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446B1 -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 Google Patents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446B1
KR102293446B1 KR1020200016758A KR20200016758A KR102293446B1 KR 102293446 B1 KR102293446 B1 KR 102293446B1 KR 1020200016758 A KR1020200016758 A KR 1020200016758A KR 20200016758 A KR20200016758 A KR 20200016758A KR 102293446 B1 KR102293446 B1 KR 102293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ng
authentication information
accompaniment
management device
portab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6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2594A (ko
Inventor
김진관
방종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엔터테인먼트
방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엔터테인먼트, 방종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더블유엔터테인먼트
Priority to KR1020200016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446B1/ko
Publication of KR20210102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25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2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encryption or decryption of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0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the encryption apparatus using shift registers or memories for block-wise or stream coding, e.g. DES systems or RC4; Hash functions; Pseudorandom sequence generators
    • H04L9/0618Block ciphers, i.e. encrypting groups of characters of a plain text message using fixed encryption transformation
    • H04L9/0631Substitution permutation network [SPN], i.e. cipher composed of a number of stages or rounds each involving linear and nonlinear transformations, e.g. AES algorith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1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 H04L9/3213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involving a third party or a trusted authority using tickets or tokens, e.g. Kerber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209/00Additional information or applications relating to 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 H04L9/00
    • H04L2209/80Wireless
    • H04L2209/805Lightweight hardware, e.g.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sens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에 저장된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갱신 요청에 따라, 관리 장치로부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NEW SONG AUTHENTICATION METHOD AND NEW SONG AUTHENTICATION SYSTEM}
본 발명은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에 의한 연동과 액션으로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를 갱신가능하고 간단한 구성으로 암호화된 곡인증정보의 외부 노출과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에는 노래 반주기가 설치된다. 노래 반주기는 하드 디스크를 구비하고 하드 디스크 내에 다수의 음원파일을 저장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대응하는 음원파일을 재생하고 사용자가 마이크를 통해 노래를 부를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음원파일은 주기적으로 업데이트될 필요가 있다. 노래 반주기들은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서버에 연결되어 매달 주기적으로 신곡 음원파일들을 다운받고 이를 내부에 저장한다.
음원파일은 노래 반주기의 사업자가 저작권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하고 구성하는 파일로서 노래방의 사업주는 정당한 사용료를 노래 반주기 사업자에게 제공하고 음원파일을 노래 반주기에서 재생할 수 있다. 반면에, 매달 갱신되는 신곡 음원파일들은 사용료 지불시 실시간 업데이트가 어렵거나 불가능하여 매달 지정된 시각이나 시간에 노래 반주기로 배포된다. 이에 따라, 각각의 노래 반주기들은 노래방 사업주의 정당한 사용료 지불과는 상관없이 최신의 음원파일들을 저장한다.
최신 음원파일이 저장됨에도 정당한 사용료를 지불한 노래 반주기에서만 해당 음원파일이 재생될 수 있도록, 노래 반주기는 곡인증정보를 저장한다. 노래 반주기는 곡인증정보에 따라 인증된 곡에 대해서만 재생이 가능하고 인증되지 못한 곡은 재생과 나아가 검색이 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곡인증정보의 중요성으로 인해, 곡인증정보는 암호화되어 노래 반주기 내에 저장되고 해킹 방지가 필요하다.
스마트폰 기술의 발전에 따라 스마트폰을 이용한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많이 시도되고 있으나, 현재의 곡인증정보나 갱신될 곡인증정보가 스마트폰에 노출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노래 반주기의 리소스 한계로 인해 고정된 암호화 복호화 기법을 사용하는 환경하에서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의 보호가 필요하다.
등록특허 10-1677886, 2016년11월1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형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과 노래 반주기 사이의 NF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곡인증정보를 갱신하면서도 휴대형 단말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한 곡인증정보의 해킹을 방비할 수 있는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 장치와 노래 반주기 사이의 고정된 암호화/복호화 기법을 이용하는 환경하에서 곡인증정보의 송수신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해킹을 간단한 구성을 통해 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신곡 인증 방법은 휴대형 단말이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인식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에 저장된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갱신 요청에 따라, 휴대형 단말이 관리 장치로부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휴대형 단말이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노래 반주기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로 갱신되어 갱신된 곡인증정보에 따라 곡을 연주 가능하다.
상기한 신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가 연결 가능한 복수의 노래 반주기 중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로부터 현재 곡인증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곡인증정보를 특정 가능한 식별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이다.
상기한 신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갱신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가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법에 따라 암호화하는 단계 및 관리 장치가 랜덤 넘버를 생성하고 AES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는 단계 및 재차 암호화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비트 연산에 이용된 랜덤 넘버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신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노래 반주기가 곡인증정보를 수신된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복호화하는 단계, 노래 반주기가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AES 기법에 따라 재차 복호화하는 단계 및 노래 반주기가 AES 기법에 따라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신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노래 반주기의 현재 곡인증 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의 입력을 수신하고 인증토큰 개수에 따라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를 결정하며, 신곡 인증 방법은, 관리 장치가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따른 인증 결과를 노래 반주기로부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인증 결과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완료된 경우, 관리 장치가 휴대형 단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토큰의 개수를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로 차감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곡 인증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 및 복수의 노래 반주기를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은,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인식하고,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전송하고,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에 저장된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고,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갱신 요청에 따라 관리 장치로부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며, 노래 반주기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로 갱신되어 갱신된 곡인증정보에 따라 곡을 연주 가능하다.
