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5196B1 -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 Google Patents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5196B1
KR102295196B1 KR1020197018276A KR20197018276A KR102295196B1 KR 102295196 B1 KR102295196 B1 KR 102295196B1 KR 1020197018276 A KR1020197018276 A KR 1020197018276A KR 20197018276 A KR20197018276 A KR 20197018276A KR 102295196 B1 KR102295196 B1 KR 102295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p
golf club
front portion
weigh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89186A (ko
Inventor
3세 윈스턴 에이치. 브리든
닉 디. 지아나티
데이비드 드라보스키
Original Assignee
윈스턴 프로덕츠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윈스턴 프로덕츠 엘엘씨 filed Critical 윈스턴 프로덕츠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89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891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5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5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53/00Golf clubs
    • A63B53/14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22Adjustable handles
    • A63B60/24Weighted hand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0/00Details or accessories of gol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60/06Handles
    • A63B60/16Caps; Ferru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olf Clubs (AREA)

Abstract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보어를 각각 갖는 그립부 및 그립부와 인접한 정면부를 갖는 골프 클럽 그립이 제공된다. 정면부는 가중되어 가중된 골프 그립을 제공하며, 가중된 골프 그립은 골퍼의 손 아래쪽에 무게를 구비하여 골프 클럽의 헤드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골프 클럽 그립은 전체 무게를 가지며 그립의 정면부는 전체 무게의 30% 이상인 무게를 갖는다.

Description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이 출원은 이에 본원에서 참조로서 포함되는, 2016년 11월 2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26,731호, 2017년 4월 4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81,447호, 2017년 4월 7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483,073호, 2017년 5월 5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02,252호, 2017년 5월 8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03,168호, 2017년 7월 2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제62/535,095호의 이익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그립(grip)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퍼터(putter)를 위한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에 관한 것이다.
골프 클럽 그립, 그리고 특히 퍼터 그립은 다양한 형상 및 크기로 제공될 수 있다. 퍼터 그립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shaft) 상에 장착되고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골퍼(golfer)는 그녀의 손을 퍼터 그립 상에 위치시킬 때, 전통(traditional), 레프트 핸드 로우(left-hand low), 소(saw), 및 클로(claw)와 같은 다양한 그립 배치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한 보어(bore)를 각각 갖는 그립부 및 그립부와 인접한 정면부를 갖는 골프 클럽 그립을 제공한다. 정면부는 가중되어 가중된 골프 그립을 제공하며, 가중된 골프 그립은 골퍼의 손 아래쪽에 무게를 구비하여 골프 클럽의 헤드(head)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킨다. 골프 클럽 그립은 전체 무게를 가지며 그립의 정면부는 전체 무게의 30% 이상의 무게를 갖는다.
한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제1 단부에서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갖는 그립부, 그립부의 제2 단부와 인접한 배면부, 및 제1 단부에서 그립부와 인접한 정면부를 갖는 정면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용 그립이 제공되며, 정면부는 제1 및 제2 단부와 정면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가져서 골프 클럽의 샤프트가 보어를 통해 그리고 그립부의 보어 내로 연장되게끔 구성되고, 그립의 전체 무게는 제1 무게이며, 정면부는 제1 무게의 30% 이상인 제2 무게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 중에 골퍼의 손이 파지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그립부와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 있는 정면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용 그립이 제공되며, 그립부와 정면부는 그립의 길이를 형성하고, 길이는 하부 1/3, 상부 1/3, 및 하부 1/3과 상부 1/3 사이의 중앙부 1/3을 포함하며, 하부 1/3은 골프 클럽의 헤드와 중앙부 1/3 및 상부 1/3 사이에 있고, 그립의 하부 1/3의 무게는 그립의 중앙부 1/3 및 상부 1/3의 통합 무게보다 크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단부를 갖고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갖는 그립부, 및 골프 클럽에 부착될 때 정면부가 그립부와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 있도록 그립부의 제1 단부에 있는 정면부를 포함하고, 정면부는 정면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면서 그립부의 보어와 연통하는 보어를 갖는 골프 클럽용 그립이 제공되며, 그립의 전체 무게는 제1 무게이고, 정면부는 제1 무게의 30% 이상인 제2 무게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 중에 골퍼의 손이 파지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그립부 및 그립부와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서 그립부에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정면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용 그립이 제공되며, 그립의 전체 무게는 제1 무게이고, 정면부는 제1 무게의 30% 이상인 제2 무게이며, 이로써 골퍼의 손 아래의 그립을 가중시킨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클럽의 샤프트에 장착되는 골프 클럽 그립을 갖는 골프 클럽 상에 가중된 정면부를 장착하는 방법이 제공되며, 그립은 제1 무게를 갖고 정면부는 제1 무게 이상인 제2 무게를 갖는다. 그 방법은 그립과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서 그립에 정면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추가적인 실시예에서, 퍼터 스윙(swing) 시 방향 및 가속 불일치를 완화시키는 방법이 제공된다. 그 방법은 퍼터 그립을 하부 1/3, 상부 1/3, 및 하부 1/3과 상부 1/3 사이의 중앙부 1/3로 3등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부 1/3은 퍼터의 버트 엔드(butt end)를 형성하고 하부 1/3은 퍼터의 헤드와 중앙부 1/3 및 상부 1/3 사이에 있으며, 퍼터 그립의 하부 1/3의 무게가 중앙부 1/3 및 상부 1/3의 통합 무게보다 크도록 퍼터 그립의 하부 1/3 내로 금속 무게추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 설명된다.
도 1은 예시적인(exemplary)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2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3-3 선을 따라 취한 그립의 단면도이다.
도 4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5는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6은 그립의 저면도이다.
도 7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8은 그립의 그립부 및 배면부의 배면도이다.
도 9는 도 8에서 9-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그립의 정면부로부터 분리된 그립의 그립부 및 배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그립이 부착되어 있는 골프 클럽의 정면도이다.
도 12는 골프 클럽의 상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에서 13-13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15는 상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서 16-1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5에서 17-1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은 다른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19는 상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20은 도 19에서 20-2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19에서 21-2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23은 상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3에서 24-24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5는 도 23에서 25-2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6은 또 다른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27은 상단부의 우측면도이다.
도 28은 도 27에서 28-28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9는 도 27에서 29-29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0은 도 26의 정면부를 포함하는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31은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32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33은 도 32에서 33-33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4는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정면도이다.
도 35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36은 도 35에서 36-3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37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38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39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40은 도 39에서 40-4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41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42는 추가의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43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44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45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46은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도면이다.
도 47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48은 무게추가 제거된 그립의 다른 배면도이다.
도 49는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50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51은 도 50에서 51-5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2는 그립의 분해도이다.
도 53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54는 다른 예시적인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55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56은 도 55에서 56-5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7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58은 무게추의 사시도이다.
도 59는 무게추의 정면도이다.
도 60 내지 도 65는 평평한 부분과 함께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66 내지 도 71은 평평한 부분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와 함께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 또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72 내지 도 78은 불규칙적인 오각형 단면을 갖는 또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79 내지 도 85는 불규칙적인 오각형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 추가적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86 내지 도 89는 둥근 단면을 갖는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90 내지 도 93은 둥근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 또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94 내지 도 97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 또 다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98 내지 도 101은 정사각형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 추가적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102 내지 도 108은 눈물방울 형상의 단면을 갖는 추가적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109 내지 도 115는 눈물방울 형상의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 추가적인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을 도시한다.
도 116은 다른 예시적인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17은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118은 도 116의 정면부의 저면도이다.
도 119는 또 다른 예시적인 그립과 정면부의 상면도이다.
도 120은 도 119에서 120-12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1은 개방된 구성에서 또 다른 예시적인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2는 폐쇄된 구성에서 도 121의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23은 추가의 예시적인 정면부와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24는 정면부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25는 도 124에서 125-12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6은 추가의 예시적인 정면부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27은 정면부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28은 도 126에서 128-128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29는 또 다른 예시적인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30은 또 다른 예시적인 정면부의 사시도이다.
도 131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32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33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34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35는 도 134에서 135-13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6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37은 도 136에서 137-13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38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39는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40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41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42는 도 141에서 142-14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43은 추가의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44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45는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46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47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48은 그립의 저면도이다.
도 149는 그립의 정면도이다.
도 150은 도 149에서 150-15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1은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52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53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54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55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56은 그립의 저면도이다.
도 157은 도 156에서 157-157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58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59는 그립의 단면도이다.
도 160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61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62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63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64는 도 163에서 164-164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65는 도 164에서 상세부(165)의 확대도이다.
