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84408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84408B1
KR100584408B1 KR1020040110724A KR20040110724A KR100584408B1 KR 100584408 B1 KR100584408 B1 KR 100584408B1 KR 1020040110724 A KR1020040110724 A KR 1020040110724A KR 20040110724 A KR20040110724 A KR 20040110724A KR 100584408 B1 KR100584408 B1 KR 1005844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ysical channel
mobile terminal
channel
information
broadca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110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63745A (ko
Inventor
이종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0500637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637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844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844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40Connection management for selective distribution or broadca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5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with management of multicast group membershi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02Details
    • H04L12/16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 H04L12/18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 H04L12/189Arrangements for providing special services to substations for broadcast or conference, e.g. multicast in combination with wireless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6Selective distribution of broadcast services, e.g. 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MBMS]; Services to user groups; One-way selective call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8Mobility data trans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1Time-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30Resource management for broadcast 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ultimedia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방송 시스템의 이동 단말(AT)로부터 억세스 네트워크(AN)로 방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등록 메시지 전송이 수시로 이루어진다.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AN)는 일정 주기 마다 또는 비주기적으로 실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을 변경하고, 변경된 채널 정보(채널 도약 정보)를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AT)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이동 단말(AT)은 억세스 네트워크(AN)로부터 전송된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변경되는 물리적 채널을 확인하여 해당 채널로 원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방송 서비스 제공 영역에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이미 설정된 이후라도 이동 단말(AT)은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야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기 때문에 방송 서비스 사업자 및 사용자에게 보다 안전한 서비스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DMA, 방송 서비스, 등록, 채널, 인증, 변경, Bearer Path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 이를 위한 이동 단말{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BROADCAST SERVICE AND ACCESS TERMINAL THEREFOR}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채널 도약 정보에 따라 방송 채널별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서로 다른 시점에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다수의 이동 단말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
본 발명은 부호분할다중접속(CDMA : Code Divsion Multiplexing Access)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등록된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에 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이동 단말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셀룰러폰(Cellular Phone)이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등의 이동 단말을 통해 일반적인 음성통화나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 Short Message Service)를 제공하였다. 그러나 이동통신 기술이 급격하게 발전함에 따라 현재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일반적인 음성통화 서비스는 물론 인터넷 기반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이동 단말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패킷(Packet)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에 이르고 있다.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CDMA 이동통신 시스템에서는 무선 통신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된 음성, 문자 및 정지 영상 등의 데이터를 도착지 IP 주소가 포함된 IP(Internet Protocol) 패킷에 실어 인터넷 등 IP 네트워크로 전송하고, 상기 도착지 IP 주소를 가지는 이동 단말은 해당 패킷 데이터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상기한 패킷 데이터 서비스와 관련하여 현재 다양한 연구가 진행중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는 미국의 퀄컴사(Qualcomm Incoporated)에 의해 제안된 고속으로 데이터 전송만이 가능한 EV-DO(Evolution Data Only)와, 음성과 데이터 서비스의 동시 지원이 불가능한 상기 EV-DO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안된 EV-DV(Evolution of Data and Voice) 등이 있으며,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음성 및 데이터 서비스를 주고받을 수 있는 IMT-2000(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 2000)이 있다.
상기 EV-DO, EV-DV 및 IMT-2000 시스템은 이동 단말을 통해 일반적인 음성 서비스는 물론 향후 영화, 뉴스 등 대용량 방송 데이터의 전송이 요구되는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도록 연구 개발이 급격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편 일반적인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은 패킷 데이터 전송을 위해 IP 주소가 할당된 이동 단말과 유니캐스트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므로 방송 서비스는 유니 캐스트(Unicast) 방식으로 방송 데이터를 전송한다. 따라서 동시에 다수의 이동 단말로 광대역 방송 데이터를 고속으로 전송하여야 하는 방송 서비스의 특성을 고려하였을 때 유니 캐스트는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신 자원 낭비와 시스템 부하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통신 자원을 절약하면서도 고품질의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 성과의 하나로 다수의 이동 단말로부터의 역방향 반환정보 없이 순방향 방송 데이터를 하나의 링크를 통해 고속으로 단방향 전송하도록 하는 브로드캐스트 방식이 제안되었으며, 이러한 방식에 의하면, 통신자원을 절약하면서도 다수의 사용자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개념상 공중파를 이 용한 텔러비젼 방송 서비스와 유사하다.