상기한 신곡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노래 반주기 및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과 통신 가능한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액세스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는 통신 가능한 복수의 노래 반주기 중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로부터 현재 곡인증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곡인증정보를 특정 가능한 식별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무선 인터페이스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이다.
상기한 신곡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갱신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는,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법에 따라 암호화하고, AES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랜덤 넘버를 이용한 XOR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고, 재차 암호화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XOR 연산에 이용된 랜덤 넘버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노래 반주기로 전송한다.
상기한 신곡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노래 반주기는, 곡인증정보를 수신된 랜덤 넘버를 이용한 XOR 연산으로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AES 기법에 따라 재차 복호화하고, AES 기법에 따라 재차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관리 장치로 전송한다.
상기한 신곡 인증 시스템에 있어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노래 반주기 및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과 통신 가능한 관리 장치를 더 포함하고, 휴대형 단말은,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의 현재 곡인증 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의 입력을 수신하고 인증토큰 개수에 따라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를 결정하고, 관리 장치는,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따른 인증 결과를 노래 반주기로부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완료된 경우 휴대형 단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토큰의 개수를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로 차감하여 저장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을 이용하여 간편하게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과 노래 반주기 사이의 NFC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곡인증정보를 갱신하면서도 휴대형 단말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한 곡인증정보의 해킹을 방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은 관리 장치와 노래 반주기 사이의 고정된 암호화/복호화 기법을 이용하는 환경하에서 곡인증정보의 송수신에 따라 발생 가능한 해킹을 간단한 구성을 통해 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신곡 인증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관리 장치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휴대형 단말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노래 반주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신곡 인증을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신곡 인증 시스템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신곡 인증 시스템은 관리 장치(100), 복수의 노래 반주기(200) 및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300)을 포함한다. 관리 장치(100), 노래 반주기(200) 및 휴대형 단말(300)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신곡 인증에 관련된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도 1을 통해 신곡 인증 시스템을 살펴보면, 관리 장치(100)는 적어도 복수의 노래 반주기(200)에 저장되는 곡인증정보를 관리하는 장치이다. 관리 장치(10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형 단말(300)과 복수의 노래 반주기(200)에 연결되어 휴대형 단말(300) 및 노래 반주기(200)와 통신 가능하고 데이터 통신을 통해 노래 반주기(200)에 저장되는 곡인증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노래 반주기(200)는 사용자에 의해 선곡된 곡을 재생하고 마이크를 통한 음성 신호를 재생되는 곡의 음향(음악) 신호에 합성하여 출력할 수 있는 기기이다. 노래 반주기(200)는 내부에 곡인증정보를 저장하고 곡인증정보를 통해 재생이 허여된(허가된) 곡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노래 반주기(200)는 곡인증정보를 휴대형 단말(300)과 연동하여 갱신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추가적으로 허여되는 곡들을 더 재생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노래방에 설치되는 노래 반주기(200)를 관리하는 관리자가 휴대하는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300)은 예를 들어, 노래방 업주나 노래방을 관리하는 딜러 등이 휴대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또는 노트북 등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노래 반주기(200)와 근거리의(근접 식의) 무선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직접 갱신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관리 장치(100),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300) 및 복수의 노래 반주기(200) 사이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네트워크이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대역 네트워크는 예를 들어 인터넷망 및/또는 이동통신망일 수 있다.
도 2는 관리 장치(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관리 장치(100)는 통신 유닛(101), 저장 유닛(103), 연결 유닛(105) 및 제어 유닛(107)을 포함한다. 도 2의 관리 장치(100)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관리 장치(100)는 각 기능 블록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휴대형 단말(300)( 나아가 노래 반주기(200)) 등으로부터의 각종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관리) 서버로 동작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통신 유닛(101)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101)은 유선랜(이더넷)이나 무선랜(와이파이)에 연결되기 위한 하드웨어 로직이나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유선랜이나 무선랜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103)은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103)은 노래반주기 DB와 사용자 DB를 저장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 DB는 복수의 노래반주기 아이템을 포함하고 노래반주기 아이템은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식별자는 관리 장치(100)에서 관리 가능한 여러 노래 반주기(200) 중 특정 노래 반주기(200)를 식별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맥 주소, IP 주소 및/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래반주기 아이템은 그 외 해당 노래 반주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곡인증정보 및/또는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곡인증정보의 최종 버전 정보일 수 있다. 최종 버전 정보는 해당 노래 반주기(200)에서 재생 가능한 최종 년도와 최종 월로 표현되거나 최종 년도와 최종 월을 특정할 수 있다. 설계 예에 따라, 곡인증정보 및/또는 식별정보는 노래반주기 아이템에 저장되지 않을 수 있다.