도 166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67은 그립의 단면도이다.
도 168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69는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70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71은 그립의 정면도이다.
도 172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73은 도 172에서 173-173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4는 도 173에서 상세부(174)의 확대도이다.
도 175는 추가의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76은 도 175에서 176-176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77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78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79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80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81은 도 180에서 181-181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2는 도 179에서 182-18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3은 도 182에서 상세부(183)의 확대도이다.
도 184는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85는 도 184에서 185-18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86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87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88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89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90은 또 다른 예시적인 골프 클럽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91은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192는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193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94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195는 도 194에서 195-195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196은 예시적인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97은 다른 예시적인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198은 또 다른 예시적인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199는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200은 도 199에서 200-200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1은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202는 도 201에서 202-202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203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204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205는 또 다른 예시적인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206은 그립의 정면도이다.
도 207은 그립의 상면도이다.
도 208은 그립의 저면도이다.
도 209는 그립의 우측면도이다.
도 210은 그립의 좌측면도이다.
도 211은 또 다른 예시적인 그립의 사시도이다.
도 212는 그립의 배면도이다.
도 213은 그립의 저면도이다.
도 214는 도 212에서 214-214 선을 따라 취한 그립의 단면도이다.
본 출원의 원리는 퍼터와 같은 골프 클럽용 그립에 관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관련하여 아래 설명될 것이다. 본 출원의 원리가 야구, 테니스 등과 같은 다른 활동에 대한 그립에 적용 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 내지 도 17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은 일반적으로 참조 번호 10으로 도시된다. 그립은 바디(body)(12) 및 바디의 일부를 둘러싸는 랩(wrap)(14)을 포함한다. 대안으로, 그립(10)은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고 이해될 것이다. 바디(12)는 골퍼가 잡는 영역을 제공하는 그립부(16), 정면부(18) 및 배면부(20)를 포함한다. 그립부(16)와 배면부(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몰드(mold) 내로 주입되는 EVA 발포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18)는 그립부(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대안으로, 그립부(16), 배면부(20), 및 정면부(18)는 예컨대 하나의 몰드에서 단일 부재로 또는 함께 몰딩된 별도의 부재들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립부(16), 정면부(18), 및 배면부(20)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6)는 제1 및 제2 단부(30 및 32)를 갖고, 한 쌍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곡선 측면(38 및 40)에 각각 이어지는 한 쌍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평행한 평평한 측면(34 및 36)을 갖는다. 그립부(16)는 단부도로부터 보였을 때, 이것이 동일한 길이의 두 평행선과 두 호(arc)를 각 단부에 가지며 그 코드(chord)는 전체 직경 또는 전체 직경 미만이 되도록 실질적으로 장박형(obround) 또는 이중 D 형상이다.
테이퍼부(taper portion)(18)로 도시되며 이하 테이퍼부(18)로 참조되고 실질적으로 원추 형상으로 도시되지만 이 길이를 따라 일정한 직경을 갖는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는 정면부(18)는 그립부(16)의 제1 단부(30)와 인접하며 제1 및 제2 단부(60 및 62)를 포함한다. 테이퍼부(18)는 그립부(16)에서, 제1 단부(30)에서 제1 단부(60)로 가면서 점점 가늘어진다. 배면부(20)는 그립부(16)의 제2 단부(32)와 인접하며 제1 및 제2 단부(66 및 68)를 포함한다. 또한 테이퍼부(18) 및 배면부(20)의 단부 모습은 실질적으로 장박형 또는 이중 D 형상이다.
테이퍼부(18)는 그립부(16)의 제1 단부와 인접해 있는 숄더(70)를 가지며, 그 외부 표면에서 그립부(16)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유사하게, 제1 단부(66)에서 배면부(20)는 그립부(16)의 단면적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다. 이렇게 하여, 그립부(16)를 둘러싸도록 바디(12) 상에 랩(14)이 장착될 때, 랩(14)의 외부 표면은 테이퍼부(18)의 제2 단부(62) 및 배면부(20)의 제1 단부(66)와 실질적으로 수평(flush)이다. 랩은 바느질에 의해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그립부(16) 주위에 고정될 수 있거나 단일 부재(one-piece)일 수 있고 바디(12) 상으로 미끄러질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16) 및 배면부(20)는 그립부(16) 및 배면부(20) 내에 있고 그립부(16) 및 배면부(20)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80) 또는 축 방향 통로(axial passage)를 갖는다. 보어는 그립부(16)의 제1 단부(30)의 개구(opening)(84)로 개방되는 제1 단부(82)를 갖고, 폐쇄된 제2 단부(86)를 갖는다. 예를 들어, 보어(8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면부(20)의 제2 단부(68)의 개구(88)로 개방되고, 도 3에 도시되고 아래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90)에 의해 폐쇄된다.
보어(80)는 골프 클럽(50)의 샤프트(52) 및 테이퍼부(1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16)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어(100)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하고 제1 보어(100)와 연통하는 제2 보어(10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하며, 제2 보어(102)는 제1 보어(100)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고 그립부(16) 및 배면부(20)의 일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1 보어(100)는 아래 설명되는 바와 같이 테이퍼부(1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샤프트(52)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직경부(104) 및 제1 직경부(104)보다 큰 제2 직경부(106)를 포함한다. 제1 보어(100)는 제1 및 제2 직경부(104 및 106) 사이에 테이퍼부의 일부에 의해 인접해 있는 숄더(108)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보어(100)는 제2 직경부(106)와 제1 직경부(104) 사이에 챔퍼(chamfer)를 갖는다. 제2 보어(102)는 그립부(16) 내에 그립 보어부(110)를 포함하며, 배면부(20) 내에 단부 보어부(112)를 포함한다.
제1 보어(100)의 단부를 형성하고 골프 클럽(50)의 샤프트(52)의 단부에 대한 정지부로 기능하는 숄더(118)가 그립부(16)의 제2 단부(32)와 가까운 제1 보어(100)의 제1 직경부(104)에 제공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하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120)가 테이퍼부(18)에서 각 슬롯(174)과 결합하기 위해 제2 직경부(106)에 제공되어 테이퍼부를 정렬한다. 카운터보어(counterbore)(122)는 제2 보어(102), 특히 제2 보어(102)의 단부 보어부(112)와 연통하는 제2 단부(68)에서 배면부(20)에 제공된다. 카운터보어(122) 및 단부 보어부(112)는 제2 보어(102)를 폐쇄하는 플러그(90)를 수용하여 유체가 배면부(20)에서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90)는 카운터보어를 폐쇄하기 위해 카운터보어(122)의 기하학적 구조와 일치하는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카운터보어(122)는 실질적으로 장박형 또는 이중 D 형상이다. 대안으로, 제2 보어(102)가 제2 단부(68)로 연장되면서 카운터보어가 제거될 수 있거나, 그립이 제2 단부(68)에서 폐쇄되면서 플러그(90)가 제거될 수 있다.
유체가 배면부(20)에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해 퍼터(50)의 샤프트(52)가 보어(80) 내로 전진될 때, 배면부(20)는 단부 보어부(112)와 연통하는 통풍 통로(126)를 포함한다. 통풍 통로(126)는 개구(130)로 개방되며 배면부(20)의 측벽(128)(도 2)을 통해 단부 보어부(112) 내로 연장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통풍 통로(126)는 단부 보어부(112)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보어(102)와 동축인 그립의 단부(68)를 통하기보다는 그립(10)의 측벽(128)에 통풍 통로(126)를 제공함으로써, 플러그(90)에는 표시(indicia)를 위한 방해받지 않는 영역이 제공될 수 있고, 개구(130)는 클럽의 단부에 있을 때보다 손가락으로 덮기 쉬우며, 개구(130)를 통한 스프레이는 장착자(installer)를 향하지 않는다.
