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533B1 -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533B1
KR102296533B1 KR1020200033660A KR20200033660A KR102296533B1 KR 102296533 B1 KR102296533 B1 KR 102296533B1 KR 1020200033660 A KR1020200033660 A KR 1020200033660A KR 20200033660 A KR20200033660 A KR 20200033660A KR 102296533 B1 KR102296533 B1 KR 1022965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tergent composition
weight
calcium carbonate
minutes
precipitated calc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6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정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제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제약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제약
Priority to KR10202000336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5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5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5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2Natural or synthetic polysaccharides, e.g. cellulose, starch, gum, alginic acid or cyclodextrin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1/00Detergent compositions based essentially on surface-active compounds; Use of these compounds as a detergent
    • C11D1/88Ampholytes; Electroneutral compounds
    • C11D1/90Betaines
    • C11D11/0023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08Silic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02Inorganic compounds ; Elemental compounds
    • C11D3/04Water-soluble compounds
    • C11D3/10Carbonates ; Bi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18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003Alcohols; Phenols
    • C11D3/2065Polyhydric alcohol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20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11D3/22Carbohydrates or derivatives thereof
    • C11D3/221Mono, di- or trisaccharides or derivative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16Organic compounds
    • C11D3/38Products with no well-defined composition, e.g. natural produ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3/00Other compounding ingredients of detergent compositions covered in group C11D1/00
    • C11D3/43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DDETERGENT COMPOSITIONS; USE OF SINGLE SUBSTANCES AS DETERGENTS; SOAP OR SOAP-MAKING; RESIN SOAPS; RECOVERY OF GLYCEROL
    • C11D2111/00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objects to be cleaned; Clean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non-standard cleaning or washing processes
    • C11D2111/10Objects to be cleaned
    • C11D2111/14Hard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terg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침강탄산칼슘, 함수규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의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의 함수규산, 0.1 내지 1 중량%의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40 내지 50 중량%의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Detergent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 for Oral cleaning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
본 발명은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침강탄산칼슘, 함수규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및 라우릴프로필베타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채, 과일, 식기 등의 표면에 묻은 오염 물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주방용 세정제에 대한 종래 기술은 오염 물질에 대한 우수한 세척력을 보장하는 대신 인체에 대한 유해성의 문제에서는 자유롭지 못한 것이 거래 실정이었기에, 당업계에서는 우수한 세척력과 더불어 인체에 안전하고 무해한 주방용 세정제에 대한 필요성이 계속적으로 야기되고 있다.
살균력 및 세정력이 우수한 종래 합성 세정제의 경우 약 50여종의 박테리아 등을 살균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강한 자극성 휘발 성분 및 세정 후 미세하게 잔류한 성분 등이 인체의 건강을 위협하는 요소로 작용할 수 있고, 나아가 직접적으로 이러한 환경에 노출되는 경우 사용자의 피부에 자극이 가해지고 장시간 노출되는 경우에는 피부가 손상될 염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노력하던 중, 우수한 세정력, 탈취력 및 항균력을 보유하면서 동시에 인체에 무해한 구강 세정용 조성물의 성질에 착안하여 이를 이용한 주방용 세정제 조성물을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우수한 세정력을 구비함과 동시에 인체에 무해하고 안전한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구강 세정제용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우수한 탈취력을 구비한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구강 세정제용 천연물질을 이용하여 우수한 항균력을 구비한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상세히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침강탄산칼슘, 함수규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의 침강탄산칼슘, 1 내지 30 중량%의 함수규산, 0.01 내지 3 중량%의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20 내지 60 중량%의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의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의 함수규산, 0.1 내지 1 중량%의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40 내지 50 중량%의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10 중량% 이하의 미네랄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네랄수,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사카린을 혼합하고 30∼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혼합물에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함수규산 10 내지 15 중량%,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0.1 내지 1 중량%를 투입한 후 30∼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혼합물에 에탄올, 참숯, 비타민C 및 알로에 엑기스를 투입한 후 30∼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 혼합물에 라우릴프로필베타인 40 내지 50 중량% 및 적송유 0.04 내지 3 중량%를 투입한 후 10분간 용해 교반하는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조성물은 우수한 기포력 및 세정력을 가진 주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조성물은 우수한 탈취력 및 항균력을 가진 주방 세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도 1은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본 발명 세제 조성물의 탈취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30분, 60분, 90분 120분까지,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른 잔류 암모니아 가스 농도를 ppm으로 표시하고 있다.
