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184B1 -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 Google Patents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184B1
KR102296184B1 KR1020140132510A KR20140132510A KR102296184B1 KR 102296184 B1 KR102296184 B1 KR 102296184B1 KR 1020140132510 A KR1020140132510 A KR 1020140132510A KR 20140132510 A KR20140132510 A KR 20140132510A KR 102296184 B1 KR102296184 B1 KR 102296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communication
delete delete
communication link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2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9440A (ko
Inventor
김성훈
정경인
김상범
이유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32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184B1/ko
Priority to DE202015102112.7U priority patent/DE202015102112U1/de
Priority to CN201520279020.7U priority patent/CN204707282U/zh
Priority to CN201510217400.2A priority patent/CN106211053B/zh
Priority to US14/863,707 priority patent/US9602999B2/en
Priority to EP15845650.9A priority patent/EP3202220B1/en
Priority to PCT/KR2015/010290 priority patent/WO2016052979A1/en
Publication of KR20160039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9440A/ko
Priority to US15/463,592 priority patent/US10200847B2/en
Priority to US16/264,007 priority patent/US10659949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Abstract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접하는 제2 통신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접 여부 판단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와의 제1 장거리 통신 링크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단거리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인에이블(enable) 하는 동작; 및 상기 인에이블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SCHEME FO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모드 변경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에 관한 것으로, 근접하는 착용가능 통신 장비에 기반한 이동 통신 링크 형성 기법 및 호 발신에 기반한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장치의 집적도가 높아지고, 무선통신 기술 적용이 보편화되면서, 손목 시계 및 안경과 같은 형태의 착용가능 전자 장치(wearable electronic device) 가 상용화되고 있다.
착용가능 전자 장치는 휴대 편의성 측면에서 전형적인 셀룰러 폰(예를 들어, 스마트 폰과 같은)에 비해 이점이 있고, 셀룰러 폰은 통신 성능 및 배터리 측면에서 착용가능 전자 장치에 비해 이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착용가능 전자 장치에 셀룰러 통신 기능이 구현되면, 결과적으로 셀룰러 폰 및 착용가능 전자 장치를 모두 휴대하는 사용자는 셀룰러 통신이 가능한 2 개의 장치를 동시에 휴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는 스마트 폰과 착용가능 전자 장치를 모두 휴대할 수도 있고, 그 일부만을 휴대할 수도 있다. 셀룰러 통신을 통한 서비스를 수신하고자 하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과 착용가능 전자 장치 중 어느 장치를 통해서든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는다면, 상기 사용자의 요구는 충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휴대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의 장거리 통신(예를 들어, 셀룰러 통신, Wi-Fi를 통한 인터넷 통신) 및 단거리 통신(예를 들어, 블루투스)을 관리함으로써, 장치들의 하드웨어 자원 및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의 편의도 증대시킬 수 있는 기법이 요구된다.
또한, 응급 상황과 같이 사용자가 통신 장치의 조작을 자유롭게 하지 못하는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나 상황 등을 주변에 알리기 위한 디스커버리(discovery) 신호를 자동적으로 송신하는 기법이 요구된다.
본 개시는 사용자가 2 개 이상의 통신 장치를 휴대하는 경우, 통신 장치들의 셀룰러 통신 링크 및 장치 간 통신 링크를 관리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사용자가 스마트 폰과 착용가능 통신 장비를 모두 휴대하는 경우의 효율적인 셀룰러 통신 링크 관리 방법 및 데이터 수신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셀룰러 통신 수단을 구비하지 못하였거나 일시적으로 셀룰러 통신이 불가능한 통신 장비가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직접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개시는 통신 장치에 대한 사용자의 임의 조작 또는 통신 장치의 특정 동작에 의해 특정 상황에서 자동적으로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기법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접하는 제2 통신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상기 근접 여부 판단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와의 제1 장거리 통신 링크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단거리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인에이블(enable) 하는 동작; 및 상기 인에이블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접하는 제2 통신 장치와의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 여부 판단에 기반하여 네트워크와의 제1 장거리 통신 링크 및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단거리 통신 링크 중 어느 하나를 인에이블(enable) 하고, 상기 인에이블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장거리 통신 링크 또는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는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에 있어서, 호 발신, 사용자 데이터 전송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어느 하나를 트리거링하는 동작;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목적 주소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저장된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동작;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라디오 자원이 있는지 체크하는 동작; 및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체크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동작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통신 장치에 있어서, 호 발신, 사용자 데이터 전송 및 애플리케이션 실행 중 어느 하나를 트리거링하고,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사용자 데이터의 목적 주소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 중 어느 하나가 미리 저장된 정보에 포함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라디오 자원이 있는지 체크하고, 상기 판단의 결과 및 상기 체크의 결과에 근거하여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접하는 제2 통신 장치에게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요청하는 동작;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수신하는 동작; 및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터넷 망으로 액세스 하는 동작을 포함하되,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는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정보 및 LTE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개시는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제1 통신 장치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접하는 제2 통신 장치에게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요청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인터넷 망으로 액세스 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를 포함하되, 상기 장거리 통신 지원 정보는 Wi-Fi AP(access point) 액세스 정보 및 LTE 액세스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안한다.
사용자가 휴대하는 하나 이상의 장치의 셀룰러 통신 및 장치 간 통신을 관리함으로써, 장치들의 하드웨어 자원 및 통신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사용자의 편의도 증대시킬 수 있다.
인접 통신 장치의 도움에 의해 단거리 통신 수단만을 구비한 통신 장치가 직접 장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응급 상황과 같이 사용자의 조작을 기대하기 힘든 경우에, 사용자의 호 발신 또는 데이터 전송과 같은 특정 동작에 의해 사용자의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신호를 자동적으로 발신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의 자원을 고려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그룹을 예시하는 도면;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PCG 내의 통신 장치가 CC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G 내의 CC가 CE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과 착용가능 통신 장치를 휴대하는 사용자의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통신 경로를 예시하는 도면;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2 개의 통신 장치가 근접도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장거리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UE)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 및 ProSe 기능과 통신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 따른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본 개시의 자세한 설명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몇 가지 용어들에 대해 해석 가능한 의미의 예를 제시한다. 하지만, 아래 제시하는 해석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개시에서 네트워크(network; NW)는 장치와 통신하는 일 주체로써, 상기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기지국(Base Station; BS)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네트워크는 NodeB(NB), eNodeB(eNB), AP(Access Point)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ProSe 기능(ProSe Function; proximity service function)은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기능을 지원하는 네트워크 상의 일 엔터티로써, 기지국과 별도의 엔터티일 수 있고 (상기 기지국에 ProSe 기능이 구현되는 경우에는) 동일한 엔터티일 수도 있다. 상기 ProSe 기능은 D2D 기능(D2D function; device to device function)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D2D는 ProSe와 같은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통신 장치는 네트워크 또는 인접하는 타 통신 장치와 통신하는 일 주체로써, 셀룰러 폰 또는 착용가능 통신 장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장치(device), 단말(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MS), 이동장비(Mobile Equipment; ME), 및 터미널(terminal)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착용가능 통신 장치는 사용자가 신체의 특정 부위(예를 들어, 손목, 팔, 머리, 안구 등)에 착용 또는 삽입할 수 있는 형태의 통신 장치(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암 밴드, 스마트 안경, 스마트 콘택트 렌즈 등)를 의미한다. 특히, 본 개시에서 착용가능 통신 장치는 전형적인 무선 폰 형태의 통신 장치가 아닌 통신 장치를 통칭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는 펜의 형태로 구현되는 스마트 펜과 같은 통신 장치도 착용가능 통신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착용가능 통신 장치는 착용가능 장치(wearable device)로 호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는 갤럭시 기어와 같은 상용 제품이 될 수 있고, 스마트 안경은 구글 글래스와 같은 상용 제품이 될 수 있다.
이하에서, 근접도를 이용하여 통신 장치가 통신 모드를 결정하고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제1 실시예,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타 통신 장치의 도움으로 단거리 통신만을 수행할 수 있는 통신 장치가 직접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의 제2 실시예, 및 통신 장치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먼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로써, 2 이상의 통신 장치의 근접도에 기반하여 통신 모드를 변경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를 포함하는 연결 그룹(connectivity group)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사용자는 장거리 통신 즉, LTE(long term evolution),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 및 WebRTC(Web Real Time Communication) 와 같은 WAN(wide area network)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를 휴대하여 셀룰러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하나 이상의 통신 장치는 단거리 통신 링크(short range communication link; SRC link) (110)를 통해 타 통신 장치와 장치간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110)를 통해 개인 연결 그룹(personal connectivity group; PCG)(100)을 형성할 수 있다. PCG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 중이거나 소속되는 것으로 간주할 수 있는 통신 장치들의 집합이며, 상기 통신 장치들 중의 전부 또는 일부는 WAN 연결과 같은 장거리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PCG는 동일한 지시자에 의해 동일한 PCG임이 분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들은 동일한 지시자를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PCG에 속함을 식별할 수 있다. PCG(100)에는 예를 들어, 셀룰러 폰(102), 스마트 시계(104), 스마트 안경(106) 및 스마트 펜(108)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는 상기 PCG(100) 내부의 모든 통신 장치들 간에 형성되는 직접적 통신 링크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블루투스,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또는 지그비(ZigBee) 등의 통신 기술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는 1:1 또는 1:n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의 PCG는 피어 디바이스 그룹(peer device group: PDG)이라고 호칭될 수도 있는데, 피어 디바이스 그룹에 대해서는 제2 실시예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될 것이다.
