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112B1 -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112B1
KR102294112B1 KR1020190108673A KR20190108673A KR102294112B1 KR 102294112 B1 KR102294112 B1 KR 102294112B1 KR 1020190108673 A KR1020190108673 A KR 1020190108673A KR 20190108673 A KR20190108673 A KR 20190108673A KR 102294112 B1 KR102294112 B1 KR 1022941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n
data
information
real estate
custo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86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27792A (ko
Inventor
김우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노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노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노텍
Priority to KR1020190108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112B1/ko
Publication of KR202100277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277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1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1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03Credit; Loans; Processing thereof
    • G06Q40/02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6Real estat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Market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Econom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Technology Law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고객의 대출 정보를 수신하는 대출 정보 수신부;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포함된 부동산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신용 정보 조회부; 검증 완료된 부동산 중 담보 부동산에 연결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대출계좌 추출부; 및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해지은행에 상환금 정보를 요청하는 상환금 정보 요청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imple loan moving service}
본 발명은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대환대출은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이전의 대출금이나 연체금을 갚는 제도를 말한다. 예를 들어, A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B 금융기관의 부채를 갚는 구조이다. 여기서, 대출은 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 상품을 포함할 수 있다.
금융기관별로 대출가능금액, 금리, 상환 등의 조건에서 차이가 발생하고, 시장 상황에 따라 시장금리가 변동되기도 한다. 따라서, 소비자가 현재 이용하고 있는 대출(B 금융기관 대출)에 비해 타 금융기관에서 보다 나은 조건의 대출(예컨대, A 금융기관 대출)이 존재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때 소비자가 직접 A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아 B 금융기관의 대출을 갚을 수도 있지만, 이 과정 중에 각 금융기관을 방문하고 상담을 받아야 하고, B 금융기관에 비해 우수한 대출조건을 갖는 A 금융기관을 찾아내는 번거로움도 존재하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72684호 (공개일 2017년6월27일) - 온라인 타행대환 방법 및 그 장치
본 발명은 고객의 신용정보와 서비스 플랫폼의 상환금 조회 정보를 활용하여 대출 이동 시 발생되는 비용을 산정하여 이동에 따른 절감 효과를 제시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은 최소한의 대출 정보로부터 고객의 소유부동산을 실시간 검증하고,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대출계좌번호를 자동 추출하여 상환금 조회를 수행함으로써 고객의 정보 입력을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높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에 서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대출을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고객의 대출 정보를 수신하는 대출 정보 수신부;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포함된 부동산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신용 정보 조회부; 검증 완료된 부동산 중 담보 부동산에 연결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대출계좌 추출부; 및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해지은행에 상환금 정보를 요청하는 상환금 정보 요청부를 포함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환금 정보와 비교한 각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출력하는 대출상품 비교부; 및 상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신규 대출상품으로 대출이 이동되도록 대출은행에 대출 신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대출 이동을 요청하는 대출 이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출 정보는 상기 고객의 성명 및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일 수 있다.
상기 신용 정보 조회부는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정보사에 소유부동산 정보를 요청하여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신용 정보 조회부는 전자등기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를 포함하며, 상기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에서 검증 성공된 부동산을 상기 고객의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는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자 정보와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의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1차 검증을 수행하며, 1차 검증에 실패한 경우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상기 부동산 주소에 따른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2차 검증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등기부등본을 발급받고, 상기 등기부등본의 등기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를 조합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며, 동일 대출인 경우 상기 대출데이터로부터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할 수 있다.
