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7643B1 -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7643B1
KR102397643B1 KR1020200188855A KR20200188855A KR102397643B1 KR 102397643 B1 KR102397643 B1 KR 102397643B1 KR 1020200188855 A KR1020200188855 A KR 1020200188855A KR 20200188855 A KR20200188855 A KR 20200188855A KR 102397643 B1 KR102397643 B1 KR 1023976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song
information
seed
kara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8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더블유
Priority to KR10202001888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76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76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76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094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 G11B20/00115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record carriers wherein the record carrier stores a unique medium identif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재 시각 및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하는 단계, 인증 씨드, 반주기 식별정보 및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인증대상 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인증코드 정보의 인증코드로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SONG AUTHENTICATION METHOD USING HANDHELD TERMINAL AND KARAOKE EQUIPMENT SYSTEM COMPRISING THE SONG AUTHENTICATION METHOD}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휴대형 단말을 매개로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곡을 인증관리 서버와 연동하여 동적으로 인증하고 곡 인증 관련 정보의 노출과 해킹을 방지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노래방에 설치되는 노래반주기는 대량의 음원 파일들을 저장할 수 있는 하드디스크나 SSD 등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고 해당 저장 장치에 미디 파일과 같은 음원 파일들을 주기적으로 갱신한다. 노래반주기는 저장 장치에 수만 곡 이상의 미디 파일을 저장하고 월별로 최신곡의 음원 파일들을 곡다운로드 서버와 연동하여 온라인이나 오프라인을 통해 저장하여(다운로드하여) 음원 파일들을 갱신한다.
월별로 추가되는 음원 파일들은 인터넷을 통해 곡다운로드 서버로부터 수신되거나 오프라인의 관리자(딜러 등)가 휴대하는 USB 저장장치로부터 수신되어 노래반주기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월별 추가 음원 파일들은 대용량의 파일 크기를 가져 노래반주기에 미리 저장되고 인증 절차를 통해 각각의 음원 파일들의 사용이 인증되고 이후 정당한 곡 재생이 가능하다.
노래방 사업자는 곡의 저작권자에게 사용료를 지불하고 월별 신곡 음원 파일들을 구성하고 신곡의 월별 음원 파일들을 온라인에 연결된 모든 노래반주기로 지정된 스케쥴에 따라 배포한다. 또한, 딜러는 노래방을 방문하여 오프라인의 노래반주기에 USB 저장장치로 연결하여 신곡 음원 파일들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로 배포된 신곡 음원 파일들의 곡 재생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노래방 업주는 정당한 사용료를 지불하여야 한다. 정당한 사용료 지불에 따른 인증절차를 통해 월별 음원 파일들은 해당 노래반주기에서 재생될 수 있다.
신곡 인증절차는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대표적인 방식으로 하드웨어 방식의 인증절차가 알려져 있다. 소위 데이터롬이라는 모듈을 노래반주기에 교체하거나 업데이트함으로써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특정 음원 파일들을 인증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데이터롬 변경 방식의 인증절차는 다양한 불편함을 야기하고 해킹의 소지가 여전히 존재한다.
대안으로, 휴대형 단말을 매개로 하는 인증절차로서, 특허문헌 1과 같이 QR코드를 이용하여 음원 파일들을 인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에서 노래반주기가 QR코드를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스마트폰이 이 QR코드를 읽어들인다.
스마트폰은 읽어들인 QR코드를 전송하고 인증 관리 서버가 QR 코드의 검증에 따라 인증 코드를 생성하여 스마트폰으로 전송하고 스마트폰의 사용자는 IR 리모컨으로 인증코드를 노래반주기에 입력하여 노래반주기는 인증코드의 검증에 따라 노래반주기의 음원 파일들을 인증할 수 있다.
특허문헌 1과 같은 휴대형 단말을 매개로 하는 인증절차는 다양한 불편한 점과 다양한 해킹에 노출된다. 예를 들어, 휴대형 단말의 사용자는 인증코드를 확인하고 이를 IR 리모컨에 입력하여 노래반주기에 직접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또한, 특허문헌 1과 같은 기존 인증절차는 노래반주기와 서버 사이에 동적인 연결과 노래반주기와 서버 사이의 검증이 불가능하여 휴대형 단말의 사용자 등은 휴대형 단말에 저장되어 있고 이전에 사용된 인증코드를 해킹하거나 재사용하여 여러 노래반주기의 음원 파일들을 정당한 사용료 지불없이 인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래반주기의 음원 파일을 인증함에 있어 기존 알려진 문제점을 해소하거나 개선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이 필요하다.
공개특허 10-2013-0082779, 2013년07월22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와의 비접촉 인터페이스로 곡 인증을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각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노래반주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 및 인증하고 그에 따른 간단한 구성으로 해킹을 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형 단말을 통한 QR코드 인식과 NFC 인터페이스로 온,오프라인 노래반주기의 곡 인증정보를 OTP 방식으로 자동 갱신하고 노래반주기의 곡 인증정보의 동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곡 인증 방법은 노래반주기가 현재 시각 및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하는 단계, 노래반주기가 인증 씨드, 반주기 식별정보 및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노래반주기가 인증대상 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노래반주기가 인증코드 정보의 인증코드로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한 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QR코드를 표시하고 동시에 인증대상 정보를 NFC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출력하고,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NFC통신을 통해 휴대형 단말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한 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이후에, 생성된 인증 씨드를 이용하여 노래반주기가 상기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하는 단계는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한다.