PCG(100)에는 장치 간 연결과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연결을 제어하는 연결 제어자(connectivity controller; CC)(104)의 역할을 갖는 통신 장치 및 상기 셀룰러 네트워크와의 셀룰러 통신을 수행하는 연결 수행자(connectivity enabler; CE)(102)의 역할을 갖는 통신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CC(104)는 CE(102)를 선택하고 관리하는 장치이다. CE(102)는, WAN 통신 기술에 기반한 장거리 통신 링크(long range communication link; LRC link)(112)를 이용하여, 상기 PCG(100)에 속한 장치들과 네트워크(120)간 연결(또는 통신)을 담당하는 장치이다. 상기 PCG(100)내의 임의의 통신 장치(104, 106, 108)는, 상기 네트워크(120)와 장거리 통신 링크(112)를 통해 연결 중인 상기 CE(102)와 단거리 통신 링크(110)를 통해 통신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120)와 통신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CE(102)는 PCG(100) 내의 통신 장치와 상기 네트워크(120) 사이의 데이터 송수신 허브로 동작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하나의 통신 장치가 CC와 CE의 역할을 모두 수행할 수도 있고, CE의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가 하나의 PCG 내에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상기 PCG(100)에 포함되는 임의의 통신 장치는 CC 또는 CE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에서는 스마트 시계(104)가 CC이고 셀룰러 폰(102)이 CE인 경우를 예시하였으나, 다른 통신 장치가 상기 CC 또는 CE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CC와 상기 CE는 동일한 통신 장치일 수도 있다.
어떤 통신 장치가 CC 또는 CE의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의 결정(즉, 역할 결정)은 PCG 내의 통신 장치들 각각의 동작에 의해서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역할 결정을 위한 동작은 상기 PCG내의 통신 장치들에게 공유되는 임의의 룰(rule)에 근거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역할 결정을 위한 룰은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 사용자의 소지 여부, 및 배터리 잔량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는 CC 및 CE 중 어느 하나에 의해 관리될 수 있고, 상기 CC 및 CE 모두에 의해 관리될 수도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는 PCG 내의 통신 장치가 인식 가능한 형태의 특정한 값으로 설정 및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미리 정해진 우선 순위는 PCG 내의 통신 장치들의 우선순위를 리스트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네트워크 내에 다수의 PCG가 존재하는 경우, 상기 다수의 PCG 들 사이에서 각각의 PCG의 우선 순위 리스트들이 공유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PCG 내부에서는 상기 PCG에 속하는 통신 장치들 간에 상기 PCG에 대한 우선순위 리스트가 공유될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안경을 소지하는 경우에 CC 역할의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 > 스마트 안경 > 스마트 폰의 순서로 정해질 수 있다. 스마트 시계가 CC 역할에 대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이유는, 스마트 시계가 대부분 시간 동안 사용자와 함께 할 가능성이 가장 높고, 다른 통신 장치로의 CC 역할 변경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의 경우에, CE 역할의 우선 순위는 예를 들어, 스마트 폰 > 스마트 시계 > 스마트 안경의 순서로 정해질 수 있다. 스마트 폰이 CE 역할에 대한 가장 높은 우선 순위를 갖는 이유는, 스마트 폰이 다른 통신 장치에 비해 좋은 하드웨어 자원 및 배터리 전력을 가지며, 다른 통신 장치로의 CE 역할 변경이 일어날 가능성이 적기 때문이다. 상기 CE 역할의 우선 순위는 각 통신 장치가 CC에게 보고하는 배터리 잔량 정보에 의해 변경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 시계가 배터리 잔량 10% 미만을 보고하는 경우 상기 우선 순위에서 스마트 시계와 스마트 안경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다.
사용자가 소지한 통신 장치 CC CE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스마트 폰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시계 스마트 폰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안경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스마트 시계
스마트 폰 스마트 폰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스마트 시계 스마트 시계
스마트 안경 스마트 안경 스마트 안경

표 1은 미리 정해진 장치 간 우선 순위 및 사용자의 소지 여부를 조합하는 룰에 따라서 결정되는 CC 및 CE의 예들을 설명한다.
스마트 폰, 스마트 시계, 및 스마트 안경 모두가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있는 경우, CC 에 대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스마트 시계 및 CE에 대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스마트 폰이 각각 CC 및 CE로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 장치들 중 높은 우선 순위의 통신 장치가 착용 중이 아니라면, 차 우선 순위의 통신 장치가 각각 CC 및 CE로 결정될 것이다. 한편, 하나의 통신 장치만 존재하는 경우에는 상기 존재하는 하나의 통신 장치가 CC 및 CE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결정될 것이다.
먼저, PCG 내의 통신 장치가 CC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PCG 내의 통신 장치가 CC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CC 의 역할을 갖는 통신 장치가 PCG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각 통신 장치는 CC 역할의 우선 순위 및 사용자의 착용 여부에 따라서 자신이 CC가 될 것인지의 결정을 할 수 있다.
PCG 내의 각 통신 장치는 상기 PCG 내에서 자신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인지 체크한다(200). 자신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통신 장치라면, 상기 통신 장치는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지를 체크할 수 있다(202). 상기 통신 장치가 PCG 내에서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이고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이라는 두 가지 조건이 모두 충족되면, 상기 통신 장치는 자신을 CC로 결정할 수 있다(204).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장치는 주변 통신 장치에게 자신이 CC로 동작할 것임을 알리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206).
예를 들어, 가장 높은 우선 순위의 스마트 시계는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자신이 CC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시계는 자신을 CC로 결정하고, PCG 내의 타 통신 장치에게 자신이 CC로 동작할 것임을 알리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CC의 존재를 알릴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시계는 자신을 CC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시계는, 타 통신 장치의 CC 역할 결정을 돕기 위하여, 자신이 착용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PCG 내에 스마트 시계가 존재하지 않거나, 사용자가 상기 스마트 시계를 착용하지 않는 등의 이유로 여전히 PCG 내에 CC 역할의 통신 장치가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때, 차 우선 순위의 스마트 안경은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지를 판단함으로써, 자신이 CC 역할을 수행할 것인지 결정할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마트 안경은 자신을 CC로 결정하고, PCG 내의 타 통신 장치에게 임의의 제어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PCG 내에 CC가 존재함을 알릴 수 있다.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안경은 자신을 CC로 결정하지 않을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착용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상기 스마트 안경은, 타 통신 장치의 CC 역할 결정을 돕기 위하여, 자신이 착용 중이 아님을 알리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
이어서, PCG 내의 CC가 CE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PCG 내의 CC가 CE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CE의 역할을 수행할 통신 장치가 PCG 내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 CC는 단거리 통신 링크를 사용해서 주변의 PCG 통신 장치를 검색한다(300). 상기 CC는 검색된 통신 장치 중 CE 역할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장치를 CE로 결정할 수 있다(302). 이때, 상기 CC는 CE로 결정된 통신 장치에게 CE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 있다.
CE로 동작할 통신 장치를 결정하는 동작(302)에서 사용자의 착용 여부가 반영될 수도 있다. 만일, 상기 CE로 결정된 통신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이 아닌 경우라면, 상기 CE로 결정된 통신 장치는 상기 CC에게 자신이 CE로 동작할 수 없음을 지시하는 메시지를 회신할 수 있다(304). 이때, 상기 CC는 상기 메시지를 회신한 통신 장치를 CE 후보에서 제거하고(306), CE로 동작할 새로운 통신 장치를 결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CC 역할을 수행하는 스마트 시계는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서 PCG 내에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지 확인한다. 상기 스마트 폰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CC는 상기 스마트 폰에게 CE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서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스마트 폰은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폰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마트 폰은 CE 역할 수락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CC에게 송신하고 CE로 동작할 수 있다. CE로 동작하는 상기 스마트 폰은 소정의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서 외부 네트워크와 연결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마트 폰이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지 않았다고 판단하면 CE로 동작할 수 없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상기 CC에게 송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CE로 동작할 통신 장치의 결정이 완료되면 상기 CC는 주변 통신 장치들에게 CE로 결정된 통신 장치를 알리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할 수도 있다(308).
