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8429B1 - 전기 접속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접속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8429B1
KR102298429B1 KR1020200030946A KR20200030946A KR102298429B1 KR 102298429 B1 KR102298429 B1 KR 102298429B1 KR 1020200030946 A KR1020200030946 A KR 1020200030946A KR 20200030946 A KR20200030946 A KR 20200030946A KR 102298429 B1 KR102298429 B1 KR 1022984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contact
terminal
elastic member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0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덕환
Original Assignee
이덕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덕환 filed Critical 이덕환
Priority to KR10202000309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842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84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84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07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characterized by the resilient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상태가 양호한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클립은,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접속 부재; 상기 한쌍의 접속 부재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접속 부재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흔들림없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 접속 커넥터{Electrical Connection Connector}
본 발명은 전기 접속 상태가 양호한 전기 접속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기 제어반(MCC : Motor Control Center)(또는 배전반)은 산업현장이나 공장 등에 설치되어서 발전소나 변전소에서 보내진 전력을 수용가에게 수,배전시 전기 계통의 감시와 제어 및 보호를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서, 차단기나 보호 계전기 등과 같은 기기를 부착,지지하는 구조물과, 기기를 접속 및 연결시키는 도체물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제어반은 각종 기기와 전기 회로 및 전력 케이블을 보호해주는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사용상의 편의성을 제공하고, 고압 전기로부터 사용자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함체 구조로 제작된다.
여기서, 제어반은, 함체의 내부에 슬라이딩 되면서 전기 접속 및 해제가 가능한 수납 유니트가 갖추어지고, 이러한 수납 유니트는 제어반의 높이에 따라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납 유니트에는 차단기 등과 같은 부품과, 외부 전력을 공급받아서 각 전기 장치로 보내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기 접속 커넥터는 외부로부터 부스바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져서 전기 공급을 받아 각종 부품에 전달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접속 커넥터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흔들림없이 양호한 접촉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발명은 전기적 접속 상태가 확실하게 이루어지고, 양호한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전기 접속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 수단은 하나 이상의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클립은,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접속 부재; 상기 한쌍의 접속 부재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부재에 의해 접속 부재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흔들림없이 면접촉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기 접속 커넥터가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접속 커넥터는 커넥터 본체내에 삽입되는 접속 클립을 이루는 한쌍의 접속 부재의 외주면에 탄성 부재를 구비하여 탄지되도록 함으로써, 소켓안에 마련되는 부스바 접속 부재와의 접속시, 보다 확실하게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접속 부재의 접점부는 부스바 접속 부재와의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접촉시, 탄성 부재의 제3 탄지부가 접속 부재의 끝단부보다 짧게 형성되어서 접점부에 집중적으로 가압되게 하여 면접촉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전기적 접속 상태가 앙호해져서 저항에 의한 발열 또는 정확하게 접속되지 않고 편심되게 접촉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쇼트 등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는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접속 클립에서 탄성 부재를 제거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접속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본체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3의 접속 클립 단부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3의 접속 클립 단자부의 확대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자부를 절곡한 상태의 접속 클립 정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체결부재 체결 방향을 변경 적용한 실시 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예시 도면에 의거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는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커넥터 본체(1), 커넥터 본체(1)의 내부에 마련되는 접속 클립(2)을 포함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에는 접속 클립(2)이 간격을 두고 서로 차단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마운팅 케이스(3)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의 외주면에는 복수의 방열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방열공(12)은 접속 클립(2)이 구비된 위치의 외주면 상부 및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커넥터 본체(1)의 양측 외면에는 가이드 돌기(11)가 형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전기 접속 커넥터에 접속되는 소켓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켓(4)에는 커넥터 본체(1)에 마련되는 접속 클립(2)이 접속되는 부스바 접속 부재(5)가 구비될 수 있다.
