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15420B1 -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 Google Patents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15420B1
KR101215420B1 KR1020110064269A KR20110064269A KR101215420B1 KR 101215420 B1 KR101215420 B1 KR 101215420B1 KR 1020110064269 A KR1020110064269 A KR 1020110064269A KR 20110064269 A KR20110064269 A KR 20110064269A KR 101215420 B1 KR101215420 B1 KR 101215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ontents
coupling bracket
piston
but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6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수진
Original Assignee
(주)연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연우 filed Critical (주)연우
Priority to KR102011006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15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15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15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1/00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51/24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 B65D51/32Clos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r co-operating with auxiliary devices for non-closing purposes with brushes or rods for applying or stirring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는,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본체(100);와, 중심부에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투입구(110)에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220)가 구비되는 와이퍼(200);와, 상기 와이퍼(110)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0)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상기 관통공(210)에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스포이드파이프(310)가 마련된 중간체(300);와, 상기 중간체(300)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220)와 끼워져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구비되는 회전체(400);와,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과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61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지지턱(620)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피스톤(630)이 설치되는 버튼부(600);와, 상기 회전체(400)와 중간체(300) 및 버튼부(600)의 외부를 감싼 채로 상기 투입구(110)의 외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400)의 회전시 제1결합브라켓(4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연장부(710)와, 중공(7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710)에 연결되되, 하부는 상기 중간체(300)와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30)이 수용되는 실린더(720)가 구비되는 내캡(700);과, 상기 연장부(710)의 상면과 상기 지지턱(6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60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에 결합된 캡의 회전시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상승되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흡입관을 매개로 내용물을 정량 흡입했다가 사용시 사용자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므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Dispenser for liquid container}
본 발명은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용기본체에 결합된 캡의 회전시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상승되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흡입관을 매개로 내용물을 정량 흡입했다가 사용시 사용자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므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이 크림 등 한번에 소량을 사용하되 정확하게 정량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 화장품 등 액체 상태의 내용물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기존에는 각 사용회차마다 사용할 양만큼 캡슐 등의 형태로 개별포장하는 방식이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은 사용자가 내용물을 사용한 후에도 비교적 많은 양이 캡슐 내부에 남아있게 되므로, 극히 비효율적이라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개별 포장 방식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내용물을 용기에 수용한 후 일반적인 스포이드나 주사기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거나 푸쉬 펌프(push pump)의 구성을 가지는 인출수단을 사용하여 사용할 때 마다 내용물을 인출하여 사용하는 구성이 고안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인 스포이드 구조의 인출 수단의 경우 고무로 된 압착부를 사용자가 누르는 정도에 따라 흡입되어 인출되는 양이 변동되므로, 사용할 때마다 정확하게 일정량을 인출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주사기 구조의 인출 수단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1㎖ 내외의 극소량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인 점을 고려할 때, 주사기의 지름을 극히 작게 하거나 주사기 피스톤의 스트로크를 극히 작게 하는 등의 구성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물론, 내용물을 인출하기 위하여 주사기의 피스톤을 잡아당겨 내용물을 흡입한 후 다시 주사기의 피스톤을 밀어 내용물을 인출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본체에 결합된 캡의 회전시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상승되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흡입관을 매개로 내용물을 정량 흡입했다가 사용시 사용자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므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는,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본체(100);와, 중심부에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투입구(110)에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220)가 구비되는 와이퍼(200);와, 상기 와이퍼(110)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0)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상기 관통공(210)에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스포이드파이프(310)가 마련된 중간체(300);와, 상기 중간체(300)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220)와 끼워져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구비되는 