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256B1 -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 Google Patents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256B1
KR102296256B1 KR1020190133537A KR20190133537A KR102296256B1 KR 102296256 B1 KR102296256 B1 KR 102296256B1 KR 1020190133537 A KR1020190133537 A KR 1020190133537A KR 20190133537 A KR20190133537 A KR 20190133537A KR 102296256 B1 KR102296256 B1 KR 1022962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men
micro
cutting block
film
press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35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9342A (ko
Inventor
정상원
Original Assignee
정상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상원 filed Critical 정상원
Priority to KR10201901335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256B1/ko
Publication of KR202100493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93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2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2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286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involving mechanical work, e.g. chopping, disintegrating, compacting, homogen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02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 G01N1/04Devices for withdrawing samples in the solid state, e.g. by cut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는, 중앙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나이프선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나이프선단부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구간의 단부에 프탈레이트 필름의 미소시편을 샘플링하도록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이 형성되는 커팅블록; 상기 커팅블록의 내부에 수용되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미소시편을 외부로 가압 및 배출하는 가압배출부; 및 상기 커팅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샘플링 시 상기 커팅블록에 임시 로킹된 상기 가압배출부를 로킹해제시키는 언로킹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는,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에어유동그루브를 통해 에어 유동이 원활해져 샘플러로부터 가압배출부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고 언로킹버튼부의 동작으로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CONSTANT SAMPLER FOR SPECIMEN OF PHTHALATE FILM}
본 발명은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 관한 것이다.
프탈레이트류는 프탈산염이라고도 하며, 사용처는 매우 다양하며 거의 모든 제품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을 정도이다.
프탈레이트류는 주로 플라스틱의 가소제로 사용되며 특히 폴리염화비닐(PVC)을 연화시키고 가공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활용되기 시작한 바 있으며, 제품군으로는 전기전자제품, 의약품, 페인트, 안료, 윤활제, 바인더, 계면활성제 등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용도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프탈레이트류는 환경에 대한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오염인자로 확인된 바 있고 근래 들어 인간의 내분비계 장애, 호르몬 교란 문제를 초래할 수 있는 환경호르몬 추정물질로 알려지면서 사용 규제가 엄격해지고 있는 추세이다.
프탈레이트류가 응용되는 대표적인 제품군으로 편광 필름, 점착 필름, 포장지 등의 대면적화된 필름이 있다. 따라서 이러한 필름에 프탈레이트류 중 법에 고시되어 있는 프탈레이트 6종의 유해성분인지, 또는 유해성분의 포함 비중은 어느 정도인지, 어떤 화학구조로 결합되어 있는지 등이 필수적으로 파악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인 샘플 재단기의 경우 필름 소재를 샘플링하기에 적합하지 않고 시편을 임의 추출하고 반복되는 샘플링 과정에서 장치의 내구성이 저하됨에 따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정량 추출이 되지 않아 정밀한 성분 분석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정량 샘플링된다 하더라도 커팅된 미소시편이 재단기 내부에 박혀있어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곤란하고 분석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에어유동그루브를 통해 에어 유동이 원활해져 샘플러로부터 가압배출부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고 언로킹버튼부의 동작으로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를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는, 중앙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나이프선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나이프선단부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구간의 단부에 프탈레이트 필름의 미소시편을 샘플링하도록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이 형성되는 커팅블록; 상기 커팅블록의 내부에 수용되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미소시편을 외부로 가압 및 배출하는 가압배출부; 및 상기 커팅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샘플링 시 상기 커팅블록에 임시 로킹된 상기 가압배출부를 로킹해제시키는 언로킹버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팅블록 내부에는 상기 가압배출부의 외부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배출부는, 상기 이탈저지단턱에 접촉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마련되며, 언샘플링 시 부분적으로 상기 커팅블록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플랜지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배출부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에는 