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985B1 - 내용물 토출 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 토출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985B1
KR102295985B1 KR1020210015309A KR20210015309A KR102295985B1 KR 102295985 B1 KR102295985 B1 KR 102295985B1 KR 1020210015309 A KR1020210015309 A KR 1020210015309A KR 20210015309 A KR20210015309 A KR 20210015309A KR 102295985 B1 KR102295985 B1 KR 1022959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ap
contents
lifting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구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2100153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598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9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985B1/ko
Priority to PCT/KR2021/019404 priority patent/WO2022169097A1/ko
Priority to JP2023547217A priority patent/JP2024506302A/ja
Priority to US18/275,774 priority patent/US20240092542A1/en
Priority to EP21924993.5A priority patent/EP4289764A1/en
Priority to CN202180092642.7A priority patent/CN116829473A/zh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for discharging drops; Dropp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A45D34/042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 A45D34/045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 A45D34/04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using a brush or the like connected to the cap of the container comprising a wip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72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the contents of a flexible bag being expelled by a piston or a movable bottom or partition provided in the container or the pack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34/04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liquid, e.g. using roller or bal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055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 B65D83/0077Containers or packages provided with a flexible bag or a deformable membrane or diaphragm for expelling the contents moves by a spring-like mechan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2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with means for metering the amount of fl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25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25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t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토출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내측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드롭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롭퍼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캡; 상기 제 1 캡의 내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펫부; 및 가압에 의해 상기 피펫부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가압부; 상기 드롭퍼부의 탈착에 따라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승강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제 1 캡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가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Description

내용물 토출 용기{DISCHARGING CONTAINER}
본 발명은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 내용물을 정량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내용물 토출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한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 회차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저장한 후 피펫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거나, 가압 펌프를 인출 수단으로 이용하는 구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한 피펫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 등으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가압 펌프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노즐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정도나, 노즐에 잔존하는 내용물 등으로 인하여 인출되는 내용물의 용량이 달라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가압 펌프는 반복되는 펌핑 동작을 위해 내부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금속 재질의 스프링이 포함되는데, 이로 인해 전체적인 제조 단가가 높아지고, 이를 다른 구성과 분리 폐기해야 하므로 재활용이 용이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기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드롭퍼부의 분리에 따라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를 포함한 버튼부를 용기의 다른 부분과 동종의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폐기 및 재활용이 용이한 내용물 토출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내용물 토출 용기가 제공된다. 상기 내용물 토출 용기는, 내용물이 내측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드롭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롭퍼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캡; 상기 제 1 캡의 내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펫부; 및 가압에 의해 상기 피펫부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가압부; 상기 드롭퍼부의 탈착에 따라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승강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제 1 캡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가압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가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동일한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롭퍼부의 분리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캡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어 상기 가압부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 사이가 제 2 이격 거리로 변화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의 상단부는 상기 가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며, 상기 승강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 1 걸림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 2 걸림 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 해제 시, 상기 제 1 걸림 돌기가 상기 제 2 걸림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압부의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에는 하단 외주면을 따라 지지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지지 테두리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는 상부보다 내경이 확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승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캡에는 상기 승강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외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승강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버튼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드롭퍼부는, 상기 제 1 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캡을 제 1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롭퍼부가 탈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상기 가압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 돌기 및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 2 캡의 내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승강 돌기의 단부가 상기 수직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캡의 회전력이 상기 버튼부에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드롭퍼부를 착탈하는 동작으로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인출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사용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버튼부를 다른 구성과 동일한 종류의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용기를 일체로 폐기 및 재활용 가능하여 보다 친환경적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부가 드롭퍼부의 분리시에만 압축 변형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용기의 보관 및 휴대 시 탄성부의 복원력이 감소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제 1 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제 1 캡과 용기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버튼부와 제 2 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제 1 캡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버튼부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제 1 캡과 용기본체의 결합 관계를 도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버튼부와 제 2 캡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1000)는, 용기본체(100) 및 드롭퍼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은 드롭퍼부(200)의 피펫부(220)에 의해 흡입 및 토출되어 사용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내용물은 액체 또는 겔 상태의 유체로서, 화장품, 의약품 또는 치약과 같은 의약외품 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피펫부(220)를 통해 흡입 및 배출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물질을 포괄할 수 있다. 또한, 용기본체(100)가 병(bottle) 타입으로 도시되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튜브(tube) 등의 다양한 타입의 용기본체(100)가 적용될 수 있다.
