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6065B1 -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6065B1
KR102296065B1 KR1020140127906A KR20140127906A KR102296065B1 KR 102296065 B1 KR102296065 B1 KR 102296065B1 KR 1020140127906 A KR1020140127906 A KR 1020140127906A KR 20140127906 A KR20140127906 A KR 20140127906A KR 102296065 B1 KR102296065 B1 KR 1022960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air conditioner
air conditioners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5928A (ko
Inventor
서호석
김정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KR10201401279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6065B1/ko
Publication of KR20160035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5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60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60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12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 H02J3/14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for adjusting voltage in ac networks by changing a characteristic of the network load by switching loads on to, or off from, network, e.g. progressively balanced loa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10The network having a local or delimited stationary reach
    • H02J2310/12The local stationary network supplying a household or a building
    • H02J2310/14The load or loads being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310/0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 H02J2310/50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 H02J2310/56The network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characterised by its spatial reach or by the load for selectively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loads characterised by the condition upon which the selective controlling is based
    • H02J2310/62The condition being non-electrical, e.g. temperature
    • H02J2310/64The condition being economic, e.g. tariff based load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70/00Technologies for an efficient end-user side electric power management and consumption
    • Y02B70/30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and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carbon footprint of the management of residential or tertiary loads, i.e. smart grids as 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y in the buildings sector, including also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and the control, monitoring or operating management systems at local level
    • Y02B70/3225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2Demand response systems, e.g. load shedding, peak shav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42Home appliances
    • Y04S20/244Home appliances the home appliances being or involving heating ventilating and air conditioning [HVAC]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이 개시된다.
이 시스템의 댁내 제어 장치는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원 제어 및 사용 전류 측정을 수행한다. 원격 제어 장치는 전력 거래소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댁내 제어 장치를 통한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절감된 전력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로 절감된 전력에 따라 분배한다.

Description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SYSTEM FOR MANAGING POWER DEMAND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과학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전기 장치들의 사용이 급증하고 있으며 이러한 결과로 전기 사용량 또한 급증하여 최대 전력 사용량을 뜻하는 전력 피크로 인해 예비 전력이 적정 유지선 이하로 떨어지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전력 피크에 가장 영향을 주는 가전기기는 에어콘으로, 이러한 에어컨은 실내의 냉방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는 장치로, 실내기 및 실외기 상호간에 냉매를 순환시켜 액체상태의 냉매가 기화할 때에 주위의 열을 흡수하며 액화할 때에 그 열을 방출하는 특성에 의하여 냉방 작용을 수행한다.
대부분의 대형 빌딩 및 공장 내 에어컨 및 시설들은 전기실이나 원격지에서 제어가 가능하여 전력 수요 관리가 필요한 경우 해당 에어컨들의 가동을 제어할 수 있으나 중소형 빌딩의 사무실, 상가 및 주택 내에 있는 독립형(stand alone type) 에어컨은 개별적인 제어만이 가능하여 전력 수요에 따른 관리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전력 피크에 많은 영향을 주는 독립형 에어컨들에 대한 전력 수요 관리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통해 전력 피크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은,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원 제어 및 사용 전류 측정을 수행하는 댁내 제어 장치; 및 전력 거래소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상기 댁내 제어 장치를 통한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절감된 전력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로 절감된 전력에 따라 분배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댁내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의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 전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스마트 소켓;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에 대한 전원 제어를 수행하는 에어컨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소켓 및 상기 에어컨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스마트 소켓은,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소켓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서 사용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로 소모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 여부 판단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력 산출부 및 상기 사용 여부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 사용 중인 복수의 에어컨에 대해서는 사용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을 제어하는 리모컨의 기능을 복사하여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어컨 제어부는, 기능의 복사를 하고자 하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리모컨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와 이에 대응되는 이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상기 이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으로 각각 송출하는 송신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로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기능 제어를 위한 이름 정보를 전달하고, 상기 이름 정보를 통해 상기 게이트웨이로부터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송신부를 통해 상기 이름 정보에 대응되는 신호를 상기 복수의 에어컨으로 송출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댁내 제어 장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절감부;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전력 절감된 전력 가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전력 가격 처리부; 및 상기 전력 거래소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력 절감부와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는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소모 전력량의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상기 댁내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전력 절감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력 절감된 전체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는 상기 전체 소모 전력량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 중인 에어켠별 소모 전력량의 비율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제어된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상태를 상기 스마트 소켓을 통해 재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상기 에어컨 제어부에 의해 전원 제어에 실패한 에어컨에 대해 상기 에어컨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를 재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방법은,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이 전력 거래소로부터의 전력 수요 관리 요청에 따라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에어컨의 전원을 제어하여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의 전력 수요 관리 해제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절감 제어에 의해 절감된 전력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로 절감된 전력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절감 제어의 시작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력 절감 제어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의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및 상기 전력 절감 제어의 해제 시간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에서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이 확인되는 경우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을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분배하는 단계는, 상기 전력 절감 제어의 시작 시간과 상기 전력 절감 제어의 해제 시간에 기초하여 전력 절감 제어 시간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전력 절감 제어 시간과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에 기초하여 절감된 전력을 산출하는 단계; 상기 절감된 전력의 정보를 상기 전력 거래소로 전달하여 상기 절감된 전력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 가격을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로 절감된 전력에 따라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전원을 오프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의 전원이 오프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에어컨에 대해서는 전원 오프 동작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을 온시키는 단계 후에,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의 전원이 온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전원이 온되지 않은 에어컨에 대해서는 전원 온 동작을 재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통해 전력 피크 상황에 대응이 가능한다.