탄성바이어스되는 볼록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커팅블록에는 상기 볼록돌기에 대응되는 오목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샘플링 시 상기 가압배출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볼록돌기가 상기 오목돌기에 걸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언로킹버튼부와 사선 접촉되는 제1 사선푸시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언로킹버튼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 상에 노출 배치되는 푸시버튼; 일단이 푸시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사선푸시면부와 접촉되는 제2 사선푸시면부가 마련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푸시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압부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마련되되 상기 제1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유동그루브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의 선단면에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가압면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팅에지면은 0.8 ~ 1.2 사이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커팅에지면의 선단부가 형성하는 내경은 1.5 ~ 2.5 파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는,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에어유동그루브를 통해 에어 유동이 원활해져 샘플러로부터 가압배출부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고 언로킹버튼부의 동작으로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서 커팅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커팅에지면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서 가압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서 커팅블록의 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서 커팅에지면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에서 가압배출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는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나이프선단부(101)가 마련되며, 상기 나이프선단부(101)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구간(110)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구간(110)의 단부에 프탈레이트 필름의 미소시편을 샘플링하도록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120)이 형성되는 커팅블록(100); 상기 커팅블록(100)의 내부에 수용되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미소시편을 외부로 가압 및 배출하는 가압배출부(200); 및 상기 커팅블록(100)에 연결되는 연결부재(400)에 마련되어 샘플링 시 상기 커팅블록(100)에 임시 로킹된 상기 가압배출부(200)를 로킹해제시키는 언로킹버튼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커팅블록(100)은 상기 테이퍼구간(110)의 단부에 프탈레이트 필름의 미소시편을 샘플링하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상기 커팅블록(100)은 도 1 내지 도 4를 주로 참조하면, 중앙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나이프선단부(101)가 마련되며, 상기 나이프선단부(101)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구간(110)이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테이퍼구간(110)의 끝단에는 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팅에지면(120)이 마련될 수 있다.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120)은 필름의 판면에 수직하게 접근하여 미소시편을 샘플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의 상기 커팅에지면(120)은 0.8 ~ 1.2 사이의 곡률(R)을 가지며, 바람직하게는 1R의 곡률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커팅에지면(120)의 선단부가 형성하는 내경은 1.5 ~ 2.5 파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팅블록(100) 내부에는 길이방향으로 관통공(160)이 형성되고 관통공(160)으로 가압배출부(200)가 관통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커팅블록(100)의 중앙에는 상기 가압배출부(200)의 외부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단턱(13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탈저지단턱(130)에는 플랜지(220)가 접촉되어 가압배출부(200)의 커팅블록(100)의 왼편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커팅블록(100)의 내벽에는 오목돌기(140)가 마련될 수 있다. 오목돌기(140)는 가압배출부(200)에 마련되는 볼록돌기(221)와 상호작용하여 가압배출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임시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커팅블록(100)의 오른편으로는 연결부재(400)가 결합될 수 있으며, 결합을 위한 결합나사산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커팅블록(100)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10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가압배출부(200)는 주로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탈저지단턱(130)에 접촉하는 플랜지(220); 상기 플랜지(220)의 일측에 마련되며, 언샘플링 시 부분적으로 상기 커팅블록(100)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제1 가압부재(230); 및 상기 플랜지(220)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230)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240); 및 상기 플랜지(220)와 상기 연결부재(400)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250)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랜지(220)는 이탈저지단턱(130)에 걸려 왼편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플랜지(220)의 외면에는 탄성바이어스되는 볼록돌기(221)가 마련되며, 볼록돌기(221)에는 탄성부재(222)가 삽입될 수 있다. 볼록돌기(221)는 상기 커팅블록(100)의 오목돌기(140)와 상호작용으로 가압배출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임시 제한할 수 있다.
