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864B1 - Smart wheelchair - Google Patents

Smart wheelchai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864B1
KR102298864B1 KR1020190139849A KR20190139849A KR102298864B1 KR 102298864 B1 KR102298864 B1 KR 102298864B1 KR 1020190139849 A KR1020190139849 A KR 1020190139849A KR 20190139849 A KR20190139849 A KR 20190139849A KR 102298864 B1 KR102298864 B1 KR 1022988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heelchair
unit
coupled
w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98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210054125A (en
Inventor
맹환호
강민구
박래진
강성민
Original Assignee
맹환호
강민구
박래진
강성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맹환호, 강민구, 박래진, 강성민 filed Critical 맹환호
Priority to KR1020190139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864B1/en
Publication of KR202100541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12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8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86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04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 A61G5/041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motor-driven having a specific drive-ty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5/00Chairs or personal conveyances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e.g. wheelchairs
    • A61G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61G2203/22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for automatically guiding movable devices, e.g. stretchers or wheelchairs in a hospit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04Wheel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마트 휠체어에 관한 것으로,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복수 개의 피니언은 복수 개의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 하는 경우,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heelchair, and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ar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nd a plurality of portion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rack driving unit and a plurality of rack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motor units, a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coupled in the same line with the motor unit, a column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ack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nion driving unit at one point of the column It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driving part, and the pinion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length shaft adjustable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xed shaft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length shaft, and a pinion coupled at a point of the fixed shaft, When the plurality of pinions are respectively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plurality of racks,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even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Description

스마트 휠체어 {SMART WHEELCHAIR}Smart wheelchair {SMART WHEELCHAIR}

본 발명은 스마트 휠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피니언은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도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mart wheelchair. In more detail,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 plurality of motor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motor A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coupled in the same line as the unit, a pillar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rack driving unit provided with a rack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nion driving unit at one point of the pillar and a plurality of rack driving units coupled to the lower part and a plurality of wheel parts that become As each movement is possi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even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거동이 불편하거나 하체기능이 원활하지 않은 사람이 앉은 채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바퀴를 단 의자로, 다른 사람의 도움 없이 원하는 장소로 이동이 가능하다.In general, a wheelchair is a chair with wheels on both sides so that a person with reduced mobility or poor lower body function can move while sitting, and it is possible to move to a desired place without the help of another person.

일반적인 수동휠체어는 구조의 단순함과 경량, 접이식 구조로 많은 교통약자의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전기의 힘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이동하는 전동휠체어 또는 전동 스쿠터 등이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A general manual wheelchair is used as a means of transportation for many people with disabilities due to its simple structure, light weight, and foldable structure.

그러나, 통상적으로 이용되고 있는 이러한 기존의 휠체어는 평지에서는 그 이동이 수월하지만, 계단, 에스컬레이터 및 경사로와 같이 경사가 진 환경에서는 주행이 불가능하거나, 휠체어의 전복으로 탑승자의 인명피해가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se conventional wheelchairs, which are commonly used, are easy to move on flat ground, but they cannot be driven in an inclined environment such as stairs, escalators, and ramp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human casualties are caused by the overturning of the wheelchair. have.

또한, 휠체어 의자는 탑승자가 앉았을 때, 골반이나 허벅지 부분이 솜이나 스폰지류의 쿠션과 외피에 직접 접촉하게 되어 습기가 많은 하절기에는 많은 양의 땀을 발생시킨다.In addition, when the occupant of the wheelchair chair sits down, the pelvis or thigh part directly contacts the cushion and outer skin of cotton or sponge, thereby generating a large amount of sweat in the humid summer season.

이러한 의자에 사용자가 앉게 되면 의자에 중량이 실려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게 되며, 쿠션 내부를 지나는 통풍이 차단되면 의자 하부로 공기가 순환되지 못하여 쿠션을 깔아도 시원한 느낌을 주지 못하는 한편, 오히려 땀이 발생됨으로 인하여 각종 습진이나 피부병이 유발되는 문제점이 있다.When a user sits on such a chair, the weight of the chair is placed on the chair and the ventilation passing through the cushion is blocked. There is a problem in that various eczema or skin diseases are caused by this occurrence.

이에 따라, 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휠체어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wheelchair capable of solving the above problems.

KR 10-1225100 B1KR 10-1225100 B1 KR 10-1694855 B1KR 10-1694855 B1

본 발명의 목적은 지속적으로 휠체어에 탑승하고 생활하는 장애인 또는 노인들의 하체에 발생되는 땀으로 인한 땀띠 등을 포함하는 피부질환을 방지 및 경사면에서 휠체어 시트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피니언은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kin diseases, including sweat bands due to sweat generated on the lower body of the disabled or the elderly who continuously ride and live in a wheelchair, and to secure the safety of a wheelchair seat on an inclined surface. To this end,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 plurality of motor uni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nd a motor unit A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coupled in the same line as the rack driving unit and a plurality of rack driving units provided with a rack formed to protrud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nion driving unit at one point of the pillar body and the pillar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coupled to the lower part It includes a plurality of wheel parts, and the pinion driving part is provided with a length shaft adjustable in length in a vertical direction, a fixed shaf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gth shaft, and a pinion coupled at a point of the fixed shaft, the pinion is vertical along the rack Each direction may be movabl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는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상기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상기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smart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that ar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the first frame and A plurality of motor uni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a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coupled in the same line with the motor unit, a pillar body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pinion driving unit facing the pinion driving unit at one point of the pillar body A rack driving unit provided as a rack protruding in the direction and a plurality of wheel units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the rack driving units, wherein the pinion driving unit includes a longitudinal shaft adjustable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longitudinal shaft It is provided with a fixed shaft that becomes a fixed shaft and a pinion coupled at one point of the fixed shaft, and as the pinion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ack, respectively,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have.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상기 바퀴부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링크부 및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경우 자동으로 빛이 점등되고, 상기 링크부는 힌지로 결합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부를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상기 휠체어의 운반이 용이하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comprising a link portion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heel portion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ighting portion for illuminating the light, wherein the lighting portion is automatically turned on when the light is operated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nd the link The part is provided with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by a hinge, and when the wheel part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wheel part by rotating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it is easy to transport the wheelchai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이동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래크 구동부는, 상기 기둥체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삽입 홈은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탈이 방지된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driving unit is formed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fixed shaft, further comprising a moving shaft that is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n imaginary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ck driving unit, the column body Further comprising a pair of insertion grooves that are recessed toward the inside from both sides of the insertion groove,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so that the end of the moving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In this case, the disengagement of the moving shaft is prevented.

본 발명의 스마트 휠체어에 의하면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삽입 홈의 형상에 따라 이동 샤프트가 삽입 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mart wheelchai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ving shaft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th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longer toward the inside.

또한, 삽입 샤프트 및 삽입 홈에 자성체가 형성되어 삽입 샤프트 및 삽입 홈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magnetic material is formed in the insertion shaft and the insertion groove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sertion shaft and the insertion groove.

