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799B1 -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Google Patents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6799B1 KR102296799B1 KR1020200138624A KR20200138624A KR102296799B1 KR 102296799 B1 KR102296799 B1 KR 102296799B1 KR 1020200138624 A KR1020200138624 A KR 1020200138624A KR 20200138624 A KR20200138624 A KR 20200138624A KR 102296799 B1 KR102296799 B1 KR 10229679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ejector
- exhaust gas
- space
- r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가스 유동관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가스 유동관과 연통된 상태에서 중공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중공 형태의 스페이스링을 포함하는 에어 블로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링은, 몸체의 내측에 에어가 유동되도록 몸체에어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 및 상기 링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어유로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이젝터는 상기 링몸체에서 다수로 장착되는 에어 블로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상기 스페이스링은, 몸체의 내측에 에어가 유동되도록 몸체에어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 및 상기 링몸체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어유로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이젝터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이젝터는 상기 링몸체에서 다수로 장착되는 에어 블로워 유닛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분진이나 비산먼지 등의 파우더가 배출가스 유동관의 내측에 축적되는 것을 방지하여 원활한 배출가스의 유동이 야기될 수 있도록, 가열된 상태의 에어를 강한 유속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에어이젝터와 에어이젝터로부터 분사된 에어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스링을 배출가스의 유동관 사이에 위치시키되, 에어가 분사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스페이스링을 위치시켜, 스페이스링으로 분사된 에어로 배출가스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켜 파우더가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가스 유동을 원활하게 유도할 수 있는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블로워는 외부 기체를 내부로 유입시키도록 송풍되거나 내부 기체를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송풍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에어 블로워는 팬을 회전시켜 송풍시키는 것으로 장기사용 시 모터에 고열이 발생되고, 팬의 블레이드에 파우더 등이 축적되고, 나아가 이러한 축적된 파우더에 의해 스파크 등이 발생되는 안전에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기술인 등록실용신안 제20-0172668호에 개시된 흡, 배기장치는 좌단 곡면으로부터 나팔형 배출공이 형성되고, 중간 외주면에 나사부를 가진 원통형체와 좌단 곡면을 가진 원통형 외체를 결합하여 공압실과 화살표 방향으로 순환기체가 분출되어 이젝팅 현상으로 흡, 배기시키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인 흡, 배기장치는 공압실의 분출구가 순환기체가 공압실로 공급되는 부분보다 흡기관 방향에 위치되어 순환기체 분출방향이 원통형체의 배출공보다 흡기관으로 분출되어 흡기관으로 흡입되는 공기를 오히려 방해하여 배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흡기관을 고정너트를 이용하여 원형통체에 고정시키는데, 순환기체에 의한 압력이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고정이 해제되어 발생되는 공압이 불안정하여 순환량이 불규칙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 흡기관과 고정너트, 원통형체를 용접 등으로 밀폐 및 고정시키고 있으나 운행 중 조건에 따라 압력을 조절하지 못해 손실이 발생될 수 있으며, 해당 조건에 맞는 압력을 발생시키는 다른 흡, 배기장치로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특허출원10-2014-0130639호를 통해 개선된 배출량 조절 가능한 에어 블로워 유닛을 제안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에어 블로워 유닛의 경우에는 공급되는 순환기체에 의해 압력차가 발생되어 유입관을 통해 기체가 유입되어 배출관으로 신속하게 배출되고, 순환기체의 공급량을 조절하여 유입관과 배출관을 통해 송풍량을 조절할 수 있어 호환성은 물론,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발휘된다.
그러나 이러한 본 출원인이 선출원한 에어 블로워 유닛 경우에는 상술한 효과를 발휘하는 반면, 장시간 사용시 배출가스의 유동관의 내측면에 비산먼지나 분진 등 파우더 등이 축적될 수 있고, 이렇게 축적된 파우더 등이 배출관 내측면에 고착될 우려가 있으며, 여전히 관으로 관통되는 배출가스에 포함된 스케일 유발성분으로 인하여 배출가스 관 내측면에 발생될 수 있는 스케일 생성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특히, 화력발전소의 경우, 일반 배출가스와 달리 많은 양의 비산먼지나 분진을 포함하고 있어, 배출가스가 일정 이상의 유속으로 유동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배출가스 유동관의 내측면에 비산먼지나 분진 등의 파우더가 축적되고, 이로 인하여 배출가스의 유속이 현저히 떨어지면서 파우더의 축적이 증가되는 악순환이 발생되고, 최종적으로 배출가스 유동관이 막히게 됨에 따라 이를 청소하거나 재설치하는 등 처리하는 비용이나 시간이 많이 소모되는데, 종래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방안을 제안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배출가스 유동관 사이에 설치되어 배출가스 유동관의 내측에 파우더 등이 축적되지 않도록 배출가스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키고, 이에 따라 배출가스 유동관으로 배출가스의 원활한 유동을 야기시킬 수 있는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을 제안하고자 한다.