도 2는 암모니아를 사용하여 시간 경과에 따른 본 발명 세제 조성물의 탈취력 시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로서, 30분, 60분, 90분 120분까지, 각각의 시간 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가스 탈취율 변화를 표시하고 있다.
도 3은 대장균 배양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조성물을 투입한 직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시간 경과에 따른 본 발명 세제 조성물의 항균력에 대한 시험 결과를 보여주는 사진으로서, 대장균 배양 용기에 본 발명에 따른 세제 조성물을 투입하고 24시간이 경과한 후의 상태를 나타낸 사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세제 조성물은, 적정 수준의 알칼리성 수산화기를 생성하는 침강탄산칼슘과 함수규산을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세제 조성물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침강탄산칼슘, 함수규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침강탄산칼슘은 미세 입자에 대한 연마력을 가지고 있는 물질로서, 오염 물질을 흡착하는 성질이 있다. 또한 물과 반응하는 경우, 알카리성 수산화기를 발생시킴으로서 강력한 세척 효과를 발현하며, 탄산수소칼슘 및 이산화탄소를 형성하여 약간의 살균력을 가지는 특성이 나타난다.
함수규산은 물과 반응하는 경우 점증 효과를 나타내고 오염 물질에 대한 흡착력을 발휘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 또한 미세입자에 대한 연마력을 가지고 있어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특성을 가지는 침강탄산칼슘과 함수 규산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한 세제 조성물로서, 침강탄산칼슘과 함수 규산 중 하나의 성분을 생략하거나, 유사 특성의 연마제를 혼합한 경우 알카리성 수산화기의 부재 또는 연마력의 감소, 연마제의 잔존 등에 의하여 세정력 및 헹굼력이 감소는 특성이 나타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성분으로서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할 수 있는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은 식품첨가물인 천연 점증제로서 물에 쉽게 용해되며, 중금속에 쉽게 흡착하여 오염 물질인 중금속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습윤제로서 피부를 보호하고, 물과 기름을 혼합시키는 점착제로 세척력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성성분으로서 라우릴프로필베타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라우릴프로필베타인은 코코넛에서 추출한 천연 물질로서, 생분해성이 높은 친환경적인 물질이며, 자극성이 매우 낮은 양쪽성 계면활성제이다.
본 발명에 용제로 첨가되는 미네랄수는 다공성 원료로부터 무기질(칼슘, 마그네슘 등)을 용해시켜 제조한 것으로 무기질에 의해 피부장벽을 강화시켜 피부를 보호한다. 상기 다공성 원료는 옥, 게르마늄, 맥반석, 황토 분말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첨가되는 다른 용제로는 소르비톨,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고, 보습제로서는 비타민C, 알로에 엑기스, 적송유, 또는 도꼬마리추출물을 사용하여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특히 도꼬마리 추출물은 항균, 함염, 살균 효과가 있어 세정제 조성물의 살균력을 높인다. 풍미제로서는 사카린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내지 30 중량%의 침강탄산칼슘, 1 내지 30 중량%의 함수규산, 0.01 내지 3 중량%의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20 내지 60 중량%의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잔량의 미네랄수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의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의 함수규산, 0.1 내지 1 중량%의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40 내지 50 중량%의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10 중량% 이하의 미네랄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인 침강탄산 칼슘, 함수규산 함량이 각각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세척력이 감소하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성이 높아져 일반적인 펌프 용기의 사용이 어려워 적용성이 낮아진다.
본 발명의 구성 성분 중 하나인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점성이 낮아지고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점성이 크게 높아져 세제 조성물의 제형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라우릴프로필베타인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기포력이 지표세제 보다 낮아지고, 5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기포력이 증가한는 반면 거품의 잔존으로 인하여 헹굼력이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폴리에틸렌글리콜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 중량% 미만인 경우 입자에 의해 거칠은 사용감이 나타나며, 3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사용 후 미끌거리는 잔존감이 남는 문제가 발생된다.
미네랄 수의 경우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인 경우 조성물의 용해 상태가 나빠지고 점성이 높아지며,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경우 점성이 묽어져 제형적인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주방 세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미네랄수,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사카린을 혼합하고 30 ∼ 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1단계;상기 1단계 혼합물에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함수규산 10 내지 15 중량%,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0.1 내지 1 중량%를 투입한 후 30 ∼ 40 ℃에서 30분간 용해 교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혼합물에 에탄올, 참숯, 비타민 C, 알로에 엑기스를 투입한 후 30 ∼ 40 ℃에서 10분간 용해 교반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 혼합물에 라우릴프로필베타인 40 내지 50 중량% 및 적송유 0.04 내지 3 중량%를 투입한 후 10분간 용해 교반하는 4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포함한다.
상술한 바의 조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주방 세제 조성물의 제조는 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면 어느 것이든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균질한 액체 또는 젤형의 세제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적합한 교반을 사용하는 통상의 방법으로 필수 임의의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3]