상기한 방송 서비스를 비상업적 차원에서 제공한다면 불특정 다수의 이동 단말들이 기지국으로부터 이동 단말 방향으로의 하향 트래픽 채널을 접속하기만 하면 된다. 반면에 상업적 차원에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 유료 사용자의 등록된 이동 단말에만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여야 하고, 방송 시스템에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되지 않은 이동 단말로는 방송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아야 하는 문제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단일의 링크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하면서도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된 이동 단말을 통해서만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어야 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된 이동 단말에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른 목적은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된 이동 단말에만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목적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에 따른 목적은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은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방송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채널을 적어도 한 번 이상 변경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소정 등록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한 이동 단말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송신하는 억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 변경된 물리적 채널을 통해 원하는 방송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은 방송 서버와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이용에 따른 소정 등록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등록 단계,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된 채널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은 방송 서버와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방송 데이 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소정 등록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등록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된 채널로 송출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은 방송 서버와 연결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단말의 기본적인 동작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채널별 물리적 채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에 각각 접속되어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방송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소정 등록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기 물리적 채널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는 방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등록 메시지를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전송한 후,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만이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시로 전송받게 되므로 상기 이동통 신 시스템에 정상적인 방송 서비스 사용자로 등록된 이동 단말 만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이는 도 1의 방송 서버(110)로부터 제공되는 각종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AT : Access Terminal)(190 : 1901~190n)이 CDMA 기반의 무선망에 접속되어 구성된 것이다. 아울러 도 1에서 상기 이동 단말(190)을 제외한 각 구성요소는 설명의 편의상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CDMA 망 구성 형태에 따라 둘 이상의 구성요소가 접속될 수 있다.
또한 하기 설명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망으로 편의상 CDMA 망을 예로 들었으나 이외 패킷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무선망을 통해서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에서 방송 서버(110)는 각종 영상 및/또는 음성 데이터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방송 데이터를 저장하고, 방송 서버(110)로부터 송출된 방송 데이터는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의 제어에 따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PDSN : Packet Data Service Node)(150)로 전송된다. 상기 방송서버(110)가 인터넷 등의 패킷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에 연결되는 경우 상기 방송 데이터는 압축된 IP(Internet Protocol) 패킷 데이터로 생성된다.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는 상기 이동 단말(190)로부터 방송 서비스 이용 요구가 있는 경우 제1 인증 서버(H-AAA : Home-Authentification Authorization and Accounting)(130)로부터 소정 사용자 프로파일(Profile) 정보를 전달받아 상기 이동 단말(19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소정 보안 파라미터(Security Parameter) 및 세션 정보(Session Information)를 이동 단말(190)로 전송하여 방송 서비스를 위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를 통해 이동 단말(190)에 대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도록 하였으나,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가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는 상기 이동 단말(190)과 PPP(Point to Point Protocol) 접속되어 패킷 통신을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방송 서버(110)로부터 IP 패킷 데이터(즉, 방송 데이터)를 제공받는 등록된 이동 단말(190)의 멀티캐스트 그룹(Multicast Group)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와 연결된 멀티캐스트 라우터(MR : Multicast Router)(160)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이 소속된 IP 주소들에 대한 라우팅(Routing)을 수행한다.
아울러 도 1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에는 IP 정보를 관리함과 아울러 PPP 접속된 이동 단말(190)로 상기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의 IP 주소를 제공하는 주지된 도메인 네임 시스템(DNS : Domain Name System) 서버가 접속된다.