또한, 전력 절감에 참여한 서비스 가입 가구에 대해서 전력 절감에 따른 전력 가격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보상을 행함으로써 전력 절감 서비스에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이 사용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스마트 소켓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에어컨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절감 제어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절감 해제 단계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이 사용되는 개념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거래소(300)의 요청에 따라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이러한 전력 수요 관리로는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사용 여부 확인,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 측정,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전원 제어,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전력 수요 관리된 시간 측정, 전력 수요 관리된 총 소모 전력량 계산, 전력 수요 관리에 따른 절감된 전력 가격의 분배 등이 있다. 여기서,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은 독립형 에어컨을 의미한다.
전력 거래소(300)는 전력 피크의 예상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에게 전력 절감을 요청하고, 전력 수요 관리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전력 절감 해제를 요청한다.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은 적어도 하나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 가입 가구(10-1, 10-2, …, 10-n)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에어컨이 하나의 서비스 가입 가구에 설치되어 있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하나의 서비스 가입 가구에 둘 이상의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어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가 적용될 수 있다.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거래소(300)의 전력 절감 요청에 따라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해서만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이 때,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추후의 전력 절감에 따른 전력량 산출을 위해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별로 소모 전력량을 측정한다.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오프(off)시켜서 사용을 중지시켜서 전력 절감을 수행하고, 전력 거래소(300)로부터의 전력 절감 해제 요청에 따라 전력 절감이 수행되고 있는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온(on)시켜서 정상 사용되도록 제어한다.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전력 절감을 위해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오프된 시간을 측정하여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을 사용하여 전력 절감된 총 소모 전력량을 계산하여 전력 거래소(300)로 전달하고, 전력 거래소(300)로부터 총 소모 전력량에 따라 전력 절담된 전력 가격을 전달받아서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의 비율에 따라 분배한다.
이러한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은 각 서비스 가입 가구(10-1, 10-2, …, 10-n)내에서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수행하는 댁내 제어 장치(110)와 원격지에서 댁내 제어 장치(110)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댁내 제어 장치(110)를 통해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하는 원격 제어 장치(120)를 포함한다.
이하, 댁내 제어 장치(110) 및 원격 제어 장치(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댁내 제어 장치(110)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여기서, 복수의 서비스 가입 가구(10-1, 10-2, …, 10-n)에 각각 설치된 댁내 제어 장치(110)는 모두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지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서비스 가입 가구(10-1)에 설치된 댁내 제어 장치(110)에 대해서만 설명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댁내 제어 장치(110)는 스마트 소켓(111), 에어컨 제어부(113) 및 게이트웨이(115)를 포함한다.
스마트 소켓(111)은 에어컨(200-1)에서 소모되는 전류 사용량을 측정하여 에어컨(200-1)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측정되는 전류 사용량을 이용하여 에어컨(200-1)의 소모 전력량을 산출한다.