플랜지(220)의 왼편으로는 제1 가압부재(230)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230)는 디폴트 상태에서는 부분적으로 상기 커팅블록(100)의 바깥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이프선단부(101) 특히 커팅에지면(120)의 노출을 차단하여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230)에는 도 1 및 도 6을 주로 참조하면,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마련되되 상기 제1 가압부재(230)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유동그루브(231)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유동그루브(231)의 단면 형상은 주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반구형 형상으로 마련됨이 바람직하며, 이밖에 슬릿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에어유동그루브(231)는 커팅블록(100)에 대한 가압배출부(200)의 슬라이딩 이동을 보조하며 원활한 좌우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1 가압부재(230)의 선단면에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가압면부(232)이 마련될 수 있다. 수직가압면부(232)는 제1 가압부재(230)의 길이방향에 대해 대략 90도 각도로 수직되게 마련되며, 모따기 가공 등이 삭제되어 있다. 이러한 수직가압면부(232)를 통해 필름의 미소시편이 샘플링 된 후 외부 배출 시 미소시편의 배출이 용이하게 될 수 있다.
플랜지(220)를 기준으로 오른편에는 제2 가압부재(240)가 마련되며, 상기 탄성스프링(250)은 상기 제2 가압부재(240)의 외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가압부재(240)의 선단부에는 상기 언로킹버튼부(300)와 사선 접촉되는 제1 사선푸시면부(241)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커팅된 미소시편이 재단기 내부에 박혀있어 용이하게 배출시키기 곤란하고 분석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언로킹버튼부(300)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언로킹버튼부(300)는 주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400)의 외면 상에 노출 배치되는 푸시버튼(310); 일단이 푸시버튼(310)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사선푸시면부(241)와 접촉되는 제2 사선푸시면부가 마련되는 푸시부재(320); 및 상기 푸시부재(320)와 연결부재(400) 사이에 개재되는 푸시스프링(330)을 포함할 수 있다.
미소시편의 샘플링 시 오른편으로 슬라이딩 이동된 가압배출부(200)로 인해, 푸시버튼(310)이 활성화되고 푸시버튼(310)을 푸시하여 가압배출부(200)를 왼편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어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커팅블록(100)은 연결부재(400)에 연결되고, 연결부재(400)에는 손잡이부가 연결될 수 있다. 손잡이부(500)는 연결부재(400)를 부분적으로 감싸도록 마련되는 세로손잡이부재(510)와, 세로손잡이부재(510)에 가로방향으로 배치 및 결합되는 가로손잡이부재(5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은 결합볼트(530)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중간에 와셔(531)가 개재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120)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10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으며 에어유동그루브(231)를 통해 에어 유동이 원활해져 샘플러로부터 가압배출부(200)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고 언로킹버튼부(300)의 동작으로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동작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실시예에 따른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의 동작과정을 도 1 내지 도 7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은 디폴트 상태에서는 가압배출부(200) 특히 제1 가압부재(230)의 선단부인 수직가압면부(232)가 커팅블록(100)의 나이프선단부(101), 커팅에지면(120)보다 상대적으로 바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안전사고 발생 가능성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다음으로, 프탈레이트 필름의 판면에 샘플링 작업이 수행될 수 있다. 샘플러를 판면에 수직하게 배치시킨 후 손잡이부 특히 가로손잡이부를 하방으로 가압하게 되면, 탄성스프링(250)에 탄성바이어스된 가압배출부(200)가 커팅블록(100)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이때, 커팅에지면(120)이 노출되면서 필름의 판면을 커팅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의 커팅에지면(120)은 대략 1R로 마련되며, 커팅에지면(120)의 곡률은 필름의 재질이나 외부 환경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변경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커팅에지면(120)을 통한 나이프선단부(101)를 통해, 프탈레이트 필름의 정량의 미소시편이 샘플링될 수 있다.