상기한 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노래반주기가 상기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는 단계는 지정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인증코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추출되는 인증 씨드를 생성된 인증 씨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노래반주기에 생성되어 저장되어 있는 인증 씨드를 복호화키로 이용하여 인증코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유효 데이터를 인식 가능한 경우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휴대형 단말이 인증대상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나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휴대형 단말이 추출된 인증대상 정보와 인증토큰 수량을 포함하는 곡인증 요청을 인증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인증관리 서버가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곡인증 요청이 유효한 경우 인증관리 서버가 생성되는 인증코드 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한 곡 인증 방법에 있어서,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반주기 식별정보와 인증관리 서버의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는 단계, 검증용 인증 씨드와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를 비교하는 단계 및 검증용 인증 씨드와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곡인증 요청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 시스템은 노래반주기를 포함하고, 노래반주기는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출력부, NFC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NFC 인터페이스부, 반주기 식별정보, 복수의 곡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곡 각각의 재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곡인증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곡인증 리스트에 따라 재생이 허용된 곡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 허용 인증을 위해, 현재 시각 및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 및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인증 씨드 및 반주기 식별정보와 하나 이상의 곡을 특정 가능한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비디오신호 출력부 및 NFC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고 이후 NFC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코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을 허용한다.
상기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제어부는 NFC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인증코드 정보의 수신에 따라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하고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을 허용한다.
상기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 검증을 위해, 제어부는 저장부에 저장되어 있는 지정된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추출되는 인증 씨드를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와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하거나 저장부에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를 복호화키로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를 복호화하고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유효 데이터를 인식 가능한 경우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상기한 노래반주 시스템에 있어서, 휴대형 단말로부터 곡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인증코드 정보를 휴대형 단말로 전송하는 인증관리 서버를 더 포함하고,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 판단을 위해, 인증관리 서버는 반주기 식별정보와 인증관리 서버의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검증용 인증 씨드와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를 비교하고 검증용 인증 씨드와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곡인증 요청으로 판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노래반주기와의 비접촉 인터페이스로 곡 인증을 간편하게 자동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은 시각에 따라 동적으로 변경되는 노래반주기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인증코드를 생성 및 인증하고 그에 따른 간단한 구성으로 해킹을 동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을 통한 QR코드 인식과 NFC 인터페이스로 온,오프라인 노래반주기의 곡 인증정보를 OTP 방식으로 자동 갱신하고 노래반주기의 곡 인증정보의 동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노래반주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인증관리 서버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노래반주기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휴대형 단말을 이용하여 노래반주기에 저장된 곡을 신규로 인증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노래반주 시스템의 예시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의 노래반주 시스템은 휴대형 단말(200)을 이용하여 노래반주기(100)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 허용을 위한 곡 인증 방법을 구현하는 노래반주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1에 따르면, 노래반주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노래반주기(100), 휴대형 단말(200)과 인증관리 서버(300)를 적어도 포함하고 노래반주기(100)는 디스플레이(400)에 연결되어 각종 이미지를 출력한다.
도 1을 통해 노래반주 시스템을 살펴보면, 노래반주기(100)는 곡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의 선곡에 따라 선곡된 곡을 재생하여 오디오신호로 출력하고 선곡된 곡의 가사와 배경 영상을 비디오신호로 출력한다.
노래반주기(100)는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곡인증 리스트를 저장하고 곡인증 리스트에 따라 선곡된 곡의 재생 여부를 결정한다. 곡인증 리스트의 구현은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적어도 노래반주기(100)는 곡인증 리스트를 통해 특정 곡, 특정 곡 패키지(예를 들어, 월별 신곡 패키지)의 재생을 허용하거나 거부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는 허용된 곡에 대한 검색과 재생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거나 불허된 곡의 검색은 허용하되 재생만 불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는 휴대형 단말(200)과 연동하여 재생이 불허된 하나 이상의 특정 곡이나 특정 패키지의 이후 재생을 허용할 수 있다. 재생 허용 과정에서 노래반주기(100)는 인증관리 서버(300)를 통해 인증된 특정 곡이나 특정 곡 패키지를 곡인증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에 대해서는 도 3 이하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휴대형 단말(200)은 노래반주기(100)에 저장된 곡의 신규 인증 과정에서 이용되는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200)은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등이거나 본 발명에 따른 전용 단말일 수 있다. 휴대형 단말(200)은 인증관리자(예를 들어, 딜러)에 의해 이용 가능한 단말이다.
휴대형 단말(200)은 적어도 입력 인터페이스, 통신 인터페이스, 카메라 센서, NFC 인터페이스, 비휘발성 저장매체, 프로세서 및 출력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비휘발성 메모리 등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저장매체는 곡인증 프로그램(앱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곡인증 프로그램의 프로세서에서의 구동에 따라 인증관리 서버(300)에 접속하고 인증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노래반주기(100)의 하나 이상의 곡을 신규 인증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00)의 곡인증 프로그램은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여 캡쳐링된 이미지에서 QR코드를 인식하고 QR코드로부터 노래반주기(100)에서 생성된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또는, 휴대형 단말(200)은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NFC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NFC 무선 신호에서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 가능하다.
