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4052B1 -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 Google Patents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4052B1
KR102294052B1 KR1020190043755A KR20190043755A KR102294052B1 KR 102294052 B1 KR102294052 B1 KR 102294052B1 KR 1020190043755 A KR1020190043755 A KR 1020190043755A KR 20190043755 A KR20190043755 A KR 20190043755A KR 102294052 B1 KR102294052 B1 KR 1022940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real
access point
frequency channel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3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21121A (ko
Inventor
신승철
김정면
박민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Priority to KR1020190043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4052B1/ko
Publication of KR202001211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21121A/ko
Priority to KR1020210109865A priority patent/KR102441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4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4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4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 H04N21/41407Specialised client platforms, e.g. receiver in car or embedded in a mobile appliance embedded in a portable device, e.g. video client on a mobile phone, PDA,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04W72/10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6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priority criteri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실시예들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고,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며,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METHOD OF PROVIDING REAL TIME BROADCASTING SERVICE, ACCESSPOINT AND TERMINAL THEREOF}
실시예들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에 관한 것이다.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가 전세계적으로 보편화되고 있으며, IPTV의 화질 또한 F-HD(Full High Definition), 및 UHD(Ultra High Definition)를 넘어서 점점 고화질로 진화함에 따라 IPTV 서비스를 위해 요구되는 네트워크 전송 대역폭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유선으로 제공되던 IPTV 서비스를 무선망을 통해서 제공하려는 시도가 진행되고 있으나, 고화질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을 통해 고화질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망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를 고성능의 하드웨어로 변경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에게 안정적으로 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된 가입자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QoS) 필드 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고정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일정 비율은 상기 패킷의 유형,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상기 제2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제공되는 패킷의 유형 및 상기 제2 단말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의 트래픽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점유율을 보장하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부여된 무선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무선 자원을 상기 제2 단말이 아닌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라고 결정된 단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각각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무선 자원은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이용 시에,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버퍼량, 및 상기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packet loss 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파수 채널을 자동으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2 단말은 제1 화질 및 제2 화질의 방송 컨텐츠를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제1 화질 또는 상기 제2 화질로 화질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무선 연결 상태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세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버퍼량, 및 상기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와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계치는 상기 단말이 요구하는 해상도, 및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말은 제1 화질의 방송 컨텐츠 및 제2 화질의 방송 컨텐츠를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의 화질을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며, 상기 스캔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다.
일 측에 따르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을 통해 고화질의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무선 트래픽을 효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무선망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일 측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의 하드웨어를 고성능의 하드웨어로 변경하지 않고도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를 통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에게 안정적으로 트래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와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 및 도 4는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이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따라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방송 컨텐츠의 화질을 자동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블록도.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다. 아래 설명하는 실시예들은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실시예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와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 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의 (a)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101), 및 셋탑 박스(set-top box)(103)와의 유선 연결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TV(105)가 도시된다.
TV(105)는 액세스 포인트(101)와 이더넷(Ethernet) 유선 연결된 셋탑 박스(103)를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셋탑 박스(103)는 액세스 포인트(101)를 통해 지상파나 케이블, 위성으로 전달되는 방송 신호 등을 수신해 예를 들어, TV(105)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시청할 수 있도록 하는 신호 변환 장치에 해당한다. 셋탑 박스(103)는 방송 신호를 튜너로 수신한 뒤 디코더를 이용해 영상, 음성, 문자 등으로 변환해 TV(105)에게 송출할 수 있다. 셋탑 박스(103)는 전송 방식에 따라 각각 다른 구조를 갖지만 크게 튜너, 및 복조기 등과 같은 프론트 엔드(Front-end) 부문과 MPEG2, 디코더 칩, 디멀티플렉서(demultiplexer), 그래픽, 오디오, 데이터 프로세서 등과 같은 백 엔드(Back-end) 부문 및 외부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셋탑 박스(103)와 TV(105)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케이블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의 (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10)로부터 와이파이 무선 연결(120)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STB 단말(130)이 도시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130)은 예를 들어, 셋탑 박스(set-top box)와 같은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일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을 'STB 단말'이라 부르기로 한다. 'STB 단말'은 '제2 단말'이라 불릴 수도 있다.
