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772B1 -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Google Patents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8772B1 KR102298772B1 KR1020200088058A KR20200088058A KR102298772B1 KR 102298772 B1 KR102298772 B1 KR 102298772B1 KR 1020200088058 A KR1020200088058 A KR 1020200088058A KR 20200088058 A KR20200088058 A KR 20200088058A KR 102298772 B1 KR102298772 B1 KR 10229877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nection panel
- connection board
- partition wall
- door
- proof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title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7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2
- UGFAIRIUMAVXCW-UHFFFAOYSA-N Carbon monoxide Chemical compound [O+]#[C-] UGFAIRIUMAVXCW-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29910002091 carbon mon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9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8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9000005060 rubb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0391 smok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6399 behavior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79 smok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73 ancho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73 artificial intellige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06 monitoring devi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17 oper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4—Electrical components comprising specially adapted electrical connection means to be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PV module, e.g. junction boxe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comprising an outlet device containing a sensor, or itself being the sensor, i.e. self-contained sprinklers
- A62C37/10—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 A62C37/11—Releasing means, e.g. electrically released heat-sensitive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2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electrochemical variables; by using electrolysis or electrophoresis
- G01N27/403—Cells and electrode assemblies
- G01N27/406—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 G01N27/407—Cells and probes with solid electrolytes for investigating or analysing gase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26—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H02B1/28—Casings; Part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Fire Alar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 및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측면과 일측부가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제1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되는 제1밀착부; 및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방습 및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에 사용하는 접속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반 본체와 접속반 도어의 사이의 수밀구조 및 접속반에 설치되는 화재예방 및 자동소화기능에 관한 것이다.
태양광 발전은 태양광 어레이, 접속반, 인버터반 및 변압기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인다. 그리고 태양광 발전에 사용되는 접속반은 태양광 어레이에서 발전되는 DC전류를 한 곳으로 모아 인버터에 전달하는 분전반 형태의 패널이다.
종래의 접속반은 대부분 실외에 설치된다. 특히, 접속반은 야외에 노출되어 있어 비, 눈 또는 먼지등에 노출되게 되어 습기 또는 먼지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해 외부의 고체 또는 액체 물질에 대한 방진 보호 및 방수 등급의 나타내는 IP등급이 매우 중요하다. 즉, IP등급은 접속반에의 먼저 또는 습기의 침투에 따라 접속반이 얼마나 안전한 지에 대한 보호기준을 정하는 기준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IP보호등급을 IP154 이상으로 정하고 있다. 다만, 기존의 접속반의 경우 방진 및 방습에 대하여 취약하여 접속반 내부가 오염되거나 발화의 위험성이 있다.
또한, 전술한 접속반 내부로 먼지 또는 습기가 침투한 경우는 접속반 내부에서의 전기적인 누전 또는 단락으로 인한 화재의 위험성이 증가한다. 따라서 이러한 화재의 징후를 미리 탐지하여 경고하는 시스템이 요구된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접속반 본체 및 접속반 도어의 구조를 방진 및 방습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외부로부터의 먼지 및 습기가 접속반의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반의 내부 또는 외부에 화재의 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이를 경고할 수 있는 화재징후 사전 감지,예방 및 자동소화기능을 제공하여 대형화재 등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 및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측면과 일측부가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제1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되는 제1밀착부; 및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밀착부의 폭은 상기 제1격벽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밀착부의 끝단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방진고무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1격벽의 상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밀착부의 폭은 상기 제2격벽의 상부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밀착부의 끝단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방진고무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 