상기 방송서버(110)로부터 생성된 방송 데이터는 상기 멀티캐스트 그룹을 형성하는 다수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로 브로드캐스트되거나 각각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로 유니캐스트된다. 그리고 상기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로부터 패킷 제어부(PCF : Packet Control Function)(160)와 연결된 억세스 네트워크(AN : Access Network)(180)로의 방송 데이터 전송은 일반적인 1xEV-DO 망 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이동통신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기지국 송수신기(ANTS : Access Network Transceiver Subsystem)(180a)와 기지국 제어기(ANC : Access Network Controller)(180b)로 구성된다.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로부터 전송되는 IP 패킷 데이터(즉, 방송 데이터)를 RF(Radion Frequency) 신호로 변환하여 소프트 콤바인(Soft-combine)이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에 속하는 다수의 이동 단말(190)로 송출한다. 상기 소프트 콤바인이란 일정한 서비스 영역에서 동일한 시간 및 타임 슬롯(Time Slot)에 동일한 패킷 데이터가 전송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이동 단말(190)로 현재 방송 채널의 사용가능여부를 나타내는 정보와, RF(Radio Frequency) 신호로 변환된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라디오 채널(Radio Channel)(즉, 물리적 채널) 정보가 포함된 소정 오버헤드 메시지(Overhead Message)를 일정 주기 또는 비 주기적으로 전송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90)로부터 원하는 방송 채널 아이디(ID)가 포함된 소정 등록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로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일정 주기마다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후술할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통해 이동 단말(190)로 전달된다.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 포함된 방송 채널(논리적 채널)별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물리적 채널을 해당 시점에 맞추어 도약(Hopping)시킨 후, 그 변경된 채널로 방송 데이터를 송출하도록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채널 도약 정보(Channel Hopping Information)라 정의한다. 상기 채널 도약 정보는 방송 데이터의 트래픽 채널 선두에 위치한 콘트롤 채널에 포함되어 전송되고, 상기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주기 또는 시점(이하, "액션 타임(Action Time)")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로만 유니캐스트로 전송된다. 따라서 단말을 개조하는 등의 방법으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혀 전송하지 않거나 전송을 중단한 이동 단말로는 상기 채널 도약 정보가 전송되지 않으며, 그 미등록 이동 단말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게 된다.
또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사용자에 대한 과금을 수행하는 제2 인증 서버(140)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운송 경로(Bearer Path) 설정 허가를 요청한다. 상기 운송 경로는 해당 방송 채널에 대하여 첫 번째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 사이에 설정되며, 상기 운송 경로가 설정된 경우 동일한 소프트 콤바인이 제공되는 다른 이동 단말(190)은 기 설정된 운송 경로를 통해 방송 데이터를 전송받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상기 물리적 채널을 변경하는 주체는 액티브 셋(Active Set)을 관리하며, 그 주체는 상기 소프트 콤바인이 제공되는 서비스 영역의 범위에 따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의 기지국 송수신기(ANTS)(180a) 또는 기지국 제어기(ANC)(180b) 또는 패킷 제어기(170)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채널 도약 정보는 상기 소프트 콤바인을 제공하는 주체에 따라 상기 기지국 송수신기(180a), 기지국 제어기(ANC), 패킷 제어기(170) 중 하나로부터 생성되어 이동 단말(19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일반적으로 도 1과 같이 기지국 송수신기(180a), 기지국 제어기(180b)를 포함하며 이하 본 발명에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라 함은 상기 소프트 콤바인을 고려하여 패킷 제어기(170)를 포함하는 보다 큰 개념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 <표 1>은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생성되는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의 필드 구성과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을 나타낸 것이다.
Field Comment
메시지 아이디(MessageID) 메시지 식별 아이디
액션 타임(ActionTime) 도약(Hopping)에 의해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또는 주기)
도약 정보(Hopping Information) 물리적 채널의 도약 정보
한편 상기 이동 단말(190)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 간의 상기 등록 메시지 및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의 송수신은 상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도 일정 주기마다 또는 비주기적으로 수행된다.