곡인증 프로그램은 추출된 인증대상 정보를 이용하여 곡인증을 인증관리 서버(300)로 요청하고 곡인증 요청에 따라 수신되는 인증코드 정보를 노래반주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 관련 휴대형 단말(2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 흐름은 도 4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인증관리 서버(300)는 노래반주기(100)에서 재생 가능한 곡의 인증을 제어하고 관리하는 서버이다. 인증관리 서버(300)는 휴대형 단말(200)과 연동하여 특정 노래반주기(100)에서의 곡을 인증하여 해당 노래반주기(100)에서 해당 곡의 재생을 허용한다.
인증관리 서버(300)는 휴대형 단말(200)로부터 곡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 판단에 따라 인증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휴대형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관리 서버(30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4에서 좀 더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디스플레이(400)는 노래반주기(100)에 연결되어 노래반주기(100)로부터 출력되는 비디오신호를 시각적으로 인식 가능한 이미지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400)는 LCD 모듈이나 LED 모듈을 내장하여 가사, 배경 영상 등을 출력한다. 또한, 디스플레이(400)는 노래반주기(100)로부터 수신되는 비디오신호의 이미지 코드(예를 들어, QR코드)를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되는 QR코드는 인증대상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증관리 서버(300) 및 휴대형 단말(200)은 인터넷에 연결되어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00)은 와이파이나 이동통신망에 따른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넷에 연결되어 인증관리 서버(300)와 각종 데이터 및/또는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00)을 통해 곡 인증이 가능한 노래반주기(100)는 인터넷에 연결되는 온라인 반주기이거나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는 오프라인 반주기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노래반주기(100)는 비록 오프라인 반주기인 경우라도 휴대형 단말(200)을 경유하여 곡 재생 허용(허가)을 위한 곡 인증이 가능하다.
도 2는 인증관리 서버(3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따르면, 인증관리 서버(300)는 통신 유닛(310), 저장 유닛(330), 연결 유닛(350) 및 제어 유닛(370)을 포함한다. 도 2의 인증관리 서버(300)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인증관리 서버(300)는 각 기능 블록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인증관리 서버(300)는 곡 인증 외에 다른 기능을 더 처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인증관리 서버(300)는 주기적으로(매달) 월별 신곡 패키지를 노래반주기(100)로 인터넷을 통해 전송하거나 휴대형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인증관리 서버(300)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면, 통신 유닛(310)은 인터넷을 통해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통신 유닛(310)은 유선랜(이더넷), 무선랜(와이파이), 광랜 등에 연결되기 위한 하드웨어 로직이나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유선랜, 무선랜, 광랜 등에서 이용 가능한 통신 패킷을 송신하고 수신할 수 있다.
저장 유닛(330)은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를 저장한다.
저장 유닛(330)은 노래반주기 DB와 사용자 DB를 저장한다. 노래반주기 DB는 복수의 노래반주기 아이템을 포함하고 노래반주기 아이템은 반주기 식별정보 및 인증 정보를 포함한다. 반주기 식별정보는 여러 노래반주기(100) 중 특정 하나의 노래반주기(100)를 식별하기 위한 정보로서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및/또는 맥주소 등을 포함한다. 노래반주기 아이템은 해당 노래반주기(100)와의 보안 유지를(보안 통신을) 위한 암호화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증 정보는 해당 노래반주기(100)에서 현재 재생이 허용된 곡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인증 정보는 최종 인증 날짜, 최종 인증 버전 및/또는 최종 인증 대상 곡 리스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최종 인증 버전은 예를 들어 노래반주기(100)에 최종적으로 인증된 월별 신곡 패키지의 버전 데이터(예를 들어, 년과 월을 특정하는 데이터 또는 년과 월을 특정할 수 있는 숫자와 문자의 조합 또는 최종 버전)를 나타낼 수 있다. 최종 인증 대상 곡 리스트는 해당 노래반주기(100)에서 재생이 허용된 곡번호 들을 저장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의 인증 정보를 통해, 인증관리 서버(300)는 신규 곡에 대한 인증을 처리하고 노래반주기(100)의 곡 인증 관련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DB는 노래반주기(100)에 접속할 수 있는 휴대형 단말(200)의 사용자를 관리하기 위한 DB이다. 사용자 DB는 하나 이상의 사용자 아이템을 포함하고 사용자 아이템은 ID와 인증수단(패스워드, 공인인증서 타입 등)을 포함하고 곡 인증에 이용 가능한 곡 인증토큰의 개수를 포함한다. 휴대형 단말(200)의 사용자는 곡 인증토큰을 인증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구매할 수 있다.
곡 인증토큰은 하나의 곡 또는 복수의 곡을 구매할 수 있는 데이터이다. 곡 인증토큰 각각은 하나의 곡의 인증에 이용되거나 하나의 월별 곡 패키지의 인증에 이용가능하다. 설계 예에 따라, 곡 인증토큰은 하나의 곡을 인증하거나 하나의 월별 곡 패키지를 인증 가능하다.
저장 유닛(330)은 그 외 제어 유닛(370)에 의해 수행 가능한 인증제어 프로그램을 더 저장한다.
연결 유닛(350)은 제어 유닛(370), 통신 유닛(310), 저장 유닛(330) 사이의 각종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연결 유닛(350)은 병렬 버스, 시리얼 버스, 이더넷, 무선랜 등을 통해 각종 데이터를 다른 유닛으로 송수신할 수 있다.