PCG 내의 통신 장치들은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이 사용자에 의해 소지되고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시계의 경우에는 접촉 센서, 심박(심장 박동) 센서 등을 통해 피부 접촉 여부 또는 심장 박동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안경의 경우에는 안구 인식 센서, 접촉 센서 등을 통해 눈동자 움직임, 피부 접촉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콘택트 렌즈의 경우에는 혈당 인식 센서 등을 이용하여 안구 접촉 여부 등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착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스마트 폰의 경우에는 모션 센서를 통한 사용자의 움직임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사용자의 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스마트 폰은 접촉 센서 또는 심박 센서 등을 통해서도 사용자의 소지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스마트 폰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의 구동 여부를 통해, 혹은 GPS 모듈을 통해 획득되는 이동성 여부를 통해, 혹은 최근 소정의 기간 동안 통신 수행 여부 등을 통해서도 사용자의 소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한번 결정된 CC도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경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CC로 동작 중인 스마트 시계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예로써, 5%) 이하로 줄어든 경우 또는 사용자가 CC로 동작중인 스마트 시계나 스마트 안경을 벗어두는 경우를 들 수 있다. PCG에 존재하는 타 통신 장치는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한 CC로부터의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므로 CC의 궐위(vacancy)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CC를 상실한 상기 타 통신 장치는 상기 도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근접하는 통신 장치 중에 자신 보다 높은 우선 순위의 장치가 존재하는지 체크함으로써 자신이 새로운 CC가 되어야 하는지 주기적으로 판단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PCG 내의 임의 통신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변경할 CC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임의 통신 장치가 속한 PCG 혹은 접근 가능한 다른 PCG의 사용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통신 장치가 상기 UI에서 사용자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통신 장치들로부터 CC를 선택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서 통신 장치의 근접도의 판단(장치가 서로 근접 거리 내에 있는지 여부의 판단)은 단거리 통신 기법(예를 들어, 블루투스)에서 정의된 근접도 판단 기준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장치는 단거리 통신 링크에서 사용되는(감지되는) 신호의 세기를 임계값과 비교함으로써 장치간 근접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한번 결정된 CE도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는 경우에 변경되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CE로 동작 중인 스마트 폰의 배터리 잔량이 일정 수준(예로써, 5%) 이하로 줄어든 경우 또는 사용자가 CE로 동작중인 스마트 폰을 꺼내두고 이동함으로써 CE와의 근접도가 악화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PCG에 존재하는 타 통신 장치(즉, CC)는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한 CE로부터의 신호가 더 이상 수신되지 않으므로 CE의 궐위를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CE를 상실한 상기 CC는 상기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인접하는 통신 장치 중 차 우선 순위의 통신 장치를 새로운 CE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통신 장치에게 CE로 동작할 것을 지시하는 제어 메시지를 송신하는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PCG 내의 임의 통신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변경할 CE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임의 통신 장치가 속한 PCG 혹은 접근 가능한 다른 PCG의 사용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통신 장치가 상기 UI에서 사용자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통신 장치들로부터 CE를 선택할 수도 있다.
또한, 결정된 CC와 CE가 동시에 변경되는 상황도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PCG에 존재하는 통신 장치가 예고 없이 CE와 연결이 끊어지고, CC로부터 새로운 CE에 대한 정보도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통신 장치가 CC와 CE가 동시에 변경되어야 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도 2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자신이 새로운 CC가 되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가 새로운 CC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되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새로운 CC로서 상기 도 3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CE를 지정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통신 장치가 새로운 CC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되지 않는다면, 상기 통신 장치는 새로운 CC로부터 CE의 결정에 관한 제어 메시지가 올 때까지 대기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사용자가 PCG 내의 임의 통신 장치의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변경할 CC 및 CE를 임의로 선택할 수도 있다. 상기 임의 통신 장치가 속한 PCG 혹은 접근 가능한 다른 PCG의 사용 가능하거나 불가능한 통신 장치가 상기 UI에서 사용자 인식 가능한 형태로 표시되며, 사용자는 상기 표시된 통신 장치들로부터 CC 및 CE를 선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스마트 폰과 착용가능 통신 장치를 구비하는 사용자의 셀룰러 네트워크로의 통신 경로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CC로 동작하는 통신 장치는 PCG내의 제1 통신 장치(402)와 제2 통신 장치(404) 사이의 근접도에 근거하여,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제2 통신 장치(404) 중 적어도 하나의 장치에서 외부 네트워크(420)로의 이동 통신 연결을 인에이블(enable;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도 4에서는 예로써, 제1 통신 장치가 스마트 시계이고, 제2 통신 장치가 스마트 폰인 경우를 예시하였다.
제1 통신 장치(402)와 제2 통신 장치(404)가 단거리 통신 링크(414) (예를 들어, 블루투스, Wi-Fi Direct, Zigbee)의 도달 거리(즉, 근접 거리)내에 위치할 때, CC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네트워크(420) 간 제1 링크(410)을 디스에이블(disable; 비활성화)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404)와 상기 네트워크(420) 간 제2 링크(412)를 인에이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통신 장치(404)가 셀룰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상기 네트워크(420)으로부터 획득한 데이터 중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에서 요구되는 데이터는 제3 링크(414)를 통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로 포워딩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400)는, 단거리 통신 링크인 상기 제3 링크(414) 및 상기 인에이블된 제2 링크(412)를 경유하는 경로(424)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에서 상기 네트워크(420)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 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CE 는 상기 제2 통신 장치(404)가 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상기 제2 통신 장치(404)가 단거리 통신 링크(414)의 도달 거리(즉, 근접 거리) 밖에 위치할 때, CC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네트워크(420) 간 제1 링크(410)를 인에이블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404)와 상기 네트워크(420) 간 제2 링크(412)를 디스에이블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용자(400)는, 상기 인에이블된 제1 링크(410)를 경유하는 경로(422)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에서 상기 네트워크(420)의 통신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이 경우에, CE 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가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상기 제2 통신 장치(404)가 단거리 통신 링크(414)의 도달 거리 밖에 위치하지만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414)가 복구될 가능성이 존재하는 기간 내(예를 들어,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가 유실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 내)에는, CC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는 현재 인에이블 되어있는 제2 통신 링크뿐만 아니라 상기 제1 링크도 인에이블 시킴으로써 두 개의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서 상기 네트워크(420)와의 연결을 유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CE 는 상기 제1 통신 장치 및 제2 통신 장치가 된다. 이와 같이 임계 시간 동안 2 개의 통신 링크를 동시에 유지하는 것은, 상기 임계 시간 내에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414)가 복구됨으로 인하여 상기 제1 통신 링크(410)와 상기 제2 통신 링크(412)가 반복적으로 디스에이블/인에이블 되는 현상 즉, 핑퐁(pingpong) 현상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와 상기 제2 통신 장치(404)가 단거리 통신 링크(414)의 도달 거리 밖에 위치하고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414)가 복구될 가능성이 존재하지 않는 기간(예를 들어,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가 유실된 시점으로부터 임계 시간의 경과 후)에, CC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는 더 이상 두 개의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한 상기 네트워크(420)와의 연결을 유지하지 않고, 상기 제2 통신 장치(404)와 상기 네트워크(420) 간 제2 링크(412)를 디스에이블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400)가 소지하고 있는 장치가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라면 상기 제1 통신 장치(402)가 CC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스마트 시계인 상기 제1 통신 장치(402)는 별도의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지 않고 자동적으로 자신의 셀룰러 통신 기능을 인에이블 하거나 유지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404)의 셀룰러 통신 기능을 디스에이블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장치가 제2 통신 장치(404)라면, 상기 제2 통신 장치(402)가 CC의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선택적으로, 스마트 폰인 상기 제2 통신 장치(404)는 사용자의 조작에 근거하여 자신(즉, 제 2 통신 장치(404))의 셀룰러 통신 기능을 인에이블 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402)의 셀룰러 통신 기능을 디스에이블 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2 개의 통신 장치가 근접도에 근거하여 네트워크와의 통신 링크를 설정하는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두 개의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within proximity)에 있을 때 보충 모드(supplemental mode)로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5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보충 모드란 제1 통신 장치가 근접하는 제2 통신 장치를 통해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모드 즉, 타 통신 장치와 연동하여 셀룰러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모드이다.
제1 통신 장치(500)가 제2 통신 장치(502)와 단거리 통신 링크의 도달 거리 (즉, 근접 거리) 내에 있음을 판단하는 경우(510), 상기 제1 통신 장치(500)는 보충 모드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515). (CC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장치(502)는 네트워크(504)와 장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고 연결 상태(connected state)를 유지한다(525). 이때,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CC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장치(502)는 CE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네트워크(504)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중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에게 포워딩할 수 있다(520).
도 5b는 두 개의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밖(out of proximity)에 있을 때 독립 모드(stand-alone mode)로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500)의 동작을 예시한다.