그리고 상기 이동 단말(190)은 무선망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일반적인 통신 모듈과, 설정된 통신 환경에 따라 상기 등록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전송하고,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상기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액션 타임에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 채널을 변경하도록 된 소정 동작 프로그램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상기 이동 단말(19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즉 도 1의 방송 시스템은 상기 이동 단말(190)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 사이에 상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 주기적으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에는 상기한 채널 도약 정보를 일정 주기 또는 비주기적으로 전송하고, 이에 따라 실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을 수시로 변경시킨다. 따라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만이 변경된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된 방송 시스템에 적용되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을 도 2의 흐름도를 이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이동 단말(190)로는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방송 서비스 사업자 측으로부터 제공된 방송 채널 리스트와 방송 시간 등이 포함된 소정 방송 안내 정보(Broadcast Service Anouncement)가 억세스 네트워크(180)를 통해 브로드캐스트로 제공된다. 또한 사용자가 이동 단말(190)을 키조작하여 무선 인터넷에 접속한 후, 상기 방송 안내 정보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방송 안내 정보를 수신한 사용자가 201 단계에서 도 1의 이동 단말(190)을 키조작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하게 되면, 이동 단말(190)은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PPP 접속을 위한 소정 접속 메시지를 송출하여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와 PPP 접속이 설정된다. 그리고 202 단계에서 이동 단말(190)은 DNS 서버(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의 IP 주소를 수신한 후, 상기 201 단계에 따라 선택된 방송 채널에 대한 소정 서비스 이용 요구 메시지를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로 전송하게 된다.
이에 따라 203 단계에서 도 1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는 제1 인증 서버(130)로부터 해당 이동 단말(190)에 대한 사용자 프로파일 정보를 요구 및 수신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정상 사용자로 인정된 경우 204 단계와 같이 방송 데이터 수신 시 요구되는 소정 보안 파라미터와 세션 정보를 이동 단말(190)로 전송하게 된다. 상기 보안 파라미터는 예컨대, 암호화된 방송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억세스 키(BAK : Broadcast Access Key)와 상기 억세스 키의 유효시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세션 정보는 방송 데이터 수신을 위한 IP 정보 및 포트(Port) 정보를 포함한다.
이후 205 단계에서 도 1의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현재 서비스되는 적어도 하나의 방송 채널에 대한 물리적 채널 정보와 각 방송 채널의 사용가능여부 정보가 포함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이동 단말(190)로 송출한다. 이동 단말(190)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와 이후 전송되는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이용하여 방송 데이터 수신을 위한 에어(Air) 파라미터를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206 단계에서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한 이동 단말(190)은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아이디가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전송한다. 이후 207 단계 내지 209 단계를 거쳐 방송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운송 경로(bearer path)가 설정되고, 송출되는 방송 채널에 대해 이동 단말(190)은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상기 206 단계에서 수신한 오버헤드 메시지와 하기 210 단계에서 수신되는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조합하여, 물리적으로 변경되는 채널 정보에 따라 방송을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즉 210 단계에서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예컨대, 매 액션 타임을 주기로 변동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가 포함된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이동 단말(190)로 유니캐스트 전송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일정 주기마다 전송되도록 하였으나 이를 비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3의 (A)는 변경 전 물리적 채널 정보를 방송 채널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의 (B)는 상기 채널 도약 정보에 따라 변경된 물리적 채널 정보를 나타낸 것으로 서, 상기 채널 도약 정보에서 도약 정보(Hopping Information)가 1인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즉 도 3에서 상기 라디오 채널 정보는 일정한 인터레이스(Interlace)와 멀티플렉스(Multiplex) 및 버스트길이(Burstlength)가 할당되어 있다. 