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311B1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2291311B1 KR102291311B1 KR1020190085000A KR20190085000A KR102291311B1 KR 102291311 B1 KR102291311 B1 KR 102291311B1 KR 1020190085000 A KR1020190085000 A KR 1020190085000A KR 20190085000 A KR20190085000 A KR 20190085000A KR 102291311 B1 KR102291311 B1 KR 10229131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hicle
- user terminal
- communication module
- location
- mod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401—Circuits for selecting or indicating operating mod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04B1/50—Circuits using different frequencies for the two directions of communic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B60R25/245—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where the antenna reception area plays a ro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1—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 B60R21/013—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 B60R21/0134—Electrical circuits for triggering passive safety arrangements, e.g. airbags, safety belt tighteners, in case of vehicle accidents or impending vehicle accidents including means for detecting collisions, impending collisions or roll-over responsive to imminent contact with an obstacle, e.g. using radar system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60R25/04—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operating on the propulsion system, e.g. engine or drive mot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1—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human presence inside or outside the vehicl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30—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 B60R25/34—Detection related to theft or to other events relevant to anti-theft systems of conditions of vehicle components, e.g. of windows, door locks or gear selector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3—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20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he radio access network or backbone network of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in access points, e.g. base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25/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vehicle anti-theft devices
- B60R2325/10—Communication protocols, communication systems of vehicle anti-theft devices
-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71—Connecting lockparts by electronic communication means only, e.g. bus systems, time multiple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송신하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제1 통신 모듈이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wake-up)시키고,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포브(FOB) Key 외에도 차량의 제어를 위해 헨드헬드 기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는 기술이 다수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차량을 제어하는 기술의 경우, RF/LF 통신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추정하고, 초음파 센서를 통하여 차량 내부 또는 외부의 사용자 또는 물체를 감지한다.
한편, RF/LF 통신을 이용하는 경우 릴레이 장비를 통한 해킹 사례가 발생하고, 초음파 센서를 이용하는 경우 이물질에 의한 성능 저하가 발생하는 문제가 제기된다.
일 측면은 사용자 단말과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wake-up)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 시동 여부 또는 도어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3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차량 내부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기어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5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또한, 도어를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Unlock)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도어를 잠금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시동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시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잠금해제된 이후, 상기 도어의 상태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면 시동을 턴온하도록 상기 시동 장치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UWB(Ultra Wide Band) 통신 모듈일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은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wake-up)시키고;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 시동 여부 또는 도어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3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기어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5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또는 외부 물체에 대한 정확한 위치 판단이 가능하므로,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원격 제어의 정확도가 증대될 수 있으며, 주행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단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및 사용자 단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원격 제어 등의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량(100)에 등록된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도어(15L,15R)의 터치 감지부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경우, 차량(100)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사용자 단말(200)과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완료되면 차량(100)의 도어 락이 해제되어 사용자의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에 의해 도어(15L,15R)가 개방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는 운전자 뿐만 아니라, 차량(100) 내 탑승한 동승자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한 자를 의미한다.
또한,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근접한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차량(100)의 전조등(11L, 11R) 또는 손잡이(17L, 17R)에 마련된 램프를 턴 온(Turn on)하는 등의 웰컴 라이트 기능을 제공할 수도 있다.
이러한 다양한 사용자 편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하여,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검색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식별할 수도 있다. 이 때, 검색 신호는 어드버타이징 패킷(Advertising Packet)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네트워크를 통해 차량(100)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태블릿 PC, 슬레이트 PC 등을 포함하고, 휴대용 단말기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와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등과 같은 웨어러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제1 통신 모듈(110), 제 2 통신 모듈(120), 제어부(130), 전자 장치(140)를 포함한다.