독립 모드란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타 통신 장치의 도움 없이 독립적으로 셀룰러 네트워크와 연결되는 모드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CE로 동작 중이던 스마트 폰을 집에 두고 외출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착용 중인 스마트 시계는 독립 모드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장치(500)는 상기 제2 통신 장치(502)가 단거리 통신 링크의 도달 거리 즉, 근접 거리 밖에 있음을 판단하는 경우(530), 독립 모드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535). (예를 들어, CC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1 통신 장치(500)는 상기 네트워크(504)와 장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연결 설정(connection setup)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40). 이때,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CC로 동작할 수 있고, 동시에 CE로도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자신이 상기 네트워크(504)와 수립한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504)는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의 모드 변경을 탐지할 수 있다(545). 만일 상기 네트워크(504)가 상기 제2 통신 장치(502)와 연결 중이었다면, 상기 네트워크(504)는 상기 제2 통신 장치(502)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50). 대안적으로, 상기 연결 해제 동작(550)은,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와 근접 거리 밖에 있음을 감지한 상기 제2 통신 장치(502)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c는 두 개의 통신 장치가 다시 근접 거리 내에 위치하게 되었을 때 보충 모드로 동작하는 제1 통신 장치(500)의 동작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외출에서 돌아와 스마트 폰을 다시 소지하는 경우에 사용자가 착용 중인 스마트 시계는 다시 보충 모드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통신 장치(500)는 제2 통신 장치(502)가 다시 근접 거리 내에 위치함을 판단하는 경우(560), 보충 모드로 동작할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565). (CC의 제어에 의해) 상기 제2 통신 장치(502)는 네트워크(504)와 장거리 통신 링크를 형성하는 연결 설정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70). 이때, 상기 제1 통신 장치(500)는 CC로 동작할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장치(502)는 CE로 동작하게 된다. 상기 제2 통신 장치(502)는 상기 네트워크(504)로부터 수신하는 데이터 중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에 의해 요구되는 데이터를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에게 포워딩할 수 있다(585).
선택적으로, 상기 네트워크(504)는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의 모드 변경을 탐지할 수 있다(575). 만일 상기 네트워크(504)가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와 연결 중이었다면, 상기 네트워크(504)는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와의 연결을 해제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580). 대안적으로, 상기 연결 해제 동작(580)은, 상기 제2 통신 장치(502)와 근접 거리 내에 있음을 감지한 상기 제1 통신 장치(500)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제1 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CC와 CE는 착용가능(wearable) IoT(Internet of Things; 사물인터넷)의 게이트웨이에도 적용될 수도 있다.
착용가능 IoT는 착용가능 통신 장치들 사이에서 적용되는 사물 인터넷을 의미한다. 착용가능 IoT 게이트웨이는 일군의 IoT 기기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인터넷 상의 서버로 전달하거나, 인터넷 상의 서버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적절한 IoT 기기로 분배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IoT 허브(hub)로 호칭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WAN 통신이 불가능한 건강 센서(health sensor)와 WAN 통신이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다른 기기가 하나의 PCG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CG내의 CC(예를 들어, IoT 게이트웨이)는 WAN 통신이 가능한 기기 중 하나를 CE로 선택하고, 건강 센서들에 의해 수집된 건강 데이터(health data; 혈압, 체온, 맥박 수 등의 인체로부터 수집한 각종 데이터)가 상기 CE로 전달되도록 한다. 건강 센서는 인체의 여러 부위에 부착되거나 이식되어 생체 신호를 수집하고 전달하는 장치로써, WAN 통신은 불가능하지만,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IoT 게이트웨이와 통신할 수는 있다.
예로써, 상기 PCG 내의 CC는, 상기 건강 센서들이 상기 건강 데이터를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직접 상기 CE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써, 상기 PCG 내의 CC는, 별도의 수집 장치가 상기 건강 센서들로부터 상기 건강 데이터를 수집하고 저장하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CE에게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PCG 내의 CE는 상기 전송 받은 건강 데이터를 장거리 통신을 통해 건강 데이터를 관리하는 인터넷 상의 소정의 서버로 전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PCG 내의 CE는 IoT 게이트웨이의 역할을 담당할 수 있고, 상기 PCG 내의 CC는 전술한 방식을 통해 IoT 게이트웨이로 동작할 기기를 판단하고 관리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2 실시예로써 단거리 통신만이 가능한 통신 장치가 장거리 통신 가능 장치의 도움으로 직접 장거리 통신을 수행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PDG(peer device group)는 도 1의 PCG와 같은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PDG 내의 임의의 통신 장치는 장거리 통신이 가능한 타 통신 장치의 도움으로 직접 장거리 통신을 수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네트워크와의 통신이 가능하다. 상기 임의의 통신 장치는 독자적으로는 셀룰러 통신(예, LTE, HSPA)이 불가능한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표 2는 PDG를 구성하는 통신 장치들이 구비하는 통신 능력을 예시하는 표이다.
장거리 통신 (LRC) 단거리 통신 (SRC)
LTE HSPA Wi-Fi Bluetooth
스마트 폰 O O O O
스마트 시계 O X O O
스마트 안경 X X O O
건강 센서 X X X O
스마트 펜 X X X O

예를 들어, PDG 내의 스마트 안경은 LTE, HSPA(high speed packet access)와 같은 장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지 않지만, Wi-Fi와 같은 장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 안경은 스마트 폰이 제공하는 장거리 통신 보조(assistance) 정보를 이용하여 장거리 통신(Wi-Fi와 같은)을 직접 수행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장거리 통신 방법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제1 통신 장치(600)는 장거리 통신 보조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보조 정보를 제2 통신 장치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LTE, HSPA와 같은 셀룰러 통신 기능을 갖는 스마트 폰이 될 수 있다.
제2 통신 장치(602)는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LRC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Wi-Fi 통신 기능이 있는 스마트 안경이 될 수 있다. LRC와 관련된 동작이란, 단거리 통신 및 상기 보조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직접 LRC 통신을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제3 통신 장치(604)는 PDG 내의 LRC 상황을 감시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장치로 상기 보조 정보를 중계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는 통신 장치는 PDG 제어자(PDG controller)와 같이 호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3 통신 장치는 단거리 통신 기능을 구비하며 CC로써의 우선 순위가 높은 스마트 시계와 같은 통신 장치가 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제1 통신 장치의 도움을 통해 제2 통신 장치가 LRC 관련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제2 통신 장치(602)는 LRC 기능을 갖는 제1 통신 장치(600)에게 LRC 보조 정보를 요청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LRC 보조 정보의 요청을 중계하는 PDG 제어자로서 제3 통신 장치(604)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통신 장치(602)는 상기 제3 통신 장치(604)에게 LRC 보조 정보 요청을 송신하고(610), 상기 제3 통신 장치(604)가 상기 제1 통신 장치(600)에게 상기 LRC 보조 정보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612).
상기 제2 통신 장치(602)로부터 LRC 보조 정보 요청을 수신한 제1 통신 장치(600)는 LRC 통신 기능을 이용하여 LRC 보조 정보를 수집한다(614).
상기 제1 통신 장치(600)는 상기 수집한 LRC 보조 정보를 상기 제2 통신 장치(602)에게 송신한다. 선택적으로, 상기 LRC 보조 정보의 전달을 중계하는 PDG 제어자로써 제3 통신 장치(604)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 장치(600)는 상기 제3 통신 장치(604)에게 LRC 보조 정보를 송신하고(616), 상기 제3 통신 장치(604)가 상기 제2 통신 장치(600)에게 상기 LRC 보조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618).
상기 LRC 보조 정보를 전달 받은 상기 제2 통신 장치(602)는 상기 LRC 보조 정보를 이용하여 LRC 관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20).
표 3은 제1 통신 장치가 제2 통신 장치에게 전달하는 LRC 보조 정보의 예와 제2 통신 장치가 수행하는 LRC 관련 동작의 예를 설명하는 표이다.
제1 통신 장치 제2 통신 장치 제3 통신 장치 LRC LRC 보조 정보 시나리오 제 2 디바이스 동작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Wi-Fi 디스커버리 정보: 스마트폰 Wi-Fi를 통해 통신 수행 중인 AP 관련 정보 (SSID, 채널 정보 등) (1) 스마트 안경의 Wi-Fi 통신 필요성 발생 디스커버리 정보 이용 Wi-Fi 신속 접속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Wi-Fi SIB 17, ANDSF 정보:
SSID 리스트, 오프로딩 정책, Wi-Fi 접속 인증 정보
(2) 스마트 안경의 Wi-Fi 통신 필요성 발생 Wi-Fi 검색 개시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Wi-Fi Wi-Fi 신호 감지 여부
감지(detect)된 Wi-Fi AP 정보
(3) 스마트 안경의 Wi-Fi 통신 필요성 발생 Wi-Fi 검색 개시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LTE 제 1 액세스 정보LTE 서빙 셀 정보시스템 정보 (4) 스마트 안경의 LTE 통신 필요성 발생 액세스 정보 이용 LTE 신속 접속
스마트 폰 스마트 안경 스마트 시계 LTE 제 2 액세스 정보보안 파라메터,C-RNTI,무선 설정(Radio configuration),
S-TMSI
(5) 스마트 안경의 LTE 통신 스위칭 필요성 발생 제 1 디바이스는 LTE 통신 종료, 제 2 디바이스는 LTE 통신 개시.
