합지지대가 제1 및 제2 결합지지대(132, 134)로 나누어진 경우에는, 상기 ㄷ자형의 회전지지플레이트(140)의 개구부 내에 마련된 회전축에는 제1 결합지지대(134)가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가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100)에는 추가로 후륜다짐롤러(230)를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100)는,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륜다짐롤러(12) 이외에 하나의 후륜다짐롤러(13)를 포함할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 후륜다짐롤러(230)를 후방에 적어도 하나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지지대의 후측 말단부에는 끼움삽입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끼움삽입공에는 연장연결파이프(210)가 삽입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끼움삽입공에 상기 연장연결파이프(210)를 끼우기 위해 상기 연장연결파이프(210)의 전단부에는 다소 좁은 폭을 가진 삽입파이프(211)가 연장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삽입파이프(211)가 상기 끼움삽입공에 끼움결합됨으로써, 상기 연장연결파이프(210)에 결합된 추가후륜다짐롤(230)가 관리기에 더하여질 수 있다.
후륜다짐롤러(13)와 마찬가지로, 연장연결파이프(210)에 결합된 ㄷ자형의 추가회전가이드부(220)의 각 말단부는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축 각각에 결합하여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리기(1)가 이동할 때, 전륜 및 후륜다짐롤러(12, 13)는 물론이고, 추가후륜다짐롤러(230)도 회동하며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추가회전가이드부(220)도 후속하여 후측에 또 다른 상기 연장연결파이프(210)의 삽입이 가능하도록 추가끼움삽입공(212)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끼움삽입공(212)에 또 다른 연장연결파이프(210)가 끼움 결합됨으로써, 작업자는 필요에 따라 더 많은 추가후륜다짐롤러(230)를 관리기(1)에 장착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후륜다짐롤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한 링크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다짐롤러(13)는 가까운 거리에 배치된 한 쌍, 즉 두 개(도면부호 311 및 312의 후륜다짐롤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링크부재(330)는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회전축 단부(311a, 312a)를 서로 연결하는 부재로서,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이 회동하며 함께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ㄷ자형 연결부재(320)는, 결합지지대(132~134) 또는 삽입파이프(211)에 결합되되, 회전가이드부(131) 및 추가회전가이드부(220)와 마찬가지로 ㄷ자형 각 단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330) 각각에 결합하여, 관리기(1)의 이동에 따라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를 이동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ㄷ자형 연결부재(320)의 각 말단부는 한 쌍의 링크부재(330) 각각에 결합되되, 링크부재(330)의 가운데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후술하는 바와 같이, ㄷ자형 연결부재(320)의 각 말단부는 링크부재편연결축(335)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를 위해 상기 ㄷ자형 연결부재(320)의 각 말단부에는 상기 링크부재편연결축(335)과 나란하게 내측으로 연장형성된 축결합편(32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링크부재(33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편(331, 332)의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제1 및 제2 링크부재편(331, 332)은 제1 링크부재편(331)의 타 단부와 제2 링크부재편(332)의 타 단부가 링크부재편연결축(335)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링크부재편(331, 332)의 각 타 단부, 즉 링크부재편연결축(335)에는 볼트너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체결될 수 있고, 이의 체결력 및/또는 링크부재편연결축(335)에 수직방향으로 가해지는 힘(도 8의 화살표 방향)에 의해 제1 및 제2 링크부재편(331, 332)은 도 8(a)에 도시한 결합형상에서 도 8(b)에 도시한 결합형상으로 변형이 일어날 수 있다.
도 8(b)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부재편(331, 332)이 결합하면, 링크부재(330)로 결합된 두 후륜다짐롤러(311, 312)의 회전축이 서로 가까워져, 인접한 두 후륜다짐롤러(311, 312)가 가까워져 회동을 정지시킬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작업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를 다짐작업에 쓸 수 있음은 물론이고, 필요에 따라 다짐작업이 아닌 끌림작업에도 활용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관리기 10: 본체
11: 엔진 12: 전륜다짐롤러
13: 후륜다짐롤러 14: 연결부재
15: 결합지지대 16: 체결수단
100: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110: 안장
120: 지지대 131: 회전가이드부
132: 제2 결합지지대 133: 연결파이프
1331~1334: 관통홀 134: 제1 결합지지대
140: 회전지지플레이트 210: 연장연결파이프
211: 삽입파이프 220: 추가회전가이드부
230: 추가후륜다짐롤러 311, 312: 후륜다짐롤러
320: ㄷ자형 연결부재 330: 링크부재
331: 제1 링크부재편 332: 제2 링크부재편
335: 링크부재편연결축

Claims (7)

