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7822B1 - 양봉용 소초유닛 - Google Patents

양봉용 소초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7822B1
KR101797822B1 KR1020150167262A KR20150167262A KR101797822B1 KR 101797822 B1 KR101797822 B1 KR 101797822B1 KR 1020150167262 A KR1020150167262 A KR 1020150167262A KR 20150167262 A KR20150167262 A KR 20150167262A KR 101797822 B1 KR101797822 B1 KR 1017978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plate
small
frames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2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579A (ko
Inventor
장봉환
Original Assignee
장봉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봉환 filed Critical 장봉환
Priority to KR10201501672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7822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78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78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6Other details of beehives, e.g. ventilating devices, entrances to hives, guards, partitions or bee escap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47/00Beehives
    • A01K47/04Artificial honeycomb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51/00Appliances for treating beehives or parts thereof, e.g.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Table Equipment (AREA)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따른 견고한 지지구조에 의해 비틀림 등을 예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며, 간단한 구성에 의한 착탈구조에 의해 청소 등의 관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재사용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소초유닛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면적으로 된 판상에 다수의 허니셀(32)이 구획 형성된 소초판(31)과; 상기 소초판(31)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호 착탈 또는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 규격의 틀형태로 구비된 제1 소초프레임(40) 및 제2 소초프레임(41)과; 상기 제1 및 제2 소초프레임(40,41)의 상호 결합시에 내재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된 코어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양봉용 소초유닛{Hive base plate unit of a bee keeping}
본 발명은 양봉용 소초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성에 의해 내구성이 우수하면서도 제작상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간단한 착탈구조에 의해 관리 및 재사용 등의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소초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양봉에서 사용되는 소초유닛은 벌들이 벌집을 짓는 데에 용이하도록 벌집의 기본 형태를 갖추어 벌통에 삽입되는 판으로, 이를 도 1에 의해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소초유닛(20)은 육각형의 허니셀(23)이 다수로 구획된 사각판 형태의 소초판(21)과 이 소초판(21)의 둘레를 감싸도록 된 사각틀 형태의 소초프레임(22)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이러한 소초유닛(20)은 다수가 벌통(10)에 삽입되어 상기 소초판(21)에 형성된 벌집모양의 허니셀(23)을 따라 벌들이 집을 짓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소초유닛(20)에 있어서, 상기 소초판(21)은 실제로 벌들이 집을 짓는데 사용하는 밀납에 의해 판형태로 성형한 것이고, 상기 소초프레임(22)을 목재를 이용하여 사각틀 형태를 이루도록 상호 결합하여 제작한 것이다.
그런데 종래에는 상기 소초판(21)의 경우에 밀납에 의해 판형태로 제작함에 따라 강성이 취약할 뿐만 아니라 위치를 견고하게 유지하는 데에 한계가 있는 것이고, 이를 위해 상기 소초프레임(22)에 결속된 상태로 상기 소초판(21)을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와이어(24)에 의해 상기 소초판(21)을 지지하여 전술된 바와 같은 강성의 취약함이나 위치이탈의 문제 등을 해결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처럼 소초판(21)을 보강하기 위해 와이어(24)를 결속하는 경우에는 상기 와이어(24)를 소초프레임(22) 상에 결속하는 작업상의 어려움이 따를 뿐만 아니라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길어 작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상기 소초판(21)의 파손이나 변형 등에 의해 재사용의 가능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상기 소초프레임(22) 자체를 상호 결합하기 위해 목재를 재단하거나 못 등을 사용하여 조립 및 제작하는 데에 번거로움이 따르는 것이다.
한편, 일부에서는 전술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합성수지에 의해 소초판(21)을 성형 제작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도 2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일례에 따른 소초판(21)은 중앙부분에 지그재그 형태로 된 베이스벽(25)이 형성되고, 이 베이스벽(25)의 양측으로 일정 두께로 돌출된 벌방유도벽(26)이 형성되며, 상기 벌방유도벽(26)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연장되는 벌방벽(27)이 형성되게 된다.