사용자 DB는 곡인증정보를 관리하거나 갱신 가능한 사용자를 관리하는 DB이다. 사용자 DB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이템을 포함하고 각각의 사용자 아이템은 사용자 ID와 인증데이터(예를 들어, 패스워드)를 포함하고 해당 사용자에 의해 관리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하나 이상 포함한다. 사용자 아이템에 포함되는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는 해당 사용자가 곡인증정보를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를 특정할 수 있고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식별자와 동일한 데이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특정 사용자는 특정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200)들의 곡인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사용자 아이템은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의 갱신시에 사용 가능한 인증토콘 개수를 저장한다. 인증토콘은 사용자에 의해 구매 가능하고 하나의 인증토콘은 예를 들어 하나의 노래 반주기(200)에서 하나의 달(월)에 발행된 곡들의 재생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한다. 예를 들어, 특정 노래 반주기(200)에 5개월치의 곡들(최신곡들)을 더 재생 허용하는 경우 5개의 인증토콘이 사용된다.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는 관리 장치(100)와 연동하여 인증토콘을 구매할 수 있다.
저장 유닛(103)은 관리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과 곡인증정보의 암호화에 이용되는 암호화키를 더 저장할 수 있다.
연결 유닛(105)은 제어 유닛(107), 통신 유닛(101) 및 저장 유닛(103) 사이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105)은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이더넷, 무선랜 등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다른 유닛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은 관리 장치(1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107)은 저장 유닛(103)에 저장되어 있는 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한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다른 유닛을 제어하여 관리 장치(100)를 제어하고 나아가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암호화 과정을 통해 업데이트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은 휴대형 단말(300) 및/또는 노래 반주기(200)로부터의 각종 요청을 통신 유닛(101)을 통해 수신하고 해당 요청에 대항 응답을 통신 유닛(101)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은 프로세서(processor), CPU, 마이컴, 중앙처리장치, MPU 등을 나타내거나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107)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 흐름은 도 5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휴대형 단말(3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휴대형 단말(300)은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갱신 가능한 단말로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 입력 인터페이스(303), 출력 인터페이스(305), 메모리(309), 무선 인터페이스(307) 및 프로세서(311)를 포함한다.
도 3을 통해, 휴대형 단말(300)을 간단히 살펴보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패킷을 전송하거나 수신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는 이동통신망이나 무선랜에 연결되기 위한 통신 칩셋과 안테나를 구비하여 무선통신 패킷을 수신하고 송신할 수 있다.
입력 인터페이스(303)는 터치 패드, 터치 패널, 버튼 및/또는 마이크 등을 포함하여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 신호는 프로세서(311)로 출력될 수 있다.
출력 인터페이스(305)는 스피커, 이어폰 잭, LCD나 LED 등의 디스플레이 및/또는 LED 다이오드 등을 포함하여 프로세서(311)로부터 수신되는 오디오나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출력 인터페이스(305)는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필요한 각종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등으로 출력하고 갱신과 관련되는 오디오 신호를 스피커나 이어폰 잭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메모리(309)는 비휘발성 메모리와 나아가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309)는 다수의 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그 중 하나의 앱 프로그램은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업데이트(갱신)하기 위한 프로그램일 수 있다.
곡인증정보의 업데이트 앱 프로그램은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구동될 수 있고 앱 프로그램의 코드가 프로세서(311)에서 수행되어 프로그램 코드에 의한 제어에 따라 특정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가 갱신 가능하다.
무선 인터페이스(307)는 노래 반주기(200)와 근접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무선 인터페이스(307)는 바람직하게는 수 Cm ~ 수십 Cm 이내의 거리에서 13.56MHz 주파수 대역의 비접촉식 통신 기술인 NFC(Near Field Communication) 통신 기술을 이용하는 인터페이스이다.
NFC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노래 반주기(200)로부터 각종 데이터를 수신하고 노래 반주기(200)로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전송하여 노래 반주기(200)에 곡인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휴대형 단말(300)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11)는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 가능한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메모리(309)의 프로그램을 수행하여 휴대형 단말(30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는 CPU, 중앙처리장치, 앱 프로세서를 나타내거나 이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1)는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한 사용자 선택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업데이트 앱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휴대형 단말(300) 사용자의 노래 반주기(200)로의 근접 액션에 따라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수신하고 이를 네트워크 인터페이스(301)를 통해 관리 장치(100)로 전송하고 해당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사용자에 의한 입력과 액션에 따라 갱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311)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 흐름은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도록 한다.
도 4는 노래 반주기(2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르면, 노래 반주기(200)는 근접 통신부(201), 광대역 통신부(207), 입력부(203), 저장부(205), 비디오 출력부(209), 오디오 출력부(211) 및 제어부(213)를 포함한다. 도 4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각각의 블록은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는 도 4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통해, 노래 반주기(200)를 살펴보면, 근접 통신부(201)는 근접 통신을 수행한다. 근접 통신부(201)는 비접촉식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어, NFC 무선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근접 통신부(201)는 NFC 근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통신칩셋, NFC 구동 회로 및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근접 통신부(201)는 내부에 비휘발성 메모리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저장할 수 있다. 식별자는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맥 주소, IP 주소 및/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식별자는 노래 반주기(200)의 부팅시에 제어부(213)로부터 수신되어 근접 통신부(201)의 내부에 저장되거나 실시간으로 제어부(213)로부터 수신되어 임시 저장될 수 있다.