상기 인터레이스는 1xEV-DO 망에서 타임 슬롯 단위로 전송되는 물리 채널의 슬롯을 의미하고, 상기 멀티플렉스는 상기 인터레이스를 논리적으로 나눈 인덱스이다. 또한 상기 버스트길이는 상기 인터레이스와 멀티플렉스로 구성되는 논리적 방송 채널의 반복 전송 횟수를 의미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채널 도약은 기본적으로 멀티플렉스(Multiplex) 및 버스트길이(Burstlength)를 고정시킨 후, 도 3의 (A), (B)에 도시된 것처럼 인터레이스(Interlace)를 상기 도약 정보에 따라 쉬프트(Shift)시키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도 3에서는 인터레이스만을 쉬프트 시키는 방식을 예를 들었으나, 인터레이스와 멀티플랙스 그리고 버스트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라디오 채널의 정보를 변경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1의 이동 단말(190)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 포함된 변경 전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비교하여 매 액션 타임마다 변동되는 실제 물리적 채널(라디오 채널)을 알 수 있으며, 처음부터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았거나, 방송 서비스 이용 중 등록 메시지를 일정 주기로 또는 비주기로 전송하지 않는 이동 단말(190)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운송 경로 설정은 각 방송 데이터를 첫 번째로 수신하는 이동 단말(190)에 대해서만 수행되며, 상기 운송 경로가 설정된 후, 동일 서비스 영역에 있는 모든 이동 단말(190)에 대해서는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일정 주기마다 또는 비주기적으로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수신하여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동작만이 수행된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등록된 이동 단말(1901)과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이동 단말(1902)이 동일한 소프트 콤바인에서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경우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그리고 하기 설명에서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일정 주기마다 전송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먼저 401 단계에서 등록된 이동 단말(1901)에 대한 운송 경로가 도 2의 207 단계 및 208 단계와 동일한 방식으로 설정되고, 402 단계에서 등록된 이동 단말(1901)에 대한 방송 데이터 송출이 진행 중인 경우 동일한 소프트 콤바인에 들어온 두 번째 이후의 이동 단말(1902)은 도 2의 207 단계 및 208 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등록된 이동 단말(1901)과 동일한 운송 경로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403, 404 단계에서 등록된 이동 단말(1901)은 방송 서비스 접속 시 미리 설정된 소정 등록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체크하여 주기 도래 시마다 상기한 등록 메시지를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405, 406 단계에서 등록 메시지를 수신한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미리 정해진 액션 타임 주기가 도래하였는지를 체크하여 주기 도래 시마다 상기한 채널 도약 정보를 등록된 이동 단말(1901)로 유니캐스트 전송하게 된다.
그리고 407 단계에서 등록된 이동 단말(1901)은 도 2의 205 단계에서 수신되었거나 이후 주기적으로 수신되는 오버헤드 메시지로부터 추출된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기 406 단계에서 수신된 채널 도약 정보를 비교한 후, 변경된 채널 정보에 따라 다음 액션 타임의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그러나 408 단계에서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은 다른 이동 단말(1902)은 상기 406 단계에서와 같은 채널 도약 정보를 수신하지 못하게 되고, 이에 따라 억세스 네트워크(180)를 통해 매 액션 타임마다 또는 비주기적으로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어 송출되는 방송 메시지를 수신하지 못하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서로 다른 시점에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다수의 이동 단말의 방송 데이터 수신 시점을 설명한다. 도 5에서 참조부호 CH1은 상기 채널 도약 정보가 포함된 콘트롤 채널이고, CH2는 방송 데이터가 실리는 트래픽 채널로서, 물리적 채널은 양 채널(CH1, CH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실제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의 갱신 주기는 이동 단말(190)의 등록 메시지 전송 주기 보다 충분히 길게 설정하여야 한다.
이는 이동 단말(190)이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BCMCS에서 콘트롤 채널(CH1)의 일반적인 전송 주기는 예컨대, 256 타임 슬롯(=426.67ms)이므로 본 발명에서 액션 타임(T1, T2, T3....)은 콘트롤 채널(CH1) 주기의 배수로 설정하여 이동 단말(190)로 채널 도약 정보가 전송되기 전에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도 5는 콘트롤 채널(CH1)의 전송 주기와 액션 타임을 일치시킨 예를 나타낸 것이다.