제어 유닛(370)은 인증관리 서버(300)를 제어한다. 제어 유닛(370)은 저장 유닛(330)에 저장되어 있는 인증제어 프로그램을 수행 가능한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인증제어 프로그램의 수행을 통해 노래반주기(100)에서 이용 가능한 곡의 인증을 휴대형 단말(200)과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제어 유닛(370)은 휴대형 단말(200)로부터의 곡인증 요청을 통신 유닛(310)을 통해 수신하고 해당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유효한 경우 곡인증 요청의 응답으로서 인증코드 정보를 통신 유닛(310)을 통해 휴대형 단말(20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 유닛(370)은 프로세서(processor), CPU, 마이컴, 중앙처리장치, MPU 등을 나타내거나 포함하는 구성요소를 하나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제어 유닛(370)에서 이루어지는 각종 제어 흐름은 도 4를 통해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3은 노래반주기(100)의 예시적인 블록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르면, 노래반주기(100)는 NFC 인터페이스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비디오신호 출력부(150), 오디오신호 출력부(160) 및 제어부(170)를 포함한다. 도 3의 블록도는 바람직하게는 기능 블록도를 나타내고 각각의 블록은 대응하는 하드웨어( 블록)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는 도 3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노래반주기(100)를 살펴보면,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무선신호를 송수신한다.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휴대형 단말(200)과 비접촉식 무선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NFC 근접 통신이 가능하도록 NFC 통신칩셋, NFC 구동 회로 및 안테나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13.56 MHz 대역의 주파수를 사용하여 휴대형 단말(200)로 제어부(170)에 의해 구성된 인증대상 정보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주기적으로 송출하고 휴대형 단말(200)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여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에 생략 가능한 통신부(120)는 인터넷을 통해 통신 패킷을 송수신한다. 통신부(120)는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한 유선랜 또는 무선랜의 통신 칩셋을 구비하여 각종 데이터를 포함하는 통신 패킷을 인증관리 서버(300)로 송신하거나 인증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20)는 월별 곡 패키지를 인증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수신된 월별 곡 패키지를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입력부(13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입력부(130)는 프런트 패널의 복수의 버튼을 포함하여 노래반주기(10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고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또는(또한) 입력부(130)는 리모콘 수신부(수광부)를 포함하여 외부 리모콘 신호를 캡쳐링하고 캡쳐링된 리모콘 신호를 제어부(170)로 출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하드디스크 등의 대용량 저장매체를 포함하여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140)는 반주기 식별정보, 복수의 곡 정보, 복수의 동영상 파일, 하나 이상의 곡 각각의 재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곡인증 리스트, 저장곡 리스트 등과, 곡재생 프로그램, 인증갱신 프로그램 등을 저장한다. 반주기 식별정보는 노래반주기(100)를 특정하기 위한 데이터를 하나 이상 포함하고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및/또는 맥주소(mac address) 등을 포함한다.
곡 정보는 곡의 재생에 이용 가능한 정보를 저장한다. 복수의 곡 정보 각각은 곡번호에 맵핑되어 저장된다. 곡 정보는 미디 파일과 가사 파일을 포함하여 해당 곡의 재생시에 이용되어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미디 파일에 대응하는 오디오신호가 출력되고 가사 파일에 대응하는 비디오신호가 출력된다.
동영상 파일은 곡의 재생시에 가사 이미지의 배경 영상으로 재생되는 파일일 수 있다. 압축 포맷에 따라 압축된 동영상 파일은 디코딩되어 가사 데이터와 함께 비디오신호로 출력된다.
곡인증 리스트는 노래반주기(100)에서 재생 가능한 곡들을 특정할 수 있는 리스트이다. 곡인증 리스트는 재생 가능한 곡번호를 특정하도록 구성되거나 재생 가능한 월별 곡 패키지를 특정(월별 곡 패키지들 각각의 버전 정보)하도록 구성되거나 재생 가능한 최종 월별 곡 패키지를 특정(인증된 최종 월별 패키지의 버전 정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곡인증 리스트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따라 갱신될 수 있다.
저장곡 리스트는 노래반주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곡들을 특정할 수 있는 리스트이다. 저장곡 리스트는 적어도 곡인증이 되지 않은 곡번호들이나 곡인증이 되지 않은 월별 곡 패키지들에 대한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곡 리스트는 인증되지 못한 곡번호의 곡 정보를 특정(포인팅)할 수 있고(거나) 인증되지 못한 월별 곡 패키지의 곡 정보들을 특정(포인팅)할 수 있다.
곡재생 프로그램은 곡 재생이 허용된 곡을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다. 곡재생 프로그램을 통해 노래반주기(100)를 사용하는 일반 사용자는 희망하는 곡을 선곡하고 선곡된 곡을 연주시키고 연주에 따라 노래를 부를 수 있다.