상기 등기데이터는 순위번호, 등기유형, 접수일자, 채권자, 채권최고액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데이터는 대출구분, 기관명, 발생일자, 대출잔액, 대출계좌번호 항목을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등기데이터의 등기유형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순서를 비교하고, 동일 순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을 비교하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이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잔액보다 큰 금액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등기데이터의 접수일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발생일자가 유의 수준 범위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로서, 고객의 대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신용 정보에 포함된 부동산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검증 완료된 부동산 중 담보 부동산에 연결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해지은행에 상환금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환금 정보와 비교한 각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신규 대출상품으로 대출이 이동되도록 대출은행에 대출 신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대출 이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상기 신용 정보 조회 단계는,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정보사에 소유부동산 정보를 요청하여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전자등기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및 검증 성공된 부동산을 상기 고객의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소유 여부 검증 단계는,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자 정보와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의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1차 검증 단계와; 1차 검증에 실패한 경우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상기 부동산 주소에 따른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2차 검증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출계좌 추출 단계는, 상기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등기부등본을 발급받는 단계와; 상기 등기부등본의 등기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를 조합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 대출인 경우 상기 대출데이터로부터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등기데이터는 순위번호, 등기유형, 접수일자, 채권자, 채권최고액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데이터는 대출구분, 기관명, 발생일자, 대출잔액, 대출계좌번호 항목을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포맷의 데이터일 수 있다.
상기 대출계좌 추출 단계는, 상기 등기데이터의 등기유형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순서를 비교하는 단계; 동일 순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을 비교하는 단계;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이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잔액보다 큰 금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등기데이터의 접수일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발생일자가 유의 수준 범위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고객의 신용정보와 서비스 플랫폼의 상환금 조회 정보를 활용하여 대출 이동 시 발생되는 비용을 산정하여 이동에 따른 절감 효과를 제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최소한의 대출 정보로부터 고객의 소유부동산을 실시간 검증하고,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대출계좌번호를 자동 추출하여 상환금 조회를 수행함으로써 고객의 정보 입력을 최소화하여 편의성을 높인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
도 4는 대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정보 조회 과정의 상세 순서도,
도 5는 대출계좌번호 추출 과정의 상세 순서도,
도 6은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앱(APP)에 대한 예시 화면,
도 7 및 도 8은 실소유자 검증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9 및 도 10은 대출계좌번호 추출을 위한 데이터 비교 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실시예의 구성 요소가 해당 실시예에만 제한적으로 적용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유지되는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으며, 또한 별도의 설명이 생략될지라도 복수의 실시예가 통합된 하나의 실시예로 다시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하거나 관련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고객으로부터 최소한의 정보만을 수집하고, 수집된 정보를 활용하여 고객의 신용 정보(예컨대, 실소유 부동산 정보)를 파악하며, 신용 정보(실소유 부동산)에 관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함으로써 대출 상환금 정보를 조회할 수 있고, 다른 대출상품과의 비교를 통해 고객에게 최적의 대출상품을 추천하고 고객 요청에 따라 대출 이동을 진행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출은 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신용대출 등 모든 대출 상품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리고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는 대출 이동을 희망하는 고객에게 기본의 번거로운 절차를 생략하고 최소한의 정보 입력을 통해 해당 고객에게 적합한(예컨대, 금융부담이 가장 적은) 대출상품을 안내해 주고, 고객 요청에 대응하여 대출 이동까지 진행하는 금융 서비스를 의미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과정은 다음과 같은 흐름을 따른다.
대출 이동을 희망하는 고객(10)은 고객 단말에 설치된 서비스 앱(102)을 통해 대출 정보를 입력한다(①). 대출 정보에는 고객 성명 및 고객 고유번호(예컨대, 주민등록번호)가 포함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는 고객의 재산권에 관련된 금융 서비스로서, 대출 정보 입력 과정에서 고객 동의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서비스 앱(102)과 서비스 플랫폼(101)으로 구분될 수 있다. 서비스 앱(102)은 고객(10)과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소프트웨어 혹은 애플리케이션이며, 서비스 플랫폼(101)은 서비스 앱(102)의 원활한 구동을 위해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관련한 데이터 및 기능 모듈을 포함하는 서버 장치일 수 있다.
서비스 앱(102)과 서비스 플랫폼(101)은 상호 서비스 연동을 통해 원활한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서비스 플랫폼(101)은 서비스 앱(102)을 통해 전달받은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고객의 신용정보(소유부동산, 등기부등본 데이터, 보유 대출 정보 등)를 조회하고, 해지은행(20)의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한다.
그리고 대출계좌번호를 통한 상환금 정보를 해지은행(20)에 요청한다(②).