근접 통신부(201)는 제어부(213)와 시리얼 통신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근접 통신부(201)는 UART, SPI, SDIO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제어부(213)로 전송하거나 제어부(213)로부터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근접 통신부(201)는 노래 반주기(200)의 프런트 패널(Front Panel)에 설치되어 프런트 패널에 근접하는 휴대형 단말(300)과 NFC 통신을 수행하고 NFC 통신에 따른 데이터를 유선케이블을 통한 UART 등의 시리얼 통신을 통해 노래 반주기(200) 본체 내부의 메인보드에 구성되는 제어부(213)로 송신하거나 수신할 수 있다.
광대역 통신부(207)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광대역 통신부(207)는 광대역 네트워크에 연결되기 위한 유선랜 또는 무선랜의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관리 장치(100)로 송신하거나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203)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203)는 프런트 패널의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여 노래 반주기(2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 신호를 제어부(213)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또한) 입력부(203)는 리모콘 수신부(수광부)를 포함하여 외부 리모콘 신호를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리모콘 신호를 제어부(213)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205)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205)는 비휘발성 메모리나 하드디스크 등에 곡인증정보를 저장하는 데, 곡인증정보는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곡들 중 곡 재생이 허가된 곡을 특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곡인증정보는 곡인증정보의 최종 식별 정보와 함께 허가된 곡번호 범위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최종 식별 정보는 최종 곡인증 버전 정보일 수 있다. 곡인증 버전 정보는 일련의 숫자로 표시되거나 년,월의 조합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저장부(205)에 저장되는 곡인증 버전 정보는 노래 반주기(200)에서 재생 가능한 최종 버전을 나타낼 수 있고 재생 가능한 최종년도와 최종월을 특정 가능하다.
곡번호 범위 리스트는 재생 가능한 복수의 곡번호 범위 데이터를 포함한다. 곡번호 범위 데이터는 재생 가능한 시작 곡번호와 재생 가능한 끝 곡번호를 가지고 시작 곡번호와 끝 곡번호 사이의 곡들이 노래 반주기(200)에서 재생 가능하다.
식별 정보 및 곡번호 범위 리스트를 포함하는 곡인증정보는 노래 반주기(200) 및 관리 장치(100)에 의해 약속된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된다. 약속된 데이터 포맷 내에서 노래 반주기(200)의 제어부(213)는 곡인증정보 내의 특정 데이터를 인식하거나 코드 체크를 통해 곡인증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다. 곡인증정보는 암호화되어 저장부(205)에 바람직하게 저장된다.
곡인증정보 전체 내에 곡인증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포맷의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곡번호 범위 리스트의 곡번호 범위 데이터 내에 곡번호 범위 데이터의 유효성을 검증가능한 포맷의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05)는 복호화키를 더 저장한다. 복호화키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키(key)일 수 있다. 곡인증정보 전체가 일체로 암호화되어 복호화키로 복호화되거나 곡인증정보의 일부 각각(예를 들어 곡번호 범위 데이터 각각과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한 데이터)이 암호화되어 복호화키로 복호화될 수 있다.
복호화키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복호화하기 위한 키로서 관리 장치(100)에 의해 미리 노래 반주기(200)로 배포되어 저장될 수 있다. 복호화키는 일정한 주기나 이벤트에 따라 변경될 수 있고 설계 편의와 노래 반주기(200)의 성능의 제약으로 인해 동일한 암호화 기법(예를들어, AES-128, AES-256 등)에 적용되는 키이다. 이러한, 복호화키의 이용 한계로 인해, 곡인증정보의 갱신시에 외부 노출을 방지할 필요가 존재한다.
저장부(205)는 재생 가능한 곡정보들을 저장한다. 곡정보는 곡 식별자, 미디 파일, 가사 파일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곡 식별자는 노래 반주기(200)내에서 해당 곡을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로서 예를 들어, 곡번호이거나 곡번호를 특정 가능한 데이터일 수 있다. 곡정보는 압축 패키지 형태로 저장될 수 있다. 저장부(205)는 그 외 배경 영상으로 이용되는 동영상 파일들을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205)는 입력부(203)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곡을 재생하고 노래 반주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프로그램을 더 포함한다. 제어 프로그램은 제어부(213)에 로딩되어 제어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다른 블록을 제어하여 노래 반주기(200)에서 곡인증정보를 갱신하고 선곡된 곡의 인증에 따라 재생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은 단일의 프로그램이거나 복수의 프로그램( 모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프로그램은 부팅 프로그램 모듈, 곡재생 프로그램 모듈, 인증정보 갱신 프로그램 모듈 및 프로그램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 프로그램 모듈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비디오 출력부(209)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 출력부(209)는 제어부(213)로부터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이를 아날로그나 디지털의 비디오 신호로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비디오 출력부(209)는 연결되는 TV, 대형 디스플레이 등으로 배경 영상과 가사 자막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오디오 출력부(211)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 출력부(211)는 제어부(213)로부터 출력되는 미디 데이터나 마이크 신호(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디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음악 신호)와 마이크 신호(음성 신호)를 합성하여 합성된 오디오 신호를 앰프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213)는 노래 반주기(200)를 제어한다. 제어부(213)는 저장부(205)의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여 노래 반주기(200)를 제어한다. 제어부(213)는 CPU, MPU, 중앙처리장치, 마이컴 등을 나타내거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213)는 부팅에 따라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저장부(205)의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복호화하고 입력부(203)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복호화된) 곡인증정보의 검색을 통해 선곡된 곡이 허가된 곡인 경우에 선곡된 곡의 곡정보를 이용하여 미디 신호와 가사 이미지를 생성하여 비디오 출력부(209)와 오디오 출력부(211)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213)는 근접 통신부(201)와 연동하여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곡인증정보의 업데이트와 관련하여 도 5를 통해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5는 신곡 인증을 위한 예시적인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의 제어 흐름은 관리 장치(100), 휴대형 단말(300) 및 노래 반주기(200)가 연동하여 수행되고 바람직하게는 관리 장치(100)의 제어 유닛(107), 휴대형 단말(300)의 프로세서(311) 및 노래 반주기(200)의 제어부(213)에 의한 제어로 제어 흐름이 수행된다.