제1 통신 모듈(110)은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1 통신 모듈(110)은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110)은 BLE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통신 모듈(110)은 약 2.4GHz의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200)이 송신하는 검색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110)은 상시 전원과 연결되어 차량(100)의 시동에 관계 없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상시 전원은 배터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은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로 송신할 수 있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은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로부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 물체는 사용자 단말(200)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애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제2 주파수 대역은 제1 통신 모듈(110)의 제 1 주파수 대역보다 넓은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대역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하거나 좁은 대역폭을 갖는 주파수 대역일 수도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은 무선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UWB(Ultra Wide Band)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이 UWB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제2 통신 모듈(120)은 약 3.1GHz 내지 10.6GHz의 주파수 대역의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감지 신호는 펄스 신호일 수 있으며, 임펄스(impulse) 신호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형태의 신호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 모듈(110) 또는 제2 통신 모듈(120)은 차량(100)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 모듈(110) 및 제2 통신 모듈(120)은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사용자 단말(200) 등의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모듈(110) 및 제2 통신 모듈(120)은 근거리 통신 모듈, 유선 통신 모듈 및 무선 통신 모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블루투스 모듈, 적외선 통신 모듈,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통신 모듈, WLAN(Wireless Local Access Network) 통신 모듈, NFC 통신 모듈, 직비(Zigbee) 통신 모듈 등 근거리에서 무선 통신망을 이용하여 신호를 송수신하는 다양한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은 캔(Controller Area Network; CAN) 통신 모듈, 지역 통신(Local Area Network; LAN) 모듈, 광역 통신(Wide Area Network; WAN) 모듈 또는 부가가치 통신(Value Added Network; VAN) 모듈 등 다양한 유선 통신 모듈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DVI(Digital Visual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232), 전력선 통신,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다양한 케이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와이파이(Wifi) 모듈, 와이브로(Wireless broadband) 모듈 외에도,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무선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 및 송신기(Transmitt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어부(130)로부터 출력된 디지털 제어 신호를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로 변조하는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및 수신기(Receiver)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 모듈은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수신한 아날로그 형태의 무선 신호를 디지털 제어 신호로 복조하기 위한 신호 변환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40)는 차량(100) 내부의 다양한 구성들을 구동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도어 잠금 장치(141), 시동 장치(14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잠금 장치(141)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도어(15L,15R)를 잠금 또는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시동 장치(142)는 시동을 턴 온 또는 턴 오프할 수 있다. 시동 장치(142)는 제어부(130)의 제어 명령에 기초하여 구동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거나 구동 모터에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할 수 있다.
차량(100)은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 명령을 입력받는 시동 버튼(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시동 버튼은 사용자로부터 엔진의 시동을 위한 시동 명령을 입력받고, 정차시에 사용자로부터 시동 오프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모듈(110)이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 모듈(120)을 활성화(wake-up)시킬 수 있고,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모듈(110)이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비활성화 상태의 제2 통신 모듈(12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되면, 제2 통신 모듈(120)은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고,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모듈(110)이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에만 제2 통신 모듈(120)을 활성화시킴으로써 전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이 송신한 감지 신호와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ToF(Time of Flight)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이 외에도, 제어부(130)는 TOA(Time of Arrival), TDOA(Time Difference of Arrival), AOA(Angle of Arrival) 또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방식을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모듈(110)이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을 완료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1 통신 모듈(110)이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활성화된 제2 통신 모듈(120)이 사용자 단말(200)과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제2 통신 모듈(12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 단말의 접근으로부터 제2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배터리 방전을 예방하고 전력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차량(100) 내부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 시동 여부 또는 도어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동작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차량(100) 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알고리즘 또는 알고리즘을 재현한 프로그램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미도시), 및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전술한 동작을 수행하는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때,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각각 별개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메모리와 프로세서는 단일 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에 도시된 차량(100)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 (200)과 통신 가능한 제1 통신 모듈(110) 및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으며, 신호를 송수신하기에 적절한 차량 외부 또는 내부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통신 모듈(110)이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검색 신호(S1)를 수신하면,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를 활성화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복수의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외부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이 활성화되면, 차량 외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모듈(20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모드는 차량 외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제1 모드에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은 차량 외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1 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도 함께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만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 및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 120e)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제1 영역 이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도어를 잠금해제하도록 도어 잠금 장치(141)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1 영역은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것이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은 도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의 영역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의 변화가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또는,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제2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2 모드는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제2 모드에서, 차량 외부 및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는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2 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도 함께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만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 및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도어가 잠금해제된 이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로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시동을 턴온하도록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해제된 이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제2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시동을 턴온하도록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2 영역은 사용자가 운전석에 탑승한 것을 추정할 수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은 시동 버튼으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의 영역으로 정해질 수 있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의 미리 정해진 제2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결정되면,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제어부(130)는 시동을 턴온하도록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시동 버튼을 통하여 시동 명령을 입력한 경우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시동을 턴온하도록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고 시동 온 상태이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3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을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3 모드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제3 모드에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은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이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대한 사용자를 감지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사용자가 존재하는지 여부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의 사용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고, 사용자의 심박수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수면 상태 또는 비수면 상태 등을 구분할 수 있다.