소켓(4)에는 접속 클립(2)이 삽입되어 각 부스바 접속 부재(5)와 접속되도록 하는 개구부(42)가 간격을 두고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소켓(4)의 양측 내면에는 가이드 돌기(11)가 삽입되어 가이드 되도록 하는 가이드홈(4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접속 클립(2)의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접속 클립(2)은 전선(E)과 연결되는 단자부(6), 단자부(6)로부터 연장되는 한쌍의 접속 부재(8), 한쌍의 접속 부재(8)의 외주면에 탄지되는 탄성 부재(7)를 포함할 수 있다.
단자부(6)로부터 연장되는 연결편(6a)은 한쌍의 접속 부재(8) 사이의 연결될 수 있고, 연결시에는 리벳팅을 통해 연결할 수 있다.
연결편(6a)의 적어도 어느 한쪽의 측면에는 스토퍼(61)가 돌출되어 형성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스토퍼(61)는 접속 클립(2)을 커넥터 본체(1)의 마운팅 챔버(13)에 삽입시, 삽입 위치를 제한해줄 수 있고, 그에 따라 적절한 위치에서 정렬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접속 클립(2)을 커넥터 본체(1)에 간격을 두고 동일한 위치에 셋팅 되게 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각 접속 클립(2)의 단자부(6)에는 전선(E)을 연결하기 위한 체결 부재(9)가 결합될 수 있다. 체결 부재(9)는 볼트(9a)와 너트(9b)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자부(6)는 접속 부재(8)의 배치 방향과 직교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접속 부재(8)를 수평 방향으로 커넥터 본체(1)안에 삽입하면, 단자부(6)는 세로 방향으로 배치되고, 그에 따라 체결 부재(9)는 수평 방향으로 단자부(6)에 체결되기 때문에, 작업자는 전선(E) 연결 작업시, 스패너 등과 같은 공구를 측면 방향에서 돌려서 연결 작업을 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접속 부재(8)는 단자부(6)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부(81), 결합부(81)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속부(82), 접속부(82)의 단부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83), 절곡부(83)의 안쪽면에 형성되고 소켓(4)의 부스바 접속 부재(5)와 접촉하는 접점부(84)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쌍의 접속 부재(8)에 형성되는 접점부(84)에는 하나 이상의 접점 돌기(8a)가 형성될 수 있다.
탄성 부재(7)는 접속 부재(8)의 형태대로 형성되어서 대면 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성 부재(7)는 접속 부재(8)의 단자부(6)의 연결편(6a)에 결합되는 제1 탄지부(71), 제1 탄지부(71)로부터 절곡되어 접속부(82)에 대면되는 제2 탄지부(72), 제2 탄지부(72)로부터 절곡되어서 접점부(84)에 대면되는 제3 탄지부(73)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8 또는 도 9를 참조하면, 단자부(6)의 연결편(6a)과 탄성 부재(7)의 제1 탄지부(71) 또는 접속 부재(8)의 결합부(81)와 탄성 부재(7)의 제1 탄지부(71) 및 그 사이의 절곡형 단자부(20)의 연결편(21)은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71a)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부재(7)의 한쪽 끝단부인 제3 탄지부(73)는 절곡된 접점부(84)를 집중적으로 가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3 탄지부(73)의 끝은 접점부(84)에 탄지력을 집중하도록 접점부(84)의 끝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탄성 부재(7)의 제3 탄지부(73)에 의해 접속 부재(8)의 접점부(84)는 소켓(4)의 부스바 접속 부재(5)와 면접촉이 이루어질 수 잇고, 그에 따라 흔들림없이 확실한 접촉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7)의 절곡부 내측각의 정도가 접속 부재(8)의 내측각보다 좁은 각을 유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접속 부재(8)에 외력을 가함으로써 접촉 상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탄성 부재(7)는 접속 부재(8) 도체 금속의 무른 특성으로 부족한 탄성을 보충해주는 역할로서 접속부보다 탄성과 강성이 높은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스바 접속 부재에 결합시 유격이 발생을 예방할 수 있고, 접속 부재(8)의 노화로 인한 변형을 방지하고, 적정 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만일, 접속 부재(8)의 접점부(84)가 선접촉 또는 정확한 접촉 위치로 접촉되지 못하고 편심되게 접촉되는 경우에는, 저항에 의한 열이 많이 발생할 수 있고, 자칫 쇼트 등이 발생할 수 있다.