먼저, 노래 반주기(200) 관리자 등이 휴대하는 휴대형 단말(300)은 메모리(309)의 갱신 앱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갱신 앱 프로그램을 통해 관리 장치(100)에 로그인하고 휴대형 단말(300)에 의해 이용 가능한 인증토큰을 관리(① 참조)한다.
예를 들어, 갱신 앱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프로세서(311)는 입력 인터페이스(303) 등을 통해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구성하고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를 포함하는 로그인 요청을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수신된 사용자 ID와 패스워드로 사용자 DB의 사용자 아이템을 특정하고 사용자를 인증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의 프로세서(311))은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특정된 사용자 아이템의 인증토큰 개수를 적어도 수신하여 이를 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증토큰을 더 구매할 수 있다.
특정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갱신하기 위해 갱신 앱 프로그램을 수행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300)은 갱신 대상인 노래 반주기(200)에 근접하고 무선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인식(② 참조)한다.
예를 들어, 갱신 앱 프로그램에 의해 무선 인터페이스(307)를 활성화하고 있는 휴대형 단말(300)은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노래 반주기(200)의 프런트 패널에 근접할 수 있고 NFC 통신을 통해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는 NFC 통신에 따라 실시간으로 저장부(205)로부터 근접 통신부(201)를 통해 휴대형 단말(300)로 출력되거나 노래 반주기(200)의 부팅에 따라 근접 통신부(201)에 저장되어 있는 식별자가 휴대형 단말(300)로 출력될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307)는 NFC 통신 인터페이스일 수 있고,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는 시리얼 번호, 맥 주소, IP 주소 및/또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 식별자의 인식에 따라, 휴대형 단말(300)은 관리 장치(100)로 곡인증정보 액세스를 요청(③ 참조)한다. 관리 장치(100)로 전송되고 갱신 앱 프로그램에 의해 전송되는 액세스 요청은 휴대형 단말(300)의 근접 액션에 따라 인식된 식별자를 적어도 포함한다.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수신한 관리 장치(100)는 곡인증정보의 액세스 요청이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200)를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하고 갱신(관리)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인지를 결정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0)(의 제어 유닛(107))는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 ID 및 패스워드로 특정되는 사용자 아이템의 하나 이상의 노래 반주기(200) 식별자에서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가 검색되는 경우, 관리 장치(100)(의 제어 유닛(107))는 휴대형 단말(300)에 의해 인식된 노래 반주기(200)가 휴대형 단말(300)에 의해 갱신이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로 결정할 수 있다.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인 경우, 관리 장치(100)는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인식된 노래 반주기(200)의 곡인증정보를 특정할 수 있는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휴대형 단말(300)은 이를 수신(⑤ 참조) 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0)는 노래반주기 DB에서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반주기 아이템을 검색하고 검색된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할 수 있다. 식별정보는 노래 반주기(200)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곡인증정보의 최종 버전 정보일 수 있다. 최종 버전 정보는 일련의 숫자와 특수기호 조합으로 구성되거나 재생 가능한 최종년도와 최종월로 표현되어 구성될 수 있다.
식별정보는 노래 반주기(200)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되어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될 수 있다. 액세스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100)는 연결 가능한 복수의 노래 반주기(200) 중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200)를 노래반주기 DB를 통해 특정하고 특정된 노래 반주기(200)로부터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 곡인증정보와 나아가 식별 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④ 참조)하고 이를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⑤ 참조)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⑥ 참조)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300)은 수신된 최종 버전 정보를 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표시하고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한 입력에 따라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최종 버전 정보)를 특정한다. 특정되는 곡인증정보는 휴대형 단말(300)의 인증토큰의 개수에 따라 선택 가능한 곡인증정보이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300)의 사용자가 6개의 토큰을 가지고 있는 경우(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증토큰의 개수가 6개인 경우) 갱신될 최종 버전 정보는 현재의 최종 버전 정보로부터 6개월 이내의 차이를 가지는 버전일 수 있다. 갱신될 최종 버전의 선택 및 한정은 휴대형 단말(300)의 갱신 앱 프로그램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입력 인터페이스(303)를 통해 사용될 인증토큰의 개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된 인증토큰의 개수에 따라 현재의 최종 버전 정보로부터 갱신될 최종 버전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300)은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장치(100)로 전송(⑦ 참조)한다. 갱신 요청의 갱신될 곡인증정보는 갱신될 최정 버전 정보를 포함하거나 나타낼 수 있다.