이러한 스마트 소켓(111)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200-1), 특히 에어컨(200-1)의 전원 소켓에 접속되어 에어컨(200-1)에서 사용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1111), 전류 측정부(1111)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에어컨(200-1)에서 소모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1113), 전류 측정부(11111)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에어컨(200-1)의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 여부 판단부(1115) 및 게이트웨이(115)로부터의 요청에 따라 전류 측정부(1111), 전력 산출부(1113) 및 사용 여부 판단부(1115)를 제어하여 에어컨(200-1)의 사용 여부를 게이트웨이(115)로 전달하는 동시에 에어컨(200-1)이 사용 중인 경우 에어컨(200-1)에서 사용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여 게이트웨이(115)로 전달하는 제어부(1117)를 포함한다.
한편, 에어컨 제어부(113)는 에어컨(200-1)에 대한 무선 원격 제어를 수행하며, 특히 에어컨(200-1)의 전원을 온/오프 제어하여 에어컨(200-1)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러한 에어컨 제어부(113)는 사용되는 에어컨(200-1)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사용하여야 하며, 이를 위해 에어컨 제어부(113)는 에어컨(200-1)의 리모컨 기능을 복사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 제어부(113)는 에어컨(200-1)의 리모컨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저장된 신호(코드)에 이름을 붙여서 이름 정보를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20)로 전송한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120)는 이름 정보를 사용하여 에어컨 제어부(113)에게 에어컨(200-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전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전자기기를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리모컨의 기능을 복사하여 제어를 수행하는 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간단하게 설명한다.
에어컨 제어부(11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능의 복사를 하고자 하는 에어컨(200-1)의 리모콘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부(1131), 사용자에 대한 입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1132), 수신부(1131)를 통해 수신되는 신호에 대한 정보와 사용자 인터페이스(1132)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에 대응되는 이름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1133), 저장부(1133)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를 이용하여 신호를 송출하기 위한 송신부(1134), 게이트웨이(115)에게 에어컨(200-1)의 기능 제어를 위한 이름 정보를 전달하고, 이름 정보를 통해 게이트웨이(115)로부터 에어컨(200-1)에 대한 제어 명령을 수신하는 통신부(1135) 및 통신부(1135)를 통해 게이트웨이(115)와 통신을 수행하고 수신부(1131), 사용자 인터페이스(1132), 저장부(1133) 및 송신부(1134)를 제어하여 에어컨(200-1) 리모컨의 기능을 복사하여 대응되는 이름을 통해 저장하고, 저장된 이름을 사용하여 에어컨(200-1)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를 송신하는 제어부(1136)를 포함한다.
다음, 원격 제어 장치(12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원격 제어 장치(120)의 구체적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격 제어 장치(120)는 통신부(121, 123), 전력 절감부(125), 전력 가격 처리부(127) 및 제어부(129)를 포함한다.
통신부(121)는 댁내 제어 장치(11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통신부(123)는 전력 거래소(300)와의 통신을 수행한다.
전력 절감부(125)는 댁내 제어 장치(110)를 통해서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한다.
전력 가격 처리부(127)는 전력 절감부(125)를 통해 수행되는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전력 절감된 전력 가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전력 가격 처리부(127)는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소모 전력량 정보를 전력 절감부(125)를 통해 댁내 제어 장치(110)로부터 전달받는다. 또한, 전력 절감부(125)를 통해 전력 절감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 정보를 사용하여 전력 절감된 전체 소모 전력량을 산출한다. 그리고, 전체 소모 전력량에 대응되는 절감된 전력 가격에 대한 분배를 수행한다.
제어부(129)는 전력 거래소(300)의 요청에 따라 전력 절감부(125)와 전력 가격 처리부(127)를 제어하여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 중에서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여 전체적인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전력 거래소(300)는 전력 피크의 예상에 따른 전력 수요 관리가 필요한 경우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100)의 원격 제어 장치(120)에게 전력 수요 관리를 요청한다(S100).
이러한 요청에 따라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수요 관리를 위한 전력 절감 대상을 찾기 위해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스마트 소켓(111)으로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사용 여부 확인을 요청한다(S110).
따라서, 스마트 소켓(111)은 전류 측정부(1111)를 사용하여 복수의 에어컨(200-1, 200-2, …, 200-n)별로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S115)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그 확인 결과와 함께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여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20)로 전달한다(S120).
다음, 원격 제어 장치(120)는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에어컨 제어부(113)와 스마트 소켓(111)을 제어하여 스마트 소켓(111)을 통해 확인되는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한다(S130). 이러한 전력 절감 제어 단계(S130)에 대해서는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절감 제어가 시작되는 시간, 즉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오프한 시간을 측정한다(S140).