STB 단말(130)은 예를 들어, 방송 수신 기능을 수행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이동 단말, 디스플레이 장치, 이동형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디스플레이를 구비하여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제공받은 방송 컨텐츠를 직접 재생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단말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STB 단말(130)은 액세스 포인트(110)와의 무선 통신을 통해 사용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다.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110)는 STB 단말(130)을 지원하기 위한 무선 트래픽을 제어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하드웨어 구성의 변경없이 STB 단말(130)에 대한 무선 트래픽을 제어함으로써 STB 단말(130)에게 실시간 방송을 안정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STB 단말(130)에서 와이파이 무선 통신을 통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는 해당 서비스의 원활한 사용을 STB 단말(130)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포인트(110)는 STB 단말(130)에게 트래픽의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성능이 낮은 단말 A가 있을 경우, 액세스 포인트(110)에서의 무선 패킷의 전송 실패로 인해 여러 번 재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 A로 인해 다른 단말들(예를 들어, 노트북 B 및 STB 단말 C 등)의 무선 성능 또한 전체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무선 성능이 낮은 단말 A에게 패킷 전송이 몰리는 것을 막고 STB 단말 C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하여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하는 한편, 네트워크의 성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는 예를 들어, 대용량의 트래픽이 발생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때 전술한 무선 트래픽의 제어를 활성화함으로써 다른 기능 및 다른 단말에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110)가 무선 트래픽을 제어하여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는 실시예에 따라서는 STB 단말(130)이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따른 무선 주파수 채널을 자동으로 변경하거나, 또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서, 방송 컨텐츠의 화질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등의 방식으로 직접 무선 트래픽을 제어할 수도 있다. STB 단말(130)이 직접 무선 트래픽을 제어하여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210).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210)에서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220).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된 가입자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제1 단말이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는 해당 단말이 제2 단말인지, 다시 말해 방송 수신 기능을 위한 별도의 하드웨어 구성을 포함하거나, 또는 방송 수신 기능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 단말인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제1 단말의 식별 정보 이외에도, 해당 단말(제1 단말)의 가입자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입자 정보는 해당 가입자가 보유한 전체 제2 단말의 개수 및/또는 해당 가입자의 댁 내의 전체 제2 단말의 개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220)에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한다(230). 무선 자원은 예를 들어,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자원은 예를 들어, 시간 자원 및 주파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3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또는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제2 단말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가 제2 단말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하는 방법은 아래의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때, 단계(220)에서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부여된 무선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무선 자원을 제2 단말이 아닌 제1 단말에게 할당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나머지 무선 자원을 제2 단말이 아닌 제1 단말에게 균등하게 할당할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할당 비율을 달리 설정하여 할당할 수도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는 제2 단말이라고 결정된 제1 단말이 복수 개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제2 단말이라고 결정된 제1 단말이 복수 개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예를 들어, 복수의 제2 단말 각각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복수의 제2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230)에서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240).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310), STB 단말(320),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이 도시된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10)에 STB 단말(320),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이 무선 접속했다고 하자. 이 경우, 액세스 포인트(310)는 접속이 감지된 STB 단말(320),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식별 정보와 미리 저장된 가입자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비교 결과, 액세스 포인트(310)는 3개의 장치들 중 STB 단말(320)를 식별하고, STB 단말(320)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10)는 예를 들어, STB 단말(320)에게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QoS) 필드 값을 조절함으로써 트래픽을 일정 비율(60%)로 고정 할당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품질 필드는 특정 패킷들 또는 그 패킷들의 속성들을 조절해서 일정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필드일 수 있다. 서비스 품질은 IP(Internet Protocol)를 기반으로 하는 L3 급 이상의 장비에서 사용되는데 예를 들어, L3 스위치(switch)는 각 포트마다 큐(queue)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큐에 패킷들을 하나씩 저장시키고 저장된 패킷들의 각 속성들을 분류해서 먼저 보낼 패킷은 먼저 보내고 나중에 보낼 패킷은 나중에 보낼 수 있다. 이러한 큐를 WRR(Weighted Round Robin)이라고 부를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해당 큐에 할당되는 대역폭을 정의함으로써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고정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10)는 예를 들어, IP 패킷 안에 삽입되는 패킷의 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DSCP(Differentiated Service Code Point)를 이용하여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10)는 서비스 품질(QoS) 필드 값을 조절함으로써 응용 계층(application layer)에서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이때, STB 단말(320)에게 고정 할당되는 일정 비율(60%)은 예를 들어, 패킷의 유형 또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 STB 단말의 위치, STB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10)는 예를 들어, STB 단말에게 제공되는 패킷의 유형 및 STB 단말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STB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방송 컨텐츠의 유형은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컨텐츠인지 또는 녹화 방송 컨텐츠인지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또는 패킷의 유형은 예를 들어, DSCP를 포함하는 패킷인지 또는 DSCP를 포함하지 않는 패킷인지 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10)는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의 결정에 따라, STB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 수 있다.