이러한 벽의 구성에 의해서는 다수의 벌방(28)을 구획 형성되는데, 합성수지에 의해 소초판(21)을 제작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이스벽(25)과 벌방유도벽(26) 만을 일체로 성형한 후에 상기 벌방유도벽(26)을 따라 벌들이 밀납을 분비하여 벌방벽(27)을 형성하도록 제작되거나 상기 벌방벽(27)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 제작하게 되는데,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는 소초판(21)은 벌들의 생육환경에 적합하도록 표면에 밀납을 코팅하여 완성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으로 벌들에 의해 제작되는 벌방벽(27)은 대략 0.1mm 두께를 12mm 정도의 높이로 벌들이 분비하는 밀납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나, 합성수지에 의해 제작되는 소초판(21)은 강성 등을 고려하여 대략 1mm 정도의 두께로 벽을 형성함에 따라 동일 규격의 소초판(21) 상에 형성되는 벌방(28)이 상대적으로 협소해지거나 벌방(28)의 수가 작아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처럼 합성수지에 의해 일정 높이로 벌방벽(27)에 의해 벌방(28)이 형성된 상태로 밀납을 코팅하는 경우에는 벌방(28)의 좁은 틈새 등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납을 도포가 어려워 코팅불량 등이 발생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밀납이 코팅되지 않은 벌방(28)에 의해 벌들의 생육환경에 적합하지 않음에 따른 벌들의 산란이아 육아 또는 꿀 생산 등에 심각한 피해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28157호(2001. 04. 10)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118933호(2014. 10 .08)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에 따른 견고한 지지구조에 의해 비틀림 등을 예방하여 내구성이 우수한 제품을 제공하며, 간단한 구성에 따른 착탈구조에 의해 청소 등의 관리가 용이함과 동시에 재사용 등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양봉용 소초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일정 면적으로 된 판상에 다수의 허니셀(32)이 구획 형성된 소초판(31)과;
상기 소초판(31)과는 별도로 구비되어 소초판(31)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호 착탈 또는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 규격의 틀형태로 구비된 제1 소초프레임(40) 및 제2 소초프레임(41)과;
상기 제1 및 제2 소초프레임(40,41)의 상호 결합시에 내재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된 코어부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체결수단(42)과, 상기 체결수단(42)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5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결합홈(49)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소초판(31)의 둘레에 대응된 장착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소초판(31)에는 상기 장착홈(45)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상에 장착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양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거치돌기(46)와, 상기 거치돌기(46)에 인접된 위치에 오목하게 파인 손잡이홈(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소초판(31)은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 제작된 베이스판(34)과, 이 베이스판(34)의 표면에 도포되는 밀납코팅층(3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판(34)은 양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반구형 단면 형태로 된 다수의 제1 및 제2 만곡홈(36,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만곡홈(36)과 제2 만곡홈(37)을 상호 연통시켜 코팅작업 시에 밀납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된 연통공(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이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소초판(31)을 지지하도록 된 프레임의 구성이 상호 착탈 가능한 제1 소초프레임(40)과 제2 소초프레임(41)으로 구비되고,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의 결합시에 일정 길이로 연장된 코어부재(50)가 내재되도록 구비됨으로써, 상기 소초판(31)으로부터 분리되는 소초프레임(40,41)의 구조에 의해 교체나 청소 등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그에 따른 소초판(31)이나 소초프레임(40,41)의 재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소초프레임(40,41)은 상호 착탈 가능하도록 된 체결수단(42)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코어부재(50)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49)이 형성됨으로써, 합성수지에 의해 상기 소초프레임(40,41)을 성형 제작할 때에 상기 각 구성을 일체로 성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부재(50)를 별도로 구비하여 상기 소초프레임(40,41)을 성형 제작할 때에 재료의 소비량 등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초프레임(40,41)은 틀의 내측 둘레로 소초판(31)에 대응된 장착홈(45)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소초프레임(40,41)에 의해 소초판(31)을 지지하도록 결합할 때에 결합상태에서의 전체적인 두께를 컴팩트하게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소초판(31)의 위치를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소초판(31)의 