상술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은,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가스 유동관(10)과 연통된 상태에서 중공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중공 형태의 스페이스링(200,200')을 포함하는 에어 블로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링(200,200')은, 몸체의 내측에 에어가 유동되도록 몸체에어유로(232-2,233-2)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230); 및 상기 링몸체(23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이젝터(210)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상기 링몸체(230)에 다수로 장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에어가 유입되는 이젝터에어유입구(212); 상기 이젝터에어유입구(212)에 연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 및 상기 이젝터에어룸(214)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입된 에어가 유출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와 다른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갈수록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각각에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의 높이와 다른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의 높이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상기 링몸체(2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가열된 상태의 에어를 강한 유속으로 분사시킬 수 있는 에어이젝터와 에어이젝터로부터 분사된 에어의 유속을 증가시킬 수 있는 에어유로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를 포함하는 스페이스링을 배출가스의 유동관 사이에 위치시키되, 에어가 분사되는 방향이 서로 다른 2개 이상의 스페이스링을 위치시킴으로써, 배출가스 유동관의 내측에 파우더가 축적되지 않은 상태에서 배출가스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어서 배출가스 유동관으로 배출가스의 원활한 유동을 야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이 유동관에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에어의 공급과 유동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9는 전후진 이동 가능한 2개의 스페이스링이 장착된 상태의 에어 블로워 유닛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 포함된 스페이스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서 스페이스링에 포함된 에어이젝터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서 커버가 분리된 상태에서 에어의 공급과 유동에 필요한 구성요소가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면이다.
도 6 내지 9는 전후진 이동 가능한 2개의 스페이스링이 장착된 상태의 에어 블로워 유닛에 대한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내지 18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 포함된 스페이스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에서 스페이스링에 포함된 에어이젝터의 전체적인 형상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성을 위해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 내지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에어를 스페이스링(200,200')에 공급하고 스페이스링(200)의 전후진 이동에 필요한 구성요소(100), 스페이스링(200,200'), 스페이스링결합부(400) 및 관고정부(5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에어가 외부로부터 스페이스링(200,200')까지 공급되는데 필요한 구성요소(100)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 사이에 위치되어, 배출가스 유동관(10)으로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유속과 배출가스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킨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에는 1개 이상의 스페이스링(200,200')이 장착될 수 있다. 도면 상에는 2개의 스페이스링(200,200')이 장착된 일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스페이스링(200,200') 각각에 에어 공급을 위한 구성요소(100)도 각각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에어 공급을 위한 구성요소(100)는 스페이스링(200,200')의 외측면과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의 커버 사이에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외부로부터 에어공급홀(110)로 에어가 유입되며, 유입된 에어는 에어유동관을 통해 유동되어 제1차에어가열부(120)로 유입된다. 스페이스링(200,200')에 유입되는 에어의 유속이 증가되도록 제1차에어가열부(120)에서 에어가 일정 이상의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제1차에어가열부(120)는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상태에서 그 내측에 라디에이터와 같은 가열수단이 구비된 상태에서, 에어가 일정한 공간으로 유동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제1차에어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에어가 퍼지제어부(130)로 유동될 수 있다. 피토관(미도시)은 스페이스링(200,200')의 중공의 내측으로 유동되는 배출가스의 풍압, 풍량, 풍속 및 온도 등을 센싱하는데, 이러한 피토관(미도시)의 외측면에 축적된 파우더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피토관(미도시)에 형성된 분사구(미도시)로의 에어의 공급과 스페이스링(200,200')으로의 에어의 공급이 이러한 퍼지제어부(120)에서 제어될 수 있다.
퍼지제어부(130)에서 유출된 에어가 매니폴더(140)로 유입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이 원형 형태인바, 이러한 스페이스링(200,200')의 외측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에어가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퍼지제어부(130)에 유동된 에어가 이러한 매니폴더(140)로 거치면서 각각의 에어유동관으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매니폴더(140)에서 유출된 에어는 제2차에어가열부(150)로 유동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 공급되는 에어의 온도는 다양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80 내지 100℃일 수 있다. 따라서, 제1차에어가열부(120)에서 가열된 상태의 에어일지라도 바람직한 온도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 이러한 제2차에어가열부(15)을 거치면서 가열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차에어가열부(150)는 스페이스링(200,200')의 외측면에 다수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스페이스링(200,200')에 에어가 공급되는 각각의 부분에 각각 장착될 수 있으며, 일정한 부분으로 구획된 상태에서 한 구획당 하나의 제2차에어가열부(150)가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2차에어가열부(150)에서 가열된 에어가 에어분배관(160)으로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링(200,200')의 외측면을 따라 에어가 공급되는 부분이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일 수 있으며, 이러한 다수의 부분에 연통된 에어유동관(170)이 분리된 상태로 다수일 수 있다.