이후, 액세스 포인트(310)는 자신에게 접속한 나머지 장치들인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에게 나머지 무선 자원, 다시 말해 40%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310)는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에게 균일하게 20% 씩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고, 또는 이동 단말(330) 및 노트북(340) 각각에서 구동 중인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또는 프로세서의 사용 빈도 등을 고려하여, 이동 단말(330)에게 30%의 무선 자원을, 노트북(340)에게 10%의 무선 자원을 할당할 수도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들에 따라 액세스 포인트가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에 접속한 저성능 단말 A, 고성능 단말 B 및 STB 단말 C가 도시된다. 도 4의 좌측 도면은 STB 단말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하지 않은 경우에 각 단말의 전파 점유 시간 및 전송 트래픽을 도시한다. 도 4의 좌측 도면에서 액세스 포인트(AP)에 대한 전체 전파 점유 시간이 10초인 경우, 고성능 단말 B 및 STB 단말 C의 전파 점유 시간이 각각 2초인 것에 비해 저성능 단말 A의 전파 점유 시간은 6초인 것을 볼 수 있다. 또한,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 각각의 전송 트래픽은 5MB, 10MB, 및 8MB이라고 하면 전체 전송 트래픽은 23MB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무선 성능이 낮거나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의 거리가 먼 단말은 데이터 트래픽을 얻기 위해 더 많은 시간 동안 액세스 포인트(AP)의 자원을 점유하게 된다. 따라서, 저성능 단말 A이 다른 장치들에 비해 3배나 많은 전파 점유 시간을 갖게 되는 반면, 실제 전송 트래픽은 5MB에 불과하여 전송 효율의 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의 우측 도면은 STB 단말 C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한 경우에 각 단말의 전파 점유 시간 및 전송 트래픽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서는 저성능 단말 A와 같은 특정 단말이 액세스 포인트(AP)의 자원을 오랫동안 점유하지 못하도록 전파 점유 시간의 공정성을 보장하되, STB 단말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경우, 해당 장치가 더 많은 전파 점유 시간을 가지도록 STB 단말의 트래픽에 가중치를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AP)는 STB 단말 C의 트래픽에, 액세스 포인트(AP)이 제공하는 무선 자원에 대한 STB 단말 C의 점유율을 보장하는 가중치(예를 들어, 3)를 적용함으로써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예를 들어, 전파 점유 시간)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AP)는 나머지 단말들에게 남아있는 자원을 공정하게 할당하여 성능 저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STB 단말 C에는 6초의 전파 점유 시간이 할당되고, 나머지 단말 A 및 단말 B에는 각각 2초의 전파 점유 시간이 할당될 수 있다. 이때, 단말 A, 단말 B 및 단말 C 각각의 전송 트래픽이 2MB, 10MB, 및 24MB라고 하면, 전체 전송 트래픽은 36MB가 되어 전체 전송 효율 또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는 무선 자원에 대한 STB 단말 C의 점유율을 보장하는 가중치를 이용하여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시된다. 단말은 예를 들어, STB 단말일 수 있다.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510). 여기서, 미디어 스트림은 예를 들어, 실시간 방송 컨텐츠의 미디어 스트림일 수 있다. 또한, 무선 연결 상태는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세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버퍼량, 및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와 설정된 임계치(예를 들어, -70dB)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크다면 단말은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지 않다고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신호의 세기가 임계치보다 작다면 단말은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고 결정할 수 있다. 임계치는 예를 들어, 단말이 요구하는 해상도, 및 단말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 가능하다. 예를 들어, 단말이 요구하는 해상도가 일정 기준보다 높은 경우, 임계치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이 요구하는 해상도가 일정 기준보다 낮은 경우, 임계치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단말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이 고화질이 요구되는 실시간 영상 컨텐츠인 경우, 임계치는 높게 설정될 수 있다. 또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이 일반 화질이 요구되는 스포츠 또는 뉴스 컨텐츠인 경우, 임계치는 낮게 설정될 수 있다.
