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866B1 -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 - Google Patents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866B1
KR102293866B1 KR1020140130369A KR20140130369A KR102293866B1 KR 102293866 B1 KR102293866 B1 KR 102293866B1 KR 1020140130369 A KR1020140130369 A KR 1020140130369A KR 20140130369 A KR20140130369 A KR 20140130369A KR 102293866 B1 KR102293866 B1 KR 102293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luminaire
reflector
sour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03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41742A (ko
Inventor
야스요 코지마
사토루 야쿠시지
케이타 핫토리
코우야 시바사키
노리아키 다나카
사토시 후루카와
Original Assignee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787A external-priority patent/JP6230104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618A external-priority patent/JP624192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788A external-priority patent/JP630264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616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54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617A external-priority patent/JP61954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11786A external-priority patent/JP6302640B2/ja
Application filed by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코이토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50041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41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4Optical design
    • F21V7/09Optical design with a combination of different curv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21K9/69Details of refractors forming part of the light sour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8/00Lighting devices intended for fixed instal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7/0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 F21V17/10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 F21V17/12Fastening of component parts of lighting devices, e.g. shades, globes, refractors, reflectors, filters, screens, grids or protective cages characterised by specific fastening means or way of fastening by screw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9/00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V19/001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the light sources being semiconductors devices, e.g. LE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66Reflectors for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point like light sources; specially adapted to cooperate with light sources the shape of which is unspecif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0091Reflectors for light sources using total internal refl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2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water veh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7/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 F21W2107/3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n or in particular types of vehicles for aircraf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Fastening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AREA)

Abstract

[과제]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한다. [해결 수단]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용 리플렉터(12)는, 베이스부(126)와, 정부(122)와, 반사부(124)를 구비한다. 반사부(124)는, 곡면체(120)와, 환상 철면부(121)를 갖는다. 곡면체(120)는, 베이스부(126)와 정부(122) 사이에 설치되어, 정부(12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환상 철면부(121)는, 곡면체(120) 상에 설치되어, 정부(122)를 중심으로 동심원형으로 배열된다. 개개의 환상 철면부(121)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LAMP, REFLECTOR FOR LAMP, AND LIGHT UNIT FOR LAMP}
본 발명은, 항해 혹은 항공 관련의 분야에서 사용되는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에 관한 것이다.
항해, 항공의 교통의 안전을 기하기 위해, 법률이나 규칙에 의해, 선체나 항공기체에의 등기구의 설치가 의무되고 있고, 예를 들면, 그 설치 위치마다의 빛의 사광 범위, 및 출사광의 색 등이 세세하게 정해져 있다. 근래에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가 제안되고 있으며,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도나 배광 등의 기술에 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등(船燈)은, 수평 방향으로 원형 또는 원호형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된 광원과, 이 광원의 상하에 배치된, 원반형이며 원추형의 한 쌍의 반사경을 구비한다. 또, 이 선등은, 전원 회로가 수용된 기초부 유닛과, 이 기초부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 및 반사경이 수용된 동부통(胴部筒)과, 이 동부통 상에 설치된 정부 유닛(頂部 unit)을 갖는다. 기초부 유닛과 정부 유닛과의 사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필요한 각도 범위에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폐하는 차광판이 설치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의 명세서 단락 [0018], [0024], 도 1 참조).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등부표용의 등기구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망의 빛의 배광각을 얻기 위해서, 광원으로서 환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포물면 형상의 반사면을 갖는 환상통형 반사경을 구비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2의 명세서 단락 [0026], 도 2 참조).
특개2007-27052호 공보 특개2007-313946호 공보
선등에 관해서는, 예를 들면 선박 안전법 등의 법규에 준거할 필요가 있다. 이 법규에서는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이나, 둘레 방향의 소정 각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되지 않으면 안 되는 것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등은, LED의 발광색을 반사경으로 집광시키고, 볼록 렌즈에서 더욱 집광시키고 있다. 2단계에서의 제어를 필요로 하고 있어서, 상기 법규에 준거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할 수 있는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등기구용 리플렉터는, 베이스부와, 정부와, 반사부를 구비한다.
상기 반사부는, 곡면체와, 환상 철면부(環狀凸面部)를 갖는다. 상기 곡면체는,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환상 철면부는,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다.
종래의 리플렉터의 상당수는, 반사면이 연속 경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엄격하게 받게 되어, 둘레 방향 혹은 축 방향에의 광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쉬웠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반사부가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환상 철면부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는, 상기 정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로 향해 배열 피치가 커진다.
이로 인해 곡면체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 환상 철면부의 배열 피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학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리플렉터의 형태는, 등기구의 종류나 광원 유닛의 구조에 따라 적당하게 변경 가능하다. 전형적으로는, 광원(예를 들면 LED)의 수나 배치에 따라, 리플렉터의 형태를 적당하게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광원 유닛이 동일 원주 상에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갖는 경우, 리플렉터의 정부는, 평면부와, 접속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접속부는, 상기 평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지지하는 기판과 접속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로 인해, 각각의 광원과 리플렉터와의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확보할 수 있다. 또, 복수의 환상 철면부는,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광원으로부터의 빛은 각각 한결같은 조건으로 확산 반사된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광원 유닛이 단일의 광원을 갖는 경우, 리플렉터의 정부는, 첨예부를 갖는다.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첨예부와 대향하는 광원이 배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다.
이 경우에서도, 광원과 리플렉터 사이의 상대적인 위치 정밀도를 확보하면서, 각 광원으로부터 출사되는 빛을 반사부에서 확산 반사시키고,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할 수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등기구용 광원 유닛은, 광원 기판과, 리플렉터와, 지지체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 기판은, 단수 또는 복수의 광원을 탑재한다.
상기 리플렉터는, 베이스부와, 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반사부를 갖는다. 상기 반사부는,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둘레 벽부를 갖고,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한다.
종래의 리플렉터의 상당수는, 반사면이 연속 경면으로 구성되어 있었기 때문에,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엄격하게 받게 되어, 둘레 방향 혹은 축 방향으로의 광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쉬웠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반사부가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환상 철면부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완화하도록 하고 있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지지체는,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둘레 벽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 기판을 지지한다.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둘레 벽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광출사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광원 기판 및 리플렉터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에 고정되는 평면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은, 상기 평면부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한다.
이로 인해, 복수의 광원과 리플렉터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상기 평면부에서의 위치 결정 작용을 유지하면서, 지지체에 의해서 리플렉터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정부는, 첨예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광원은, 상기 첨예부와 대향하는 단일의 광원을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 단일의 광원에서 둘레 방향으로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둘레 벽부에 대향하는 환상의 제1 경사면부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접해 상기 첨예부를 상기 광원의 바로 위쪽 위치로 안내하는 환상의 제2 경사면부를 갖는다.
이로 인해, 광원과 리플렉터와의 상대 위치 관계를 규정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용 광원 유닛은, 상기 광원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을 지지하는 제1 면과,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갖는다.
이로 인해, 광출사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회로 기판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는, 상기 정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곡면체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 환상 철면부의 배열 피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학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항해, 항공의 교통의 안전을 기하기 위해, 법률이나 규칙에 의해, 선체나 항공기체에의 등기구의 설치가 의무 지워지고, 예를 들면, 그 설치 위치마다의 빛의 사광 범위, 및 출사광의 색 등이 세세하게 정해져 있다. 근래에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가 제안되고,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도나 배광 등의 기술에 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일본 특허 공개2007-27052호 공보에 기재의 선등은, 수평 방향으로 원형 또는 원호 모양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로 되는 광원과, 이 광원의 상하에 배치된, 원반 모양이며 원추형의 한 쌍의 반사경을 구비한다. 또, 이 선등은, 전원 회로가 수용된 기초부 유닛과, 이 기초부 유닛 상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 및 반사경이 수용된 동부통과, 이 동부통 상에 설치된 정부 유닛을 갖는다. 기초부 유닛과 정부 유닛 사이에는, 원주 방향에서의 필요한 각도 범위에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차폐하는 차광판이 설치되어 있다(단락 [0018], [0024], 도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2007-313946호 공보에 기재의 등부표용의 등기구는, 수평 방향에서 보았을 때 소망한 빛의 배광각을 얻기 위해서, 광원으로서 환상으로 배치된 다수의 발광 다이오드와, 포물선 형상의 반사면을 갖는 환상통형 반사경을 구비한다(명세서 단락 [0026], 도 2 참조).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선체, 항공기체 등의 항주체에의 등기구의 설치 위치나 사광각 범위 등의 규제에 의해, 등기구는 그 기종마다 다른 구조를 갖기 때문에, 기종 마다, 다른 부품, 다른 성형용의 금형, 또, 다른 제조 공정이 필요하다. 이 때문에, 등기구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이 어려웠다.
상기 사정에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기종간에 공통화된 부품을 갖는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 유닛과, 루버(louver)와, 수용체를 구비한다.
상기 루버는, 상기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한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종래까지는, 광원 유닛에 대한 루버의 설치각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기종의 등기구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루버의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정된 부착부를 갖는 수용체에 의해, 1개의 수용체로 루버의 설치각 중, 임의의 하나의 설치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수용체가 공통화된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종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광원 유닛의 주위를 따라서 배치되어, 투광영역을 포함하는 측 둘레부와, 상기 부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측 둘레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가 계합 가능한 홈일 수 있다. 수용체에 설치된 돌설부의 홈에 루버의 일부를 계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루버를 수용체에 부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루버는, 상기 측 둘레부의 상기 투광영역을 따라서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설부의 상기 홈에 계합 가능한 날개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돌설부와의 사이에, 상기 루버를 협지하는 단부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돌설부와 단부 부재 사이에 루버를 협지시키고, 홈에 루버를 계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루버를 수용체에 부착할 수 있다.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수용체에 접속된 리드(lid)일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식의 등기구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리드는,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 등은, 기준 마크를 기준으로서 등기구를 조립하거나, 루버를 부착부에 부착하거나, 등기구를 항주체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이나 설치 등이 용이하게 된다.
상기 광원 유닛, 상기 루버, 상기 수용체 및 상기 단부 부재는, 2개의 광원 유닛, 2개의 루버, 서로 접속된 2개의 수용체 및 2개의 단부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광원 유닛, 각 루버, 각 수용체 및 각 단부 부재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돌설부의 협지의 방향에 따르는 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 위치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즉, 적어도 2개의 광원 유닛 및 2개의 루버를 공통화한 이중식의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2개의 수용체도 공통화될 수 있고, 2개의 단부 부재도 공통화될 수 있다.
상기 2개의 단부 부재 중 한편은,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자 등은, 기준 마크를 기준으로서 루버를 부착부에 부착할 수 있으므로, 그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루버의 설치각에 따르고, 상기 2개의 단부 부재 중 제1 단부 부재에 대한 제2 단부 부재의 상기 주위 방향으로의 배치각이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루버의 배치각(즉 항주체에의 등기구의 설치 위치)에 따라, 2개의 단부 부재 중 한편을 회전시킴으로써, 항주체에의 등기구의 설치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수용체의 상기 부착부는, 제1 계합부를 가질 수 있다. 또, 상기 루버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제2 계합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홈에 의한 계합과, 제1 및 제2 계합부에 의한 계합에 의해 루버의 설치 상태를 안정화 시킬 수 있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측 둘레부 및 상기 돌설부를 갖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된 베이스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광원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수용체 내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갖는 이너 커버일 수도 있다.
상기 부착부는, 제1 부착부와, 제2 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부착부는, 상기 루버로서 제1 사광각을 갖는 제1 루버가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상기 제2 부착부는, 상기 루버로서 상기 제1 사광각과는 다른 상기 제2 사광각을 갖는 제2 루버가 장착되도록 배치된다. 이로 인해, 사광각이 다른 적어도 2 종류의 루버를 공통의 수용체의 루버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제1 광원 유닛과, 제1 루버와, 제1 수용체와, 제2 광원 유닛과, 제2 루버와, 제2 수용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1 루버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1 광원 유닛에 의한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한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제1 루버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상기 제2 루버는, 상기 제2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제2 광원 유닛에 의한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한다.
상기 제2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제2 루버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제2 광원 유닛을 수용하고, 상기 제1 수용체에 접속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 유닛과, 루버와, 수용체를 구비한다.
상기 루버는, 다른 복수의 사광각에 따라 각각 설계된 루버 중, 하나의 사광각을 갖는다.
상기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사광각에 따라 각각 설계된 상기 루버에 따라 각각 설치된, 그 루버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종래까지는, 광원 유닛에 대한 루버에 의한 사광각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기종의 등기구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다른 복수의 사광각을 갖는 그 루버에 따라 각각 설정된 부착부를 갖는 수용체에 의해, 1개의 수용체로 각 사광각을 갖는 루버에 대응 가능해진다. 즉, 수용체가 공통화된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종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그런데, 종래부터 상용등 및 예비등이 일체가 된 이중식의 등기구가 사용되고 있지만, 상용등만의 단식의 등기구와, 이중식의 등기구와는 그것을 구성하는 부품이 다르다. 따라서, 그 다른 부품 및 그러한 성형용의 금형이 필요했기 때문에, 등기구의 제조 코스트의 저감이 어려웠다.
상기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단식 및 이중식의 등기구 간에 공통화된 부품을 갖는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등기구는, 제1 광원 유닛과, 제1 수용체와, 제1 접속 구조와, 베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제1 측을 갖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상기 제1 접속 구조는, 제2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제2 수용체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에 설치된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1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상기 제1 수용체에 접속된다.
본 발명에서는, 제1 접속 구조에 의해, 제1 수용체가 제2 수용체에 연결 가능하게 된다. 이 경우, 제1 수용체에 제1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접속된 베이스가 분리되고, 제1 및 제2 수용체가 연결될 수 있다. 이 단식의 등기구를, 제2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제2 수용체와 연결하여 이중식의 등기구로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제1 및 제2 광원 유닛의 주요부, 또, 제1 및 제2 수용체의 주요부의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그들 등기구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설치된 제2 접속 구조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접속 구조와 공통의 구조를 갖는 제3 접속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가 공통의 구조를 갖는 경우, 제1 수용체에 연결된 제2 수용체를, 제3 접속 구조(즉 제2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대칭 배치로서 이중식의 등기구의 구성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제1 접속 구조 및 상기 제2 접속 구조는, 공통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대칭 배치로서 이중식의 등기구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제2 접속 구조에 접속된 리드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수용체를 사이에 두고 베이스의 반대측에 리드를 접속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의 주위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접속 구조가 설치된 베이스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수용체의 베이스 커버에, 제1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베이스 또는 제2 수용체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의 주위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구조가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접속 구조가 설치된 베이스 커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리드는,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이 등기구의 제조측의 작업자 또는 이 등기구의 이용자는, 기준 마크를 기준으로서, 등기구를 조립하거나, 항주체에 설치하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그 조립이나 설치가 용이하게 된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하는 루버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의 부착부를 가질 수 있다.