다음, 내부로 밀려들어간 가압배출부(200)는 주로 도 7을 참조하면, 볼록돌기(221)가 오목돌기(140)에 형상맞춤되면서 임시적으로 슬라이딩 이동(좌우 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팅된 미소시편은 커팅블록(100) 특히 나이프선단부(101)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선택적으로 미소시편을 배출시킬 수 있다. 작업자는 푸시버튼(310)을 누르게 되면, 푸시부재(320)가 하방 가압되면서 제2 사선푸시면부와 상호작용되어 제1 사선푸시면부(241)가 왼편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고, 이와 동시에 가압배출부(200)가 커팅블록(100)의 왼편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나이프선단부(101) 내부에 수용된 미소시편은 제1 가압부재(230)의 수직가압면부(232)에 의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으며, 제1 가압부재(230)에 형성된 에어유동그루브(231)가 에어 유동이 가능하여, 가압배출부(200)의 왼편 슬라이딩 이동이 원활하게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단계 구성을 통해, 정량 샘플링과 나이프선단부(101)의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어 종래 대비 필름의 성분 분석이 정밀하게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에어유동그루브(231)를 통해 에어 유동이 원활해져 샘플러로부터 가압배출부(200)의 슬라이딩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언로킹버튼부(300)의 동작으로 미소시편이 선택적으로 배출될 수 있어 성분분석 작업 전반에 걸쳐 시편의 관리가 편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커팅블록 101 : 나이프선단부
110 : 테이퍼구간 120 : 커팅에지면
130 : 이탈저지단턱 140 : 오목돌기
200 : 가압배출부 220 : 플랜지
221 : 볼록돌기 222 : 탄성부재
230 : 제1 가압부재 231 : 에어유동그루브
232 : 수직가압면부 240 : 제2 가압부재
241 : 제1 사선푸시면부 250 : 탄성스프링
300 : 언로킹버튼부 310 : 푸시버튼
320 : 푸시부재 321 : 제2 사선푸시면부
330 : 푸시스프링 400 : 연결부재
500 : 손잡이부 510 : 가로손잡이부재
520 : 세로손잡이부재 530 : 결합볼트
531 : 와셔

Claims (10)

  1. 중앙부에서 일단부 측으로 나이프선단부가 마련되며, 상기 나이프선단부에는 선단으로 갈수록 외경이 줄어드는 테이퍼구간이 마련되고 상기 테이퍼구간의 단부에 프탈레이트 필름의 미소시편을 샘플링하도록 미리 설정된 곡률의 커팅에지면이 형성되는 커팅블록;
    상기 커팅블록의 내부에 수용되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게 마련되어 상기 미소시편을 외부로 가압 및 배출하는 가압배출부; 및
    상기 커팅블록에 연결되는 연결부재에 마련되어 샘플링 시 상기 커팅블록에 임시 로킹된 상기 가압배출부를 로킹해제시키는 언로킹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커팅블록 내부에는 상기 가압배출부의 외부 이탈을 저지하는 이탈저지단턱이 형성되며,
    상기 가압배출부는,
    상기 이탈저지단턱에 접촉하는 플랜지;
    상기 플랜지의 일측에 마련되며, 언샘플링 시 부분적으로 상기 커팅블록의 바깥으로 노출되는 제1 가압부재; 및
    상기 플랜지에서 상기 제1 가압부재의 반대측으로 연장되는 제2 가압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배출부는, 상기 플랜지와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스프링을 더 포함하며,
    상기 탄성스프링은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외면에 배치되며,
    상기 플랜지에는 탄성바이어스되는 볼록돌기가 마련되며,
    상기 커팅블록에는 상기 볼록돌기에 대응되는 오목돌기가 마련되며,
    미소시편 샘플링 시 상기 가압배출부가 슬라이딩 이동되어 상기 볼록돌기가 상기 오목돌기에 임시적으로 걸림 결합되며,
    상기 제1 가압부재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규칙적인 간격마다 마련되되 상기 제1 가압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에어유동그루브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압부재의 선단부에는 상기 언로킹버튼부와 사선 접촉되는 제1 사선푸시면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언로킹버튼부는,
    상기 연결부재의 외면 상에 노출 배치되는 푸시버튼; 및
    일단이 푸시버튼과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제1 사선푸시면부와 접촉되는 제2 사선푸시면부가 마련되는 푸시부재; 및
    상기 푸시부재와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는 푸시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제1 가압부재의 선단면에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수직가압면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팅에지면은 0.8 ~ 1.2 사이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커팅에지면의 선단부가 형성하는 내경은 1.5 ~ 2.5 파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KR1020190133537A 2019-10-25 2019-10-25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KR1022962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37A KR102296256B1 (ko) 2019-10-25 2019-10-25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3537A KR102296256B1 (ko) 2019-10-25 2019-10-25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42A KR20210049342A (ko) 2021-05-06
