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2283B1 -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 Google Patents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2283B1
KR102292283B1 KR1020190114897A KR20190114897A KR102292283B1 KR 102292283 B1 KR102292283 B1 KR 102292283B1 KR 1020190114897 A KR1020190114897 A KR 1020190114897A KR 20190114897 A KR20190114897 A KR 20190114897A KR 102292283 B1 KR102292283 B1 KR 10229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ho
protrusion
consumption
beekeeping
ma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8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318A (ko
Inventor
김순교
Original Assignee
김순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순교 filed Critical 김순교
Priority to KR10201901148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228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3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3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2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CARE OF BIRDS, FISHES, INSECTS;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Abstract

본 발명은 양봉용 소비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소비에 구성되는 구성요소인 소초의 재질을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소초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에 관한 것으로써, 양봉용 소비의 구성요소인 소초와 소광에 있어 상기 소초를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하고, 소광을 나무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소초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beekeeping bee comb for recycling of comb foundation}
본 발명은 양봉용 소비에 관한 것으로써, 상기 소비에 구성되는 구성요소인 소초의 재질을 합성수지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소초에 대한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양봉시 사용하는 소비(巢脾)라 함은 일정한 틀 형태의 소광에 인공소초가 결합된 것으로, 벌통 내에 삽입되어 여왕벌이 알을 낳고 일벌은 새끼들을 기르며 꿀과 화분을 저장한다.
이와 같은 소비는 벌통의 내부에 수납상태로 얹어 놓을 수 있도록 상부 양단에 지지대가 형성되는 목재로 짜이는 소광과, 상기 소광에 결합되는 밀랍으로 제작한 인공소초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인공소초의 결합은 소광의 상부지지대의 밑면에 형성된 끼움홈으로 인공소초의 상단을 삽입시키고, 양측의 수직프레임 내면에는 철사 등과 같은 와이어를 결속한 후 그 와이어의 상부에 인공소초를 녹여 붙이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소비는 소광의 제작이 불편할 뿐만 아니라, 소광에 부착된 인공소초에 점진적으로 채집되는 꿀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하중에 의하여 인공소초가 소광으로부터 쉽게 이탈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원자재(목재)의 값이 너무 비싸고 대량생산이 불가하여 경제성이 현저하게 저하되며, 특히 인공소초에 꿀이 채집되는 과정에서 일정 부분에만 꿀이 채집되는 경우 인공소초의 일부가 처지거나 비틀림이 발생함으로써 벌통 내의 다른 소비와의 간섭으로 인한 인공소초의 파손 및 인출 또한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종래의 소비는 소초틀이 목재재질을 이용하여 밀랍되어 있어 소비 자체에 대한 가격이 고가로 책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등록번호 제20-0281218호의 '양봉용 소초광'과, 등록번호 제20-0345465호의 '양봉용 소비'와, 등록번호 제20-0369756호의 '양봉용 사양기'와, 등록번호 제10-0912713호의 '꿀벌친화형 인공소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양봉용 소비' 및 공개번호 제10-2018-0075917호의 '양봉용 소비와 이를 이용한 벌통'이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양봉용 소비의 구성요소인 소초와 소광에 있어 상기 소초를 합성수지재질로 구성하고, 소광을 나무재질로 구성하여 상기 소초를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양봉용 소비를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벌통의 내부에 다수개가 직립 설치되되 육각형의 봉소를 형성하도록 봉소틀이 다수개 형성된 소초와, 상기 소초의 테두리를 감싸는 소광으로 구성된 양봉용 소비에 있어서, 상기 소초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되 외주에는 소초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소광은 나무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소초와 결합되는 부분에 소광결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를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에 따르면, 상기 소비에 구성된 소초를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소초에 대해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였고, 상기 소초에 육각형으로 형성된 봉소틀의 높이를 한정하고, 각각의 봉소에 하나 이상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꿀벌들이 숨을 쉴 수 있으며, 꿀벌들의 주거환경이 상승되어 꿀의 채집량이 늘어나서 생산성을 상승시킬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소초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 중 소광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성 중 소초결합부와 소광결합부의 결합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분해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도 4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구성 중 봉소틀을 나타내는 정면도
도 8은 도 7의 봉소틀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인 양봉용 소비는 벌통의 내부에 다수개가 직립 설치되되 육각형의 봉소를 형성하도록 봉소틀(120)이 다수개 형성된 소초(100)와, 상기 소초(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소광(200)으로 구성된 양봉용 소비에 있어서, 상기 소초(100)는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되 외주에는 소초결합부(110)가 형성되고, 상기 소광(200)은 나무재질로 구성되되 상기 소초(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소광결합부(21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소초결합부(110)에는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소광결합부(210)에는 상기 돌출부(111)와 대응되며 상호 결합되는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봉소틀(120)의 깊이는 4mm ~ 6mm로 이루어진다.