종래까지는, 광원 유닛에 대한 루버의 설치각의 차이에 따라 각각 다른 기종의 등기구로서 다루어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루버의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정된 부착부를 갖는 제1 수용체에 의해, 1개의 수용체로 루버의 복수의 설치각 중, 임의의 하나의 설치각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수용체가 공통화된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기종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상기 제1 광원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수용체 내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갖는 이너 커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제1 광원 유닛과, 제1 수용체와, 제2 광원 유닛과, 제2 수용체와, 연결 구조와, 접속 구조를 구비한다.
상기 제1 수용체는, 제1 측 및 그 반대측인 제2 측을 갖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상기 제2 수용체는, 제1 측 및 그 반대측인 제2 측을 갖고, 상기 제2 광원 유닛을 수용한다.
상기 연결 구조는,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과, 상기 제2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을 접속 가능하다.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수용체의 상기 제2 측에 접속된,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에 접속 가능한 접속 구조를 갖는다.
제1 연결 구조를 개입시켜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를 연결하고,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제2 수용체에 베이스를 접속할 수 있으므로, 이중식의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또, 베이스는, 제1 수용체의 제1 측에 접속 가능한 접속 구조를 가지므로, 단식의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단식 및 이중식의 등기구로, 제1 수용체 및 제2 수용체의 주요부 등의 부품을 공통화를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원양 구역을 항행하는 선박 등은, 종래부터 상용등 및 예비등이 일체가 된 이중식의 등기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백열전구를 이용한 이중식의 등기구의 경우, 등기구의 외부에서 등기구와는 먼 위치에 설치된 제어반 등에 전력의 공급 라인이 접속되어 있다. 제어반은 상용등 측으로 흐르는 전류를 감시하고, 그 전류가 흐르지 않게 되었을 경우, 상용등 측의 백열전구에 이상이 있다고 판단한다.
그렇지만, 발광 다이오드 등의 고체 발광소자를 광원으로서 이용하는 등기구의 경우, 고체 발광소자에 흐르는 전류가, 백열전구에 흐르는 전류에 비해 충분히 작기 때문에, 종래까지의 제어반에서는, 고체 발광소자에게 흐르는 전류를 검출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고체 발광소자를 갖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등기구의 이상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는 등기구, 특히 항해등, 그러한 점등 감시 장치 및 감시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예를 들면, 선체에의 장비가 의무지워진 선등으로서, 마스트등, 선미등, 우현등, 좌현등 등이 알려져 있다. 더욱이, 우현등과 좌현등을 일체화한 양색등도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개평6-115491호 공보 참조).
근래에는, 광원으로서 예를 들면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한 등기구가 제안되고, 발광 다이오드에 의한 광도나 배광 등의 기술에 관한 제안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특개2012-216334호 공보에는, 발광소자와, 발광소자가 발생하는 빛을 반사하는 메인 리플렉터 및 서브 플렉터를 구비하는 등기구(燈具)가 기재되어 있다(단락 [0013]).
그렇지만, 특허문헌 2에는 해당 등기구의 적용예로서 양색등을 들고 있지만, 그 구체적인 구성은 기재되지 않는다. 또 일반적으로, 양색등에는, 우현등 및 좌현등 각각에 요구되는 광도, 사광 범위를 1대의 등기구로 용이하게 실현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소정 이상의 광도를 실현할 수 있는 등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한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광원 기판과, 칸막이판과, 리플렉터와, 지지체를 구비한다.
상기 광원 기판은,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탑재하고, 제1 축 방향으로 직교한다.
상기 칸막이판은,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다.
상기 리플렉터는, 제1 반사체와, 제2 반사체를 갖는다. 상기 제1 반사체는,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상기 제1 축주위의 제1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제2 반사체는,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상기 제1 각도 범위와는 다른 상기 제1 축주위의 제2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지지체는, 상기 광원 기판, 상기 칸막이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수용하고, 상기 제1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둘레 벽부를 갖는다.
상기 등기구는, 조사 범위마다 독립한 광원 및 반사체를 갖기 때문에, 조사광의 광학 설계를 최적화 가능하고,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소정 이상의 광도를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등기구는, 제1 각도 범위로 조사되는 빛의 색과 제2 각도 범위로 조사되는 빛의 색이 서로 다르도록 구성된다. 전형적으로는, 각 광원이 서로 다른 파장역의 가시광선을 출사 가능한 발광소자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각 광원을 백색광을 출사하는 발광소자로 구성함과 동시에, 상기 둘레 벽부의 광투과 영역이 각각 소정의 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사체는, 제1 정부와, 복수의 제1 원호 모양 철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정부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광원과 대향한다. 상기 복수의 제1 원호 모양 철면부는, 상기 제1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개개의 원호 모양 철면부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완화하고,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이, 상기 제2 반사체는, 제2 정부와, 복수의 제2 원호 모양 철면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정부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광원과 대향한다. 상기 복수의 제2 원호 모양 철면부는, 상기 제2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다.
상기 제1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는 각각, 상기 칸막이판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및 제2 각도 범위로 조사되는 빛의 광학 특성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칸막이판은, 각각 일체로 성형된 단일의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재의 공통화, 조립이에서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의 리플렉터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등기구는, 상기 둘레 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둘레 벽부로부터의 빛의 출사 범위를 제한하는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도에 대응하기에 최적인 조사 각도의 설정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의하면, 복수의 기종 간에 공통화된 부품을 갖는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단식 및 이중식의 등기구 간에 공통화된 부품을 갖는 등기구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체 발광소자를 갖는 광원부를 구비하는 등기구의 이상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도 1]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로서 단식의 선등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도 3은, 도 1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평면도이다.
[도 5]도 5는, 도 4에서의 A-A선에서의 일부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도 6은, 광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도 7A~C는, 각각 다른 사광각을 갖는 루버의 평면도이다.
[도 8]도 8은, 아우터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아우터 커버의 평면도이다.
[도 10]도 10은, 아우터 커버(및 리드)의 설치 영역의 특히 계지홈의 각도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1]도 11A~D는, 예를 들면 1개의 선체의 각처에 설치되는 등기구마다의 루버의 설치각을, 아우터 커버(및 리드)의 각 계지홈의 각도 위치와의 관계로 나타내 보인다.
[도 12]도 12는, 수용체 중 베이스 커버의 하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도 13은, 베이스를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5]도 15는, 도 14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광원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식의 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이중식의 등기구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도 18은, 도 16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도 19는, 도 16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단면도이다.
[도 20]도 20A~D는, 예를 들면 1개의 선체의 각처에 설치되는 등기구마다의 루버의 설치각을, 베이스의 각 계지홈의 각도 위치와의 관계로 나타내 보인다.
[도 21]도 21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도 22는, 선체에의 선등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도 23]도 23은, 점등 감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4]도 24는, 점등 감시 장치의 주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5]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주처리를 실행하기 전의, 등기구에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도 26]도 26은, 도 6에 나타내는 광원 유닛에서의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27]도 27은, 도 26에 나타내는 리플렉터의 측면도이다.
[도 28]도 28은, 도 26에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29]도 29는, 도 27에서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0]도 30은, 도 26에 나타내는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는 광원광의 광선 추적도이며, A는, 임의의 하나의 환상 철면부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반사부 전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1]도 31은, 비교예에 따른 리플렉터에 의해 반사되는 광원광의 광선 추적도이며, A는, 임의의 하나의 환상 철면부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반사부 전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도 32]도 32는, 도 15에 나타내는 광원 유닛에서의 리플렉터의 평면도이다.
[도 33]도 33은, 도 32에 나타내는 리플렉터의 측면도이다.
[도 34]도 34는, 도 32에서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35]도 35는, 도 33에서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도 36]도 36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7]도 37은, 도 36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정면도이다.
[도 38]도 38은, 도 37에 나타내는 등기구의 좌측면도이다.
[도 39]도 39는, 도 37에서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40]도 40은, 도 38에서의 E-E선 단면도이다.
[도 41]도 41은, 도 36에 나타내는 등기구에서의 광원 유닛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2]도 42는, 도 41에 나타내는 광원 유닛에서의 리플렉터 유닛의 저면도이다.
[도 43]도 43은, 도 42에 나타내는 리플렉터 유닛의 정면도이다.
[도 44]도 44는, 도 43에 나타내는 리플렉터 유닛의 좌측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1. 선등의 일반적 설명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로서, 선체에 설치되는 선등에 대해 설명한다. 도 22는, 선체에의 선등의 배치예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선체(1000)는, 뱃머리등(1001), 선미등(1002), 중앙의 마스트등(1003), 또, 우현등 및 좌현등으로 이루어지는 현등(1004)을 갖는다. 이들 각종의 등기구에 의한 사광 범위는, 선박 안전법으로 준거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선박의 크기에 차이에 따라, 선등의 설치수가 다르고, 예를 들면 작은 사이즈의 선박의 경우, 좌우 현등이 일체가 된 1개의 현등이 이용되는 경우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뱃머리등(1001) 및 중앙 마스트등의 사광 범위가, 뱃머리의 방향을 중심으로 225°로 규정되고, 선미등(1002)의 사광 범위가, 선미의 방향을 중심으로 135°로 규정되어 있다. 또, 현등(1004)의 사광 범위가, 뱃머리 방향에서 각각 좌방향 및 우방향으로 112.5°로 규정되어 있다.
선등에는, 상용등만의 단식, 상용등 및 예비등이 일체가 된 이중식이 있다. 원양 구역을 항행하는 선박은, 주로 이중식의 선등이 이용된다. 이중식의 등기구에 대해서는, 본 명세서에서는 제3 실시 형태로서 이를 설명한다.
2. 제1 실시 형태
1) 등기구의 전체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로서 단식의 선등의 정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등기구(100)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이 등기구(1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등기구(100)는, 도 1 중, z 방향을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서 주로 사용된다. 또, 이후의 설명에서는, z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x 및 y 방향을 수평면 내의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한다.
등기구(100)는, 광원 유닛(10)(도 3 참조)과, 이 광원 유닛(10)을 수용하는 수용체(50)와, 수용체(50)에 장착되어, 등기구(100)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하는 루버(90)와, 수용체(50)의 상하에 각각 접속된 단부 부재(60)를 구비한다.
수용체(50)는, 예를 들면 투광성을 갖는 아우터 커버(커버)(20)와, 이 아우터 커버(20)에 장착된 베이스 커버(30)를 갖는다. 단부 부재(60)는, 예를 들면 아우터 커버(20)의 상부에 장착된 리드(70)와, 베이스 커버(30)의 하부에 장착된 베이스(80)를 포함한다. 베이스(80)는, 주로 등기구(100)를 선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품이다. 또, 리드(70)에는 손잡이(71)가 설치되어 있다. 광원 유닛(10), 아우터 커버(20), 베이스 커버(30), 리드(70) 및 베이스(80)의 각 부품은,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 4는, 등기구(100)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A-A선에서의 일부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6은, 광원 유닛(10)의 분해 사시도이다.
아우터 커버(20)의 단부(도면에서 하단)는 개구되고, 또, 베이스 커버(30)의, 그 일단에 대면하는 일단(도면에서 상단)은 개구되어 있다. 아우터 커버(20)에는,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21)(예를 들면 도 8 참조)가 설치되고, 또, 베이스 커버(30)에도 그 돌설부(21)의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돌설부(3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설부(21 및 31)에는, 복수, 예를 들면 6개의 나사공(21a 및 31a)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돌설부(21 및 31)가 당접하여 나사(N1)로 체결됨으로써, 아우터 커버(20) 및 베이스 커버(30)가 접속된다. 또, 이러한 돌설부(21 및 31)의 사이에는, 도 3 및 5에 나타내는 씰 링(59)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아우터 커버(20)의 상부 중앙에는 개구(22)가 형성되고, 그 개구(22)를 개입시켜 수용체(50) 내의 공기압을 조정하는 도시하지 않은 밸브 등이, 이 개구(22) 상에 설치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루버(90)는, 원통체의 일부를 이루어 차광성을 갖는 본체부(93)와, 본체부(93)로부터 퍼지도록 설치된 날개부(95)를 갖는다. 루버(90)는, 리드(70)와 아우터 커버(20) 사이에 협지되도록 장착된다. 루버(90)의 등기구 본체에의 설치에 관한 사항은, 후에 상술한다.
도 4 등에 나타내듯이, 리드(70)의 표면에는, 등기구(100)의 방향의 기준이 되는 기준 마크(72)가 부착되어 있다. 기준 마크(72)는, 리드(70)의 성형시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러한 방법 이외에도, 리드(70)의 형성 후에 접착제나 초음파 등의 접착 수단에 의해서 리드(70)에 접속될 수 있다. 등기구(100)의 제조측의 작업자, 혹은 이 등기구(100)의 이용자(이하, 작업자라고 한다)는, 후술하듯이, 기준 마크(72)를 기준으로서 등기구(100)를 조립하거나, 루버(90)를 부착부에 부착하거나, 등기구(100)를 선체에 설치하거나 할 수 있으므로, 그 조립이나 설치 등이 용이하게 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준 마크(72)를 뱃머리 방향을 향하도록 하고, 등기구(100)이 선체의 각각의 개소에 설치될 수 있다.
2) 광원 유닛의 구성
도 5 및 6에 나타내듯이, 광원 유닛(10)은, 광원으로서의 고체 발광소자인 LED(LightEmittingDiode)(15)와, LED(15)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12)와, 이들 LED(15) 및 리플렉터(12)를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로서의 이너 커버(13)를 구비한다.
예를 들면 복수의 LED(15)가, 광원 기판(11) 상에 실장되고, 리플렉터(12)의 배치를 중심으로 그 주위의 원주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각 LED(15)는, 예를 들면 6개 설치되고, 각각 녹색빛을 발생한다. 등기구가 좌현등이면, LED(15)는 적색빛을 발생하고, 그 외의 선등이면 백색광을 발생한다. 황색빛을 발생하는 등기구도 있다.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복수의 LED(15)가 배열 형상인 원의 중심을 통과하여, 연직축(z축)에 평행한 축을 「광원 중심축」이라고 한다.
리플렉터(12)는, 광원 기판(11) 상에 재치되어 고정되는 평판 모양의 고정부(122)와, 고정부(122)의 주위에 설치된 반사부(124)와, 반사부(124)의 주위에 설치된 설치 플랜지(126)를 갖는다.
이너 커버(13)는, 예를 들면 일체 성형에 의해 구성된 부품이며,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되고, 개략 원통 형상을 갖고 있다. 이너 커버(13)의 내부는, 도 5에 나타내듯이, 칸막이판(131)에 의해서 광출사 영역(13A) 및 기판 배치 영역(13B)의 2개의 영역으로 분할되고, 이너 커버(13)의 단면은, 개략 H형상을 갖는다. 도면에서 상부측의 영역인 광출사 영역(13A)에는, 주로 광원 기판(11) 및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가 배치된다. 하부측의 영역인 기판 배치 영역(13B)에는, 예를 들면 2개의 회로 기판(후술하는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이 배치되어 있다.