접속 부재(8)와 탄성 부재(7) 및 단자부(6)는 프레스 공법으로 제작 가능하며, 절곡부 프레스 공정시에 절단과 절곡 공정을 동일 공정에서 처리할 수 있어 접속 클립(2) 조립 생산 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클립(2)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복수의 접속 부재(8)가 형성되고, 복수의 접속 부재(8)의 사이에는 개구부(85)가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커넥터 본체(1)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커넥터 본체(1)에는 접속 클립(2)이 삽입되는 복수의 마운팅 챔버(13)가 형성되고, 상면 및 하면에는 전기적 접속 상태의 접속 부재(8)와 소켓(4)의 부스바 접속 부재(5)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도록 하는 복수의 방열공(12)이 형성될 수 있다.
도 7은 접속 부재(8)의 절곡부(83)의 폭과 탄성 부재(7)의 제3 탄지부(73)의 폭이 동일함을 나타낸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절곡부(83)의 폭을 제1 폭(W1)이이라고 정의하고, 제3 탄지부(73)의 폭을 제2 폭(W2)이라고 정의할 때, 제1 폭(W1)과 제2 폭(W2)이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접점부(84)에 가해지는 압지력이 보다 상승된 힘으로 집중될 수 있다.
만일, 제1 폭(W1)과 제2 폭(W2)을 달리하는 경우, 예를 들어 제1 폭(W1)보다 제2 폭(W2)을 작게 하는 경우에는, 접점부(84)에 가해지는 압지력이 그 만큼 적어질 수 있고, 고르게 압지하지 못하고 편중되어서 점 접촉 상태가 발생할 가능성이 많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의 접속 클립(2)의 사시도로서, 단자부(6)에는 복수의 돌기부(6b)가 형성될 수 있다. 돌기부(6b)는 단자부(6)의 전면 또는 배면중 어느 한쪽면에 형성될 수 있고, 전면 및 배면 모두에 형성될 수 있다.
단자부(6)에는 체결 부재(9)가 결합되는 체결공(6c)이 형성된 구조를 가진다. 도시된 사각형 체결공(6c)은 일 실시 예이며 다른 형태(예를 들어 원형 등)를 가질 수 있다.
돌기부(6b)는 체결 부재(9)를 단자부(6)에 결합시, 전선(E)의 압착 단자(E1)와 함께 결합되고, 이때 체결 부재(9)의 체결력에 의해 전선(E)의 압착 단자(E1)는 돌기부(6b)와 밀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압착 단자(E1)와 돌기부(6b)의 접촉에 의한 단자부(6)와의 접촉 면적이 증대될 수 있다. 단자부(6)와 접촉 면적의 증대로 인해 전기적 접속 상태가 양호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클립(2)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한쌍의 접속 부재(8)의 사이에 결합(예를 들어 리벳팅 결합)되는 단자부(6)는 일자형이 아닌 절곡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나머지 구조는 상기 단자부(6)의 구조와 동일할 수 있다.
절곡형 단자부(20)는 접속 부재(8)의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편(21)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편(21)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연결편(21)으로부터 절곡형 단자부(20)는 90도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형 단자부(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전선(E)의 압착 단자(E1)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20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돌기부(20a)는 단자부(6)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절곡형 단자부(20)에 형성되는 복수의 돌기부(20a)로 인해 평면형 단자부(6)에서 발생할 수 있는 쇼트 예방에 기여할 수 있고, 접촉 면적이 증대됨에 따라 방열 면적을 확보하여 접촉 부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열기를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 절곡형 단자부(20)는 접속 부재(8)의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편(21)이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연결편(21)은 일자형으로 형성되고, 연결편(21)으로부터 절곡형 단자부(20)는 90도 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절곡형 단자부(20)의 전면 및 배면에는 전선(E)의 압착 단자(E1)와의 접촉 면적을 증대시키기 위한 복수의 돌기부(20a)가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고, 이 돌기부(20a)는 단자부(6)에 음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단자부(6)의 돌기부(20a)로 인해서 걸림 역할을 하므로, 체결부재(9)에 의한 체결 상태가 확실하게 유지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체결부재(9)는 도 9에 도시된 바와는 반대로 전면에 너트(9b), 배면에 볼트(9a)를 체결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체결부재(9)의 탈착과 전선(E) 교체 작업시에 전면에서만 작업이 이루어질 때, 작업 공구의 조작시 아무런 간섭이 없이 작업을 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신속하게 체결 또는 분해 작업을 할 수 있다.