또한, 소정의 각도를 지닌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경사에 의해 인지하기 어려웠던 점을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로 인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driving on a slop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a point that was difficult to recognize due to the slope can be visually recognized by the lighting unit that turns on the light,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또한,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지면에서 운행될 때에 좌석의 위치를 항상 중력 방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시켜 탑승자가 앞이나 뒤로 쏠리지 않고,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운행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이 모두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operating on the ground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e seat position is always maintained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lean forward or backward, and the ride comfort and safety are improved by operating while maintaining a safe posture.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날개부의 양 측부에 가이드레일이 결합되고, 휠체어 하부 시트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가이드레일이 맞물려 슬라이딩 동작이 가능하므로, 필요 시에만 날개부를 돌출시켜 외부 충격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guide rails are coupled to both sides of the wing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guide rail is engaged with the guide groove formed inside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to enable sliding operation. can be prevented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힌지부로 인해 제1 날개부의 각도를 변경할 수 있어 탑승자가 원하는 위치에 바람을 가하도록 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습기를 제거하는 시간이 단축되어 에너지 효율성이 증대된다.In addition, the angle of the first wing part can be changed due to the hinge par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o that the occupant can apply wind to a desired position, thereby reducing the time to remove moisture and increasing energy efficiency.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가 습기센서 및 압력센서로부터 현재 습도 및 압력을 전달받아 저장부에 저장된 기준 습도 및 기준 압력과 비교하고, 이를 통해 유압부 및 송풍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메커니즘으로 인해, 탑승자의 별도 조작 없이 습기를 제거할 수 있는 자동화가 구현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ceives the current humidity and pressure from the moisture sensor and the pressure sensor,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humidity and the reference pressure stored in the storag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and the blower through this. Due to the mechanism, automation is realized that can remove moisture without the separate operation of the occupant.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입력부, 통신부 및 서보모터부의 구성으로 인해, 제1 날개부의 각도를 입력부에 가하는 특정 신호만으로 조절하여 편의성이 증대되고, 이로 인해, 사고 위험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configuration of the input unit, the communication unit and the servo motor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nience is increased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wing unit only with a specific signal applied to the input unit, there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There is thi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렉 구동부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렉 구동부 및 피니언 구동부의 단면도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리막 길에서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르막 길에서의 사용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에 습기 제거 유닛이 결합된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1 is a front view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a rack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rack driving unit and a pinion driv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a) shows an example of use on a downhill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b) shows an example of use on an uphill roa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in which the moisture removal unit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easily carry out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thu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As used herein, the singular also includes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in the phrase. As used herein, “comprise” and/or “comprising” refers to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steps, operations and/or elements mentioned. or addition is not excluded.

이하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길이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x축 방향이며, "폭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이란, 도 1을 기준으로, z축 방향이다. 또한, "상부"란, 수직 방향에서 위쪽 방향을 의미하고, "하부"란 수직 방향에서 아래쪽 방향을 의미한다.Definitions of terms used below are as follow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1,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z-axis direction with respect to FIG. 1 . In addition, "upper" means an up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and "lower" means a downward direction in a vertical direc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휠체어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smart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에 의한 스마트 휠체어는 프레임부(100), 모터부(200), 피니언 구동부(300), 래크 구동부(400), 바퀴부(500), 링크부(600) 및 습기 제거 유닛(1000)을 포함한다.The smart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rame unit 100, a motor unit 200, a pinion driving unit 300, a rack driving unit 400, a wheel unit 500, a link unit 600, and a moisture removal unit 1000. include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프레임부(100) 및 모터부(200)를 설명하도록 한다.First, with reference to FIG. 1 , the frame part 100 and the motor part 200 will be described.

프레임부(100)는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하체)이 안착되는 시트의 하부에서 결합되는 프레임의 종류로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으로 구비된다.The frame part 100 is a type of frame coupled under the seat on which the vicinity of the hip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s seated, and includes a first frame 110 and a second frame 120 .

따라서, 각각의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시트의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결합된다.Accordingly, each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is coupled to each other by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der the seat o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is seated.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은 원통 형상의 금속 재질의 샤프트(shaft) 형태로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비된다.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are provided to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form of a cylindrical metal shaft.

또한, 제1 프레임(110) 및 제2 프레임(120)의 양단부에서 복수 개의 모터부(200)가 결합된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motor units 200 are coupled at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0 and the second frame 120 .

모터부(200)는 전력을 받아 회전하고, 모터 축에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공지의 동력 기계를 포함하고,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로 구비된다.The motor unit 200 is provided with a first motor 210 and a second motor 220 , including a known power machine that rotates by receiving electric power and generates a rotational force on a motor shaft.

따라서, 제1 프레임(110)의 양 단부에 제1 모터(210)가 한 쌍으로 결합되고, 제2 프레임(120)의 양 단부에 제2 모터(220)가 한 쌍으로 결합된다. 이는, 한 쌍의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가 후술할 피니언 구동부(300)와 결합되어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되는 시트가 중력 방향에 수직되도록 구동하기 위함이다.Accordingly, the first motor 21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110 as a pair, and the second motor 220 i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second frame 120 as a pair. This is to drive the pair of first and second motors 210 and 220 to be coupled to a pinion driving unit 300 to be described later so that the seat o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is seated is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gravity.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inion driving unit 300 and the rack driv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2 and 3 .

피니언 구동부(300)는 한 쌍의 제1 모터(210) 및 제2 모터(220)의 하부에서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는데, 본 발명에서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는 복수 개로, 동일한 형상 및 구동이 적용되므로, 제1 모터(210)의 양 단부 중 어느 하나의 단부에 결합되는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만을 설명하도록 한다.The pinion driving unit 300 is vertically coupled from the bottom of the pair of first motors 210 and the second motor 22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pinion driving unit 300 and the rack driving unit 400 are a plurality of, the same Since the shape and drive are applied, only the pinion driving unit 300 and the rack driving unit 400 coupled to either end of both ends of the first motor 210 will be described.

피니언 구동부(300)는 길이 샤프트(310), 고정 샤프트(320), 이동 샤프트(330) 및 피니언(340)으로 구비된다.The pinion driving unit 300 is provided with a length shaft 310 , a fixed shaft 320 , a moving shaft 330 , and a pinion 340 .

길이 샤프트(310)는 제1 모터(210)의 축과 결합되며, 샤프트 형태를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길이 샤프트a(311) 및 길이 샤프트b(312)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스플라인 홈과 고리상의 결합 홈의 구조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동일한 축을 지니는 복수 개의 샤프트가 연장 형성되어 내측면 및 외측면이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모터에 의한 회전력에 의해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단, 이에 한정되지 않고,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모든 구조를 포함한다.The length shaft 310 is coupled to the shaft of the first motor 210, and includes a shaft shape, and is preferably provided as a length shaft a 311 and a length shaft b 312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do. As an example, a structure of a spline groove and an annular coupling groove may be used. Alternatively, a plurality of shafts having the same shaft are formed to extend, so that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are formed with threads, so that the length can be adjusted by the rotational force of the moto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includes any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고정 샤프트(320)는 길이 샤프트(310)의 하부에서 결합된다.The fixed shaft 320 is coupled at the bottom of the length shaft 310 .

또한, 고정 샤프트(320)는 원통 형상의 네 개의 샤프트가 서로 수직되도록 용접되어 사각형 형태로 밀폐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도 2 참조).In addition, the fixed shaft 320 may form a structure in which four shafts of a cylindrical shape are welded to be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nd sealed in a rectangular shape (see FIG. 2 ).

위와 같은 고정 샤프트(320)의 하부에 피니언(340)과 결합된다.The pinion 34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fixed shaft 320 as above.

고정 샤프트(320)와 피니언(340)의 결합은 회전하고 있는 기계의 축을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키고, 축의 자중과 축에 걸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축을 회전시키는 기계 요소인 베어링(Bearing) 요소의 결합을 포함하고, 피니언(340)의 회전에 따라 결합된 고정 샤프트(320)는 수직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길이 샤프트(310) 역시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구조가 된다.The combination of the fixed shaft 320 and the pinion 340 fixes the axis of the rotating machine at a certain position, and supports the weight of the shaft and the load applied to the shaft while rotating the shaft. And, the fixed shaft 320 coupled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pinion 340 is possible to move in the vertical direction. Accordingly, the length shaft 310 also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ength can be adjus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피니언(340)은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바꾸는 공지의 기어장치로, 폭 방향의 가상의 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래크(430)와 맞물린다.The pinion 340 is a known gear device for converting a rotational motion into a linear motion, and is engaged with the rack 430 while rotating based on an imaginary axis in the width direction.

먼저, 래크 구동부(400)를 설명하도록 한다.First, the rack driving unit 400 will be described.

래크 구동부(400)는 기둥체(410), 삽입 홈(420) 및 래크(430)로 구비된다.The rack driving unit 400 is provided with a column body 410 , an insertion groove 420 and a rack 430 .