및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에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측면과 일측이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볼록에서 우상향 또는 좌상향으로 빗변 및 측변이 돌출된 직각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제1격벽의 빗변 및 측변과 각각 맞닿도록 상기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1밀착부; 및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1격벽의 측변과 맞닿는 상기 제1밀착부의 일부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반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절개부가 압력에 대해 탄성적으로 거동함으로써 수밀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제2밀착부의 폭은 상기 제2격벽의 상부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밀착부의 끝단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방진고무(262)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속반 본체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되어, 온도 또는 연기에 의한 화재의 징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경고하는 화재재징후 사전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접속반 내부에 장착되며,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를 모두 감지하며, 펜(fan, 600)을 장착하여 접속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검출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구성된 가스감지센서(400a); 상기 가스감지센서(400a)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축적하며, 해당 접속반이 설치된 장소의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결정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를 전송받아 외부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700)이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훈소화재가 시작되고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학습된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 증가의 정도가 설정기울기를 초과할때 상기 통신모듈(700)로 신호를 보내 경보를 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접속반 내부에서 불꽃연소가 개시되면, 자동식소화기(500)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00b)가 온도상승으로서 불꽃연소를 감지하게 되면, 자동식소화기(500)가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로 발생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로 접속반 본체 및 접속반 도어의 구조를 방진 및 방습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하여 효과적으로 외부로부터의 먼지 및 습기가 접속반의 내부로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접속반의 내부 또는 외부에 화재의 징후를 미리 감지하여 이를 경고할 수 있는 화재징후 사전 감지기능을 제공하여 대형화재 등으로 인한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접속반의 화재예방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사용하는 화재예방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접속반의 화재예방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사용하는 화재예방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판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의해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고려하여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히 기능 및 구조의 설명을 통하여 의미를 설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은 접속반의 방진 및 방습을 위한 수밀구조 및 화재의 징후를 미리 파악하여 이를 경고하기 위한 것에 있는 바, 이하에서는 이를 중심으로 상세하게 설명하고 일반적인 접속반의 기능 및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측면도, 및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인 태양광 발전 접속반의 방습 및 방진구조(10)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100); 및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에서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측면과 일측부가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120);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1격벽(140); 및 상기 제1격벽(140)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220); 상기 제1격벽(140)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되는 제1밀착부(240); 및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26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평탄부(120)는 상기 마감부(220)와 서로 맞닻으면서 방습 및 방진효과를 1차적으로 발생시킨다. 그리고, 제1격벽(140)은 상기 제1밀착부(240)와 맞닿으면서 방습 및 방진효과를 2차적으로 발생시킨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상기 제2격벽(160)과 상기 제2밀착부(260)가 서로 맞닿으면서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내부로 먼지 및 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평탄부(120)는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내측으로 수평하게 연장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평탄부(120)가 시작되는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의 끝부분에 상기 마감부가 맞닿도록 한다. 이때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마감부(220)의 두께를 도 1에 도시된 것보다 두껍게 구성하여 실시하거나 상기 마감부(220)의 재질을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도 있다.