추가로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퍼터(50) 상에 그립(10)을 장착하기 위해, 양면테이프가 샤프트(52)의 단부에 부착되고, 그 다음 용제가 테이프에 도포되어 테이퍼부(18)에서 개구(156) 내로 주입된다. 그 다음 개구(156 및 130)가 덮이고 그립(10)이 흔들어져 용제로 보어를 코팅한다. 그 다음 샤프트(52)는 샤프트(52)의 단부가 숄더(118)와 접할 때까지 테이퍼부(18) 및 제1 보어(100)의 보어(152)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개구(156)를 통해 전진된다. 샤프트(52)가 전진될 때, 과량의 용제 및 공기는 제1 및 제2 보어(100 및 102)를 통과하여 통풍 통로(126)의 개구(130)를 통해 그립(10)을 빠져나간다. 또한 예를 들어 테이퍼부(18) 상의 정렬 장치(64)를 사용하여, 그립(10)이 퍼터(50) 상에 정렬된다. 예를 들어 표준 그립을 사용하는 골퍼를 위해, 평평한 측면(34 및 36)이 골프 클럽의 면에 평행하거나, 예를 들어 대안적인 그립 스타일을 사용하는 골퍼를 위해, 평평한 측면(34 및 36)이 골프 클럽의 면에 수직일 수 있도록 그립이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래 상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방향 및 가속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것과 같이 퍼터 스윙에서 불일치를 완화시키기 위해 그립이 가중될 수 있다. 그립은 하부 1/3, 중앙부 1/3, 및 상부 1/3로 3등분될 수 있으며, 상부 1/3은 퍼터의 버트 엔드를 형성하고 하부 1/3은 퍼터의 헤드와 중앙부 1/3 및 상부 1/3 사이에 있다. 퍼터 그립의 하부 1/3의 무게가 중앙부 1/3 및 상부 1/3의 통합 무게의 80% 이상이도록 금속 무게추와 같은 무게추가 하부 1/3 내에 유입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하부 1/3의 무게는 통합 무게 이상이다. 퍼터 그립은 일체형 정면부를 갖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거나 그립부에 부착되는 정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 내지 도 3에 더하여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여, 테이퍼부(18)가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테이퍼부(18)는 가중되어 가중된 골프 그립을 제공하며, 가중된 골프 그립은 골퍼의 손 아래쪽에 무게를 구비하여 골프 클럽의 헤드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증가시킴으로써 골퍼의 스트로크를 부드럽게 하고 성능을 향상시키는 더 무거운 느낌을 골프 클럽에 제공한다. 만약 무게가 너무 가볍다면 상기 장점은 실현될 수 없을 것이고, 만약 무게가 너무 무겁다면 클럽은 너무 큰 관성을 가져 골퍼가 클럽을 제어할 수 없을 것이다. 그립(10)은 전체 무게를 가지며, 테이퍼부(18)는 그립(10)의 전체 무게의 30% 이상인 무게를 갖고, 한 실시예에서는 그립(10)의 전체 무게의 50% 이상인 무게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퍼부(18)는 전체 무게의 50%에서 60% 사이에 있다. 한 실시예에서, 테이퍼부의 무게는 75g(gram)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퍼부의 무게는 100g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테이퍼부의 무게는 110g 이상이다.
테이퍼부(18)는 테이퍼부(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1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150) 및 보어(1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54)를 포함한다. 테이퍼부(18)의 가중은 바디(150)의 재료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적절한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스페이서(154)는 샤프트(52)의 외부 표면과 인접해 있도록 구성되며,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 및/또는 이물(debris)이 보어(152)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샤프트(52)에 대해 밀봉하도록 발포체와 같이 샤프트에 대해 밀착되는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스페이서(154)는 접착제에 의해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바디(150)에 결합될 수 있다.
보어(152)는 테이퍼부(18)의 제1 단부(60)의 개구(156)로 개방되고 제2 단부(62)의 개구(158)로 개방된다. 보어(152)는 제1 직경부(160) 및 제1 직경부(160)보다 크고 스페이서(154)가 배치되는 제2 직경부(162)를 포함한다. 또한 보어(152)는 제1 및 제2 직경부(160 및 162) 사이에 스페이서(154)의 단부에 의해 인접해 있는 숄더(164)를 포함하며, 도시된 바와 같이, 보어(152)는 제2 직경부(162)에서 제1 직경부(160)로 줄어드는 챔퍼를 갖는다.
바디(150)는 그립부(16)의 제2 직경부(106)에 배치되는 제1 부분(170) 및 숄더(70)를 갖는 제1 부분(1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172)을 포함하고, 제2 부분(172)은 제1 단부(30)에서 그립부(16)의 단부면(end face)과 인접해 있으며 제1 단부(30)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진다. 제1 부분(170)은 보어(100)에서 숄더(108)와 인접해 있는 테이퍼부(16)의 제2 단부(62)의 단부면을 갖고, 제2 단부(62)로부터 제1 단부(60)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174)을 가지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롯(174)은 제2 부분(172) 내로 연장된다. 슬롯(174)은 그립부(16)에 맞추어 테이퍼부(18)를 정렬하도록 각 돌출부(120)와 결합되거나 돌출부(120)를 수용한다. 슬롯(174)은 제1 부분(170)을 통해 보어(152)의 제1 직경부(160) 내로 연장될 수 있고 그립(10)의 무게를 달리하도록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 제2 부분(172)은 그립(10)의 무게를 조절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컷아웃(cut-out)(17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72)은 또한 로고(logo)와 같이 표시를 위한 하나 이상의 면 상에 영역(178)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 표면 내에 새겨진 패턴(18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10)을 조립하기 위해, 바디(150)의 제1 부분(170)은 그립부의 제2 직경부(106) 내에 삽입되며, 슬롯(174)은 돌출부(120)에 맞추어 정렬되고, 삽입에 앞서 제1 부분(170)에 도포되는 접착제와 같이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그 다음 랩(14)이 그립부(16)를 둘러싸도록 바디(12)에 장착될 수 있고, 제1 단부(30)에서 그립부(16)의 단부면과 제2 부분(172)의 숄더(70)에서 원주형 노치(circumferential notch)(182) 사이에서 형성되는 공간 사이에 랩(14)의 단부가 집어 넣어질 수 있다.
이제 도 18 내지 도 21을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218에 도시된다. 정면부(2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200으로 색인(index)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2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218)는 정면부(2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3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350) 및 보어(3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디(350)는 그립부(16)의 제2 직경부(10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370) 및 제1 부분(3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372)을 포함한다. 제1 부분(3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374)을 가지며,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롯(374)은 제2 부분(372)으로 연장되고, 제2 부분(372)은 하나 이상의 컷아웃(376)를 포함한다. 슬롯(374)은 슬롯(174)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가지며, 컷아웃(376)은 컷아웃(176)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정면부(218)는 정면부(18)보다 더 작고 가벼우며, 정면부(218)와 함께 사용되는 그립부(16)는 위 무게 비율이 실현되도록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22 내지 도 25를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18에 도시된다. 정면부(4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4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418)는 정면부(4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5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550) 및 보어(5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디(550)는 그립부(16)의 제2 직경부(10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570) 및 제1 부분(5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572)을 포함한다. 제1 부분(5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574)을 가지며 컷아웃을 포함하지 않는다. 슬롯(574)은 슬롯(174)의 축 방향 길이보다 작은 축 방향 길이를 갖는다. 정면부(418)는 정면부(18 및 218)보다 더 작고 가벼우며, 정면부(418)와 함께 사용되는 그립부(16)는 위 무게 비율이 실현되도록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26 내지 도 30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6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6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6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6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610)은 바디(612) 및 바디(612)를 둘러싸는 랩(614)을 포함한다. 바디(612)는 그립부(616), 정면부(618), 및 배면부(620)를 포함한다. 그립부(616) 및 배면부(6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618)는 그립부(6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618)는 정면부(6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7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750) 및 보어(7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디(750)는 그립부(16)의 제2 직경부(10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770) 및 제1 부분(7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772)을 포함한다. 제1 부분(770)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774)을 가지며 컷아웃을 포함하지 않는다. 슬롯(774)은 그립부(616)에 맞추어 정면부(618)를 정렬하도록 각각의 대향하는 반경 방향 안쪽으로 연장되는 돌출부(720)와 결합되거나 돌출부(720)를 수용한다. 정면부(618)는 정면부(18, 218, 및 418)보다 더 작고 가벼우며, 정면부(618)와 함께 사용되는 그립부(16)는 위 무게 비율이 실현되도록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될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31 내지 도 33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8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8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8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8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810)은 바디(812) 및 바디(8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812)는 그립부(816), 정면부(818), 및 배면부(820)를 포함한다. 그립부(816) 및 배면부(8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818)는 그립부(8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8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818)는 정면부(8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9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950) 및 보어(9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954)를 포함한다. 정면부(818)의 가중은 바디(950)의 재료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적절한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스페이서(954)는 샤프트(52)의 외부 표면과 인접해 있도록 구성되며, 샤프트(52)에 밀봉하는 오링(O-ring)과 같은 적절한 밀봉체일 수 있다. 스페이서(954)는 보어(952)의 제2 직경부(962)에 배치되는 제1 부분(980)을 갖고, 정면부의 제1 단부에서 정면부(918)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고 제1 단부를 지나 연장되는 제2 부분(982)을 갖는다. 스페이서(954)는 제2 직경부(962)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바브(barb)(984)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바디(950)에 결합될 수 있다. 스페이서(954)는 바디(812)에 앞서 샤프트(52) 상에 장착될 수 있으며, 바디(812)가 샤프트(52)에 부착된 이후에 스페이서(954)가 바디(950)에 부착된다. 스페이서(954)는 샤프트(52)에 장착되기에 앞서 바디(812)에 부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보어(952)는 제1 직경부(960) 및 제1 직경부(960)보다 큰 제2 직경부(962)를 포함한다. 보어(952)는 또한 제1 및 제2 직경부(960 및 962)의 사이에 스페이서(954)의 단부에 의해 인접해 있는 숄더(964)를 포함한다.