접속 부재(8)의 절곡부에는, 각각 간격을 두고 2개의 접점 돌기(8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점 돌기(8a)는 각 접점부(84)의 폭방향에 걸쳐서 간격을 두고 1개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2개가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데,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접점부(84)의 폭방향 전체에 걸쳐서 2개 이상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접점 돌기(8a)는 부스바 접속 부재(5)에 접촉시 접촉 면적이 확대되도록 하는 형상을 가진다. 예를 들어, 접점 돌기(8a)는 완만한 라운드형으로 형성되고, 접점 돌기(8a)의 표면에는 미세 요철부를 형성하여 접촉 면적이 확대되도록 할 수 있다.
부스바 접속 부재(5)에 접속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클립(2)을 구성하는 접속 부재(8)의 절곡부 안쪽면에는 접점 돌기(8a)가 형성되어서 부스바 접촉 부재(5)에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부스바 접속 부재(5)에 접속시, 양쪽 접점부(84)에 돌출, 형성된 접점 돌기(8a)와 모두 접촉될 수 있어, 전체 접촉 면적이 확대될 수 있고, 그에 따라 통전 저항을 줄여서 전기적 접속에 따른 열의 발생을 현저히 감소시킬 수 있다.
접속 클립(2)이 구비되는 마운팅 케이스(3)는 2개로 분할되고,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31)와 제2 케이스(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케이스(31)와 제2 케이스(32)는 대칭형 구조를 가지며, 서로 결합하여 마운팅 케이스(3)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케이스(31)와 제2 케이스(32)에는 각각 제 1 정렬공(31a) 또는 제 2 정렬공(32a)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정렬공(31a) 또는 제 2 정렬공(32a)은 접속 클립(2)의 삽입시, 단자부(6)의 연결편(6a)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61)에 결합되어서 접속 클립(2)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제1 케이스(31)와 제2 케이스(32)에는 각각 제1 걸림턱(31c) 및 제 2 걸림턱(32c)이 형성될 수 있고, 제1 걸림턱(31c)의 하부에는 제1 지지턱(31d), 제2 걸림턱(32c)의 하부에는 제2 지지턱(32d)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걸림턱(31c)과 제2 걸림턱(32c)은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턱(31d)과 제2 지지턱(32d)은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걸림턱(31c)과 제2 걸림턱(32c)에는 탄성 부재(7)의 제1 탄지부(71), 접속 부재(8)의 결합부(81) 및 단자부(6)의 연결편(6a)을 결합하는 체결 부재(71a)가 걸림되고, 제1 지지턱(31d)와 제2 지지턱(31d)에는 탄성 부재(7)의 제1 탄지부(71) 의 단부 및 접속 부재(8)의 결합부(81)의 단부가 안정되게 지지될 수 있다.
접속 클립(2)에서 전기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열의 배출을 위해 마운팅 케이스(3)에는 복수의 방열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케이스(31)와 제2 케이스(32)에는 각각 제1 방열공(31a)와 제2 방열공(32a)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1 방열공(31a)과 제2 방열공(32a)중 일부는 상기 체결 부재 (71a) 위치에 형성될 수 있고, 체결 부재(71a) 부위에서 발생되는 접촉에 따른 열기를 외부로 신속하게 방출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절곡형 단자부(20)의 연결편(6a)을 가지는 접속 클립(2)을 수용하기 위해 커넥터 본체(1) 후면 개구부의 크기는 조절될 수 있고, 접속 클립(2)의 교체를 위해 커넥터 본체(1)의 후면을 개방을 하지 않고 접속 클립(2)과 마운팅 케이스(3)를 교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있어서, 커넥터 본체(1)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구조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2개의 분할된 구조로 조립하여 구성할 수 있다. 분할 구조의 커넥터 본체(1)는 도 9 또는 도 10에 도시된 절곡형 단자부(20)를 접속 클립(2)에 결합한 구조인 경우에 유용할 수 있다.