용기본체(100)의 상부 중앙에는 단부가 개방된 배출부(11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배출부(110)로 피펫부(220)가 삽입되며, 드롭퍼부(200)가 탈착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배출부(110)의 외면에는 나사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배출부(110)의 내측으로 와이퍼(130)가 결합될 수 있다. 와이퍼(130)는 피펫부(220)가 용기본체(100)에서 인출되는 경우, 피펫부(220)의 외주면에 묻은 내용물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와이퍼(130)에는 피펫부(2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드롭퍼부(200)는 용기본체(100)의 상부(특히, 배출부(110))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용기본체(100)에 저장된 내용물을 정량 흡입하여 외부로 토출할 수 있다. 드롭퍼부(200)는 제 1 캡(210), 피펫부(220), 실캡(230), 버튼부(240, 250, 260), 결합부(270) 및 제 2 캡(28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캡(210)은 다른 구성을 지지하고, 이하 상술되는 버튼부(240, 250, 260)의 상승 및 하강 동작을 안내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에 탈착가능히게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캡(210)의 하단 내주면에는 배출부(110)의 나사산에 대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캡(210)의 내측에는 실린더부(211)가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211)는 피펫부(220)와 연통하며, 내부 압력 변화에 따라 피펫부(220)의 내측으로 내용물을 흡입되게 하거나, 외부로 흡입된 내용물이 토출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캡(210)에는 실린더부(211)의 둘레를 따라, 실린더부(211)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감싸는 테두리부(212)가 이격 형성되며, 이러한 테두리부(212)의 외주면을 따라 가이드홈(213)이 소정의 길이로 관통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213)에는 버튼부(240, 250, 260)의 승강 돌기(252)가 삽입되어 이동하며, 이를 통해, 가이드홈(213)은 버튼부(240, 250, 260)의 상승 또는 하강을 안내할 수 있다.
실린더부(211)와 테두리부(212)의 이격된 틈을 통해 버튼부(240, 250, 260)가 수용되는 수용 공간(21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튼부(특히, 승강부(250))는 수용 공간(214) 내에 외측에서 실린더부(211)를 감싸는 형태로 수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실린더부(211)에는 적어도 하나의 이격 돌기(215)가 상하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외주면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이격 돌기(215)는 승강부(250)의 내주면을 실린더부(211)로부터 일정한 거리만큼 이격시킬 수 있다. 승강부(250)의 내주면이 실린더부(211)에 밀착될 경우 마찰력으로 인해 승강부(250)의 승강이 원활하지 못할 수 있으나, 이러한 이격 돌기(215)가 실린더부(211)와 승강부(250) 사이의 접촉 면적을 줄임으로써 서로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격 돌기(215)는 승강부(250)를 내측에서 지지함으로써, 승강부(250)의 측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캡(210)의 내측 하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돌기(216, 217)가 형성될 수 있다. 제한 돌기(216, 217)는 용기본체(100)의 상부면에 형성된 제한턱(120)에 걸림으로써, 제 1 캡(210)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임의 회전하여 분리되거나,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과도하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한 돌기(216, 217)는 상이한 높이를 가지는 제 1 돌기(216)와 제 2 돌기(217)를 포함하는 하나의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1 이상의 쌍의 제한 돌기(216, 217)가 제 1 캡(210)의 내측 하단부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며, 이에 대응하여, 제한턱(120) 또한 용기본체(100) 상부면의 상이한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제 1 돌기(216)는 제 1 캡(210)의 제 2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제 2 캡(280)과 함께 제 1 캡(210)이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제 1 캡(210)이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와 결합되게 되는데, 나사 결합의 과정에서 제 1 캡(210)의 하단부가 용기본체(100)의 상부면과 점점 근접하게 될 수 있다. 