바디(950)는 그립부(816)의 제2 직경부(906)에 배치되는 제1 부분(970) 및 제1 부분(9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972)을 포함하고, 제2 부분(972)은 제1 단부(830)에서 그립부(816)의 단부면(end face)과 인접해 있으며 제1 단부(830)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진다. 제1 부분(970)은 정면부(818)의 제2 단부에서 숄더(908)와 인접해 있는 단부면을 가지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74)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슬롯 및/또는 컷아웃(176)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컷아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34 내지 도 37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0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10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8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2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8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10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1010)은 바디(1012) 및 바디(10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1012)는 그립부(1016), 정면부(1018), 및 배면부(1020)를 포함한다. 정면부(10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1018)는 정면부(10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11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1150) 및 보어(11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1154)를 포함한다. 스페이서(1154)는 샤프트(52)의 외부 표면과 인접해 있도록 구성되며, 샤프트(52)에 밀봉하는 오링과 같은 적절한 밀봉체일 수 있고, 샤프트(52) 상의 장착 전 또는 장착 후에 바디(1150)에 부착될 수 있다.
이제 도 38 내지 도 41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2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12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2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12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1210)은 바디(1212) 및 바디(12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된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1212)는 그립부(1216), 정면부(1218), 및 배면부(1220)를 포함한다. 그립부(1216), 정면부(1218), 및 배면부(12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몰드 내로 주입되는 EVA 발포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정면부(1218)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1242)을 포함하고, 도시된 실시예에서 길이 방향으로 정면부(1218)를 통해 그립부(1216) 내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슬롯(1242)을 포함한다. 슬롯은 그립(1210) 내로 몰딩될 수 있거나 몰딩(molding) 이후 그립 내로 끼어들어갈 수 있다. 슬롯(1242)은 골퍼의 손 아래 그립(1210)의 일부, 특히 무게추(1244)가 배치되는 정면부(1218)와 그립부(1216)의 일부의 무게가 그립의 전체 무게의 30% 이상이도록 그립(1210)을 가중시키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1244)를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그 무게는 전체 무게의 50% 이상이다. 무게추(1244)는 금속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접착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슬롯(1242)에 고정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그립으로부터 무게를 제거하거나 다양한 무게를 갖는 무게추(1244)가 사용될 수 있도록 슬롯(1242)으로부터 제거 가능한 형태일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게추들(1244)은 서로 동일한 무게를 가질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서 그것들은 다른 무게를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게추들(1244)의 통합 무게는 75g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게추들(1244)의 통합 무게는 100g 이상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게추들(1244)의 통합 무게는 110g 이상이다.
도 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디(1212)는 바디(1212) 내에 바디(1212)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1280)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한다. 보어는 정면부(1218)의 제1 단부(1260)의 개구(1284)로 개방되는 제1 단부를 갖고, 플러그에 의해 폐쇄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보어(1280)는 샤프트(52)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1216) 및 정면부(1218)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보어(1300)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하고, 그립부(1216) 및 배면부(1220)의 일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보어(130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포함한다.
이제 도 42 내지 도 4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3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13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3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13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1310)은 바디(1312) 및 바디(13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1312)는 그립부(1316), 정면부(1318), 및 배면부(1320)를 포함한다. 그립부(1316) 및 배면부(13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1318)는 그립부(13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13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1318)는 정면부(13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14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1450) 및 보어(1452)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디(1450)는 퍼즐 조각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나머지 슬롯 및 돌출부와 들어맞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각각 1494 및 1496) 및 슬롯(각각 1498 및 1500)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절반부(half)(1490 및 149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절반부(1490 및 1492)는 그립부(1316)에 배치되는 제1 부분(도시되지 않음) 및 제1 부분과 일체형인 제2 부분(1472)을 가지며, 제2 부분(1472)은 그립부(1316)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절반부(1490 및 1492)의 제1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74)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슬롯 및/또는 컷아웃(176)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컷아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46 내지 도 48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5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15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5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15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1510)은 바디(1512) 및 바디(15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1512)는 그립부(1516), 정면부(1518), 및 배면부(1520)를 포함한다. 그립부(1516) 및 배면부(15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1518)는 그립부(15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15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1518)는 정면부(15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도시되지 않음)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1650) 및 보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를 포함한다. 바디(1650)는 그립부(1516)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도시되지 않음) 및 제1 부분과 일체형인 제2 부분(1672)을 포함하며, 제2 부분(1672)은 그립부(1516)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다. 제1 부분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174)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슬롯 및/또는 컷아웃(176)과 유사한 하나 이상의 컷아웃을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부분(1672)은 제2 부분의 제1 및 제2 부분(1686 및 1688)의 사이에 갭(gap)(1684)을 갖는다. 갭(1684)은 정면부(1518)에 무게를 더하도록 서로 스냅(snap)하는 제1 및 제2 무게추(1690 및 1692)를 수용한다. 무게추(1690 및 1692)는 퍼즐 조각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나머지 슬롯 및 돌출부와 들어맞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각각 1694 및 1696) 및 슬롯(각각 1698 및 1700)을 각각 갖는다. 바디(165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되며, 무게추는 금속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이제 도 49 내지 도 53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7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17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7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17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1710)은 바디(1712) 및 바디(1712)를 둘러싸도록 구성되는 랩(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한다. 바디(1712)는 그립부(1716), 정면부(1718), 및 배면부(1720)를 포함한다. 그립부(1716) 및 배면부(17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1718)는 그립부(17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17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1718)는 정면부(17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18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1850)를 포함한다. 선택적인 스페이서가 보어(1852)에 배치될 수 있다.
바디(1850)는 퍼즐 조각 방식으로 연결하도록 나머지 슬롯 및 돌출부와 들어맞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각각 1894 및 1896) 및 슬롯(각각 1898 및 1900)을 각각 갖는 제1 및 제2 절반부(half)(1890 및 1892)를 포함한다. 각각의 제1 및 제2 절반부(1890 및 1892)는 그립부(1716)에 배치되는 제1 부분(1870) 및 제1 부분(18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1872)을 가지며, 제2 부분(1872)은 그립부(1716)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다.
또한 정면부(1718)는 오버몰딩에 의해서와 같이 그립부(1716) 내로 몰딩된 삽입체(1902)를 포함하고, 스냅 링과 같이 제1 및 제2 절반부(1890 및 1892)의 외부 표면의 그루브(groove)(1906) 및 삽입체(1902)의 내부 표면 상의 그루브(1908)에 수용되는 링(1904)을 포함한다. 링(1904)은 그립부(1716) 내에 절반부(1890 및 1892)를 유지시킨다.
이제 도 54 내지 도 59를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1918에 도시된다. 정면부(19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9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19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1918)는 정면부(20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20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2050)를 포함한다. 바디(2050)는 그립부(16)에 배치되는 제1 부분(2070) 및 제1 부분(20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2072)을 포함하고, 제2 부분(2072)은 그립부(16)의 제1 단부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진다. 도 54 내지 도 5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정면부(1918)는 하나 이상의 개구를 포함하며,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2 부분(2072)에서 한 쌍의 개구(2084), 한 쌍의 개구(2086), 및 한 쌍의 개구(2088)를 포함한다. 도 58 및 도 5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개구(2084, 2086, 및 2088)는 각각의 무게추(2090)를 수용한다. 바디(2050)는 플라스틱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으며, 무게추(2090)는 금속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무게추(2090)는 각각의 개구(2084, 2086, 및 2088) 내로 스냅하고 제2 부분(2072)의 측면 상의 환경으로부터 보어(2052)를 폐쇄한다. 한 실시예에서 무게추는 그립(1910)의 무게를 달리하도록 제거 가능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복수의 무게추가 사용될 수 있고 다양한 크기 및/또는 무게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록 무게추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일 수 있고 동일하거나 다른 무게를 가질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무게추(2090)가 개구(2084) 내에 끼워질 수 있고, 더 작은 무게추가 개구(2086)에 끼워질 수 있으며, 심지어 더 작은 무게추가 개구(2088)에 끼워질 수 있다. 무게추(2090)는 각각의 개구(예를 들어, 2084) 내로 스냅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2094)를 갖는다.