이 때,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가 차량 내부로 송신하는 감지 신호는 UWB 통신을 이용한 신호일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로부터 전달되는 UWB 통신을 이용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의 출력값의 도플러 현상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심박수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결정된 사용자의 상태에 기초하여 차량(100) 내부의 다양한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결정된 사용자의 심박수가 기준 심박수 이하이면 사용자가 수면 상태인 것으로 결정할 수 있고, 창문을 개방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상태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제어부(130)는 기어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제4 모드는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기어 레버의 위치가 D(주행) 또는 R(후진) 위치에 있는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도록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를 제어할 수 있다.
제 4 동작 모드에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은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 외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만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이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할 수 있고, 장애물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어부(130)는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 또는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적어도 하나가 송신한 감지 신호 및 이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의 위치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가 UWB 통신 모듈로 구현되는 경우, 초음파 모듈에 비하여 보다 정확한 위치 감지가 가능하며, 감지 영역 또한 확장될 수 있다. 따라서, 도로 턱 등의 장애물을 보다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주행의 안전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외부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 5 동작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5 모드는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제5 모드에서,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도록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이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5 모드에서, 차량 내부의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30)는 차량 내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 경고를 전송하거나 시동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 및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시동 여부, 도어의 잠금 상태 또는 기어 레버 위치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다양한 동작 모드를 제공할 수 있으며, 동작 모드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모드 내지 제 5 동작 모드 중 적어도 하나는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시간을 달리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4 a 내지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검색 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401), 검색 신호가 수신되면(401의 예),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402). 이 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인증을 수행할 수 있고,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되면,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검색 신호를 수신한 후 사용자 단말(200)과 통신 연결되면, 차량(100)은 제2 통신 모듈(120)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403). 이 때, 제2 통신 모듈(120)은 UWB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제2 통신 모듈(120)이 활성화되면, 차량(100)은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제1 모드는 차량 외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동작 모드를 의미한다.
제1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 외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에 대한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제1 모드의 수행을 위하여, 차량(100)은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을 활성화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뿐만 아니라 차량 내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e)도 함께 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때, 차량(100)은 제2 통신 모듈(120a 내지 120e) 중 차량 외부에 배치된 제2 통신 모듈(120a, 120b, 120c, 120d)만을 활성화시킬 수도 있다.
차량(100)은 도어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5).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손잡이(17L, 17R) 당김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도어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도어 개방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405의 예),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6).
이 때, 미리 정해진 영역은 사용자가 차량(100)에 탑승하기 위하여 도어를 개방할 것이 추정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어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내의 영역으로 정해질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 내에 있는 경우(406의 예),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하고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407). 이 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된 경우에만 도어를 잠금 해제할 수 있다.
도어가 잠금 해제되면, 차량(100)은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08). 이 경우, 차량(100)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의 도어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100)은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408의 예), 차량(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409). 이 때, 제2 모드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 단말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차량(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에 위치하는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또는, 차량(100)은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 변화가 감지된 후,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 해제된 상태이면,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차량(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제2 모드에 진입한 이후, 차량(100)은 시동 턴온 시도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10).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시동 버튼의 조작이 감지되는 경우, 시동 턴온 시도가 감지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시동 턴온 시도가 감지되는 경우(410의 예),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을 인증할 수 있고 시동을 턴온할 수 있다(411). 이 때,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이 인증된 경우에만 시동을 턴온함으로써 인증된 사용자의 시동 턴온 시도에 의하여 시동을 턴온할 수 있다.
그 다음, 차량(100)은 모든 도어가 폐쇄 상태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412), 모든 도어가 폐쇄 상태인 경우(412의 예), 제3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413). 이 때, 제3 모드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한다.
제3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사용자로부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할 수 있고, 수면 여부 등을 포함하는 사용자의 상태를 결정할 수 있다.
제3 모드에 진입한 후, 차량(100)은 기어 레버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414). 예를 들어, 차량(100)은 기어 레버의 위치가 D(주행) 또는 R(후진) 위치에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기어 레버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위치이면(414의 예), 차량(100)은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415). 이 때, 제4 모드는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4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 외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하고, 차량 외부의 장애물로부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차량(100)은 감지 신호 및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차량 외부에 대한 장애물의 존재 여부, 위치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이후, 차량(100)은 시동이 턴오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416), 시동이 턴오프되면(416의 예), 제4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417).
이를 통해, 다양한 상황에 적합한 기능을 제공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00)은 시동이 온 상태에서, 시동이 턴 오프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1).