제 1 캡(210)의 하단부가 소정의 거리만큼 근접하는 경우, 제 1 캡(210)의 제 1 돌기(216)의 일 측에 형성된 수직면이 용기본체(100)의 제한턱(120)의 수직면과 밀착하게 되며, 이를 통해, 제 1 캡(210)의 제 2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는, 제 1 캡(210)에 대하여 회전력을 제공하는 버튼부(240, 250, 260)의 승강 돌기(252)에 과도한 힘이 가해짐으로써, 버튼부(240, 250, 26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 2 돌기(217)는 제 1 돌기(216)로부터 이격 형성되어 제 1 캡(210)의 제 1 방향 회전을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캡(210)이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제한턱(120)은 제 1 돌기(216)와 제 2 돌기(217)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 2 돌기(217)는 단부가 완만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제한턱(120)의 경사면과 접촉되어 제 1 방향으로 일정 이상의 회전력이 인가되는 경우에만, 제 1 캡(210)이 제 1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캡(210)이 의도하지 않은 외력에 의해 제 1 방향으로 임의 회전하여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피펫부(220)는 하단부가 개방됨으로써 토출공(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고, 상단부는 제 1 캡(210)의 실린더부(211)와 연통하여 실린더부(211)의 압력 변화에 따라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펫부(220)는 용기본체(100)와 드롭퍼부(200)의 결합시에는 배출부(110)를 통해 용기본체(100)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수용될 수 있다. 이후, 드롭퍼부(200)를 분리하기 위한 회전 조작에 따라 실린더부(211)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면 용기본체(100)로부터 내용물을 흡입할 수 있다. 또한, 피펫부(220)는 용기본체(100)로부터 드롭퍼부(200)가 완전히 분리되면, 용기본체(100)로부터 인출되며 버튼부(240, 250, 260)의 가압에 따라 실린더부(211) 내부에 양압이 형성되면 흡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실캡(230)은 실린더부(211) 내측에 배치되어, 실린더부(211)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상승 또는 하강함으로써 실린더부(211)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캡(230)은 버튼부(240, 250, 260)의 로드부(261)와 결합하여, 드롭퍼부(200)의 분리 및 결합을 위한 회전 조작에 따라 버튼부(240, 250, 260)와 함께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버튼부(240, 250, 260)는 제 1 캡(210)의 내측 상부에 실린더부(211)를 감싸도록 수용되며, 드롭퍼부(200)의 분리 또는 결합 과정에서 제 2 캡(280)과 함께 회전함으로써 승강할 수 있다. 또한, 버튼부(240, 250, 260)는 드롭퍼부(200)의 분리 시, 적어도 일부가 제 1 캡(210)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가압에 따라, 피펫부(220)로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버튼부(240, 250, 260)는 탄성부(240), 승강부(250) 및 가압부(26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부(240)는 승강부(250)와 가압부(260) 사이에 배치되어, 가압부(260)에 대하여 상측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탄성부(240)는 승강부(25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결합되되, 하단은 승강부(250)에 의해 지지되고, 상단은 가압부(2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가압부(26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면, 탄성부(240)가 압축 변형되면서 가압부(260)가 하강하며, 다시 가압 해제되면, 탄성부(240)의 탄성력에 의해 가압부(260)는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240)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탄성 변형 가능한 부재가 적용될 수 있다.
승강부(250)는 내측에 중공이 형성되도록 상하가 관통되며, 가압부(260)의 하측에 배치되어 드롭퍼부(200)의 탈착에 따라 탄성부(240) 및 가압부(260)와 일체로 승강됨으로써, 가압부(260)를 제 1 캡(210)의 외측으로 돌출시킬 수 있다.