해지은행(20)은 실시간으로 상환금 정보를 찾아 서비스 플랫폼(101)에 제공한다(③).
서비스 플랫폼(101)에서는 고객의 상환금 정보에 기초하여, 해당 고객의 신용정보, 금융기관별 금리 정보 등을 활용하여 다른 대출상품 이용 시 예상되는 금융 부담액을 계산하고, 이에 기초하여 산출된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서비스 앱(102)을 통해 고객(10)에게 제공한다(④).
고객(10)은 제공받은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검토하고서 이동하고자 하는 대출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⑤).
서비스 플랫폼(101)은 고객이 선택한 대출상품을 취급하는 대출은행(30)에게 대출 신청 데이터 및 파일을 전송하여(⑥) 대출은행(⑥)에서 대출 심사가 진행되게 할 수 있다.
대출은행(30)에서 대출 심사 완료 후 해지은행(20)에게 기존 대출금(상환금 정보에 해당하는 금액)을 상환하고, 고객(10)의 대출을 해지은행(20)에서 대출은행(30)으로 이동시킨다.
해지은행(20)은 대출금 상환 완료 시 대출금 상환 완료 통지를 서비스 플랫폼(101)으로 전송하고(⑦), 대출은행(30)은 서비스 플랫폼(101)의 운영자에게 수수료를 지급한다(⑧).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대해 관련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4는 대출 정보를 이용한 신용 정보 조회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며, 도 5는 대출계좌번호 추출 과정의 상세 순서도이고, 도 6은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서비스 앱(APP)에 대한 예시 화면이며, 도 7 및 도 8은 실소유자 검증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 및 도 10은 대출계좌번호 추출을 위한 데이터 비교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대출 정보 수신부(110), 신용 정보 조회부(120), 대출계좌 추출부(130), 상환금 정보 요청부(140), 대출상품 비교부(150), 대출 이동부(160)를 포함한다.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비스 앱(102) 및 서비스 플랫폼(101)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구성요소 중 일부는 서비스 앱(102)으로 구현되고 다른 일부는 서비스 플랫폼(101)으로 구현될 수 있다.
서비스 앱(102)은 고객(10)으로부터 데이터 입력 및 고객(10)에게의 데이터 제공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하고 있으며, 도 6에 서비스 앱의 예시 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설명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의 각 구성요소들은 서비스 앱(102) 및/또는 서비스 플랫폼(101)에 속하는 기능 모듈일 수 있다.
고객(10)이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를 신청하는 경우(단계 S200, 도 6의 (a) 참조), 대출 정보 수신부(110)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신청과 함께 입력된 대출 정보를 입력받는다.
대출 정보에는 기본적으로 고객의 성명, 고유번호(주민등록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이후 필요에 따라 고객의 대출에 관련된 기타 정보들, 예컨대 담보부동산 정보, 대출금액, 대출일자, 대출은행 등에 관한 정보를 추가적으로 입력받을 수도 있다.
신용 정보 조회부(120)는 대출 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한다(단계 S205). 고객의 신용 정보 조회를 위해서는 고객 동의가 요구되는 바, 전술한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과정에 고객 동의를 받는 과정이 포함되거나 선행될 수 있다.
고객의 신용 정보에는 고객의 소유부동산, 등기부등본 데이터, 보유 대출 정보 등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조회하기 위한 과정이 도 4, 도 7 및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신용 정보 조회부(120)는 고객 정보를 통해 신용정보사(50)에 고객의 소유부동산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2051).
신용정보사(50)는 국토교통부의 마스킹 처리된 데이터를 확보한 후, 기존 데이터와 연계하여 해당 고객의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2052).
신용 정보 조회부(120)는 신용정보사(50)에게서 받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고객이 해당 부동산에 대한 실소유자인지 여부를 실시간으로 검증한다(단계 S2053).