기둥체(410)는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직육면체 형상의 프레임일 수 있다.The column body 410 may b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래크(430)는 기둥체(410)의 외측면 중 피니언(34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다. 따라서, 피니언(340)은 수직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래크(430)를 따라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The rack 430 is formed on a surface facing the pinion 340 among the outer surfaces of the column body 410 . Accordingly, the pinion 340 is rotatable along the rack 430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이때, 기둥체(410)의 폭 방향을 기준으로 한 양측면에서 한 쌍의 삽입 홈(4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air of insertion grooves 42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column body 410 in the width direction.

도 3을 참조하면, 삽입 홈(420)은 기둥체(410)의 외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두 번 절삭되는데, 첫번째 절삭되는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 길이보다 두번째 절삭되는 직사각형의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Referring to FIG. 3 , the insertion groove 420 has a rectangular cross-section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column body 410 toward the inside and is cut twi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cut rectangle rather than the longitudinal length of the first cut rectangle. is formed longer in length.

따라서,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에 삽입되어 피니언(340)이 래크(43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이동될 때,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moving shaft 3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0 and the pinion 340 is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ack 430 , the moving shaft 33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420 to be supported. can

이에 따라,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삽입 홈(420)의 형상에 따라 이동 샤프트(330)가 삽입 홈(42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moving shaft 330 is prevented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insertion groove 42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insertion groove 420 whose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ecomes longer toward the inside.

이동 샤프트(330)는 고정 샤프트(320)의 일지점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절곡 샤프트(331) 및 각각의 절곡 샤프트(331)에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샤프트(332)로 구비된다(도 2 참조).The moving shaft 330 includes a pair of bent shafts 331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one point of the fixed shaft 320 and a pair of inserting shafts 332 extending from each of the bent shafts 331 . provided (see FIG. 2).

또한, 각각의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에는 자성체(M)가 삽입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magnetic body M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insertion shaft 332 and the insertion groove 420 .

자성체(M)는 강자성체 물질을 포함하고, 삽입된 방향으로 강하게 자기화 하는 물질로,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에 형성되어 삽입 샤프트(332) 및 삽입 홈(420) 간의 결합력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magnetic material M includes a ferromagnetic material and is a material that strongly magnetizes in the inserted direction, and is formed in the insertion shaft 332 and the insertion groove 420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insertion shaft 332 and the insertion groove 420. has an increasing effect.

따라서, 휠체어 하부(10)에서 사람의 체중을 견디면서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하는 구조 상, 수직 방향의 이동에 반대되는 적당한 마찰력을 주어 사람의 체중에 의한 빠른 수직방향으로의 빠른 속도를 제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n the structure that has to be mov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ile bearing the weight of the person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0, it is possible to restrain the fast speed in the vertical direction by the weight of the person by giving an appropriate frictional force opposing the movement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re are advantages to

본 발명에서 위와 같은 구동은 도면에 미 도시되었지만, 경사 센서 및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동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가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마다 경사 센서의 휠체어 하부(10)의 기울기 값에 따라 제어부가 모터부(200)를 구동시켜 탑승자의 하부가 안착되는 시트는 항상 중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되어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탑승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above driving in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driven by including an inclination sensor and a control unit. Therefore, whenever the smart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operated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control unit drives the motor unit 200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value of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0 of the inclination sensor to seat the lower part of the occupant is always maintained perpendicular to gravity so that you can ride while maintaining a safe posture.

여기서, 경사 센서는 가속도 센서(Accelerometer) 및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으로 구비될 수 있고, 3축의 x축, y축 및 z축 방향의 가속도를 측정할 수 있고, 평면에서부터 기울어진 각도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공지의 제어장치(control unit)로, 가속도 센서 및 자이로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수신받아 휠체어 하부(10)가 중력으로부터 항상 수직하도록 모터부(200)를 제어할 수 있다.Here, the inclination sensor may be provided as an acceleration sensor and a gyro sensor, and may measure the acceleration in the x-axis, y-axis, and z-axis directions of three axes, and calculate the angle inclined from the plane. can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is a well-known control unit (control unit), receiving data from the acceleration sensor and the gyro sensor can control the motor unit 20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0 is always perpendicular to the gravity.

또한, 도면에는 미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조명부를 더 포함하여 경사면에서 운행되거나 야간에 운행될 때 빛을 점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turn on the light when driving on an inclined surface or driving at night by further including a lighting unit.

조명부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 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조명부 역시 마찬가지로 제어부에 의해 구동되며, 소정의 각도를 지닌 경사면에서 운행될 때, 경사에 의해 인지하기 어려웠던 점을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로 인해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기 되어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e lighting unit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 thin film transistor 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a flexible display, and a three-dimensional display. (3D Display) and may include at least one of an E-ink display (E-ink Display),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lighting unit is also driven by the control unit, and when it is operated on a slope with a predetermined angle, it is possible to visually recognize a point that was difficult to recognize due to the slope due to the lighting unit that turns on the light, thereby preventing accidents in advance. There are advantages.

바퀴부(500)는 복수개로 래크 구동부(400)의 하부에 각각 결합되어 지면에서부터 위치변경을 위해 운행될 수 있다.The wheel unit 500 i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rack driving unit 400 in plurality and may be operated to change the position from the ground.

또한, 링크부(600)는 복수 개로 각각의 바퀴부(500)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link units 600 may be provided in a shape that connects each wheel unit 5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링크부(600)는 두 개 이상의 막대 형상인 핀을 연결한 공지의 링크 장치(Link motion)의 구조를 포함하고, 도 1에서는 하나의 관절을 지니는 링크부(600)로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목적에서 벗어나지 않도록 설계되어질 수 있다.The link unit 600 includes a structure of a known link device (Link motion) connecting two or more rod-shaped pins, and is shown as a link unit 600 having one joint in FIG. 1, but is not limited thereto. It can be designed so as not to deviate from the purpose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relevant field.

위와 같은 구조의 링크부(600)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스마트 휠체어의 미 운행 시, 바퀴부(500)를 서로 근접하도록 접어 운반의 용이성을 향상시키는 장점이 있다.When the smart wheelch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perated due to the link unit 6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there is an advantage of improving the ease of transport by folding the wheel unit 500 to be close to each other.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경사면에서의 구동을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4 , driving on an inclined surfa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어 위치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300) 및 래크 구동부(400)는 도 4에서 도시된 탑승자의 다리를 기준으로 전방과 후방으로 나뉘어 설명하도록 한다.The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300 and rack driving units 400 position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interva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being divided into front and rear with reference to the occupant's legs shown in FIG. 4 .

먼저, 도 4(a)와 같이, 내리막길에서 운행될 경우, 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고, 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여 구동될 수 있다.First, as shown in Figure 4 (a), when driving on a downhill road, the front pinion driving unit 300 rise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rack driving unit 400, and the rear pinion driving unit 300 is the rear It may be driven by de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ack driving unit 400 .

따라서, 내리막길에서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된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하여 내리막길 운행에서도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improve safety even in downhill driving by driving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o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is seated in a downhill road to maintain a horizontal level.

또한, 도 4(b)와 같이, 오르막길에서 운행될 경우, 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하강하고, 후방의 피니언 구동부(300)는 후방의 래크 구동부(400)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하여 구동될 수 있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4 (b), when driving on an uphill road, the front pinion driving unit 300 descends in the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front rack driving unit 400, and the rear pinion driving unit 300 is the rear rack It may be driven by asc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driving unit 400 .

따라서, 오르막길에서 탑승자의 하체가 안착된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평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동하여 오르막길 운행도 마찬가지로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refore, by driving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on which the lower body of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uphill road to maintain the horizontal level, it is possible to similarly improve the safety of the uphill road operation.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소정의 경사 각도를 이루는 지면(I)에서 운행될 때에 좌석의 위치를 항상 중력 방향으로부터 수직되도록 유지시켜 탑승자가 앞이나 뒤로 쏠리지 않고, 안전한 자세를 유지하면서 운행하여 승차감과 안전성이 모두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rating on the ground (I) forming a predetermined inclination angle, the position of the seat is always maintained perpendicular from the direction of gravity so that the occupant does not lean forward or backward, and a safe posture is maintained. It has the advantage of improving both ride comfort and safety by driving while maintaining it.

또한, 본 발명에서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습기 제거 유닛(1000)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moisture removal unit 1000 in another embodiment.