칸막이판(131)은, 광출사 영역(13A)에 접하는 제1 면(S1)과, 그 반대측인 기판 배치 영역(13B)에 접하는 제2 면(S2)을 갖는다. 제1 면(S1)에는, 광원 기판(11)을 지지하는 고정대(131a)가 설치되고, 제2 면(S2)에는,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을 지지하는 지지대(131b)가 설치된다. 이와 같이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이 광출사 영역(13A) 이외의 영역에 설치되기 때문에, 광출사 영역을 제한하지 않고 이들 회로 기판을 설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은, 연결기(11d)를 개입시켜 광원 기판(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됨과 동시에, 지지대(131b)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전원 기판(B1)은, LED(1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 기판(B2)은, 상기 전원 기판(B1)에 의한 LED(15)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LED(15)의 동작을 감시하거나 한다. 또, 전원 기판(B1)과 제어 기판(B2)이 이와 같이 각각 별개일 필요는 없고,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커버(13)의 광출사 영역(13A)의 상단 및 기판 배치 영역(13B)의 하단은, 각각 개구함으로써, 상부 개구(132) 및 하부 개구(133)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부 개구(132)의 주위에는 상부 플랜지(134)가 설치되고, 그 상부 플랜지(134)에서의 z축 주위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는 복수의 돌기(134a)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이러한 돌기(134a)가 설치 플랜지(126)에 설치된 구멍(126a)에 계합하고, 리플렉터(12)의 설치 플랜지(126)의 하면이, 이너 커버(13)의 상부 플랜지(134)의 표면에 재치된다.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의 표면인 반사면)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면(예를 들면 포물면이나 타원면)이 된다. 즉, 도 5로 나타내 보이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그 반사부(124)(반사면)의 단면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선을 그린다.
각 LED(15)가, 이러한 반사부(124)가 갖는 2차 곡선의 초점 상에 배치되도록, 리플렉터(12) 및 광원 기판(11)이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판(131) 상에 설치된 고정대(131a)에 광원 기판(11)이 위치 결정되어, 고정된 다음, 리플렉터(12)의 고정부(122)의 하면을 형성하는 평면부가 그 광원 기판(11) 상에 재치된다. 그리고, 복수 개소, 예를 들면 3개소 P1(도 6 참조)의 나사 고정에 의해, 리플렉터(12) 및 광원 기판(11)이 위치 결정된다.
리플렉터(12)의 고정부(122) 및 광원 기판(11)의 고정 수단으로서, 나사와는 다른 기계적인 계합 수단, 혹은 접착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플렉터(12)와 광원 기판(11)과의 위치 결정은, 주로 고정부(122)에 의해 행해지고, 상부 플랜지(134)의 돌기(134a)와 설치 플랜지(126)의 구멍(126a)과의 계합은, 이차적 혹은 보조적 위치 결정이 된다.
이상과 같은 LED(15) 및 리플렉터(12)의 배치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출사시키는 광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도 6에 나타내듯이,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는, 미크로적인 시점에서는, 동심원 모양으로 설치된 복수의 철면(124a)을 갖는다. 이러한 철면(124a)은, 광원 기판(11) 측을 향하여 각각 돌출되게 형성된 면이다. 이러한 철면(124a)의 지름 방향의 폭은, 광원 중심축을 향함에 따라, 작아진다.
이로 인해, 각 철면(124a)은, LED(15)로부터의 빛을 각각 확산시키도록 반사할 수 있으므로, 반사부(124)의 전체에서 균일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즉, 점광원인 LED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각 철면(124a)의 집합인 반사부(124)의 전체에서 균일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도 5에 나타내듯이, 이너 커버(13)의 기판 배치 영역(13B)에는, 상술한 것처럼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이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회로 기판은, 칸막이판(131)으로부터 돌기 하도록 형성된 지지부에 의해 지지를 받아, 나사 고정에 의해 고정된다.
전원 기판(B1)은, LED(15)에 전력을 공급한다. 제어 기판(B2)은, 상기 전원 기판(B1)에 의한 LED(15)의 구동을 제어하거나, LED(15)의 동작을 감시하거나 한다. 또, 전원 기판(B1)과 제어 기판(B2)이 이와 같이 각각 별개일 필요는 없고, 1개의 기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너 커버(13)를 구성하는 측벽은, 광출사 영역(13A)을 형성하는 벽부(136)(둘레 벽부)와, 기판 배치 영역(13B)을 형성하는 벽부(137)를 갖는다. 광출사 영역(13A)을 형성하는 벽부(136)는,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에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것이 가능한 투광성을 갖는다. 기판 배치 영역(13B)을 형성하는 벽부(137)는, 기판 배치 영역(13B)의 내부를 보이기 어렵게(혹은 안보이게) 하기 위해서, 복수 모따기 가공과 같이 형성된 면을 가질 수 있고, 혹은, 벽부(137)가 유색일 수 있다.
기판 배치 영역(13B)을 형성하는 벽부(137)의 단부(도 5에서 하단)에는, z 방향으로 보았을 때 다각형, 예를 들면 개략 6 각형으로 형성된 하부 플랜지(135)가 설치되어 있다. 하부 플랜지(135)의 6각에 설치된 구멍(135a) 중 적어도 3개소는 나사공이 되어 있다. 베이스 커버(30)의 저부에는, 도 3에 나타내듯이, 그 3개소의 나사공에 대응하는 위치에 3개의 나사공부(39)가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이너 커버(13)가 베이스 커버(30)에 나사(도 5 참조)(N2)로 고정된다. 이로 인해 광원 유닛(10)이 베이스 커버(30)를 포함하는 수용체(50)에 장착된다.
광원 기판(11), 전원 기판(B1) 및 제어 기판(B2)은, 케이블군(16)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베이스 커버(30)의 측둘레 벽(32)의 소정의 개소에는, 2개의 하네스(harness)(58)(도 3 및 5 참조)를 각각 접속하기 위한 2개의 취부공(38)이 설치되어 있다. 전원 기판(B1) 등의 외부 접속용의 케이블군(17)이, 이러한 하네스(58)를 개입시켜 등기구(100)의 외부로 인출된다.
3) 루버의 설치
도 7A~C는, 각각 다른 사광각을 갖는 루버(90)의 평면도이다.
도 7A에 나타내는 루버(90A)는, 225°의 사광각을 갖고, 뱃머리등(1001) 및 중앙의 마스트등(1003)에 공용이다. 도 7B에 나타내는 루버(90B)는, 112.5°의 사광각을 갖고, 좌우의 현등(1004)에 공용이다. 도 7C에 나타내는 루버(90C)는, 135°의 사광각을 갖고, 선미등(1002)이나 예인선등에 이용된다.
본 기술 사상의 하나는, 1개의 루버(90), 또는, 도 7A~C에 나타낸 복수의 루버(90A~C)를, 광원 유닛(10)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등기구(100)의 본체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것을 실현하기 위해, 수용체(50)에는, 루버(90)의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대응하는, 루버(90)의 부착부가 배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수용체(50)는,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도 8은, 아우터 커버(2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9는 그 평면도이다. 수용체(50)의 일부를 구성하는 아우터 커버(20)는, 투광성 재료로 구성되고, 주로 광원 유닛(10)으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측 둘레부(23)(투광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로서 기능)를 갖는다. 또, 아우터 커버(20)는, 상기한 것처럼 측 둘레부(23)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21)를 갖는다. 돌설부(21)는, 상기 루버(90)의 복수의 부착부를 포함하는 설치 영역(25)을 갖는다.
예를 들면 설치 영역(25)은, 둘레홈(26)과, 부착부로서의 계지홈(27)을 포함한다. 둘레홈(26)은, 측 둘레부(23)의 외형에 따라서 360° 전 둘레에 걸쳐서 설치되어, 루버(90)의 본체부(93)이 배치되는 홈이다. 계지홈(27)은, 둘레홈(26)의 주위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서 이 둘레홈(26)에 각각 접속되고, 루버(90)의 날개부(95)와 계합하는 홈이다. 루버(90)의 날개부(95)가 복수의 계지홈(27) 중 소정의 2개의 계지홈(27)에 계합함으로써, 루버(90)의 z축 주위의 움직임이 거의 규제되어 계지된다.
또, 도 7A~C에 나타내듯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각 루버(90)는, 계지홈(27)에 계합 가능한 계합부로서의 계합 리브(94)를 갖는다. 이 경우, 계지홈(27)은 제1 계합부, 계합 리브(94)는 제2 계합부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계합 리브(94)는, 본체부(93)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출 설치되어, 본체부(93)의 둘레 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도 7A에 나타내듯이, 루버(90A)의 계합 리브(94)는 본체부(93)의 중앙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7B에 나타내듯이, 루버(90B)의 계합 리브(94)는, 본체부(93)의 중앙의 각도 위치에서 한편의 날개부(95) 측으로 어긋나게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이 계합 리브(94)는, 한편의 날개부(95)(계합 리브(94)에 가까운 방향의 날개부)의 각도 위치로부터 60°~70° 먼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도 7C에 나타내듯이, 루버(90C)의 계합 리브(94)는 본체부(93)의 중앙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리드(70)에도, 아우터 커버(20)와 같이, 둘레홈(76)(도 5 참조) 및 계지홈(77)(도 1, 2 참조)을 포함하는 루버(90)의 설치 영역(75)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리드(70)는, 하단의 바깥 둘레부에 설치 영역(75)을 갖고 있다. 도 5에서의 아우터 커버(20) 및 리드(70)의 각각 설치 영역(25)에서는, 그 단면 위치에 의해 둘레홈(26, 76)만이 그려지고, 계지홈(27, 77)은 그려져 있지 않다.
리드(70)의 각 계지홈(77)의 배치는, 아우터 커버(20)의 각 계지홈(27)과 각각 동일한 각도 배치가 되어 있다. 이로 인해, 아우터 커버(20)의 설치 영역(25)과 리드(70)의 설치 영역(75)이 루버(90)를 사이에 두고, 루버(90)가 등기구 본체에 장착된다.
도 10은, 아우터 커버(20)(및 리드(70))의 설치 영역(25)의 특히 계지홈(27)의 각도 배치를 설명하기 위해서, 그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 도면에서는, 리드(70)의 기준 마크(72)를, 도면 중 위쪽을 향한 상태로의, 계지홈(27)의 각도 배치를 나타내고 있다. 상기한 것처럼, 기준 마크(72)가 향한 방향을 선체의 중심에서 보았을 때 뱃머리 방향으로 하고 있다. 도면 중에서, 뱃머리 방향을 탈색의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뱃머리 방향(y 방향)의 각도를 0°로 하고, 그 0°를 기준으로서, z축 상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정(+), 반시계 방향을 부(-)의 각도로 한다. 즉, 전체 둘레의 각도 범위를 0°~±180°로서 설정한다.
각 계지홈 a, b, b', c, c', d, d', e는, 대체로 이하의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된다. 여기서의 「각도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중심은, 상기 광원 중심축 상의 점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a: 0°
b, b': ±12.5°
c, c': ±107.5°
d, d': ±115°
e: ±180°
이러한 각도는, 루버(90)의 사광각에 근거하는 값이며, 법률이나 규칙에 의한 그 사광각의 변경에 근거하거나, 혹은, 루버(90)의 설치각의 미세 조정에 의한 변경에 근거하여, 적당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11A~D는, 예를 들면 1개의 선체의 각처에 설치되는 등기구(100)마다의 루버(90)(도 7A~C참조)의 설치각을, 아우터 커버(20)(및 리드(70))의 각 계지홈(27)의 각도 위치와의 관계로 나타내 보인다. 뱃머리 방향을 탈색의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도 11A는 뱃머리등(또는 중앙의 마스트등)에서의 설치각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7A에 나타내는 루버(90A)의 날개부(95)가, 계지홈 d, d'에 계합하고, 계합 리브(94)는 계지홈 e에 계합한다.
도 11B는 좌현등에서의 설치각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7B에 나타내는 루버(90B)의 날개부(95)는 계지홈 b, d'에 계합하고, 계합 리브(94)는 계지홈 e에 계합한다. 도 11C는 우현등에서의 설치각을 나타낸다. 이 경우, 루버(90B)의 날개부(95)는 계지홈 b', d에 계합하고, 계합 리브(94)는 계지홈 e에 계합한다. 즉, 현등용의 공통의 루버(90B)는, 좌현 및 우현으로 서로 상하 역방향을 향한 상태로 장착된다. 이와 같이 현등용의 루버(90B)의 계합 리브(94)는, ±180°의 각도 위치에 있는 계지홈 e에 계합하는 각도 위치에서, 본체부(93)에 설치되어 있다.
도 11 D는 선미등에서의 설치각을 나타낸다. 이 경우, 도 7C에 나타내는 루버(90C)의 날개부(95)는, 뱃머리등과 같이, 계지홈 c, c'에 계합하고, 계합 리브(94)는 계지홈 a에 계합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100)에 의하면, 1 종류의 아우터 커버(20)(및 1 종류의 리드(70))에서, 1개 또는 그 이상의 루버(90)의 설치각이 설정된다. 즉, 1 종류의 공통의 부품에서, 루버(90)의 복수의 설치각 중 임의의 하나의 설치각을 선택해 루버(9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종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또 이로 인해, 등기구(100)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사광각(제1 사광각, 제2 사광각, 제3 사광각)을 각각 갖는 루버(90A, 90B, 90C)가, 각각 장착되는 부착부는, 제1 부착부, 제2 부착부, 제3 부착부로서 각각 기능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작업자 등은, 아우터 커버(20) 및 리드(70)의 각 돌설부(21)에 설치된 설치 영역(25 및 75)인 홈의 사이에, 루버(90)를 협지시켜 계합시킴으로써, 간단하게 루버(90)의 설치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루버(90)의 본체부(93)에 설치된 계합 리브(94)도, 아우터 커버(20)의 계지홈(27)에 계합하므로, 루버(90)의 설치 상태를 안정화 시킬 수 있다.
또, 루버(90)에 계합 리브(94)를 마련하는 메리트는 그 밖에도 있다. 예를 들면, 도 7B 및 C에 나타내듯이, 현등용의 루버(90B) 및 선미용의 루버(90C)의 각각의 날개부(95)의 개방 각도의 차이는, 20° 정도 밖에 없고, 작업자 등은, 그 개방 각도를 본 것 만으로는, 양루버(90B, 90C)를 간단하게는 구별할 수 없다. 그렇지만, 루버(90C)의 계합 리브(94)는, 본체부(93)의 중앙의 각도 위치에 설치되고, 루버(90B)의 계합 리브(94)는, 그 중앙으로부터 어긋난 위치에 설치되므로, 작업자 등은, 양자를 일견하여 구별할 수 있다.
또한, 계합 리브(94) 대신에 루버(90)의 본체부(93)에 계합철부가 설치되고, 아우터 커버(20)에서의 계지홈 a 및 e의 각도 위치에 계합 볼록부가 설치될 수 있다.