LTE 통신 개시 시 제공 받은 크레덴셜 정보를 이용. AKA/보안 셋업 과정 생략

제2 통신 장치에게 직접 Wi-Fi 통신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표 3의 시나리오 (1)),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LRC 보조 정보는 디스커버리(discovery)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정보는 스마트 폰(제1 통신 장치)의 Wi-Fi 기능을 통해 통신을 수행 중인 AP(access point)에 관련된 정보 즉, SSID(Service Set Identifier), 채널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디스커버리 정보를 이용하여 신속하게 Wi-Fi 접속하여 장거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통신 장치에게 직접 Wi-Fi 통신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표 3의 시나리오 (2)),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LRC 보조 정보는 SIB(system information block) 17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SIB 17 정보는, SSID 리스트, 오프로딩 정책(offloading policy), Wi-Fi 접속 인증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SIB 17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할 Wi-Fi 채널의 검색을 개시할 수 있다. SIB 17 정보는 네트워크 사업자 소유의 Wi-Fi 관련 정보가 제공되는 시스템 정보이며, 3GPP 규격 TS 36.331에 기재된 바를 따를 수 있다. 오프로딩 정책이란, 어떤 트래픽을 Wi-Fi를 통해 전송할지 지정하는 정보이며, 3GPP 규격 TS 36.331 등에 기재된 바를 따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통신 장치에게 직접 Wi-Fi 통신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표 3의 시나리오 (3)),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LRC 보조 정보는 Wi-Fi 신호 감지 여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Wi-Fi 신호 감지 여부 정보는 감지된 Wi-Fi AP 정보 (예를 들어 Wi-Fi AP의 SSID, ESSID(Extended SSID) 및 채널 번호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감지된 Wi-Fi AP 정보를 이용하여 액세스할 Wi-Fi 채널의 검색을 개시할 수 있다. SSID, ESSID, Wi-Fi 채널 번호, Wi-Fi 접속 인증 정보 등은 IEEE 802.11 규격에 기재된 바를 따른다.
대안적으로, 제2 통신 장치에게 직접 LTE 통신의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표 3의 시나리오 (4)),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LRC 보조 정보는 제1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LTE 망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전부 또는 일부의 정보이며, LTE 서빙 셀의 정보와 시스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제1 액세스 정보를 이용하여 LTE 망으로 신속하게 액세스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엑세스 정보는 상기 제1 통신 장치의 현재 서빙 셀과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주파수 정보인 EARFCN(E-UTRA absolute radio frequency channel number), 셀 식별자인 PCID(physical cell identifier), 서빙 셀의 다운링크(downlink) 피드백 채널 설정 정보, 서빙 셀의 현재 SFN(system frame number), 서빙 셀의 랜덤 액세스 채널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1 액세스 정보의 예들의 정의 및 용도는 TS 36.331에 기재된 바를 따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2 통신 장치에게 LTE 통신의 스위칭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표 3의 시나리오 (5)),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제1 통신 장치로부터 수신하는 LRC 보조 정보는 제2 액세스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액세스 정보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LTE 망에 접속하는데 필요한 전부 또는 일부의 정보이며, 보안 파라메터(security parameter), C-RNTI(Cell-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 무선 설정 정보, 및 S-TMSI(SAE-Temporary Mobile Subscriber Identit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LTE 통신을 종료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직접 LTE 통신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제2 통신 장치는 상기 보안 파라메터(예를 들어, 크레덴셜(credential) 정보)를 이용하여 LTE 통신 개시 과정에서 AKA(Authentication and Key Agreement) 또는 보안 셋업(security setup) 과정을 생략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통신 장치는 스위칭 절차를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보안 파라미터는 현재 사용 중인 보안 키 정보, 비화/역비화 시 사용할 카운터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무선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제 1 통신 장치에 현재 설정된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 MAC(media access control) 설정 정보, 물리 계층 설정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PDG 제어자(PDG controller)는 PDG에 소속된 통신 장치 들의 상태를 상시적으로 확인하고, 사용자의 선호 또는 배터리 상황 등을 반영해서 PDG 내에 적어도 하나의 CE(PDG 내에서 LRC를 수행하고 LRC 보조 정보를 제공하는 통신 장치)가 항상 올바르게 작동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 PDG 제어자는 둘 이상의 CE를 운용해서 데이터 레이트를 증가시킬 수도 있다. PDG 제어자가 둘 이상의 CE를 작동시킬 경우 하나의 CE에 가용한 LRC 보조 정보를 다른 CE들과 공유함으로써, LRC 관련 동작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PDG내의 CE의 개수와 관련된 상기 사용자의 선호는 예를 들어 PDG에 속한 통신 장치 중 한 통신 장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거나, 상황 정보를 고려해서 PDG 제어자가 직접 판단할 수 있다. 에컨데, PDG 내 통신 장치들의 배터리 상황이 열악하다면 하나의 CE만 동작 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혹은, 대량의 트래픽을 발생시키는 서비스가 개시되거나, 대량의 트래픽 발생이 일정 기간 이상 목격된다면, PDG 내에 두 개 이상의 CE가 동작되도록 운용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복수의 CE들은 동일한 장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장거리 통신 기술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제3 실시예로써 통신 장치가 자동적으로 D2D(device to device) 디스커버리(discovery) 메시지를 주기적 전송하는 기법을 설명한다.
통신 장치에서 발신되는 특정 호(call) (예로써, 119 와 같은 응급용 호)에 있어서는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알리기 위한 신호 즉,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중요할 수 있다. 또한, 응급 상황이 갖는 특성상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는데 있어서 통신 장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조작이나 간섭이 최대한 배제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응급 호가 갑자기 끊기거나, 사용자가 목소리를 내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통신 장치의 조작을 할 수 없는 상태와 같은 경우에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서 사용자의 조작을 사실상 기대하기 어렵다.
경우에 따라서는 통신 장치가 예를 들어,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과 같은 기지국과의 연결을 맺지 않아도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함으로써 상기 통신 장치의 위치 정보를 주위에 알릴 필요가 있다.
통신 장치가 실내(indoor)에 위치하는 경우에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송신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GPS를 통한 위치 정보 전송은 응급 상황에 이용 가능한 대안이 될 수 없고, WLAN은 신호의 전송 반경이 작기 때문에 위치 정보 전송의 대안으로 적절치 않다. 한편, 최근 LTE 규격에서는 Rel-12로 D2D 디스커버리 기능의 표준화가 연구되고 있다.
본 개시는 특정 호의 발신이나, 데이터의 전송 동작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 동작 등이 트리거링되면 통신 장치가 자동적으로 D2D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주기적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통신 장치(UE)가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기지국 및 ProSe 기능과 통신하는 절차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UE)(700)는 네트워크 상의 ProSe 기능(710)에게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 요청(ProSe discovery authorization/registration REQ)을 송신한다(720). 상기 통신 장치(700)은 D2D 디스커버리 송수신 기능을 지원하는 UE와 같은 장치이다. 상기 ProSe 기능(710)은 D2D 디스커버리 사용자(또는 장치)에 대한 인증/등록 및 관련되는 파라메터 값들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ProSe 기능(710)은 전송 디스커버리 신호에 포함될 ProSe 디스커버리 id를 할당할 수 있다.
상기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 요청(720)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ProSe 기능(710)은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 응답 (ProSe discovery authorization/registration RES)을 상기 통신 장치(700)에게 송신한다(725). 상기 ProSe 기능(710)은 상기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 응답(725) 메시지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700) 또는 사용자의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의 성공 또는 실패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상기 ProSe 기능(710)은 상기 통신 장치(700) 또는 사용자가 전송할 디스커버리 id를 할당하여, 상기 ProSe 디스커버리 인증/등록 응답(725) 메시지에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디스커버리 id는 디스커버리의 용도(예: 응급용, 광고용), 상기 통신 장치(700)의 사용자, 상기 통신 장치(700), 또는 상기 통신 장치(700)에서 동작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 id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ProSe 기능(710)은, 호(call) 발신을 위해서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를 디스커버리 id와 함께 포함시킬 수 있고,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상기 데이터의 목적 주소(destination address)를 디스커버리 id와 함께 포함시킬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구동의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과 매핑되는 디스커버리 id를 함께 포함시킬 수 있다.