단말은 단계(510)에서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한다(520).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은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고, 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공될 수도 있다.
단말은 단계(520)의 스캔 결과를 기초로,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한다(530).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단말의 초기 접속 시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된 정보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라는 결정에 따라,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단말은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다(540).
단말은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한다(550).
도 6는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이 수신되는 신호 세기에 따라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STB 단말에게 제공되는 2.4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 및 5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도시된다. 2.4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은 5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비해 커버리지(coverage)는 넓으나 전송 속도가 낮다. 이와 달리, 5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은 2.4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에 비해 커버리지는 좁으나 전송 속도는 높다.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은 무선으로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나 주변 간섭 등에 의해 신호 세기가 약해지면 최적의 신호 세기를 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자동 변경할 수 있다. 이때, STB 단말은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버퍼량, 및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 다시 말해 데이터의 재전송률의 조합에 의해 채널의 자동 변경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던 STB 단말에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기준보다 낮아지거나, 및/또는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버퍼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보다 낮아졌다고 하자.
이 경우, STB 단말은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고 결정하여 다른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할 수 있다. 스캔 결과, 2.4GHz의 무선 주파수 채널이 감지되면, STB 단말은 5GHz에서 2.4GHz로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할 수 있다. STB 단말은 2.4GHz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아 재생할 수 있다. 2.4GHz로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한 경우, STB 단말은 주기적인 스캔을 통해 5GHz 주파수 신호가 일정 기준 이상으로 다시 강해지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5GHz 주파수 신호가 다시 강해진다고 판단되면, STB 단말은 2.4GHz 에서 5GHz로 다시 주파수 채널을 자동 변경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STB 단말이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방송 컨텐츠의 화질을 자동 변경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STB 단말(730)에게 고화질(예를 들어, 10Mbyte)의 FHD 컨텐츠 및 표준 화질(예를 들어, 2Mbyte)의 SD(Standard Definition) 컨텐츠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710)가 도시된다.
예를 들어, 전술한 것과 같은 STB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방법 및 STB 단말이 스스로 무선 주파수 채널을 변경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유지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상황을 대비하여, 액세스 포인트(710)가 전송한 고화질과 표준 화질의 두 가지 화질의 방송 컨텐츠를 STB 단말(730)이 동시에 수신하고,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STB 단말(730)이 자동으로 어느 하나의 화질을 선택하여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상황이 좋은 경우, STB 단말(730)은 고화질의 FHD 컨텐츠와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 중 고화질의 FHD 컨텐츠로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의 재생 중에 네트워크 상황이 좋아진 경우, STB 단말(730)은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에서 고화질의 FHD 컨텐츠로 자동으로 화질을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다.
또는 네트워크 상황이 좋지 않아 안정적인 서비스 유지가 어려운 경우, STB 단말(730)은 사용자에게 화질 변경을 알리고 고화질의 FHD 컨텐츠와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 중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를 선택하여 재생함으로써 서비스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고화질의 FHD 컨텐츠의 재생 중에 네트워크 상황이 나빠진 경우, STB 단말(730)은 고화질의 FHD 컨텐츠에서 표준 화질의 SD 컨텐츠로 자동으로 화질을 변경하여 재생할 수 있다. 이때, STB 단말(730)은 예를 들어, 전술한 무선 연결 상태 및/또는 패킷의 전송률 등에 의해 네트워크 상황이 좋은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800)는 프로세서(810), 통신 인터페이스(830) 및 메모리(85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10), 통신 인터페이스(830) 및 메모리(850)는 통신 버스(8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한다. 프로세서(810)는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810)는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한다.