4) 수용체와 베이스의 접속 구조(제1 접속 구조)
도 12는, 수용체(50) 중 베이스 커버(30)의 하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3은, 베이스(80)를 표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베이스 커버(30) 및 베이스(80)는, 이하와 같은 접속 구조(제1 접속 구조)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베이스 커버(30)에 설치된 평판부(34)는, 상기에서도 설명한 것처럼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공부(36)를 갖는다. 예를 들면 4개의 나사공부(36)가, 베이스 커버(30)의 중심 위치(예를 들면 광원 중심 축에 일치)를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수용체(50) 중 z 방향으로, 베이스 커버(30)의 평판부(34)가 설치되는 측은 제1 측이며, 아우터 커버(20)의 평판부(24)가 설치되는 측이 제2 측이다.
한편, 도 13에 나타내듯이, 베이스(80)도, 그러한 나사공부(36)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4개의 나사공부(86)를 갖는다. 이들 나사공부(86)는, 베이스(80)의 평판부(84)에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이들 4개의 나사공부(36, 86)에서 볼트(N3)(도 5 참조)가 조여지므로, 수용체(50)와 베이스(80)가 접속, 고정된다.
이러한 제1 접속 구조는,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300)와 같이, 2개의 수용체(제1, 제2 수용체), 구체적으로는 2개의 베이스 커버(30)끼리를 접속할 수 있다.
5) 수용체와 리드의 접속 구조(제2 접속 구조 및 이와 공통의 제3 접속 구조)
수용체(50) 및 리드(70)는, 이하와 같은 접속 구조(제2 접속 구조)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도 4에 나타내듯이, 리드(70)는, 소정의 위치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공부(79)를 갖는다. 예를 들면 4개의 나사공부(79)가, 리드(70)의 중심 위치(예를 들면 광원 중심 축에 일치)를 중심으로 점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듯이, 아우터 커버(20)의 평판부(24)도 그들 나사공부(79)와 대응하는 위치에 설치된 4개의 나사공부(29)를 갖는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이들 4개의 나사공부(79, 29)에서 볼트가 조여지므로, 수용체(50)와 베이스(80)가 접속, 고정된다.
또, 베이스(80)의 평판부(84)에는, 각 나사공부(86)의 배치보다 지름 방향의 외측에, 4개의 나사공부(89)를 갖는 제3 접속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이러한 나사공부(89)는, 도 8에 나타내는 아우터 커버(20)의 나사공부(29)(및 리드(70)의 나사공부(79))의 배치에 일치한다. 즉, 상기 제3 접속 구조는, 제2 접속 구조와 공통의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제2 접속 구조와 공통의 구조를 갖는 제3 접속 구조에 의해, 후의 제3 실시 형태에서 설명하듯이, 단식의 등기구(100)와 공통의 부품을 이용하고, 이중식의 등기구(300)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3. 제2 실시 형태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 이후의 설명에서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가 포함하는 부재나 기능 등에서 같은 것은 설명을 간략화 또는 생략하고, 다른 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이 등기구는,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의 광원 유닛(10)과 다른 광원 유닛(110)을 구비한다. 도 15는, 그 광원 유닛(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광원 유닛(110) 중 이너 커버(13)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이너 커버(13)와 같은 구성을 갖는다.
광원 기판(111)에 탑재된 광원은 1개의 LED(15)이며, 광원 기판(111)의 중심으로 LED(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LED(15)의 위치를 지나는 연직축을, 설명 상 편의적으로 「광원 중심축」이라고 한다. 도 14에 나타내듯이, 리플렉터(18)는, 반사부(184)와, 반사부(184)의 주위에 설치된 환상의 평판부(185)와, 평판부(185)의 외주에 설치된 설치 플랜지(186)를 갖는다.
반사부(184)는, LED(15)에 가장 접근한 정부(182)를 갖고, 이 정부(182)가 광원 중심축 상에 배치된다. 리플렉터(18)는, 매크로 형상으로서, 도 14의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정부(182)로부터 포물선을 그리도록 포물면을 갖는다. 리플렉터(18)는, 미크로 형상으로서, 동심원 모양으로 설치된 복수의 철면(184a)을 갖는다.
이러한 리플렉터(18)를 갖는 광원 유닛(110)에서는, 각 철면(184a)이 LED(15)로부터의 빛을 각각 확산시키도록 반사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단일의 점광원인 LED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각 철면(184a)의 집합인 반사부(184)의 전체에서 균일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4. 제3 실시 형태
1) 등기구의 전체 구성
도 1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식의 등기구(30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이중식의 등기구(300)의 배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은, 이 등기구(3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는, 이 등기구(300)의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식의 등기구(300)로서, 우현등을 예로 들고 있다.
이중식의 등기구(300)는, 제1 수용체(50A)와, 제1 수용체(50A)의 하부에 접속된 제2 수용체(50B)를 구비한다. 또 이 등기구(300)는, 제1 수용체(50A)의 상부의 접속된 단부 부재의 하나로서의 리드(70)와, 제2 수용체(50B)의 하부에 접속된 단부 부재의 하나로서의 베이스(80)와, 그들 수용체(50A, 50B)에 각각 장착된 루버(90)(제1 루버, 제2 루버)를 구비한다.
제1 수용체(50A) 및 제2 수용체(50B)는, 상하 방향으로(x-y 평면에서) 대칭인 자세로 배치되어 있다. 제1 수용체(50A)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을 갖는 수용체이며, 아우터 커버(20) 및 베이스 커버(30)를 포함한다. 제2 수용체(50B)도 이것과 거의 동일한 구성을 갖고, 아우터 커버(20) 및 베이스 커버(30)를 포함하지만, 제1 수용체(50A)의 베이스 커버(30)에 2개의 하네스(58)가 설치되지 않다는 점에서, 제1 수용체(50A)와 다르다. 제2 수용체(50B)에는, 2개의 하네스가 장착되는 취부공이 설치되지 않았다.
제1 수용체(50A) 및 제2 수용체(50B)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것과 같은 복수의 LED를 구비하는 광원 유닛(10)을 각각 수용하고 있다. 이러한 광원 유닛(10)에 대신하여,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110)이 제1 수용체(50A) 및 제2 수용체(50B)에 각각 수용될 수 있다.
제1 수용체(50A) 및 제2 수용체(50B)의 각각의 베이스 커버(30)의 평판부(34)에는, 도 12에 나타낸 것과 같은 제1 접속 구조가 설치되어 있다. 즉, 베이스 커버(30)의 하면끼리가, 도 18에 나타내듯이, 상술한 4개소의 나사공부(36)의 위치에서 볼트 조임됨으로써, 베이스 커버(30)끼리가 연결된다. 이 경우, 제1 접속 구조는, 연결 구조로서 기능한다.
또한, 2개의 베이스 커버(30)의 사이에는, 시트 모양의 씰재(57)(도 18 참조)가 개재되어 있다.
한편, 리드(70) 및 아우터 커버(20)를 접속하는 제2 접속 구조는,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베이스(80)에 설치된 제3 접속 구조와 공통의 구조가 되어 있다. 즉, 베이스(80)의 4개의 나사공부(89)의 배치가, 리드(70)의 4개의 나사공부(79)(아우터 커버(20)의 4개의 나사공부(29))와 같은 배치가 되어 있다. 이러한 접속 구조에 의해, 도 16~18에 나타내듯이, 제2 수용체(50B)의 아우터 커버(20)가 베이스(80)에 접속 가능해진다.
또한, 제2 수용체(50B) 내에 수용된 광원 유닛(10)의 광원 기판(11)에 접속된 케이블군(19)은, 양베이스 커버(30)의 평판부(34)에 설치된 중앙공(34a)을 개입시켜 전원 기판(B1)에 접속된다.
2) 루버의 설치
상부에 설치된 루버(90)의 설치 구조는,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단식의 등기구(100)의 루버(90)의 설치 구조와 같다.
하부에 설치된 루버(90)는, 제2 수용체(50B)의 아우터 커버(20)와 베이스(80)에 의해 협지됨으로써 장착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13 및 19에 나타내듯이, 제2 수용체(50B)의 아우터 커버(20)의 돌설부(21)에 설치된 홈 모양의 설치 영역(25)과, 베이스(80)의 외주부에 설치된 설치 영역(85) 사이에 배치된다.
베이스(80)에 설치된 설치 영역(85)은, 베이스(80)의 외주부를 따라서 설치된 둘레 모양 돌기부(82)를 갖는다. 또, 설치 영역(85)은, 베이스(80)의 평판부(84)와 아우터 커버(20)가 접속된 상태로, 둘레 모양 돌기부(82)와 아우터 커버(20)의 측 둘레부(23) 사이에 형성되는 홈 모양의 영역(88)을 포함한다. 도 13에서는, 베이스(80) 상에 설치된 아우터 커버(20)의 측 둘레부(23)의 외형을 일점 긴 점선으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그리고, 이 설치 영역(85)은, 이 도면에 나타내듯이, 베이스(80)의 둘레 모양 돌기부(82)에는, 소정의 각도 배치로 계지홈(87)을 포함한다. 설치 영역(85) 중 홈 모양의 영역(88)에, 루버(90)의 본체부(93)가 배치된다. 또, 각 계지홈(87) 중, 소정의 2개의 계지홈(87)에, 루버(90)의 날개부(95)가 계합한다.
도 20A~D는, 예를 들면 1개의 선체의 각처에 설치되는 등기구(300)마다의 루버(90)(도 7A~C참조)의 설치각을, 베이스(80)의 각 계지홈(87)의 각도 위치와의 관계로 나타내 보인다. 뱃머리 방향을 탈색의 화살표로 나타내 보이고 있다.
이후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도 20A에서 나타내 보이는 뱃머리 방향의 각도를 0°로 하고, 그 0°를 기준으로서, z축 상에서 보았을 때, 시계 방향을 정(+), 반시계 방향을 부(-)의 각도로 한다. 즉, 전체 둘레의 각도 범위를 0°~±180°으로서 설정한다. 또, 설명의 편의 상, 베이스(80)의 각 계지홈 f, g, g', h, h', i, i', j, j', k, k'의 위치를 이하와 같이 정의하는 경우에, 도 20A에 나타내는 뱃머리등으로 이용되는 베이스(80)의 배치를 기준으로 한다. 여기서의 「각도 위치」를 정의하기 위한 중심은, 상기 광원 중심축 상의 점에 거의 일치하고 있다.
f: ±180°
g, g': ±115°
h, h': ±102.5°
i, i': ±90°
j, j': ±70°
k, k': ±25°
여기서 베이스(80)는, 등기구(300)의 선체에의 설치 위치 마다(즉 루버(90C)의 설치각에 따르고),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설치된다.
한편, 베이스(80) 이외의 각 부품의 선체에의 설치의 방향은 고정이다. 즉, 베이스(80)보다 상부에 있는, 리드(70), 제1 수용체(50A) 및 제2 수용체(50B)의 각도 위치는, 도 20A~D의 설치 위치에서 모두 같다(도 11에 나타낸 것과 같다.).
그래서, 베이스(80)는 선체에의 설치를 위한 부품이기 때문에, 베이스(80)의 설치의 방향(z축 주위의 각도)의 자유도가 요구된다. 예를 들면, 베이스(80)의 외주부에 소정의 각도 간격(예를 들면 120°)으로 설치된 복수의 각부(81)를 갖고, 적어도 이러한 각부(81)가 선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0B에 나타내는 좌현등의 베이스(80)의 각도는, 도 20A에 나타내는 뱃머리등의 베이스(80)의 각도와 90° 다르다. 도 20C에 나타내는 우현등의 베이스(80)의 각도는, 도 20B에 나타내는 각도와 180° 다르다. 도 20 D에 나타내는 선미등의 베이스(80)의 각도는, 도 20A에 나타내는 각도와 180° 다르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계지홈 f의 위치가, 모두 선체의 중심을 향하도록 베이스(80)의 회전 각도가 설정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식의 등기구(300)에서는, 베이스(80) 이외의 부품의 방향을 모두 일정하게 한 상태에서도, 베이스(80)를 회전시킴으로써, 선체에의 등기구(300)의 설치의 유연성을 확보할 수 있다.
걸려 있는 베이스(80)의 기능은, 이중식의 등기구(300)에 적용되는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제 1 및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식의 등기구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5. 제4의 실시 형태
도 21은, 본 발명의 제4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 등기구(400)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에 비해 소형 사이즈의 등기구이다.
등기구(400)는, 도시하지 않은 광원 유닛과, 이것을 수용하는 수용체(250)와, 수용체(250)의 주위에 배치된 루버(louver)(290)와, 수용체(250)의 상부에 접속된 리드(270)와, 수용체(250)의 하부에 접속된 베이스(280)를 구비한다. 수용체(250)는, 아우터 커버(220) 및 베이스 커버(230)를 구비한다. 리드(270) 및 베이스(280)는, 각각 단부 부재로서 기능한다.
광원 유닛은, 예를 들면 상술한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단일의 LED를 갖는 광원 유닛이다. 도시하지 않지만, 광원 기판, 전원 기판 등의 기판류, 리플렉터, 이너 커버 등의 구성은, 상기 각 실시 형태의 것과 같다. 이너 커버나, 리플렉터의 설치 플랜지 등의 지름은, 상기 제1~제3 실시 형태의 것보다 작다.
루버(290)는, 본체부(293)와 날개부(295)를 갖는다. 날개부(295)의 길이는,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루버(290)의 그것보다 충분히 짧게 형성되어 있다.
아우터 커버(220)는, 측 둘레부(223)와, 그 측 둘레부(223)로부터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221)와, 돌설부(221)에 형성된, 루버(290)를 부착하는 설치 영역(225)을 포함한다. 설치 영역(225)은, 둘레홈(226) 및 부착부로서의 계지홈(227)을 갖는다. 또, 리드(270)도, 루버(290)의 설치 영역(275)을 포함하고, 이 설치 영역(275)은, 도시하지 않은 둘레홈 및 계지홈(277)을 갖는다. 각 계지홈(227 및 277)은, 광원 중심축의 둘레 방향으로 같은 각도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400)에 의해서, 1 종류의 아우터 커버(220)(및 1 종류의 리드(270))에서, 하나 이상의 루버(290)의 설치각이 설정된다. 즉, 1 종류의 공통의 부품에서, 루버(290)의 복수의 설치각 중 임의의 하나의 설치각을 선택해 루버(290)를 설치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기종마다의 부품이나 금형이 불필요해진다. 또 이로 인해, 등기구(400)의 제조 코스트를 저감 할 수 있다.
6. 등기구의 다른 실시 형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로 한정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실시 형태를 실현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2 접속 구조와 제3 접속 구조를 공통의 구조로 했지만, 제1 접속 구조와 제2 접속 구조도 공통의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12에 나타낸 베이스 커버(30)의 나사공부(36), 도 13에 나타낸 베이스(80)의 나사공부(86 및 89)가, 모두 같은 배치가 되어, 베이스(80)의 나사공부(86 및 89)가 통일된 나사공부로 구성된다. 이 경우, 결과적으로는, 제1, 2 및 3의 접속 구조가 모두 공통의 구조가 된다.