이를 위해 신용 정보 조회부(120)는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122)에서 수행되는 실소유자 검증 과정 중 1차 검증에 관한 예시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도 8의 (a)에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연계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60)가 보유한 정보가 나타나 있고, (b)에는 신용정보사에게 제공한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가 나타나 있다. (b)에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를 요청한 고객(홍길동)이 소유한 모든 부동산 정보가 리스트 업 될 수 있다.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60)는 부동산 등기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전자등기 시스템에서 이용되는 데이터베이스로, 등기 업무에 필요한 부동산별 소유자 정보(등기부등본 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계된 시스템에서 보유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60)를 통해 실소유자 검증을 1차적으로 진행함으로써, 신속한 검증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도 8을 참조하면, (a)의 1열 데이터와 (b)의 1열 데이터는 성명, 주민등록번호, 부동산구분, 주소가 모두 동일하므로, 정보 동일을 이유로 1차 검증 성공으로 판정한다.
(a)의 2열 데이터와 (b)의 2열 데이터는 동일한 부동산 구분 및 주소에 대해 소유자 성명 및 주민등록번호가 다르므로, 정보 상이를 이유로 1차 검증 실패로 판정한다.
(b)의 3열 데이터의 경우, (a)에는 해당하는 부동산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므로, 정보 없음을 이유로 1차 검증 실패로 판정한다.
1차 검증이 성공한 경우에는 다음 단계 S2504로 넘어가지만, 1차 검증이 실패한 경우에는 신용 정보 조회부(120)에서 신용정보사에서 출력한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 주소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신규 열람하고, 문서 분석을 통해 소유자를 확인하는 2차 검증 과정을 수행한다.
2차 검증 과정에서 소유자가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를 신청한 고객과 동일하면 2차 검증 성공으로 판정하고, 상이하면 2차 검증 실패로 판정한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실소유자 검증이 수행된 후 해당 고객이 실소유자인 것으로 1차 혹은 2차 검증 성공한 경우,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를 서비스 앱(102)을 통해 고객(10)에게 제공하고, 대출 간편 이동과 관련된 담보부동산을 선택받거나 확인받는다(단계 S2054, 도 6의 (b) 참조).
기존에는 고객이 모바일을 통해 소유부동산 정보를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국토교통부와 신용정보사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실소유자를 검증하여 고객에게 제공함으로써 고객의 불편함을 최소화한 장점이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신용 정보 조회가 완료된 경우 대출계좌 추출부(130)는 고객 신용 정보, 특히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한다(단계 S210).
대출계좌번호 추출의 상세 과정이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대출계좌 추출부(130)는 고객이 대출과 관련된 것으로 선택하거나 확인한 부동산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발급받는다(단계 S2101). 본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온라인을 통해 인터넷 등기소에 접속하여 고객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을 수 있다.
이 때 앞서 부동산 실소유 검증 과정에서 2차 검증까지 진행되어 등기부등본을 발급받은 경우에는 본 단계를 생략하고 2차 검증 시 발급받은 등기부등본을 재활용할 수도 있다.
대출계좌 추출부(130)는 발급받은 등기부등본의 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를 조합하여 동일 대출 정보인지를 판단한다(단계 S2102).
등기부등본의 데이터(제1 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제2 데이터)는 그 포맷이 상이하다(도 9 참조).
도 9의 좌측에는 등기부등본 데이터(토지 등기부등분, 건물 등기부등본)가 예시되어 있고, 우측에는 한국신용정보원 대출데이터가 예시되어 있다.
제1 데이터에는 순위번호, 등기유형, 접수일자, 접수번호, 채권자, 채권최고액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제2 데이터에는 대출구분, 기관명, 발생일자, 변동일자, 대출잔액, 대출계좌번호 등의 항목이 포함된다.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는 항목도 정확히 매칭되지 않지만, 대응되는 항목 내에서 기재되는 사항에서도 차이가 있다.
여기서, 제1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비교는 다음과 같이 수행될 수 있다.
(1) 제1 데이터의 등기유형(근저당권설정_설정계약)과 제2 데이터의 대출구분(담보) 순서(순위번호)를 비교한다.