1... 커넥터 본체 2... 접속 클립
3... 마운팅 케이스 4... 소켓
5... 부스바 접속 부재 6... 단자부
6a... 연결편 6b... 돌기부
6c... 체결공
7... 탄성 부재 8... 접속 부재
8a... 접점 돌기
9.... 체결부재
9a... 볼트 9b... 너트
11...가이드 돌기 12... 방열공
13...마운팅 챔버 20... 절곡형 단자부
20a... 돌기부 21... 연결편
31... 제1 케이스
31a...제1 정렬공 31b...제1 방열공
31c... 제1 걸림턱 31d... 제1 지지턱
32... 제2 케이스
32a... 제2 정렬공 32b... 제2 방열공
32c... 제1 걸림턱 32d... 제1 지지턱
41... 가이드 홈 42... 보호 부재
43... 개구부
61... 스토퍼
71... 제1 탄지부 71a... 체결 부재
72... 제2 탄지부 73... 제3 탄지부
81... 결합부 82... 접속부
83... 절곡부 84... 접점부
85... 개구부
E... 전선 E1... 압착 단자

Claims (9)

  1. 하나 이상의 접속 클립이 삽입되는 커넥터 본체;
    를 포함하고,
    상기 접속 클립은,
    전선이 연결되는 단자부;
    상기 단자부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쌍의 접속 부재;
    상기 한쌍의 접속 부재의 외주면에 탄지되고, 상기 접속 부재의 전기적 접속 상태가 흔들림없이 면접촉이 이루어지게 하는 탄성 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단자부의 양면에는 돌기부가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돌기부는 전선의 압착 단자와 함께 체결 부재를 단자부에 결합시, 체결 부재의 체결력에 의해 전선의 압착 단자는 상기 돌기부와 밀착되며, 상기 압착 단자와 상기 돌기부의 접촉에 의한 접촉 면적의 증가로 인해 전기적 접속 상태가 양호해지고,
    상기 커넥터 본체에는 상기 접속 클립이 간격을 두고 서로 차단된 상태로 삽입될 수 있도록 하는 마운팅 케이스가 하나 이상 마련되고,
    상기 마운팅 케이스는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는 각각 제 1 정렬공 또는 제 2 정렬공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정렬공 또는 제 2 정렬공은 상기 접속 클립의 삽입시, 단자부의 연결편 측면에 돌출되어 형성된 스토퍼에 결합되어서 상기 접속 클립의 삽입 위치가 일정하게 정렬되게 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에는 각각 제1 방열공과 제2 방열공이 복수로 형성되고,
    상기 단자부의 연결편과 상기 탄성 부재의 제1 탄지부 또는 상기 접속 부재의 결합부와 상기 탄성 부재의 제1 탄지부 및 그 사이에 마련되는 단자부의 연결편은 하나 이상의 체결 부재에 의해 결합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제2 케이스에는 각각 제1 걸림턱 및 제 2 걸림턱이 형성되며,
    상기 제1 걸림턱의 하부에는 제1 지지턱, 상기 제2 걸림턱의 하부에는 제2 지지턱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턱와 제2 걸림턱은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턱과 제2 지지턱은 각각 서로 간격을 두고 한쌍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1 걸림턱과 제2 걸림턱에는 탄성 부재의 제1 탄지부, 접속 부재의 결합부 및 단자부의 연결편을 결합하는 체결 부재가 걸림되며,
    상기 제1 지지턱와 제2 지지턱에는 탄성 부재의 제1 탄지부의 단부 및 접속 부재의 결합부의 단부가 지지되고,
    복수의 상기 제1 방열공과 제2 방열공중 일부는 상기 체결 부재 위치에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 부재는 상기 단자부의 일단과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로 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접속부, 상기 접속부의 단부측으로부터 절곡되는 절곡부, 상기 절곡부의 안쪽면에 형성되고 전기적 접촉이 이루어지는 접점부로 구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상기 접속 부재의 형태대로 형성되어서 대면되도록,
    상기 단자부의 연결편에 결합되는 제1 탄지부, 상기 제1 탄지부로부터 절곡되어 접속부에 대면되는 제2 탄지부, 상기 제2 탄지부로부터 절곡되어서 접점부에 대면되는 제3 탄지부로 이루어지는 전기 접속 커넥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상기 접속 부재 사이에 결합되는 연결편으로부터 절곡되어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5. 삭제
  6. 삭제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부의 각각 안쪽면에 각 접점 돌기가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접점 돌기는 각 접점부의 폭방향에 걸쳐서 각각 1개 이상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8.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탄지부의 끝은 상기 접점부에 탄지력을 집중하도록 접점부의 끝보다 짧게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9.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의 절곡부가 형성하는 내측각은,