인증갱신 프로그램은 노래반주기(100)에 저장되어 있는 곡의 재생을 허용하도록 설정하는 프로그램이다. 인증갱신 프로그램은 특정 사용자(노래반주기(100)의 관리자, 예를 들어, 딜러)에 의해 제어부(170)에서 수행될 수 있고 인증갱신 프로그램의 수행에 따라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미허용 곡을 재생 가능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그 외 인증관리 서버(300)와 데이터의 기밀성(보안) 보장을 위해 암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한 복호화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는 비디오신호를 출력한다.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는 제어부(170)로부터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수신하고 이를 아날로그나 디지털의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는 연결되는 디스플레이(400) 등으로 배경 동영상, 가사 자막 등을 포함하는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는 재생 허용을 위해 각종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코드(예를 들어, QR코드)의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제어부(170)로부터 수신하고 이를 비디오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오디오신호 출력부(160)는 오디오신호를 출력한다. 오디오신호 출력부(160)는 제어부(170)로부터 미디 데이터나 마이크신호( 데이터)를 수신하고 미디 데이터에 대응하는 미디 신호(음악신호)와 마이크 신호(음성신호)를 합성하여 합성된 오디오신호를 연결된 앰프나 스피커 등으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노래반주기(100)를 제어한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의 곡재생 프로그램 및/또는 인증갱신 프로그램의 명령어 코드를 수행할 수 있는 실행 유닛(Execution Unit)을 하나 이상 포함하여 명령어 코드를 수행하여 노래반주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CPU, MPU, 중앙처리장치, 마이컴 등을 나타내거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곡재생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한 곡 선곡에 따라 선곡된 곡을 재생한다.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의 곡인증 리스트에 따라 재생이 허용된 곡을 재생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곡인증 리스트에 특정된 곡번호만을 선택 가능하도록 제어하거나 선택된 곡번호가 곡인증 리스트에 포함된 경우에만 재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한 특정 비밀코드 입력 또는 NFC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한 특정 비밀코드 입력에 따라 인증갱신 프로그램을 로딩하고 인증갱신 프로그램을 수행할 수 있다. 비밀코드는 예를 들어, 4자리 또는 6자리의 숫자 및/또는 문자로 구성될 수 있다.
인증갱신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거나(저장될) 하나 이상의 특정 곡이나 하나 이상의 특정 월별 곡 패키지의 재생 허용을 위한 인증 과정을 휴대형 단말(200)과 연동하여 수행할 수 있다.
곡 인증을 위해 이루어지는 구체적인 제어 흐름은 도 4에서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휴대형 단말(200)을 이용하여 노래반주기(100)에 저장된 곡을 신규로 인증하는 제어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의 제어 흐름은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70)가 곡인증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수행함으로써 시작하고, 노래반주기(100), 휴대형 단말(200) 및 인증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노래반주기(10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인증대상을 선택(S101)한다.
딜러 등의 사용자는 곡인증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한 입력(예를 들어, 미리 설정된 비밀키나 비밀번호 등)을 노래반주기(100)로 제공하고, 노래반주기(100)의 제어부(170)는 입력부(130)를 통해 수신되는 입력에 따라 곡인증 프로그램을 로딩하여 지정된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 허용 인증을 위한 제어 흐름을 시작한다.
제어부(170)는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로 현재 재생이 허용된 곡인증 리스트 및/또는 아직 곡인증이 되지 않은 저장곡 리스트를 출력하고 입력부(130)를 통해 재생을 허용할 특정 하나 또는 복수의 곡 선택 입력을 수신한다. 제어부(170)는 개별 곡에 대한 하나 이상의 곡 선택 입력을 수신하거나 월별 곡 패키지에 대한 하나 이상의 선택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재생 허용을 위한 인증대상이 선택됨에 따라, 노래반주기(100)는 인증대상 정보를 생성(S103)한다. 제어부(170)는 인증 씨드, 곡인증 정보 및 반주기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내부 구비된 타이머에 따른 현재 시각과 나아가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OTP(One Time Password)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시각(인증관리 서버(300)와 약속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3분 단위, 5분 단위, 10분 단위 등)에 따른 현재 시각)과 맥 주소 및/또는 시리얼 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6자리 등의 숫자로 된 인증 씨드를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생성된 인증 씨드를 저장부(140)에 임시 저장한다.
제어부(170)는 생성된 인증 씨드와 함께 사용자 곡 선택에 따라 인증대상을 특정하기 위한 곡인증 정보를 생성한다. 생성되는 곡인증 정보는 선택된 곡의 개수 및/또는 곡번호나 선택된 월별 곡 패키지의 개수 및/또는 선택된 월별 곡 패키지의 버전 정보와 나아가 이미 인증된 월별 곡 패키지 중 최종 버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맥 주소 및/또는 시리얼 번호를 포함하고 나아가 다른 정보를 더 포함할 수 있는 반주기 식별정보, 곡인증 정보 및 인증 씨드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노래반주기(100)는 인증 씨드, 반주기 식별정보 및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S105)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70)는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이미지코드인 QR코드를 생성하여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로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생성된 QR코드를 포함하는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로 출력하고 비디오신호 출력부(150)는 비디오 프레임 데이터를 변환하여 디스플레이(400)로 QR코드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출력한다. 이와 같이, 제어부(170)는 생성된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QR코드를 디스플레이(400)에 표시한다.
동시에, 제어부(170)는 생성된 인증대상 정보를 NFC 통신을 통해 무선으로 출력한다. 제어부(170)는 NFC 인터페이스부(110)로 인증대상 정보를 출력하고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수신된 인증대상 정보를 NFC통신에 따른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무선으로 출력한다.
이와 같이, 노래반주기(100)는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QR코드를 이미지로 출력할 뿐 아니라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무선신호를 동시에 출력하고 그에 따라 휴대형 단말(200)은 특정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증대상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따른 인증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인증대상 정보는 지정된 기간(예를 들어, 3분, 5분, 10분 등)에 이미지로 출력되고 지정된 기간에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로 송출 가능하다.
휴대형 단말(200)은 무선신호를 수신하거나 이미지를 캡쳐링하고 무선신호나 이미지로부터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S107)한다. 곡인증을 위한 앱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200)은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무선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무선신호에서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하거나 카메라 센서를 제어하여 이미지를 촬영하고 촬영된 이미지에서 QR코드를 인식하고 인식된 QR코드에서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휴대형 단말(200)은 추출된 인증대상 정보를 노래반주기(100)와의 약속된 포맷에 따라 검증할 수 있다.