상기 제1격벽(140)은 상기 평탄부(120)의 끝단에서 수직으로 볼록하게 돌출되어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1밀착부(240)는 상기 제1격벽(140)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되도록 형성하되, 상기 제1격벽(140)보다 폭이 크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제1밀착부(24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반 도어(200)를 닫았을 때, 상기 제1격벽(140)에 맞닿으면서 눌리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이 높아지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첨부된 도 1과 달리 상기 제1밀착부(240)의 돌출된 깊이를 더 크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격벽(160)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2와 같이 제1격벽(140)의 우측에서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도록 돌출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부(360)는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첨부된 도 1과 같이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와 맞닿는 제2밀착부(260)의 폭은 상기 제2격벽(160)의 폭보다 더 크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제2밀착부(260)의 재질은 탄성이 있는 재질로 구성하고, 상기 접속반 도어(200)를 닫았을 때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에 맞닿으면서 눌리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높이도록 실시할 수도 있다. 단, 이 경우에는 첨부된 도 1과 달리 상기 제2밀착부(260)의 돌출된 깊이를 더 크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예의 절개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전술한 도 1의 구성에서, 상기 제1격벽(140)과 상기 제1밀착부(240), 상기 제2격벽(160)과 제2밀착부(260)의 사이에 각각 방진고무(242, 262)가 더 포함되어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방진고무(242, 262)를 더 포함하여 실시함으로써 수밀성을 높여 접속반의 방진 및 방습효과를 높일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절개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측면도, 및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예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은 실시조건에 따라 첨부된 도 5 내지 도 7과 같이,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100); 및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에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측면과 일측이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120); 상기 평탄부(120)의 끝단에서 볼록에서 우상향 또는 좌상향으로 빗변 및 측변이 돌출된 직각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140); 및 상기 제1격벽(140)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16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100)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220); 상기 제1격벽(140)의 빗변 및 측변과 각각 맞닿도록 상기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140)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1밀착부(240); 및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200)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260)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1의 제1실시예와 비교했을 때, 다른 구성요소는 동일하고 제1격벽(140) 및 제1밀착부(240)의 형상을 첨부된 도 5과 같이 변형하여 실시하였다. 이하에서는 제1실시예와 구별되는 제2실시예의 특징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중복되는 사항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격벽(140)의 형상을 상기 평탄부(120)의 끝단에서 볼록에서 좌상향으로 빗변 및 측변이 돌출된 직각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하여 실시하였다. 즉, 측변을 좌측에 형성하고 빗변을 우측에 형성하여 실시하였다. 그리고 제1밀착부(240)의 형상은 첨부된 도 5와 같이 상기 제1격벽(140)의 측변 및 빗변을 감싸면서 포개지도록 실시하였다. 첨부된 도 5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격벽(140)과 상기 제1밀착부(240)의 사이에 이격된 공간이 보이는 것 같이 도시하였으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뿐, 실제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격벽(140)과 상기 제1밀착부(240)가 맞닿는 부분에 틈이 생기지 않도록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상기 제1격벽(140)의 측변과 맞닿는 상기 제1밀착부(240)의 일부에는 절개부(244)를 형성하여, 상기 접속반 도어(200)가 닫히는 경우에 일종의 틈의 형상을 하고 있는 상기 절개부(244)가 압력에 대해 좁혀지거나 넓어지면서 탄성적으로 거동하게 하여 수밀성을 높이는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절개부(244)의 탄성적 거동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제1밀착부(240)의 재질을 탄성거동을 하는 재질로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2격벽(160)과 제2밀착부(260)의 구성 및 작용은 전술한 도 1의 실시예와 같다. 이 경우에도 상기 제2밀착부(260)의 폭은 상기 제2격벽(160)의 상부의 폭보다 같거나 크게 구성하여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실시예의 절개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의 구성에, 상기 제1격벽(140)과 상기 제1밀착부(240)가 맞닿는 부분과 상기 제2격벽(160) 및 상기 제2밀착부(260)가 맞닿는 부분에 각각 방진고무(242, 262)를 더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즉,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하여 본 발명의 목적인 수밀성을 높여 방진 및 방수효과를 높일 수 있는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의한 접속반의 화재예방 구성을 설명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는 상기 접속반 본체의 내부에 구비되어, 온도 또는 연기에 의한 화재의 징후를 감지하는 감지센서(400a, 400b)를 구비하고 이를 경고하는 화재재징후 사전 감지시스템을 더 포함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센서는 실시조건에 따라서는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감지센서(400b)와 화재시에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400a)로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가스감지센서(400a)는 접속반 내부에 장착되며,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를 모두 감지하는 겸용센서로 구성될 수 있으며, 가스감지센서(400a)에 펜(fan, 600)을 장착하여 접속반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여 순환하도록 하여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검출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한다.
또한, 가스감지센서(400a)는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지속적으로 측정하여 컨트롤러(300)로 전송하고 컨트롤러(300)는 이러한 데이터를 축적하여 해당 접속반이 설치된 장소의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결정한다.
컨트롤러(300)는 훈소화재가 시작되고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학습된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 증가의 정도가 설정기울기를 초과할때 통신모듈(700)로 신호를 보내 경보를 하도록 구성한다.