그리고 도 5는 제1 내지 제3 이동 단말(1901, 1902, 1903)의 등록 메시지 전송 시기가 각각 제1 액션 타임(T1) 이전인 경우와, 제1 액션 타임(T1)과 제2 액션 타임(T2) 사이인 경우와, 제2 액션 타임(T2)인 경우 제1 내지 제3 이동 단말(1901, 1902, 1903)이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는 시점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채널 도약 정보는 다음 액션 타임에 적용되므로 상기 제1 이동 단말(1901)은 제2 액션 타임(T2)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및 제3 이동 단말(1902, 1903)은 제3 액션 타임(T3)부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190)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 6에서 본 발명의 요지와 관계없는 내용에 대해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6는 도 1에 도시된 이동 단말(19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 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이동 단말(190)은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 포함된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 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에 포함된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해당 액션 타임에 송출되는 방송 데이터의 수신 채널을 변경하여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도 6에서 통신 모듈(192)은 제어부(196)의 제어 하에 안테나(191)를 통해 무선망에 접속되어 CDMA 방식으로 송수신되는 음성 신호와 패킷 데이터에 대해 변조/복조 처리를 수행하는 RF 처리부(192a), 부호화/복호화 처리를 수행하는 베이스밴드 처리부(192b), 그리고 마이크(MIC), 스피커(SP), LCD(Liquid Crystal Display) 표시부(193)에 각각 연결되어 음성신호 및 영상신호 처리를 수행하는 신호 처리부(192c)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사용자가 도 6의 키패드(194)를 조작하여 원하는 방송 채널을 선택한 경우 도 1의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보안 파라미터 및 세션 정보와, 도 1의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수신된 상기 물리적 채널 정보와 채널 도약 정보는 메모리(195)에 저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오버헤드 메시지에는 방송채널별로 변경 전 물리적 채널 정보가 포함되어 있고, 상기 채널 도약 정보에는 도 3의 (A), (B)와 같이 상기 물리적 채널 정보를 변경하기 위한 도약 인덱스와 액션 타임 정보가 포함되어 방송 데이터 수신 시 이용된다.
상기 제어부(196)는 음성 또는 데이터 통신과 방송 서비스 이용 시 요구되는 기본적인 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방송 서비스 이용 시 상기 등록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도 1의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전송하고,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물리적 채널 정보와 채널 도약 정보를 수신하여 각 방송 채널을 접속하는 물리적 채널 설정이 변경되도록 상기 통신 모듈(192)의 동작을 제어하게 된 다.
따라서 상기한 이동 단말(190)의 구성에 의하면, 이동 단말(190)은 변경 전 물리적 채널 정보와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비교하여 매 액션 타임마다 변경되는 물리적 채널을 인식할 수 있으며, 변경된 물리적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6의 구성으로 된 이동 단말(190)이 방송 데이터 수신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이동 단말(190)로 이동통신 사업자 또는 방송 서비스 사업자 측으로부터 소정 방송 안내 정보가 제공되었거나 무선 인터넷 등에 접속하여 상기 방송 안내 정보를 조회한 사용자가 방송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도 6의 키패드(194)를 키조작하게 되면, 이동 단말(190)의 제어부(196)는 전술한 도 2의 201 단계 내지 204 단계에 따라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에 대한 PPP 접속을 수행함과 아울러 방송 서비스 제어기(120)로부터 방송 서비스 이용 시 요구되는 보안 파라미터와 세션 정보를 수신하여 메모리(195)에 저장한다.
이후 제어부(196)는 억세스 네트워크(180)로부터 현재 서비스되는 방송 채널에 대한 물리적 채널 정보와 각 방송 채널의 사용가능여부 정보가 포함된 오버헤드 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195)에 저장한 후, 사용자가 선택한 방송 채널의 아이디가 포함된 등록 메시지를 억세스 네트워크(180)로 전송한다. 이때 도 1의 억세스 네트워크(180)는 매 액션 타임을 주기로 변동되는 채널 도약 정보가 포함된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해당 이동 단말(190)로 유니 캐스트 전송하며,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제어부(196)는 오버헤드 메시지와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방송 데이터 수신을 위한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도록 통신 모듈(192)의 에어 파라미터를 설정하게 된다.