갱신 요청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100)는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노래 반주기(200)와 약속된 암호화 기법에 따라 암호화(⑧ 참조)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0)는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전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들의 복호화키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AES 암호화 기법에 따라 암호화할 수 있다. 또는, 관리 장치(100)는 이전 곡인증정보와 차이가 나는 곡인증정보(예를 들어, 곡번호 범위 리스트의 곡번호 범위 데이터)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가능한 노래 반주기(200)들의 복호화키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를 이용하여 AES 암호화 기법에 따라 암호화할 수 있다.
기존, 노래 반주기(200)와 관리 장치(100) 사이의 약속된 암호화 기법과 암호화키를 이용한 암호화 외에, 관리 장치(100)는 다른 암호화 기법을 더 이용하여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재차 암호화한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0)는 128비트의 랜덤 넘버를 실시간 생성하고 AES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128비트로 나누고 일련의 128비트 곡인증정보 부분을 128비트의 랜덤 넘버와의 비트 연산(예를 들어, XOR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할 수 있다. 특정 시점(시각)에 생성되는 랜덤 넘버와 다른 시점(시각)에 생성되는 랜덤 넘버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장치(100)는 현재 시각(과 나아가 액세스 요청의 노래 반주기(200)의 식별자)을 시드(Seed)로 이용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할 수 있다.
랜덤 넘버는 128 비트 대신에 암호화된 곡인증정보(업데이트되는 곡인증정보)의 비트 수만큼의 크기를 가질 수도 있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 전체가 랜덤 넘버와 XOR 연산되어 재차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구성할 수도 있다.
관리 장치(100)는 재 암호화를 위한 비트 연산에 이용된 랜덤 넘버를 액세스 요청에 따라 특정된 노래 반주기(200)로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⑨)하고 2차에 걸쳐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⑩ 참조)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2차에 걸쳐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메모리(309)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저장되는 곡인증정보는 노래 반주기(200)와 관리 장치(100) 사이의 암호화 기법을 그대로 이용 가능하면서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변경 가능한 암호화 키로 휴대형 단말(300)에서의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단말(300)은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무선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노래 반주기(200)로 전송(⑪)한다.
휴대형 단말(300)은 노래 반주기(200)에 근접하여 NFC 인터페이스(307)를 통해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노래 반주기(200)로 전송하고 노래 반주기(200)의 근접 통신부(201)는 수신되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시리얼 통신을 통해 제어부(213)로 전송하고 제어부(213)는 이를 저장부(205) 등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휴대형 단말(300)에 의한 동적인 근접 액션으로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노래 반주기(200)로 전달할 수 있고 사용자의 액션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이루어진다.
실시간으로 생성되고 간단한 암호화 연산을 가능케 하는 랜덤 넘버와 그 암호화에 의해, UART 등과 같은 시리얼 통신을 통해 전송되는 곡인증정보의 동적인 외부 노출과 해킹을 방지할 수 있다.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노래 반주기(200)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복호화(⑫ 참조)한다.
구체적으로, 노래 반주기(200)는 관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근접 통신부(201)를 통해 수신되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1차 복호화한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기(200)는 128비트의 랜덤 넘버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의 128 비트 부분과의 XOR 연산으로 1차 복호화할 수 있다. 또는, 노래 반주기(200)는 암호화된 곡인증정보의 크기 만큼의 랜덤 넘버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 전체와 XOR 연산하여 1차 복호화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는 1차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AES 기법에 따라 재차 복호화한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기(200)는 저장부(205)에 저장되어 있고 다른 노래 반주기(200)와 공용의 AES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재차 복호화한다.
2차에 걸친 복호화에 후속하여, 노래 반주기(200)는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인증(⑬ 참조)한다. 예를 들어, 노래 반주기(200)는 복호화된 곡인증정보에서 약속된 포맷에 따라 유효성을 검증할 수 있는 데이터를 검색하고 유효성 데이터가 검색되는 경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유효한 정보로 인증할 수 있다. 유효성 데이터는 곡인증정보의 전체 포맷 내에 포함되거나 갱신될 곡번호 범위 데이터 내에 포함될 수 있다.
노래 반주기(200)는 유효성 데이터의 검색에 따른 인증 결과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 장치(100)로 전송(⑭ 참조)하고 인증 결과에 따라 인증 결과가 유효한 경우 저장부(205)의 곡인증정보를 갱신할 수 있다. 곡인증정보의 갱신은 설계 예에 따라 저장부(205)의 기존 곡인증정보를 대체하거나 기존 곡인증정보에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추가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인증 결과가 유효하지 않은 경우(갱신될 곡인증정보에서 유효성 데이터가 검색 또는 인식되지 않는 경우), 노래 반주기(200)는 곡인증정보를 갱신하지 않을 수 있다.