즉, 가스감지센서(400a)의 역할은 훈소(불꽃이 발생하지 않은 무염화재)시에 접속반 내부에 소화약제까지 방사할 필요없이 경보로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경보방식은 접속반 모니터링 장비나 담당 직원의 휴대폰으로 알림을 주는 방식이나 음성으로 경보하는 방식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본 발명은 일정량의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자체가 증가하는 것이 아닌, 일정한 변화 이상의 농도 증가의 기울기가 확인이 되는 순간에 경보를 하도록 구성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만약 훈소화재발생 이후 적절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불꽃연소가 개시되면, 자동식소화기(500)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00b)가 온도감지를 통해 불꽃연소를 감지하게 되고, 이에 자동식소화기(500)가 작동되면서 소화약제를 방출하여 소화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자동식소화기(500)는 훈소화재가 발전하여 불꽃연소가 발생되는 시점에 자동식소화기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00b)에서 접속반 내부의 온도상승을 감지하는 경우에 자동으로 소화약재가 방사되도록 한다.
도 10,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5실시예에 사용하는 화재예방시스템의 작동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화재징후 사전 감지시스템은 상기 접속반의 설치장소를 고려하여 일정량의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 자체가 증가하는 것이 아닌, 일정한 변화 이상의 농도 증가의 기울기가 확인이 되는 순간에 경보를 하도록 경보기준을 설정하게 된다.
다시말해, 컨트롤러(300)는 상기 가스감지센서(400a)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축적하며, 해당 접속반이 설치된 장소의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결정하게 되고, 이에 컨트롤러(300)는 훈소화재가 시작되고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학습된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 증가의 정도가 설정기울기를 초과할때 통신모듈(700)로 신호를 보내 경보를 하도록 구성한다.
결국, 불꽃이 감지되면서 자동소화기(500)가 동작하기전에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 증가의 정도가 갑자기 커지는 시점을 화재징후가 보이는 경우로 판단하여 미리 경보를 하여 화재예방에 따른 대비시간을 비축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경보기준이 되는 설정기울기는 접속반 내부에서 검출되는 일산화탄소(또는 이산화탄소)의 양 자체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닌, 일산화탄소(또는 이산화탄소)양의 변화에 따른 상대적인 값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실시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한 화재의 징후를 사전에 감지하기 위한 시스템을 구성함에는 상기 접속반의 상태를 원격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내부 또는 외부 통신망을 및 휴대폰 또는 컴퓨터 등 단말기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화재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에는 문자메시지로 경고하게 하거나 별도의 애프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경고하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화재경보가 발생한 경우에는 계통반을 컴퓨터로 모니터하는 모니터링 화면을 통해 문제가 된 접속반의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화재시에 접속반 내부에서 발생하는 일산화탄소(CO) 또는 이산화탄소(CO2)를 감지하는 가스감지센서(400a)에서의 감지된 가스의 농도의 변화에 따른 결과를 출력하여 음성 또는 영상으로 표시하는 것을 나타내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접속반 내부에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 가스감지센서(400a)를 설치하고 해당 접속반에서의 일산화탄소 및 일산화탄소를 측정한 이후에 해당 장소에의 기준이 되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컨트롤러(300)에서 설정한다. 그리고 컨트롤러(300)는 상기 통신모듈(700)을 통해 경보를 울려야 하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증가에 대한 설정기울기를 정한다.
이후에 가스감지센서(400a)가 일정시간 간격으로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각각 측정하고, 이때 측정한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증가 기울기가 상기 설정기울기(일종의 기준기울기)를 초과하지 않으면 측정된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컨트롤러(300)에 저장하고 통신모듈(700)을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만일, 상기 측정된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의 증가 기울기가 설정기울기(일종의 기준기울기)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음성정보 및 디스플레이등을 통해 이를 알린다. 마찬가지로, 이때의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컨트롤러(300)에 저장하고 통신모듈(700)을 통해 외부의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버에서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는 접속반 내부의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에 관한 데이터를 학습하여 접속반의 설정기울기에 대한 기준이 되는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를 관리자에게 피드백으로 제시하거나 빅데이터/인공지능으로 학습하여 결과를 도출할 수도 있을것이다.
