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267B1 -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 Google Patents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267B1
KR102293267B1 KR1020190160034A KR20190160034A KR102293267B1 KR 102293267 B1 KR102293267 B1 KR 102293267B1 KR 1020190160034 A KR1020190160034 A KR 1020190160034A KR 20190160034 A KR20190160034 A KR 20190160034A KR 102293267 B1 KR102293267 B1 KR 102293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conditioning filter
filter
seated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0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0037A (ko
Inventor
김학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화에이스
Priority to KR10201901600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267B1/ko
Publication of KR20210070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0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평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들과 직교하게 수직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좌, 우측에 배치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구속부재, 및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상, 하측에 배치된 수평바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를 전방 또는 후방향으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을 포함하여, 해당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를 절단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공조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작은 작업공간이 소요되고, 고정프레임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비용절감에 유리하며, 공조필터의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조필터의 두께 및 공조필터의 갯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힘으로 공조필터를 압박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되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공조필터 고정프레임{Air conditioning filter fixing frame}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공조필터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외부의 신선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하도록 설치되고, 필터가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며, 냉난방 코일을 설치하여 실내로 배기하는 공기의 온도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조화기는 실외 공기를 흡입하여 공급하는 흡기부, 외부에서 흡입된 공기와 실내의 공기를 혼합하거나 열교환을 하는 믹싱부, 실내로 공급될 공기를 여과하는 필터부, 실내로 공급될 공기의 온도를 적정하게 가온시키거나 냉각시키는 냉난방 가온부 및 컨디션이 조절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배기부를 포함한다.
즉, 공기조화기는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를 적정한 온도와 습도를 갖도록 하고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필터부에는 필터가 다중으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한 냉난방 가온부는 냉수 또는 온수가 흐르는 코일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핀(fin)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필터부에는 다중의 필터가 설치되는데, 사각틀 형상의 필터 프레임에 프리필터와 메인필터가 설치되고, 이때 프리필터와 메인필터는 기류가 통과되는 공극에 차이가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기류가 유입되는 쪽에 배치되는 프리필터는 기류가 배기되는 쪽에 배치되는 메인필터의 필터 공극보다 클 수 있고, 이로써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 중에 다소 큰 이물질은 프리필터에서 걸러지고, 미세한 이물질은 메인필터에서 걸러진다.
그리고 필터 프레임은 사각틀이 일체로 형성되고, 내부 한쪽에는 플랜지가 형성되며, 플랜지의 일측에는 쿠션이 배치되고, 상기 필터 프레임의 측변 내측에는 측벽이 절개되어 구부려진 제1, 제2 훅이 형성되고, 제1, 제2 훅에는 고정 핀이 삽입된다.
상기한 고정핀은 외측이 스파이럴 형태로 구부려지고, 상기 고정핀의 일부가 메인필터의 외측을 누르는 형태로 프리필터와 메인필터를 고정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필터 프레임은 목적이 다른 필터를 다중으로 배치하여야 하지만, 필터를 설치하는 작업현장에서는 필터를 1개로 설치하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이때에는 상술한 필터 프레임에 형성된 제1 훅 또는 제2 훅 중에 어느 한쪽에 고정 핀을 삽입할 경우 1장의 필터를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필터는 사용기간이 경과됨에 따라 오염되고 이렇게 오염된 필터는 새 제품으로 교환하거나 세척하여 재사용하게 되는데, 2장의 필터 중에 어느 하나의 필터만을 설치하는 사례가 빈번하고 이로써 공기 정화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아 실내에 공급되는 공기에는 오염물질이 포함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필터 프레임은 부피가 큰 금속재질의 구조물로써 무게가 무거워 필터 프레임을 시공할 때에 작업자의 피로도가 가중되고, 공조필터와 고정프레임에 제대로 고정되지 않아 공조필터와 고정프레임 사이로 누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기술로는 공개특허 제10-2011-0067780호(2011.06.22)를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해당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를 절단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공조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작은 작업공간이 소요되고, 고정프레임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비용절감에 유리하며, 공조필터의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조필터의 두께 및 공조필터의 갯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힘으로 공조필터를 압박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되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은 수평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와, 상기 수직바들과 직교하게 수직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와,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좌, 우측에 배치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구속부재, 및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상, 하측에 배치된 수평바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를 전방 또는 후방향으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가 서로 직교하는 상기 안착공간의 코너에 구비되어, 직교지점인 코너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하는 코너누기단속편을 포함하고, 상기 안착공간의 좌,우,상,하측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좌,우,상,하측변으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하는 누기단속편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고정수단은 중심에는 전,후방 길이를 따라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의 배후에는 회전고정부를 이격 형성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 내부에 수용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에 일측이 삽입되고, 코일스프링의 탄성으로 공조필터를 압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가압부재는 상기 장홀 내부에 수용된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후방에서 직각으로 돌출형성되어, 공조필터와 면접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후방에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 및 당김을 조작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 중 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된 가압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벽을 형성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조필터에 대응하여 상기 장홀을 따라 해당 길이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를 압착하는 길이조절가압편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에 의해 나타나는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당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를 절단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공조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작은 작업공간이 소요되고, 고정프레임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비용절감에 유리한 효과를 가진다.