효과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비교예1 비교예 2 비교예 3
연마 및
흡착

침강탄산칼슘
13.90 27.28 - -

함수규산
13.38 - 27.28 -

맥반석 분말
-  - - 27.28

참숯
0.93 0.93 0.93 0.93
계면활성제
라우릴프로필베타인
44.42 44.42 44.42 44.42
결합제
(점착제)

폴리에틸렌글리콜
1.75 1.75 1.75 1.75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0.58 0.58 0.58 0.58
용제
미네랄수
14.06 14.06 14.06 14.06

에탄올
2.96 2.96 2.96 2.96

소르비톨
5.92 5.92 5.92 5.92
기타 첨가제
도꼬마리추출물
0.10 0.10 0.10 0.10

비타민 C
0.10 0.10 0.10 0.10

적송유
0.10 0.10 0.10 0.10

알로에엑기스
1.55 1.55 1.55 1.55

사카린
0.25 0.25 0.25 0.25

합계
100.00 100.00 100.00 100.00
기포력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3의 세제 조성물에 대한 기포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와 같이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기포력

보통

보통

보통

보통

<기포력 평가기준>
매우 높음: 지표세제 대비 1.5배 이상; 높음: 지표세제 대비 1.3배 이상
보통: 지표세제 사용 후 부피; 낮음: 지표세제 대비 1.2배 미만
(지표세제는 KS-M-2716 주방용 합성세제)
기포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의 세제 조성물 원액을 0.1 중량%의 농도로 희석하고, 이 용액을 100 ㎖의 실린더에 각각 넣고 50회 흔들어 생성된 거품량의 높이를 기준으로 각 실린더의 부피 수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기포력 측정 결과 지표세제와 비교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 3의 경우 모두 동일하게 지표세제와 유사한 정도의 보통 수준의 기포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세척력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3의 세제 조성물에 대한 세척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세척력

매우 높음

낮음

낮음

낮음

<세척력 평가기준>
매우 높음: 완전하게 세정된 유리시편 5개; 높음: 완전하게 세정된 유리시편 4개
보통: 완전하게 세정된 유리시편 3개; 낮음: 완전하게 세정된 유리시편 2개 이하
세척력 실험에 사용된 오염의 조성은 대두유와 우지(대한약전)의 각 10g, 염료인 오일레드 0.1g을 혼합하여 제조하였으며, 실험하는 동안에는 40℃ 정도의 물중탕을 이용하여 액상 상태로 유지시킨다.
5개의 유리시편을 오염물에 약 1분간 담구어 균일하게 입힌 후 교반기에 매달아 상기 조성물의 농도를 0.04 중량%로 한 용액에 100rpm으로 3분간 세정하여 완전하게 세정된 유리 시편 개수로 세척력을 평가하였다.
세척력 측정 결과 연마 및 흡착 유효 성분인 침강탄산칼슘과 함수규산이 혼합되어 있는 실시예 1의 경우 매우 높은 세척력이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침강탄산칼슘 또는 함수규산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맥반석 분말을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1, 2, 3의 경우 세척력이 낮게 나타났다.
침강탄산칼슘만 사용한 경우 물에 녹아 미세입자에 의해 나타나는 연마력이 감소하여 세척력이 낮게 나타나며, 함수 규산 또는 맥반석을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 탄산칼슘과 물의 반응에 의한 알칼리성 수산기의 발생(CaCO3 + H2O → Ca(OH)2 + CO2)이 없기 때문에 세정력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력의 경우 연마 및 흡착 유효 성분의 종류에 따라 세척력이 증감하며, 침강탄산칼슘과 함수규산이 혼합된 조성의 경우 세척력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헹굼성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3의 세제 조성물에 대한 헹굼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구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헹굼성