이제 도 60 내지 도 6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510에 도시되며, 골프 클럽 그립(4510)은 평평한 부분과 함께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45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5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5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66 내지 도 71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6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610)은 평평한 부분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와 함께 실질적으로 둥근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46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6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6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72 내지 도 78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7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710)은 불규칙적인 오각형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7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7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79 내지 도 8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8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810)은 불규칙적인 오각형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48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8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8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86 내지 도 89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9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910)은 둥근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49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9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9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90 내지 도 93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50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5010)은 둥근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50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50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50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94 내지 도 97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51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5110)은 정사각형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51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51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51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98 내지 도 101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52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5210)은 정사각형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52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52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52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102 내지 도 108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53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5310)은 눈물방울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53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53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53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109 내지 도 11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54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5410)은 눈물방울 형상의 단면 및 점점 가늘어지는 정면부를 갖는다. 골프 클럽 그립(54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54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54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이제 도 116 내지 도 120을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2218에 도시된다. 정면부(22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22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22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2218)는 정면부(2218)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23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2350)를 포함한다. 정면부(2218)의 가중은 바디(2350)의 재료에 의해 제공되며, 이는 적절한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일 수 있다. 바디(2350)는 그립부(2216)의 제2 직경부에 배치되는 제1 부분(2370) 및 숄더(2270)를 갖는 제1 부분(2370)과 일체형인 제2 부분(2372)을 포함하고, 제2 부분(2372)은 제1 단부에서 그립부(2216)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다. 제1 부분(2370)은 그 외부 표면 상에 바브를 가지며, 바브는 정면부(2218)를 그립부(2216)에 유지시키도록 제2 직경부 내로 밀려진다. 바브는 또한 전술한 정면부에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21 및 도 122를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2418에 도시된다. 정면부(24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24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24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2418)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고, 정면부(2418)의 절반부들을 연결하는 힌지부(hinge section)(2446)를 가질 수 있으며, 힌지부(2446)는 정면부가 도 121에 도시된 개방된 구성에서 도 122에 도시된 폐쇄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게 한다. 개방된 구성에서, 정면부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 상에 위치될 수 있고, 그 다음 샤프트를 둘러싸는 폐쇄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다음 정면부는 정면부가 그립부(2416)에 수용되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될 때까지 샤프트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다르게 가중된 정면부를 사용하기 위해 정면부는 제거 가능할 수 있고 그립부(2416)로부터 미끄러져 개방된 구성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절반부들은 기계적 잠금장치(mechanical fastener)에 의해 폐쇄 상태로 유지될 수 있고 그립부와 인접해 있도록 위치될 수 있다. 비록 도 121은 개방된 정면부 및 그립부의 내의 정면부를 도시하지만, 이는 오직 예시 목적일 뿐이다.
이제 도 123 내지 도 125를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018에 도시된다. 정면부(30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0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30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3018)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고, 금속과 같은 적절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 가중된 절반부(3046 및 3048)를 포함한다. 슬리브(sleeve)(3049)는 절반부를 둘러싸 함께 그것들을 유지시킨다. 슬리브는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고, 한 실시예에서는 위의 테이퍼부와 유사한 실질적으로 콘(cone) 형상이다.
이제 도 126 내지 도 128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1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1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3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8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3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1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110)은 그립부(3116), 정면부(3118), 및 배면부를 포함하는 바디(3112)를 포함한다. 정면부(31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정면부(3118)는 정면부의 길이를 연장하는 보어(3252) 또는 축 방향 통로를 형성하는 바디(3250)를 포함한다. 바디(3250)는 그립부(3116)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제1 부분(3270) 및 제1 부분과 일체형인 제2 부분(3272)을 포함하며, 제2 부분(3272)은 그립부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다. 바디가 서로 또는 단일 부분에 연결하는 복수의 제2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제1 부분(3270)은 그립부(3116)에서 상응하는 스레드(thread)(3275)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스레드(3273)를 포함한다. 대안으로, 1/4 회전 나사 또는 푸시 앤 턴(push and turn) 잠금 메커니즘이 사용될 수 있다.
이제 도 129 및 도 130을 보면, 정면부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각각 2818 및 2918에 도시된다. 정면부(2818 및 2918)는 위에서 참조된 정면부(1318)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500 및 16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정면부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정면부(1318)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정면부(2818 및 2918)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정면부(2818), 및 선택적으로 정면부(2918)는 적절한 잠금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2846)를 포함하며, 개구(2846)는 그립부에 정면부(2818)를 고정하기 위해 그립부에서 상응하는 개구에 수용된다. 대안으로 정면부는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그립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제 도 131 내지 도 13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3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3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3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3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310)은 그립부(3316), 정면부(3318), 및 배면부(3320)를 포함하는 바디(33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316) 및 배면부(33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고, 정면부(3318)는 그립부(33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정면부(3318)는 하나 이상의 무게추(3392)를 포함하고, 금속 무게추와 같은 도시된 복수의 무게추와 같이, 테이퍼와 함께 도시되지만 테이퍼 없이도 제공될 수 있는 부분(3394)을 포함한다. 무게추의 수는 그립의 무게를 달리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무게추(3392)는 그립부(3316)와 부분(3394)의 사이에 끼어있으며, 그립부(3316)보다 큰 내부 직경을 포함한다. 무게추(3392) 및 부분(3394)은 그립부(3316) 및 인접한 무게추(3392)에서 그루브 형태의 상응하는 정렬 피처(alignment feature)(3395)와 결합하는 혀(tongue) 형태의 정렬 피처(3393)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게추(3392) 및 부분(3394)은 그립부(3316) 및 인접한 무게추(3392)에서 환형(annular) 그루브 형태의 상응하는 부착 피처(3398)와 결합하는 환형 혀 형태의 부착 피처(3396)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3392)는 예를 들어 접착제에 의해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거나, 그립부(3316)에서 부분(3394)으로 연장되는 부착 메커니즘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이제 도 136 내지 도 142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4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4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4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4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4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3416), 정면부(3418), 및 배면부(3420)를 포함하는 바디(3412)를 포함한다. 정면부(3418) 및/또는 그립부(3416)는 실질적으로 둥근 무게추와 같은 무게추(3494)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492)를 포함한다. 무게추(3494)는 정면부(3418)에서 미끄러짐으로써, 정면부를 압축하며, 무게추(3494)가 리세스(3492)에 배치되고 리세스(3492)의 단부들 사이에 포착될 때까지 미끄러진다. 무게추(3494)가 리세스의 단부를 통과한 후에, 압축된 정면부(3418)는 이것의 비압축 위치로 돌아와 무게추(3494)를 포착한다. 무게추(3494) 아래의 재료는 퍼터 샤프트가 장착 중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나머지 그립보다 더 얇고/더 얇거나 더 부드럽다. 무게추는 무게추가 미리 결정된 위치로 회전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하나 이상의 정렬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43 내지 도 150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5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5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5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5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5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3516), 정면부(3518), 및 배면부(3520)를 포함하는 바디(3512)를 포함한다. 정면부(3518) 및/또는 그립부(3516)는 코일(coil)형 무게추와 같은 무게추(3594)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3592)를 포함한다. 코일이 풀린 형태에서는 와이어(wire)일 수 있는 무게추(3594)는 와이어의 다중 회전을 사용하여 리세스(3592) 주위에 감겨질 수 있으며, 이로써 무게를 누적하여 그립과 수평을 이룰 수 있다. 무게추(3594) 아래의 재료는 퍼터 샤프트가 장착 중에 미끄러질 수 있도록 나머지 그립보다 더 얇고/더 얇거나 더 부드럽다.
이제 도 151 내지 도 157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6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6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6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6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6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3616), 정면부(3618), 및 배면부(3620)를 포함하는 바디(3612)를 포함한다. 정면부(3618)는 하나 이상의 홀(hole)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정면부(3618)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된 몰딩된 무게추(3694)를 수용하기 위한 4개의 리세스들(3692)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는 문자 또는 로고의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게추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전반에 걸쳐 밀려질 수 있고, 샤프트가 존재하는 미리 결정된 깊이로 밀려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3692)는 무게추(3694)로 채워지고 하나 이상의 리세스(3692)는 그립의 무게를 달리하기 위한 발포체 플러그와 같은 더 가벼운 가중된 플러그로 채워진다.