도 5를 참조하여, 습기 제거 유닛(1000)을 설명하도록 한다.Referring to FIG. 5 , the moisture removal unit 1000 will be described.

습기 제거 유닛(1000)은 휠체어 하부(1100), 날개부(1200), 유압부(1300), 송풍부(1400), 제어부(1500), 습기센서(1600), 압력센서(1700) 및 힌지부(18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다른 실시 예에서의 휠체어 하부(1100)는 일 실시예에서의 휠체어 하부(10)와 동일하며,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는 구조만이 상이하다.The moisture removal unit 1000 is a wheelchair lower part 1100, a wing part 1200, a hydraulic part 1300, a blower part 1400, a control part 1500, a moisture sensor 1600, a pressure sensor 1700 and a hinge part. (1800).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wheelchair lower part 1100 in another embodiment is the same as the wheelchair lower part 10 in one embodiment, and only the structure in which a plurality of hollow parts having openings are formed is different.

휠체어 하부(1100)는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탑승자의 엉덩이가 맞닿는 부분이다.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는 개구부가 형성된 중공부가 복수개 형성되고, 후술하겠지만, 중공부에는 날개부(1200)가 삽입 및 돌출 가능하다.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is a portion where the buttocks of the occupant are in contact. A plurality of hollow parts having openings ar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 and 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wing parts 1200 can be inserted and protruded into the hollow parts.

날개부(1200)는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부에 개구부를 통해 삽입 및 돌출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고, 소정의 두께를 지니는 판넬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wing portion 1200 is preferably inserted and protruded through an opening in the hollow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and preferably has a panel shape having a predetermined thickness.

이때, 날개부(1200)는 도 5를 기준으로 복수 개가 형성되어, 좌, 우측 및 상측 방향으로 돌출이 가능하고, 각각의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에 형성된 복수 개의 중공부에, 돌출된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삽입이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좌, 우측은 도 5에서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좌, 우측을 지칭하고, 상, 하측은 도 5에서 폭 방향을 기준으로 상, 하측을 지칭한다.At this time, a plurality of wing parts 1200 are formed based on FIG. 5 , and can protrude in the left, right, and upward directions, and in the plurality of hollow part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each wheelchair 1100 , the protruding direction It is preferable that insertion is possible in the opposite direction of Here, left and right refer to the left and right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FIG. 5 , and upper and lower sides refer to the upper and lower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n FIG. 5 .

따라서, 날개부(1200)는 중공부를 기준으로 중공부 외부로 돌출되거나 및 중공부 내부에 삽입된다. 이러한 복수 개의 날개부(1200)의 구조로 인해, 탑승자의 엉덩이가 빗물에 노출되어 젖는 경우, 또는 땀에 젖은 탑승자 엉덩이의 좌, 우측 및 상부 부근을 말릴 수 있어, 습기를 제거하는 범위가 확대되는 장점이 있다.Accordingly, the wing portion 1200 protrudes out of the hollow portion based on the hollow portion or is inserted into the hollow portion. Due to the structure of the plurality of wing parts 1200, when the occupant's buttocks are exposed to rainwater and get wet, or the left, right and upper parts of the occupant's buttocks wet with sweat can be dried, the range of removing moisture is expanded There are advantages.

다시 말해, 하체의 장애를 지닌 장애인 거동이 불편한 노인들이 주로 탑승하는 휠체어는 우천시 하체가 비에 젖을 수 있고, 여름철 높은 온도로 인해 휠체어 하부(1100)와 계속해서 맞닿아 있는 엉덩이 부분에 땀이 차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된다.In other words, the lower body of the wheelchair, which is mainly used by the disabled and the elderly with disabilities with lower body mobility, may get wet in the rain, and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in contact with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is sweaty due to the high temperature in summer. discomfort can be relieved.

날개부(1200)는 제1 날개부(1201), 제2 날개부(1202)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날개부(1200)의 일단부 부근을 제1 날개부(1201)라 지칭하고, 날개부(1200)의 타단부 부근을 제2 날개부(1202)라 지칭한다. 도 5를 기준으로 일단부는 후술할 제어부(1500)에서 먼 쪽이며, 타단부는 제어부(1500)에서 가까운 쪽이다. 각각의 날개부는 형상이 동일하다.The wing portion 1200 preferably includes a first wing portion 1201 and a second wing portion 1202 .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icinity of one end of the wing unit 1200 is referred to as a first wing unit 1201 , and the vicinity of the other end of the wing unit 1200 is referred to as a second wing unit 1202 . With reference to FIG. 5 , one end is far from the controller 1500 ,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is closer to the controller 1500 . Each wing has the same shape.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는 각각이 힌지부(1800)에 결합된다. 힌지부(1800)는 날개부(1200)의 길이 방향의 수직되는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와 동시에 결합되되, 힌지부(1800)에 양 쪽에 결합된다.The first wing portion 1201 and the second wing portion 1202 are respectively coupled to the hinge portion 1800 . The hinge part 1800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art 1200, and is coupled with the first wing part 1201 and the second wing part 1202 at the same time, on both sides of the hinge part 1800. are combined

이때, 제2 날개부(1202)는 후술할 유압부(1300)에 결합되어 도 5를 기준으로, 좌, 우측 또는 상,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만 가능하나,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통해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기준으로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 운동이 가능하다. At this time, the second wing unit 1202 is coupled to a hydraulic unit 1300 to be described later and can only move left, right, or up and down, based on FIG. 5 , but the first wing unit 1201 is a hinge Rotational movement is possible through the branch 1800 . Accordingly, the first wing portion 1201 is capable of rotational movement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inge portion 1800 .

이러한 구조로 인해, 날개부(1200)가 휠체어 하부(1100) 외부로 돌출 시, 1차적으로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가 동시에 돌출되고(도 5를 기준으로 좌, 우측 또는 상측 방향으로), 2차적으로 제2 날개부(1202)는 고정되고, 제1 날개부(1201)가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Due to this structure, when the wing part 12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wheelchair lower part 1100, the first wing part 1201 and the second wing part 1202 primarily protrude at the same time (refer to FIG. , in the right or upward direction), secondarily, the second wing unit 1202 is fixed, and the first wing unit 1201 is rotatabl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이때, 제2 날개부(1202)에 형성된 후술할 가이드레일(1210)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고, 이로 인해, 제2 날개부(1202)가 휠체어 하부(1100)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At this time, a stopp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1210 to be described later formed on the second wing part 1202 , and thus, the second wing part 1202 does not separate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

따라서, 위와 같은 구조로 인해, 탑승자는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탑승자의 엉덩이 크기 또는 신체 크기는 다양하다. 따라서, 고정된 위치의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라면, 원하는 부분의 습기를 제거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1차적으로 후술할 슬라이딩 동작을 통해 날개부(1200) 전체의 위치를 설정하여 송풍부(1400)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고, 2차적으로 힌지부(1800)를 통해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송풍부(14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Accordingly, due to the above structure, the occupant can easily adjust the angles of the wing unit 1200 and the blower unit 1400 . The size of the hip or body size of the occupant varies. Therefore, if the wing portion 1200 and the blower 1400 in a fixed position, it is difficult to remove the moisture in the desired portion.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tance of the blower unit 1400 can be adjusted by setting the position of the entire wing unit 1200 through a sliding operation,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secondarily, the hinge unit 1800 ), b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wing unit 1201, it is possible to adjust the angle of the blower 1400.

도 5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좌, 우측의 날개부(1200)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양 측면에 가해지는 송풍부(1400)의 송풍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상측의 날개부(1200)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꼬리뼈 부근에 가해지는 송풍부(1400)의 송풍 거리 및 각도를 조절하여 탑승자가 원하는 부위를 선택적으로 말릴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국부적으로 습기를 제거하여 습기 제거 시간이 단축되고,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어 경제성이 향상되는 장점도 있다.5, the left and right wing parts 1200 can adjust the blowing distance and angle of the blower 1400 applied to both sides of the passenger's buttocks, and the upper wing part 1200 is By adjusting the blowing distance and angle of the blower 1400 applied to the vicinity of the tailbone of the passenger's buttocks,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dry the desired part of the passenger. For this reason, the moisture removal time is shortened by removing moisture locally, and energy can be saved, so that economic efficiency is improved.