회전체(400);와,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과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61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지지턱(620)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피스톤(630)이 설치되는 버튼부(600);와, 상기 회전체(400)와 중간체(300) 및 버튼부(600)의 외부를 감싼 채로 상기 투입구(110)의 외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400)의 회전시 제1결합브라켓(4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연장부(710)와, 중공(7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710)에 연결되되, 하부는 상기 중간체(300)와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30)이 수용되는 실린더(720)가 구비되는 내캡(700);과, 상기 연장부(710)의 상면과 상기 지지턱(6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60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버튼부(600)는 상기 회천체(400)의 상승시 상기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피스톤(630)으로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상기 스포이드파이프(310)으로 흡입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파이프(630)에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내캡(700)의 외부에 결합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버튼부(600)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외캡(8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본체에 결합된 캡의 회전시 상승되고 이와 동시에 상승되는 피스톤이 구비되어 흡입관을 매개로 내용물을 정량 흡입했다가 사용시 사용자의 버튼부를 가압하는 동작에 의해 흡입관으로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므로 별도의 조작을 하지 않아도 간단하게 내용물을 일정량 토출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내캡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초기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회전체가 상승하여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로 흡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회전체가 상사점까지 이동되어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에 흡입된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사용이 완료된 후 용기본체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내캡의 내부를 보인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초기상태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회전체가 상승하여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로 흡입되는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회전체가 상사점까지 이동되어 내용물이 스포이드파이프에 흡입된 상태의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사용이 완료된 후 용기본체에 삽입되는 모습을 보인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는, 용기본체(100), 와이퍼(200), 중간체(300), 회전체(400), 스프링부재(500), 버튼부(600) 및 내캡(700)이 포함되며, 투입구(110), 관통공(210), 가이드돌기(220), 스포이드파이프(310), 가이드홈(410), 제1결합브라켓(420), 제2결합브라켓(610), 지지턱(620), 피스톤(630), 연장부(710), 실린더(720), 중공(721) 및 외캡(80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용기본체(100)는 내용물이 수용되는 부재로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는 내용물이 투입되는 투입구(110)가 돌출형성되되, 이 투입구(110)에는 감싼채로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는 와이퍼(200)가 설치된다.
상기 와이퍼(2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과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입구(110)의 상부를 감싼채로 용기본체(100)의 내부로 연장형성되도록 설치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와이퍼(200)는 연질의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되며, 관통공(210)과 가이드돌기(220)가 포함된다.
상기 관통공(210)은 와이퍼(20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통공인데, 이러한 관통공(210)은 후술할 스포이드파이프(310)가 삽입 또는 인출되는 통공이며, 스포이드파이프(310)의 외주면에 묻어 있는 내용물을 쓸어내리도록 스포이드파이프(310)의 외주면과 밀착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220)는 상부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되는 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가 서로 마주보게 배치되며, 이러한 가이드돌기(220)에는 후술할 회전체(400)의 가이드홈(410)과 결합되어 회전체(4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중간체(300)는 상술한 와이퍼(200)의 상부 개구에 끼워지는 관형상의 부재로서, 이러한 중간체(300)는 상기 관통공(210)과 연통되며, 스포이드파이프(310)가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관통되듯이 결합되는데, 상기 스포이드파이프(310)는 후술할 피스톤(630)에 의해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매개체 역할을 한다.
상기 회전체(400)는 중간체(300)의 외부에 구비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회전체(4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부재로서, 상면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돌출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돌기(220)와 끼워지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된다.
상기와 같은 가이드홈(410)은 가이드돌기(220)에 끼워져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 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데, 이러한 가이드홈(410)은 가이드돌기(220)가 끼워지도록 하측 단부가 개방된 개방부(411)와, 이 개방부(411)와 연속되되, 상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부(412)와, 이 경사부(412)와 연속되되, 수평하게 형성되는 수평부(413)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말하면, 상기 경사부(412)에 의해 회전체(400)가 회전되면서 승하강되며, 상기 수평부(413)는 회전체(400)가 회전만 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회전체(400)의 상면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제1결합브라켓(420)은 후술할 내캡(700)의 내부에 구비된 연장부(710)에 끼워져 결합되되, 연장부(710)의 측면과 제1결합브라켓(420)의 측면이 맞닿게 결합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외캡(800)을 회전시키면 회전체가 동일방향으로 회전되며, 가이드홈(410)의 형상을 따라 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버튼부(60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버튼부(600)는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체(400)와 결합되는데, 이러한 버튼부(600)의 하부에는 상기 회전체(400)에 구비된 제1결합브라켓(420)과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6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600)의 외주면을 따라 지지턱(620)이 돌출형성되는데, 이러한 지지턱(620)의 하면에는 스프링부재(500)의 상측 단부와 맞닿아 후술할 연장부(710)에 의해 하측 단부가 고정된 스프링부재(500)의 탄성을 전달받아 상방향으로 가압된다.