승강부(250)에는 하단 외주면을 따라 지지 테두리(251)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지지 테두리(251)는 탄성부(240)의 하단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탄성부(240)의 내측으로 승강부(250)가 삽입됨에 따라 탄성부(240)의 하단이 지지 테두리(251)의 상측에 안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지지 테두리(251)의 상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수용홈(254)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용홈(254)은 지지 테두리(251)와 승강 돌기(252)의 연결 부위에 각각 함몰 형성되며, 탄성부(240)의 하단을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탄성부(240)의 하단이 지지 테두리(251)에 안착될 때, 수용홈(524)의 내측으로 탄성부(240)의 하단 둘레 중 적어도 일부가 수용됨으로써, 탄성부(240)의 하단이 지지 테두리(521)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특히, 탄성부(240)가 벨로우즈 타입으로 구성되는 경우, 탄성부(240)의 반복 사용에도 이러한 수용홈(254)에 의해 탄성부(240)의 하단이 외측으로 변형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탄성부(240)의 성능을 유지하고 사용 기간을 늘릴 수 있다.
승강부(250)에는 드롭퍼부(200)를 용기본체(100)와 분리 또는 결합시키고, 승강 또는 하강을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승강 돌기(252)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승강 돌기(252)는 지지 테두리(251)의 외주면에서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 돌기(252)는 지지 테두리(251)의 대향하는 양 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승강 돌기(252)는 제 1 캡(210)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213)에 각각 삽입되며, 사용자가 드롭퍼부(200)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하여 제 2 캡(280)을 제 1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가이드홈(213)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버튼부(240, 250, 260)가 일체로 상승 또는 하강되도록 할 수 있다.
승강부(250)는 상부가 가압부(260)의 내측으로 삽입됨으로써 가압부(260)와 결합되며, 적어도 일 영역이 가압부(260)의 내주면에 밀착되어 가압부(260)의 승강을 가이드할 수 있다.
승강부(250)에는 가압부(260)의 이탈을 방지하는 제 1 걸림 돌기(253)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걸림 돌기(253)는 승강부(250)의 상단 외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260)가 하강 후 가압이 해제되어 상승될 때, 제 1 걸림 돌기(253)가 가압부(260)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 2 걸림 돌기(262)에 걸림으로써 가압부(260)가 승강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260)는 드롭퍼부(200)의 분리 과정에서 외부로 적어도 일부가 노출되며, 이와 결합된 실캡(230)을 상승시켜 피펫부(220) 내부로 용기본체(100)의 내용물이 흡입되게 할 수 있다. 또한, 드롭퍼부(200)가 완전히 분리가 된 다음, 사용자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피펫부(220)의 내용물을 토출시킬 수 있다.
가압부(260)의 내측 상부면으로부터 로드부(261)가 하측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로드부(261)의 단부가 실캡(230)에 끼움 결합됨으로써, 실캡(230)과 가압부(260)가 결합될 수 있다.