둘레면에는 상기 장착홈(45)에 대응된 장착돌기(33)가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장착돌기(33)에 의해 소초프레임(40,41) 상에 결합이 가능하여 소초판(31)의 면상에 다수로 구획된 허니셀(32)의 일부가 소초프레임(40,41)에 맞물림에 따른 생산손실 등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초프레임(40,41)에는 양측에 거치돌기(46)가 형성되고, 그 거치돌기(46)에 인접되어 손잡이홈(47)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거치돌기(46)에 의해 벌통 상에 용이하게 거치함과 동시에 상기 손잡이홈(47)에 의해 벌통으로부터 소초프레임(40,41)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소초판(31)은 합성수지에 의해 베이스판(34)을 성형 제작하고, 상기 베이스판(34) 상에 반구형의 만곡홈(36,37)과 연통공(38)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만곡홈(36,37)에 밀납코팅층(35)의 형성되어 밀납의 흐름이 원활함과 동시에 상기 연통공(38)에 의해 밀납의 배출이 이루어져 코팅작업의 편리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품질이 우수한 소초판을 제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일례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측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에 따른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단면도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초유닛(30)은 사각단면으로 된 판상에 육각형의 허니셀(32)이 다수로 구획 형성된 소초판(31)이 구비되고, 이 소초판(31)의 둘레에는 사각틀 형태로 된 소초프레임(40,41)이 결합되며, 상기 소초프레임(40,41)은 상기 소초판(31)의 전면과 후면둘레를 각각 지지하도록 상호 분리 가능한 제1 소초프레임(40)과 제2 소초프레임(41)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를 포함한 상세한 구성을 도 4 내재 도 7을 더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초판(31)은 면상에 다수의 허니셀(32)이 형성되고, 둘레면에 일정 면적으로 된 장착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것이고, 상기 소초프레임(40,41)은 상호 대응된 사각틀 형상으로 구비되어 체결수단(42)에 의해 상호 결합 또는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데, 상기 체결수단(42)은 상기 제1 소초프레임(40)의 배면 둘레에 돌출 형성된 다수의 체결핀(43)과, 상기 체결핀(43)에 대응되도록 상기 제2 소초프레임(41)의 둘레면에 형성된 체결공(44)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 상에는 틀의 내측 둘레로 상기 소초판(31)의 장착돌기(33)에 대응된 장착홈(45)이 형성되고, 상단 양측에는 좌우로 돌출되는 거치돌기(46) 및 손잡이홈(47)이 형성되며, 상기 거치돌기(46)나 손잡이홈(47) 상에는 요철(48)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의 상측면은 다른 측면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44)과 장착홈(45)의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연장되는 결합홈(49)이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홈(49) 상에는 상기 제1 및 제2 소초프레임(40,41)의 상호 결합시에 내재되도록 각형태로 된 코어부재(50)가 삽입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있어서, 상기 소초판(31)과 소초프레임(40,41)은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소초프레임(40,41)의 변형이나 비틀림이 발생됨에 따라 상기 소초판(31) 자체의 변형이 발생될 우려가 있음을 감안하여 상기 소초프레임(40,41) 상에 상기 코어부재(50)를 내장하여 상기 소초프레임(40,41)을 견고하게 지지함에 따라 변형이나 비틀림을 방지하도록 구비되고, 상기 코어부재(50)는 목재를 규격에 맞게 재단하여 자체의 중량과 강성에 의해 상기 소초프레임(40,41)의 변형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작 및 재사용 등의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소초판(31)은 전면과 후면에 다수의 허니셀(32)이 형성되는데, 이를 위해 합성수지 재질에 의해 성형 제작되는 베이스판(34)과, 이 베이스판(34) 상에 표면 코팅되는 밀납코팅층(35)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으로, 상기 베이스판(34)은 양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반구형 단면 형태로 된 만곡홈(36,37)이 형성되고, 상기 만곡홈(36,37)은 상기 베이스판(34)의 전면에 형성되는 제1 만곡홈(36)과 이 제1 만곡홈(37)에 대응되도록 베이스판(34)의 후면에 형성되는 제2 만곡홈(37)으로 이루어지며, 이 제1 만곡홈(36)과 제2 만곡홈(37)은 일정 크기로 된 연통공(38)에 의해 상호 연통되도록 구비된 것이다.
이러한 베이스판(34) 상에 밀납을 도포하여 밀납코팅층(35)을 형성하게 되면, 전면과 후면에 상호 대응되는 만곡홈(36,37)이 상기 연통공(38)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밀납 도포시에 상기 연통공(38)을 통해 밀납의 배출 및 흐름이 원활하게 되고, 이에 의해 베이스판(34) 상에 전체적으로 균일한 밀납코팅층(35)을 형성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상기 연통공(38)은 밀납의 경화과정에서 일부가 채워짐에 따라 자연스럽게 폐쇄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연통공(38)은 코팅과정 중에 일부가 완전하게 밀폐되지 않은 경우라도 제품의 불량이 아니라 벌들에 의해 최소한의 작업의 쉽게 메워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만곡홈(36,37)의 선단 부분을 대략 0.1mm 정도로 첨예하게 유지하여 벌들에 의해 벌방벽(39)을 형성할 때의 두께를 용이하게 유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초유닛(30)은 상기 거치돌기(46)에 의해 벌통의 프레임(11) 상면에 안착되는데, 이때에 상기 거치돌기(46) 상에는 요철(48)이 형성됨에 따라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한 거치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거치돌기(46)에 인접하여 오목하게 파인 손잡이홈(47)이 형성됨에 따라 소초유닛(30)을 벌통에 삽입하거나 빼낼 때에 프레임(11)과의 사이에 손가라을 삽입할 수 있는 틈새를 형성하여 그립상의 편리함을 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벌통 11: 프레임