즉, 상기와 같은 제1결합브라켓(420)과 제2결합브라켓(610)의 결합은 상방향으로 탄성력이 작용되는 후술할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버튼부(600)가 회전체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버튼부(600)가 상승되면, 버튼부(60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630)도 함께 상승되어 스포이드파이프(310)를 매개로 용기본체(10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한다.
상기 내캡(700)은 상술한 중간체(300), 회전체(400) 및 버튼부(600)의 외부를 감싼 채로 투입구(110)의 외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이러한 내캡(700)의 내주면에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장부(710)가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연장형성되되, 상기 연장부(710)는 양측에서 서로 마주보게 돌출형성된다.
또한, 상기와 같은 연장부(710)에 의해 내캡(700)의 내부에는 상하방향의 공간인 슬롯(701)이 형성되는데, 이러한 슬롯(701)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하측으로부터 관통되어 제2결합브라켓(610)과 결합되며, 제1결합브라켓(420)으로 사용자의 외력을 전달하여 회전체(400)의 회전되는 각도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체(400)가 90도 회전되도록 가이드홈(410)과 연장부(710)가 제작되는 것도 좋을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양측에서 연장형성되는 연장부(710)의 단부에는 중앙에 중공(721)이 형성된 실린더(720)가 연결되는데, 상기 실린더(720)의 하부는 상술한 중간체(300)의 상부와 연결되며, 내부에는 피스톤(630)이 삽입되어 승하강되고, 상부는 버튼부(600)에 의해 밀폐되도록 버튼부(600)의 내벽에 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프링부재(500)는 연장부(710)의 상면과 지지턱 사이에 설치되어 회전체(400)의 승하강에 따라 탄성이 증감되는 부재로서, 상기 회전체(400)의 상승시 탄성력에 의해 버튼부(600)를 상부로 밀어올리는 역할을 한다.
상기 외캡(800)은 상술한 내캡(700)의 외부에 결합되는 부재로서, 상면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버튼부(600)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면이 개구되는데, 외캡(800)과 내캡(700)이 동시에 회전되도록 2곳 이상에서 고정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의 사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외캡(800)을 도 3의 상태, 즉, 초기상태에서 왼손으로 용기본체(100)를 움켜쥐고 오른손으로는 외캡(800)을 가압하여 회전체를 일측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여기서, 상기 외캡(800)과 내캡(700)은 예컨대, 실리콘과 같은 연질의 합성수지로 제작되어 조작시 그립감이 향상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회전체(400)를 회전시키면, 회전체(400)는 가이드홈(410)의 형상을 따라 회전되면서 상승하며, 이와 동시에 스프링부재(500)의 탄성에 의해 버튼부(600)도 상승하게 된다.
이때, 버튼부(600)의 내부에 설치된 피스톤(630) 또한 동시에 상승되면서 스포이드파이프(310)를 매개로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하면서 도 4와 도 5의 상태로 진행되며, 도 5의 상태는 흡입이 완료된 상태이다.
상기와 같이 내용물의 흡입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외캡(800)을 움켜쥐고 상측으로 잡아당기면 용기본체(100)로부터 와이퍼(200)를 제외한 본 발명의 모든 구성요소들이 분리되며, 사용자는 버튼부(600)를 가압하여 스포이드파이프(310)에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여 사용한다.