가압부(260)에는 가압부(260)의 하단 내주면을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 2 걸림 돌기(262)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 돌기(262)는, 가압부(260)의 상승 시, 승강부(250)의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걸림 돌기(253)에 걸림으로써 가압부(260)가 승강부(25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260)의 하단에는 상부보다 내경이 확장되는 연장부(263)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연장부(263)는 탄성부(240)의 상단을 수용 및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승강부(250)가 가압부(260)의 하측으로 삽입되는 경우, 연장부(263)의 확장된 내경에 의해 승강부(250)의 외주면과 연장부(263) 사이에는 이격 공간이 형성되며, 이러한 이격 공간에 탄성부(240) 상단이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연장부(263)는 탄성부(240)의 상단 둘레를 외측에서 지지하여, 탄성부(240)의 반복 사용에 따라, 탄성부(240)의 상단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260)의 내측에는 탄성부(240)의 상단을 상측에서 지지하는 단턱면(264)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턱면(264)은 연장부(263)의 내경이 확장됨으로 인하여 연장부(263)의 내측 상단에 형성되며, 이러한 단턱면(264)에 탄성부(240)의 상단이 밀착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260)를 가압하면, 단턱면(264)을 통해 가압에 따른 외력이 탄성부(240)에 전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탄성부(240), 승강부(250) 및 가압부(260)는 서로 동일한 종류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240), 승강부(250) 및 가압부(260)는 각각 내용물 토출 용기(1000)의 다른 구성과 동종의 합성 수지(또는, 플라스틱) 계열의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용기를 폐기할 때, 버튼부(특히, 탄성부(240))를 다른 구성과 별도로 분리하여 폐기할 필요가 없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일 실시예에서,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의 거리는 탄성부(240)의 압축 여부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260)가 사용자에 의해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서,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는 탄성부(240)의 탄성력에 의해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이격 거리는 버튼부(240, 250, 260)의 상승 및 하강 시에 그대로 유지될 수 있다. 즉, 드롭퍼부(200)를 분리 또는 결합하기 위하여, 제 2 캡(280)을 제 1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면 버튼부(240, 250, 260)는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의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하면서, 제 1 캡(210)의 내부로부터 상승하거나, 제 1 캡(210)의 내측으로 하강할 수 있다. 한편, 드롭퍼부(200)의 분리에 의해 가압부(260)가 외부로 돌출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가압부(260)를 가압하면, 탄성부(240)가 압축됨으로써 가압부(260)가 하강하여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가 제 2 이격 거리로 변화되며, 이에 따라, 피펫부(220) 내부의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될 수 있다.
결합부(270)는 피펫부(220)를 실린더부(211)와 연통되게 제 1 캡(210)에 결합시킴과 동시에, 실린더부(211)의 하부를 밀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270)는 중앙 부분에 관통홀(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되어 피펫부(220)의 상단부가 이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상태로 결합부(270)가 실린더부(211)의 내측으로 끼움 결합됨으로써, 피펫부(220)의 상단부를 실린더부(211)와 연통시킬 수 있다.
제 2 캡(280)은 제 1 캡(210)을 감싸도록 결합되어 사용자 조작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캡(280)과 함께 버튼부(240, 250, 260) 및/또는 제 1 캡(210)이 회전함으로써 드롭퍼부(200)가 용기본체(100)와 분리 또는 결합되게 된다.
제 2 캡(280)의 내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소정의 길이의 수직홈(281)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캡(210)의 가이드홈(213)을 통과한 승강 돌기(252)의 단부가 이러한 수직홈(281)에 결합됨으로써, 제 2 캡(280)에 대한 회전력이 버튼부(240, 250, 260)에 전달되며, 이를 통해, 버튼부(240, 250, 260)는 제 2 캡(280)과 함께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제 2 캡(280)의 상단부에는 내측으로 버튼부(240, 250, 260)의 이탈을 제한하는 환형의 걸림 돌기(28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예시적 동작을 도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 내지 도 9는 드롭퍼부의 분리 동작에 대응하여 버튼부가 상승됨으로써 내용물이 피펫부로 흡입되는 동작을 도시한다.
