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3075B1 -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 Google Patents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3075B1
KR102293075B1 KR1020210031348A KR20210031348A KR102293075B1 KR 102293075 B1 KR102293075 B1 KR 102293075B1 KR 1020210031348 A KR1020210031348 A KR 1020210031348A KR 20210031348 A KR20210031348 A KR 20210031348A KR 102293075 B1 KR102293075 B1 KR 102293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ass panel
output unit
sound output
window frame
nois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1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시스템앤솔루션
성창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시스템앤솔루션, 성창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시스템앤솔루션
Priority to KR1020210031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30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3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3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5/0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 E06B5/20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 E06B5/205Doors, windows, or like closures for special purposes; Border constructions therefor for insulation against noise windows therefor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6Building materials integrated with PV modules, e.g. façad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Architecture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Abstract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를 제공한다.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는 제 1유리패널,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제 1유리패널과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소음제어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는 창호 프레임, 제 1유리패널 및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WINDOW HAVING NOISE CONTROL FUNCTION}
본 발명은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의 생활수준이 높아지면서 외부 소음으로부터 소음을 차단하여 높은 생활수준을 누리고자 하는 욕구가 많아지게 되었다. 이러한 욕구에 따라 일 예로 아파트나 사무용 공간에 설치되는 창호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다중창으로 유리 패널을 설치하거나 창호가 설치되는 틀의 구조를 변경하여 외부소음을 차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식의 시도가 진행되고 있다.
다중창의 창호를 설치하는 방식은 여러 개의 유리패널이나 유리창을 하나의 프레임에 결합하거나, 유리창이 결합된 프레임을 여러 개 사용하여 샤시의 틀에 결합하는 방식을 취하는데, 이러한 경우 비용이 많이 들거나, 여러 프레임을 결합하여야 하여 시공이 어렵거나, 샤시 틀에 많은 두께를 필요로 하여 많은 공간을 차지하는 문제가 있었고, 이에 의한 외부소음을 차단하는 성능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부피가 작으면서, 많은 작업공간이나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외부 소음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창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42293(2001년 10월 11일 공고)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외부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는 소음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시공이 간단하고, 창호가 적용되는 공간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은(적은 두께의 공간으로도 설치가 가능한) 소음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창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샤시 틀에 결합되어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호와 샤시 틀 사이의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소음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창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는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의 일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제 1결합부 및 상기 바닥면의 일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제 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사운드 출력부, 및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의 외측 방향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1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의해 발생된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수납부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지지면에 형성되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지지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창호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2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부는 상기 제 2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 2관통홀을 통해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은 제 1유리패널, 제 2유리패널 및 상기 창호 프레임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에 형성된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 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커버하면서, 사운드 출력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발생한 인공음향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관통되어 패턴으로 형성된 가이드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턴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상기 창호에 배치될 때, 수평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에서 상기 제 2유리패널로 향하는 제 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가이드 패턴, 및 상기 제 1방향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2가이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 패턴의 폭은 상기 제 1가이드 패턴의 폭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 또는 상기 제 2유리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서 연장된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 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소음제어 기능을 포함하는 창호는 외부 소음을 보다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공이 간단하고, 창호가 적용되는 공간에 많은 공간이 필요하지 않아 간단히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창호가 슬라이딩 방식으로 샤시 틀에 결합되어 움직이는 경우에도 창호와 샤시 틀 사이의 슬라이딩을 위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서 사운드 출력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에서 도 12의 사운드 출력부를 결합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의 창호 프레임 내측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도 14의 창호 프레임 지지면에 형성된 제 1관통홀 부분의 단면을 일 실시예에 따라 표현한 도면이다.
도 17은 도 14의 창호 프레임 지지면에 형성된 제 1관통홀 부분의 단면을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현한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9는 도 18의 창호 프레임 내측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21의 소음제어장치의 C-C'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3은 도 20의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소음제어장치의 D-D'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2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 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비록 제 1, 제 2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창호의 경우 미닫이, 여닫이 등 이동이 가능하고 별도의 샤시 틀에 결합된 구조의 창호 뿐만 아니라, 건물에 결합되어 고정된 상태의 창호도 포함한다. 즉,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창호는 건물에 창호를 결합하기 위한 별도의 샤시 틀이 형성되어 있는 곳에 적용되는 창호나, 별도의 샤시 틀이 없이 그 자체로 건물에 결합되는 창호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만, 도 1의 좌측 및 상단부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창호의 단면이 표현되어 있다.