둘째, 공조필터의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조필터의 두께 및 공조필터의 갯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힘으로 공조필터를 압박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에 공조필터를 안착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의 필터고정수단을 보인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고정수단의 사용 예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고정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필터고정수단에 길이조절가압편을 구비하는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길이조절가압편이 구비된 필터고정수단의 사용 상태를 보인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균등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장치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에서 먼지, 세균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공조필터를 간편하게 고정할 수 있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은 수직바(10), 수평바(20), 구속부재(30), 및 필터고정수단(100)을 포함하는데, 먼저 상기 수직바(10)는 복수 개가 수평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것으로, 상하로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이며, 수평단면이 '┗┛'형태로 절곡된 2.3T 스틸바 또는 수평단면이 '□'형태인 SQ파이프일 수 있는데, 상기 수직바(10)의 수평 단면은 설계조건에 따라 사각형, L형 등 다양한 형상을 적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직바(10)에 조립되는 수평바(20) 역시, 복수 개로 구비되고, 복수 개의 수평바(20)는 알루미늄 프레임으로 상기 수직바(10)들과 직교하도록 수직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평하게 조립되어, 공조필터(1)가 안착되는 복수의 안착공간(40)들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바(20) 역시 금속재로 이루어지나, 좌, 우로 길이를 갖는 바(bar) 형태이며, 상기 수평바(20)의 수직 단면은 상기 수직바(10)의 일측과 면접하는 면접플랜지에서 수평플랜지가 수평선상으로 연장 형성된 '┣'형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속부재(30)는 상기 공조필터(1)가 안착되는 안착공간(40)의 좌, 우측에 배치된 수직바(10)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된 공조필터(1)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구속한다.
이때 상기 구속부재(30)는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길이의 중심선상에는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의 구속턱(31)을 형성하여,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된 공조필터(1)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구속한다.
여기서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가 서로 직교하게 조립됨에 따라 형성된 안착공간(40)의 코너에는 코너누기단속편(41)을 구비하는데, 상기 코너누기단속편(41)은 다공성 탄성체가 '┏', '┓', '┛',및 '┗', 형태로 이루어진 것으로, 상기 안착공간(40)의 직교지점인 코너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40)에 공조필터(1)가 안착됨에 따라 상기 수직바(10) 및 수평바(20)와 공조필터(1) 간의 사이를 메워 상기 안착공간(40)의 코너 사이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안착공간(40)의 좌, 우, 상, 하측변을 이루는 상기 수직바(10)와 수평바(20) 각각에는 누기단속편(42)을 구비하는데, 상기 누기단속편(42)은 상기 수직바(10) 및 수평바(20)와 공조필터(1) 간의 사이를 메워 상기 안착공간(40)의 좌, 우, 상, 하측변으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한다.
그리고 상기 공조필터(1)가 안착되는 안착공간(40)의 상, 하측에 배치된 수평바(20)에는 필터고정수단(100)을 구비하는데,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은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된 공조필터(1)를 전방 또는 후방향으로 압박하여 고정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은 몸체부재(110)와, 코일스프링(120)과, 가압부재(130)를 포함하는데, 상기 몸체부재(110)는 판상으로 후방측은 직각(하측)으로 절곡되면서 나사가 관통하는 관통홀을 형성하여,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는 나사 또는 볼트에 의해 상기 수평바(20)에 고정되게 하는 고정부를 형성하며, 판의 중심에는 전, 후방 길이를 따라 장홀(111)을 형성하며, 상기 장홀(111)의 배후에는 회전고정부(112)를 이격 형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재(110)의 장홀(111) 중 회전고정부(112)와 인접하는 일측에는 절개부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장홀(111)의 내부에는 코일스프링(120)을 수용하는데, 상기 코일스프링(120)은 장홀(111) 내부에 수용된 상태로 가압부재(130)에 탄성을 제공한다.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으로 공조필터(1)를 압박하는 것으로, 상기 몸체부재(110)의 장홀(111)에 일측이 삽입되면서 상기 장홀(111)에 수용된 코일스프링(120)에 탄지된다.