상기 접속 구조(제1 접속 구조 및 제2 접속 구조)는, 볼트에 의한 체결 구조이다. 그러나, 이것에 대신하여, 요철의 계합에 의한 접속 구조일 수 있다. 이 경우, 예를 들면 z축 주위의 둘레 모양으로 요부 및 철부(둘레 방향의 길이는 임의이다)가, 2개의 접속 대상의 부품에 각각 형성되고, 그러한 부품을 상대적으로 z축 주위에서 회전시킴으로써 계합시키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는, 루버가 수용체에 장착되고, 리드 및/또는 베이스로 그것을 협지한 형태를 나타낸다. 이러한 설치 구조 이외에, 수용체에 둘레홈 및 계지홈을 포함하는 설치 영역이 설치되고, 리드 및 베이스에는 둘레홈만이 설치될 수 있다.
혹은, 리드 및 베이스에 설치 영역이 없고, 수용체만이 루버를 지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루버의 돌설부의 z 방향으로 반대측의 단부에, 루버에 계합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버(30)에 접속된 하네스(58)는 2개였지만, 1개일 수 있다. 상기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이중식의 등기구(300)에서, 2개의 베이스 커버(30)의 양쪽 모두에, 하네스(58) 및 이를 부착하는 취부공(38)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으로는, 등기구 중, 베이스(80) 이외의 부품의 방향을 고정하고, 베이스(80)의 방향을 선체에의 설치 위치에 따라 회전시킨다. 그러나, 리드(70)가 선체에의 설치를 위한 부품인 경우, 리드(70) 이외의 부품의 방향을 고정하고, 리드(70)의 방향을 선체에의 설치 위치에 따라 회전시키는 구성일 수 있다. 이 경우, 리드(70)도 베이스(80)와 동등의 강도를 갖는 구성(형상이나 재질 등)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는, 등기구를 선등으로서 설명했지만, 항공기체에 장착되는 등기구, 혹은, 표지등도 이용 가능하다.
상기 광원 유닛에 이용되는 광원으로서, LED 등의 고체 발광소자에 한정되지 않고, 백열등, 형광등이 이용될 수 있다.
7. 점등 감시 장치의 실시 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점등 감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23은, 이 점등 감시 장치의 전기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점등 감시 장치(150)는, 전원부(151), 제어부(155) 및 구동부(156)를 구비하고 있다. 주등(11A)은, 예를 들면 위쪽의 제1 수용체(50A)에 수용된 광원부(예를 들면 LED(15)를 탑재한 광원 기판(11)인 제1 광원부)이다. 예비등(11B)은, 예를 들면 아래쪽의 제2 수용체(50A)에 수용된 광원부(제2 광원부)이다. 이것들은 서로 반대일 수도 있다.
전원부(151)는, 외부로부터의 전력을 제어하여 직류 전압을 발생하고, 이것을 구동부(156) 및 제어부(155)에 출력한다.
제어부(155)는, A/D 컨버터(152), CPU(CentralProcessingUnit)(153) 및 기억부(154)를 갖는다. 기억부(154)는, 전형적으로는 휘발성 메모리, 불휘발성 메모리 등으로 구성된다.
A/D 컨버터(152)에는, 즉 양 광원부 중 적어도 주등(11A)의 전압(예를 들면 LED(15)의 동작 전압인 순방향 전압)이 입력되고, 이것이 디지털 변환된다. 구체적으로는, A/D 컨버터(152)는, 양 광원부인 주등(11A) 및 예비등(11B)의 전압을 취득하게 되어 있다. 이 경우, A/D 컨버터(152)(및 도시하지 않은 전압 검출용의 저항 등)는, 전압의 검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광원 기판(11) 상에서는 6개의 LED(15)가 직렬로 접속되고, 이들 6개의 LED(15)의 토탈의 전압이 검출되고, A/D 컨버터(152)는 그 토탈의 전압을 취득한다.
구동부(156)는, CPU(153)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주등(11A) 및 예비등(11B)을 구동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술하듯이, 소정의 조건하에서 주등(11A)로부터 예비등(11B)으로의 전력 공급의 변환을 한다.
제2 수용체(50B) 내에 수용된 광원 유닛(10)의 광원 기판(11)에 접속된 케이블군(19)은, 양베이스 커버(30)의 평판부(34)에 설치된 중앙공(34a)을 개입시켜 전원 기판(B1)에 접속된다.
전원부(151)는, 주로 전원 기판(B1)에 탑재된 기능이다. 제어부(155) 및 구동부(156)는, 주로 제어 기판(B2)에 탑재된 기능이다. 이 경우, 제어 기판(B2)은 제어반으로서 기능한다. 예를 들면 구동부(156)는 전원 기판(B1)에 탑재되거나, 하드웨어의 모양은 한정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등기구(300)의 수용체 내에 제어 기판(B2)이 설치됨으로써, 제어 기판(B2)을 포함하는 컴팩트한 등기구의 구성을 실현할 수 있다.
b) 점등 감시 장치의 동작
이 점등 감시 장치(150)에서는, CPU(153)는 기본적으로, 검출한 주등(11A)의 전압에 근거하고, 주등(11A) 상태인 정상/이상을 판정하고(판정 수단), 비정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예비등(11B)에 전력의 공급을 바꾸는 처리를 실행한다. 이 경우, 제어부(155)는 감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도 24는, 점등 감시 장치(150)의 주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스텝 101에서는, CPU(153)는, 후술하는 도 25에 나타내는 처리로 검출한 주등(11A)의 정상적인 전압 Vf_day을 기준 전압치(기준치) Vfreg로 한다. 이 스텝 101의 의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기준치 Vfreg는, 예를 들면 LED의 순방향 전압이다.
CPU(153)는, A/D 컨버터(152)로부터 주등(11A)의 전압 Vf을 취득한다(스텝 102). CPU(153)는, 기준치 Vfreg와 검출된 전압 Vf의 차이 |Vfreg-Vf|가, 사전에 기억부(154)에 기억된 역치 β보다 작은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103). 즉 CPU(153)는, 주등(11A)의 전압 Vf의, 기준치 Vfreg로부터의 변동을 감시한다. 그 변동치가 역치 β보다 작은 경우, 주등(11A)은 정상적인 상태에 있다고 하고, 처리는 스텝 101으로 돌아온다.
예를 들면 6개의 LED(15)의 토탈 전압이, 약 20(V)이라고 하면, 역치 β는 약 2(V)로 설정될 수 있다.
CPU(153)는, 그 변동치가 역치 β 이상이 되었을 경우, 주등(11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예를 들면 이상 신호를 출력한다(스텝 104). 이 경우, 주등(11A)의 전압이 너무 높으므로, 오픈 고장(open failure)이 발생하고 있다고 추측할 수 있다.
그렇다면 CPU(153)는, 주등(11A)의 구동을 정지하고(스텝 105), 예비등(11B)의 구동을 개시한다(스텝 106). 즉, CPU(153)는, 주등(11A)으로의 전력 공급을 정지하고, 예비등(11B)으로의 전력 공급으로 전환한다. 이 경우, CPU(153)나 구동부(156)는 전환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등 감시 장치(150)는, 종래와 같이 백열전구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는 것이 아니라, 고체 발광소자를 갖는 광원부의 전압 Vf을 검출하므로, 그 광원부의 이상의 발생을 확실히 검출할 수 있다.
도 25는, 도 24에 나타낸 주처리를 실행하기 전의, 예를 들면 등기구(300)(즉 주등(11A))에 전원이 투입되고 나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차트(flow chart)이다.
예를 들면, CPU(153)는, 등기구(300)의 주등(11A)으로의 전원이 절단되기 직전, 즉 전원이 투입되기 전에 기억된 전압 Vf을, 전회의 전압 Vf_day로서 읽어들이고, 이것을 기억부(154)에 기억한다(스텝 201). CPU(153)는, 전원 투입 후에 처음으로 검출된 주등(11A)의 전압 Vf을, A/D 컨버터(152)로부터 취득한다(스텝 202).
CPU(153)는, 전회의 전압 Vf_day와 전압 Vf와의 차이 |Vf_day-Vf|가, 사전에 기억부(154)에 기억된 역치 α보다 작은가 아닌가를 판정한다(스텝 203).
CPU(153)는, 차이 |Vf_day-Vf|가 역치 α보다 작은 경우, 주등(11A)이 정상적인 상태에 있다고 판정하고, 전회의 전압 Vf_day(제1 전압치)를 덧쓰기 보존한다(스텝 204). 한편, 차이 |Vf_day-Vf|가 역치 α 이상인 경우, CPU(153)는, 주등(11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하고, 그 이상시의 전압에 대신하여, 정상시의 전압인 전회의 Vf_day를 현재의 검출 전압으로 한다.
그리고, CPU(153)는 도 24로 설명한 주처리를 개시하고, 기억된 Vf_day를 기준치 Vfreg로 한다(스텝 101).
선등의 경우, 기본적으로는 시야 양호한 주간에는 소등하고, 야간에 점등한다고 하는 사이클이 있으므로, 등기구의 전원의 ON/OFF는 그 사이클로 반복된다. 이 경우에, 도 25에 나타낸 처리가 실행됨으로써, CPU(153)는, 전회에 정상치로서 기억된 전압 Vf_day에 대한 주처리의 검출 전압치 Vf에 근거하여, 주등(11A) 상태를 판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텝 204에서, 주등(11A)이 비정상인 상태에 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 전회의 정상시의 전압 Vf_day가 현재의 전압으로서 다루어지므로, CPU(153)는 항상 새로운 검출 전압치를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점등 감시 장치(150)는, 예를 들면 스텝 103이나 203과 같이, 기준치 Vfreg로부터의 전압의 변동치를 이용하고 있다. 따라서, LED의 발광색(발광 파장 영역)에 의한 기준치의 다름, 혹은 LED의 개체 차이에 의한 기준치의 차이가 있다고 해도, 그 차이에 관련 없이 판정 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 유닛(10)의 이너 커버(13)의 내부는, 광출사 영역(13A) 및 기판 배치 영역(13B)(도 5 참조)으로 분할되고, 해당 기판 배치 영역(13B)에 광원 기판(11) 이외의 기판류가 배치된다. 따라서, 도 19에 나타내는 등기구(300)에서, 상하의 이너 커버(13)의 기판 배치 영역(13B)끼리를 인접시켜 배치시킬 수 있다. 즉, 2개의 기판 배치 영역(13B)이 인접하고, 중앙공(34a)을 개입시켜 1개의 공간 영역을 만들 수 있다. 그 결과, 그러한 기판 배치 영역(13B) 내에서, 케이블류의 배선 설계가 용이해진다. 또, 이로 인해 등기구(300)의 조립도 용이하게 된다.
8. 점등 감시 장치에 대한 다른 실시 형태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점등 감시 장치는, 이중식의 등기구(300)에 적용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1개의 광원부(광원 기판(11))를 갖는 단식의 등기구(100, 200)에도, 상기 점등 감시 장치의 기본적인 시스템을 적용 가능하다(다만, 그 단식 등기구가, 선등이나 항공기등의 항등인 경우).
이 경우, 점등 감시 장치는, 예를 들면 도 24에 나타낸 스텝 101~104, 혹은 스텝 104~105과 같은 방법으로 광원부 상태를 감시할 수 있다. 또, 이 경우 점등 감시 장치는, 도 25에 나타내는 처리도 실행 가능하다.
도 24의 스텝 103에서는, 변동치 |Vfreg-Vf|가 역치 β 이상인 경우에, 이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한다. 그러나 CPU(153)는 변동치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주등(11A)의 검출 전압 Vf이 역치 γ(=역치 β+기준치 Vfreg) 이상인 경우에, 주등(11A)에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혹은, CPU(153)는, 변동치를 감시하는 것이 아니라, 주등(11A)의 검출 전압 Vf가 역치 δ보다 작은 경우에, 주등(11A)에 예를 들면 쇼트 고장에 의한 이상이 발생했다고 판정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 따른 광원 기판(11)은, 복수의 LED(15)를 탑재한 것이었지만, 1개의 LED를 탑재한 것일 수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는, 1개 또는 2개의 광원부를 갖고 있지만, 3 이상의 광원부를 갖는 등기구도 실현 가능하다. 이 경우, 차례차례 바꿀 수 있다.
점등 감시 장치(150)를 구비하는 등기구에서, 광원 유닛을 차폐하는 수용체나, 수용체에 접속되는 단부 부재의 형상, 구조 및 기능은, 상기 각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어떠한 형태일 수 있고, 공지의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베이스 커버(30)에 접속된 하네스(58)는 2개였지만, 1개일 수 있다. 이중식의 등기구(300)에서, 2개의 베이스 커버(30)의 양쪽 모두에, 하네스(58) 및 이것을 부착하는 취부공(38)이 설치될 수 있다.
9. 광원 유닛 및 리플렉터의 실시 형태
(9-1) 실시 형태 1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광원 유닛(10)은, 광원 기판(11) 상에 동일 원주 상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6개)의 LED(15)를 갖는다.
선등은, 그 종류에 따라 발광색이 다르다. 예를 들면, 마스트등 및 선미등은, 각각 백색으로 발광하고, 우현등은 녹색, 좌현등은 적색으로 각각 발광하도록 구성된다. 발광색은, LED(15)의 발광색으로 결정될 수 있고, 투광성 재료로 구성된 이너 커버(13) 혹은 아우터 커버(20)의 광출사 영역이 등 종류에 대응되는 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리플렉터(12)는, 광원 기판(11)에 대향하는 고정부(122)(정부)와, 이너 커버(13)에 지지를 받는 설치 플랜지(126)(베이스부)와, 고정부(122)와 설치 플랜지(126) 사이에 설치된 반사부(124)를 갖는다.
이너 커버(13)는, 광원 기판(11)을 지지하는 칸막이판(131)(제1 지지부)과, 리플렉터(12)를 지지하는 상부 플랜지(134)(제2 지지부)를 갖는다. 칸막이판(131)은 벽부(136)의 하단부에 설치되고, 상부 플랜지(134)는 벽부(136)의 상부 개구(132)의 주위에 설치된다. 상부 플랜지(134)에서의 z축 주위의 소정의 각도 위치에는, 복수의 돌기(134a)(계합부)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 나타내듯이, 이러한 돌기(134a)가 리플렉터(12)의 설치 플랜지(126)에 설치된 구멍(126a)에 계합함으로써, 설치 플랜지(126)의 하면이, 이너 커버(13)의 상부 플랜지(134)의 표면에 재치된다.
도 26은 리플렉터(12)의 평면도, 도 27은 리플렉터의 측면도, 도 28은, 도 26에서의 B-B선 단면도, 도 29는, 도 27에서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리플렉터(12)는, 설치 플랜지(126)와, 고정부(122)와, 반사부(124)를 갖는다. 리플렉터(12)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뿔꼴 형상을 갖는다. 리플렉터(12)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체로 형성되고, 적어도 반사부(124)를 포함하는 외표면을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막으로 피복함으로써 제작된다.