이와 같은 일산화탄소 및 이산화탄소의 농도 및 기울기를 이용하여 상기한 화재예방 감지시스템을 보다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예는 실시조건에 따라서 운영방법, 서버 및 단말기 등은 자유로이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 태양광발전 접속반의 방습 및 방진구조
20: 잠금장치
30: 힌지
100: 접속반 본체
120: 평탄부
140: 제1격벽
160: 제2격벽
200: 접속반 도어
220: 마감부
240: 제1밀착부
242: 방진고무
244: 절개부
260: 제2밀착부
262: 방진고무
300: 컨트롤러
400a: 가스감지센서
400b: 온도감지센서
500: 자동식소화기
600: 펜
700: 통신모듈
20: 잠금장치
30: 힌지
100: 접속반 본체
120: 평탄부
140: 제1격벽
160: 제2격벽
200: 접속반 도어
220: 마감부
240: 제1밀착부
242: 방진고무
244: 절개부
260: 제2밀착부
262: 방진고무
300: 컨트롤러
400a: 가스감지센서
400b: 온도감지센서
500: 자동식소화기
600: 펜
700: 통신모듈
Claims (11)
- 전면이 개방되고 내부가 빈 케이스 형상의 접속반 본체; 및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에 여닫이 방식으로 닫히거나 열리도록 구비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측면과 일측이 힌지 결합하는 접속반 도어;
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는 측면에서 보았을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서 수평하게 연장되어 형성되는 평탄부;
상기 평탄부의 끝단에서 볼록에서 우상향 또는 좌상향으로 빗변 및 측변이 돌출된 직각삼각형의 단면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 및
상기 제1격벽과 이격되어 "ㄱ자"의 단면으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제2격벽(16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와 맞닿는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은 측면에서 보았을 때,
상기 접속반 본체의 전면 테두리의 끝에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끝단에서 연장형성되는 마감부;
상기 제1격벽의 빗변 및 측변과 각각 맞닿도록 상기 삼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격벽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1밀착부; 및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도록 상기 접속반 도어의 내측에서 연장하여 돌출형성되는 제2밀착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제 1항에서,
상기 제1격벽의 측변과 맞닿는 상기 제1밀착부의 일부는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접속반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상기 절개부가 압력에 대해 탄성적으로 거동함으로써 수밀성을 높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제2밀착부의 폭은 상기 제2격벽의 상부의 폭보다 같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제 1항 또는 제 2항에서,
상기 제2밀착부의 끝단에는 수밀성을 높이기 위한 방진고무(262)가 더 포함되어 상기 제2격벽의 상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제 1항에서,
상기 접속반 내부에 장착되며,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를 모두 감지하며, 펜(fan, 600)을 장착하여 접속반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검출을 신속, 정확하게 하도록 구성된 가스감지센서(400a);
상기 가스감지센서(400a)에서 지속적으로 측정되는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전송받아 데이터를 축적하며, 해당 접속반이 설치된 장소의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를 결정하는 컨트롤러; 및
상기 컨트롤러의 신호를 전송받아 외부로 경보신호를 전송하는 통신모듈(700)이 구성되며,
상기 컨트롤러(300)는 훈소화재가 시작되고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가 증가하게 되면, 학습된 평시 일산화탄소(CO)와 이산화탄소(CO2)의 농도와 비교하여 그 증가의 정도가 설정기울기를 초과할때 상기 통신모듈(700)로 신호를 보내 경보를 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반 내부에서 불꽃연소가 개시되면, 자동식소화기(500) 내부에 설치된 온도감지센서(400b)가 온도상승으로서 불꽃연소를 감지하게 되면, 자동식소화기(500)가 소화약제를 방출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058A KR102298772B1 (ko) | 2020-07-16 | 2020-07-16 |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088058A KR102298772B1 (ko) | 2020-07-16 | 2020-07-16 |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8772B1 true KR102298772B1 (ko) | 2021-09-07 |