앱 프로그램을 수행하는 휴대형 단말(200)은 추출된 인증대상 정보에 기초하여 곡인증 요청을 구성하고 구성된 곡인증 요청을 인증관리 서버(300)로 전송(S109)한다.
앱 프로그램을 통해 인증관리 서버(300)에 미리 로그인한 휴대형 단말(200)은 미리 추출된 인증대상 정보의 곡인증 정보의 인증에 이용되는 인증토큰의 수량을 결정하고 결정된 인증토큰(곡 인증토큰)의 수량과 인증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곡인증 요청을 구성하여 인증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휴대형 단말(200)의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미리 인증토큰을 인증관리 서버(300)와 연동하여 구매하고 인증관리 서버(300)는 구매한 인증토큰을 사용자 아이템에 저장하거나 갱신할 수 있다. 인증토큰의 수량은 곡인증 정보의 하나 이상의 곡 또는 하나 이상의 월별 곡 패키지의 개수와 동일할 수 있다. 인증토큰은 하나의 곡을 인증하기 위해 이용되거나 하나의 월별 곡 패키지를 인증하기 위해 이용된다.
곡인증 요청을 수신한 인증관리 서버(300)는 수신된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S111)한다.
먼저, 제어 유닛(370)은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휴대형 단말(200)의 사용자 아이템에 저장된 인증토큰(곡 인증토큰)의 개수 이하인지 판단하고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곡인증 요청의 곡인증 정보의 곡 또는 월별 곡 패키지의 개수와 동일한 지를 판단한다.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저장된 인증토큰의 개수 이하가 아니거나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곡인증 정보의 개수와 동일하지 않은 경우, 제어 유닛(370)은 유효성 판단 실패를 나타내는 응답을 통신 유닛(310)을 통해 휴대형 단말(200)로 전송한다.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저장된 인증토큰의 개수 이하이고 곡인증 요청의 인증토큰의 개수가 곡인증 정보의 개수와 동일한 경우, 제어 유닛(370)은 곡인증 요청의 반주기 식별정보를 이용하여 저장 유닛(330)의 노래반주기 DB에서 노래반주기 아이템을 검색한다. 곡인증 요청의 반주기 식별정보를 가지는 노래반주기 아이템이 검색되지 않으면, 제어 유닛(370)은 유효성 판단 실패를 나타내는 응답을 통신 유닛(310)을 통해 휴대형 단말(200)로 전송한다.
나아가, 제어 유닛(370)은 검색된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인증 정보와 곡인증 요청의 곡인증 정보를 비교하여 추가적인 유효성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 유닛(370)은 곡인증 정보의 최종 버전 정보(이미 인증된 월별 곡 패키지 중 최종 버전 정보)를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인증 정보의 최종 인증 버전과 비교하고 상이한 경우 제어 유닛(370)은 유효성 판단 실패를 나타내는 응답을 통신 유닛(310)을 통해 휴대형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러한 유효성 검증에 따라, 노래반주기(100)에서 임의적인 인증이 발생한 경우 이를 캐치(확인)하고 추가적인 인증 진행을 막을 수 있다.
곡인증 정보의 데이터에 기반한 유효성 판단에 추가하여, 제어 유닛(370)은 곡인증 요청의 반주기 식별정보(노래반주기 아이템의 반주기 식별정보)와 인증관리 서버(300)의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370)은 검색된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노래반주기(100)와 약속된 알고리즘에 따라 현재 시각과 노래반주기(100)의 맥 주소 및/또는 시리얼 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6자리 등의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370)은 OTP 알고리즘에 노래반주기(100)와 약속된 시간 단위(예를 들어, 3분 단위, 5분 단위, 10분 단위 등)에 따른 현재 시각과 반주기 식별정보를 입력하여 지정된 자리수(예를 들어, 6자리)의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한다.
제어 유닛(370)은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seed)와 검증용 인증 씨드를 비교하고 두 씨드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곡인증 요청으로 판단한다.
이러한 유효성 판단으로, 휴대형 단말(200)을 인증 매개 수단으로 이용하면서 실시간으로 노래반주기(100)와 연계한 곡 인증을 수행하고 노래반주기(100)와 연계되지 못한 가상의 곡 인증을 배제할 수 있다.
곡인증 요청이 유효한 경우 인증관리 서버(300)는 인증코드 정보를 생성(S113)한다. 제어 유닛(370)은 인증 씨드, 인증코드와 선택된 하나 이상의 곡번호나 선택된 하나 이상의 월별 곡 패키지의 버전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노래반주기(100)와 약속된 암호화키로 인증코드 정보를 암호화한다. 인증코드는 적어도 선택된 곡번호나 선택된 월별 곡 패키지의 버전 정보를 노래반주기(100)의 곡인증 리스트에 추가할 때 이용되는 코드이다. 또는, 제어 유닛(370)은 인증코드와 선택된 곡번호나 선택된 월별 곡 패키지의 버전 정보 및 유효 데이터(예를 들어, 약속된 데이터 값이나 플래그 값)를 포함하는 인증코드 정보를 생성하고 인증 씨드를 암호화키로 이용하여 생성된 인증코드 정보를 암호화한다.
제어 유닛(370)은 선택된 곡번호나 선택된 월별 곡 패키지의 버전 정보가 반영되도록 노래반주기 DB의 검색된 노래반주기 아이템의 인증 정보에 반영한다.