도 1 및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는 제 1유리패널(210),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220)을 포함하는 유리패널(200), 상기 유리패널(200)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100)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 상기 제 1유리패널(210) 및 상기 제 2유리패널(220)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100) 자체의 내부 공간(A)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창호는 창호 프레임(100)에 이격되고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제 1유리패널(210) 및 제 2유리패널(220)에 의해 내부 공간이 형성된 2중창의 구조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3중창, 4중창 등 다중창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이렇게 다중창 구조를 형성하는 경우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사운드 출력부는 다중창의 유리패널들 사이의 공간에 형성되거나, 이들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상기 제 1유리패널(210) 및 제 2유리 패널(220)의 측면부를 모두 감싸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진 유리패널에 대해 설명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평면 형상을 가진 2중창 이상의 창호에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는 인공음향을 발생시켜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보낼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300)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이 적어도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어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 사이를 통해 전달되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부 소음은 샤시나 창문의 유리를 통해 내부로 전달되어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 들려 소음으로 인식되는데, 본 발명의 소음제어장치의 사운드 출력부에서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인공음향에 의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소음을 제어하거나 차단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인공음향은 외부소음의 음압레벨 보다 높은 음압레벨의 인공음향을 발산하며, 이에 따라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은 외부 소음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거의 인식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사운드 출력부(300)는 일정한 주파수에서 일정한 음압을 내는 인공음향을 발생함으로써 주변 소음을 덜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창호에서 지속적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외부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일부 소음을 "차단"한다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하지만, 본 발명의 차단의 의미는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들이 외부 소음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덜 인식하여 결국에는 외부 소음을 차단하는 동일한 효과를 낸다는 의미로 이해하면 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수의 도면에서는 단일의 사운드 출력부(300)가 배치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여러 개 배치할 수 있으며, 배치장소를 서로 다르게 하여 조합하여 소음차단 및 소음제어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사운드 출력부(300) 자체에는 전원부, 인공음향 발생부, 구동제어부, 외부소음 감지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고, 내장된 전원부의 전원에 따라 전력원이 공급되고, 구동제어부를 통해 전달된 신호에 따라 인공음향부 발생부를 통해 인공음향이 발생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구동제어부는 외부 소음을 감지하는 외부소음 감지센서를 통해 파악된 외부 소음에 따라 음향신호를 전달하고 전달된 음향신호에 따라 상기 인공음향 발생부를 통해 인공음원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인공음원은 외부소음의 음압레벨 보다 높은 음압레벨의 인공음향을 발산할 수 있고, 일정 주파수에서 일정 음압을 내는 인공음향을 발생할 수 있다. 즉, 상기 인공음향은 가청주파수 내의 모든 음대역에서 백색소음을 발생시켜, 외부 소음을 듣지 못하게 하거나 인식 못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내부에 존재하는 사람은 외부 소음을 인식하지 못하거나 거의 인식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에는 내장된 전원부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충전단자가 존재할 수 있고, 상기 충전단자를 통해 외부전력원으로부터 내장된 전원부에 충전할 수 있다.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100) 자체의 내부 공간(A)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출력부(300)가 상기 창호 프레임(100),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는 경우 도 1과 같이, 사운드 출력부(300)는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10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운드 출력부(300)는 창호 프레임(100)의 측면부에 결합될 수 있는데,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하단부에 결합되거나 상단부에 결합되거나 이들의 조합된 형태로 배치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사운드 출력부는 창호 프레임(100) 외에 유리패널(200) 상에 결합될 수 있다. 사운드 출력부(3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어 내측 공간에 인공음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고, 유리패널(200)을 통해 실내로 전달되는 외부소음을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400)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터리부(400)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창호 프레임(100) 차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플라스틱 수지재,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1의 좌측 단면과 같이 내측에 빈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배터리부(400)는 창호 프레임(100)의 내측의 빈 공간에 형성되어 외부에서 시인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600), 상기 배터리부(4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400)는 상기 제어부(600)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전력공급부(500)에 의해 외부 전력원으로부터 상기 배터리부(400)로 전력을 공급하여 충전되도록 할 수 있고, 배터리부(400)에 저장된 전력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로 전달되어 지속적으로 인공음향을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별도의 배터리부 없이 전력공급부에 의해 직접 사운드 출력부에 전원을 공급하여 인공음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이미 상기에서 설명하였듯이, 사운드 출력부(300) 자체에 구비된 상기 구동제어부일 수 있고, 이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600)는 도 1과 같이, 창호 프레임(100)의 외측에 별도로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소음제어장치의 사운드 출력부(300)를 별도로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방식, 물리적 버튼 방식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제어가 가능하며, 필요에 따라 제어부(600)에는 사운드 출력부(300)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 전반에 대한 상황을 체크할 수 있도록 장치 현황에 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를 통해 외부로 표시하도록(또는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배터리부(400), 제어부(600), 전력공급부(500) 및 사운드 출력부(300)는 상호간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3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310)의 일단에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시킬 수 있다. 