유효한 곡인증정보를 가진 것으로 결정한 경우, 노래 반주기(200)는 1차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로서 관리 장치(100)와 약속된 암호화 기법(AES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저장부(205)에 저장할 수 있다. 이후 노래 반주기(200)는 저장부(205)에 저장되고 갱신된 곡인증정보에 따라 재생 가능하도록 허여된 곡을 연주할 수 있다.
관리 장치(100)는 노래 반주기(200)로부터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따른 인증 결과를 수신(⑭ 참조)한다. 갱신될 곡인증정보는 갱신될 최종 버전 정보에 대응하고 이를 나타낼 수 있다.
인증 결과의 수신에 따라, 관리 장치(100)는 인증 결과에 따른 인증토큰을 업데이트(⑮ 참조)한다. 예를 들어, 인증 결과가 유효성 데이터의 검출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 완료를 나타내는 경우에, 관리 장치(100)는 휴대형 단말(300) 사용자에 맵핑된 사용자 아이템의 인증토큰의 개수를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사용된 인증토큰의 개수로 차감하여 차감된 인증토큰의 개수를 사용자 아이템에 저장한다. 또한, 관리 장치(100)는 차감된 인증토큰의 개수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휴대형 단말(300)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확인 가능토록 한다.
인증 결과가 유효성 데이터의 미검출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 미완료(불가)를 나타내는 경우, 관리 장치(100)는 갱신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휴대형 단말(300)로 전송하고 휴대형 단말(300)은 이를 출력 인터페이스(305)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흐름을 통해, 기존 암호화 기법을 활용하면서도 휴대형 단말(300)과 시리얼 통신을 통해 곡인증정보의 노출과 해킹을 방지하고 휴대형 단말(300)의 근접 액션과 연동하여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가능토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관리 장치
101 : 통신 유닛 103 : 저장 유닛
105 : 연결 유닛 107 : 제어 유닛
200 : 노래 반주기
201 : 근접 통신부 203 : 입력부
205 : 저장부 207 : 광대역 통신부
209 : 비디오 출력부 211 : 오디오 출력부
213 : 제어부
300 : 휴대형 단말
301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303 : 입력 인터페이스
305 : 출력 인터페이스 307 : 무선 인터페이스
309 : 메모리 311 : 프로세서

Claims (10)

  1. 휴대형 단말이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상기 노래 반주기의 프런트 패널에 설치되는 근접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상기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노래 반주기의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관리 장치가 액세스 요청이 이루어진 노래 반주기를 수신된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하고 특정된 노래 반주기가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가능한 노래 반주기인지를 결정하는 단계로서, 상기 휴대형 단말의 사용자 ID로 특정되는 사용자 아이템의 복수의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가 검색되는 경우 상기 휴대형 단말에 의해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로 결정하는,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가능한 노래 반주기인지를 결정하는 단계;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인 경우, 상기 관리 장치가 연결 가능한 복수의 노래 반주기 중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로부터 현재 곡인증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곡인증정보를 특정 가능한 식별정보를 액세스 요청한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식별정보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갱신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 기법에 따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노래 반주기들로 미리 배포된 복호화키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로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관리 장치가 현재 시각과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시드(Seed)로 이용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하고 상기 AES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상기 곡인증정보를 상기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는 단계;
    상기 재차 암호화에 따라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비트 연산에 이용된 상기 랜덤 넘버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상기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로 갱신되어 갱신된 곡인증정보에 따라 곡을 연주 가능한,
    신곡 인증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는 단계는 상기 현재 시각과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시드(Seed)로 이용하여 128 비트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고 암호화된 상기 곡인증정보를 128 비트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일련의 곡인증정보 부분을 상기 128 비트의 랜덤 넘버와의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며,
    상기 신곡 인증 방법은,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함에 따라, 상기 노래 반주기가 NFC 근접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근접 통신부로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곡인증정보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128 비트의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복호화하는 단계;
    상기 노래 반주기가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AES 기법에 따라 노래 반주기들로 미리 배포되어 저장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차 복호화하는 단계; 및
    상기 노래 반주기가 상기 AES 기법에 따라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곡 인증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노래 반주기의 현재 곡인증 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토큰 개수에 따라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를 결정하며,
    상기 신곡 인증 방법은,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완료된 경우, 상기 관리 장치가 상기 휴대형 단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토큰의 개수를 상기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로 차감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신곡 인증 방법.