임의의 시점에, 네트워크 상의 기지국(705)(예를 들어, LTE 시스템의 eNB)은 SIB(System Information Block; 시스템정보블록)를 셀(cell) 내의 단말들에게 브로드캐스트(broadcast)하여(730), 상기 통신 장치(700)가 디스커버리 전송에 사용할 ProSe 디스커버리 자원 설정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700)는 상기 셀 내에서 브로드캐스트되는 상기 SIB(730)를 수신하여 상기 셀에서 ProSe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할 때에 사용할 자원 설정 정보 등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원 설정 정보가 무선 자원 풀(radio resource pool)에 관련된 정보이면, 상기 자원 설정 정보는 시간 영역(time domain)과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의 무선 자원 풀의 위치를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700)가 특정 호(call)의 발신을 트리거링 하거나, 데이터 전송을 트리거링 하거나 또는 특정 애플리케이션의 구동되면(735), 상기 통신 장치(700)는 디스커버리 전송을 위한 동작을 시작할 수 있다. 즉,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트리거링하는 특정 호는 다른 타입의 사용자 입력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동작,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는 동작, 통신 장치의 임의의 위치에 구비되는 응급 버튼 또는 상기 통신 장치의 화면의 임의 위치에 출력되는 응급 버튼을 누르는 동작 등에 의해 상기 통신 장치는 디스커버리 신호의 자동적 송신 동작을 트리거링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장치(700)는 상기 기지국(705)과의 RRC 연결을 수립(establish)할 수 있다(740). 상기 통신 장치(700)가 상기 RRC 연결을 수립하면 상기 기지국(705)는 상기 단말을 위한 단말 전용 제어 메시지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장치(700)는 상기 기지국(705)와의 RRC 연결 재설정(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절차를 통해서 사용자 데이터(user data) 전송을 위한 무선 베어러(Radio Bearer; RB)를 구성할 수 있다(750). 이때, 상기 무선 베어러의 구성 정보가 상기 통신 장치(700)에게 전달될 수 있으며, 상기 통신 장치(700)는 ProSe 디스커버리 전송에 사용할 전용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상기
상기 통신 장치(700)는 호를 발신하거나, 사용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특정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할 수 있다(760).
그리고, 상기 통신 장치(700)는 상기 735 동작에서 트리거링된 동작에 상응하는(매핑되는) 디스커버리 id를 포함하는 ProSe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한다(770(a)). 예를 들어, 상기 호가 상기 통신 장치(700)의 사용자, ProSe 기능(710) 또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특정 번호로 트리거링되었거나, 상기 데이터의 전송이 상기 사용자, ProSe 기능(710) 또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목적 주소로 트리거링되었거나,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상기 사용자, ProSe 기능(710) 또는 통신사업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면, 상기 통신 장치(700)는 상기 특정 번호 또는 목적 주소와 매핑되어 있는 디스커버리 id를 포함하여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770(a), 770(b), 770(c))하게 된다.
상기 디스커버리 메시지의 주기적 전송에 대한 전력 제어 여러 가지 대안에 따라서 운용될 수 있다. 첫 번째 대안은,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N 단계로 (N > 1) 구분하고, 매 전송 주기마다 전력을 다르게 설정하는 방안이다. 일 예로써, 상기 통신 장치(700)는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랜덤(random)하게 함으로써 다양한 도달 범위에 대해 디스커버리 신호가 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통신 장치(700)의 위치 정보를 다양한 반경 범위로 알릴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두 번째 대안은, 매 전송 주기마다의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특정 임계 값 이하로 낮추어 전송하는 방안이다. 일 예로써, 상기 통신 장치(700)의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최소화함으로써 단말의 전력 낭비를 최소화하면서 아주 작은 범위에서도 상기 통신 장치(700)의 알릴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세 번째 대안은, 매 전송 주기바다의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결정함에 있어서 상기 통신 장치(700)의 GPS 신호 수신 여부를 결정하는 방안이다. 예를 들어, GPS 신호가 수신되는 경우에는 디스커버리 전송 전력을 최소로 하고, GPS 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일정 수준 이상의 전력으로 송신할 수 있다. 상기 대안들 중 상기 통신 장치(700)가 어떤 대안을 선택할 것인지는 사용자의 사전 설정 또는 디스커버리 서비스 등록시의 설정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700)가 상기 ProSe 디스커버리를 전송하는데 사용하는 무선 자원은 상기 기지국(705)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되는 SIB(730) 또는 상기 RRC 연결 재설정(750) 절차를 통해 할당될 수 있다. 즉, 상기 통신 장치(700)가 상기 RRC 연결 재설정(750) 절차에서 디스커버리 전송을 위한 전용 무선 자원을 할당 받았다면 상기 전송 무선 자원을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고, 상기 SIB(730)에서 무선 자원 풀에 관한 정보를 받았다면 상기 무선 자원 풀에서 사용할 자원을 스스로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자원을 통해 디스커버리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기 ProSe 디스커버리 전송 동작(770)은 순서에 있어서 상기 호 발신, 데이터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 구동 동작(760)과 인과관계가 없음을 주의해야 한다. 즉, 상기 760 동작과 770 동작 중 어느 하나의 동작이 먼저 수행될 수도 있고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한편, 사용자는 특정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통신 장치(700)을 조작하여 상기 주기적인 디스커버리 전송(770(a), 770(b), 770(c))을 중단(abortion)할 수 있고, 특정 타이머(timer)의 만료에 의해 상기 주기적인 디스커버리 전송(770(a), 770(b), 770(c))을 중단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통신 장치(700)는 디스커버리 전송의 중단이 정당한 것인지 확인을 위해, 사용자 판별을 위한 특정 사용자 입력(예를 들어, 비밀번호)을 요구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통신 장치(700)가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동작을 트리거링한 이후에는 상기 통신 장치(700) 대신에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다른 착용가능 장치가 D2D 디스커버리 신호를 주기적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 중이던 스마트 폰의 배터리 용량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진 경우, 상기 스마트 폰을 휴대하는 사용자의 다른 착용가능 통신 장치가 상기 디스커버리 신호를 송신할 수도 있다. 상기 착용 가능 장치의 일 예로는 팔찌 형 통신 장치, 스마트 시계와 같은 장치가 있을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방법은 사용자가 서비스로 신청하여 가입할 수 있고, 상기 사용자가 통신 장치에서 자동적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기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3 실시예 따른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 동작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예를 들어, UE)는 디스커버리 신호의 송신을 트리거링하는 호의 목적 전화번호,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또는 어플리케이션 정보를 설정하거나 저장한다(800). 상기 통신 장치의 설정 또는 저장 동작은 사용자 입력, 통신사업자의 설정 및 PorSe 기능의 명령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특정 호, 데이터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수행한다(802). 상기 특정 호, 데이터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구동은 사용자의 입력 또는 미리 설정된 조건의 만족 등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또는 상기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저장)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806).
상기 결정(806)의 결과,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및 상기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저장)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추가적 동작 없이 호를 발신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818). 상기 결정(806)의 결과, 상기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또는 상기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이 미리 설정(저장)된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전용 무선 자원이 있는지 체크한다(808).
상기 체크(808)의 결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전용 무선 자원이 있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또는 상기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매핑되는 디스커버리 id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전용 무선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810), 상기 호의 발신, 데이터의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818)한다. 상기 체크(808)의 결과,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해 기지국으로부터 할당 받은 전용 무선 자원이 없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브로드캐스트된 SIB에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풀에 관한 정보가 있는지 체크한다(812).
상기 체크(812)의 결과, 상기 SIB에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풀에 관한 정보가 있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라디오 자원 풀에서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에 사용할 자원을 선택하여 상기 호의 목적 전화번호, 상기 데이터 전송의 목적 주소, 또는 상기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매핑되는 디스커버리 id를 포함하는 디스커버리 신호를 상기 선택된 자원을 통해 전송하고(814), 상기 호의 발신, 데이터의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818)한다. 상기 체크(812)의 결과, 상기 SIB에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을 위한 무선 자원 풀에 관한 정보가 없는 경우, 상기 통신 장치는 디스커버리 신호 전송에 사용할 무선 자원을 (예를 들어, RRC 연결을 통해) 상기 기지국에게 요청하고(816), 상기 808 동작을 다시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장치는 상기 816 단계의 요청에 대한 상기 기지국의 응답이 있는지 체크(808)하지 않고 상기 호의 발신, 데이터의 전송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실행(818)할 수도 있다.