연결부재(310)는 전력원의 공급 및 전기적 신호에 의해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300)를 다른 부재와의 결합 시(또는 접합 시) 장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결합시키기 위한 것으로, 비제한적으로 내측에 외부 충격으로부터 충격이 사운드 출력부(30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완충층(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으며, 사운드 출력부(300)와의 결합은 다양한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연결부재(311)는 도 3과 같이 사운드 출력부(301)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301)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출력부(301)의 형태가 내측에 빈 공간이 형성된 형태일 수 있고, 이러한 빈 공간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결부재(311)가 형성되고, 이에 의해 사운드 출력부(301)와 결합되어 있을 수 있고, 연결부재(311)의 일측에는 사운드 출력부(301)가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타단의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4와 같이, 연결부재(312)는 사운드 출력부(302)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더라도 일부만 관통하여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도 2 내지 4의 사운드 출력부와 같이, 사운드 출력부는 단면이 사각형의 형상이거나 원형의 형상으로 존재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인공음향을 효과적으로 발생시키기 위한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고 이에 대한 변형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적절히 자신이 원하는 형태에 따라 변경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 및 6을 참조하면,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300, 301)를 커버하면서, 사운드 출력부(300, 301)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부재(320, 321)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5 및 6과 같이 각각의 사운드 출력부(300, 301)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사각형의 커버부재(320)가 형성되거나 원형의 커버부재(321)가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여러 단면 형태의 커버부재가 형성되거나, 사운드 출력부의 형상과 다른 단면 형태의 커버부재가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후에 다른 도면을 통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겠으나,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한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에 형성된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 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연결부재와 연결된 형태로 존재하거나 기타 다른 구성에 연결된 형태로 사운드 출력부를 커버하며 존재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320, 321)에는 가이드 패턴이 형성되어 사운드 출력부(300, 301)에서 발생되는 인공음향의 경로를 설정할 수 있고, 인공음향이 특정 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흐르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하기 도 7 및 8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가이드 패턴은 도 5 및 6과 같이 특정 방향을 향하여 복수개가 패턴화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7 및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커버부재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8과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커버부재(323, 324)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발생한 인공음향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관통되어 패턴으로 형성된 가이드 패턴(325-A, 325-B, 326-A, 326-B)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턴(325-A, 325-B, 326-A, 326-B)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상기 창호에 배치될 때, 수평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210)에서 상기 제 2유리패널(220)로 향하는 제 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가이드 패턴(325-B, 326-B), 및 상기 제 1방향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의 폭(P1)은 상기 제 1가이드 패턴(325-B, 326-B)의 폭(P2)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제 1가이드 패턴(325-B, 326-B) 및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은 복수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서 상기 제 1방향은 수평방향에서 제 1유리패널(210)에서 제 2유리패널(220)로 향하는 방향이고, 제 2방향은 이와 수직하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는데, 수평방향 상에서 상대적으로 거리가 짧은 유리패널(210, 220) 사이의 방향(즉, 창호를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제 1방향이라 정의하고, 이와 수직하는 거리가 긴 방향을 제 2방향이라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가이드 패턴(325-B, 326-B)은 제 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고,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은 제 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되도록 소음제어장치를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의 폭(P1)이 상기 제 1가이드 패턴(325-B, 326-B)의 폭(P2) 보다 더 크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더 많은 인공음향이 제 2가이드 패턴(325-A, 326-A) 방향으로 발산되도록 조절할 수 있고, 더 면적이 넓은 제 2방향 쪽으로 인공음향이 더 많이 진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리패널(210, 220) 사이의 공간에서 전면적에 걸쳐 고르게 인공음향이 퍼지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9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9 및 10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간(A)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면(110), 상기 지지면(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11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13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13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의 공간(A)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140)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지지면(110), 복수의 측벽(120) 및 바닥면(130)에 의해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이 정의될 수 있고, 바닥면(130)에는 만곡면(140)이 포함될 수 있다.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창호 프레임(100)은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샤시 틀(미도시)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이동함으로써, 열리거나 닫힐 수 있는데, 상기 만곡면(140)이 구성됨에 의해 하단에 존재하는 공간(B)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도록 샤시 틀(미도시)의 레일(미도시) 걸쳐질 수 있고, 해당 레일(미도시)을 기준 삼아서 창호 프레임(100)이 슬라이딩 방식으로 여닫힐 수 있다. 이와 같이 샤시 틀(미도시)에 형성된 레일(미도시)에 창호 프레임(100)의 만곡면(140)이 거치되어 이동하는 방식은 창호 프레임(100) 이외에 별도 샤시 틀(미도시)이 적용되는 경우 당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져 있는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와 10과 같이 별도의 샤시 틀(미도시)에 적용되는 창호 프레임(100)의 경우 창호 프레임(100)의 내측에 수용되는 배터리부(401)는 상기 만곡면(140)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도 1과 달리, 사운드 출력부(303)는 창호 프레임(100)의 측면부가 아니라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제어부(600)와 전력공급부(500)도 하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사운드 출력부(303)는 연결부재(313)에 연결되고 창호 프레임(100)의 지지면(110)에 상하부로 개구되어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에 하부에서 상부를 향하여 삽입됨으로써,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도록 노출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상기 연결부재(313)에 의해 상기 개구되어 형성된 결합부(미도시)의 개구된 부분을 막아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 사이에서만 대부분의 인공음향이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에서 사운드 출력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2에는 도 11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의 시스템 구성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 13에는 도 11에서 도 12의 사운드 출력부를 결합한 경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13을 