  6.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 복수의 노래 반주기; 및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복수의 노래 반주기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휴대형 단말과 통신 가능한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신곡 인증 시스템으로서,
    상기 휴대형 단말은, NFC 통신으로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상기 노래 반주기의 프런트 패널에 설치되는 근접 통신부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NFC 통신을 통해 수신된 상기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곡인증정보 액세스 요청을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상기 노래 반주기에 저장된 곡인증정보의 식별정보를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는 갱신 요청을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갱신 요청에 따라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나타내고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상기 NFC 통신을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며,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휴대형 단말로부터 수신된 상기 액세스 요청의 노래 반주기를 수신된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하고 상기 휴대형 단말의 사용자 ID로 특정되는 사용자 아이템의 복수의 노래 반주기의 식별자에서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검색하고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가 검색되는 경우 특정된 노래 반주기가 상기 휴대형 단말에 의해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로 결정하고, 갱신 가능한 노래 반주기인 경우, 연결 가능한 복수의 노래 반주기 중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로부터 현재 곡인증정보를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수신된 곡인증정보를 특정 가능한 상기 식별정보를 액세스 요청한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며, 상기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기 갱신 요청의 수신에 따라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노래 반주기들과 약속된 암호화 기법에 따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노래 반주기들로 미리 배포된 복호화키에 대응하는 암호화키로 암호화하고 현재 시각과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시드(Seed)로 이용하여 랜덤 넘버를 생성하고 상기 암호화 기법에 따라 암호화된 상기 곡인증정보를 상기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여 재차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상기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비트 연산에 이용된 상기 랜덤 넘버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노래 반주기로 전송하며,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로 갱신되어 갱신된 곡인증정보에 따라 곡을 연주 가능한,
    신곡 인증 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현재 시각과 상기 액세스 요청의 식별자를 시드(Seed)로 이용하여 128 비트의 랜덤 넘버를 생성하고 암호화된 상기 곡인증정보를 128 비트 단위로 분할하고 분할된 일련의 곡인증정보 부분을 상기 128 비트의 랜덤 넘버와의 비트 연산으로 재차 암호화하고,
    상기 암호화된 곡인증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수신함에 따라, 상기 노래 반주기는, 상기 NFC 통신을 수행하는 상기 근접 통신부로부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수신되는 상기 곡인증정보를 상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128 비트의 랜덤 넘버를 이용한 비트 연산으로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상기 암호화 기법에 따라 노래 반주기들로 미리 배포되어 저장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재차 복호화하고, 상기 암호화 기법에 따라 재차 복호화된 곡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인증 결과를 상기 관리 장치로 전송하는,
    신곡 인증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형 단말은,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관리 장치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식별자에 대응하는 노래 반주기의 현재 곡인증 버전 정보를 출력하고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의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토큰 개수에 따라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관리 장치는, 상기 갱신될 곡인증 버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갱신될 곡인증정보의 갱신에 따른 인증 결과를 상기 노래 반주기로부터 광대역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하고, 상기 인증 결과에 따라 곡인증정보의 갱신이 완료된 경우 상기 휴대형 단말에 맵핑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토큰의 개수를 상기 사용될 인증토큰 개수로 차감하여 저장하는,
    신곡 인증 시스템.
KR1020200016758A 2020-02-12 2020-02-12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KR102293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58A KR102293446B1 (ko) 2020-02-12 2020-02-12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6758A KR102293446B1 (ko) 2020-02-12 2020-02-12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94A KR20210102594A (ko) 2021-08-20
KR102293446B1 true KR102293446B1 (ko) 2021-08-25

Family

ID=77466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6758A KR102293446B1 (ko) 2020-02-12 2020-02-12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44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86B1 (ko) * 2015-07-15 2016-11-2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서버기반의 실시간 노래반주기의 신곡인증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6157B1 (ko) * 2012-07-02 2014-10-01 주식회사 금영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7886B1 (ko) * 2015-07-15 2016-11-2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서버기반의 실시간 노래반주기의 신곡인증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2594A (ko) 2021-08-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2583B1 (ja) 情報交換用の方法及び装置
US10097347B2 (en) Content providing system, content reproducing device, content reproduc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CN102427442B (zh) 组合请求相关元数据和元数据内容
US20180349570A1 (en) Content usage monitor
US20100070769A1 (en) Log acquisition system, log collection terminal, log acquisition terminal, and log acquisition method and program using the same system and terminals
US20060235956A1 (en) Information process distribution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 distribution method
KR101478337B1 (ko) 호스트 장치의 drm 유형을 기초로한 암호화 키를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20080003714A (ko) 저작권보호 기억매체, 정보기록장치 및 정보기록방법과정보재생장치 및 정보재생방법
KR20040080922A (ko) 컨텐츠 전달 시스템
JP2006031175A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CN103621128A (zh) 基于上下文的安全计算
JP5781678B1 (ja) 電子データ利用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電子データ利用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
JP2011077650A (ja) コンテンツのダウンロード管理サーバ、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機
JP2002033724A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
KR102293446B1 (ko)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KR101446157B1 (ko)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US8327148B2 (en) Mobile system, service system, and key authentication method to manage key in local wireless communication
CN111010283A (zh) 用于生成信息的方法和装置
KR102397643B1 (ko)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JP4385293B2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2368730A (ja) コンテンツ配信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受信端末及び暗号鍵通信装置及びコンテンツ通信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通信方法及び暗号鍵通信方法及び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JP2002149061A (ja) レンタルコンテンツ流通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20130042672A (ko) 스마트 노래방 반주 시스템
KR101352915B1 (ko) 인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0732980B1 (ko) 암호화된 컨텐츠에 대한 drm 변환 시스템의 동작 방법및 상기 방법을 채용한 drm 변환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