이러한 다수의 에어유동관(170)은 어느 하나의 에어분배관(160)에 연통된 상태에서, 에어분배관(160)으로 유동된 에어가 이러한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되어 스페이스링(200,200') 각각으로 에어가 공급된다. 구체적으로,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된 가열된 에어가 에어이젝터(210)의 이젝터에어유입구(212)로 유입된다.
제1차에어가열부(120) 및 제2차에어가열부(150)에서의 가열, 퍼지제어부(130)에서의 에어 공급은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피토관(미도시)에서 센싱된 배출가스의 상태에 대한 센싱값이 이러한 제어부(180)에 입력되고, 이러한 배출가스의 상태에 따라 제어부(180)에서 에어 가열 및 에어 공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스페이스링(200,200')이 장착된 부분에 파우더 등이 축적되는데, 이러한 상태에서 스페이스링(200,200')의 기능이 감소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링(200,200')이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스링(200,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작동에 따라 에어가 분사되는 부분 등에 파우더 등이 축적될 수 있는데, 이러한 파우더 등의 축적을 제거하기 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링(200,200')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부분 또는 스페이스링(200,200') 전체가 전진 또는 후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링(200,200')의 전진 또는 후진 이동은 일측에 장착된 모터부(19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모터부(190)의 작동 또한 제어부(18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도 7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유동관(10) 사이에 위치되어, 유동관(10)과 연통된 상태에서 중공의 내측으로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중공 형태의 스페이스링(200,200')을 포함한다.
이러한 스페이스링(200,200')은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이러한 2개 이상의 스페이스링(200,200')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페이스링(200,200')은 제1스페이스링(200) 및 제1스페이스링(200)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위치되는 제2스페이스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로 가열된 에어가 분사되고, 분사된 에어가 일정한 면으로 형성된 내측에어가이드면(233-6)과 홈 형태의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으로 유동되고, 이후 스페이스링(200,200')의 중공의 내측으로 유동되는 배출가스와 합류된다. 스페이스링(200,200')에서 분사된 에어가 배출가스와 합류됨에 따라 배출가스의 유속을 더욱 증가시키며, 나아가 배출가스의 유동에 와류가 형성되도록 한다. 배출가스의 증가된 유속과 증가된 와류의 강도로 인하여 유동관(100) 내측에서의 파우더 축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링(200,200')이 2개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2개일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이 2개인 경우, 스페이스링(200,20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방향을 달리할 필요가 있다. 배출가스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켜 배출가스 유동관(10) 내측에서의 파우더 축적을 최소화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제1스페이스링(200)의 위치와 제2스페이스링(200')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될 수 있지만, 각각의 스페이스링(200,200')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의 위치는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구체적으로, 제1스페이스링(200)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의 위치와 제2스페이스링(200')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의 위치는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지 않아, 제1스페이스링(200)과 제2스페이스링(20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분사 방향은 서로 다를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는 에어분배관(160)에서 에어유동관(170)을 통하여 공급되는 에어가 유입되는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된 에어가 스페이스링(200,200')에 장착된 다수의 에어이젝터(210)로 유입되고, 다시 에어이젝터(210)에서 증가된 유속의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되되,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 및 방향 등을 다르게 하기 위하여 제1스페이스링(200)에 장착되는 에어이젝터(210))의 개수와 제2스페이스링(200')에 장착되는 에어이젝터(210)의 개수가 다르도록 장착될 수 있다.
나아가,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링(200,200')이 고정된 상태에서 장시간 작동에 따라 에어가 분사되는 부분 등에 파우더 등이 축적될 수 있는데, 이러한 축적된 파우더를 제거하기 스페이스링(200,200')을 전후진 이동시킬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스페이스링(200,200')의 링몸체(230)의 일측이 삽입된 상태에서 배출가스 유동관(10)에 연통되고, 링몸체(230)의 중공의 내측으로 유동되는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몸체가이드연통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스페이스링(200,200')의 링몸체(230) 일측이 몸체가이드연통관(300)에 삽입된 상태에서, 링몸체(230)의 일측이 몸체가이드연통관(300)의 내측에서 전후진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스페이스링(200,200')의 일측에는 스페이스링결합부(400)가 결합될 수 있고. 스페이스링결합부(400)에 연결된 관고정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스페이스링(200')의 전후진 이동에 따른 제1스페이스링(200)의 전후진 이동을 위해, 제1스페이스링(200)과 제2스페이스링(200')이 스페이스링연결부(45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스페이스링연결부(450)의 일단이 제1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결합부(400)에 결합되고, 스페이스링연결부(450)의 타단이 제2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결합부(400)에 결합됨에 따라, 제2스페이스링(200')의 전후진 이동에 따라 제1스페이스링(200)도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이 전후진 이동됨에 따라, 스페이스링(200,200')의 에어이젝터(210)에 연결되는 에어유동관(170)도 전후진 이동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에어유동관(170)이 연장되는 일정 부분에는 리니어가이드(175)가 위치되고, 이러한 리니어가이드(175)의 내측에 에어유동관(170)이 위치된 상태에서, 스페이스링(200,200')이 전후진 이동됨에 따라 에어유동관(170)이 이동되되, 에어유동관(170)을 통하여 유동되는 에어의 누출없이 에어유동관(170)이 전후진 이동될 수 있다.