여기서, 도 8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 1 캡(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13)은 제 2 회전 방향 측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1 홈(213a), 제 1 홈(213a)으로부터 제 1 방향으로 상향 경사진 제 2 홈(213b) 및 제 1 회전 방향 측 단부에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 3 홈(213c)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가이드홈(213)은 제 2 홈(213b) 및/또는 제 3 홈(213c)의 일 영역으로부터 제 1 캡(210)의 상단부까지 절개(또는, 관통)되어 버튼부(240, 250, 260)와 제 1 캡(210)의 조립 또는 분리를 용이하게 하는 제 4 홈(213d)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홈(213a)과 제 3 홈(213c)의 일 영역에는 사용자가 일정 이상의 회전력을 가하는 경우에만 승강 돌기(252)의 이탈이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걸림 턱(도면부호 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먼저, 도 8의 (a) 및 도 9의 (a)를 참조하면, 드롭퍼부(200)가 용기본체(10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는, 버튼부(240, 250, 260)의 승강 돌기(252)는 제 1 홈(213a)에 위치하며, 탄성부(240)가 수용 공간(214)의 하부에 안착된다. 이때, 실캡(230)은 실린더부(211)의 내측 하부에 피펫부(220)의 상단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탄성부(240)가 압축되지 않음으로 인해, 버튼부(240, 250, 260)의 가압부(260)와 승강부(250)는 하단부 사이의 거리가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이어서, 도 8의 (b) 및 도 9의 (b)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드롭퍼부(200)의 분리를 위하여 제 2 캡(280)을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버튼부(240, 250, 260)가 제 2 캡(280)과 함께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때, 제 1 캡(210)은 정지 상태를 유지하고, 승강 돌기(252)가 제 1 캡(210)의 제 1 홈(213a)을 이탈하여, 제 2 홈(213b)을 따라 제 1 방향으로 상향 이동되어 버튼부(240, 250, 260)와 실캡(230)이 함께 상승하게 된다.
이에 따라, 실린더부(211) 및 피펫부(220) 내부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고, 용기본체(100)에 수용된 내용물이 피펫부(220)에 흡입된다. 한편, 이 경우, 가압부(260)는 점차 제 2 캡(280) 외부로 돌출된다. 버튼부(240, 250, 260)의 상승 과정에서도,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는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제 2 캡(280)을 사용자가 계속해서 제 1 방향으로 회전하면, 승강 돌기(252)는 제 2 홈(213b)의 끝까지 상향 이동한 이후 제 3 홈(213c) 내측으로 수용된다. 이후, 승강 돌기(252)는 제 3 홈(213c)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이를 가압함으로써 회전력을 제 1 캡(210)에 전달하게 되며, 제 1 캡(210)이 제 2 캡(280)과 함께 제 1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로부터 분리(즉, 나사 결합의 해제)된다.
이때, 제 3 홈(213c)에 수용된 승강 돌기(252)에 의해 승강부(250)가 지지되므로, 탄성부(240)는 가압부(260)에 대하여 상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가압부(260)를 가압하면, 탄성부(240)가 압축되어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가 제 2 이격 거리로 변화하고, 피펫부(220)에 흡입된 내용물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사용자가 드롭퍼부(200)의 결합을 위하여 제 2 캡(280)을 제 2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승강 돌기(252)는 상기와 반대로 동작하여, 제 3 홈(213c)으로부터 제 2 홈(213b)을 거쳐 제 1 홈(213a)으로 수용되며, 이러한 과정에서 버튼부(240, 250, 260) 및 실캡(230)이 다시 하강될 수 있다. 이후, 승강 돌기(252)는 제 1 홈(213a)의 단부면에 접촉하여 이를 가압함으로써 회전력을 제 1 캡(210)에 전달하게 되며, 제 1 캡(210)이 제 2 캡(280)과 함께 제 2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에 나사 결합된다. 버튼부(240, 250, 260)의 하강 과정에서 또한, 가압부(260)의 하단부와 승강부(250)의 하단부 사이는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한다.
이와 같이, 승강 돌기(252)가 가이드홈(213)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현함으로써, 버튼부(240, 250, 260)의 상승 또는 하강을 보다 안정적으로 수행하고, 외력에 의해 가압부(260)가 가압되어 내용물이 의도치 않게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 토출 용기의 사용 예시를 도시한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드롭퍼부(200)가 용기본체(100)와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제 2 캡(280)을 제 1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260)를 외부로 돌출시킴과 동시에 피펫부(220) 내부로 내용물을 흡입하고, 제 1 캡(210)의 나사 결합을 해제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0의 (c)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피펫부(220)를 용기본체(100)로부터 인출하고, 가압부(260)를 가압함으로써, 피펫부(220)에 흡입된 내용물을 적용 부위에 토출시킬 수 있다.