상기 소광(200)은 소초(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소광(201)과, 소초(1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소광(203) 및 소초(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소광(205)으로 구성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양봉용 소비는 벌통의 내부공간에 다수개가 직립 설치되는 소비로써, 일반적으로 육각형의 봉소를 형성하는 봉소틀(120)이 다수개 형성된 소초(100)와, 상기 소초(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소광으로 구성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소초(100)를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도록 하였다.
상기 소초(100)의 외주에는 하기 소광(200)이 결합될 수 있도록 소초결합부(11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소초(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소광(200)은 나무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소광(200)에는 상기 소초(100)가 결합될 수 있도록 소광결합부(210)가 형성된다.
상기 소광(200)은 소초(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소광(201)과, 소초(100)의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소광(203) 및 소초(100)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소광(205)으로 구성된다.
상기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의 경우, 소초(100)의 테두리를 감싸는 소광(200)이 상기 소초의 사면에 각각 결합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소초결합부(110)에는 돌출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소광결합부(210)에는 상기 돌출부(111)와 대응되며 상호 결합되는 홈부(21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부(111)는 외측방향으로 돌출을 이루는 돌출부분이 형성되되 일자형상('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분의 끝부에서 양측으로 연장을 이루는 연장부분이 같이 형성('ㅜ'자 형상)될 수도 있다.
상기 'ㅜ'자 형상의 경우에는 양측으로 연장을 이루는 연장부분이 'ㅡ'자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라운드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홈부(211)는 상기 돌출부(111)와 대응되는 소광결합부(210)의 일 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돌출부(111)의 형성에 대응되도록 홈부(211)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11)가 'ㅜ'형상으로 형성 시에는 소광결합부(210)의 일측 끝부가 개방되어 있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111)가 결합되는 면의 일 측에 'ㅜ'형상의 연장부분이 삽입되도록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의 끝부 각각에는 상호 대응하며 꺾임 된 지지돌출부(113)와 지지홈(213)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돌출부(113)와 지지홈(213)은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의 결합 시, 결합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 지지돌출부(113), 홈부(211), 지지홈(213)의 결합되는 면에는 일정 각도를 이루는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걸림돌기는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가 각각 일측 끝부에서 상호 끼움 결합하며 슬라이딩하게 되는데, 이때, 슬라이딩되는 방향으로 일정 각도를 이루게 된다.
상기 소초결합부(110) 또는 소광결합부(210)가 일측 방향으로 슬라이딩 후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 시에 상기 걸림돌기의 각도로 인해 역방향으로 슬라이딩이 불가하게 하였다.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는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에 각각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가 혼합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가 혼합으로 형성 시, 각각의 형상이 일정간격 이격을 이루며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는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 각각에 한정하지 않고, 상호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돌출부(111)와 홈부(211)가 상호 반대로 형성될 경우, 소초결합부(110)에 홈부가 형성되고, 소광결합부(210)에 돌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돌출부(111)와 홈부(211)가 형성되는 위치 및 형상에 대해서는 소초결합부(110)와 소광결합부(210)의 결합을 위해 한정하지 않겠다.