유압부(1300)는 날개부(1200)에 결합되고, 날개부(1200)의 슬라이딩 동작에 동력을 제공한다. 유압부(1300)는 유압을 통해 동력을 제공하는 공지의 구성요소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유압부(1300)는 휠체어 하부(1100) 내부에 위치되며, 제2 날개부(1202)의 단부에 결합되어 날개부(1200) 전체에 힘을 가하게 된다.The hydraulic unit 1300 is coupled to the wing unit 1200 , and provides power to the sliding operation of the wing unit 1200 . The hydraulic unit 1300 is a known component that provides power through hydraulic pressure, and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The hydraulic unit 1300 is located inside the wheelchair lower part 1100 , and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wing unit 1202 to apply force to the entire wing unit 1200 .

유압부(1300)는 후술할 제어부(1500)에 연결되고,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유압부(1300)의 동작이라 함은,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의 외부로 미는 것을 말하며, 유압부(1300)의 동작의 중지라 함은,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의 내부로 끌어당겨 원래의 삽입 상태로 복구시키는 것을 말한다.The hydraulic unit 1300 is connected to a control unit 1500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control unit 150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means that the hydraulic unit 1300 pushes the wing unit 1200 to the outside of the wheelchair lower part 1100,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means that the , means that the hydraulic unit 1300 pulls the wing unit 1200 into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to restore the original insertion state.

이때, 날개부(1200)의 양 측부에는 날개부(12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이드레일(12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레일(1210)이 슬라이딩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휠체어 하부(1100)의 중공부의 내면에는 가이드레일(1210)이 맞물리는 가이드홈(111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guide rails 1210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ing part 120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ing part 1200 .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guide groove 1110 in which the guide rail 1210 is engaged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hollow part of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so that the guide rail 1210 can perform the sliding operation.

가이드레일(1210)은 가이드홈(1110)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하고,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가 가이드홈(1110)을 따라 슬라이딩 동작할 수 있게 된다.The guide rail 1210 slides along the guide groove 1110 , and the wing unit 1200 and the blower 1400 can slide along the guide groove 1110 .

따라서, 탑승자가 송풍부(1400)의 송풍 기능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휠체어 하부(1100) 내부에 날개부(1200) 및 송풍부(1400)를 가이드홈(1110)을 따라 삽입되어 매립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외부 충격에 노출되지 않게 되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가 수명이 연장되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when the passenger does not use the blowing function of the blower 1400, the wing part 1200 and the blower 1400 are inserted along the guide groove 1110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to be embedded. . Due to this, it is not exposed to external shocks, so that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extending the lifespan.

송풍부(1400)는 바람을 발생시키는 장치로, 일 예로 팬(fan)을 포함할 수 있다. 송풍부(1400)의 기능은 공지의 것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blower 1400 is a device for generating wind, and may include, for example, a fan. Since the function of the blower 1400 is known,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송풍부(1400)는 제어부(1500)와 연결되고, 제어부(1500)에 의해 동작이 제어된다. 본 발명에서 송풍부(1400)의 동작이라 함은, 송풍부(1400)의 팬이 돌아가 바람을 발생시키는 것을 말하며, 송풍부(1400)의 동작의 중지라 함은, 송풍부(1400)의 팬이 더 이상 돌아가지 않아 바람이 발생되지 않는 것을 말한다.The blower 140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1500 , and the operation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0 .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means that the fan of the blower 1400 rotates to generate wind, and stopping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means that the fan of the blower 1400 is operated. This means that no wind is generated because it is no longer spinning.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동작을 제어하고, 도 5에는 미도시 되었지만, 저장부(1510)로부터 압력 및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The controller 1500 controls the operations of the hydraulic unit 1300 and the blower 1400 , and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information about pressure and humidity is transmitted from the storage unit 1510 .

또한, 휠체어 하부(1100)의 중심부에는 습기센서(1600) 및 압력센서(1700)가 결합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도 6에서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In addition, a moisture sensor 1600 and a pressure sensor 1700 are coupled to the center of the lower wheelchair 1100 . 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6 .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작동 과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관한 것이다. 이하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의 작동 과정 및 각 구성요소의 연관관계를 설명하도록 한다.6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related to a flowchart illustrating the operation process. Hereinafter,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compon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and 7 .

휠체어 하부(1100)에는 압력센서(1700)가 형성되고, 압력센서(1700)는 탑승자의 엉덩이가 압력센서(1700)에 가하는 압력을 감지(또는 측정)한다(S101). 이때, 압력센서(1700)가 압력을 감지하지 못하면, 습기센서(1600)가 작동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는 시기에만 송풍부(1400)를 가동하게 된다. 따라서, 불필요한 송풍부(1400)의 작동을 방지할 수 있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 pressure sensor 1700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and the pressure sensor 1700 senses (or measures) the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1700 by the occupant's buttocks (S101). At this time, if the pressure sensor 1700 does not sense the pressure, the moisture sensor 1600 does not work. For this reason, the blower 1400 is operated only when the passenger seats the buttocks on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unnecessary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thereby saving energy.

이때, 압력센서(1700)는 별도의 유닛에 의해 on/off가 조절될 수 있으며, 탑승자의 엉덩이에 습기가 없을 때에는 off 작동을 통해 압력센서(1700)가 압력을 감지하지 않게 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on/off of the pressure sensor 1700 may be controlled by a separate unit, and when there is no moisture in the occupant's buttocks, the pressure sensor 1700 may not sense the pressure through an off operation.

또한, 압력센서(170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가해지는 현재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제어부(1500)에 전달한다.In addition, the pressure sensor 1700 transmits information about the current pressure applied to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the controller 1500 .

압력센서(1700)에 압력이 감지되면,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또는 측정)한다(S102). 습기센서(1600)는 습기센서(1600)와 맞닿는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도를 감지한다. 압력센서(1700)에 의해 압력이 감지되었으나,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하지 못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로 넘어가지 않아, 송풍부(140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순차적 제어 메커니즘으로 인해, 송풍부(1400)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When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700, the moisture sensor 1600 senses (or measures) humidity (S102). The moisture sensor 1600 detects the humidity of the buttocks of the passenger in contact with the moisture sensor 1600 . If the pressure is sensed by the pressure sensor 1700, but the moisture sensor 1600 does not detect the humidity, it does not proceed to the next step, and the blower 1400 does not operate. Due to such a sequential control mechanism, there is an advantage that can prevent malfunction of the blower 1400 .

즉, 탑승자가 운행 중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기가 자연풍 등 별도의 환경에 의해 제거된다면,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고 있더라도, 습기센서(1600)가 습도를 감지하지 않으므로 송풍부(1400)가 작동되지 않게 된다.That is, if the moisture of the passenger's buttocks is removed by a separate environment such as natural wind while the passenger is driving, the moisture sensor 1600 controls the humidity even if the passenger is seating the buttocks on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it does not detect, the blower 1400 does not operate.

제어부(1500)는 압력센서(1700)로부터 현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습기센서(1600)로부터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의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된다.The control unit 15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applied to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the pressure sensor 1700, and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humidity in the vicinity of the occupant's buttocks from the moisture sensor 1600 will be delivered

제어부(1500)는 습기센서(1600)로부터 탑승자의 엉덩이 부근의 습도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게 되면, 유압부(1300)를 작동시킨다(S103). 전술하였지만, 유압부(1300)가 작동되면, 날개부(1200)는 휠체어 하부(1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When the control unit 15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humidity in the vicinity of the passenger's buttocks from the moisture sensor 1600, the control unit 1500 operates the hydraulic unit 1300 (S103).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ydraulic unit 1300 is operated, the wing unit 1200 protrudes to the outside of the lower wheelchair 1100 .