제2스페이스링(200')의 전후진 이동은 제2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링결합부(400)에 결합된 모터부(190)의 작동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부(190)의 동력전달은 제2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링결합부(400)에 결합된 동력전달판(195)을 거쳐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은 스페이스링결합부(400)와 관고정부(500) 사이에 위치되는 충격완화댐퍼(4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페이스링결합부(400)는 스페이스링(200,200')과 결합된 상태에서 모터부(190)의 작동에 의해 전후진 이동될 수 있으나, 관고정부(500)는 배출가스 유동관(10)이나 몸체가이드연통관(300)이 연결된 상태로 스페이스링결합부(400)의 전후진 이동에 불구하고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스페이스링결합부(400)의 후진 이동으로 고정된 상태의 관고정부(500)에 가해질 수 있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페이스링결합부(400)의 둘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충격완화댐퍼(43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충격완화댐퍼(430)가 스페이스링결합부(400)에 장착된 상태에서, 충격완화댐퍼(430)의 일단이 관고정부(500)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방향을 기준으로,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에 관고정부(500)가 연결되고, 관고정부(500)에 제2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링결합부(400)가 연결된다. 제2스페이스링(200')에 몸체가이드연통부(300) 일측이 연결되고, 이후 몸체가이드연통부(300)의 타측에 다시 관고정부(500)가 연결된다. 이후, 관고정부(500)에 제1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링결합부(400)가 연결되고, 제1스페이스링(200)에 몸체가이드연통부(300)가 연결되고, 최종적으로 몸체가이드연통부(300)에 배출가스가 유출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이 연결된다.
배출가스가 유입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과 이에 연결된 관고정부(500)으로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서 내측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벤츄리관 형성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스페이스링(200')에 연결된 몸체가이드연통부(300)와 제1스페이스링(200)의 스페이스링결합부(400)에 연결된 관고정부(500)으로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서 내측의 직경이 작아지면서 다시 벤츄리관을 형성할 수 있다. 나아가, 제1스페이스링(200)에 연결된 몸체가이드연통부(300)와 배출가스가 배출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으로 형성된 중공의 내측에도 마찬가지로 벤츄리관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0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스페이스링(200,20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링(200,200')은 제1스페이스링(200) 및 제2스페이스링(200')을 포함한다. 제1스페이스링(200)과 제2스페이스링(200')은 몇몇 소정의 구성요소의 차이점 이외의 구성요소는 동일하다.
스페이스링(200,200')은 에어이젝터(210) 및 링몸체(230)를 포함하며, 에어이젝터(210)가 결합되는 링몸체(230)의 타측이 상술한 몸체가이드연통관(300)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여 에어이젝터(210)를 설명한다.
가열된 에어가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되어 에어이젝터(210)의 이젝터에어유입구(212)로 유입된다. 링몸체(230)의 몸체의 내측에 에어가 유동되도록 몸체에어유로(232-2,233-2)가 형성되어 있는데, 에어이젝터(210)는 이러한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한다. 에어이젝터(210)가 링몸체(230)의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된 상태에서 링몸체(230)에 밀착된다.
에어이젝터(210)는, 에어가 유입되는 이젝터에어유입구(212), 이러한 이젝터에어유입구(212)에 연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 이러한 이젝터에어룸(214)에 연통된 상태에서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입된 에어가 유출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 이젝터에어룸(214)과 이에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을 연통시키는 이젝터에어유로(216)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된 에어가 이젝터에어유입구(212)로 유입되고,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동된다.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동된 에어는 이젝터에어유로(216)로 통하여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로 유출된다.
이젝터에어룸(214)의 위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에서, 에어가 이젝터에어룸(214)에서 이젝터에어유출홀(218-1)로 가속되어 유출될 수 있다. 즉, 이젝터에어룸(214)이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보다 높게 위치된 상태에서 이젝터에어유로(216)가 아래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형성됨에 따라, 에어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다.
에어유동관(170)으로 유동된 에어가 이젝터에어유입구(212)를 통하여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동된 이후,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동된 에어가 이젝터에어유입구(212)로 역류됨을 차단하기 위하여, 이젝터에어유입구(212)에는 에어 역류방지용 댐퍼(미도시)가 장착될 수 있다.