이후 제어부(196)는 도 2의 209 단계에 따라 억세스 네트워크(180)와 패킷 데이터 서비스 노드(150) 사이에 설정된 운송 경로를 통해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해당 액션 타임에 지정된 물리적 채널로 수신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 해당 서비스 영역에서 상기 등록 메시지, 오버헤드 메시지 및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의 송수신은 방송 서비스 접속 시 미리 정해진 주기로 또는 비주기적으로 반복하여 수행된다.
상기한 과정에 따라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게 되면,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물리적 채널이 수시로 변경되어도 이동 단말은 등록 메시지 전송 후, 방송 시스템을 통해 제공되는 채널 도약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모듈의 에어 파라미터를 매 액션 타임마다 변경시키게 되므로 변경된 채널로 전송되는 방송 데이터를 용이하게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엑세스 네트워크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지 않는 이동 단말은 다른 이동 단말(190)을 통해 운송 경로가 이미 설정되어 있더라도 각 방송 채널의 변경된 물리적 채널을 확인하지 못하지 못하게 되므로 원하는 방송 데이터를 수신할 수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정해진 주기 마다 또는 수시로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 정상적인 사용자로 등록된 이동 단말에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방송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에도 등록 메시지를 전송하여야만 수시로 변경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가 이동 단말로 전송되므로 단말기 개조 등을 통한 불법 사용자의 방송 서비스 이용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방송 서비스 사업자에게는 보다 안전한 사용자 인증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Claims (26)

  1.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송 서버와 연결되어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상기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다수의 방송 채널에 할당된 물리적 채널을 적어도 한 번 이상 변경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며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소정 등록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한 이동 단말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송신하는 억세스 네트워크와,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하여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한 후 변경된 물리적 채널을 통해 원하는 방송 채널의 데이터를 수신하는 이동 단말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일정 주기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적어도 1회 이상 비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 정보인 소정 액션 타임이 포함된 채널 도약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는 상기 액션 타임에 맞추어 상기 물리적 채널을 변경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송신한 이동 단말로만 유니캐스트로 전송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는 기지국 송수신기와 기지국 제어기 및 패킷 제어기를 포함하고,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이중 하나로부터 생성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통신 시스템.
  7. 방송 서버와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로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제1 정보 송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이용에 따른 소정 등록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전송하는 등록 단계,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송신하는 제2 정보 송신 단계와,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된 채널로 상기 방송 데이터를 송신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일정 주기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적어도 1회 이상 비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 정보인 소정 액션 타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송신 단계는 상기 액션 타임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소정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 아이디와, 상기 액션 타임과, 상기 물리적 채널의 도약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 터 송신 방법.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각 무선 채널은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가 할당되며,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은 상기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쉬프트시켜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3.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주기는 상기 등록 메시지의 전송 주기 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송신 단계에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이동 단말로만 유니캐스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15. 방송 서버와 억세스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동 단말에서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적 채널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정보 수신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방송 서비스 이용을 위한 소정 등록 메시지를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 송신하는 등록 단계,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억세스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를 수신하는 제2 정보 수신 단계와,
    상기 이동 단말이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에 따라 변경된 채널로 송출되는 상기 방송 데이터를 수신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 메시지와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일정 주기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이동 단말에 대한 방송 데이터 운송 경로가 설정된 이후로도 적어도 1회 이상 비주기적으로 송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 정보인 소정 액션 타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액션 타임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소정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 아이디와, 상기 액션 타임과, 상기 물리적 채널의 도약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각 무선 채널은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가 할당되며,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은 상기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쉬프트시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1.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주기는 상기 등록 메시지의 전송 주기 보다 길게 설정됨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송신 방법.
  22.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정보 수신 단계에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등록 메시지를 전송한 상기 이동 단말로만 유니캐스트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데이터 수신 방법.