비록, 도 8에서는 할당받은 전용 무선 자원의 체크(808) 동작을 SIB를 통한 라디오 자원 풀의 체크(812) 보다 먼저 수행되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상기 두 체크 동작은 순서가 바뀌어서 수행될 수도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통신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신 장치(900)는 타 통신 장치 또는 네트워크의 엔터티와의 신호 송수신을 수행하는 송수신부(905)와, 상기 통신 장치(900)의 모든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91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서 상술한 통신 장치 또는 UE의 모든 동작들은 상기 제어부(910)의 제어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어부(910) 및 상기 송수신부(905)는 반드시 별도의 장치로 구현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단일 칩과 같은 형태로써 하나의 구성부로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9가 예시하는 시스템의 구성도, CC/CE 결정 방법의 예시도, 통신 장치간 신호 흐름도, 통신 장치와 네트워크 엔터티간 통신 흐름도, 통신 장치의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방법 예시도, 통신 장치의 구성도는 본 개시의 권리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없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즉, 상기 도 1 내지 도 9에 기재된 모든 메시지, 신호, 동작, 또는 구성부의 단계가 발명의 실시를 위한 필수구성요소인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일부 메시지, 신호, 동작, 또는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거나 상기 동작들의 순서를 변경하여도 본 개시의 본질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동작들은 해당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한 메모리 장치를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 기능(Function), 또는 기지국 내의 임의의 구성부에 구비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즉, 엔터티, 기능(Function), 통신 장치, 또는 기지국의 제어부는 메모리 장치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프로세서 혹은 CPU(Central Processing Unit)에 의해 읽어내어 실행함으로써 앞서 설명한 동작들을 실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엔터티, 통신 장치, 기지국의 다양한 구성부들과, 모듈(module)등은 하드웨어(hardware) 회로, 일 예로 상보성 금속 산화막 반도체(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기반 논리 회로와, 펌웨어(firmware)와, 소프트웨어(software) 및/혹은 하드웨어와 펌웨어 및/혹은 머신 판독 가능 매체에 삽입된 소프트웨어의 조합과 같은 하드웨어 회로를 사용하여 동작될 수도 있다. 일 예로, 다양한 전기 구조 및 방법들은 트랜지스터(transistor)들과, 논리 게이트(logic gate)들과, 주문형 반도체와 같은 전기 회로들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4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제1 통신 장치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근처의 제2 통신 장치에 근접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우선 순위를 비교하는 단계;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우선 순위의 비교 결과와 상기 착용 여부의 판단에 따라 연결 제어자(connection controller)로 동작할 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와의 제1 장거리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 중 하나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 및
    활성화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는 단계를 포
    함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인에이블 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근접 거리 밖에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있는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디스에이블(disable)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상기 근접 거리 내에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있는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7.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통신 장치 중 연결 수행자(connection enabler) 역할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통신 장치를 연결
    수행자로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38.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착용가능 장비(wearable device)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9.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제1 통신 장치에 있어서,
    송수신부; 및
    상기 송수신부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근처의 제2 통신 장치에 근접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와 우선 순위를 비교하고,
    상기 제1 통신 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착용 중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우선 순위의 비교 결과와 상기 착용 여부의 판단에 따라 연결 제어자(connection controller)로 동작할 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근접 여부에 대한 판단에 기초하여 네트워크와의 제1 장거리 통신 링크 또는 상기 제2 통신 장치와의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 중 하나를 인에이블 하고,
    활성화된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 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에 있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는, 제1 통신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근접 거리 내에 있는 경우,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고,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네트워크와의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도록 제어하는, 제1 통신 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거리 밖에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있는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디스에이블(disable)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제1 장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상기 근접 거리 내에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있는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감지하는 경우, 상기 제2 통신 장치가 상기 제2 장거리 통신 링크를 인에이블 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단거리 통신 링크를 통해 상기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통신 장치.
  44.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는,
    주변에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신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통신 장치 중 연결 수행자(connection enabler) 역할의 우선 순위가 가장 높은 통신 장치를 연결
    수행자로 결정하는, 제1 통신 장치.
  45.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장치는 착용가능 장비(wearable device)임을 특징으로 하는, 제1 통신 장치.
KR1020140132510A 2014-10-01 2014-10-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KR102296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10A KR102296184B1 (ko) 2014-10-01 2014-10-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DE202015102112.7U DE202015102112U1 (de) 2014-10-01 2015-04-28 Modell zur Kommunikation und zum Senden eines Erkennungssignals in einem Mobilkommunikationssystem
CN201510217400.2A CN106211053B (zh) 2014-10-01 2015-04-30 用于移动通信系统中的通信和发送发现信号的方法和设备
CN201520279020.7U CN204707282U (zh) 2014-10-01 2015-04-30 移动通信系统中的通信设备
US14/863,707 US9602999B2 (en) 2014-10-01 2015-09-24 Scheme fo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EP15845650.9A EP3202220B1 (en) 2014-10-01 2015-09-30 Scheme for directly accessing an internet using lte communication support information
PCT/KR2015/010290 WO2016052979A1 (en) 2014-10-01 2015-09-30 Scheme fo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5/463,592 US10200847B2 (en) 2014-10-01 2017-03-20 Scheme fo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16/264,007 US10659949B2 (en) 2014-10-01 2019-01-31 Scheme for communication and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2510A KR102296184B1 (ko) 2014-10-01 2014-10-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9440A KR20160039440A (ko) 2016-04-11
KR102296184B1 true KR102296184B1 (ko) 2021-08-31

Family

ID=540540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2510A KR102296184B1 (ko) 2014-10-01 2014-10-01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602999B2 (ko)
EP (1) EP3202220B1 (ko)
KR (1) KR102296184B1 (ko)
CN (2) CN204707282U (ko)
DE (1) DE202015102112U1 (ko)
WO (1) WO20160529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3322B1 (ko) * 2013-08-22 2020-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고립 사용자 단말기에 대한 디바이스-투-디바이스 통신 기반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WO2016064230A1 (en) * 2014-10-24 2016-04-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working wireless lan according to camping cell
KR20160087646A (ko) * 2015-01-14 2016-07-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US9817948B2 (en) * 2015-05-15 2017-11-14 Josh Swank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ctivities through portable devices
US20170048652A1 (en) * 2015-08-12 2017-02-16 Arturo Del Rio Systems and methods for enabling cellular data network access to portable devices via a smartwatch including a sim therein
US9961531B2 (en) * 2015-10-02 2018-05-0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device using bluetooth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70102837A1 (en) * 2015-10-07 2017-04-13 Spotify Ab Dynamic control of playlists using wearable devices
US10212171B2 (en) 2015-10-07 2019-02-19 Spotify Ab Dynamic control of playlists
US10269234B2 (en) * 2015-10-21 2019-04-23 Mutualink, Inc. Wearable smart gateway
US10242556B2 (en) 2015-10-21 2019-03-26 Mutualink, Inc. Wearable smart router
CN105451301B (zh) * 2015-11-11 2019-03-19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可穿戴设备网关联网方法及网关管理平台
US9900827B2 (en) * 2015-12-10 2018-02-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3334225B1 (en) 2015-12-22 2021-03-03 Huawei Technologies Co., Ltd. Wireless configuration for wearable device
US10342052B1 (en) 2016-01-18 2019-07-02 Quantenna Communications, Inc. Client steering fo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102475937B1 (ko) * 2016-01-22 2022-12-09 삼성전자주식회사 네트워크 연결을 위한 전자 장치 및 방법
CN105682173A (zh) * 2016-03-16 2016-06-1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接入网络的方法和设备
CN105682181B (zh) * 2016-03-16 2019-04-05 青岛海信移动通信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接入局域网的方法、网关设备和用户设备
CN108476496B (zh) 2016-03-30 2021-04-13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用于中继传输的方法和装置以及中继终端设备
CN108029151B (zh) * 2016-03-31 2021-06-0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接收端的确定方法、相关设备及通信系统
US9730006B1 (en) * 2016-04-15 2017-08-08 Qualcomm Incorporated Enhanced system acquisition for wearables
US10469516B2 (en) * 2016-04-28 2019-11-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associating measurement data acquired at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current values of time and location obtained by a user equipment and acknowledged by the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CN109076624A (zh) * 2016-05-13 2018-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连接建立方法及设备
US11089167B2 (en) * 2016-06-30 2021-08-10 Apple In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internet connectivity via a relay station
CN114979971B (zh) 2016-07-14 2024-04-05 富士通株式会社 群组通信装置、方法以及通信系统
EP3487260A1 (en) * 2016-08-11 2019-05-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Link establishment method and related device
JP6914267B2 (ja) 2016-10-18 2021-08-04 株式会社ワコム ペアリング方法、位置検出システム、位置指示器、及び位置検出装置
DE102017203359A1 (de) * 2016-11-10 2018-05-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Funkkommunikationsmodul