이젝터에어룸(214)에서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로 에어가 유동되는 과정 중, 에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젝터에어유로(216)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나아가, 에어이젝터(210)로 유입되어 유출되는 에어의 유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이젝터에어룸(214)은 하나의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젝터에어룸(214)에 서로 분리된 다수의 이젝터에어유로(216)가 연통될 수 있다. 즉, 하나의 이젝터에어룸(214)에 다수의 이젝터에어유로(216)가 연통되어, 에어가 분산되어 이젝터에어유로(216)로 유동될 수 있다. 분산되어 유동되는 에어는 아래 방향으로 갈수록 에어 유로의 단면적이 좁아지는 이젝터에어유로(216)로 유동되면서 더욱더 가속될 수 있다.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은 이러한 다수의 이젝터에어유로(216) 각각에 대응되도록 서로 분리된 상태로 다수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이젝터(210)는 링몸체(230)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로 장착될 수 있다. 즉, 중공 형태의 링몸체(230) 일측의 둘레를 따라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되되,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에어이젝터(210)는 링몸체(230)의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된 상태에서 링몸체(230)에 밀착될 수 있다. 에어이젝터(210)가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되되 탈부착되도록 장착될 수 있는 바,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되는 에어이젝터(21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다.
에어의 유속, 방향 및 와류의 발생 등을 고려하여 하나의 몸체지지대(238)에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될 수 있는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일정한 간격을 두고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되는 경우, 에어이젝터(210)와 에어이젝터(210) 사이의 간격을 메꾸기 위해 간격유지대(210-1)가 장착될 수 있다.
간격유지대(210-1)가 탈착된 상태에서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될 수 있거나 또는 에어이젝터(210)가 탈착된 상태에서 간격유지대(210-1)가 장착될 수 있는 바, 배출가스의 유속, 방향 및 온도 등을 고려하여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되는 에어이젝터(210)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하나의 몸체지지대(238)와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및 다수의 간격유지대(210-1)로 배출가스의 상태에 맞게 에어이젝터(210)의 개수를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배출가스에 합류되는 에어의 압력, 와류의 강도나 유속 등을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어 블로워 유닛(1000)에 포함된 스페이스링(200,200')이 2개일 경우, 제1스페이스링(200)에 장착된 에어이젝터(210)의 개수와 제2스페이스링(200')에 장착된 에어이젝터(210)의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동일한 크기의 몸체지지대(238)의 제1스페이스링(200)과 제2스페이스링(200') 각각에 서로 다른 개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됨에 따라, 장착된 에어이젝터(210)의 위치가 서로 대응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즉, 제1스페이스링(200)의 위치와 제2스페이스링(200')의 위치는 전체적으로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될 수 있지만, 각각의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된 에어이젝터(210)의 위치는 동일 수평선 상에 위치되지 않을 필요가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 장착된 다수의 에어이젝터(21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을 달리할 수 있다. 즉, 링몸체(230)에 장착된 다수의 에어이젝터(210)에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와 다른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를 수 있다.
나아가,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을 달리하되, 한 방향으로 갈수록 유속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킴으로써 와류의 강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서로 밀착된 상태에서, 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 상태에서,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갈수록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각각에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증가되거나 줄어들 수 있다.
따라서, 스페이스링(200,20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이 스페이스링(200,200') 부분별로 다를 수 있고, 스페이스링(200,200')에 분사되는 에어가 배출가스와 합류됨에 따라 배출가스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고, 나아가 부분별로 서로 다른 에어의 유속으로 형성된 와류로 인하여 배출가스의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몸체(230)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232-2) 및 하부몸체에어유로(23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는 서로 분리된 상태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이젝터(210)에서 분사된 에어가 링몸체(230)의 상술한 상부몸체에어유로(232-2) 또는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로 유동될 수 있다.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가 형성된 링몸체(230)에 밀착되는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이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상부몸체에어유로(232-2)로 유동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의 위치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로 유동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의 위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부몸체에어유로(232-2)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보다 위에 위치된 상태에서, 어느 한 에어이젝터(210)에서 상부몸체에어유로(232-2)로 유동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의 높이가, 다른 한 에어이젝터(210)에서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로 유동되는 에어를 분사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보다 높을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는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되되, 이러한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이 형성된 에어이젝터(210)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이 형성된 2종류의 에어이젝터(210)가 스페이스링(200,200')의 둘레를 따라 번갈아 가면서 장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스페이스링(200,200')은 제1스페이스링(200) 및 제2스페이스링(2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스페이스링(200) 및 제2스페이스링(200') 모두에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이 형성된 에어이젝터(210)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이 형성된 2종류의 에어이젝터(210)가 번갈아 가면서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제1스페이스링(200) 및 제2스페이스링(210) 중 어느 하나에만 2개 종류의 에어이젝터(210)가 번갈아 가면서 장착될 수 있고, 다른 하나는 2개의 종류 중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210)만이 장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스페이스링(200)과 제2스페이스링(20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과 방향, 와류의 강도를 달리하여 배출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면서 배출가스의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링몸체(230)에는 다수의 몸체에어유로(232-2,233-2)가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에어이젝터(210)에서 분사된 에어가 이러한 다수의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되고,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된 에어가 링몸체(230)의 타측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3235-8)로 유동되어 분사된다.