매우 높음

매우 높음

낮음
(점성 생긴 함수규산 잔존)

낮음
(맥반석분말 잔존)

<헹굼성 평가기준>
매우 높음: 사용된 물의 양 0.7배 이하; 높음: 사용된 물의 양 0.8배 이하
보통: 사용된 물의 양을 기준으로 함; 낮음: 사용된 물의 양 1.2배 이상
헹굼력 측정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 ∼3의 세제 조성물을 각각 3g씩 취하여 스폰지에 묻힌 후 동일한 5개의 식기를 세척하여 거품이 나지 않을 때까지 물로 헹구어 물의 사용량을 측정하여 상대적인 비교를 하였다.
헹굼성 측정 결과 침강탄산칼슘과 함수규산이 혼합되어 있는 실시예 1 및 침강탄산칼슘만이 포함된 비교예 1의 경우 헹굼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비교예 2 및 비교예 3의 경우 원료 또는 거품 잔존에 의해 헹굼력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탈취성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세제 조성물에 대하여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원에 의뢰하여 탈취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시료를 넣은 용기와 시료를 넣지 않은 용기의 내부에 암모니아 가스를 주입하여 탈취율(%)을 비교 검사하였다.

탈취력 시험 결과
시험항목 경과시간
(분)
Blank
(ppm)
실시예 1
(ppm)
탈취율
(%)
탈취시험 초기 500 500 -
30 480 50 90
60 470 35 93
90 460 30 93
120 450 25 94

1) Blank :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시험기관: 한국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
3) 시험방법: KFIA-FI-1004
4) 시험가스명 : 암모니아
5) 가스농도측정 : 가스검지관
[도 1]
Figure 112020028961440-pat00001
[도 2]
Figure 112020028961440-pat00002
실험 결과는 표 4의 탈취율(%) 시험 결과와 도 1 및 도 2의 시간 경과에 따른 가스농도 곡선 및 탈취율 변화 그래프로 표시하였다.
상기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30분마다 가스 검지관을 사용하여 가스 농도를 측정하였더니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첨가한 시료가 투입된 용기는 최초 30분 후 탈취율이 90%로 나타났고 60분에서는 탈취율이 93%, 120분에서는 94%로 나타나 점차적으로 탈취율(%)이 높아지면서 약 2시간이 지난 후에는 암모니아 가스 대부분이 흡착 제거되어 탈취효율이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하여 시료가 주입되지 않은 용기(Blank)는 가스 검지관으로 시료를 채취함에 따라 자연적으로 소멸되는 가스 양을 제외하고는 탈취율(%)이 변화되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항균력에 대한 평가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본 발명의 세제 조성물에 관하여 한국원적외선응용평가연구원에 의뢰하여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용기 내부에 배양한 대장균과 본 발명에 의하여 제조된 시료를 함께 투입하고, 다른 용기(Blsnk)에는 대장균만 투입하여 24시간 후 대조시료와 시험시료의 급수를 비교하여 대장균의 감소를 측정하였다.

구분

초기농도(CFU/㎖)
(CFU/㎖)

24시간 후의 농도
(CFU/㎖)

정균 감소율(%)

Blank

1.7 × 105

6.4 × 105

_

실시예 1

1.7 × 105

〈 1.0 × 103

99.9

1) Blank: 시료를 넣지 않은 상태에서 측정한 것임.
2) 배지상의 균수는 희석배수를 곱하여 산출한 것임
[도 3] [도 4]
Figure 112020028961440-pat00003
Figure 112020028961440-pat00004
상기 표 5, 도 3 및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장균 배양 용기에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함께 투여한 결과 24시간 경과 후에는 99.9%의 대장균이 모두 사멸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8)