반사부(124)는, 설치 플랜지(126)와 고정부(122) 사이에 설치되어, 광원(LED(15))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반사부(124)는,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120)와, 곡면체(120) 상에 설치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를 갖는다. 반사부(124)는, 그 최대 반경 위치에서, 원통형의 연결부(125)를 개입시켜 설치 플랜지(126)에 접속되어 있다.
반사부(124)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면(예를 들면 포물면이나 타원면)이 된다. 즉, 도 28으로 나타내 보이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그 반사부(124)의 단면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선을 그린다. 이 2차 곡선을 고정부(122)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12c)의 주위로 회전시킨 회전 곡선에 의해서 곡면체(120)가 구성된다. 곡면체(120)는, 중심축(12c) 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2차 곡면으로 구성되고, 그 구체적인 형상은, LED(15)의 개수나 위치, 등기구(100)로부터의 빛의 출사 범위 등에 따라 결정된다.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는, 고정부(122)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는, 곡면체(120)의 표면을 따라서 각각 배열된, 곡면체(120)의 표면으로부터 중심축(12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볼록한 모양의 곡면부를 각각 갖는다. 개개의 환상 철면부(12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가인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고정부(122)로부터 설치 플랜지(126)를 향해 중심축(12c)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된다.
환상 철면부(121)를 구성하는 곡면부의 곡률 반경은, 곡면체(120)의 반경 위치에 따라 다르고, 그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광학 사양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고, 예를 들면 1m~100m의 범위로 설정된다. 환상 철면부(121)의 볼록부의 높이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곡면체(120)의 반경 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최대로 0.25mm 정도로 설정된다.
환상 철면부(121)의 배열 피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고정부(122)로부터 설치 플랜지(126)를 향하고, 환상 철면부(121)의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고정부(122)는, 광원 기판(11)에 대향하는 평면부(122a)를 갖는다. 평면부(122a)는, xy 평면에 평행으로 형성되어, 그 중심축(12c)이, 복수의 LED(15)가 배열되는 원주의 중심(광원 중심축)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면, 각 LED(15)가 반사부(124)가 갖는 2차 곡선의 하나의 초점 상에 배치되도록, 리플렉터(12) 및 광원 기판(11)이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 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판(131) 상에 설치된 고정대(131a)에 광원 기판(11)이 위치 결정, 고정된 다음, 리플렉터(12)의 중심축(12c)과 광원 중심축이 정렬하도록, 리플렉터(12)의 고정부(122)(평면부 122a)가 광원 기판(11) 상에 재치된다. 즉, 광원 기판(11)은, 고정대(131a) 상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131p)와 감합하는 복수의 감합공(11a)을 갖고, 이로 인해 광원 기판(11)과 고정대(131a)와의 상대 위치가 규정된다.
한편, 고정부(122)는, 광원 기판(11)에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부(122b)를 갖는다. 복수의 접속부(122b)는, 광원 기판(11)을 향해 돌출하도록 평면부(122a)에 설치되고, 광원 기판(11)에 설치된 복수의 접속공(11b)에 각각 계합한다. 이로 인해, 광원 기판(11)과 리플렉터(12)와의 상대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리플렉터(12)의 중심축(12c)과 광원 중심축과의 엇갈림에 의한 등기구(100)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 고정부(122)에는, 리플렉터(12)를 광원 기판(11)에 고정하기 위한 복수의 나사 삽통공(122c)이 설치되어 있다. 복수의 나사 삽통공(122c)은, 광원 기판(11)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 삽통공(11c)과, 칸막이판(131)에 설치된 나사공(P1)에 대응해서 설치되고, 리플렉터(12)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 라인의 나사 부재를 개입시켜 광원 기판(11) 및 칸막이판(131)에 각각 고정된다.
또한, 리플렉터(12)의 고정부(122) 및 광원 기판(11)의 고정 수단으로서, 나사와는 다른 기계적인 계합 수단, 혹은 접착제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리플렉터(12)와 광원 기판(11)과의 위치 결정은, 주로 고정부(122)에 의해 행해지고, 상부 플랜지(134)의 돌기(134a)와 설치 플랜지(126)의 구멍(126a)과의 계합은, 이차적 혹은 보조적의 위치 결정이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광원 유닛(10)에서는, 광원 기판(11) 상의 복수의 LED(15)가 동시에 점등하고, 그러한 출사광이 각각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로 반사된다. 반사부(124)로 반사된 빛은, 이너 커버(13)의 벽부(136) 및 아우터 커버(20)의 측 둘레부(23)를 개입시켜 등기구(100)의 전체 둘레 방향으로 출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환상 철면부(121)에 의해서, LED(15)로부터의 빛을 각각 확산시키도록 반사할 수 있으므로, 반사부(124)의 전체에서 균일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즉, 점광원인 LED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환상 철면부(121)의 집합인 반사부(124)의 전체에서 균일한 빛을 출사할 수 있다.
도 30A, B는, 리플렉터(12)에 의해 반사되는 LED(15)의 출사광의 광선 추적도이며, A는, 임의의 하나의 환상 철면부(121)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반사부(124) 전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한편, 도 31A, B는, 비교예로서 나타내 보이는 반사부(124R)가 연속 경면으로 구성된 리플렉터(12R)에 의해 반사되는 광원광의 광선 추적도이며, A는 단위 영역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B는, 반사부(124R) 전체에서 반사되는 빛의 확산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비교예에 따른 리플렉터(12R)에서는, 도 31A, B에 나타내듯이, 광원광은 반사부(124R)에서 정반사함으로써 등기구의 둘레 방향(xy 평면 방향)으로 출사된다. 이 때 등기구의 축 방향(z 방향)으로의 확산각은, 반사부(124R)를 구성하는 곡선의 기울기에 의해서 결정되기 때문에, 반사부(124R) 전체적으로는, 해당 축 방향으로의 조사각이 제한되게 된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유닛(10)에서는, 리플렉터(12)의 반사부(124)의 표면에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각 LED(15)의 출사광은, 등기구(100)의 축 방향(z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등기구(100)의 둘레 방향(xy 평면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이로 인해 축 방향으로 보다 넓은 조사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비교예에 따른 리플렉터(12R)는, 반사부(124R)가 연속 경면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 반사부의 치수 공차 등에 의한 영향을 엄격하게 받게 되어, 둘레 방향 혹은 축 방향으로의 광도의 불균형이 생기기 쉬웠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의 리플렉터(12)에서는, 반사부(124)가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환상 철면부(121)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 치수 공차 등에 의한 영향이 완화된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환상 철면부(121)는, 고정부(122)로부터 설치 플랜지(126)를 향해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곡면체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 환상 철면부의 배열 피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학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LED(15)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환상 철면부(121)의 배열 피치가 커지기 때문에, LED(15)로부터의 빛의 출사각(확산각)에 대응한 환상 철면부(121)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LED(15)로부터의 출사광을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등기구(100)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소정 이상의 광도를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둘레 방향에 대한 축 방향(z 방향)의 각도가 -5°~5°의 범위에서 평행한 광선을 조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정의 z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에서의 최대 광도와 최소 광도와의 차이가 1.5배 이내(특정의 z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에서의 최대 광도가 그 최소 광도의 1.5배 이하)의 균일한 빛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광원 유닛(10)에 의해 광원(15)과 리플렉터(12)를 유닛 구조로 할 수 있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삭감, 등기구(100)의 소형화 등을 실현할 수 있다. 또, 해당 광원 유닛을, 등종이 다른 복수의 등기구에 공통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9-2) 실시 형태 2
도 14에 나타낸 등기구(200)는, 상기 실시 형태 1에 따른 광원 유닛(10)과는 다른 광원 유닛(110)을 구비한다. 도 15는, 그 광원 유닛(110)의 분해 사시도이다.
광원 기판(111)에 탑재된 광원은 1개의 LED(15)이며, 광원 기판(111)의 중심에 LED(15)가 배치되어 있다. 이 LED(15)의 위치를 지나는 연직축을, 설명상 편의적으로 「광원 중심축」이라고 한다.
도 32는 리플렉터(18)의 평면도, 도 33은 리플렉터의 측면도, 도 34는, 도 32에서의 C-C선 단면도, 도 35는, 도 33에서의 주요부의 확대도이다.
리플렉터(18)는, 설치 플랜지(186)(베이스부)와, 정부(182)와, 반사부(184)를 갖는다. 리플렉터(18)는, 전체적으로, 대체로 뿔꼴 형상을 갖는다. 리플렉터(18)는, 예를 들면 플라스틱 재료의 사출 성형체로 형성되어, 적어도 반사부(184)를 포함하는 외표면을 알루미늄이나 은 등의 금속막으로 피복함으로써 제작된다.
반사부(184)는, 설치 플랜지(186)와 정부(182) 사이에 설치되어, 광원(LED(15))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반사부(184)는, 정부(182)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180)와, 곡면체(180) 상에 설치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181)를 갖는다. 반사부(184)는, 그 최대 반경 위치에서, 원통형의 연결부(187)를 개입시켜 설치 플랜지(186)에 접속되어 있다.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반사부(184)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면(예를 들면 포물면이나 타원면)이 된다. 즉, 도 17에 나타내 보이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그 반사부(184)의 단면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선을 그린다. 이 2차 곡선을 정부(182)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18c)의 주위로 회전시킨 회전 곡선에 의해서 곡면체(180)가 구성된다. 곡면체(180)는, 중심축(18c) 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2차 곡면으로 구성된다.
환상 철면부(181)도 제1 실시 형태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복수의 환상 철면부(181)는, 정부(182)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환상 철면부(181)는, 곡면체(180)의 표면을 따라서 각각 배열된, 곡면체(180)의 표면으로부터 중심축(18c)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볼록한 모양의 곡면부를 각각 갖는다. 개개의 환상 철면부(181)는, 둘레 방향으로 등가인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정부(182)로부터 설치 플랜지(186)를 향해 중심축(12c)으로부터의 반경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된다.
환상 철면부(181)를 구성하는 곡면부의 곡률 반경은, 곡면체(180)의 반경 위치에 따라 다르고, 그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광학 사양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어, 예를 들면 1m~50m의 범위로 설정된다. 환상 철면부(181)의 볼록부의 높이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곡면체(180)의 반경 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최대로 0.25mm정도로 설정된다.
환상 철면부(181)의 배열 피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부(182)로부터 설치 플랜지(186)를 향하여, 환상 철면부(181)의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정부(182)는, 광원 기판(11)에 대향하는 첨예부(182a)를 갖는다. 첨예부(182a)는, 그 중심(중심축(12c))이, LED(15)의 광출사구의 중심(광원 중심축)에 배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단일의 LED(15)로부터 소정의 출사각으로 출사되는 빛이 반사부(184)의 전체 둘레로 조사되도록, 광원 기판(111)에서 리플렉터(18)가 위치 결정 된다. 구체적으로는, 칸막이판(131)(제1 지지부) 상에 설치된 고정대(131a)에 광원 기판(111)이 위치 결정, 고정된 다음, 리플렉터(18)의 설치 플랜지(186)가 이너 커버(13)의 상부 플랜지(134)(제2 지지부) 상에 재치된다. 즉, 광원 기판(111)은, 고정대(131a) 상에 설치된 복수의 돌기(131p)와 감합하는 복수의 감합공(111a)을 갖고, 이로 인해 광원 기판(111)과 고정대(131a)와의 상대 위치가 규정된다.
한편, 설치 플랜지(186)는, 상부 플랜지(134) 상의 복수의 돌기(134a)에 계합하는 복수의 구멍(186a)을 갖는다. 또한, 설치 플랜지(186)의 하면은, 이너 커버(13)의 벽부(136)에 대향하는 제1 경사부(186c)를 갖고, 이너 커버(13)의 상부 플랜지(134)는, 제1 경사부(186c)와 접하는 제2 경사부(134c)를 갖는다. 제1 경사부(186c)는, 설치 플랜지(186)에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정부(182)를 향해 하향 경사의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제2 경사부(186c, 134c)는, 상부 플랜지(134)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형성되고, 광원 기판(111)을 향해 하향 경사의 경사면으로 구성된다.
제2 경사부(134c)는, 제1 경사부(186c)와의 계합 작용에 의해, 리플렉터(18)의 정부(182)(첨예부(182a))를 LED(15)의 바로 위쪽 위치에 안내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로 인해, 광원 기판(11)과 리플렉터(12)와의 상대 위치가 규정되기 때문에, 리플렉터(12)의 중심축(18c)과 광원 중심축과의 엇갈림에 의한 등기구(200)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으로의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리플렉터(18)와 이너 커버(13)란, 설치 플랜지(186)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 삽통공(186b)을 개입시켜 상부 플랜지(134)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공(134b)에 나착되는 도시하지 않은 복수 라인의 나사 부재에 의해서 서로 고정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광원 유닛(110)에서도, 상술의 실시 형태 1과 같은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반사부(184)가 복수의 환상 철면부(181)를 갖고 있기 때문에, 개개의 환상 철면부(181)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에 의한 영향을 완화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등기구(200)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술한 광원 유닛에서, 광원으로서 단수 또는 복수의 LED(15)를 이용했지만, 이것들 점광원에 대신하고, EL소자 등의 면광원이나 CCFL 등의 선광원이 채용될 수 있다.
10. 제5의 실시 형태(양색등)
도 36~도 40은, 본 발명의 제5의 실시 형태에 따른 등기구로서의 양색등(1100)을 나타내고, 도 36은 정면측에서 본 전체 사시도, 도 37은 정면도, 도 38은 좌측면도, 도 39는, 도 37에서의 D-D선 단면도, 도 40은, 도 38에서의 E-E선 단면도이다.
양색등(1100)은, 도면에서,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세로 방향)으로서 주로 사용된다. 또, 이후의 설명에서는, Z축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하고, X 및 Y축 방향을 수평면 내의 직교하는 2축 방향으로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양색등(1100)은, 광원 유닛(1010)과, 수용체(1040)와, 리드(1070)와, 베이스(1080)와, 루버(1090)를 갖는다. 광원 유닛(1010), 아우터 커버(1050), 베이스 커버(1060), 리드(1070) 및 베이스(1080)의 각 부품은, 대체로 원통 형상을 갖고 구성되어 있다.
도 39에 나타내듯이, 수용체(1040)는, 투광성을 갖는 수지 재료로 구성된 아우터 커버(1050)와, 이 아우터 커버(1050)에 장착된 베이스 커버(1060)를 갖는다. 광원 유닛(1010)은, 수용체(1040)의 내부에 배치된다. 리드(1070)는, 아우터 커버(1050)의 상부에 장착된다. 베이스(1080)는, 베이스 커버(1060)의 하부에 장착된다.