KR102296256B1 true KR102296256B1 (ko) 2021-08-30

Family

ID=75916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3537A KR102296256B1 (ko) 2019-10-25 2019-10-25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256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17561B1 (en) 2000-10-16 2003-02-11 Robert E. Phillips Motorized specimen cutter
JP2003517600A (ja) 1999-12-17 2003-05-27 ビオ−ラド・パストゥール 生物学的試料を得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2007171117A (ja) 2005-12-26 2007-07-0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シートサンプリング検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2011007561A (ja) * 2009-06-24 2011-01-13 Toyota T & S Kensetsu Kk シーリング材のサンプリング器具
KR101321051B1 (ko) 2012-05-03 2013-10-23 한국기계연구원 복수의 마이크로 커팅 에지를 갖는 생검용 바늘 및 그 내부 캐뉼라 제조 방법
US20150224669A1 (en) 2012-08-31 2015-08-13 Ge Healthcare Uk Limited Cutting Tools for Sample Preparation
JP2016032633A (ja) * 2014-07-30 2016-03-10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交換可能なコア生検針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1881B1 (ko) * 2010-12-06 2013-06-05 주식회사 포스코 시편 샘플링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17600A (ja) 1999-12-17 2003-05-27 ビオ−ラド・パストゥール 生物学的試料を得るための装置及び方法
US6517561B1 (en) 2000-10-16 2003-02-11 Robert E. Phillips Motorized specimen cutter
JP2007171117A (ja) 2005-12-26 2007-07-05 Sumitomo Rubber Ind Ltd ゴムシートサンプリング検査方法及びそれに用いる装置
JP2011007561A (ja) * 2009-06-24 2011-01-13 Toyota T & S Kensetsu Kk シーリング材のサンプリング器具
KR101321051B1 (ko) 2012-05-03 2013-10-23 한국기계연구원 복수의 마이크로 커팅 에지를 갖는 생검용 바늘 및 그 내부 캐뉼라 제조 방법
US20150224669A1 (en) 2012-08-31 2015-08-13 Ge Healthcare Uk Limited Cutting Tools for Sample Preparation
JP2016032633A (ja) * 2014-07-30 2016-03-10 コヴィディエン リミテッド パートナーシップ 交換可能なコア生検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9342A (ko) 2021-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9917375C2 (de) Pipettiereinheit
US3302462A (en) Pipetting device with stop mechanism
CA1191117A (en) Pipettor mechanism and disposable tip and piston assembly
US6540964B2 (en) Pipette for a pipette system
JPH0638945A (ja) 採血器具のアダプター
US7150214B2 (en) Vegetable cutter
JP5805793B2 (ja) ピペット及びシーリング・チップ
US4117728A (en) Pipette
JP2004501745A (ja) 自動ピペット識別および先端部取外し
US9872701B2 (en) Retractable device
US10207414B2 (en) Safety knife with retractable sheath
KR102296256B1 (ko) 필름형 시료의 미소시편 정량 샘플러
CA3081394C (en) Tool for extracting soil plugs for analytical testing
US11426195B2 (en) Retractable device
US6210374B1 (en) Needle protective sheath device
US10913306B2 (en) Swivel prep tool
EP2777879A2 (en) Clamp
DE102012217722A1 (de) Sägeanordnung mit Schwenkgelenk-Absaugvorrichtung
US9033949B2 (en) Needle protection device
US11376579B2 (en) Pipette device
JP2010155223A (ja) マイクロピペット装置
EP1053813A2 (en) Saw blade attachment structure
JPH07204180A (ja) 採血管ホルダー
KR101651471B1 (ko) 실리콘건
WO2021207876A1 (zh) 一种一次性细胞学活检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