통신 인터페이스(830)는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메모리(850)는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송 컨텐츠 및 기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10)는 도 1, 및 도 2 내지 도 4를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액세스 포인트(8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8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8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850)는 상술한 프로세서(8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8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8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8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말의 블록도이다. 단말(900)은 프로세서(910), 통신 인터페이스(930), 메모리(950) 및 디스플레이(970)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10), 통신 인터페이스(930), 메모리(950), 및 디스플레이(970)는 통신 버스(905)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단말(900)은 STB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한다. 프로세서(910)는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한다. 프로세서(910)는 스캔 결과를 기초로,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한다.
통신 인터페이스(930)는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다.
메모리(950)는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통해 수신한 미디어 스트림을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970)는 통신 인터페이스(930)를 통해 제공받은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한다. 또는 디스플레이(970)는 메모리(950)에 저장된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910)는 도 1, 및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 또는 적어도 하나의 방법에 대응되는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목적하는 동작들(desired operations)을 실행시키기 위한 물리적인 구조를 갖는 회로를 가지는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목적하는 동작들은 프로그램에 포함된 코드(code) 또는 인스트럭션들(instructions)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로 구현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단말(90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910)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코드는 메모리(950)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950)는 상술한 프로세서(910)에서의 처리 과정에서 생성되는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메모리(950)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50)는 하드 디스크 등과 같은 대용량 저장 매체를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800: 액세스 포인트
805: 통신 버스
810: 프로세서
830: 통신 인터페이스
850: 메모리

Claims (23)

  1. 적어도 하나의 제1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및
    상기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트래픽에,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무선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점유율을 보장하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이용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파수 채널을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단말의 식별 정보를 저장된 가입자 정보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전송되는 패킷의 헤더에 포함된 서비스 품질(QoS) 필드 값을 조절함으로써 상기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고정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비율은
    상기 패킷의 유형, 상기 제2 단말의 위치, 상기 제2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에게 제공되는 패킷의 유형 및 상기 제2 단말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트래픽을 고정 할당할지 여부의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트래픽을 고정 할당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 아니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우선적으로 부여된 무선 자원을 제외한 나머지 무선 자원을 상기 제2 단말이 아닌 단말에게 할당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단말이라고 결정된 단말이 복수인 경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각각이 제공 중인 방송 컨텐츠의 유형, 상기 복수의 제2 단말이 위치하는 장소의 네트워크 환경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제2 단말 간에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자원은
    와이파이(Wi-Fi) 무선 통신을 위한 무선 자원을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이용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의 버퍼량, 및 상기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packet loss rate)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파수 채널을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말은
    제1 화질 및 제2 화질의 방송 컨텐츠를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제1 화질 또는 상기 제2 화질로 화질을 변경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4.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는 단계;
    상기 스캔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 단계; 및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연결 상태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수신한 신호의 세기,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의 버퍼량, 및 상기 데이터의 패킷 로스 비율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의 세기와 설정된 임계치의 비교 결과를 기초로,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치는
    상기 단말이 요구하는 해상도, 및 상기 단말에서 재생되는 방송 컨텐츠의 유형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적으로 조절 가능한,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은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 또는 상기 제1 액세스 포인트와 구별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제공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을 서빙 가능한 액세스 포인트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은
    제1 화질의 방송 컨텐츠 및 제2 화질의 방송 컨텐츠를 동시에 수신하고,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네트워크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상기 방송 컨텐츠의 화질을 변경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21.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내지 제6항, 및 제8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의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22.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접속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접속이 감지된 제1 단말이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제2 단말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1 단말이 상기 제2 단말이라는 결정에 따라, 상기 제2 단말에게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는 프로세서; 및
    상기 우선적으로 부여된 사용 권한에 따라 상기 무선 자원을 이용하여 상기 제2 단말에게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단말이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 중인 경우, 상기 제2 단말의 트래픽에, 액세스 포인트가 제공하는 무선 자원에 대한 상기 제2 단말의 점유율을 보장하는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무선 자원에 대한 사용 권한을 우선적으로 부여하고,
    상기 제2 단말은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이용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에 기초하여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고 결정되면,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여 상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주파수 채널을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자동으로 변경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23.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한 미디어 스트림의 재생 중에, 현재 접속 중인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무선 연결 상태를 기초로 방송 수신 기능이 내장된 단말의 주파수 변경이 필요한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주파수 변경이 필요하다는 결정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스캔하며, 상기 스캔 결과를 기초로, 상기 제1 무선 주파수 채널에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로 채널을 변경하는 프로세서;
    상기 제2 무선 주파수 채널을 통해 실시간 방송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제공받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미디어 스트림을 재생하는 디스플레이
    를 포함하는,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단말.