링몸체(230)는 몸체지지대(238) 및 다수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을 포함한다. 몸체지지대(238)에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되고, 다수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이 적층되어 장착되면서 다수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 사이에 몸체에어유로(232-2,233-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이젝터(210)가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된 상태에서, 다수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의 일단에 밀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에어이젝터(210)에서 공급된 에어가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에 형성된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은 스페이스링(200,200')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위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 및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의 위에 밀착되어 위치되는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에어유로(232-2,233-2)는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과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 사이에 형성된 하부몸체에어유로(233-2) 및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과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 사이에 형성된 상부몸체에어유로(232-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과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이 밀착됨에 따라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 및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이 밀착된 상태의 일단에는 하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2-1)가 형성될 수 있으며,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과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이 밀착됨에 따라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과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이 밀착된 상태의 일단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1-1)가 형성될 수 잇다.
에어이젝터(210)의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 중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이 상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1-1)에 밀착된 상태에서 에어가 유동되고,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이 하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2-1)에 밀착된 상태에서 에어가 유동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와 상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1-1) 및 하부몸체에어유로(233-2) 와 하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2-1)가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이 구비된 에어이젝터(210) 및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이 구비된 에어이젝터(210)가 제1스페이스링(200)에 번갈아 가면서 장착될 수 있다. 제2스페이스링(200')도 제1스페이스링(200)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는, 제2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와 하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232-1)만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1)이 구비된 에어이젝터(210)만이 제2스페이스링(200')에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제2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미도시) 와 상부몸체에어유로유입구(미도시)만이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상부몸체에어유로(미도시)에 대응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미도시)이 구비된 에어이젝터(210)만이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에어유로(232-2,233-2)는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사선 방향으로 갈수록 유로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에어이젝터(210)가 장착된 링몸체(230)의 일측에서 타측으로 사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일측에서 타측으로 갈수록 유로 공간의 단면적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스페이스링(200,200')에서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함이다.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된 에어가 최정적으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로 유동되면서 분사되는데,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 또한 몸체에어유로(232,233-2)의 사선 방향과 동일한 사선 방향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에어의 유속과 에어의 와류의 강도를 증대시키기 위함이다.
링몸체(230)는,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의 일측이 몸체지지대(238)에 장착된 상태에서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의 타측에 밀착되는 에어가이드판(234,235,236),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의 타측에서 에어가이드판(234,235,236)이 밀착되는 부분에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에어가이드판(234,235,236)은 수평 방향의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에 수직 방향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된 에어가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즉, 단면적이 좁아지는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된 에어가 몸체에어유로(232-2,233-2)의 일단에 연통된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으로 유동될 수 있다.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유동된 에어가 후술할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로 유동됨과 동시에 여분의 에어가 이러한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으로 유동될 수 있다.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을 따라 유동된 에어 또한 후술할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로 유동될 수 있다.
이러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은 에어가이드판(234,235,236)에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에어유로형성판(231,232,233)에서 에어가이드판(234,235,236)이 장착되는 부분에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이 형성됨에 따라,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을 따라 유동되는 에어가 에어가이드판(234,235,236)에 형성된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로 유동되어 분사될 수 있다.
다수의 에어가이드판(234,235,236)은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에 밀착되는 내측에어가이드판(234),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 및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에 밀착되는 커버에어가이드판(236), 내측에어가이드판(234) 및 커버에어가이드판(236)에 밀착된 중간에어가이드판(235)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몸체에어분사홀(234-8,235-8)은 내측에어가이드판(234)에 형성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 및 중간에어가이드판(235)에 형성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에어가이드홈(232-4,233-4)은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 및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의 외측면 둘레를 따라 형성된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232-4)을 포함할 수 있다.
상부몸체에어유로(232-2)로 유동된 에어가 곧바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로 유동되어 분사되거나,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232-4)을 따라 유동되면서 중간에어가이드판(235)에 형성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로 유동되어 분사될 수 있다.
하부몸체에어유로(233-2)로 유동된 에어가 곧바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로 유동되어 분사되거나,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을 따라 유동되면서 내측에어가이드판(234)에 형성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로 유동되어 분사될 수 있다.