그 후, 상기한 과정(S100 ∼ S140)을 통해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가 수행되는 중에 전력 거래소(300)로부터 전력 수요 관리 해제가 요청되면(S150), 원격 제어 장치(120)는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에어컨 제어부(113)와 스마트 소켓(111)을 제어하여 전력 절감 제어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해제를 수행한다(S160). 이러한 전력 절감 해제 단계(S160)에 대해서도 추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 때,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절감이 해제되는 시간, 즉 전력 절감을 위해 전원이 오프된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온 시간(TON)을 측정한다(S170).
다음, 원격 제어 장치(120)는 상기와 같이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해 전력 절감 제어가 수행된 시간(이하, "전력 절감 시간"이라고 함), 즉,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이 전력 절감을 위해 전원이 오프되어 있던 시간(TP)을 계산한다(S180). 이러한 시간(TP)은 상기 단계(S170)에서 측정된 시간(TON)과 상기 단계(S140)에서 측정된 시간(TOFF)의 차, 즉 TP = TON - TOFF로써 계산될 수 있다.
그 후,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절감 제어된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과 상기 단계(S180)에서 계산된 전력 절감 시간을 사용하여 전력 절감 제어된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전력 절감된 소모 전력량을 계산한 후 더하여 총 전력 절감된 소모 전력량을 산출한다(S190). 여기서, 전력 절감 제어된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은 Yi [Wh] = Xi * TP (여기서, Xi는 에어컨 i의 소모 전력량임)로써 계산되고, 총 전력 절감된 소모 전력량은
Figure 112014090999061-pat00001
[Wh]로써 산출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 장치(120)는 상기 단계(S190)에서 산출된 총 전력 절감된 소모 전력량을 전력 거래소(300)로 전달하면(S200), 전력 거래소(300)는 총 전력 절감된 소모 전력량에 대한 절감된 전력 가격(Z)을 산출하여(S210) 원격 제어 장치(120)로 전달한다(S220). 여기서, 절감된 전력 가격은 Z =
Figure 112014090999061-pat00002
[Wh] * (TP 시간의 전력 시장 가격)에 의해 산출될 수 있다.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거래소(300)로부터 전달되는 절감된 전력 가격을 전력 절감 제어에 참여한 에어컨(200-1, 200-2, …, 200-n)별 소모 전력량의 비율에 따라 분배하여 해당 에어컨(200-1, 200-2, …, 200-n)을 소유하고 있는 서비스 가입 가구(10-1, 10-2, …, 10-n)에게 직접 또는 계좌 이체 등을 통해 전달한다(S230).
이와 같이, 전력 피크로 인해 전력 수요 관리가 필요한 경우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수요를 관리함으로써 전력 피크에 대응이 가능해지며, 또한,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에 가입한 서비스 가입 가구(10-1, 10-2, …, 10-n)에 대해서는 전력 절감에 따른 전력 가격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함으로써 전력 수요 관리에 대한 보상을 할 수 있게 된다.
다음, 상기한 단계(S130)인 전력 절감 제어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절감 제어 단계(S130)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20)는 상기 단계(S120)를 통해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을 확인할 수 있으므로, 사용 중인 에어컨(200-1, 200-2, …, 200-n)을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으로 삼아서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에어컨 제어부(113)로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오프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시작하라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31).
따라서, 에어컨 제어부(113)는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게 각각 전원을 오프하는 신호를 발신하여 각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오프시킨다(S132).
그 후, 에어컨 제어부(113)는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실제 오프되었는지를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15)로 전송하고(S133), 게이트웨이(115)는 이러한 확인 요청을 스마트 소켓(111)으로 전송한다(S134).
따라서, 스마트 소켓(111)은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S135)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 오프 상태를 판단한다(S136).
만약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오프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스마트 소켓(111)은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20)로 전력 절감 제어가 시작되었음을 알린다(S137).
그러나, 상기 단계(S136)에서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하나라도 오프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스마트 소켓(111)은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정보와 함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 오프를 게이트웨이(115)로 다시 요청한다(S138).
따라서, 게이트웨이(115)는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 오프 요청을 에어컨 제어부(113)로 다시 전달하고(S139), 에어컨 제어부(113)는 다시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게 각각 전원을 오프시키는 신호를 발신하여 전원을 오프시킨다(S141).
그 후, 전원이 오프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 오프 여부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상기 단계(S133)에서 상기 단계(S137)를 반복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이 모두 오프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는 반복 수행 단계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한 반복 동작에 의해서도 전원이 오프되지 않는 에어컨에 대해서는 전력 절감 제어 대상에서 제외한다.