유압부(100)가 작동되어 날개부(100)가 돌출되면, 제어부(100)는 송풍부(100)를 작동시킨다(S104). 날개부(100)에 형성된 송풍부(1400)가 작동되면, 송풍부(1400)의 팬이 바람을 발생시킨다.When the hydraulic unit 100 is operated and the wing unit 100 protrudes, the control unit 100 operates the blower unit 100 (S104). When the blower 1400 formed in the wing unit 100 is operated, the fan of the blower 1400 generates wind.

탑승자는 힌지부(1800)를 통해 날개부(1200) 중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조절하여, 제1 날개부(1201)에 형성된 송풍부(1400)가 원하는 엉덩이의 위치에 국부적으로 바람을 가하도록 할 수 있다.The occupant adjusts the angle of the first wing unit 1201 of the wing unit 1200 through the hinge unit 1800, so that the blower unit 1400 formed in the first wing unit 1201 is locally located at the desired position of the hip. You can let the wind blow.

이때, 제어부(1500)는 도 5에서는 미 도시되었지만, 기준 압력 및 기준 습도를 저장하는 저장부(1510)와 연결된 것이 바람직하다. 먼저, 제어부(1500)는 압력센서(1700)로부터 현재 가해지는 압력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를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과 비교한다(S105).At this time, although not shown in FIG. 5 , the control unit 1500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storage unit 1510 for storing the reference pressure and the reference humidity. First, the control unit 1500 receives information about the pressure currently applied from the pressure sensor 1700 , and compares it with the reference press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10 ( S105 ).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과 비교하여 현재 압력이 기준 압력 이하인 경우,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106).When the current pressure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pressure compared to the reference pressure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10 , the controller 15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and the blower 1400 ( S106 ).

이때, 기준 압력은 0pa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압력이 0pa라면, 탑승자의 엉덩이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를 가압하고 있는지와 가압하고 있지 않는지를 구분할 수 없기 때문이다.At this time, the reference pressure is preferably greater than 0pa. This is because, if the reference pressure is 0pa, it is impossible to distinguish whether or not the hip of the passenger is pressing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일 예로, 탑승자가 잠시 휠체어에서 내리는 경우, 압력센서(1700)에 가해지는 현재 압력이 0Pa이므로 기 설정된 기준 압력보다 낮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압부(1300)의 작동이 중지되어,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당기게 되고, 송풍부(1400)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For example, when the passenger gets off the wheelchair for a while, the current pressure applied to the pressure sensor 1700 is 0 Pa, so that it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pressure.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is stopped, the hydraulic unit 1300 pulls the wing unit 1200 into the lower wheelchair 1100, and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is stopped and the blower is no longer (1400) does not generate wind.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거나, 떼는 동작만으로 송풍부(1400)의 바람의 발생 여부를 조절할 수 있는 편의성이 증대된다.That is, the convenience of being able to adjust whether or not the wind of the blower 1400 is generated by the passenger only by placing or releasing the hip on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creased.

또한, 현재 압력이 기준 압력을 초과하는 경우,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지속적으로 기대고 있는 경우에는 제어부(1500)는 제어부(1500)에 전달되는 현재 습도를 저장부(1510)의 기준 습도와 비교하게 된다(S107).In addition, when the current pressure exceeds the reference pressure, that is, when the passenger continues to lean on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rol unit 1500 controls the current humidity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1500 . is compared with the reference humidity of the storage unit 1510 (S107).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습도와 비교하여 현재 습도가 기준 습도 이하인 경우, 제어부(1500)는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S108).Compared with the reference humidit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10, when the current humidity is less than or equal to the reference humidity, the control unit 1500 stops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and the blower 1400 (S108).

이때, 기준 습도는 0% 초과인 것이 바람직하다. 기준 습도가 0%라면,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도가 존재하는지 존재하지 않는지 구별할 수 없어 제어부(1500)가 습도를 비교할 수 없기 때문이다.In this case, the reference humidity is preferably greater than 0%. This is because if the reference humidity is 0%, the controller 1500 cannot compare the humidity because it cannot be distinguished whether the humidity of the passenger's buttocks is present or not.

일 예로, 송풍부(1400)의 지속적인 작동으로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기가 완전히 제거되는 경우, 습기센서(1600)에 가해지는 현재 습도가 0%이므로 기 설정된 기준 습도보다 낮게 된다. 이로 인해, 유압부(1300)의 작동이 중지되어, 유압부(1300)가 날개부(1200)를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당기게 되고, 송풍부(1400)의 작동이 중지되어 더 이상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는다. 즉, 탑승자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에 엉덩이를 안착시키고 있더라도, 탑승자가 별도의 조작 없이 송풍부(1400)의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게 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moisture of the passenger's buttocks is completely removed by the continuous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 the current humidity applied to the moisture sensor 1600 is 0%, so that it is lower than the preset reference humidity. For this reason,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is stopped, the hydraulic unit 1300 pulls the wing unit 1200 into the lower wheelchair 1100, and the operation of the blower 1400 is stopped and the blower is no longer (1400) does not generate wind. That is, even if the occupant is seated on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ccupant may not generate the wind of the blower 1400 without a separate operation.

탑승자가 운행 중 유압부(1300) 및 송풍부(1400)의 작동을 조절하려면 작동 기구에 조작을 가해야 하므로 신경이 분산되어 사고가 발생할 위험이 있다.In order for the passenger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hydraulic unit 1300 and the blower 1400 while the passenger is driving, he/she has to apply a manipulation to the operating mechanism, so that nerves may be dispersed and an accident may occur.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부(1510)에 저장된 기준 압력 및 기준 습도를 현재 압력 및 현재 습도와 비교하여 제어부(1500)가 자동으로 송풍부(1400)의 바람의 발생 여부를 조절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Howev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comparing the reference pressure and the reference humidity stored in the storage unit 1510 with the current pressure and the current humidity, the control unit 1500 automatically determines whether the wind of the blower unit 1400 is generated. I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djustable.

또한, 탑승자가 엉덩이를 안착시키지 않거나, 엉덩이의 습기가 제거된 경우에는 자동으로 송풍부(1400)가 바람을 발생시키지 않게 하고, 날개부(1200)가 다시 휠체어 하부(1100) 내부로 삽입되도록 하여 불필요한 에너지의 낭비를 막고, 외부 충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휠체어 하부 시트를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when the passenger does not seat the buttocks or the moisture in the buttocks is removed, the blower 1400 automatically prevents the wind from being generated, and the wing portion 1200 is inserted back into the wheelchair lower part 1100. There is an advantage of preventing unnecessary energy waste and protecting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rom external impact.

다만, 현재 습도가 기준 습도 초과인 경우에는, 탑승자의 엉덩이에 습기가 존재한다는 것이므로, 송풍부(1400)를 지속적으로 작동시키게 된다. However, when the current humidity exceeds the reference humidity, since moisture exists on the passenger's buttocks, the blower 1400 is continuously operated.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헤드레스트의 작동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의 구성요소 및 기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4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n operation process of a headres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components and functions of the moisture removal unit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8 .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1000)의 구성요소를 모두 포함하되, 입력부(1520), 통신부(1521) 및 서보모터부(1900)의 구성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moisture removal unit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ll the components of the moisture removal unit 1000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but the input unit 1520 , the communication unit 1521 , and the servo motor unit 1900 . ),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configuration of.

서보모터부(1900)는 제1 날개부(1201) 및 제2 날개부(1202)를 잇게 된다. 또한, 힌지부(1800)의 후방에 위치되어 힌지부(1800)와 연계되고, 힌지부(1800)의 회전 동작을 제어한다. 서보모터(servomotor)란 전기적인 제어신호를 토크로 변화하여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이다. 서보모터부(1900)는 제어부(1500)에 의해 제어된다.The servomotor unit 1900 connects the first wing unit 1201 and the second wing unit 1202 . In addition, it is located at the rear of the hinge unit 1800 and is connected to the hinge unit 1800 , and controls the rotation operation of the hinge unit 1800 . A servomotor is a motor that generates rotational force by converting an electrical control signal into torque. The servo motor unit 1900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1500 .