  1. 침강 탄산칼슘, 함수규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라우릴프로필베타인 및 미네랄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로서,
    상기 침강 탄산칼슘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함수규산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내지 15 중량%이고,
    상기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1 중량%이고,
    상기 상기 라우릴프로필베타인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40 내지 50 중량%이고,
    상기 미네랄수는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10 중량%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세제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1 내지 3 중량%의 참숯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도꼬마리 추출물, 알로에엑기스, 적송유 및 비타민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7. 미네랄수, 소르비톨,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사카린을 혼합하고 30 ∼ 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1단계;
    상기 1단계 혼합물에 침강탄산칼슘 10 내지 15 중량%, 함수규산 10 내지 15 중량%, 메틸카르복시셀룰로오스나트륨 0.1 내지 1 중량%를 투입한 후 30 ∼ 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2단계;
    상기 2단계 혼합물에 에탄올, 참숯, 비타민 C 및 알로에 엑기스를 투입한 후 30 ∼ 40 ℃에서 15분간 용해 교반하는 3단계; 및
    상기 3단계 혼합물에 라우릴프로필베타인 40 내지 50 중량% 및 적송유 0.04 내지 3 중량%를 투입한 후 10분간 용해 교반하는 4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제조방법.
  8. 제7항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KR1020200033660A 2020-03-19 2020-03-19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2965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60A KR102296533B1 (ko) 2020-03-19 2020-03-19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660A KR102296533B1 (ko) 2020-03-19 2020-03-19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6533B1 true KR102296533B1 (ko) 2021-08-31

Family

ID=774893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660A KR102296533B1 (ko) 2020-03-19 2020-03-19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53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53A (ko) * 1995-06-30 1997-01-24 오가와 슈우헤이 다이어프램 밸브
KR20030095534A (ko) * 2002-06-12 2003-12-24 김병만 야채 및 과일 세정용 분말세제 조성물
US6685918B1 (en) * 1999-11-26 2004-02-03 Alcan International Limited Oral cleansing product
KR20160011328A (ko) * 2014-07-21 2016-02-01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주방용 천연 세제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102019443B1 (ko) * 2019-06-27 2019-09-06 박진옥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02053A (ko) * 1995-06-30 1997-01-24 오가와 슈우헤이 다이어프램 밸브
US6685918B1 (en) * 1999-11-26 2004-02-03 Alcan International Limited Oral cleansing product
KR20030095534A (ko) * 2002-06-12 2003-12-24 김병만 야채 및 과일 세정용 분말세제 조성물
KR20160011328A (ko) * 2014-07-21 2016-02-01 원유용 양구방산백토 추출 화이트이온미네랄(sy2220)과 화이트이온미네랄 증류수(sy2216)를 이용한 주방용 천연 세제 제조방법과 그 조성물
KR102019443B1 (ko) * 2019-06-27 2019-09-06 박진옥 친환경 복합 혼합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9589B1 (ko) 표면 세척용 혼합물 및 표면 세척 방법
JP5947121B2 (ja) ノンガスフォーマー容器入り液体洗浄剤
KR101660304B1 (ko) 시금치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방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1547679A (zh) 含有银颗粒的液体型牙膏组合物及使用该组合物的泡沫型牙膏
JP2014005230A (ja) 液体洗浄剤組成物
JP2012509271A (ja) 歯科器具クレンザー
DE69926859T2 (de) Gebissreinigungsmittel
JP2017171625A (ja) 洗浄剤組成物
CN114621831A (zh) 一种水溶性清洗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296533B1 (ko) 구강 세정용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방 세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975896B1 (ko) 커피 부산물을 포함하는 천연 세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6336334B2 (ja) 液体洗浄剤組成物
KR101221115B1 (ko) 표백 · 소취 기능이 우수한 2 태블릿형 주방용 세제 조성물
JP5483852B2 (ja) 浴室用洗浄剤組成物およびこれを利用する浴室用洗浄剤
KR101425023B1 (ko) 오미자 오일을 함유하는 계면활성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세정 조성물
JP2006225266A (ja) 角栓除去用組成物
JP6611675B2 (ja) 皮膚用化粧料
JP2013155132A (ja) 固形石鹸
JP2021183591A (ja) 液状皮膚洗浄用組成物
KR102607031B1 (ko) 벤잘코늄 염화물의 원단 흡착률이 개선된 소독제용 조성물 및 소독티슈
CN105919819A (zh) 一种基于多离子水的婴儿护臀护理湿巾
KR101733105B1 (ko) 고경도 투명 폼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JP6375860B2 (ja) ゲル状洗浄料
KR101425024B1 (ko) 기포력·세척력·소취력이 우수한 저온 용해성 태블릿-타입 세제 조성물
KR101234060B1 (ko) 염화세틸피리디늄과 오렌지 추출물이 함유된 주방 세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