참조하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면(110), 상기 지지면(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11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130)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13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의 공간(A)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140)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110)의 일부에 관통 및 개구되어 형성된 제 1결합부(115) 및 상기 바닥면(130)의 일부에 관통 및 개구되어 형성된 제 2결합부(14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결합부(145)는 바닥면(130) 상의 만곡면(140)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304, 305)는 상기 제 1결합부(115)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사운드 출력부(304) 및 상기 제 2결합부(145)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130)의 외측 방향의 공간(B)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사운드 출력부(3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제 1결합부(115)는 지지면(110)의 일부에 관통 및 개구되어 형성되어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 사이의 공간과 연통되도록 하고, 제 2결합부(145)는 바닥면(130)의 일부인 만곡면(140)에 관통 및 개구되어 형성되어 창호 프레임(100)의 하단부 만곡된 면의 외측 방향공간(B)으로 연통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사운드 출력부(304)는 제 1결합부(115)에 결합되어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산하고, 제 2사운드 출력부(305)는 제 2결합부(145)에 결합되어 창호 프레임(100)의 하단부 공간(B)으로 인공음향을 발산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사운드 출력부(304, 305)는 각각의 연결부재(314, 315)에 결합되어 제 1결합부(115) 및 제 2결합부(145)에 결합됨으로써, 공간적으로 서로 완전히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제 1결합부(115)에 결합되는 제 1연결부재(314)에 의해 창호 프레임(100)을 기준으로 제 1결합부(115)의 외측 방향(제 1유리패널과 제 2유리패널 사이의 공간)에는 제 1사운드 출력부(304)가 배치되도록 하면서, 창호 프레임 내측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하고, 제 2결합부(145)의 외측 방향(B)에는 제 2사운드 출력부(305)가 배치되도록 하면서 창호 프레임 내측과는 공간적으로 분리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사운드 출력부(304)와 제 2사운드 출력부(305)가 발산하는 인공음향은 각각이 위치하는 별도의 공간에서 인공음향을 발산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만곡면(140)은 창호가 건물에 고정 및 설치된 별도의 샤시 틀(미도시)에 결합될 때, 샤시 틀(미도시)의 레일에 안착되어 슬라이딩 방식으로 창호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데, 이때, 창호 프레임(100)의 만곡면(140)과 샤시 틀(미도시)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외부 소음이 유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창호의 경우 이러한 만곡면(140)과 샤시 틀(미도시) 사이의 이격된 공간에 별도의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사운드 출력부(305)를 배치함으로써, 유리패널(200)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 뿐만 아니라, 샤시 틀(미도시)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외부 소음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제 1사운드 출력부(304)와 제 2사운드 출력부(305)를 공간적으로 완전히 분리하여, 샤시 틀(미도시)과 창호 프레임(100) 사이의 이격된 공간을 통해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이 유리패널(200)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본 발명의 표현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제 2사운드 출력부(305)가 다소 돌출하는 모습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제 2사운드 출력부(305)는 설치되는 샤시 틀(미도시)의 레일에 닿지 않도록 높이를 설계하거나, 상기 만곡면(140)보다 두께가 얇을 수 있다. 또한, 제 2사운드 출력부(305)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 등의 이물이 직접 닿지 않도록 커버부재(미도시)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한편, 도 12 및 13과 같이, 본 발명의 창호는 상기 소음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패널(70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태양광패널(700)은 제 1유리패널(210), 제 2유리패널(220) 및 상기 창호 프레임(100)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태양광의 원활한 수집을 위해 태양광패널(700)은 제 1유리패널(210)이나 제 2유리패널(220)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태양광의 수집이 용이한 위치에 자유롭게 배치변경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태양광패널(700)은 태양광이 입사되는 위치인 창호 프레임(100)의 상단에 위치할 수 있다. 태양광패널(700)을 통해 발생한 전력은 배터리부(402)에 연결되어 배터리부(402)에 전력원을 공급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배터리부(402)에서는 제 1사운드 출력부(304)와 제 2사운드 출력부(305)에 전력을 공급하여 인공음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2에서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배터리부(402)는 외부에 위치하는 전력공급부(500)에 연결되어 상기 태양광패널(700) 이외에 외부의 전력공급원으로부터 전력공급을 받을 수 있고, 배터리부(402)는 제어부(600)에 연결되어 제어부(600)에서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소음제어장치를 전체적으로 조절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5에는 도 14의 창호 프레임 내측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15를 참조하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1관통홀(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306)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 자체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306)에 의해 발생된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150)을 통해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사운드 출력부(306)는 창호 프레임(100) 자체의 내측에 형성된 공간의 특정 위치에 배치되어 인공음향을 발생시키고, 창호 프레임(100)에는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1관통홀(150)이 형성되어, 제 1관통홀(150)을 통해 인공음향이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외부에서는 사운드 출력부(306)가 시인되지 않으면서,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로 유입된 인공음향에 의해 외부소음이 차단되거나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 1관통홀(150)은 창호 프레임(100)의 하단부 부분에 형성되거나, 측면부 부분에 형성되거나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이들이 조합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200)을 지지하는 지지면(110), 상기 지지면(110)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120) 및 상기 측벽(120)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110)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130)을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110)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납부(8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150)은 상기 수납부(800)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지지면(110)에 형성되되, 상기 사운드 출력부(306)는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납부(800)에 수납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800)의 지지면(110)과 상기 수납부(800)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수납부(800)는 사운드 출력부(306)가 창호 프레임(100)의 내측에서 바로 지지면(110)의 하단부에 위치하도록 하여 인공음향이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진행하는 것 이외의 부분으로 진행하는 것을 차단함으로써, 인공음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운드 출력부(306)가 지지면(110)에 가깝게 배치되면서도 창호의 이동과정에서 위치가 변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수납부(800)의 구성이 일종의 폐쇄된 공간을 형성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필요에 따라 일부 개방되어 있는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도 있다.