다음, 상기한 단계(S160)인 전력 절감 해제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도 6에 도시된 전력 절감 해제 단계(S160)의 구체적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원격 제어 장치(120)는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해 수행되고 있는 전력 절감 해제를 위해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에어컨 제어부(113)로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온시키는 메시지를 전송한다(S161).
따라서, 에어컨 제어부(113)는 전력 절감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게 각각 전원을 온시키는 신호를 발신하여 각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을 온시킨다(S162).
그 후, 에어컨 제어부(113)는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실제 온되었는지를 확인 요청하는 메시지를 게이트웨이(115)로 전송하고(S163), 게이트웨이(115)는 이러한 확인 요청을 스마트 소켓(111)으로 전송한다(S164).
따라서, 스마트 소켓(111)은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S165) 사용 여부를 확인하여 그에 따른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 온 상태를 판단한다(S166).
만약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온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스마트 소켓(111)은 게이트웨이(115)를 통해 원격 제어 장치(120)로 전력 절감 해제가 완료되었음을 알린다(S167).
그러나, 상기 단계(S166)에서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이 하나라도 온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스마트 소켓(111)은 전원이 온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정보와 함께 에어컨(200-1, 200-2, …, 200-n)의 전원 온을 게이트웨이(115)로 다시 요청한다(S168).
따라서, 게이트웨이(115)는 전원이 온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 온 요청을 에어컨 제어부(113)로 다시 전달하고(S169), 에어컨 제어부(113)는 다시 전원이 온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게 각각 전원을 온시키는 신호를 발신하여 전원을 온시킨다(S171).
그 후, 전원이 온되지 않은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 온 여부를 다시 확인하기 위해 상기 단계(S163)에서 상기 단계(S167)를 반복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 대상의 에어컨(200-1, 200-2, …, 200-n)에 대한 전원이 모두 온되도록 한다. 이러한 단계는 반복 수행 단계이므로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서는 별도로 표시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에서는 에어컨을 사용하여 전력 수요 관리 서비스를 수행하는 기술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전원 온/오프 동작의 제어가 가능한 전자기기에 대해서 상기한 설명을 참조하는 경우 모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5)

  1.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원 제어 및 사용 전류 측정을 수행하는 댁내 제어 장치; 및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력 수요 관리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댁내 제어 장치로 에어컨 사용 여부 확인을 요청하고, 상기 댁내 제어 장치로부터 수신한 사용 여부 확인 결과를 기초로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사용 중인 것으로 확인되는 에어컨의 전원을 오프시키는 전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력 수요 관리 해제 요청을 수신하면, 상기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전원이 오프된 에어컨의 전원을 온시키는 전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해제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제어의 시작부터 해제까지의 전력 절감 제어 시간을 계산하고, 상기 전력 절감 제어 시간 동안 상기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절감된 전력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로 절감된 전력에 따라 분배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댁내 제어 장치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에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의 사용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사용 전류를 통해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스마트 소켓;
    상기 복수의 에어컨 각각에 대한 리모컨의 기능을 복사하여 구현되고, 상기 원격 제어 장치의 온오프 전원 제어를 수신하여, 해당 에어컨에 대한 무선 원격 제어를 수행하는 에어컨 제어부; 및
    상기 스마트 소켓과 상기 원격 제어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 그리고 상기 에어컨 제어부와 상기 원격 제어 장치 사이의 신호 전달을 수행하는 게이트웨이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컨 제어부는
    기능 제어할 에어컨의 리모컨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수신해서, 상기 기능 제어할 에어컨의 이름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기능 제어할 에어컨의 이름 정보를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 전달한 후, 상기 게이트웨이를 통해 상기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상기 기능 제어할 에어컨의 이름 정보에 대한 제어가 요청되는 경우, 상기 이름 정보에 대응되는 무선 신호를 송출해서 특정 에어컨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소켓은,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소켓에 각각 접속되어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서 사용되는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부;
    상기 전류 측정부에 의해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로 소모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전력 산출부;
    상기 전류 측정부에서 측정되는 전류량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별 사용 여부를 판단하는 사용 여부 판단부; 및