KR1020190043755A 2019-04-15 2019-04-15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KR102294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755A KR102294052B1 (ko) 2019-04-15 2019-04-15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KR1020210109865A KR102441632B1 (ko) 2019-04-15 2021-08-20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3755A KR102294052B1 (ko) 2019-04-15 2019-04-15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865A Division KR102441632B1 (ko) 2019-04-15 2021-08-20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21121A KR20200121121A (ko) 2020-10-23
KR102294052B1 true KR102294052B1 (ko) 2021-08-25

Family

ID=7303924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3755A KR102294052B1 (ko) 2019-04-15 2019-04-15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KR1020210109865A KR102441632B1 (ko) 2019-04-15 2021-08-20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09865A KR102441632B1 (ko) 2019-04-15 2021-08-20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294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7697A (ko) 2021-08-19 2023-02-28 주식회사 발상코퍼레이션 복수의 카메라 전환이 가능한 실시간 방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408B1 (ko) * 2003-12-22 2006-05-26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1380582B1 (ko) * 2007-07-06 2014-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시스템에서 다중 이중화 모드를 위한 자원 할당 방법.
JP5036760B2 (ja) * 2009-05-28 2012-09-26 三菱電機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および帯域制御方法
KR20120044001A (ko) * 2010-10-27 2012-05-07 삼성전기주식회사 액세스포인트의 트래픽 분산 제어시스템, 제어서버, 휴대단말 및 제어방법
KR101997182B1 (ko) * 2012-12-11 2019-07-08 주식회사 케이티 Tv 장치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미디어 전송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액세스 포인트 장치
KR20140089128A (ko) * 2013-01-04 2014-07-14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기지국장치 및 기지국장치의 동작 방법
KR101657463B1 (ko) * 2014-07-30 2016-09-20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무선통신망의 재난별 가중치 및 민감도를 이용한 자원 할당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1632B1 (ko) 2022-09-08
KR20200121121A (ko) 2020-10-23
KR20210105867A (ko) 2021-08-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9787B2 (en) Dynamic programming across multiple streams
US10277530B2 (en) Allocating portions of a shared network resource based on client device groups
US8973068B2 (en) Video on demand delivery optimization over combined satellite and wireless broadband networks
US10680911B2 (en) Quality of experience based network resource management
KR101297411B1 (ko) 스트리밍 데이터의 미처리 상태에 따른 이종망(異種網)들의 선택적 사용을 제어하는 장치와 방법
US10333858B2 (en) Method for controlling bandwidth and corresponding device
KR100917893B1 (ko) 무선 네트워크에서 핸드오버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US10567465B2 (en) Streaming video over a network
KR101596073B1 (ko) 디지털 비디오망에서 일시적 입장제어를 위한 방법
KR101263514B1 (ko) 통신 처리 장치, 및 통신 제어 방법, 및 기록 매체
US9609370B2 (en) Video delivery modification based on network availability
US20070280237A1 (en) Channel allocation management method for transferring uncompressed isochronous data, uncompressed isochronous data transferr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EP3063918B1 (en) Method and device for reserving bandwidth for an adaptive streaming client
US20090178091A1 (en) Contents distribution method and receiving device
EP3172861B1 (en) Generating and utilizing contextual network analytics
US98003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ssigning antennas in dense array
KR102441632B1 (ko)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WO2021217318A1 (zh) 一种流媒体参数动态自适应网络的调整方法及装置
US20080080425A1 (en) Handover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ata using high frequency bandwidth in wireless network
KR101585010B1 (ko) 무선 인터넷 프로토콜 텔레비전 시스템에서 채널 대역 할당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102385447B1 (ko) 스트리밍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140110890A (ko) 네트워크 게이트웨이 및 데이터 스트림의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한 방법
KR20120055183A (ko) 무선 랜에서 데이터 방송 서비스를 위한 QoS 제어 방법 및 시스템, 이를 위한 액세스 포인트
JP2004222042A (ja) コンテンツ配信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配信方法
Wang et al. QoS featured wireless virtualization based on 802.11 hardw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