봉소틀은 일반적으로 출시되고 있는 소초(제품화 된 소초) 또는 꿀벌이 봉소틀을 직접 제작함에 따른 소초의 봉소틀 깊이가 통상적으로 11 ~ 13mm의 깊이를 가진다.
이에 본 발명에 적용되는 봉소틀(120)은 일 측면과 타 측면을 상호 잊는 깊이를 (도 8의 A - A에 도시된 깊이) 4mm ~ 6mm로 하였다.
이는 본 발명인 소초(110)에서 4 ~ 6mm로 직접 봉소틀(120)의 깊이를 제품화 하였고, 통상적인 높이에서 제품화 된 깊이를 제외한 부분은 꿀벌이 직접 제작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깊이에 대한 한정으로 벌통의 내부공간에 삽입된 소비와 소비 사이의 간격을 넓게 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꿀벌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벌꿀을 채밀기로 삽입하여 채밀 하기 전, 밀도(벌집을 칼로 깍아냄. 밀봉 제거)를 하게 되는데, 이때 꿀벌이 직접 제작한 봉소틀에 한해서만 밀도작업을 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밀도작업을 한 부분에 대해서는 꿀벌이 봉소틀을 직접 제작시에 벌의 알이 위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봉소틀(120)의 높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일반적으로는 봉소틀(120) 내에 왕벌이 산란을 하여 일벌이 태어나게 된다.
이때, 왕벌이 산란을 못하게 되면 무정란으로 벌이 태어나는데, 이렇게 태어난 벌이 숫벌로 된다.
숫벌은 일벌보다 체구가 큼으로 인해 봉소틀(120)의 크기도 일벌이 만든 봉소틀(120) 보다 크게 된다.
또한, 상기 숫벌이 태어난 봉소틀(120)에는 왕벌이 산란을 하지 않게 되어 결과적으로 숫벌이 태어난 봉소틀(120)에 대해서는 무용지물이 된다.
이와 같이 숫벌이 태어난 봉소틀(120)에 대해 일벌이 태어날 수 있도록 상기 봉소틀(120)의 일부분을 깍아내게 되는데, 이를 밀도작업 또는 밀봉제거라고 표현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봉소틀(120)의 높이를 한정하여 제작함으로써 일벌의 할일을 일부분 덜어주도록 하였고, 나머지 봉소틀(120)의 높이에 대해서만 일벌이 작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숫벌이 태어난 봉소틀(120)과 같이 무용지물 된 부분에 대해서는 밀도작업을 진행하여 일벌이 태어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봉소틀(120)이 육각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각각의 봉소틀(120) 사이를 형성하는 두께에 대해서도 0.25mm ~ 1mm의 두께로 한정하였다.
또한, 상기 각각의 봉소틀(120)을 이루는 측벽에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관통홈(121)이 형성된다.
상기 관통홈(121)은 각각의 봉소틀(120)에 꿀벌이 입주 후, 각각의 봉소틀(120)에 입주한 꿀벌의 소통과 숨구멍역활을 한다.
상기 관통홈(121)이 다수개 형성 시, 측벽의 외측에서 중심으로 갈수록 관통홈의 너비가 넓어지거나 또는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관통홈의 너비가 넓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핵심요소인 소초(100)에 대해서는 합성수지재를 이용하여 사출, 성형하였다.
상기 소초(100)를 합성수지재로 성형함에 따라 봉소틀(120)이 성형되어 있어 꿀벌이 봉소틀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아도 되어 꿀벌의 노동력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로 인해 꿀벌이 꿀에 대한 생산력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소비에 구성된 소초를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하여 상기 소초에 대해 재활용이 가능토록 하였고, 상기 소초에 육각형으로 형성된 봉소틀의 높이를 한정하고, 각각의 봉소에 하나 이상 다수개의 통공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동을 원활하게 하여 꿀벌들이 숨을 쉴 수 있으며, 꿀벌들의 주거환경이 상승되어 꿀의 채집량이 늘어나서 생산성을 상승시킬 수 있다.