도 16에는 도 14의 창호 프레임 지지면(100)에 형성된 제 1관통홀(150) 부분의 단면을 일 실시예에 따라 표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관통홀(15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 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관통홀(150)의 아래에 존재하는 사운드 출력부(306)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을 더욱 많이 포집하여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보내도록 하고,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에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인공음향은 최소화하여 외부소음 제어 및 차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도 14의 창호 프레임 지지면에 형성된 제 1관통홀 부분의 단면을 다른 실시예에 따라 표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도 16과 달리, 제 1관통홀(151)은 동일한 직경을 갖되 다른 직경조절부재(160)를 제 1관통홀(151)에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직경조절부재(160)는 하단부로 직경이 더 큰 형태의 부재일 수 있고, 이에 따라 더 효율적으로 하단부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을 제 1유리패널(210)과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쉽게 포집하여 전달할 수 있다.
도 1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9에는 도 18의 창호 프레임 내측에 적용되는 사운드 출력부를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8 및 19를 참조하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상기 바닥면(13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140)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면(140)은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내부의 공간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2관통홀(155)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801)의 일부는 상기 제 2관통홀(155)과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부(307)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150) 및 제 2관통홀(155)을 통해 상기 창호 프레임(100)의 자체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제 2관통홀(155)은 수납부(801)의 일부에 형성된 홀에 의해 연결되어 수납부(801) 내부에서 사운드 출력부(307)를 통해 발생된 인공음향이 내부 전반사를 통해 만곡면(140)의 외측 공간(B)으로 발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별도의 사운드 출력부를 배치하지 않고, 단일의 사운드 출력부(307)만으로 제 1관통홀(150)과 제 2관통홀(155) 모두에 인공음향을 보낼 수 있어, 보다 효과적으로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다. 비제한적으로, 수납부(801)에서 제 2관통홀(155)로의 연결은 연결부(811)를 통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운드 출력부(307)는 상기 수납부(801) 내에 배치된 거치부(900)에 거치되고, 상기 거치부(900)는 제 2관통홀(155) 상단에 이격되어 배치되도록 거치부 다리(9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 2관통홀(155)을 통해 유입될 수 있는 먼지나 수분 등의 이물이 사운드 출력부(307)에 직접적으로 접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거치부(900)가 배치되더라도 사운드 출력부(307)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은 지지면(110)과 수납부(801) 내측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의 전반산에 의해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비제한적으로 제 1관통홀(150) 및 제 2관통홀(155) 외의 나머지 공간은 모두 막힌 구조로 형성되도록 수납부(801)가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상기 제 2관통홀(155) 또한 도 16 및 17의 제 1관통홀(150, 151)과 같은 형태로, 만곡면(140)의 외부 공간(B)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형태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내부의 인공음향을 쉽게 포집하여 외부 공간(B)으로 발산하면서 외부 공간(B)에서 먼지나 이물 등의 유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20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창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소음제어장치(1000, 1001)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210) 또는 상기 제 2유리패널(220)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20에서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1000, 1001)를 간략하게 도시하였으나, 소음제어장치(1000, 1001)는 상기에서 설명한 사운드 출력부, 제어부, 배터리부 등 다양한 구성들을 자체적으로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도 20과 같이 소음제어장치(1000, 1001)를 구성하는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210)과 상기 제 2유리패널(220)의 사이의 공간에서 제 1유리패널(210) 또는 제 2유리패널(220)에 결합되어 인공음향을 발산함으로써, 외부 소음을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간단하게 제작된 별도의 소음제어장치를 창호의 제작 과정에서 유리패널들(210, 220) 사이에 부착함으로써, 간단하게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를 제작할 수 있다.