무게추는 접착제에 의해서와 같이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 예를 들어 몰드 내측 상에 무게추를 위치시킨 다음 무게추를 둘러싸도록 캐비티(cavity) 내로 그립 재료를 주입함으로써, 그립 내에 몰딩될 수 있다. 무게추는 강도(strength)를 더하고 그것들을 제자리에 유지시키도록 돕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58 내지 도 16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7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7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7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7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7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3716), 정면부(3718), 및 배면부(3720)를 포함하는 바디(3712)를 포함한다. 그립부(3716)는 하나 이상의 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립부(3716)를 덮는 랩(3714)과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된 몰딩된 무게추(3794)를 수용하기 위한 4개의 리세스들(3792)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3794)가 그립의 하부 1/3 및 골퍼의 손 아래에 있도록 리세스(3792)는 정면부(3718)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랩(3714)은 무게추(3794)를 드러내는 개구와 함께 도시되지만, 개구 없이 제공될 수 있고, 도 198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부(3718)와 수평을 이룰 수 있거나,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64 및 도 165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리세스(3792) 및 무게추(3794)는 그것들 각각의 길이를 런(run)하는 복수의 이격된 테이퍼된 돌출부(3796)를 각각 포함하며, 돌출부(3796)는 비둘기 꼬리(dovetail)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일 수 있고, 나머지 리세스(3792) 및 무게추(3794) 상에 돌출부(3796)와 결합하기 위해 그것들 각각의 길이를 런하는 대응적으로 형상된 노치(3798)에 의해 분리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무게추(3794)는 몰드에, 예를 들어 무게추를 위한 창(window)에, 위치될 수 있고, 그 다음 그립 재료는 무게추를 둘러싸는 캐비티 내로 주입되어 무게추 주위에서 몰딩되는 리세스(3792)의 돌출부(3796) 및 노치(3798)를 형성할 수 있다. 무게추(3794)는 몰딩 중에 플래시(flash)를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무게추의 에지(edge)와 그립부(3716)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갭을 제공하는 그 둘레 주위에 컷아웃(3799)을 각각 포함할 수 있으며, 컷아웃(3799)은 몰딩 이후 랩(3714)에 의해 덮일 수 있다.
무게추는 문자 또는 로고의 형상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무게추는 골프 클럽의 샤프트가 존재하지 않는 영역 전반에 걸쳐 밀려질 수 있고, 샤프트가 존재하는 미리 결정된 깊이로 밀려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하나 이상의 리세스(3792)는 무게추(3794)로 채워지고 하나 이상의 리세스(3792)는 그립의 무게를 달리하기 위한 발포체 플러그와 같은 더 가벼운 가중된 플러그로 채워진다.
다른 실시예에서, 무게추는 예를 들면 접착제에 의해서와 같이, 몰딩 이후 그립에 부착될 수 있으며, 무게추는 그립의 상응하는 부분(region)과 결합하기 위해 톱니 형상과 같이 형상된 바닥을 가질 수 있다. 무게추는 강도를 더하고 그것들을 제자리에 유지하도록 돕는 피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66 내지 도 174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8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8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37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1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37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8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8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3816), 정면부(3818), 및 배면부(3820)를 포함하는 바디(3812)를 포함한다. 그립부(3816)는 하나 이상의 홀 또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그립부(3816)의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는, 대응적으로 크기 설정된 몰딩된 무게추(3894)를 수용하기 위한 4개의 리세스들(3892)을 포함할 수 있다. 무게추(3894)가 그립의 하부 1/3 및 골퍼의 손 아래에 있도록 리세스(3892)는 정면부(3818)에 근접하여 제공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립은 랩을 포함하지 않고, 무게추(3894)는 몰딩 중에 플래시(flash)를 최소화하거나 제거하기 위해 무게추의 에지와 그립부(3816)의 외부 표면 사이에 갭을 제공하는 그 둘레 주위에 컷아웃(3899)을 포함한다.
이제 도 175 내지 도 183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39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39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39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39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3910)은 그립부(3916), 정면부(3918), 및 배면부(3920)를 포함하는 바디(39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3916) 및 배면부(39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고, 정면부(3918)는 그립부(39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그립부(3916)는 그 제1 단부(3930)에 돌출부(3992)를 포함하며, 돌출부(3992)는 무게추(3994)의 외부 표면이 그립부(3916)의 주요 바디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무게추(3994)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3916)의 주요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 다음 무게추가 정면부(3918)와 그립부(3916)의 주요 바디의 사이에 끼이도록 정면부(3918)가 무게추(3994)와 인접하여 위치된다. 그 다음 정면부(3918)는 초음파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돌출부(3992)에 용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3992)는 최소한의 에너지 요구조건으로 나머지 돌출부(3992)보다 빨리 녹을 것인, 작은 영역을 만드는 피크(peak) 및 밸리(valley)를 포함하며, 도 18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정면부(3918)가 무게추(3994)와 인접해 있을 때까지 부분들은 함께 눌려진다. 정면부(3918)는 정렬을 돕기 위해 돌출부(3992)의 단부를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고/있거나 상응하는 피크 및 밸리, 또는 핀(pin), 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제 도 184 내지 도 189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0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0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0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0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4010)은 그립부(4016), 정면부(4018), 및 배면부(4020)를 포함하는 바디(4012)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립부(4016) 및 배면부(40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되고, 정면부(4018)는 그립부(4016)에 부착하는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그립부(4016)는 그 제1 단부(4030)에 돌출부(4092)를 포함하며, 돌출부(4092)는 무게추(4094)의 외부 표면이 그립부(4016)의 주요 바디와 실질적으로 수평을 이루도록 무게추(4094)를 수용하기 위해 그립부(4016)의 주요 바디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다. 그 다음 무게추가 정면부(4018)와 그립부(4016)의 주요 바디의 사이에 끼이도록 정면부(4018)가 무게추(4094)와 인접하여 위치된다. 그 다음 정면부(4018)는 스핀(spin) 용접에 의해서와 같이 돌출부(4092)에 용접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돌출부(4092)는 정면부(4018)에서 환형 그루브(4098)에 수용되는 테이퍼부(4096)를 포함한다. 이러한 피처들은 그 부분의 전형적인 벽 부품보다 큰 용접 영역을 갖고, 부분 정렬에 충분한 부분을 제공한다. 피처는 스핀 용접을 수용하도록 원형 축을 가지며, 스핀을 가능하게 하는 구동 피처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90 내지 도 195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1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1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1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1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4110)은 함께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그립부(4116), 정면부(4118), 및 배면부(4120)를 포함하는 바디(4112)를 포함한다. 정면부(4118), 또는 대안으로 그립부(4116) 또는 정면부(4118) 및 그립부(4116)는 고밀도 재료와 같은, 텅스텐(tungsten) 분말과 같은 재료 또는 다른 무거운 금속이 주입되는 캐비티 또는 포켓(pocket)(4192)을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캐비티(4192)는 몰딩 이후 고밀도 재료 및 접착제로 채워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바디(4112)의 재료는 그 길이를 따라 밀도가 변할 수 있으며, 하부 1/3은 정면부(4118) 및 그립부(4116)의 일부로 구성될 수 있고 나머지 그립보다 무거울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면부(4118)의 영역은 가장 높은 밀도를 갖는 개구를 가질 수 있다.
이제 도 198 내지 도 204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2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2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2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2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4210)은 그립부(4216), 정면부(4218), 및 배면부(4220)를 포함하는 바디(4212)를 포함한다. 그립부(4216) 및 배면부(42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4218)는 그립부(4216)에 부착하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랩은 바디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립부(4216)는 보어(4280) 또는 축 방향 통로를 갖는다. 보어는 그립부(4216)의 제1 단부의 개구로 개방되는 제1 단부 및 폐쇄되는 제2 단부를 갖는다. 보어(4280)는 정면부(4218)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골프 클럽의 샤프트의 직경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제1 직경부(4304) 및 제1 직경부(4304)보다 큰 제2 직경부(4306)를 포함한다. 보어는 제1 및 제2 직경부(4304 및 4306)의 사이에 정면부에 의해 인접해 있는 숄더(4308)를 가지며,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직경부(4306)와 제1 직경부(4304) 사이에 챔퍼를 갖는다. 그립부(4216)는 제2 직경부(4306) 주위에 도 200에 도시된 두께 T1을 가지며, 이 두께 T1은 보어에서 정면부(4218)의 일부의 두께 T2보다, 예를 들면 50% 초과로 더 크다. 또한 그립부(4216)는 숄더(4308)와 가까운 두께 T2보다 작은, 도 202 및 도 200의 바닥에 도시되는 두께 T3을 가지며, 두께는 정면부를 향해 두께 T1으로 서서히 증가한다. 그립부(4216) 및 정면부(4218)가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직경을 갖도록, 그것들이 서로 수평을 이루도록 인접해 있는 부분이 형성된다.