10 : 소비
100 : 소초 110 : 소초결합부 120 : 봉소틀
200 : 소광 210 : 소광결합부
201 : 상부소광 203 : 측면소광 205 : 하부소광

Claims (4)

  1. 벌통의 내부공간에 다수개가 직립 설치되되,
    외주에 돌출부(111)가 형성된 돌출결합부(110)가 구성되고 내부에 육각형의 봉소를 형성하도록 봉소틀(120)이 다수개 형성되며 합성수지재질로 사출, 성형되는 소초(100)와,
    상기 소초(100)의 테두리를 감싸되 소초(100)의 상부에 위치되는 상부소광(201)과, 측면에 위치되는 측면소광(203) 및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소광(205)으로 구성되며 상기 소초(100)와 결합되는 부분에 상기 돌출부(111)와 대응되는 홈부(211)가 형성된 소광결합부(210)가 형성되며 나무재질로 구성되는 소광(200)으로 구성된 양봉용 소비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111)는 'T'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홈부(211)는 상기 돌출부(11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봉소틀(120)의 깊이는 4mm ~ 6mm, 측벽(두께)는 0.25mm ~ 1mm, 상기 측벽에는 다수개의 관통홈(121)이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111), 홈부(211) 각각의 양측에는 상호 대응하며 꺾임된 지지돌출부(113), 지지홈(21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90114897A 2019-09-18 2019-09-18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KR10229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97A KR102292283B1 (ko) 2019-09-18 2019-09-18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897A KR102292283B1 (ko) 2019-09-18 2019-09-18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18A KR20210033318A (ko) 2021-03-26
KR102292283B1 true KR102292283B1 (ko) 2021-08-20

Family

ID=75259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897A KR102292283B1 (ko) 2019-09-18 2019-09-18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228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13B1 (ko) * 2009-04-10 2009-08-19 주식회사 디엠디 꿀벌친화형 인공소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양봉용 소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2713B1 (ko) * 2009-04-10 2009-08-19 주식회사 디엠디 꿀벌친화형 인공소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양봉용 소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318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223B1 (ko) 양봉용 소비
JP7438260B2 (ja) 容器および容器と産卵構造との組み合わせ
KR100912713B1 (ko) 꿀벌친화형 인공소초 및 이를 이용한 조립식 양봉용 소비
KR102292283B1 (ko) 소초의 재활용이 가능한 양봉용 소비
US4372000A (en) Beehive frame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US20190075762A1 (en) Breeding comb for solitaire bees
CN107410098B (zh) 可循环取蜜的蜜蜂活动巢框
KR101935479B1 (ko) 양봉용 밀랍분리도구
US4374440A (en) Honeycomb
US20190069526A1 (en) Beehive frame storage container
KR20200031844A (ko) 해충 유인용 인조벌집 및 이를 이용한 친환경 벌꿀 생산방법
KR200345465Y1 (ko) 양봉용 소비
KR102031501B1 (ko) 다기능 양봉용 벌통
KR101928265B1 (ko) 헛집 짖기 방지 기능을 갖는 양봉용 사양기
KR102376549B1 (ko) 토종벌 개량벌통용 회전소비장
JP2748966B2 (ja) ハナバチ類用人工巣
KR101442994B1 (ko) 특정 형상 성형용 벌집꿀 채집틀과 그 조립체
KR102426800B1 (ko) 분리형 벌통용 소비
KR102475517B1 (ko) 벌통
KR200281218Y1 (ko) 양봉용 소초광
JP2003210060A (ja) 小動物飼育ケージのケージカバー
KR200282594Y1 (ko) 벌통
KR102476577B1 (ko) 자동사양기가 양측에 설치된 사양격리판
KR101797822B1 (ko) 양봉용 소초유닛
KR200372162Y1 (ko) 벌통용 격왕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