여기서, 제1 데이터에 해당하는 등기부등본이 1개가 아닌 복수 개가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데이터에 대해서는 복수의 등기부등본에 대해 접수일자 순서로 각 등기데이터를 나열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현재 대출에 관련된 가 부동산과 나 부동산에 대해 등기데이터를 나열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가 부동산의 1순위(가1. A 은행)는 공동담보에 의해 나 부동산의 2순위(나2. A 은행)와 동일한 순위를 가질 수 있다. 공동담보는 등기부등본에서 '공동담보'로 별도 기재되는 바, 문서 구문 분석을 통해 그 식별이 용이하다.
이 경우, 순서대로 등기데이터를 나열한 이후 공동담보에 해당하는 중복 건은 1개의 등기데이터만을 남기고 삭제함으로써 전체 순서를 재정렬할 수 있다.
(2) 순서 비교를 통해 동일한 순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등기데이터와 대출데이터에 대해서는, 제1 데이터의 채권자 정보와 제2 데이터의 기관명을 비교한다.
제1 데이터의 채권자는 제2 데이터의 기관명에 대응되며, 이는 동일성 비교를 수행하게 된다. 다만, 제1 데이터의 경우 입력 과정에서 오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존재하며, 도면에서도 <토지 등기부등본>의 2순위 채권자가 "궁만은행"으로 오기가 발생한 상태가 예시되어 있다. 이 경우 오기 가능성을 염두에 두고 유사한 금융기관으로 대체하여 단어를 비교할 수 있다.
(3) 이후 제1 데이터의 채권최고액과 제2 데이터의 대출잔액을 비교한다.
제1 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은 제2 데이터의 대출잔액에 대응된다. 하지만, 채권최고액은 근저당권으로 담보되는 채권으로 실제 대출금액에 비해 일정비율만큼 가산된 금액이 한도로 설정된다. 이에 비해 제2 데이터의 대출잔액은 실제 해당 금융기관에 남은 대출금액으로, 채권최고액보다 작은 금액이 된다. 따라서, 제1 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이 제2 데이터의 대출잔액보다 큰 금액인지 여부에 따라 관련성 정도를 유추하게 된다.
(4) 그리고 제1 데이터의 접수일자 정보와 제2 데이터의 발생일자 정보를 비교한다.
제1 데이터의 접수일자는 제2 데이터의 발생일자 혹은 변동일자에 대응된다. 하지만, 두 일자가 항상 동일한 것은 아니며, 다를 경우 유의 수준의 범위(동일 년도, 동일 월, 동일 일 순으로)를 결정하여 비교할 수 있다.
(5) 제1 데이터의 특정 순위 데이터와 제2 데이터의 특정 순위 데이터가 동일 정보로 판단될 경우, 제2 데이터(즉, 한국신용정보원 대출데이터)의 대출계좌번호를 가져온다.
도 9에서는 <토지 등기부등본 을구 데이터 샘플>의 2순위 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 데이터 샘플>의 2번째 담보 데이터를 비교 판단한다(판단 1). (1) 등기부등본에서 2순위에 있고, 대출데이터에서 담보 중 2번째에 있는 바, 순위는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2) 이후 등기부등본의 채권자는 "궁만은행"이고 대출데이터의 기관명은 "국민은행"으로 다르지만, 등기부등본에서 오기가 발생한 것으로 보고 유사한 금융기관명으로 대체할 경우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 (3) 등기부등본의 채권최고액은 88,000,000원으로 대출데이터의 대출잔액 80,000,000원보다 큰 금액을 나타내고 있어, 검증에 성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4) 등기부등본의 접수일자는 2014. 07. 08.이고 대출데이터의 발생일자는 2014. 10. 16.으로 동일 년도에 속하고 3개월 정도의 시차를 보이고 있는 바, 유의 수준 범위에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다. (5) 이 경우 <판단 1>에서는 동일 정보로 판단하고, 대출데이터의 대출계좌번호 32156156516516을 현재 선택된 소유부동산의 대출과 관련된 대출계좌번호로 추출할 수 있다.
<건물 등기부등본>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는 <건물 등기부등본>의 경우 근저당권설정(추가설정계약)이 공동담보에 해당하여, <토지 등기부등본>의 2순위 데이터와 동일한 대출 건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판단 2> 참조).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환금 정보 요청부(140)는 해지은행(20)에 대출계좌번호를 통한 상환금 정보를 요청한다(단계 S215).