상기 가압부재(130)를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가압부재(130)는 상기 장홀(111) 내부에 수용된 코일스프링(120)에 삽입되는 회전축부(131)를 형성하는데, 상기 회전축부(131)의 끝단에는 스냅링(121)을 체결하는 체결홈을 형성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20)에 회전축부(131)를 삽입한 후, 상기 회전축부(131) 끝단에 스냅링(121)을 체결하여, 상기 회전축부(131)에 코일스프링(120)을 고정시켜 탄지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축부(131)의 후방에서 직각으로 가압부(132)를 돌출형성하는데, 상기 가압부(132)는 상기 장홀(111)의 절개부를 따라 이동하면서 공조필터(1)의 일측변을 면접하면서 가압하여, 상기 안착공간(40)에 공조필터(1)가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가압부(132)의 후방에는 축부(133)를 형성하는데, 상기 축부(133)는 상기 회전고정부(131)에 결합되어, 상기 가압부재(130)가 회전할 수 있도록 회전축을 이룬다.
그리고 상기 축부(133)의 후방에는 손잡이부(134)를 형성하는데, 상기 손잡이부(134)는 사용자가 상기 손잡이부(134)를 잡아당겨 상기 가압부재(130)의 회전이 조작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부재(110)의 장홀(111) 중 후방측에는 걸림벽(113)을 형성하는데, 상기 걸림벽(113)은 상기 장홀(111) 내부에 수용된 코일스프링(120)이 상기 회전고정부(131) 측인 상기 장홀(111)의 후방측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지지 되도록 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20)이 반발할 수 있어 상기 가압부재(130)에 탄성이 제공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걸림벽(113)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평상태로 회전된 가압부(132)가 걸리도록 하여,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가압부(132)가 수직상태인 해당 원위치로 복귀하지 못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상기 가압부(132)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장홀(111)의 절개부에서 후퇴시키면서 수평상태로 회전하여 상기 걸림벽(113)에 걸림에 따라 상기 가압부(132)가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하는 공조필터(1)의 진입에 방해가 되지 않고, 다시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직상태로 회전하면, 상기 코일스프링(120)의 탄성에 의해 상기 장홀(111)의 절개부를 따라 해당 원위치로 복귀하면서,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된 공조필터(1)를 압박하여 고정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은 상기 몸체부재(110)의 후방에 형성된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 하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한 쌍의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이 고정부를 기준으로 대칭을 이루도록 형성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6 및 도 7을 참조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필터고정수단(100)에는 길이조절가압편(14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길이조절가압편(140)은 상기 공조필터(1)에 대응하여 상기 장홀(111)을 따라 해당 길이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가압부(132)에 결합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된 공조필터(1)를 압박한다.
이때 상기 길이조절가압편(140)의 길이는 상기 안착공간(40)에 안착되는 공조필터(1)의 두께 및 공조필터(1)의 갯수에 대응하여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므로 상기한 구성에 따른 공조필터 고정프레임은 해당 크기에 대응하여 수직바 및 수평바를 절단하여 조립하는 것으로 공조필터를 고정하는 고정프레임의 제작이 가능하므로, 비교적 작은 작업공간이 소요되고, 고정프레임의 제작 및 설치가 간단하여, 작업시간이 현저하게 짧아져 비용절감에 유리하며, 필터고정수단에 의해 공조필터의 교체가 간편할 뿐만 아니라, 공조필터의 두께 및 공조필터의 갯수에 상관없이 일정한 힘으로 공조필터를 압박 고정할 수 있어, 호환성이 증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공조필터 10: 수직바
20: 수평바 30: 구속부재
31: 구속턱 40: 안착공간
41: 코너누기단속편 42: 누기단속편
100: 필터고정수단 110: 몸체부재
111: 장홀 112: 회전고정부
120: 코일스프링 130: 가압부재
131: 회전축부 132: 가압부
133: 축부 134: 손잡이부
140: 길이조절가압편

Claims (7)

  1. 수평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수직으로 세워져 배치되는 복수 개의 수직바;
    상기 수직바들과 직교하게 수직선상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조립되어,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들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수평바;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좌, 우측에 배치된 수직바에 결합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가 좌, 우측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구속하는 구속부재; 및
    상기 공조필터가 안착되는 안착공간의 상, 하측에 배치된 수평바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를 전방 또는 후방향으로 압박하여 고정하는 필터고정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필터고정수단은