아우터 커버(1050)는, 투광성 재료로 구성되고, 주로 광원 유닛(1010)으로부터의 빛을 외부로 출사시키는 측 둘레부(1053)를 갖는다. 아우터 커버(1050)의 하단은 개구되고, 또, 베이스 커버(1060)의, 그 일단에 대면하는 상단은 개구되어 있다. 아우터 커버(1050)에는,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1051)가 설치되고, 또, 베이스 커버(1060)에도 그 돌설부(1051)의 형상에 대체로 대응하는 형상을 갖는 돌설부(1061)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설부(1051 및 1061)는, 복수의 나사 부재(N11)로 체결되고, 이로 인해 아우터 커버(1050) 및 베이스 커버(1060)가 서로 접속된다. 또, 이러한 돌설부(1051 및 1061)의 사이에는, 씰 링(1059)(도 39, 40)이 개재되어 있다. 또한, 이것 돌설부(1051 및 1061)를 관통하는 복수의 나사 부재(N12)에 의해서, 수용체(1040)와 베이스(1080)가 서로 접속된다.
아우터 커버(1050)의 상부 중앙에는 개구(1052)가 형성되고, 그 개구(1052)를 개입시켜 수용체(1040) 내의 공기압이 외기압(대기압)으로 유지된다. 돌설부(1051)의 표면에는, 루버(1090)의 날개부(1091)와 계합하는 계합홈(1055)을 갖는다(도 38). 리드(1070)에도, 아우터 커버(1050)와 같이, 루버(1090)의 날개부(1091)와 계합하는 계합홈(1075)을 갖는다. 루버(1090)는, 측 둘레부(1053)로부터 빛의 출사 범위(사광 범위)를 소정 각도(본 예에서는 225°)로 제한하는 원호 모양의 차광 부재이며, 리드(1070)와 계합홈(1055) 사이에 배치된다. 리드(1070)는, 복수의 나사 부재(N13)에 의해서, 아우터 커버(1050)에 고정된다.
도 40에 나타내듯이, 광원 유닛(1010)은, 제1 광원(1151) 및 제2 광원(1152)을 탑재한 광원 기판(1011)과, 리플렉터 유닛(1020)과, 이너 커버(1030)를 갖는다.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은, 고체 발광소자인 LED(LightEmittingDiode)로 구성된다.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은, 각각 다른 파장역의 가시광선을 출사가능한 LED로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광원(1151)은, 녹색빛을 출사가능한 LED로 구성되고, 제2 광원(1152)은, 적색빛을 출사가능한 LED로 구성된다.
도 41은, 광원 유닛(1010)의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광원 기판(1011)은, Z축(제1 축)에 직교하는 LED 탑재면을 갖고,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은, Z축과 직교하는 X축 방향으로 서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광원 기판(1011)은, 이너 커버(1030)의 지지판(1033)의 표면에 배치된다.
광원 기판(1011) 및 지지판(1033)은, XY 평면에 평행한 평면에서 형성되어 있다. 광원 기판(1011)에는, 지지판(1033)의 표면에 설치된 복수의 감합 돌기(1033a)와 감합하는 복수의 감합공(1011a)이 설치됨과 동시에, 지지판(1033)에 설치된 복수의 나사공(1033b)과 정렬하는 복수의 나사 삽통공(1011b)이 설치된다. 광원 기판(1011)은, 감합 돌기(1033a)와의 감합 작용에 의해서 위치 결정된 후, 복수의 나사 부재(도시 생략)를 개입시켜 지지판(1033) 상에 고정된다.
도 42는 리플렉터 유닛(1020)의 저면도, 도 43은 동 정면도, 도 44는 동 측면도이다.
리플렉터 유닛(1020)은, 리플렉터(1012)와, 칸막이판(1013)을 갖는다. 리플렉터(1012)는, 제1 반사체(1121)와 제2 반사체(1122)를 갖고, 칸막이판(1013)은, 제1 반사체(1121)와 제2 반사체(1122) 사이에 배치된다. 제1 반사체(1121) 및 제2 반사체(1122)는 각각, 칸막이판(1013)에 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갖는다.
제1 반사체(1121)는, 제1 광원(1151)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Z축 주위의 제1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 각도 범위로서는, 예를 들면, 정면 방향(Y축의 정의 방향)에서 우측으로 112.5°의 범위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1 반사체(1121)는, 제1 정부(1121a)와, 복수의 제1 원호 모양 철면부(1121c)를 갖는다. 제1 정부(1121a)는, Z축 방향으로 제1 광원(1151)에 대향한다. 복수의 제1 원호 모양 철면부(1121c)는, 제1 정부(1121a)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곡면체(1121b) 상에 설치되어, 제1 정부(1121a)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다.
한편, 제2 반사체(1122)는, 제2 광원(1152)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상기 제1 각도 범위와는 다른 Z축 주위의 제2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2 각도 범위로서는, 예를 들면, 정면 방향(Y축의 정의 방향)에서 좌측으로 112.5°의 범위가 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 제2 반사체(1122)는, 제2 정부(1122a)와, 복수의 제2 원호 모양 철면부(1122c)를 갖는다. 제2 정부(1122a)는, Z축 방향으로 제2 광원(1152)에 대향한다. 복수의 제2 원호 모양 철면부(1122c)는, 제2 정부(1122a)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곡면체(1122b) 상에 설치되어, 제2 정부(1122a)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다.
칸막이판(1013)은, 제1 광원(1151)과 제2 광원(1152) 사이에 배치되어, X축 및 Z축과 직교하는 Y축(제2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판 모양 부재로 구성된다. 칸막이판(1013)은, 제1 반사체(1121)와 제2 반사체(1122)를 분단하도록 리플렉터 유닛(1020)의 직경 방향으로 연재하고, 그 길이는, 리플렉터 유닛(1020)의 Y축 방향으로 평행한 직경과 대략 동등하다.
칸막이판(1013)의 첨단(1013a)(도 41)은, 광원 기판(1011)의 표면에 접촉할 수 있고, 해당 표면과 틈새를 개입시켜 대향할 수 있다. 칸막이판(1013)의 X축에 따른 두께(폭)는, 광원 기판(1011)의 표면을 향함에 따라 얇아지고,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과의 대향 영역에는 얇은 부분(1130)이 설치되어 있다. 이로 인해 제 1및 제2 광원(1151, 1152)을 서로 근접해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1 반사체(1121) 및 제2 반사체(1122)는 공통의 베이스부(1120)를 갖는다. 제1 곡면체(1121b) 및 제2 곡면체(1122b)는, 개략적으로는 1개의 회전 곡선을 칸막이판(1013)에서 2개로 분할한 개개의 곡면체로 구성되고, 칸막이판(1013)의 두께의 분량만큼 해당 회전 곡선의 축심이 X축 방향을 따라서 2개로 나누어지고, 해당 1개의 정부가 2개의 정부(1121a, 1122a)로 분할된 모양을 나타낸다. 이 때문에 복수의 제1 및 제2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는, X축 방향으로 타원에서 가장 긴 직경을 갖는 타원의 부분 원호 형상을 갖는다.
제1 반사체(1121) 및 제2 반사체(1122)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2차 곡면(예를 들면 포물면이나 타원면)이 된다. 즉 도 40에 나타내는 단면에서 보았을 때, 제1 및 제2 반사체(1121, 1122)의 단면의 매크로적인 형상은, 각각 2차 곡선을 그린다. 이들 2차 곡선을 제1 및 제2 정부(1121a, 1122a)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축의 주위로 회전시킨 회전 곡선에 의해서, 제1 및 제2 곡면체(1121b, 1122b)가 각각 구성된다. 제1 및 제2 곡면체(1121b, 1122b)는, 각각의 중심축측으로 볼록한 형상의 2차 곡면으로 구성되고, 그 구체적인 형상은, 양색등(1100)에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 결정된다.
복수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는 각각, 정부(1121a, 1122a)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각각 배열되어 있다. 복수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는 각각, 곡면체(1121b, 1122b)의 표면을 따라서 각각 배열된, 곡면체(1121b, 1122b)의 표면에서 외측으로 돌출하는 볼록한 모양의 곡면으로 형성된다. 개개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는, 둘레 방향으로 거의 등가인 형상을 가짐과 동시에, 정부(1121a, 1122a)로부터 베이스부(1120)를 향해 반경이 서서히 커지도록 형성된다.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를 구성하는 곡면부의 곡률 반경은, 곡면체(1121b, 1122b)의 반경 위치에 따라 다르고, 그 크기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광학 사양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되고, 예를 들면 1m~100m의 범위로 설정된다.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의 볼록부의 높이도 특히 한정되지 않고, 곡면체(1121b, 1122b)의 반경 위치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 가능하고, 예를 들면, 최대로 0.25mm 정도로 설정된다.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의 배열 피치는 특히 한정되지 않고, 요구되는 광학 특성에 따라 적당하게 설정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정부(1121a, 1122a)로부터 베이스부(1120)를 향하고,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의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구성된다.
리플렉터(1012)(제1 및 제2 반사체(1121, 1122)) 및 칸막이판(1013)은, 각각 일체 성형 된 단일의 부재인 리플렉터 유닛(1020)으로서 구성된다. 이로 인해 광원 유닛(1010)의 구성을 간소화할 수 있음과 동시에, 광원 유닛(1010)의 부품 점수를 삭감해 조립 작업성이나 조립 정밀도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플렉터 유닛(1020)은, 수지 재료의 사출 성형체로 구성되고, 제1 및 제2 반사체(1121, 1122)가 은이나 알루미늄 등의 광반사성이 높은 금속막으로 피복 되고, 칸막이판(1013)은 광흡수성의 높은 흑색으로 착색되어 있다.
이너 커버(1030)는, 투광성의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개략 원통 형상을 갖는다. 도 40에 나타내듯이, 이너 커버(1030)의 내부에는 광원 기판(1011)을 지지하는 원반 모양의 지지판(1033)이 설치된다. 지지판(1033)은, 이너 커버(1030)의 내부를 2개의 영역으로 구획하고, 지지판(1033)과 제1 둘레 벽부(1031)로 구획되는 이너 커버(1030)의 위쪽 공간이 리플렉터 유닛(1020)의 수용 공간이 되고, 지지판(1033)과 제2 둘레 벽부(1032)로 구획되는 이너 커버(1030)의 하부 공간이 회로 기판(1018)의 수용 공간이 된다(도 39). 또, 제2 둘레 벽부(1032)에는 상하 방향으로 연재하는 복수의 홈이 설치되고, 이로 인해 등기구 외부로부터 해당 하부 공간의 시인성이 저해되어 있다.
회로 기판(1018)은, 지지판(1033)의 하면에 설치된 지지기둥(1034)에 고정된다. 회로 기판(1018)은, 광원 기판(1011)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의 발광의 제어나 발광 상태의 감시 등을 실시한다. 회로 기판(1018)은, 베이스 커버(1060)의 중심부에 설치된 개구부(1062) 및 베이스(1080)의 중심부에 설치된 개구부(1082)를 개입시켜 외부의 콘트롤러(도시 생략)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40).
제1 둘레 벽부(1031)의 상단은, 리플렉터 유닛(1020)의 베이스부(1120)를 지지한다. 즉 베이스부(1120)는, 아우터 커버(1050)의 상단 주연부(1054)(도 40)와 제1 둘레 벽부(1031)의 상단과의 사이에 협지된다. 이로 인해, 제1 광원(1151) 및 제1 반사체(1121)를 포함하는 우현등부(1010R)와, 제2 광원(1152) 및 제2 반사체(1122)를 포함하는 좌현등부(1010L)가 구성된다(도 40).
제1 둘레 벽부(1031)는, 제1 반사체(1121) 및 제2 반사체(1122)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출사창으로서 기능하고, 아우터 커버(1050)의 측 둘레부(1053)를 개입시켜 우현광을 나타내는 녹색의 빛과 좌현광을 나타내는 적색의 빛을 외부로 조사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 형태의 양색등(1100)에서는, 광원 기판(1011) 상의 제1 및 제2 광원(1151, 1152)가 동시에 점등하고, 그러한 출사광이 각각 제 1 및 제2 반사체(1121, 1122)로 반사된다. 제1 및 제2 반사체(1121, 1122)로 반사된 빛은, 이너 커버(1030)의 제1 둘레 벽부(1031) 및 아우터 커버(1050)의 측 둘레부(1053)를 개입시키고, 루버(1090) 및 칸막이판(1013)으로 제한된 소정의 각도 범위(제1 및 제2 각도 범위)로 출사한다.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양색등(1100)은, 조사 범위마다 독립한 광원(1151, 1152) 및 반사체(1121, 1122)를 갖기 때문에, 조사광의 광학 설계를 최적화가 가능하고,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서 소정 이상의 광도를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각 반사체(1121, 1122)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에 의해서, 광원(1151, 1152)로부터의 빛을 각각 확산시키도록 반사할 수 있다. 즉, 점광원인 LED를 이용했을 경우에도, 반사체가 연속 경면으로 구성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각 광원(1151, 1152)의 출사광은, 원호 모양 철면부의 곡면에 의해서 양색등(1100)의 축 방향(z 방향)으로 확산되면서, 양색등(1100)의 둘레 방향(xy 평면 방향)으로 반사되게 된다. 이로 인해 축 방향으로 보다 넓은 조사 범위에 걸쳐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개개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에서의 빛의 확산 기능에 의해, 광원의 배치 오차나 주변의 부속물, 치수 공차 등에 의한 영향이 완화된다. 이로 인해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의 소정 범위에 걸쳐서 광도의 불균형을 억제하면서, 소정치 이상의 광도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복수의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는, 정부(1121a, 1122a)로부터 베이스부(1120)를 향해 배열 피치가 커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로 인해 곡면체의 곡률의 변화에 따라 원호 모양 철면부의 배열 피치를 최적화하는 것이 가능하고, 광학 설계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광원(1151, 1152)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의 배열 피치가 커지기 때문에, 광원(1151, 1152)으로부터의 빛의 출사각(확산각)에 대응하는 원호 모양 철면부(1121c, 1122c)의 최적화를 도모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광원(1151, 1152)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효율적으로 이용 가능하고, 양색등(100)의 둘레 방향 및 축 방향에의 소정 이상의 광도를 용이하게 실현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발명자 등의 실험에 의하면, 둘레 방향에 대한 축 방향(z 방향)의 각도가 -5°~5°의 범위에서 평행한 광선을 조사할 수 있음과 동시에, 특정의 z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에서의 최대 광도와 최소 광도와의 차이가 1.5배 이내(특정의 z위치에서의 둘레 방향에서의 최대 광도가 그 최소 광도의 1.5배 이하)의 균일한 빛을 얻을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및 제2 반사체(1121, 1122)가 칸막이판(1013)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갖기 때문에, 제1 및 제2 각도 범위로 조사되는 빛의 광학 특성을 공통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리플렉터(1012) 및 칸막이판(1013)이 단일의 리플렉터 유닛(1020)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부재의 공통화, 조립에서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의 리플렉터 유닛을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10, 110, 1010…광원 유닛
11, 111, 1011…광원 기판
11A…주등(主燈)
11B…예비등(予備燈)
12, 18, 1012…리플렉터
13…이너 커버
15…LED
20, 220…아우터 커버
21, 221…돌설부
22…개구
23, 223…측 둘레부
25, 75, 85, 225, 275…설치 영역
26, 27, 226…둘레홈
27, 77, 87, 227, 277…계지홈
29, 36, 86, 79, 89…나사공부
30, 230…베이스 커버
31…돌설부
50, 50A, 50B, 250…수용체
60…단부 부재
70, 270…리드(lid)
72…기준 마크
80, 280…베이스
88…홈 모양의 영역
90, 90A, 90B, 90C, 290…루버(louver)
93, 293…본체부
94…계합 리브
95, 295…날개부
100, 200, 300, 400…등기구
120, 180…곡면체
124, 184…반사부
150…점등 감시 장치
155…제어부
156…구동부
1100…양색등
1121…제1 반사체
1122…제2 반사체
B1…전원 기판
B2…제어 기판

Claims (49)

  1. 베이스부와,
    정부(頂部)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진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된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는 반사부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의 배열 피치는, 상기 정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커지고,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곡면부는 상기 곡면체의 반경 위치에 따라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등기구용 리플렉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는,
    평면부와,
    상기 평면부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지지하는 기판과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
    등기구용 리플렉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는, 첨예부를 갖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첨예부와 대향하는 광원이 배치되어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체와 접속 가능한 접속부를 갖는
    등기구용 리플렉터.