해지은행(20)에서는 상환금 정보 요청에 따라 해당 고객의 대출 상환에 따른 상환금 정보를 조회하여 보고한다(단계 S220). 보유 대출 정보 및 상환금 정보는 서비스 앱(102)을 통해 고객(10)에게 제공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상환금 정보가 수신되면, 대출상품 비교부(150)는 여러 금융기관의 대출상품들을 비교하여 절감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앱(102)을 통해 고객(10)에게 제공한다(단계 S225).
대출상품 비교부(150)는 해당 고객의 신용정보, 금융기관별 금리 정보 등을 활용하여 다른 대출상품 이용 시 예상되는 금융 부담액을 계산한다. 그리고 상환금 정보와의 차액으로부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산출해 낼 수 있다(도 6의 (d) 참조).
이자 손익과 발생 비용을 합산함으로써 이동 효과, 즉 절감금액을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존 3억원의 대출을 3.50%의 대출 상품으로 이동할 경우를 가정한다. 이때 산출기준은 대출기간 3년, 잔존기간 2년으로 가정한다.
기존 금리는 상환금 정보의 이자 정보로 계산할 수 있다. 즉, 상환금 정보에 포함된 대출이자에 대해 잔존기간을 적용함으로써 기존 금리를 역산할 수 있다. 신규 금리는 각 금융기관의 대출 상품 금리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이 경우 금리는 우대금리를 포함한 금리일 수 있다. 이러한 금리 관련된 정보로부터 이자 손익이 90만원 절감으로 계산될 수 있다.
상환금 정보에는 대출이자, 중도상환수수료, 기타 비용이 포함된다. 그리고 추가 비용으로 인지세, 국민주택채권 할인 금액(당일로 계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환금 정보 및 추가 비용으로부터 발생 비용이 415만원으로 계산될 수 있다.
즉,90만원 절감의 이자 손익과 415만원의 발생 비용을 합산할 경우, 이동 효과는 325만원 손실로 계산될 수 있다.
고객(10)이 서비스 앱(102)을 통해 추천된 대출상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면(단계 S230), 대출 이동부(160)는 선택된 대출상품을 제공하는 대출은행(30)에 대출 신청 데이터 및 파일을 제공하면서 대출 이동을 요청한다(단계 S235).
대출은행(30)은 대출 이동 요청이 수신되면, 대출 심사를 진행하고 해당 고객이 심사에 통과하면 해지은행(20)에 대해 대출금을 상환하고 대출을 대출은행(30)으로 이동시킨다(단계 S240). 이 과정에서 연계된 전자등기 시스템을 통해 담보부동산에 대한 근저당권 해지 및 설정 등기도 함께 이루어질 수 있다.
해지은행(20)은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으로 대출금 상환 완료를 통지하고(단계 S245),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대출은행(30)으로부터 대출 중개에 따른 수수료를 지급받을 수 있다(단계 S250).
그리고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서비스 앱(102)을 통해 대출 결과를 보여줄 수 있다(도 6의 (e) 참조).