내측에어가이드판(234)의 외측면에는 내측에어가이드홈(234-6)이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내측에어가이드판(234)에 커버에어가이드판(236)이 결합됨에 따라, 이러한 내측에어가이드홈(234-6)이 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중간에어가이판(235)이 내측에어가이드판(234) 및 커버에어가이드판(236)에 결합됨에 따라, 중간에어가이판(235)에 형성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과 이러한 내측에어가이드홈(234-6)이 연통되어, 결국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232-4)으로 유동되는 에어가 내측에어가이드홈(234-6)으로 유동되고, 이에 연통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로 유동되어 분사될 수 있다.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으로 유동되는 에어가 곧바로 내측에어가이드판(234)에 형성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로 유동되어 분사될 수 있다.
결국,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에 연통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로 에어가 유동되고, 하부몸체에어유로(233-2)에 연통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로 에어가 유동된다. 즉, 상부몸체에어유로(232-2)와 하부몸체에어유로(233-2)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과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 또한 분리된 상태에서 각각 에어가 분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러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과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이 동일한 수평선 상에 위치되지 않고 동시에,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이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보다 더 전진된 상태에서 에어가 분사되는 바,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배출가스와 합류됨에 따라 배출가스의 유속을 증가시키고 배출가스의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분사되는 에어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과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의 위치이 변경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232-2),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232-4) 및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 그리고 하부몸체에어유로(233-2),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 및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1-8)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스페이스링(200')도 제1스페이스링(200)과 마찬가지일 수 있다.
또는, 제2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상부몸체에어유로(232-2),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232-4) 및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몸체에어유로(233-2),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 및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만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스페이스링(200')의 링몸체(230)에는, 하부몸체에어유로(233-2), 하부둘레에어가이드홈(233-4) 및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1-8)이 형성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몸체에어유로(미도시), 상부둘레에어가이드홈(미도시) 및 상부몸체에어분사홀(미도시)만이 형성될 수 있다.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은 중간에어유로형성판(232) 및 커버에어유로형성판(231)보다 더 전진된 상태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중공의 내측으로 배출가스가 유동될 수 있다.
내측에어가이드판(234) 및 중간에어가이드판(235)이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외측면에 장착된 상태에서,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말단이 더 전진되어 연장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에어가이드판(234)에 형성된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 및 중간에어가이드판(235)에 형성된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의 위치보다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말단이 더 전진된 상태로 연장되어 위치될 수 있다.
서로 분리되고 서로 다른 위치의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 및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에서 에어가 분사되면, 분사된 에어는 이러한 내측에어유로형성판(233)의 말단 부분인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을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을 따라 유동된 에어가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을 벗어나면서 몸체가이드연통관(300)의 내측으로 유동되면서 유동되는 배출가스와 합류된다. 즉, 내측에어가이드면(233-6)과 몸체가이드연통관(300) 사이의 간극으로 에어가 유동되면서 몸체가이드연통관(300)의 내측으로 유동된다.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의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은 에어의 유속과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형태라면 어느 형태라도 가능하나, 바람직하게는 V자형 홈일 수 있다.
하부몸체에어분사홀(234-8) 및 상부몸체에어분사홀(235-8)에서 분사된 에어가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으로 가이드되면서 유동되지만, 분사된 에어가 평평한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으로 유동되는 경우의 유속과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으로 유동되는 경우의 유속이 다를 수 있다.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으로 유동되는 에서의 유속이 더 증가된 상태로 유동된다.