  1. 본체(10)에 장착된 엔진(11)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운동을 하는 전륜다짐롤러(12)와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 후륜다짐롤러(13)를 포함한 관리기에 부착하는 관리기 부착형 다지기에 있어서,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회전가이드부(131);
    작업자의 착석을 위한 안장(110);
    상기 안장(110)을 지지하는 지지대(120); 및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결합지지대;
    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지지대에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가 결합되어, 상기 안장(110)의 하중이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를 통해 상기 후륜다짐롤러(13)에 가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이드부(131)의 수직부과 상기 지지대(120)의 수직방향은 나란히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대는,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후방으로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1 결합지지대(134)와, 상기 지지대(120) 및 상기 회전가이드부(131)와 결합되는 파이프 형상의 제2 결합지지대(132)와, 양단이 각각 상기 제1 결합지지대(134) 및 상기 제2 결합지지대(132)에 끼움 결합되는 연결파이프(133)를 포함하여, 상기 연결파이프(133)에 대한 상기 제1 및 제2 결합지지대(134, 132)의 결합위치에 따라 상기 안장(110) 및 상기 후륜다짐롤러(13)가 전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0)의 후부에 고정 결합된 ㄷ자형으로 절곡된 회전지지플레이트(1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결합지지대(134)의 일 단부는, 상기 회전지지플레이트에 수직방향으로 마련된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안장(110) 및 상기 후륜다짐롤러(13)는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좌우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지지대는, 후측 말단부에 형성된 끼움삽입공을 포함하고,
    상기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는,
    추가후륜다짐롤러(230)와, 상기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추가후륜다짐롤러(23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ㄷ자형의 추가회전가이드부(220)와, 상기 끼움삽입공에 끼움 결합을 위해 상기 추가회전가이드(220)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된 연장연결파이프(21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륜다짐롤러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는,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에 마련된 한 쌍의 회전축의 각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한 쌍의 링크부재(330); 및
    각 단부가 상기 한 쌍의 링크부재(330)에 결합되는 ㄷ자형 연결부재(320);
    를 더 포함하되,
    상기 링크부재(330)는,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각각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ㄷ자형 연결부재(320)는, 상기 결합지지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재(330)는,
    일 단부에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중 어느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1 링크부재편(331)과, 일 단부에 상기 한 쌍의 후륜다짐롤러(311, 312) 중 다른 하나의 회전축과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제2 링크부재편(332)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링크부재편(331)의 타 단부와 상기 제2 링크부재편(332)의 타 단부는 서로 링크부재편연결축(335)을 중심으로 회동하도록 면접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KR1020190179550A 2019-12-31 2019-12-31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KR102299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50A KR102299037B1 (ko) 2019-12-31 2019-12-31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9550A KR102299037B1 (ko) 2019-12-31 2019-12-31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48A KR20210085948A (ko) 2021-07-08
KR102299037B1 true KR102299037B1 (ko) 2021-09-07

Family

ID=76894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9550A KR102299037B1 (ko) 2019-12-31 2019-12-31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9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63B1 (ko) 2022-10-18 2023-05-12 현대농기계(주) 4륜 구동형 승용 관리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52Y1 (ko) 2009-04-29 2009-07-30 월 영 이 농업용 땅 다짐기
JP2012019703A (ja) 2010-07-12 2012-02-02 Honko Mfg Co Ltd 農作業用腰掛台車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17602A (ja) * 1993-01-26 1994-08-09 Sano Atatsuchi Kenkyusho:Kk 畝鎮圧装置
KR0182600B1 (ko) 1996-05-27 1999-05-01 손경식 불소수지를 함유하는 가정용 다림질 용이제 조성물
KR100445452B1 (ko) 2000-06-16 2004-08-21 주식회사 이화컴 매뉴얼 제공 서버 시스템 및 그 매뉴얼 제공 방법
KR101545784B1 (ko) * 2013-10-18 2015-08-19 한재헌 트랙터용 파종기의 장착 프레임 연결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5452Y1 (ko) 2009-04-29 2009-07-30 월 영 이 농업용 땅 다짐기
JP2012019703A (ja) 2010-07-12 2012-02-02 Honko Mfg Co Ltd 農作業用腰掛台車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1963B1 (ko) 2022-10-18 2023-05-12 현대농기계(주) 4륜 구동형 승용 관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5948A (ko) 2021-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70842B2 (ja) 畝立施肥装置
CN104718823B (zh) 深松中耕除草施肥一体机
CN201226652Y (zh) 组合式多功能田间作业机
BRPI0617848A2 (pt) arado, e, método para fabricar um arado
US8534372B2 (en) Multi drill cultivator
CN201938033U (zh) 多功能耕整灭茬播种机
KR102299037B1 (ko) 관리기 부착형 승용다지기
CN1934920A (zh) 多功能耕旋、施肥联合作业机
CN201797713U (zh) 自走手扶铲耘机
CN202059738U (zh) 耕播施肥多功能复合作业播种机械
CN2101359U (zh) 多功能分体组合式农机具
CN201078897Y (zh) 微型耕耘机水田作业乘座装置
KR101934235B1 (ko) 밭이랑 곡선면 궤도 이탈 방지 및 경사면 수평 유지가 가능한 트랙터용 부속 작업기의 연결장치
KR100849205B1 (ko) 농작물 관리용 3륜 작업의자
Dharmawardene Trends in farm mechanization by sugarcane small land holders in Sri Lanka
Davidson et al. Farm machinery and farm motors
CN206181733U (zh) 葡萄机械除草机
CN201789723U (zh) 手扶自走旋耘机
US1145212A (en) Plow.
CN216491854U (zh) 一种翻耕陪肥用翻土设备
CN201629970U (zh) 机动扣半犁
CN210491573U (zh) 手扶拖拉机牵引双垄播种机
US9451739B2 (en) Agricultural undercut implements and methods
CN2822157Y (zh) 秸秆还田耕犁
RU48142U1 (ru) Почвообрабатывающее орудие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