상기 버튼부(600)를 사용자가 하방향으로 가압하면,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버튼부(6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버튼부(600)가 하방향으로 이동되면 이와 동시에 피스톤(630)이 실린더(720)의 내부에서 하향이동되면서 압력이 발생되어 스포이드파이프(310)에 흡입된 내용물을 외부로 토출하며, 이렇게 토출된 내용물을 사용자가 사용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부(600)를 가압하는 사용자의 외력이 소멸되면 버튼부(600)는 스프링부재(500)의 탄성력에 의해 상방향으로 이동되며, 사용자는 외캡(800)을 움켜쥔 채로 스포이드파이프(310)를 와이퍼(200)에 형성된 관통공(210)으로 삽입하여 결합한다.
이후, 외캡(800)을 잡고 타측으로 회전시키면 초기상태인 도 3의 상태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회전체(400)의 회전각이 가이드홈(410)에 의해 설정되므로 사용자는 항상 일정한 내용물을 흡입 및 토출할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라 할 것이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용기본체 110-투입구
200-와이퍼 210-관통공
220-가이드돌기
300-중간체 310-스포이드파이프
400-회전체 410-가이드홈
411-개방부 412-경사부
413-수평부 420-제1결합브라켓
500-스프링부재
600-버튼부 610-제2결합브라켓
620-지지턱 630-피스톤
700-내캡 701-슬롯
710-연장부 720-실린더
721-중공
800-외캡

Claims (3)

  1. 내부에 내용물이 보관되는 용기본체(100);와
    중심부에는 관통공(210)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용기본체(100)의 투입구(110)에 설치되되, 외주면에는 가이드돌기(220)가 구비되는 와이퍼(200);와
    상기 와이퍼(110)의 상부 개구에 끼워져 결합되되, 상기 관통공(210)과 연통되며, 하부에는 상기 관통공(210)에 끼워져 상기 용기본체(100)의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흡입하는 스포이드파이프(310)가 마련된 중간체(300);와
    상기 중간체(300)의 외부에 구비되되, 상기 가이드돌기(220)와 끼워져 회전됨과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가이드홈(410)이 구비되며, 상면에는 제1결합브라켓(420)이 구비되는 회전체(400);와
    하부에는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과 결합되는 제2결합브라켓(610)이 구비되되, 외주면에는 지지턱(620)이 구비되며, 내부에는 피스톤(630)이 설치되는 버튼부(600);와
    상기 회전체(400)와 중간체(300) 및 버튼부(600)의 외부를 감싼 채로 상기 투입구(110)의 외부에 결합되되, 내주면으로부터 중앙으로 연장형성되며, 상기 제1결합브라켓(420)이 결합되어 상기 회전체(400)의 회전시 제1결합브라켓(420)의 회전을 제어하는 연장부(710)와, 중공(721)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연장부(710)에 연결되되, 하부는 상기 중간체(300)와 연결되고, 내부에는 상기 피스톤(630)이 수용되는 실린더(720)가 구비되는 내캡(700);과
    상기 연장부(710)의 상면과 상기 지지턱(620)의 하면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버튼부(600)를 상측으로 가압하는 스프링부재(50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600)는 상기 회천체(400)의 상승시 상기 스프링부재(500)에 의해 상승하여 상기 피스톤(630)으로 상기 용기본체(100) 내부에 보관된 내용물을 상기 스포이드파이프(310)로 흡입하고, 사용자의 가압에 의해 상기 스포이드파이프(630)에 흡입된 내용물을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식 스포이드 용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캡(700)의 외부에 결합되며, 사용자로 하여금 상기 버튼부(600)의 접근이 허용되도록 상면이 개구된 외캡(80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20110064269A 2011-06-30 2011-06-30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215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269A KR101215420B1 (ko) 2011-06-30 2011-06-30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64269A KR101215420B1 (ko) 2011-06-30 2011-06-30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15420B1 true KR101215420B1 (ko) 2012-12-26

Family

ID=47908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64269A KR101215420B1 (ko) 2011-06-30 2011-06-30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1542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209B1 (ko) 2011-11-30 2013-09-25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WO2014171737A1 (ko) * 2013-04-16 2014-10-23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572007B1 (ko) 2015-09-15 2015-11-25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20150134160A (ko) * 2014-05-21 2015-12-01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KR102295985B1 (ko) * 2021-02-03 2021-09-01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333337B1 (ko) * 2021-07-14 2021-12-02 (주)민진 에코 오토드롭퍼