  23. 방송 서버와 연결된 이동통신 시스템을 통해 방송 서비스를 제공받는 이동 단말에 있어서,
    무선망을 통해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과 패킷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통신 모듈과,
    단말의 기본적인 동작 프로그램과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방송 채널별 물리적 채널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와,
    상기 통신 모듈과 상기 메모리에 각각 접속되어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함과 아울러 방송 서비스 이용 시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 소정 등록 메시지를 미리 정해진 시간마다 송신하며, 상기 이동통신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데이터가 송출되는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가 수신된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의 동작을 제어하여 방송 데이터가 수신되는 상기 물리적 채널을 변경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상기 물리적 채널이 변경되는 시점 정보인 소정 액션 타임을 포함하고, 상기 방송 데이터 수신 단계는 상기 액션 타임에 맞추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5.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물리적 채널의 변경 정보는 소정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통해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되며,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는 메시지 식별 아이디와, 상기 액션 타임과, 상기 물리적 채널의 도약 정보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2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데이터가 전송되는 각 무선 채널은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가 할당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채널 도약 정보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 상기 액션 타임에 맞추어 상기 인터레이스, 멀티플렉스 및 버스트길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채널 도약 정보를 근거로 쉬프트시키도록 상기 통신 모듈의 에어 파라미터를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
KR1020040110724A 2003-12-22 2004-12-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KR10058440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4756 2003-12-22
KR20030094756 2003-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745A KR20050063745A (ko) 2005-06-28
KR100584408B1 true KR100584408B1 (ko) 2006-05-26

Family

ID=347378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110724A KR100584408B1 (ko) 2003-12-22 2004-12-22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050152297A1 (ko)
KR (1) KR1005844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64120B2 (en) * 2005-09-27 2010-02-16 Raytheon Company Multiple-transceiver distributed dynamic channel selection in a communication network
US8014331B2 (en) * 2006-07-28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MAC protocol for broadcast
US20080025241A1 (en) * 2006-07-28 2008-01-31 Naga Bhusha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multicast service in an ultra mobile broadband network
US8086179B2 (en) * 2007-09-24 2011-12-27 Qualcomm Incorporated Mobility management of multiple clusters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network
US20100157870A1 (en) * 2008-12-19 2010-06-24 Qualcomm Incorporated Managing a multicast group membership table at an access network with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KR101007357B1 (ko) * 2008-12-22 2011-0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모바일 통신 단말을 위한 보안 서비스 재구성 방법 및 그 장치
KR102294052B1 (ko) * 2019-04-15 2021-08-25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 및 단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06064B1 (ko) * 2000-01-15 2006-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통신시스템의 부가채널 할당 장치 및 방법
US20030054807A1 (en) * 2001-09-17 2003-03-20 Liangchi Hsu Apparatus, and associated method, for facilitating multicast and broadcast services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US7096024B2 (en) * 2003-01-31 2006-08-22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initiate point-to-point call during shared-channel delivery of broadcast content in a wireless telephone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63745A (ko) 2005-06-28
US20050152297A1 (en) 2005-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3205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roadcast applica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36811B2 (en)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KR100968084B1 (ko) 방송 서비스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15516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 내에서 인터랙티브 멀티캐스트 메시지에 대한 응답
Wang et al. Broadcast and multicast services in cdma2000
US8520584B2 (en) Data over signaling (DOS) optimization over wireless access networks
EP1449050B1 (en) Method and system of identifying network services
US20050147127A1 (en) Multicasting data method in a radio communication system
JP2007528157A (ja) 無線機器識別子用のドメインidマッピング
CA27552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negotiation of transmission parameters for broadcast/multicast services
US2003013465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low treatment and mapping on multicast/broadcast services
JP4249709B2 (ja) モバイル通信ネットワークにおけるダイレクト・アップリンク接続のための方法、装置および基地局
JP2009535951A (ja) Fddおよび非fdd帯域幅用のデバイスおよび制御プロシジャ
KR10058440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과이를 위한 이동 단말
US20050117542A1 (en) Method for discovering a broadcast multicast services (BCMCS) controller in a packet data network
JP2006513617A (ja) マルチキャストサービスのための移動無線機器の構成状態の制御方法
KR20080045866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페이징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557151B1 (ko) 이동통신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제어기 검색 방법
KR100584442B1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접속 제한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100840366B1 (ko) 무선 단말과 기지국간의 액세스 메시지 전송 준비 절차간소화 방법
KR20050097384A (ko) 이동통신 방송서비스에 할당된 fa에서 단말기 페이징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