도 21에는 도 20의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일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2에는 도 21의 소음제어장치의 C-C'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3에는 도 20의 창호에 적용되는 소음제어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4에는 도 23의 소음제어장치의 D-D'에 따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1 내지 24를 참조하면, 상기 소음제어장치(1000, 1001)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 1101)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1300, 130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1300, 1301)의 일단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 1101)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 1101)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 1101)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1300, 1301)의 타단에서 연장된 접합부재(1400, 140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부재(1400, 1401)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300, 1301)는 사운드 출력부(1100, 1101)를 제 1유리패널(210) 또는 제 2유리패널(220)에 부착하기 위한 접합부재(1400, 1401)와 연결시키기 위한 것으로 연결부재(1300, 1301)와 접합부재(1400, 1401)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부재(1300, 1301)는 이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일단이 사운드 출력부에 결합되거나, 도 21 내지 24와 같이, 사운드 출력부(1100, 1101)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도 23 및 24와 같이, 연결부재(1301)를 통해 결합된 사운드 출력부(1101)가 다시 분리되지 않도록 두께가 상이한 단턱부(1701)를 구비할 수 있으나, 도 21 및 22와 같이 커버부재(12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0)는 연결부재(1300)와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21 및 22와 같이 커버부재(1200)가 형성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커버부재(1200)와 연결부재(1300)가 서로 연결될 수 있고, 접합부재(1400)를 통해 소음제어장치(1000)가 유리패널(200)에 결합될 때, 커버부재(1200)가 사운드 출력부(1100)를 커버하면서 결합되어 있도록 할 수 있다. 연결부재(1300, 1301)는 커버부재(1200)가 연장된 형태이거나 별도로 형성된 연결부재(1300, 1301)가 커버부재(1200)에 결합되어 있는 형태일 수 있다. 즉, 상기 연결부재(1300, 1301)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나, 다른 구성들인 커버부재(1200)와 접합부재(1400) 및 사운드 출력부(1100)와 결합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접합부재(1400)는 유리패널(200)에 접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유리패널(200)에 결합되기 위한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이 공기 압착을 통해 결합되기 위한 구조일 수 있다. 이를 위해 내측으로 오목한 형태일 수 있으며, 접합부재(1400)에 의해 이에 연결된 연결부재(1300, 1301)는 유리패널(200)에 지지 및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고, 연결부재(1300, 1301)에 결합된 사운드 출력부(1100)나 커버부재(1200)도 유리패널(200)에 고정된 상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커버부재(1200)에서 상기 접합부재(1400)로 향하는 방향을 내측이라 하고, 상기 내측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을 외측이라 할 때, 상기 커버부재(1200)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0)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내측에 많은 구성요소들이 존재하면서도 외부로부터 커버되는 형상을 할 수 있으며, 인공음향이 방출되는 부분에서는 유리패널(200)의 표면과의 거리를 좁힘으로써 인공음향이 보다 멀리까지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0)는 보다 구체적으로, 외측으로부터 내측 방향으로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를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는 상기 커버부재(1200)의 중심부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접합부재(1400)가 형성하는 가상의 연장된 면과 상기 커버부재(1200)와의 거리는 상기 중심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갈수록 거리가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 커버부재(1200)가 사운드 출력부(1100)를 모두 커버한다는 것은 접합부재(1400)를 통해 유리패널(200)에 소음제어장치를 부착하였을 경우, 외부에서 바라보는 방향에서(즉, 외측에서 내측 방향으로 바라보았을 때) 커버부재(1200)에 의해 내부 구성이 보이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커버부재(1200)와 유리패널(200) 사이의 공간에서 사운드 출력부(1100)에서 발산되는 인공음향 모두가 내부 반사를 통해 폭이 상대적으로 좁은 부분(커버부재의 끝단과 유리패널 사이)을 통해 외부로 멀리까지 방출되어 제 유리패널들 사이에서 멀리까지 소음제어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비제한적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커버부재(1200), 연결부재(1300, 1301) 및 접합부재(1400, 1401)는 모두 투명한 재질로 형성되어 시인이 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창호의 개방감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부재(1450)는 상기 연결부재(1300)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도 26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부재(1300)에 결합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와 상기 접합부재(1400) 사이에 형성된 태양광패널(1500)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패널(1500)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설명과 같이, 접합부재(1400)는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고, 그럴 경우 상기 태양광패널(1500)로 태양광이 입사되어 자체적으로 전력원을 확보할 수 있고, 별도의 전원부 장치가 없더라도 사운드 출력부(1100)에서 인공음향이 발생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별도로 도시하진 않았으나, 도 26에서 커버부재(1200)는 생략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2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7을 참조하면, 연결부재(1300)와 결합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1100)와 상기 접합부재(1400) 사이에 형성된 가이드부재(1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재(1600)는 외측으로 볼록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이드부재(1600)는 상기 커버부재(1200) 보다는 작지만, 커버부재(1200)와 유사한 형태로 외측으로 볼록하게 형성되어 일종의 소리를 가이드 하는 통로를 형성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600)에 