  5. 단수 또는 복수의 광원을 탑재한 광원 기판과,
    베이스부와, 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반사부를 갖고, 상기 반사부가,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연속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포함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반사부에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둘레 벽부를 갖고, 상기 광원 기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는 지지체
    를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의 배열 피치는, 상기 정부로부터 상기 베이스부를 향해 커지고,
    상기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곡면부는 상기 곡면체의 반경 위치에 따라 다른 곡률 반경을 갖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둘레 벽부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광원 기판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와,
    상기 둘레 벽부의 타단에 설치되어, 상기 베이스부를 지지하는 제2 지지부를 갖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는, 상기 광원 기판에 고정되는 평면부를 갖고,
    상기 광원은, 상기 평면부의 주위에 등각도 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계합 가능한 계합부를 갖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정부는, 첨예부를 갖고,
    상기 광원은, 상기 첨예부와 대향하는 단일의 광원을 포함하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둘레 벽부에 대향하는 환상의 제1 경사면부를 갖고,
    상기 제2 지지부는, 상기 제1 경사면부와 접하여 상기 첨예부를 상기 광원의 바로 위쪽 위치로 안내하는 환상의 제2 경사면부를 갖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기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회로 기판을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광원 기판을 지지하는 제1 면과,
    상기 회로 기판을 지지하고 상기 제1 면과는 반대측의 제2 면을 갖는
    등기구용 광원 유닛.
  12. 삭제
  13. 리플렉터를 갖는 광원 유닛과,
    상기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하고, 다른 복수의 사광각에 따라 설계된 루버 중, 하나의 사광각을 갖는 루버(louver)와,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계된 상기 루버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의 부착부를 갖고, 상기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수용체
    를 구비하고,
    상기 리플렉터는,
    베이스부와,
    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는 반사부
    를 포함하는
    등기구.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광원 유닛의 주위를 따라서 배치되어, 투광영역을 포함하는 측 둘레부와,
    상기 부착부가 설치되어, 상기 측 둘레부에서 바깥쪽으로 돌설된 돌설부를 갖는
    등기구.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가 계합 가능한 홈인
    등기구.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는,
    상기 측 둘레부의 상기 투광영역을 따라서 설치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돌설부의 상기 홈에 계합 가능한 날개부를 갖는
    등기구.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돌설부와의 사이로, 상기 루버를 협지하는 단부 부재를 더 구비하는
    등기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부 부재는, 상기 수용체에 접속된 리드(lid)인
    등기구.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갖는
    등기구.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 상기 루버, 상기 수용체 및 상기 단부 부재는, 2개의 광원 유닛, 2개의 루버, 서로 접속된 2개의 수용체 및 2개의 단부 부재로 구성되고,
    상기 각 광원 유닛, 각 루버, 각 수용체 및 각 단부 부재는, 상기 단부 부재 및 상기 돌설부의 협지의 방향에 따르는 축 방향으로 서로 대칭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등기구.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단부 부재 중 한편은,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갖는
    등기구.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루버의 설치각에 따르고, 상기 2개의 단부 부재 중 제1 단부 부재에 대한 제2 단부 부재의 주위 방향으로의 배치각이 다른
    등기구.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의 상기 부착부는, 제1 계합부를 갖고,
    상기 루버는, 상기 본체부에 설치된, 상기 제1 계합부에 계합 가능한 제2 계합부를 갖는
    등기구.
  24.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는,
    상기 측 둘레부 및 상기 돌설부를 갖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된 베이스 커버를 갖는
    등기구.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갖는
    등기구.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기 수용체 내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갖는 이너 커버인
    등기구.
  2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는,
    상기 루버로서 제1 사광각을 갖는 제1 루버가 장착되도록 배치된 제1 부착부와,
    상기 루버로서 상기 제1 사광각과는 다른 제2 사광각을 갖는 제2 루버가 장착되도록 배치된 제2 부착부를 포함하는
    등기구.
  28. 제1 리플렉터를 갖는 제1 광원 유닛과,
    제1 측을 갖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제1 수용체와,
    제2 리플렉터를 갖는 제2 광원 유닛을 수용하는 제2 수용체에 접속 가능하고,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에 설치된 제1 접속 구조와,
    상기 제1 접속 구조를 개입시켜 상기 제1 수용체에 접속된 베이스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리플렉터 및 상기 제2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한편은,
    베이스부와,
    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는 반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광원 유닛은,
    광원과,
    상기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일체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체를 가지고,
    상기 지지체는, 상기 제1 수용체 내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갖는 이너 커버인 등기구.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체의 상기 제1 측의 반대측인 제2 측에 설치된 제2 접속 구조를 더 구비하는
    등기구.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제2 접속 구조와 공통의 구조를 갖는 제3 접속 구조를 갖는
    등기구.
  31.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속 구조 및 상기 제2 접속 구조는, 공통의 구조를 갖는
    등기구.
  32.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접속 구조에 접속된 리드를 더 구비하는
    등기구.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의 주위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포함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접속 구조가 설치된 베이스 커버를 갖는
    등기구.
  34.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제1 광원 유닛의 주위에 배치된 투광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접속 구조가 설치된 커버와,
    상기 커버에 장착되어, 상기 제1 접속 구조가 설치된 베이스 커버를 갖는
    등기구.
  35.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드는, 상기 등기구의 방향을 나타내는 기준 마크를 갖는
    등기구.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유닛을 중심으로, 그 주위가 다른 복수의 설치각 중 하나의 설치각으로 배치되어, 상기 등기구로부터의 사광 범위를 확정하는 루버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1 수용체는, 상기 복수의 설치각에 따라 각각 설치된, 상기 루버의 부착부를 갖는
    등기구.
  37. 고체 발광소자를 각각 갖는 복수의 광원부와,
    상기 복수의 광원부를 일체로 지지하여 수용하는 수용체와,
    상기 복수의 광원부 중 제1 광원부의 전압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전압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광원부가 비정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 상기 제1 광원부와는 다른 제2 광원부로 전력의 공급을 바꾸는 감시 수단
    을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광원부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광원 유닛은 리플렉터를 각각 갖고,
    상기 리플렉터 중 적어도 하나는,
    베이스부와,
    정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상기 정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곡면체와, 상기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환상 철면부를 갖는 반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제1 광원부의 전압의 역치를 기억하는 기억부와,
    상기 역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광원부 상태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을 갖고,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광원부가 정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서의 상기 검출한 전압을 제1 전압치로서 기억하고, 그 기억 후, 상기 제1 광원부의 전압인 제2 전압치를 검출하고, 상기 제1 전압치 및 상기 제2 전압치에 근거하여, 상기 제1 광원부 상태를 판정하는
    등기구.
  38. 삭제
  39.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제1 광원부의 전압의 기준치로부터의 변동과, 상기 역치와의 비교에 근거하여, 상기 판정을 실시하는
    등기구.
  40. 삭제
  41.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감시 수단은, 상기 광원부가 비정상이라고 판정했을 경우에서의 상기 검출한 전압에 대신하여, 그 전에 검출한 정상시의 전압을 현재의 검출 전압으로 하는
    등기구.
  42.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내에 수용되어, 상기 감시 수단의 기능을 갖는 제어반을 더 구비하는
    등기구.
  43. 제1 광원과 제2 광원을 탑재하고, 제1 축 방향으로 직교하는 광원 기판과,
    상기 제1 광원과 상기 제2 광원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축 방향과 직교하는 제2 축 방향을 따라서 연장된 칸막이판과,
    상기 제1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상기 제1 축 주위의 제1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제1 반사체와, 상기 제2 광원으로부터 출사한 빛을 상기 제1 각도 범위와는 다른 상기 제1 축 주위의 제2 각도 범위에 걸쳐서 반사하는 것이 가능한 제2 반사체를 갖는 리플렉터와,
    상기 광원 기판, 상기 칸막이판 및 상기 리플렉터를 지지하고, 상기 제1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로 반사된 빛을 투과시키는 둘레 벽부를 갖는 지지체
    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반사체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1 광원과 대향하는 제1 정부와,
    상기 제1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1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1 원호 모양 철면부를 갖는
    등기구.
  44.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사체는,
    상기 제1 축 방향으로 상기 제2 광원과 대향하는 제2 정부와,
    상기 제2 정부를 중심으로 하는 회전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제2 곡면체 상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정부를 중심으로 동심원 모양으로 배열된 복수의 제2 원호 모양 철면부를 갖는
    등기구.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사체 및 상기 제2 반사체는 각각, 상기 칸막이판에 대해서 대칭인 형상을 갖는
    등기구.
  46.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리플렉터 및 상기 칸막이판은, 각각 일체 성형된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는
    등기구.
  47.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 및 상기 제2 광원은, 각각 다른 파장역의 가시광선을 출사 가능한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등기구.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광원은, 녹색빛을 출사가능한 발광소자로 구성되고,
    상기 제2 광원은, 적색빛을 출사가능한 발광소자로 구성되는
    등기구.
  49.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벽부에 설치되어, 상기 둘레 벽부로부터의 빛의 출사 범위를 제한하는 차광 부재를 더 구비하는
    등기구.
KR1020140130369A 2013-10-09 2014-09-29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 KR1022938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11786 2013-10-09
JP2013211787A JP6230104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
JP2013211618A JP6241922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
JP2013211788A JP6302641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点灯監視装置およびその監視方法
JP2013211616A JP6195497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用リフレクタ
JPJP-P-2013-211788 2013-10-09
JPJP-P-2013-211787 2013-10-09
JP2013211617A JP6195498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用光源ユニット
JP2013211786A JP6302640B2 (ja) 2013-10-09 2013-10-09 灯器
JPJP-P-2013-211617 2013-10-09
JPJP-P-2013-211616 2013-10-09
JPJP-P-2013-211618 2013-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41742A KR20150041742A (ko) 2015-04-17
KR102293866B1 true KR102293866B1 (ko) 2021-08-25

Family

ID=53035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0369A KR102293866B1 (ko) 2013-10-09 2014-09-29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293866B1 (ko)
CN (1) CN1045662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7216A (ko) * 2015-04-23 2016-11-03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엘이디 조명장치
CN104913259A (zh) * 2015-06-19 2015-09-16 镇江船舶电器有限责任公司 一种新型的船舶用照明灯
CN106918023B (zh) * 2017-03-16 2023-09-08 华荣科技股份有限公司 Led信号灯及其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052A (ja) * 2005-07-21 2007-02-01 Nippon Sentou Kk 船灯
JP2010205453A (ja) * 2009-02-27 2010-09-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
US20110002118A1 (en) * 2008-02-22 2011-01-06 Tri-Concept Technology Limited Led obstruction light
JP2013140318A (ja) * 2011-12-09 2013-07-18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および照明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13946A (ja) 2006-05-23 2007-12-06 Nippon Koki Kogyo Kk 灯浮標用灯器
CN201866672U (zh) * 2010-11-02 2011-06-15 杭州富光科技有限公司 一种船用led环照灯
JP2012216334A (ja) * 2011-03-31 2012-11-08 Koito Mfg Co Ltd 灯具
CN202532380U (zh) * 2012-05-22 2012-11-14 温州台塑电气有限公司 闪光式警示灯
CN202647531U (zh) * 2012-07-04 2013-01-02 江苏华燕船舶装备有限公司 船用双层信号灯
KR101280968B1 (ko) * 2012-09-27 2013-07-02 극동일렉콤주식회사 선박용 엘이디 항해등
CN103244907A (zh) * 2013-05-27 2013-08-14 四川锦明光电股份有限公司 一种反射杯式机场跑道应急led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052A (ja) * 2005-07-21 2007-02-01 Nippon Sentou Kk 船灯
US20110002118A1 (en) * 2008-02-22 2011-01-06 Tri-Concept Technology Limited Led obstruction light
JP2010205453A (ja) * 2009-02-27 2010-09-16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Led点灯装置
JP2013140318A (ja) * 2011-12-09 2013-07-18 Enplas Corp 光束制御部材および照明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66221A (zh) 2015-04-29
KR20150041742A (ko) 2015-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058226B1 (en) Display lamp
US7407303B2 (en) Lighting devi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US8545046B2 (en) Multi-color indicator lighting
US20080278961A1 (en) Hybrid Optics for L.E.D. Lamp
JP2006054092A (ja) 車両用標識灯
KR102293866B1 (ko) 등기구, 등기구용 리플렉터 및 등기구용 광원 유닛
JP2006007889A (ja) ライセンスプレートの照明装置
KR101821321B1 (ko) 선박용 엘이디 항해등
EP3572711B1 (en) Light-emitting module and illuminating device using same
JP2012216334A (ja) 灯具
JP3221380U (ja) 照明ダウンライト
JP4958702B2 (ja) Led式灯具ユニット、灯台用led式灯具及びled式灯台
JP6195498B2 (ja) 灯器用光源ユニット
JP6483376B2 (ja) 灯具およびその組立方法
JP6302641B2 (ja) 灯器、点灯監視装置およびその監視方法
JP2022159472A (ja) Led照明器具
JP6302640B2 (ja) 灯器
KR101803185B1 (ko) 포물선 초점 위치의 엘이디광원을 이용한 등명기
JP2005306189A (ja) 光源ユニットおよび照明装置
JP6195497B2 (ja) 灯器用リフレクタ
JP6241922B2 (ja) 灯器
KR102017656B1 (ko) 배광용 패턴 렌즈판을 구비한 led 조명등
JP6955416B2 (ja) 車両用灯具
JP6230104B2 (ja) 灯器
CN108980779B (zh) 一种照明灯具及照明模组及透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