Family
ID=77796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088058A KR102298772B1 (ko) | 2020-07-16 | 2020-07-16 |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877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2085B1 (ko) * | 2021-11-09 | 2022-05-25 | 주식회사 베스텍 | 열화 진단 및 예방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0263B1 (ko) | 2014-05-14 | 2015-05-14 | 주식회사 대은계전 | 화재 감지 지능형 배전반 |
KR101920065B1 (ko) * | 2018-03-20 | 2018-11-20 | 주식회사 케이엠테크 | 전기화재 감지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
KR101966598B1 (ko) | 2018-09-28 | 2019-04-05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
JP2020022253A (ja) * | 2018-07-31 | 2020-02-06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スイッチギヤ |
KR102115292B1 (ko) | 2019-12-10 | 2020-05-26 | 상원엔지니어링(주) |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
-
2020
- 2020-07-16 KR KR1020200088058A patent/KR102298772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20263B1 (ko) | 2014-05-14 | 2015-05-14 | 주식회사 대은계전 | 화재 감지 지능형 배전반 |
KR101920065B1 (ko) * | 2018-03-20 | 2018-11-20 | 주식회사 케이엠테크 | 전기화재 감지기능을 구비한 태양광 접속반 |
JP2020022253A (ja) * | 2018-07-31 | 2020-02-06 |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 スイッチギヤ |
KR101966598B1 (ko) | 2018-09-28 | 2019-04-05 |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 배전반 화재 감지 및 알림 시스템 |
KR102115292B1 (ko) | 2019-12-10 | 2020-05-26 | 상원엔지니어링(주) | 배전반 화재 관리 시스템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2085B1 (ko) * | 2021-11-09 | 2022-05-25 | 주식회사 베스텍 | 열화 진단 및 예방 기능이 구비된 배전반(고압반, 저압반, 모터제어반, 분전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070290870A1 (en) | Carbon monoxide detector and method of installation | |
KR102298772B1 (ko) | 방습, 방진 및 화재예방 기능을 갖는 태양광 발전용 접속반 | |
CN109147267A (zh) | 基于云平台的智慧校园大数据安全预警平台 | |
US7262705B2 (en) | Recessed detector assembly for detecting and venting airborne substances | |
US20190169916A1 (en) | Carbon Defense | |
JP4766670B2 (ja) | 防災防犯機器の防水構造 | |
US20100201529A1 (en) | Method of facilitating access to operator functions of hazardous condition alarm | |
JP2003281642A (ja) | 煙感知器 | |
CN211666576U (zh) | 一种带有警示功能的防火门 | |
JP3306564B2 (ja) | 火災受信機 | |
CN219039854U (zh) | 燃气探测器 | |
CN216817534U (zh) | 太阳能声光报警器 | |
CN220107507U (zh) | 一种充电桩输出侧漏电保护装置 | |
CN216353281U (zh) | 一种具有高灵敏度报警功能的安全出口指示灯 | |
CN220955340U (zh) | 一种带照明灯的防火门 | |
CN219815142U (zh) | 多重感应式消防监控系统 | |
CN211448318U (zh) | 具有排气功能的安全门 | |
CN211979804U (zh) | 一种仓库智能防火预警设备 | |
JP7383415B2 (ja) | 防災監視システム用受信機 | |
CN211927843U (zh) | 煤矿用甲烷传感器 | |
CN210515585U (zh) | 组合式温度监控探测器 | |
KR20040111209A (ko) | 화재감지기 | |
JP4986542B2 (ja) | 手動式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防犯装置 | |
CN217606430U (zh) | 一种智能家居防火防盗组合装置 | |
CN217246439U (zh) | 一种火灾防护用防误触式消防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