기존에는 고객이 대출계좌번호 확인을 위해 해지은행에 직접 문의하거나 인터넷뱅크(모바일뱅크 포함)를 통해 조회하여 대출은행에 제공하거나 직접 입력을 진행했어야 하는 것이 비해, 본 실시예에서는 인터넷등기소의 등기부등본 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 조합을 통해 고객의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여 대출은행에 제공할 수 있는 점에서 고객 불편사항을 개선하고 정보의 입력 간소성을 향상시킨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되거나 설치된 프로그램 등에 의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디지털 처리 장치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디지털 처리 장치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상기 정보저장매체는 자기 기록매체, 광 기록매체 및 캐리어 웨이브 매체를 포함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고객 20: 해지은행
30: 대출은행
100: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시스템
101: 서비스 플랫폼 102: 서비스 앱
110: 대출 정보 수신부 120: 신용 정보 조회부
122: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 130: 대출계좌 추출부
140: 상환금 정보 요청부 150: 대출상품 비교부
160: 대출 이동부

Claims (13)

  1. 대출을 이동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서,
    고객의 대출 정보를 수신하는 대출 정보 수신부;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고, 상기 신용 정보에 포함된 부동산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신용 정보 조회부;
    검증 완료된 부동산 중 담보 부동산에 연결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대출계좌 추출부;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해지은행에 상환금 정보를 요청하는 상환금 정보 요청부;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환금 정보와 비교한 각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상품의 금융 부담액으로부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출력하는 대출상품 비교부; 및
    상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신규 대출상품으로 대출이 이동되도록 대출은행에 대출 신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대출 이동을 요청하는 대출 이동부를 포함하되,
    상기 대출 정보는 상기 고객의 성명 및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고객 정보 이고,
    상기 신용 정보 조회부는 상기 고객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정보사에 소유부동산 정보를 요청하여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며,
    상기 신용 정보 조회부는 전자등기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를 포함하고,
    상기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에서 검증 성공된 부동산을 상기 고객의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로 상기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며,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등기부등본을 발급받고, 상기 등기부등본의 등기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를 조합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며, 동일 대출인 경우 상기 대출데이터로부터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되,
    상기 등기데이터는 순위번호, 등기유형, 접수일자, 채권자, 채권최고액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데이터는 대출구분, 기관명, 발생일자, 대출잔액, 대출계좌번호의 항목을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포맷의 데이터이며,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등기데이터의 등기유형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항목의 순서를 비교하고, 동일 순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 항목을 비교하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이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잔액보다 큰 금액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등기데이터의 접수일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발생일자가 유의 수준 범위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동산 실소유 검증부는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자 정보와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의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1차 검증을 수행하며,
    1차 검증에 실패한 경우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상기 부동산 주소에 따른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2차 검증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 항목을 비교할 때,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은 오기 가능성에 따른 유사 단어로 대체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계좌 추출부는, 상기 등기부등본이 복수일 경우 접수일자 순으로 각 등기데이터를 나열하고, 공동담보에 해당하는 중복 건은 1개의 등기데이터만 남기고 삭제하여 상기 등기데이터의 전체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항목에서 담보에 관한 순서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통해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서,
    고객의 대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를 조회하는 단계;
    상기 신용 정보에 포함된 부동산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
    검증 완료된 부동산 중 담보 부동산에 연결된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계좌번호를 이용하여 해지은행에 상환금 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고객의 신용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상환금 정보와 비교한 각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상품의 금융 부담액으로부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을 산출하고, 서비스 앱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대출상품별 절감금액에 따라 고객이 선택한 신규 대출상품으로 대출이 이동되도록 대출은행에 대출 신청 데이터를 전송하여 대출 이동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신용 정보 조회 단계는, 상기 대출 정보에 기초하여 신용정보사에 소유부동산 정보를 요청하여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와; 전자등기 시스템과 연계된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에 대해 상기 고객의 실소유 여부를 검증하는 단계와; 및 검증 성공된 부동산을 상기 고객의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로 서비스 앱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대출계좌 추출 단계는, 상기 최종 소유부동산 정보에 기초하여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등기부등본을 발급받는 단계와; 상기 등기부등본의 등기데이터와 한국신용정보원의 대출데이터를 조합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동일 대출인 경우 상기 대출데이터로부터 대출계좌번호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등기데이터는 순위번호, 등기유형, 접수일자, 채권자, 채권최고액의 항목을 포함하고, 상기 대출데이터는 대출구분, 기관명, 발생일자, 대출잔액, 대출계좌번호 항목을 포함하여, 서로 상이한 포맷의 데이터이고,