시동이 턴 오프되는 경우(501의 예), 차량(100)은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2). 구체적으로, 차량(100)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의 도어의 상태 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차량(100)은 도어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리 정해진 도어 상태 변화가 감지되는 경우(408의 예), 차량(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409). 이 때, 제2 모드는 차량 내부의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가 잠금 해제된 후 최초 도어의 상태가 폐쇄 상태에서 개방 상태로 전환되면, 차량(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후,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504).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가 차량 내부가 아닌 경우(504의 아니오), 즉, 차량 내부에서 사용자 단말(200)이 감지되지 않는 경우, 차량(100)은 제1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505). 이 때, 제1 모드는 차량 외부의 사용자 단말(200)을 감지하기 위한 동작 모드일 수 있다.
이후, 차량(100)은 도어 잠금 명령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506), 도어 잠금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506의 예), 도어의 상태를 잠금 상태로 전환하고, 제5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 때, 제5 모드는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를 의미할 수 있다.
제5 모드에서, 차량(100)은 차량 내부로 감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제5 모드에서, 차량 내부의 물체의 움직임이 감지되는 경우, 차량(100)은 차량 내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차량 내부 침입이 발생한 것으로 결정되면, 차량(100)은 사용자 단말(200)로 경고를 전송하거나 시동이 턴오프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시동 장치(142)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차량(100)의 도난이 방지될 수 있으므로, 보안성 및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00: 차량
110: 제1 통신 모듈
120: 제2 통신 모듈
130: 제어부
140: 전자 장치
141: 도어 잠금 장치
142: 시동 장치
200: 사용자 단말
110: 제1 통신 모듈
120: 제2 통신 모듈
130: 제어부
140: 전자 장치
141: 도어 잠금 장치
142: 시동 장치
200: 사용자 단말
Claims (20)
-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는 제1 통신 모듈;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는 제2 통신 모듈; 및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wake-up)시키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과 레이더 기능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UWB(Ultra Wide Band)를 포함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 시동 여부 또는 도어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3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 신호를 상기 차량 내부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로부터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의 상태를 결정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기어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5 모드를 수행하도록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시키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도어를 잠금(Lock) 또는 잠금 해제(Unlock)하는 도어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미리 정해진 영역 이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인증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인증되면 상기 도어를 잠금해제하도록 상기 도어 잠금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 제10항에 있어서,
시동을 턴온 또는 턴오프하는 시동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잠금해제된 이후, 상기 도어의 상태가 개방 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면 시동을 턴온하도록 상기 시동 장치를 제어하는 차량.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모듈은,
BLE(Bluetooth Low Energy) 통신 모듈인 차량. - 삭제
- 제1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의 검색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1 통신 모듈이 상기 검색 신호를 수신하면 제2 통신 모듈을 활성화(wake-up)시키고;
제2 주파수 대역을 갖는 데이터 채널을 통하여 감지 신호를 차량 내부 또는 외부 중 적어도 하나로 송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에 대응하는 반사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감지 신호 및 상기 반사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또는 시동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결정된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동작 모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모드,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모드,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 및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 통신 모듈은 상기 동작 모드에 따라 통신과 레이더 기능을 선택적으로 스위칭하는 UWB(Ultra Wide Band)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인지 여부, 시동 여부 또는 도어 잠금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동작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상기 제2 통신 모듈이 활성화되면, 상기 차량 외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1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의 상태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내부에 대한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제2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 상태이면, 상기 차량 내부의 사용자를 감지하기 위한 제3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내부이고 시동 온 상태인 경우, 기어 레버의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차량 외부의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한 제4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것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상기 차량 외부이고 시동 오프 상태인 경우, 도어가 잠금해제 상태에서 잠금 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차량 내부의 침입을 감지하기 위한 제5 모드를 수행하는 것;을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5000A KR102291311B1 (ko) | 2019-07-15 | 2019-07-15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US16/676,832 US11463122B2 (en) | 2019-07-15 | 2019-11-07 | 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vehic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90085000A KR102291311B1 (ko) | 2019-07-15 | 2019-07-15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8635A KR20210008635A (ko) | 2021-01-25 |