정면부(4218)는 가중된 골프 그립에 골퍼의 손 아래 무게를 제공하도록 가중된다. 그립은 전체 무게를 가지며, 정면부는 그립의 전체 무게의 30% 이상인 무게를 가지고, 한 실시예에서는 그립의 전체 무게의 40% 이상인 무게를 가진다. 한 실시예에서 정면부의 무게는 25g 이상이고, 그립의 전체 무게는 55g 이상이다.
이제 도 205 내지 도 210을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3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3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3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3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4310)은 그립부(4316), 정면부(4318), 및 배면부(4320)를 포함하는 바디(4312)를 포함한다. 그립부(4316) 및 배면부(43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고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정면부(4318)는 그립부(4316)에 부착하는, 금속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된다. 랩은 바디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제 도 211 내지 도 214를 보면, 골프 클럽 그립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4410에 도시된다. 골프 클럽 그립(4410)은 위에서 참조된 골프 클럽 그립(10)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따라서 4400으로 색인된 동일한 참조 번호가 그립에서 유사한 구조에 대응하는 구조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다. 추가로, 골프 클럽 그립(10)의 전술한 설명은, 후술되는 바 및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를 제외하고, 골프 클럽 그립(4410)에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
그립은 바디(4412) 및 바디의 일부를 둘러싸는 랩(4414)을 포함한다. 바디(4412)는 그립부(4416), 정면부(4418), 및 배면부(4420)를 포함한다. 그립부(4416), 정면부(4418), 및 배면부(20)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몰드 내로 주입되는 EVA 발포체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으로, 그립부 및 배면부는 하나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정면부는 도 1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가중된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랩(4414)은 바디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랩(4414)은 천연, 합성, 열가소성 등과 같은 적절한 고무로 구성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레칭(stretching), 롤링(rolling), 열 수축, 미끄러짐, 코어(core)보다 큰 튜브(tube) 상에 미끄러지고 나서 코어 상의 튜브에 미끄러져 떨어지는 것 등과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부착되는 매끄러운 고무 슬리브로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랩이 그립부에 부착될 때 그립부의 형상이 랩에 의해 비틀려지지 않도록 랩이 그립부로부터 부착되지 않을 때 랩은 그립부(4416)의 기하학적 구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하학적 구조와 같은 원형이 아닌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다. 슬리브의 내측 직경은 그립부(4416)의 둘레보다 약간 작다. 그립은 골퍼에게 코어의 재료로 인해 가벼운 무게이고 전통 고무 그립과 동일한 느낌을 갖는 특대형(oversized) 퍼터 그립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립은 끈적거리는 미끄럼 방지 표면을 제공한다. 고무 슬리브는 사출 몰딩(injection molding)에 의해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고, 유색의 고무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무게추가 발포체 및 고무 코어를 모두 갖는 그립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그립 및 그립의 일부가 몰딩, 적층 가공(additive manufacturing) 등에 의해서와 같은 적절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정면부는 그립부 상에 직접적으로 3D 프린팅(3-D print)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가중된 정면부를 만들기 위해, 예를 들어 재료 다공성을 증가/감소시킴으로써, 복수의 재료를 사용함으로써, 몰딩된 재료 내에 포켓을 만듦으로써 등 몰딩 중에 다양한 밀도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금속의 분말화되거나 작은 조각이 무게를 제공하기 위해 몰딩 동안 그립에 내장될 수 있다는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무게추는 몰드의 내측 상에 배치될 수 있고, 그립 재료는 나머지 캐비티 내로 주입되어 무게추를 둘러싸고 무게추를 제자리에 유지시킬 수 있다.
골프 클럽의 샤프트 상에 골프 클럽 그립을 장착하는 방법은 그립부가 샤프트에 부착되기 전 또는 후 각각 그립부와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 전술한 하나의 정면부를 그립부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골프 클럽의 헤드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 그립 부착물로 참조된 바와 다르게, 클럽의 샤프트 상에 장착된 골프 클럽 그립을 갖는 골프 클럽 상에 가중된 정면부를 장착하는 방법은 그립과 골프 클럽의 헤드 사이에서 그립에 정면부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한 실시예에서 정면부는 골프 클럽 그립의 무게의 80% 이상인 무게를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면부는 골프 클럽 그립의 무게의 100% 이상인 무게를 갖는다.
상기는 방향 및 가속 불일치를 최소화하는 것이 제공되는 것과 같이, 퍼터 스윙에서 불일치를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그 방법은 퍼터 그립을 하부 1/3, 상부 1/3, 중앙부 1/3로 3등분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부 1/3은 퍼터의 버트 엔드를 형성하고 하부 1/3은 퍼터의 헤드와 중앙부 1/3 및 상부 1/3 사이에 있으며, 퍼터 그립의 하부 1/3의 무게가 중앙부 1/3 및 상부 1/3의 통합 무게보다 크도록 퍼터 그립의 하부 1/3에 금속 무게추를 포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퍼터 그립은 전술한 바와 같이 일체형인 정면부 또는 그립부에 부착되는 정면부를 갖는 그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립의 예시가 도시되는 하부 1/3(L1), 중앙부 1/3(M1), 및 상부 1/3(U1)와 함께 도 196에 도시되거나, 도시되는 하부 1/3(L2), 중앙부 1/3(M2), 및 상부 1/3(U2)와 함께 도 197에 도시된다.
비록 특정 실시예가 도시되었고 설명되었지만,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에 포함되는 균등물 및 변경은 본 명세서를 읽고 이해할 때 통상의 기술자에게 발생할 것이 이해된다.

Claims (47)

  1. 골프 클럽용 그립으로서,
    그립부로서, 제1 단부 및 제2 단부를 갖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골프 클럽의 샤프트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그립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어를 갖는 그립부;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제2 단부와 인접한 배면부; 및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그립부와 인접한 정면부로서, 상기 정면부는 제1 단부 및 제2 단부와 보어를 갖고, 상기 정면부의 상기 보어는 상기 골프 클럽의 상기 샤프트가 상기 정면부의 상기 보어를 통해 그리고 상기 그립부의 상기 보어 내로 연장되게끔 구성되도록 상기 정면부를 통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정면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립의 전체 무게는 제1 무게이고, 상기 정면부는 상기 제1 무게의 30% 이상인 제2 무게이고,
    상기 정면부는 상기 보어를 형성하는 바디 및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보어에 배치되는 스페이서를 포함하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샤프트의 외부 표면과 인접해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바디는 상기 그립부의 상기 보어에 배치되는 제1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부에서 상기 그립부의 단부면과 인접해 있으며 상기 제1 단부에서부터 점점 가늘어지는 제2 부분을 포함하는, 그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상기 보어는 제1 직경부 및 상기 제1 직경부보다 큰 제2 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제2 직경부에 배치되는, 그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는 상기 제1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 사이에 상기 스페이서에 의해 인접해 있는 숄더를 포함하는, 그립.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면부의 상기 바디는 상기 제2 단부로부터 상기 제1 단부를 향해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슬롯을 포함하며, 상기 슬롯은 상기 바디의 벽을 통해 상기 보어 내로 연장되는, 그립.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유체 또는 이물이 상기 보어에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에 대해 밀봉하도록 구성되는 압축 가능한 재료로 구성되는, 그립.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의 상기 보어는 제1 직경부 및 상기 제1 직경부보다 큰 제2 직경부를 가지며, 상기 정면부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그립부의 상기 제2 직경부에 배치되는, 그립.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 직경부와 상기 제2 직경부 사이에 상기 정면부의 상기 바디의 상기 제1 부분에 의해 인접해 있는 내부 숄더를 포함하는, 그립.
  8.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게는 75g 이상인, 그립.