    상기 대출계좌 추출 단계는, 상기 등기데이터의 등기유형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항목의 순서를 비교하는 단계와; 동일 순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 항목을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최고액이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잔액보다 큰 금액인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그리고 상기 등기데이터의 접수일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발생일자가 유의 수준 범위 이내에 있는지 비교하여 동일 대출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실소유 여부 검증 단계는,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에 포함된 부동산 주소에 기초하여 상기 전자등기용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소유자 정보와 상기 소유부동산 결과데이터의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1차 검증 단계와;
    1차 검증에 실패한 경우 인터넷등기소를 통해 상기 부동산 주소에 따른 등기부등본을 열람하여 소유자 정보를 비교하는 2차 검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 항목과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 항목을 비교하는 단계에서, 상기 등기데이터의 채권자와 상기 대출데이터의 기관명은 오기 가능성에 따른 유사 단어로 대체하여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출계좌 추출 단계는, 상기 등기부등본이 복수일 경우 접수일자 순으로 각 등기데이터를 나열하고, 공동담보에 해당하는 중복 건은 1개의 등기데이터만 남기고 삭제하여 상기 등기데이터의 전체 순서를 재정렬한 후, 상기 대출데이터의 대출구분 항목에서 담보에 관한 순서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90108673A 2019-09-03 2019-09-03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22941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73A KR102294112B1 (ko) 2019-09-03 2019-09-03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8673A KR102294112B1 (ko) 2019-09-03 2019-09-03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92A KR20210027792A (ko) 2021-03-11
KR102294112B1 true KR102294112B1 (ko) 2021-08-26

Family

ID=751432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8673A KR102294112B1 (ko) 2019-09-03 2019-09-03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41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67B1 (ko) * 2016-04-05 2016-12-06 주식회사 핀옥션 대환대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27265B1 (ko) * 2015-09-02 2019-11-04 주식회사 리파인 부동산 정보 관리 및 제공 서비스 시스템 그리고 방법
KR20170072684A (ko) 2015-12-17 2017-06-27 중소기업은행 온라인 타행대환 방법 및 그 장치
KR101977767B1 (ko) * 2017-08-07 2019-05-13 엔에이치투자증권주식회사 대출 대환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32887B1 (ko) * 2018-02-28 2021-03-26 (주)투게더앱스 투자자를 위한 예상 등기부 데이터를 제공하는 대출 중개 플랫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3267B1 (ko) * 2016-04-05 2016-12-06 주식회사 핀옥션 대환대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27792A (ko) 2021-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1688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automatically exchanging credit information
US8060423B1 (en) Method and system for automatic categorization of financial transaction data based on financial data from similarly situated users
US8484104B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utomatic bill pay setup for online bill pay systems
US8949150B2 (en) Fraud detection system automatic rule manipulator
US2009008919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ssue and Trade of Fractional Interest Real Estate Stock
US20150317728A1 (en) Mortgage synthesis and automation
CN103782318A (zh) 用于产生信贷反馈环的系统和方法
US20100250407A1 (en) Systems, methods and machine-readable mediums for consolidating financial information from multiple accounts maintained with a plurality of financial institutions
US20150112854A1 (en) Method of Automating a Business Loan Life Cycle
KR20180017099A (ko) 컴퓨터 구현 복수 통화 송장 캡처, 거래, 액세스 및 지불 시스템
CN103154983A (zh) 支付系统、购买系统以及执行多个支付流程的方法
US2018027663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int of sale deposits
US20180342015A1 (en) An electronic security system and method for investment transaction
Collier et al. Shared‐use mining infrastructure: Why it matters and how to achieve it
JP2009098986A (ja) 電子債権仲介システム
CN113554509B (zh) 一种线上支付业务的处理方法、装置、介质及电子设备
US20200302407A1 (en) Real-time resource split distribution network
US11979466B2 (en) Online service platform (OSP) generating and transmitting on behalf of primary entity to third party proposal of the primary entity while maintaining the primary entity anonymous
CN112184418A (zh) 公司间借贷处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102294112B1 (ko) 대출 간편 이동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US20200242509A1 (en) System for event data extraction for real-time event modeling and resolution
JP2001222656A (ja) 財務管理システム、装置、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3132220A (ja) 電子手形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102127046B1 (ko) 투자 집행 투명성 재고를 위한 펀딩 제공 시스템 및 펀딩 제공 방법
JP2005050375A (ja) 電子手形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