제어부(1500)가 서보모터 작동 신호를 발생시키면, 서보모터부(1900)는 이를 수신하여 서보모터부(190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제어부(1500)가 서보모터 작동 중지 신호를 발생시키면, 서보모터부(1900)는 이를 수신하여 서보모터부(1900)의 작동을 중지시킨다. 이때, 서보모터부(1900)는 서보모터본체, 서보모터작동부, 서보모터신호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unit 1500 generates a servo motor operation signal, the servo motor unit 1900 receives it and operates the servo motor unit 1900 . Also, when the control unit 1500 generates a servo motor operation stop signal, the servo motor unit 1900 receives it and stops the operation of the servo motor unit 1900 . In this case, the servomotor unit 1900 may include a servomotor body, a servomotor operation unit, a servomotor signal unit, and the like.

서보모터부(1900)가 작동되면, 제1 날개부(1201)는 힌지부(1800)를 중심으로 도 5를 기준으로 정면 또는 배면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즉, 힌지부(1800)는 제1 날개부(1201)가 제2 날개부(1202)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고, 서보모터부(1900)는 제1 날개부(201)가 회전할 수 있는 동력을 제공한다.When the servo motor unit 1900 is operated, the first wing unit 1201 may rotate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with reference to FIG. 5 around the hinge unit 1800 . That is, the hinge part 1800 serves as a guide for preventing the first wing part 1201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second wing part 1202 , and the servomotor part 1900 has the first wing part 201 rotated. It gives you the power to do it.

입력부(1520)는 휠체어 하부 시트 내부에 별도로 위치되며, 입력부(1520)에는 특정 신호가 입력될 수 있다. 특정 신호를 통신부(1521)가 수신하고, 통신부(1521)는 특정 신호를 제어부(1500)에 전달한다.The input unit 1520 is separately located inside the lower seat of the wheelchair, and a specific signal may be input to the input unit 1520 . The communication unit 1521 receives the specific signal, and the communication unit 1521 transmits the specific signal to the control unit 1500 .

이때, 특정 신호라 함은, 서보모터부(19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신호인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탑승자가 '정면 10도'라는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제1 날개부(1201)가 제2 날개부(1202)를 기준으로 정면 방향으로 10도만큼 회전하도록 서보모터부(1900)가 회전한다.In this case, the specific signal is preferably a signal capable of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ervomotor unit 1900 . Accordingly, when the passenger inputs a specific signal of 'frontal 10 degrees', the servo motor 1900 rotates so that the first wing unit 1201 rotates by 10 degrees in the front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wing unit 1202. do.

탑승자가 입력부(1520)에 특정 신호를 입력하면, 통신부(1521)는 이를 수신하여 제어부(1500)에 전달하고, 제어부(1500)는 서보모터 작동 신호를 통해 서보 모터부(1900)를 제어하여 서보모터부(1900)가 작동할 수 있도록 한다. 이로 인해, 날개부(1200)가 휠체어 하부(1100)로부터 돌출 시, 제1 날개부(1201)가 탑승자의 원하는 각도로 위치되도록, 제1 날개부(1201)를 정면 또는 배면 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When the passenger inputs a specific signal to the input unit 1520 , the communication unit 1521 receives it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1500 , and the control unit 1500 controls the servo motor unit 1900 through a servo motor operation signal to provide a servo It enables the motor unit 1900 to operate. Due to this, when the wing part 1200 protrudes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100, the first wing part 1201 can be rotated in the front or rear direction so that the first wing part 1201 is positioned at the desired angle of the occupant. have.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운행 중 탑승자가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변경하려면, 수동으로 제1 날개부(1201)를 잡고 각도를 조절하여야 한다. 이로 인해, 운전 중 신경이 분산되어 사고의 위험성이 있을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for a passenger to change the angle of the first wing part 1201 while driving, the occupant must manually hold the first wing part 1201 and adjust the angle. Due to this, nerves may be dispersed while driving, and there may be a risk of an accident.

그러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습기 제거 유닛에 따르면, 휠체어 운행 중 탑승자는 입력부(1520)에 특정 신호를 입력하는 것만으로도 서보모터부(1900)를 작동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서보모터부(190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하여 제1 날개부(1201)의 각도를 수동적으로 조절하는 것이 아닌, 전기제어로 자동 조절을 할 수 있어 편의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고의 위험성을 감소시켜 안전성이 극대화되는 장점이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e moisture removal unit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ssenger may operate the servomotor unit 1900 only by inputting a specific signal to the input unit 1520 while driving the wheelchair. For this reason, instead of manually adjusting the angle of the first wing unit 1201 by adjus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servomotor unit 1900, it is possible to automatically adjust the angle by electric control, thereby increasing convenience.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safety is maximized by reducing the risk of an accident.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The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program instructions that can be executed through various computer components and record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include program instructions, data files, data structures, etc. alone or in combination. The program instructions recorded on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specially designed and configured for the present invention, or may be known and availa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of computer software. Examples of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a include hard disks, magnetic media such as floppy disks and magnetic tapes, optical recording media such as CD-ROMs and DVDs, and magneto-optical media such as floppy disks. medium), and hardware devices specially configured to store and execute program instructions, such as ROM, RAM, flash memory, and the like. Examples of program instructions include not only machine language codes such as those generated by a compiler, but also high-level language codes that can be executed by a computer using an interpreter or the like. A hardware device may be converted into one or more software modules to perform processing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and vice versa.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rovided. is within the scope of the

10 : 휠체어 하부, 100 : 프레임부,
110 : 제1 프레임, 120 : 제2 프레임,
200 : 모터부, 210 : 제1 모터,
220 : 제2 모터, 300 : 피니언 구동부,
310 : 길이 샤프트, 311 : 길이 샤프트a,
312 : 길이 샤프트b, 320 : 고정 샤프트,
330 : 이동 샤프트, 331 : 절곡 샤프트,
332 : 삽입 샤프트, 340 : 피니언,
400 : 래크 구동부, 410 : 기둥체,
420 : 삽입 홈, 430 : 래크,
500 : 바퀴부, 600 : 링크부,
610 : 링크a, 620 : 링크b,
700 : 결합부, 1000 : 습기 제거 유닛,
1100 : 휠체어 하부, 1200 : 날개부,
1300 : 유압부, 1400 : 송풍부,
1500 : 제어부, 1600 : 습기센서,
1700 : 압력센서, 1800 : 힌지부,
1900 : 서브모터부.
10: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00: the frame part,
110: a first frame, 120: a second frame,
200: motor unit, 210: first motor,
220: second motor, 300: pinion driving unit,
310: length shaft, 311: length shaft a;
312: length shaft b, 320: fixed shaft,
330: moving shaft, 331: bending shaft,
332: insert shaft, 340: pinion,
400: rack drive unit, 410: column body,
420: insert groove, 430: rack,
500: wheel part, 600: link part,
610: link a, 620: link b,
700: coupling part, 1000: moisture removal unit,
1100: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1200: the wing part,
1300: hydraulic unit, 1400: blower unit,
1500: control unit, 1600: moisture sensor,
1700: pressure sensor, 1800: hinge part,
1900: sub-motor unit.