곡인증 요청의 유효 판단에 따라 인증관리 서버(300)는 생성된 인증코드 정보를 휴대형 단말(200)을 통해 전송(S115)하고 노래반주기(100)는 인증코드 정보를 휴대형 단말(200)을 통해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앱 프로그램을 통해 노래반주기(100)로부터 인증대상 정보를 수신한 휴대형 단말(200)은 인증코드 정보를 인증관리 서버(300)로부터 인터넷을 통해 수신하고 휴대형 단말(200)은 NFC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를 무선신호로 전송한다.
휴대형 단말(200)의 근접에 따라, 노래반주기(100)의 NFC 인터페이스부(110)는 지정된 주파수 대역의 무선신호를 캡쳐링하고 약속된 포맷의 통신패킷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NFC 인터페이스부(110)로부터 통신패킷 또는 통신패킷의 페이로드를 수신하고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구성한다. 휴대형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한 직접 입력 없이 휴대형 단말(200)의 노래반주기(100)로의 근접 액션에 따라 노래반주기(100)는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한다.
노래반주기(100)는 NFC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판단)(S117)한다. 제어부(170)는 생성(S103 참조)되어 저장부(140)에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증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저장부(140)에 저장되어 있는 복호화키를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를 복호화한다. 제어부(170)는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포함된 인증 씨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씨드와 저장부(140)에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를 비교한다. 두 개의 인증 씨드가 동일한 경우, 제어부(170)는 NFC 무선통신을 통해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한다.
또는, 제어부(170)는 인증관리 서버(300)와 약속된 암복호화 프로토콜이나 알고리즘에 따라 제어부(170)(노래반주기(100))에 의해 생성되어 저장부(140)에 임시 저장되어 있는 인증 씨드를 복호화키로 이용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로 복호화한다. 제어부(170)는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에서 유효 데이터(예를 들어, 약속된 데이터 값이나 플래그 값)를 인식하는(인식가능한) 경우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노래반주기(100)는 실시간으로 생성되는 인증 씨드를 이용하여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검토 가능하다. 여기서, 제어부(170)는 임시로 저장된 인증 씨드를 인증 씨드의 생성후 약속된 시간 단위의 경과(예를 들어, 3분 단위, 5분 단위, 10분 단위 등)에 따라 삭제할 수 있다.
이후, 노래반주기(100)는 NFC 인터페이스부(110)를 통해 수신되는 인증코드 정보에 따라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S119)한다.
유효성 검증에 따라 복호화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 제어부(170)는 인증코드 정보의 인증코드를 추출하고 인증코드를 이용하여 인증코드 정보의 하나 이상의 곡번호 또는 하나 이상의 월별 곡 패키지 버전 정보의 곡번호들이 재생 허용되도록 곡인증 리스트를 갱신한다.
이러한 제어 흐름은 통해, 휴대형 단말(200)을 매개로 현재 시각에 따른 인증씨드에 의해 검증 가능하고 동적으로 변화하는 인증코드 정보를 생성하여 안전하게 곡 재생 허용을 위한 인증을 진행하고 인증코드 정보의 노출에 따른 외부 해킹을 방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0 : 노래반주기
110 : NFC 인터페이스부
120 : 통신부
130 : 입력부
140 : 저장부
150 : 비디오신호 출력부
160 : 오디오신호 출력부
170 : 제어부
200 : 휴대형 단말
300 : 인증관리 서버
310 : 통신 유닛
330 : 저장 유닛
350 : 연결 유닛
370 : 제어 유닛
400 : 디스플레이

Claims (10)

  1. 노래반주기가 인증관리 서버와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 및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 씨드를 임시 저장하는 단계;
    상기 노래반주기가 생성된 인증 씨드, 상기 반주기 식별정보 및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지정된 기간에 출력하는 단계;
    상기 인증관리 서버가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곡인증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증관리 서버가 상기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로서, 상기 곡인증 요청의 반주기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와 상기 검증용 인증 씨드의 동일 여부로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유효성 판단 단계;
    상기 노래반주기가 상기 휴대형 단말로부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노래반주기가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에 포함된 인증 씨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씨드와 상기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를 비교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노래반주기가 상기 인증코드 정보의 인증코드로 하나 이상의 인증대상 곡의 재생을 허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임시 저장된 인증 씨드는 인증 씨드의 생성 후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의 경과에 따라 삭제되는,
    곡 인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지정된 기간에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나타내는 QR코드를 상기 지정된 기간에 디스플레이를 통해 표시하고 동시에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상기 지정된 기간에 NFC통신을 통해 주기적으로 무선신호로 출력하고,
    상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NFC통신을 통해 상기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코드 정보를 수신하는,
    곡 인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래반주기가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임시 저장하는 단계는 OTP(One Time Password) 알고리즘에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 및 상기 노래반주기의 맥 주소 또는 시리얼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지정된 자리수의 숫자로 된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상기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OTP 알고리즘에 상기 인증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과 상기 곡인증 요청의 맥 주소 또는 시리얼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자리수의 숫자로 된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검증용 인증 씨드와 상기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곡인증 요청으로 판단하는,
    곡 인증 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지정된 기간에 출력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휴대형 단말이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촬영된 이미지나 수신된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휴대형 단말이 추출된 상기 인증대상 정보와 인증토큰 수량을 포함하는 곡인증 요청을 인증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곡 인증 방법.