    상기 게이트웨이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류 측정부, 상기 전력 산출부 및 상기 사용 여부 판단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사용 여부를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동시에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 사용 중인 복수의 에어컨에 대해서는 사용되는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여 상기 게이트웨이로 전달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상기 댁내 제어 장치를 통해서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원을 제어하여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는 전력 절감부;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수행되는 상기 복수의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에 따라 전력 절감된 전력 가격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전력 가격 처리부; 및
    상기 전력 거래소의 요청에 따라 상기 전력 절감부와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전력 절감 제어를 수행하여 전력 수요 관리를 수행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는 사용 중인 에어컨에 대한 소모 전력량의 정보를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상기 댁내 제어 장치로부터 전달받고, 상기 전력 절감부를 통해 전력 절감 제어가 수행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 중인 에어컨별 소모 전력량의 정보를 사용하여 전력 절감된 전체 소모 전력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가격 처리부는 상기 전체 소모 전력량에 대응되는 전력 가격을 상기 전력 거래소로부터 전달받아서 상기 사용 중인 에어켠별 소모 전력량의 비율에 따라 분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웨이는 상기 에어컨 제어부에 의해 전원이 제어된 상기 복수의 에어컨의 전원 상태를 상기 스마트 소켓을 통해 재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에어컨 중에서 상기 에어컨 제어부에 의해 전원 제어에 실패한 에어컨에 대해 상기 에어컨 제어부를 통해 상기 전원 제어를 재수행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127906A 2014-09-24 2014-09-24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60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06A KR102296065B1 (ko) 2014-09-24 2014-09-24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906A KR102296065B1 (ko) 2014-09-24 2014-09-24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28A KR20160035928A (ko) 2016-04-01
KR102296065B1 true KR102296065B1 (ko) 2021-08-30

Family

ID=557992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906A KR102296065B1 (ko) 2014-09-24 2014-09-24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606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760B1 (ko) * 2010-11-12 2011-05-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대기 전력 차단용 복합 스위치
KR101133934B1 (ko) * 2010-11-09 2012-04-1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수요반응 이벤트를 이용한 전력사용량 절감시스템 및 절감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9643A (ko) * 2010-11-09 2012-05-17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전력사용량 제어용 월패드
KR101425113B1 (ko) * 2011-10-05 2014-08-01 주식회사 케이티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전자기기의 충전 대기 전력 차단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3934B1 (ko) * 2010-11-09 2012-04-13 주식회사 아이온커뮤니케이션즈 수요반응 이벤트를 이용한 전력사용량 절감시스템 및 절감방법
KR101037760B1 (ko) * 2010-11-12 2011-05-27 제일전기공업 주식회사 대기 전력 차단 시스템 및 대기 전력 차단용 복합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5928A (ko) 2016-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052946A1 (en) Home automation using a mobile device
EP2833506A1 (en) Power management device and power management system
WO2015030180A1 (ja) 空調機制御システム、センサ機器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762079B2 (en) Powe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a wireless multi-power transmission
JP5667257B1 (ja) 宅内機器、ホームシステム、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70017482A1 (en) Device management apparatus, management program update method and program
US20120274479A1 (en) Power monitoring apparatus of standby power saving type, electric load device, and power monitoring method
US11502518B2 (en) Energy management device, energy management system, and energy management method
TW201242204A (en) Power analyzer and machine control system
JP2014202542A (ja) 計測装置
JP2016116283A (ja) 需要家装置、電力消費管理装置、電力消費管理システム、電力消費管理方法および電力消費管理プログラム
KR102296065B1 (ko) 전력 수요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34294A (ko) 가전기기별 수요반응 최대 참여를 위한 스케줄링 방법 및 장치
WO2014097588A1 (ja) コントローラおよび電力管理システム
JP2002051463A (ja) 電力負荷制御システム
KR102252339B1 (ko) 공동 주택 자동 온도 조절 시스템
CN108606607B (zh) 地垫控制方法及地垫
JP6511866B2 (ja) 機器制御システム
CA2856277A1 (en) Air-conditioning control device, air-conditioning control method, and control program
JP4535042B2 (ja) デマンド制御装置、デマンド制御システム、デマンド制御方法およびデマンド制御プログラム
JP6411116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電力管理装置及び電力管理方法
JP7316879B2 (ja) 熱源装置及び冷房装置
WO2015080197A1 (ja) 操作端末、プログラム、及び方法
JP6299326B2 (ja) 機器管理装置、機器管理方法、機器管理プログラム、および機器管理システム
KR101379658B1 (ko) 무선통신 기반의 스마트 전력 제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