KR102291311B1 true KR102291311B1 (ko) | 2021-08-20 |
Family
ID=7423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90085000A KR102291311B1 (ko) | 2019-07-15 | 2019-07-15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11463122B2 (ko) |
KR (1) | KR102291311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97409B2 (en) * | 2019-10-30 | 2024-05-28 | Beijing Bytedance Network Technology Co., Ltd. | Video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and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CN110784674B (zh) | 2019-10-30 | 2022-03-15 |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 视频处理的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US11186180B2 (en) * | 2019-11-13 | 2021-11-30 |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 Vehicle including remote terminals connected to battery so as to prevent electronic tampering |
US20210284098A1 (en) * | 2020-03-11 | 2021-09-16 | Aptiv Technologies Limited | Detection Device |
JP7331782B2 (ja) * | 2020-05-29 | 2023-08-23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通信装置、システム、車両、及び通信方法 |
JP7375703B2 (ja) * | 2020-08-03 | 2023-11-0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制御装置、車両、プログラム及び制御方法 |
KR20220029874A (ko) * | 2020-09-02 | 2022-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KR20220114797A (ko) * | 2021-02-09 | 2022-08-17 |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 차량 디지털키 시스템 |
CN115915073A (zh) * | 2021-09-30 | 2023-04-04 | 华为技术有限公司 | 一种终端感知方法及装置 |
CN113993100A (zh) * | 2021-10-20 | 2022-01-28 | 广州小鹏汽车科技有限公司 | 车辆报警方法、装置、车辆及存储介质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0622A (ja) * | 2005-12-26 | 2007-07-12 | Alpine Electronics Inc | 車両周囲監視装置 |
JP2009280114A (ja) * | 2008-05-23 | 2009-12-03 | Fujitsu Ten Ltd |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方法 |
JP2011144624A (ja) * | 2009-12-18 | 2011-07-28 | Tokai Rika Co Ltd | 通信端末位置判定装置 |
JP2015208451A (ja) * | 2014-04-25 | 2015-11-2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波センサ装置および信号検出補助部材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427321B2 (ja) * | 2014-02-05 | 2018-11-21 | 株式会社Soken | 制御システム、携帯機 |
US9666005B2 (en) * | 2014-02-14 | 2017-05-30 | Infinitekey, Inc. |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ng with a vehicle |
KR101813532B1 (ko) * | 2015-11-06 | 2017-12-2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통신 모듈,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JP6885258B2 (ja) * | 2017-08-09 | 2021-06-09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携帯端末装置および認証システム |
-
2019
- 2019-07-15 KR KR1020190085000A patent/KR102291311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9-11-07 US US16/676,832 patent/US11463122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180622A (ja) * | 2005-12-26 | 2007-07-12 | Alpine Electronics Inc | 車両周囲監視装置 |
JP2009280114A (ja) * | 2008-05-23 | 2009-12-03 | Fujitsu Ten Ltd | 侵入検知装置及び侵入検知方法 |
JP2011144624A (ja) * | 2009-12-18 | 2011-07-28 | Tokai Rika Co Ltd | 通信端末位置判定装置 |
JP2015208451A (ja) * | 2014-04-25 | 2015-11-24 | 株式会社村田製作所 | 電波センサ装置および信号検出補助部材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10008635A (ko) | 2021-01-25 |
US20210021295A1 (en) | 2021-01-21 |
US11463122B2 (en) | 2022-10-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291311B1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US10055917B2 (en) | User proximity detection for activating vehicle convenience functions | |
CN106558128B (zh) | 用于增强钥匙扣的范围的系统和方法 | |
EP3089894B1 (en) | Multi-range vehicle access systems | |
US20210011143A1 (en) | Distance measurement system | |
US20170190318A1 (en) | Vehicle communication system | |
US20180108249A1 (en) | Remote Control Systems for Vehicles | |
US10559149B1 (en) | Dynamic anchor pre-selection for ranging applications | |
US10440576B1 (en) | System for securing keyless entry systems | |
KR102578207B1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102621262B1 (ko) | 사용자 단말,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KR20210050812A (ko) |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 |
US20220286809A1 (en) | Vehicle control device and vehicle control method | |
US11878653B2 (en) | Authentication device and vehicle having the same | |
US20220067402A1 (en) | Communication system of vehicle for detecting obsta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US11772600B2 (en) | Vehicle control apparatus, vehicle control method, recording medium with program for control recorded, and vehicle control system | |
US20160055742A1 (en) | Switch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 |
EP3654299A1 (en) | Gateway device, vehicle and remote control system including the same | |
KR20220015786A (ko) | 제어 디바이스,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 |
CN112977332B (zh) | 车辆控制装置、车辆控制方法、记录介质和车辆控制系统 | |
US11762101B2 (en) | Position measurement system, position measurement method, position measurement instruction method, recording medium with position measurement instruction program recorded, and vehicle control apparatus | |
US11475752B2 (en) | Network system,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2624875B1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
US20240075903A1 (en) | Vehicle digital key system | |
KR20200024002A (ko)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