한편, 내용물의 사용을 완료하면, 사용자는 피펫부(220)를 용기본체(100)에 다시 삽입하고, 제 2 캡(280)을 제 2 방향으로 회전하여, 가압부(260)를 제 2 캡(280) 내측으로 수용시키고, 제 1 캡(210)을 용기본체(100)의 배출부(110)에 나사 결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용기본체 110: 배출부
120: 제한턱 130: 와이퍼
200: 드롭퍼부 210: 제 1 캡
211: 실린더부 212: 테두리부
213: 가이드홈 213a: 제 1 홈
213b: 제 2 홈 213c: 제 3 홈
213d: 제 4 홈 215: 이격 돌기
214: 수용 공간 216, 217: 제한 돌기
220: 피펫부 230: 실캡
240: 탄성부 250: 승강부
251: 지지 테두리 252: 승강 돌기
253: 제 1 걸림 돌기 254: 수용홈
260: 가압부 261: 로드부
262: 제 2 걸림 돌기 263: 연장부
264: 단턱면 270: 결합부
280: 제 2 캡 281: 수직홈
1000: 내용물 토출 용기

Claims (10)

  1. 내용물 토출 용기로서,
    내용물이 내측에 수용되는 용기본체; 및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용기본체의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하는 드롭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드롭퍼부는,
    상기 용기본체의 상부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 1 캡;
    상기 제 1 캡의 내측에 결합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용기본체의 내측으로 수용되어 내용물을 흡입하는 피펫부; 및
    가압에 의해 상기 피펫부의 내부 압력을 변화시켜 내용물을 토출시키는 가압부; 상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내측에 결합되며, 상기 드롭퍼부의 탈착에 따라 상기 가압부와 일체로 승강되어 상기 가압부를 상기 제 1 캡의 외측으로 돌출시키는 승강부; 및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에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안착됨으로써 상기 가압부와 상기 승강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해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버튼부를 포함하며,
    상기 버튼부는 상기 탄성부에 의해 상기 가압부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가 제 1 이격 거리를 유지하는 상태로 승강하되, 상기 드롭퍼부의 분리에 따라 상기 가압부가 상기 제 1 캡의 상측으로 돌출되며, 상기 가압부를 가압함에 따라 상기 승강부의 상단부가 상기 가압부의 내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탄성부가 압축되어 상기 가압부의 하단부와 상기 승강부의 하단부 사이가 제 2 이격 거리로 변화하는, 내용물 토출 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 상기 승강부 및 상기 탄성부는 동일한 종류의 재질로 형성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의 상단 외주면에는 제 1 걸림 돌기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가압부의 하단 내주면에는 제 2 걸림 돌기가 내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가압부에 대한 가압 해제 시, 상기 제 1 걸림 돌기가 상기 제 2 걸림 돌기에 걸림으로써 상기 가압부의 이탈이 방지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하단 외주면을 따라 지지 테두리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는 벨로우즈(bellows) 타입으로 형성되어 상기 지지 테두리의 상측에 안착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의 하단에는 상부보다 내경이 확장되는 연장부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부의 상단이 상기 연장부의 내주면과 상기 승강부의 외주면 사이의 이격 공간에 수용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승강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제 1 캡에는 상기 승강 돌기가 각각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외주면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상기 승강 돌기가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버튼부가 상승 또는 하강하는, 내용물 토출 용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롭퍼부는,
    상기 제 1 캡을 감싸도록 결합되며, 상기 버튼부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 2 캡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 2 캡을 제 1 방향으로 또는 상기 제 1 방향과 반대되는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드롭퍼부가 탈착 가능한, 내용물 토출 용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내용물을 토출하기 위한 상기 가압부에 대한 사용자의 가압 시, 상기 탄성부가 상기 가압부에 대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상기 승강부는 상기 승강 돌기 및 상기 가이드홈에 의해 지지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캡의 내면에는 상하 방향으로 수직홈이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홈을 통과한 상기 승강 돌기의 단부가 상기 수직홈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 2 캡의 회전력이 상기 버튼부에 전달되는,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0210015309A 2021-02-03 2021-02-03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2959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09A KR102295985B1 (ko) 2021-02-03 2021-02-03 내용물 토출 용기