EP3932250A1 (en) 2020-06-30 2022-01-05 Taesung Industrial Co., Ltd. Fixed-quantity pumping cap structure for dropper
WO2022041234A1 (en) * 2020-08-31 2022-03-03 L'oreal Dosage control dropp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262A (ja)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200453126Y1 (ko)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5262A (ja) 1998-09-25 2000-04-04 Shiseido Co Ltd スポイト付きキャップ
KR200453126Y1 (ko) 2010-07-23 2011-04-13 주식회사 에프에스코리아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209B1 (ko) 2011-11-30 2013-09-25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WO2014171737A1 (ko) * 2013-04-16 2014-10-23 (주)연우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US9675160B2 (en) 2013-04-16 2017-06-13 Yonwoo Co., Ltd.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KR20150134160A (ko) * 2014-05-21 2015-12-01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KR101599612B1 (ko) 2014-05-21 2016-03-14 펌텍코리아 (주) 내용물 정량 인출 사용이 가능한 용기캡
WO2017047956A1 (ko) * 2015-09-15 2017-03-23 이영주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KR101572007B1 (ko) 2015-09-15 2015-11-25 황재광 자동 충전 스포이트형 화장품 용기
EP3932250A1 (en) 2020-06-30 2022-01-05 Taesung Industrial Co., Ltd. Fixed-quantity pumping cap structure for dropper
WO2022041234A1 (en) * 2020-08-31 2022-03-03 L'oreal Dosage control dropper
KR102295985B1 (ko) * 2021-02-03 2021-09-01 (주)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WO2022169097A1 (ko) * 2021-02-03 2022-08-11 주식회사 연우 내용물 토출 용기
KR102333337B1 (ko) * 2021-07-14 2021-12-02 (주)민진 에코 오토드롭퍼
WO2023286913A1 (ko) * 2021-07-14 2023-01-19 (주)민진 에코 오토드롭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420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CN110177481B (zh) 滴式化妆品容器
KR101083262B1 (ko) 정량인출이 가능한 스포이드와 이를 구비하는 화장품 용기
EP3147235B1 (en) Fixed quantity discharge device for liquid container
KR101192176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6402944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KR10131120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6344393B2 (ja) スポイト型化粧品容器
KR101406893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JP5278923B2 (ja) ポンピング式化粧品容器
US20100006606A1 (en) Pumping device with collapsible nozzle
KR102171859B1 (ko) 버튼 출몰식 화장품 용기
KR101152159B1 (ko) 액체용기용 정량 토출장치
KR101785716B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7032562B2 (ja) 液体容器用定量吐出装置
KR101328457B1 (ko) 잔류량 사용을 위한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5938828B2 (ja) 定量引出及び吐出が可能なスポイトを備える化粧品容器
KR20140003260U (ko) 토출 조절수단이 결합된 스포이드 화장용기
KR10115406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KR101688618B1 (ko) 이종 내용물 혼합용기
KR200480956Y1 (ko) 정량 토출구조를 갖는 화장품용 디스펜서
CN204599693U (zh) 具有叶脉形状的滴管式化妆品容器
US8640927B2 (en) Dosing-device
KR101239027B1 (ko) 자동 충전 스포이드
JP5883666B2 (ja) カップ型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7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