Claims (3)

휠체어;
상기 휠체어 하부에서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이 이격되도록 결합되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으로 구비되는 프레임부;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양 단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모터부;
상기 모터부와 동일 선상으로 결합되는 복수 개의 피니언 구동부;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기둥체 및 상기 기둥체의 일지점에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와 마주보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래크로 구비되는 래크 구동부; 및
복수 개의 상기 래크 구동부의 하부에 결합되는 복수 개의 바퀴부;를 포함하되,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수직 방향으로 길이 조절이 가능한 길이 샤프트;
상기 길이 샤프트의 하부에 결합되는 고정 샤프트; 및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결합되는 피니언;으로 구비되되,
상기 피니언은 상기 래크를 따라 수직 방향으로 각각 이동이 가능함에 따라, 상기 휠체어의 시트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수평을 유지할 수 있고,
상기 휠체어 하부에 위치되는 습기 제거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습기 제거 유닛은,
상기 휠체어 하부의 내부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중공부에 삽입이 가능한 날개부;
탑승자의 엉덩이의 꼬리뼈 부근에 바람을 가하는 송풍부;
상기 휠체어 하부의 일 지점에 위치되되, 상기 탑승자의 엉덩이의 습기를 감지하는 습기 센서;
상기 휠체어 하부의 일 지점에 위치되되, 상기 탑승자의 엉덩이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상기 날개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가이드 레일; 및
상기 휠체어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가이드 레일이 맞물리는 가이드 홈;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휠체어 하부에서 상기 휠체어의 외부를 향해 돌출 가능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의 단부에는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날개부가 상기 휠체어 하부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날개부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날개부;
상기 날개부의 타단에 형성되는 제2 날개부;
상기 제1 날개부와 상기 제2 날개부의 사이에 결합되는 힌지부; 및
상기 제2 날개부와 결합되는 유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날개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휠체어 하부에서 상기 휠체어의 외부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힌지부를 통해 상기 제1 날개부 및 상기 송풍부의 각도가 조절되는 것인
스마트 휠체어.
bathchair;
a frame portion provided with a first frame and a second frame coup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 plurality of motor units coupled to both ends of the first frame and the second frame;
a plurality of pinion driving units coupled to the motor unit in the same line;
a rack driving unit having a pillar body extending in a vertical direction and a rack protruding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inion driving unit at one point of the pillar body; and
Containing; a plurality of wheel parts coupl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plurality of rack driving units;
The pinion drive unit,
length shaft adjustable in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fixed shaft coupled to a lower portion of the length shaft; and
It is provided as a; pinion coupled at one point of the fixed shaft,
As the pinion is movable in a vertical direction along the rack, the seat of the wheelchair can be maintained horizontally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Further comprising; a moisture removal unit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The moisture removal unit,
Wings capable of being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hollow parts formed inside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 blower for applying wind to the vicinity of the tailbone of the occupant's buttocks;
Doedoe located at a point under the wheelchair, a moisture sensor for detecting the moisture of the hip of the occupant;
Doedoe located at a point under the wheelchair, a pressure sensor for detecting the pressure applied by the occupant's buttocks;
guide rail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wing portion; and
Doedoe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 guide groove in which the guide rail is engaged; including,
The guide rail is
It is possible to protrude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along the guide groove toward the outside of the wheelchair,
A stopping protrusion is formed at the end of the guide rail to prevent the wing portion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The wing portion,
a first wing por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wing portion;
a second wing portion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wing portion;
a hinge part coupled between the first wing part and the second wing part; and
It further includes; a hydraulic part coupled to the second wing part,
The wing part is movable from the lower part of the wheelchair to the outside of the wheelchair along the guide groove, and the angle of the first wing part and the blower part is adjusted through the hinge part
smart wheelchair.
제1항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바퀴부를 길이 방향으로 잇는 링크부; 및
빛을 점등시키는 조명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조명부는 소정의 각도를 지니는 경사면에서 운행될 경우 자동으로 빛이 점등되고,
상기 링크부는 힌지로 결합된 제1 링크 및 제2 링크로 구비되되,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를 회전시켜 상기 바퀴부를 인접하도록 위치시킬 경우, 상기 휠체어의 운반이 용이한
스마트 휠체어.
According to claim 1,
a link part connecting the plurality of wheel par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ighting unit for illuminating the light; further including,
When the lighting unit is operated on an inclined surface having a predetermined angle, the light is automatically turned on,
The link unit is provided with a first link and a second link coupled by a hinge,
When the first link and the second link are rotated to position the wheel to be adjacent to each other, it is easy to transport the wheelchair.
smart wheelchair.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 구동부는,
상기 고정 샤프트의 일지점에서 연장 형성되되,
수직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가상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되는 이동 샤프트;를 더 구비하며,
상기 래크 구동부는,
상기 기둥체의 양측면에서 내부를 향하여 함몰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삽입 홈;을 더 구비하되,
상기 삽입 홈은 내부를 향할수록 길이 방향의 길이가 더 긴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이동 샤프트의 단부가 상기 삽입 홈에 삽입될 경우, 상기 이동 샤프트의 이탈이 방지되는
스마트 휠체어.
3. The method of claim 2,
The pinion drive unit,
Doedoe extending from one point of the fixed shaft,
Further comprising; a moving shaft symmetrical with respect to a virtual central axis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rack drive unit,
A pair of insertion grooves formed by being depressed toward the inside from both sides of the column body;
The insertion groove is formed to have a longer length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ward the inside, so that when the end of the movable shaft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separation of the movable shaft is prevented.
smart wheelchair.
KR1020190139849A 2019-11-05 2019-11-05 Smart wheelchair KR10229886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en) 2019-11-05 2019-11-05 Smart wheelchai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en) 2019-11-05 2019-11-05 Smart wheelchai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25A KR20210054125A (en) 2021-05-13
KR102298864B1 true KR102298864B1 (en) 2021-09-06

Family

ID=7591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9849A KR102298864B1 (en) 2019-11-05 2019-11-05 Smart wheelchai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86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5638B1 (en) * 2021-11-25 2023-10-11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Auto leveling walker suppor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308A (en)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Light vehicle with climbing function
JP3980917B2 (en) * 2002-03-26 2007-09-26 重勝 花井 Wheelchair and other stair climbing assist devices
KR101241754B1 (en) * 2010-12-24 2013-03-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Functional Electric Wheel-chair
KR101386197B1 (en)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Rollover preventing apparatus for power wheelchair or walk assistance appliance
KR101393706B1 (en) * 2013-03-26 2014-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heelchair with self help machine
KR101885121B1 (en) * 2017-03-27 2018-08-03 (주)글록스 Wheel chair and caster device for wheel chai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5100B1 (en) 2011-01-07 2013-01-22 주식회사 퓨런티어 Electric wheel chair being able to correct inclined angle
KR101694855B1 (en) 2014-10-31 2017-01-16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Auxiliary device of folding wheelchair for ramp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5308A (en) * 2002-02-26 2003-09-02 Yamatomekku:Kk Light vehicle with climbing function
JP3980917B2 (en) * 2002-03-26 2007-09-26 重勝 花井 Wheelchair and other stair climbing assist devices
KR101241754B1 (en) * 2010-12-24 2013-03-14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Multi Functional Electric Wheel-chair
KR101386197B1 (en) * 2013-01-04 2014-04-17 한국산업기술대학교산학협력단 Rollover preventing apparatus for power wheelchair or walk assistance appliance
KR101393706B1 (en) * 2013-03-26 2014-05-13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The wheelchair with self help machine
KR101885121B1 (en) * 2017-03-27 2018-08-03 (주)글록스 Wheel chair and caster device for wheel chai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125A (en) 2021-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0069B2 (en) Traveling device
KR102197894B1 (en) Robot
CN202368406U (en) Vehicle, vehicle seat system and seating unit
KR102298864B1 (en) Smart wheelchair
JP2012085854A (en) Level difference ascending/descending device and electric wheelchair using the same
CN107856584B (en) Scissor-suspension type electric control lifting seat system
JP2015047986A (en) Stairway elevator
IE48543B1 (en) Wheel chair
CN102874135A (en) Automobile seat adjusting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72262B1 (en) Motorized lifting device for wheelchair
KR20190066280A (en) Electric drivr type wheelchair with stairs going up and down function
KR101382632B1 (en) Folding electric walking aid vehicle
KR101841879B1 (en) Smart stroller
CN206801367U (en) A kind of induction door of city rail traffic
KR20200007336A (en) A seat for a passenger car having a means of getting off
CN205698286U (en) A kind of nursing assisting system
KR101053691B1 (en) Electric scooter
JP2001163098A (en) Inclination control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seat and seat device for automobile
KR102423485B1 (en) Auto lifting-moving chair apparatus for parapiegic capable of lifting and moving
JP2010131225A (en) Transfer support apparatus
KR101393452B1 (en) Boarding mobile apparatus for maintaining posture balance
JP4128789B2 (en) Conveying equipment
KR200398881Y1 (en) Wheel Chair
JPS60197437A (en) Seating attitude support device for vehicle
CN219614227U (en) Movable sea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