따라서, 내측에어가이드면(233-6)과 내측에어가이드홈(233-8)으로 유동되는 에어의 유속이 다른 바, 내측에어가이드면(233-6)에서 몸체가이드연통관(300)의 내측으로 유입되는 부분별 에어의 유속이 달라지고, 따라서 배출가스와의 합류에 인하여 배출가스의 와류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명세서에는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배출가스 유동관
110: 에어공급홀 120: 제1차에어가열부 130: 퍼지제어부
140: 매니폴더 150: 제2차에어가열부 160: 에어분배관
170: 에어유동관 175: 리니어가이드
180: 제어부 190: 모터부 195: 동력전달판
200: 제1스페이스링 200': 제2스페이스링
210: 에어이젝터
212: 이젝터에어유입구 214: 이젝터에어룸 216: 이젝터에어유로
218: 이젝터에어유출홀
230:
231: 커버에어유로형성판 232: 중간에어유로형성판
33: 내측에어유로형성판 234: 내측에어가이드판
235: 중간에어가이드판 236: 커버에어가이드판
238: 몸체지지대
300: 몸체가이드연통부
400: 스페이스링결합부 450: 스페이스링연결부 500: 관고정부
1000: 에어 블로워 유닛
110: 에어공급홀 120: 제1차에어가열부 130: 퍼지제어부
140: 매니폴더 150: 제2차에어가열부 160: 에어분배관
170: 에어유동관 175: 리니어가이드
180: 제어부 190: 모터부 195: 동력전달판
200: 제1스페이스링 200': 제2스페이스링
210: 에어이젝터
212: 이젝터에어유입구 214: 이젝터에어룸 216: 이젝터에어유로
218: 이젝터에어유출홀
230:
231: 커버에어유로형성판 232: 중간에어유로형성판
33: 내측에어유로형성판 234: 내측에어가이드판
235: 중간에어가이드판 236: 커버에어가이드판
238: 몸체지지대
300: 몸체가이드연통부
400: 스페이스링결합부 450: 스페이스링연결부 500: 관고정부
1000: 에어 블로워 유닛
Claims (5)
-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배출가스 유동관(10)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배출가스 유동관(10)과 연통된 상태에서 중공의 내측으로 상기 배출가스가 유동되는 중공 형태의 스페이스링(200,200')을 포함하는 에어 블로워 유닛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스링(200,200')은,
몸체의 내측에 에어가 유동되도록 몸체에어유로(232-2,233-2)가 형성되어 있는 링몸체(230); 및
상기 링몸체(230)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몸체에어유로(232-2,233-2)로 에어가 유동되도록 에어를 공급하는 에어이젝터(210)를 포함하며,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상기 링몸체(230)에 다수로 장착되며,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에어가 유입되는 이젝터에어유입구(212);
상기 이젝터에어유입구(212)에 연통된 상태에서 내측에 일정한 공간으로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 및
상기 이젝터에어룸(214)에 연통된 상태에서 상기 이젝터에어룸(214)으로 유입된 에어가 유출되는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을 포함하는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와 다른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서로 다른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가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링몸체(230)의 둘레를 따라갈수록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각각에 형성된 이젝터에어룸(214)의 공간의 크기가 증가하거나 줄어드는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에어이젝터(210) 중에서 어느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의 높이와 다른 하나의 에어이젝터의 이젝터에어유출홀(218,218-1)의 높이가 서로 다른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이젝터(210)는 상기 링몸체(230)에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624A KR102296799B1 (ko) | 2020-10-23 | 2020-10-23 |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00138624A KR102296799B1 (ko) | 2020-10-23 | 2020-10-23 |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296799B1 true KR102296799B1 (ko) | 2021-09-02 |
Family
ID=777941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00138624A KR102296799B1 (ko) | 2020-10-23 | 2020-10-23 |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296799B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2354B1 (ko) * | 2007-12-27 | 2008-04-16 | 유기철 |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
-
2020
- 2020-10-23 KR KR1020200138624A patent/KR10229679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22354B1 (ko) * | 2007-12-27 | 2008-04-16 | 유기철 | 배관내 녹이나 스케일 등 이물질 제거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31052B2 (ja) | 液中燃焼溶融炉及びそのバーナー | |
JP2016003853A (ja) | ガスタービンの燃焼器の燃焼室から排ガスを再循環する方法及び前記方法を行うためのガスタービン | |
RU2014133525A (ru) | Горел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работы горел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 |
KR102296799B1 (ko) | 다수의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
TW201819820A (zh) | 提升導流效果之熱風槍 | |
KR102327909B1 (ko) | 다수의 에어 분사용 스페이스링을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
EP2843308A1 (en) | Combustion device for improving turndown ratio | |
KR102269537B1 (ko) | 에어이젝터를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
KR102263523B1 (ko) | 에어 분사용 스페이스링을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
KR102281261B1 (ko) | 에어 유속을 증가시키는 스페이스링을 구비한 배출가스용 에어 블로워 유닛 | |
CN110848686B (zh) | 利用小火孔和锥形管状火孔输出浓淡预混气体燃烧器 | |
CN101468365B (zh) | 导风装置和采用该导风装置的工件冷却装置 | |
EP1924425B1 (en) | Reticulation system for composite component production | |
KR20140070298A (ko) | 가스 볼트 히팅 장치 | |
KR101792124B1 (ko) | 용해로 | |
JP5689128B2 (ja) | ガラス溶解炉用の燃焼装置及びガラス溶解炉 | |
KR20220075486A (ko) | 가스보일러용 벤츄리장치 | |
CN212298988U (zh) | 一种火力较均匀的燃气炉头 | |
CN210434328U (zh) | 一种微纳米气泡发生装置 | |
CN101175624A (zh) | 注射芯的冷却系统 | |
CN219083078U (zh) | 一种燃烧器的引射组件、引射系统及燃气灶具 | |
WO2022246637A1 (zh) | 散热装置和散热系统 | |
JPS621535Y2 (ko) | ||
JP4459112B2 (ja) | バーナ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媒体加熱装置 | |
KR940015358A (ko) | 파이프열교환식 가열로의 연소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