  9. 제1항 내지 제3항, 제6항 및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게는 상기 제1 무게의 50% 이상인, 그립.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31. 삭제
  32. 삭제
  33. 삭제
  34. 삭제
  35. 삭제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삭제
  41. 삭제
  42. 삭제
  43. 삭제
  44. 삭제
  45. 삭제
  46. 삭제
  47. 삭제
KR1020197018276A 2016-11-28 2017-11-28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KR102295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26731P 2016-11-28 2016-11-28
US62/426,731 2016-11-28
US201762481447P 2017-04-04 2017-04-04
US62/481,447 2017-04-04
US201762483073P 2017-04-07 2017-04-07
US62/483,073 2017-04-07
US201762502252P 2017-05-05 2017-05-05
US62/502,252 2017-05-05
US201762503168P 2017-05-08 2017-05-08
US62/503,168 2017-05-08
US201762535095P 2017-07-20 2017-07-20
US62/535,095 2017-07-20
PCT/US2017/063467 WO2018098479A1 (en) 2016-11-28 2017-11-28 Golf club grip with a weighted front por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89186A KR20190089186A (ko) 2019-07-30
KR102295196B1 true KR102295196B1 (ko) 2021-08-31

Family

ID=60629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8276A KR102295196B1 (ko) 2016-11-28 2017-11-28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293231B2 (ko)
EP (1) EP3544700A1 (ko)
JP (1) JP6886760B2 (ko)
KR (1) KR102295196B1 (ko)
WO (1) WO201809847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90872S1 (en) * 2019-01-15 2020-07-21 Matthew Ryan Furstenburg Putter grip core
US20220347532A1 (en) * 2019-08-06 2022-11-03 Mod Golf Technologies, Llc Golf club grip assembly
US11369851B1 (en) 2020-12-21 2022-06-28 Ssg International Llc Interchangeable golf club grip with shaft attachment system
US20220212074A1 (en) * 2021-01-04 2022-07-07 Matthew Russell Adjustable Putter Grip
USD1004724S1 (en) 2021-10-07 2023-11-14 Implus Footcare, Llc Sports training device
USD1019840S1 (en) 2022-06-29 2024-03-26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grip
USD1022094S1 (en) 2022-06-29 2024-04-0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grip
USD1022095S1 (en) 2022-07-11 2024-04-0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grip
USD1022096S1 (en) 2022-08-02 2024-04-09 Parsons Xtreme Golf, LLC Golf club grip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056A1 (en) * 2001-04-09 2002-10-10 Sukenik Robert J. Golf club grip with a drip control device
JP2011115519A (ja) * 2009-11-04 2011-06-16 Yasuo Tobimatsu グリップ構造体及びゴルフクラブ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73689A (en) 1962-02-05 1965-03-16 Michael D Serblin Golf club handle
JPS4630166Y1 (ko) * 1968-11-16 1971-10-19
US3837647A (en) 1973-06-18 1974-09-24 E Jacques Golf club hand grip
US4600195A (en) 1985-03-11 1986-07-15 Hunter James J Weighted golf club handle
GB8717964D0 (en) 1987-07-29 1987-09-03 Nottingham University Of Sporting equipment
US4979743A (en) * 1988-08-12 1990-12-25 Sears Gerard A Golf club grip
US4988102A (en) 1989-11-09 1991-01-29 Para-Tech Industries, Inc. Weighted golf grip
WO1993007935A1 (fr) 1991-10-17 1993-04-29 Taylor Made Golf Company, Inc. Club de golf equilibre
US5855525A (en) 1992-11-23 1999-01-05 Turner; Terry S. Golf club
US5632691A (en) 1995-03-31 1997-05-27 Golfology, Inc. Golf putter
US5513845A (en) * 1995-05-31 1996-05-07 Sonagere; Henry Golf putter
JPH09192267A (ja) * 1995-11-17 1997-07-29 Kenzo Nagamine ゴルフクラブ
US5776006A (en) * 1996-08-01 1998-07-07 Gruber; Isaac Golf practice enhancer
US6626768B2 (en) * 1999-12-07 2003-09-30 Harold Roelke Putter grip
GB2361873B (en) 2000-05-03 2004-02-18 Douglas Boyd Buchanan Weighted grip
US6358157B1 (en) 2000-09-07 2002-03-19 James W. Sorenson Golf swing strength trainer
US6890265B2 (en) * 2003-06-23 2005-05-10 James Bradley Enlow Reverse taper grip
US7175538B2 (en) 2004-02-23 2007-02-13 Miller R Lee Golf club grip
US7658684B2 (en) * 2005-11-30 2010-02-09 Ferris Richard D Golf club grip
US7874933B2 (en) 2006-06-30 2011-01-25 Kim Chol Adjustable length and torque resistant golf shaft
US7399235B2 (en) * 2006-12-01 2008-07-15 Eaton Corporation Variable mass grip
US7798912B2 (en) * 2007-09-17 2010-09-21 Eaton Corporation Variable hardness hand grip
US8641551B2 (en) 2008-10-27 2014-02-04 John Johnson Versatile vibration-damped golf swing-weight system
USD602546S1 (en) 2008-10-29 2009-10-20 Jimmy Lin Golf club grip
US8721469B2 (en) 2009-11-04 2014-05-13 Nike, Inc. Golf club, golf club head and golf club grip structures
US8182360B2 (en) 2010-01-27 2012-05-22 Acushnet Company Golf club with a rigid shaft band
US8702530B2 (en) 2010-10-19 2014-04-22 Nike, Inc. Device for changing mass characteristics of a golf club
US8888606B2 (en) 2011-05-26 2014-11-18 Heavy Putter Golf grip
JP5579138B2 (ja) * 2011-08-31 2014-08-27 株式会社Iomic ゴルフクラブ用グリップ
USD686288S1 (en) 2011-12-05 2013-07-16 Florian Threbank Golf club handle grip
USD676910S1 (en) 2012-02-22 2013-02-26 Mw Outfitters, Llc Cork grip for golf putters
US20140206471A1 (en) 2013-01-22 2014-07-24 Karsten Manufacturing Corporation Variable density golf club grips
US9072952B2 (en) 2013-01-30 2015-07-07 Hong-Sung Chu Golf putter grip
JP6220224B2 (ja) * 2013-10-30 2017-10-25 ブリヂストンスポーツ株式会社 ゴルフクラブ
US9937397B2 (en) 2014-03-14 2018-04-10 Acushnet Company Golf club with improved weight distribution
US9211456B2 (en) 2014-03-14 2015-12-15 Acushnet Company Golf club with improved weight distribution
US9265998B1 (en) * 2014-09-23 2016-02-23 Nike, Inc. Golf putter with adjustable counterbalance weigh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7056A1 (en) * 2001-04-09 2002-10-10 Sukenik Robert J. Golf club grip with a drip control device
JP2011115519A (ja) * 2009-11-04 2011-06-16 Yasuo Tobimatsu グリップ構造体及びゴルフクラ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86760B2 (ja) 2021-06-16
KR20190089186A (ko) 2019-07-30
US10293231B2 (en) 2019-05-21
US20180147463A1 (en) 2018-05-31
WO2018098479A1 (en) 2018-05-31
JP2019535443A (ja) 2019-12-12
EP3544700A1 (en) 2019-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5196B1 (ko) 가중된 골프 클럽 그립
KR101734870B1 (ko) 그립 내에 멈춤부를 갖는 골프 클럽용 그립과 내부 무게추 시스템
US20180229144A1 (en) Rod-shaped module for toy magnetic construction kit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20020173371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molded grip
US8105522B2 (en) Compression mold and molding process
US20040005940A1 (en) Training bat system
CA3008253C (en) Golf club grip
JP3109501U (ja) 重量調整が可能なゴルフクラブヘッド
MX2010005660A (es) Aparato y metodo para formar una nervadura de recordatorio en una empuñadura.
US6939237B1 (en) Pool cue having attachable weight
US20150283438A1 (en) Device and method for improved tennis racket damping and weight adjustment
US8869981B2 (en) Golf bag having adjustable compartments
EP3117426A1 (en) Device for replacing musical instrument strings
GB2520440A (en) Fitness training device
US20190083868A1 (en) Oversized Clamshell Removable Putter Grip
CN209003032U (zh) 环保防尘抗静电材料无油中束芯
US11602680B1 (en) Ball bat with handle having lightening structures
US20060121998A1 (en) Transparent bowling ball finger grip
US20140157652A1 (en) Removable Fishing Bead
KR20090078116A (ko) 개량형 줄넘기
GB2607869A (en) Cricket bat
KR200466799Y1 (ko) 웨이트 조절형 골프 그립
JP2015154813A (ja) ゴルフクラブのバランス調整方法及びバランスの調整されたゴルフクラブ
TH137223A (th) กริปไม้กอล์ฟ
JPH04197612A (ja) 合成樹脂製人工芝の射出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