30: 소초유닛 31: 소초판
32: 허니셀 33: 장착돌기
34: 베이스판 35: 밀납코팅층
36,37: 만곡홈 38: 연통공
39: 벌방벽 40: 제1 소초프레임
41: 제2 소초프레임 42: 체결수단
43: 체결핀 44: 체결공
45: 장착홈 46: 거치돌기
47: 손잡이홈 48: 요철
49: 결합홈 50: 코어부재

Claims (5)

  1. 일정 면적으로 된 판상에 다수의 허니셀(32)이 구획 형성된 소초판(31)과;
    상기 소초판(31)과는 별도로 구비되어 소초판(31)의 둘레를 지지하도록 상호 착탈 또는 개폐 가능하게 결합되는 일정 규격의 틀형태로 구비된 제1 소초프레임(40) 및 제2 소초프레임(41)과;
    상기 제1 및 제2 소초프레임(40,41)의 상호 결합시에 내재되도록 일정 길이로 연장된 각목형태의 코어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상호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구비된 체결수단(42)과, 상기 체결수단(42)의 일측에 일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코어부재(50)를 삽입할 수 있도록 된 결합홈(49)이 형성되고;
    상기 소초판(31)은 합성수지에 의해 성형 제작된 베이스판(34)과, 이 베이스판(34)의 표면에 도포되는 밀납코팅층(35)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베이스판(34)은 양면에 상호 대응되도록 반구형 단면 형태로 된 다수의 제1 및 제2 만곡홈(36,37)이 형성되고, 상기 제1 만곡홈(36)과 제2 만곡홈(37)을 상호 연통시켜 코팅작업 시에 밀납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된 연통공(38)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틀의 내측 둘레를 따라 상기 소초판(31)의 둘레에 대응된 장착홈(45)이 형성되고;
    상기 소초판(31)에는 상기 장착홈(45)에 대응되도록 둘레면 상에 장착돌기(3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소초프레임(40,41)에는 양측에 일정 길이로 돌출되는 거치돌기(46)와, 상기 거치돌기(46)에 인접된 위치에 오목하게 파인 손잡이홈(47)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봉용 소초유닛.
  5. 삭제
KR1020150167262A 2015-11-27 2015-11-27 양봉용 소초유닛 KR1017978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262A KR101797822B1 (ko) 2015-11-27 2015-11-27 양봉용 소초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262A KR101797822B1 (ko) 2015-11-27 2015-11-27 양봉용 소초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79A KR20170062579A (ko) 2017-06-08
KR101797822B1 true KR101797822B1 (ko) 2017-11-16

Family

ID=59220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262A KR101797822B1 (ko) 2015-11-27 2015-11-27 양봉용 소초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782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140675A (zh) * 2019-05-30 2019-08-20 杭州晶雁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自动识别机用新型蜂巢板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97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KR200477480Y1 (ko) * 2013-11-20 2015-06-12 대광공업(주) 벌꿀 채집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197B1 (ko) * 2009-12-22 2010-07-09 (주)비센 양봉용 프라스틱 소초광 및 그 제조방법
KR200477480Y1 (ko) * 2013-11-20 2015-06-12 대광공업(주) 벌꿀 채집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579A (ko)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106272B (zh) 牙缝清洁工具的制造方法
EP2509464B1 (en) Toothbrush
USD906691S1 (en) Hair brush
USD632894S1 (en) Brush head for electric toothbrush
USD509148S1 (en) Cosmetic container with cap
USD600023S1 (en) Toothbrush
US7690733B2 (en) Method for tufting bristles and brush using the same
USD923259S1 (en) Pet hair brush
KR20140006772A (ko) 강모 영역 형상부를 구비한 칫솔
KR101307537B1 (ko) 칫솔의 제조방법
JP2006517446A5 (ko)
JP2009523668A (ja) 1回分量要素およびチャンバ
USD666732S1 (en) Personal vibrator in the shape of a mascara brush housed within a mascara container
USD604513S1 (en) Mascara brush
JP2007502229A5 (ko)
KR101797822B1 (ko) 양봉용 소초유닛
USD961940S1 (en) Cosmetic brush ferrule
JP5553679B2 (ja) 歯科技工用作業模型
KR101394949B1 (ko) 벌꿀용 광식 사양기
USD903957S1 (en) Cat play mat
EP2022367B1 (en) Make-up brush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D526787S1 (en) Toothbrush with releasable, replaceable head
CN109862806A (zh) 牙刷的制造方法
CN213487507U (zh) 一种毛刷
KR101822734B1 (ko) 석고몰드를 이용한 방향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