PCT/KR2021/019404 WO2022169097A1 (ko) 2021-02-03 2021-12-20 내용물 토출 용기
JP2023547217A JP2024506302A (ja) 2021-02-03 2021-12-20 内容物吐出容器
US18/275,774 US20240092542A1 (en) 2021-02-03 2021-12-20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EP21924993.5A EP4289764A1 (en) 2021-02-03 2021-12-20 Container for discharging contents
CN202180092642.7A CN116829473A (zh) 2021-02-03 2021-12-20 内装物排出容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309A KR102295985B1 (ko) 2021-02-03 2021-02-03 내용물 토출 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5985B1 true KR102295985B1 (ko) 2021-09-01

Family

ID=77779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309A KR102295985B1 (ko) 2021-02-03 2021-02-03 내용물 토출 용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092542A1 (ko)
EP (1) EP4289764A1 (ko)
JP (1) JP2024506302A (ko)
KR (1) KR102295985B1 (ko)
CN (1) CN116829473A (ko)
WO (1) WO202216909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97A1 (ko) * 2021-02-03 2022-08-1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WO2024058352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용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563U (ko) * 2011-06-03 2012-12-12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215420B1 (ko) * 2011-06-30 2012-12-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80002602U (ko) * 2017-02-22 2018-08-30 주식회사 탭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128583B1 (ko) * 2020-01-03 2020-07-08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76379B1 (en) * 2010-06-07 2014-06-25 L'Oréal Packaging and applicator device using a pipette
KR102295985B1 (ko) * 2021-02-03 2021-09-01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08563U (ko) * 2011-06-03 2012-12-12 (주)아모레퍼시픽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1215420B1 (ko) * 2011-06-30 2012-12-26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20180002602U (ko) * 2017-02-22 2018-08-30 주식회사 탭코리아 출몰식 작동버튼을 가지는 스포이드형 화장품용기
KR102128583B1 (ko) * 2020-01-03 2020-07-08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69097A1 (ko) * 2021-02-03 2022-08-1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WO2024058352A1 (ko) * 2022-09-15 2024-03-2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829473A (zh) 2023-09-29
JP2024506302A (ja) 2024-02-13
WO2022169097A1 (ko) 2022-08-11
US20240092542A1 (en) 2024-03-21
EP4289764A1 (en) 2023-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28583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295985B1 (ko) 내용물 토출 용기
EP3954248B1 (en) Cosmetic container capable of adjusting discharging amount
KR101785716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KR102011701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AU2011246852A1 (en) Bottle accessory for attaching a retractable spout to a bottle using a cap
KR102265177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11338968B2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KR102271374B1 (ko) 펌프 조립체
KR102368660B1 (ko) 내용물 용기
KR102482672B1 (ko) 화장품 용기
JP2013230838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KR102306251B1 (ko) 내용물 용기
KR102137560B1 (ko) 버튼 출몰식 용기
KR102528252B1 (ko) 화장품 오토 드로퍼
KR102631431B1 (ko) 회전에 의해 헤드부가 승강하는 내용물 용기
CN220501458U (zh) 一种按压式滴管装置
CN210634892U (zh) 一种前端按压出液瓶
CN216003443U (zh) 瓶盖及瓶体
KR20170049112A (ko) 피펫에 홀이 마련된 화장품 드로퍼
CN108861022B (zh) 防兜酒瓶盖
KR20230129671A (ko) 내용물 용기
KR200485165Y1 (ko) 액체 배출용기
CN117125345A (zh) 滴管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