    중심에는 전,후방 길이를 따라 장홀이 형성되며, 상기 장홀의 배후에는 회전고정부를 이격 형성한 몸체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 내부에 수용되어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과,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 내부에 수용된 상기 코일스프링에 삽입되는 회전축부와, 상기 회전축부의 후방에서 직각으로 돌출형성되어, 공조필터와 면접하는 가압부와, 상기 가압부의 후방에 형성되면서 상기 회전고정부에 결합되어, 회전축을 이루는 축부와, 상기 축부의 후방에 상기 가압부와 동일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사용자가 회전 및 당김을 조작하게 하는 손잡이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에 일측이 삽입되고, 상기 코일스프링의 탄성으로 공조필터를 압박하는 가압부재와,
    상기 몸체부재의 장홀 중 후방측에 형성되어, 상기 코일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측방향으로 회전된 상기 가압부가 걸리도록 하는 걸림벽과,
    상기 공조필터에 대응하여 상기 장홀을 따라 해당 길이로 형성되고, 후단이 상기 가압부에 결합되면서, 선단으로 상기 안착공간에 안착된 공조필터를 압착하는 길이조절가압편을 포함하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직바와 수평바가 서로 직교하는 상기 안착공간의 코너에 구비되어, 직교지점인 코너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하는 코너누기단속편;을 포함하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착공간의 좌,우,상,하측변 각각에 구비되어, 상기 안착공간의 좌,우,상,하측변으로 누출되는 누기를 단속하는 누기단속편;을 포함하는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90160034A 2019-12-04 2019-12-04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KR1022932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34A KR102293267B1 (ko) 2019-12-04 2019-12-04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0034A KR102293267B1 (ko) 2019-12-04 2019-12-04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37A KR20210070037A (ko) 2021-06-14
KR102293267B1 true KR102293267B1 (ko) 2021-08-26

Family

ID=76417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0034A KR102293267B1 (ko) 2019-12-04 2019-12-04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2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2315B1 (ko) 2021-08-17 2022-04-01 박종길 작업성을 개선한 헤파필터 장착프레임의 제조방법
KR102426337B1 (ko) * 2022-02-28 2022-07-29 주식회사 에이알 개선된 필터고정구조를 갖는 필터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20B2 (ja) * 1994-11-18 2000-07-1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
JP2000334236A (ja) * 1999-05-28 2000-12-05 Akushii:Kk フィルタ取り付けケース
JP2006159107A (ja) * 2004-12-08 2006-06-22 Akushii:Kk フィルタの固定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20U (ja) * 1999-03-10 1999-09-28 東京電力株式会社 フィルタ締付け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020B2 (ja) * 1994-11-18 2000-07-10 東京瓦斯株式会社 燃焼制御装置
JP2000334236A (ja) * 1999-05-28 2000-12-05 Akushii:Kk フィルタ取り付けケース
JP2006159107A (ja) * 2004-12-08 2006-06-22 Akushii:Kk フィルタの固定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0037A (ko) 2021-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3267B1 (ko)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EP3650776B1 (en) Air-conditioner indoor unit
US4477272A (en) Fan filter
US7811346B1 (en) Filter housing
ES2545640T3 (es) Acondicionador de aire
KR200485410Y1 (ko) 바이패스부를 통해 선택적으로 공기 청정기능 및 공기 순환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에어서큘레이터
JP2000046366A (ja) 天井設置型空気調和装置
US20050186901A1 (en) Adjustable ceiling mounted filter access frame and return system
US20040074214A1 (en) Filter housing
KR20110067780A (ko) 다중 필터의 프레임
KR20230056297A (ko) 공조필터 고정프레임
JP2016023908A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及び、空気調和機の室内機の製造方法
CN101268317B (zh) 用于蒸发器单元的进风栅和过滤器组件
US8814971B2 (en) Air-conditioning duct filtering system
JP5894816B2 (ja) ビルトイン型空気調和機
JP6080566B2 (ja) 化粧パネル及びこれを用いた空気調和機
JP6160156B2 (ja) 空調室内機
JP3114701B2 (ja) 空気調和機
KR20080057616A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101429572B1 (ko) 환기용 또는 냉,난방 공조장치용 그릴
KR101957164B1 (ko) 공기조화기의 설치판
KR101186846B1 (ko) 필터 탈 장착이 용이한 공기조화기
KR101845898B1 (ko) 정류형 루버를 구비한 지진방지용 공기조화시스템
US20230130691A1 (en) Baffle strainer system and method
KR20110027509A (ko) 공기 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