    상기 접속 부재의 절곡부가 형성하는 내측각보다 좁게 형성되는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0200030946A 2020-03-12 2020-03-12 전기 접속 커넥터 KR1022984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46A KR102298429B1 (ko) 2020-03-12 2020-03-12 전기 접속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0946A KR102298429B1 (ko) 2020-03-12 2020-03-12 전기 접속 커넥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8429B1 true KR102298429B1 (ko) 2021-09-06

Family

ID=777822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0946A KR102298429B1 (ko) 2020-03-12 2020-03-12 전기 접속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84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111A (ko) * 2004-10-14 2004-12-02 박승원 단자 모듈
KR200431199Y1 (ko) * 2006-08-15 2006-11-23 왕기형 튜시와샤 기능과 절곡이 간편한 어스단자
KR20090005948U (ko) * 2007-12-12 2009-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접촉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CN207834733U (zh) * 2017-09-06 2018-09-07 温州隆森电气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壳体、电连接器以及推拉式配电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1111A (ko) * 2004-10-14 2004-12-02 박승원 단자 모듈
KR200431199Y1 (ko) * 2006-08-15 2006-11-23 왕기형 튜시와샤 기능과 절곡이 간편한 어스단자
KR20090005948U (ko) * 2007-12-12 2009-06-17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진공접촉기의 접촉자 어셈블리
CN207834733U (zh) * 2017-09-06 2018-09-07 温州隆森电气有限公司 一种电连接器壳体、电连接器以及推拉式配电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68531B2 (en) Terminal
CN110048066B (zh) 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构造及外部连接汇流条的连接方法
CN105474469A (zh) 用于特别是外部路由总线系统的承插结构的接触元件
KR100759524B1 (ko) 커넥터 및 이를 이용하는 분전반
JP2014523080A (ja) 電気接続端子の締付具
KR101479086B1 (ko) 고전압 퓨즈와 퓨즈홀더의 연결구조
US8414334B2 (en) Holder-mounting structure
KR20200024586A (ko) 전원 커넥터
KR20170079582A (ko) 전원분배장치 및 그 조립방법
CN111211020B (zh) 配电盘的触头组件
JP4879268B2 (ja) バスバー及びコネクタ
KR102298429B1 (ko) 전기 접속 커넥터
US6168479B1 (en) Connection device with an elastic cage
US20100255701A1 (en) Bus bar connector terminal design
US10535960B2 (en) Plug connector module having spring links
CN110176678B (zh) 触点及总线布置系统、电子器件壳体系统和拆除电子器件壳体的方法
KR102246825B1 (ko) 접속클립 및 이를 구비하는 mcc
US8507809B2 (en) Component-equipped-holder mounting structure
KR102105469B1 (ko) 누전 차단기
US1172191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tacked conductive sheet terminals
JPH0883654A (ja) 大電流接続用ターミナルおよび該ターミナルを用いた電気接続箱の接続構造
EP1094569B1 (en) Joint terminal and joint connector including said terminal.
US10218096B2 (en) Short bar, short bar unit, and motor drive device
JP2016119184A (ja) 導電部材及び配線モジュール
JP2000331722A (ja) 分岐導体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