US10574445B2 (en) * 2016-12-21 2020-02-25 Intel IP Corporation Range constrained device configuration
US10306690B2 (en) * 2016-12-30 2019-05-28 Intel Corporation Communication under multiple communication links
WO2018199875A1 (en) * 2017-04-24 2018-11-01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ort-range and long-range wireless communications
US10021625B1 (en) 2017-05-02 2018-07-10 Apple Inc. Broadcast information block assistance for a wireless device
US11368363B2 (en) * 2017-05-26 2022-06-21 Qualcomm Incorporated Dynamic operating roles for internet of things (IOT) devices in a network
US9980230B1 (en) 2017-05-31 2018-05-22 Apple Inc. Dynamic baseband management
KR102334318B1 (ko) 2017-09-19 2021-12-03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이동 수단으로 릴레이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11490429B2 (en) 2018-02-13 2022-11-01 Apple Inc. Companion assistance and efficient link selection for wearable devices
TWI698091B (zh) * 2018-12-12 2020-07-01 瑞昱半導體股份有限公司 連續逼近式類比數位轉換器及其操作方法
KR20200074732A (ko) * 2018-12-17 2020-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GB2586232B (en) * 2019-08-09 2021-10-20 Prevayl Ltd Garment, server and method
KR20210094959A (ko) 2020-01-22 2021-07-3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무선 통신 방법
US10972893B1 (en) * 2020-02-06 2021-04-06 Qualcomm Incorporated Cellular vehicle to everything assisted next generation emergency call
US20210314768A1 (en) * 2020-04-01 2021-10-07 Google Llc Bluetooth multipoint algorithm and private notifications
CN115243378A (zh) * 2022-07-20 2022-10-25 中国联合网络通信集团有限公司 一种资源分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WO2024053843A1 (ko) * 2022-09-08 202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tas 제어 방법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7063A1 (en) 2001-09-21 2007-03-15 Xuewen Zhu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dat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n optical code reading device and a host system having a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US20090051649A1 (en) 2006-01-20 2009-02-26 Conversational Computing Corporation Wearable display interface client
US20090164131A1 (en) 2007-12-20 2009-06-25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s and systems for specifying a media content-linked population cohort
WO2011087210A2 (ko) * 2010-01-14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20130127980A1 (en) 2010-02-28 2013-05-23 Osterhout Group, Inc.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US20140106677A1 (en) * 2012-10-15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ea Network Enabled Mobile Device Accessory
JP2014102838A (ja) 2012-11-20 201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着用式電子デバイスでのgui転移
JP2014102843A (ja) 2012-11-20 201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着用式電子デバイス

Family Cites Familie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799233A (zh) * 2003-06-06 2006-07-05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通过在短距离和长距离无线电技术之间进行切换来控制无线数据传输的方法
US20050272408A1 (en) * 2004-06-04 2005-12-08 Deanna Wilkes-Gibbs Method for personal notification indication
JP2008524906A (ja) * 2004-12-17 2008-07-10 エヌエックスピー ビー ヴィ マスタ携帯装置およびスレーブ携帯装置を備える通信システム
US7605714B2 (en) * 2005-05-13 2009-10-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mand and control of wireless devices using a wearable device
FR2890267B1 (fr) * 2005-08-26 2007-10-05 Viaccess Sa Procede d'etablissement d'une cle de session et unites pour la mise en oeuvre du procede
US8983551B2 (en) 2005-10-18 2015-03-17 Lovina Worick Wearable notification device for processing alert signals generated from a user's wireless device
US20070238475A1 (en) * 2006-03-30 2007-10-11 Goedken Terrance J Wireless communications device with priority list
US8326276B2 (en) 2006-06-30 2012-12-0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Proximity based call management
US20080090612A1 (en) * 2006-10-16 2008-04-17 Glinka Michael F Method of authenticating devices for communication over short range air interfaces
JP2009124243A (ja) * 2007-11-12 2009-06-0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
US8285548B2 (en) * 2008-03-10 2012-10-09 Lg Electronics Inc. Communication device processing text message to transform it into speech
WO2010006650A1 (en) * 2008-07-17 2010-01-21 Nokia Siemens Networks Oy Selection of connection type in cellular telecommunications system
US8169328B2 (en) 2009-06-09 2012-05-01 Lojack Operating Company, Lp Proximity monitoring and locating system
CN102742256B (zh) * 2010-12-06 2015-09-16 松下电器(美国)知识产权公司 通信装置、通信方法及通信系统
US8892088B2 (en) * 2011-12-16 2014-11-18 Htc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handling incoming calls on a media device
US20130227647A1 (en) * 2012-02-28 2013-08-29 Apple Inc. Shared network access via a peer-to-peer link
EP2839688B1 (en) * 2012-04-17 2017-10-25 Nokia Solutions and Networks Oy Device-to-device transmission in communications
CN108347713B (zh) 2012-04-27 2021-12-28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Wtru及由wtru执行的方法
US9059830B2 (en) * 2012-08-03 2015-06-16 Intel Corporation Device-to-device on-demand advertisement
DE102012215260A1 (de) * 2012-08-28 2014-03-06 Siemens Aktiengesellschaft Vorortbedienung einer Komponente einer Eisenbahngleisanlage
US9026051B2 (en) 2012-09-28 2015-05-05 Intel Corporation Wireless wide area network (WWAN) managed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 using narrowband Wi-Fi in a licensed band
US10185416B2 (en) * 2012-11-20 2019-01-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movement of device
US9466187B2 (en) * 2013-02-04 2016-10-11 Immersion Corporation Management of multiple wearable haptic devices
US9602963B2 (en) * 2013-03-15 2017-03-21 Apple Inc. Facilitating access to location-specific information using wireless devices
JP5862586B2 (ja) * 2013-03-22 2016-02-16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KR102171444B1 (ko) * 2013-04-22 2020-10-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워치 및 제어 방법
KR102124178B1 (ko) * 2013-06-17 2020-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웨어러블 기기 및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통신 방법
CN103812854B (zh) * 2013-08-19 2015-03-18 深圳光启创新技术有限公司 身份认证系统、装置、方法以及身份认证请求装置
US9100944B2 (en) * 2013-08-28 2015-08-04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connecting mobile devices and wearable devices
US20150185944A1 (en) * 2013-12-27 2015-07-02 Aleksander Magi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flexible interactive display
US9510083B2 (en) * 2014-03-14 2016-11-29 Apple Inc. Managing connections of a user device
KR102209068B1 (ko) * 2014-04-02 2021-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마스터 단말과 슬레이브 단말을 재연결하는 방법
DE102015208547A1 (de) * 2014-05-09 2015-11-12 Apple Inc. Erweiterte bluetooth-kommunikationsmodi
US9554241B2 (en) * 2014-09-23 2017-01-24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sharing location data within a vehicle
US20160089572A1 (en) * 2014-09-25 2016-03-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progress-towards-goal tracker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057063A1 (en) 2001-09-21 2007-03-15 Xuewen Zhu Method of automatically establishing a data communication link between an optical code reading device and a host system having a data communication interface
US20090051649A1 (en) 2006-01-20 2009-02-26 Conversational Computing Corporation Wearable display interface client
US20090164131A1 (en) 2007-12-20 2009-06-25 Searete Llc, A Limited Liability Corporation Of The State Of Delaware Methods and systems for specifying a media content-linked population cohort
WO2011087210A2 (ko) * 2010-01-14 2011-07-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동작 방법
US20130127980A1 (en) 2010-02-28 2013-05-23 Osterhout Group, Inc. Video display modification based on sensor input for a see-through near-to-eye display
US20140106677A1 (en) * 2012-10-15 2014-04-17 Qualcomm Incorporated Wireless Area Network Enabled Mobile Device Accessory
JP2014102838A (ja) 2012-11-20 201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着用式電子デバイスでのgui転移
JP2014102843A (ja) 2012-11-20 2014-06-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着用式電子デバイ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11053B (zh) 2020-07-14
CN106211053A (zh) 2016-12-07
CN204707282U (zh) 2015-10-14
EP3202220A4 (en) 2017-11-22
EP3202220B1 (en) 2021-05-26
US10200847B2 (en) 2019-02-05
EP3202220A1 (en) 2017-08-09
US20170195867A1 (en) 2017-07-06
US9602999B2 (en) 2017-03-21
US10659949B2 (en) 2020-05-19
US20160100303A1 (en) 2016-04-07
KR20160039440A (ko) 2016-04-11
WO2016052979A1 (en) 2016-04-07
US20190174296A1 (en) 2019-06-06
DE202015102112U1 (de) 2015-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6184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 및 디스커버리 신호 송신 기법
US1063839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ffload operation of the idle mode in a cellular device
US11405974B2 (en) Communication system
KR101618534B1 (ko) 디바이스 투 디바이스 발견을 위한 네트워크 지원
EP3097723B1 (en) Obtaining and using d2d related information to perform mobility operation(s)
US20200128484A1 (en) Inactive Mode Operations
EP2952055B1 (en) Handling a radio link failure in communications
US11139887B2 (en) System and method for radio link sharing
EP403083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paging in a communications network
TWI487421B (zh) 於一不同演進節點b(enb)重建中止之無線電資源控制(rrc)連接
US20230388891A1 (en) Managing ue information after preparing a conditional mobility procedure
WO2017059532A1 (en) Establishing a voice call
US20170303186A1 (en) Managing overload in at least one core network
EP3198927B1 (en) Managing overload in at least one core network
RU2765377C2 (ru) Способ, узел сети и пользовательск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дключения носимых устройств к сети мобильной связи
KR101460330B1 (ko) 이동 통신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 무선 연결 재설정 방법
KR20230052904A (ko) 무선 통신 방법, 단말 디바이스 및 네트워크 디바이스
WO2017003357A1 (en) Device identification in interworking wlan and wide-area cellular networks
CN114731620B (zh) 调整寻呼时机以解决多sim设备处的寻呼冲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