따라 커버부재(1200)와 유리패널 사이에서 외부로 방출되지 못하는 인공음향을 최소화할 수 있고, 인공음향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600)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커버부재(1200)와 유리패널 사이에서만 반사되고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소모적인 인공음향이 존재할 수 있는데, 상기 가이드부재(1600)를 통해 최대한 많은 인공음향이 바깥쪽으로 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1600)의 형상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가이드부재(1600)는 중심부에서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기 접합부재(1400)에 더 가까워지도록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가이드부재(1600)가 형성되는 경우 태양광패널(1500)은 상기 가이드부재(1600)를 태양광패널(1500)과 사운드 출력부(1100) 사이에 개재한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연결도체(1550)가 가이드부재(1600)의 일부를 관통함으로써, 태양광패널(1500)과 사운드 출력부(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2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소음제어장치의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8을 참조하면, 커버부재(1200)가 존재하는 경우 태양광 패널(1501)은 커버부재(12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부재(1200)에 태양광 패널(1501)이 배치됨으로써 보다 넓은 면적에서 태양광을 흡수할 수 있고 보다 많은 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여러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창호는 인공음향을 특정 위치로 발산함으로써,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소음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하거나 제어할 수 있으며, 많은 작업공간이나 설치공간을 차지하지 않고서도 외부 소음을 매우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창호 프레임
110: 창호 프레임의 지지면
115: 제 1결합부
120: 창호 프레임의 측벽
130: 창호 프레임의 바닥면
140: 창호 프레임 바닥면의 만곡면
145: 제 2결합부
150, 151: 제 1관통홀
155: 제 2관통홀
160: 직경조절부재
200: 유리패널
210: 제 1유리패널
220: 제 2유리패널
300, 301, 302, 303, 304, 305, 306, 307, 1100, 1101: 사운드 출력부
310, 311, 312, 313, 314, 315: 연결부재
320, 321, 323, 324: 커버부재
325-A, 326-A:
325-B, 326-B:
400, 401, 402: 배터리부
500: 전력공급부
600: 제어부
700: 태양광 패널
800, 801: 수납부
811: 연결부
900: 거치부
910: 거치부 다리
1000, 1001: 소음제어장치
1200: 커버부재
1300, 1301: 연결부재,
1400, 1401, 1450: 접합부재
1500, 1501: 태양광 패널
1550: 연결도체
1600: 가이드부재
1701: 단턱부

Claims (18)

  1.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타단에 형성된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 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배터리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부는 상기 제어부 및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창호 프레임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5.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면의 일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제 1결합부 및 상기 바닥면의 일부에 관통하여 형성된 제 2결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1사운드 출력부; 및 상기 제 2결합부에 결합되어 상기 바닥면의 외측 방향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제 2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6.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창호 프레임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1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의해 발생된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갈수록 직경이 줄어드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7. 삭제
  8.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창호 프레임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1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측 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의해 발생된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을 통해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창호 프레임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획되고, 상기 유리패널을 지지하는 지지면, 상기 지지면의 양단에 연결되어 절곡되는 복수의 측벽 및 상기 측벽에서 절곡되어 연결되고 상기 지지면과 평행하도록 형성된 바닥면을 포함하며,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 형성되고 상기 지지면의 하단부에 연결된 수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관통홀은 상기 수납부 상단에 위치하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지지면에 형성되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상기 수납부에 수납되어 상기 창호 프레임의 지지면과 상기 수납부 사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창호 프레임의 상기 바닥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 방향으로 만곡된 만곡면을 포함하며,
    상기 만곡면은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의 공간에서 외부 방향으로 연통되도록 관통되어 형성된 제 2관통홀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납부의 일부는 상기 제 2관통홀과 연결되어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발생하는 인공음향은 상기 제 1관통홀 및 제 2관통홀을 통해 상기 창호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로 발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소음제어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은 제 1유리패널, 제 2유리패널 및 상기 창호 프레임 상의 적어도 하나 이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1. 삭제
  12. 삭제