  6. 삭제
  7. 노래반주 시스템으로서,
    노래반주기; 및
    인증관리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노래반주기는,
    비디오신호를 출력하는 비디오신호 출력부;
    NFC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NFC 인터페이스부;
    반주기 식별정보, 복수의 곡 정보 및 하나 이상의 곡 각각의 재생 허용 여부를 결정하는 곡인증 리스트를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곡인증 리스트에 따라 재생이 허용된 곡을 재생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지정된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 허용 인증을 위해, 상기 인증관리 서버와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 및 상기 반주기 식별정보에 기초하여 인증 씨드를 생성 및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하고 상기 인증 씨드 및 상기 반주기 식별정보와 상기 하나 이상의 곡을 특정 가능한 곡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인증대상 정보를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지정된 기간에 상기 비디오신호 출력부 및 NFC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고 이후 상기 NFC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수신되는 인증코드 정보에 따라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에 포함된 인증 씨드를 추출하고 추출된 인증 씨드와 상기 저장부에 임시 저장되고 생성 후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의 경과에 따라 삭제되는 인증 씨드를 비교하여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고 상기 수신된 인증코드 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곡의 재생을 허용하며,
    상기 인증관리 서버는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추출한 휴대형 단말로부터 상기 인증대상 정보를 포함하는 곡인증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곡인증 요청의 반주기 식별정보와 상기 인증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을 이용하여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와 상기 검증용 인증 씨드의 동일 여부로 곡인증 요청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노래반주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OTP(One Time Password) 알고리즘에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 및 상기 노래반주기의 맥 주소 또는 시리얼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지정된 자리수의 숫자로 된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상기 인증관리 서버는 상기 OTP 알고리즘에 상기 인증관리 서버에서의 상기 약속된 시간 단위에 따른 현재 시각과 상기 곡인증 요청의 맥 주소 또는 시리얼번호를 입력 파라미터로 이용하여 상기 지정된 자리수의 숫자로 된 검증용 인증 씨드를 생성하고 검증용 인증 씨드와 상기 곡인증 요청의 인증 씨드가 동일한 경우 유효한 곡인증 요청으로 판단하는,
    노래반주 시스템.
  9. 삭제
  10. 삭제
KR1020200188855A 2020-12-31 2020-12-31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KR1023976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55A KR102397643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8855A KR102397643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7643B1 true KR102397643B1 (ko) 2022-05-13

Family

ID=8158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8855A KR102397643B1 (ko) 2020-12-31 2020-12-31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764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79A (ko)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금영 오프라인 멀티미디어 기기의 개별 컨텐츠 인증 및 과금방법
KR20140004348A (ko) * 2012-07-02 2014-01-13 주식회사 금영 인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20140011538A (ko) * 2012-07-02 2014-01-29 주식회사 금영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677886B1 (ko) * 2015-07-15 2016-11-2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서버기반의 실시간 노래반주기의 신곡인증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779A (ko) 2011-12-19 2013-07-22 주식회사 금영 오프라인 멀티미디어 기기의 개별 컨텐츠 인증 및 과금방법
KR20140004348A (ko) * 2012-07-02 2014-01-13 주식회사 금영 인증 인터페이스를 구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20140011538A (ko) * 2012-07-02 2014-01-29 주식회사 금영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KR101677886B1 (ko) * 2015-07-15 2016-11-21 티제이미디어 주식회사 단말기를 이용한 서버기반의 실시간 노래반주기의 신곡인증 시스템, 방법, 단말기 및 정보처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24443B2 (en) Information transaction system
US7325139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and program
JP4250089B2 (ja) コンテンツ再生装置およびコンテンツ再生制御方法
JP2020038659A (ja) 電子チケット入場検証偽造防止システムと方法
US20020138442A1 (en) Content provision device and method and license server capable of facilitating circulation of encrypted content data
CN100472550C (zh) 产生证书的方法以及使用证书提供内容的方法和设备
WO2008004524A1 (fr) Dispositif de certification, dispositif de vérification, système de vérification, programme informatique et circuit intégré
US2004021076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method, recording medium and program
CN106161359A (zh) 认证用户的方法及装置、注册可穿戴设备的方法及装置
WO2002080448A1 (fr) Appareil de traitement de l'information
JP2004157790A (ja) 安全性判断方法、安全性判断システム、安全性判断装置、第1認証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02080446A1 (fr) Appareil de traitement d'information
JP2004040717A (ja) 機器認証システム
EA039691B1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контроля за воспроизведением медиа-контента, включающего объекты интеллектуальных прав
WO2019010669A1 (zh) 一种身份合法性验证的方法、装置及系统
WO2003091862A1 (fr) Dispositif serveur et systeme de gestion de programme
US20140229395A1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indicating digital media content quality to a user
WO2002080067A2 (fr) Processeur d'informations
JP5781678B1 (ja) 電子データ利用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電子データ利用システムにおける方法
JP2015064803A (ja) 電子情報利用許諾装置、システム、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46157B1 (ko) 무선 통신을 통해 인증 데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노래 반주 장치 및 노래 반주 시스템
JP2011077650A (ja) コンテンツのダウンロード管理サーバ、管理方法、管理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機
KR102397643B1 (ko) 휴대형 단말을 이용한 곡 인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노래반주 시스템
US20110137746A1 (en) Content distribution system and content distribution method
KR102293446B1 (ko) 신곡 인증 방법 및 신곡 인증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