  13.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일단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를 커버하면서, 사운드 출력부가 내측에 위치하도록 하는 커버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서 발생한 인공음향의 진행방향을 가이드 하도록 관통되어 패턴으로 형성된 가이드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패턴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가 상기 창호에 배치될 때, 수평방향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에서 상기 제 2유리패널로 향하는 제 1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1가이드 패턴, 및 상기 제 1방향 수직한 제 2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이격되어 형성된 제 2가이드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 2가이드 패턴의 폭은 상기 제 1가이드 패턴의 폭 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커버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위치하며,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상기 커버부재는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6. 제 1유리패널,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이격되고 대향하여 배치된 제 2유리패널을 포함하는 유리패널;
    상기 유리패널을 내측에 고정하는 창호 프레임; 및
    적어도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으로 인공음향을 발생시키는 사운드 출력부를 포함하는 소음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창호 프레임, 상기 제 1유리패널 및 상기 제 2유리패널에 의해 구획되는 내측 공간에 배치되거나, 상기 창호 프레임 자체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되,
    상기 소음제어장치의 상기 사운드 출력부는 상기 제 1유리패널과 상기 제 2유리패널의 사이의 공간에서 상기 제 1유리패널 또는 상기 제 2유리패널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소음제어장치는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어 다른 부재에 결합되기 위한 연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에 결합되거나, 상기 사운드 출력부의 중심부를 관통함으로써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결합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타단에서 연장된 접합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합부재는 고무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된 흡착판 또는 상기 연결부재에 연결된 베이스기재의 일면 상에 도포된 접착물질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17. 삭제
  18.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상기 접합부재 사이에 형성된 태양광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태양광패널은 상기 사운드 출력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KR1020210031348A 2021-03-10 2021-03-10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KR102293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48A KR102293075B1 (ko) 2021-03-10 2021-03-10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1348A KR102293075B1 (ko) 2021-03-10 2021-03-10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3075B1 true KR102293075B1 (ko) 2021-08-25

Family

ID=774950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1348A KR102293075B1 (ko) 2021-03-10 2021-03-10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3075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92A (ja) * 1994-11-03 1997-01-21 Centre Scient Tech Batiment 音響減衰装置
KR200242293Y1 (ko) 2001-04-17 2001-10-11 주식회사 우정종합건축사무소 소음차단용 미닫이식 창문유니트
JP2001296874A (ja) * 2000-04-14 2001-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騒音低減装置
JP2004341056A (ja) * 2003-05-13 2004-12-02 Toshiba Corp 能動消音装置
CN201620733U (zh) * 2010-03-23 2010-11-03 李新民 一种抗噪音的窗户
KR20150002997A (ko) * 2013-06-28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층유리 창호 시스템 및 그 기능 제어방법
KR20170022284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 제어 장치
US20180313138A1 (en) * 2015-11-02 2018-11-01 Christian Carme Multi-glazed window incorporating an active noise reduction device
JP2019525223A (ja) * 2016-06-17 2019-09-05 オーエースイス アーゲー 室内のバックグラウンドノイズを能動的に補償するための平面状要素、およびそのための逆ノイズ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292A (ja) * 1994-11-03 1997-01-21 Centre Scient Tech Batiment 音響減衰装置
JP2001296874A (ja) * 2000-04-14 2001-10-26 Mitsubishi Electric Corp 騒音低減装置
KR200242293Y1 (ko) 2001-04-17 2001-10-11 주식회사 우정종합건축사무소 소음차단용 미닫이식 창문유니트
JP2004341056A (ja) * 2003-05-13 2004-12-02 Toshiba Corp 能動消音装置
CN201620733U (zh) * 2010-03-23 2010-11-03 李新民 一种抗噪音的窗户
KR20150002997A (ko) * 2013-06-28 2015-01-08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다층유리 창호 시스템 및 그 기능 제어방법
KR20170022284A (ko) * 2015-08-20 2017-03-02 주식회사 크리에이티브솔루션 층간 소음 저감이 가능한 소음 제어 장치
US20180313138A1 (en) * 2015-11-02 2018-11-01 Christian Carme Multi-glazed window incorporating an active noise reduction device
JP2019525223A (ja) * 2016-06-17 2019-09-05 オーエースイス アーゲー 室内のバックグラウンドノイズを能動的に補償するための平面状要素、およびそのための逆ノイズモジュー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905B1 (ko) 소리 입력이 가능한 냉장고
KR102492184B1 (ko) 멀티 충전기 및 살균기
KR101178111B1 (ko) 에어콘이 구비된 방음용 전화부스
KR102293075B1 (ko) 소음제어 기능을 가진 창호
CN105393299A (zh) 包括声衰减板的系统
CN107071631A (zh) 一种led光均匀导光结构及智能音箱
KR20080088179A (ko) 디스플레이장치용 지지장치 및 이를 갖춘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068267A (ko) 스피커 시스템
CN1723733A (zh) 骨传导扬声器装置
US11175022B2 (en) Lighting module assembly
JP2005186884A (ja) イルミネーションモジュール
JP2014096987A (ja) 電気自動車用給電装置
US20220034085A1 (en) Acoustic adjustment shelf
KR102228970B1 (ko) 유리에 결합되어 외부 소음을 제어하는 소음제어장치
KR101014425B1 (ko) 양면 라이팅 디스플레이 장치
KR20160072463A (ko) 공기충전식 방음부스
JP6852990B2 (ja) 自動ドア
KR100396596B1 (ko)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스탠드구조구조
KR101643098B1 (ko) Led조명이 구비되는 욕실천정재
JP2023037403A (ja) 構造体
CN217950028U (zh) 导光结构与门锁
JP2019197656A (ja) 住宅用内装品、室内用作業装置、手摺装置、洗面台ユニット、框構造、並びに、梁構造
KR20190001880U (ko) 단말기 수용이 가능한 침대헤드 및 이를 구비한 침대프레임
CN209915843U (zh) 一种马桶盖板的导光结构
WO2024196355A1 (en) Sectional door with edge-lit led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