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1058B1 -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 Google Patents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1058B1
KR102291058B1 KR1020200159860A KR20200159860A KR102291058B1 KR 102291058 B1 KR102291058 B1 KR 102291058B1 KR 1020200159860 A KR1020200159860 A KR 1020200159860A KR 20200159860 A KR20200159860 A KR 20200159860A KR 102291058 B1 KR102291058 B1 KR 1022910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hion
cushion member
tube
backrest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8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수
Original Assignee
최현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현수 filed Critical 최현수
Priority to KR10202001598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10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10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10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4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by means of two straps passing over the two shou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6/00Stand-alone rests or supports for feet, legs, arms, back or head
    • A47C16/005Back-res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FTRAVELLING OR CAMP EQUIPMENT: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3/00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 A45F2003/003Travelling or camp articles; Sacks or packs carried on the body combined with other objects; specially adapted for carrying specific objects

Landscapes

  • Portable Outdoor Equipment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배낭 자체의 자크나 단추 등의 특별한 결합 구조가 필요 없이 어떠한 형태의 배낭 가방이라도 멜방끈 상단에 끼워 걸었다 떼어내는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서, 등받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 이동시 배낭 멜빵 상단에 끼우면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는 배낭 등받이가 형성되는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에 각각 내장되는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부;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쿠션부의 어느 일측을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탈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포함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escription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cushion carried as a backrest}
본 발명은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배낭 자체의 자크나 단추 등의 특별한 결합 구조가 필요 없이 어떠한 형태의 배낭 가방이라도 멜방끈 상단에 끼워 걸었다 떼어내는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서, 등받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 이동시 배낭 멜빵 상단에 끼우면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는 배낭 등받이가 형성되고, 내부의 튜브에 입으로 불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반으로 접으면 도넛 방석이나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한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석은 우리의 일상생활과 아주 밀접한 관계에 있으며 실내에서는 많은 시간을 방석과 함께 생활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쿠션은 등받이 쿠션을 기본으로 해서 목쿠션, 허리전용쿠션, 발쿠션 심지어 발가락 쿠션까지 다양하게 전문화 되는 경향이 뚜렷하다.
이러한 방석은 이동시 배낭이나 가방에 넣고 다니며, 필요시 꺼내어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푹신하고 편한 방석은 그 무개감은 없으나, 그 부피가 작지 않아 한공간을 차지하게 되거 필요시 바로 꺼내고 보관하기가 불편함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국내 특허 등록번호 10-1095684호,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국내 특허 공개번호 10-2019-0094076호, 수평, 수직의 복합구조를 가진 목쿠션.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배낭 자체의 자크나 단추 등의 특별한 결합 구조가 필요 없이 어떠한 형태의 배낭 가방이라도 멜방끈 상단에 끼워 걸었다 떼어내는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서, 등받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 이동시 배낭 멜빵 상단에 끼우면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는 배낭 등받이가 형성되고, 내부의 튜브에 입으로 불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반으로 접으면 도넛 방석이나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한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는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어느 일측에 개방부를 갖는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는 쿠션부; 상기 쿠션부의 내부에 설치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에 각각 내장되는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부; 상기 튜브부가 내장된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개방부가 상호 맞닿도록 내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연결할 수 있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쿠션부의 어느 일측을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탈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쿠션부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끈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끈을 끼워 묶을 수 있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클립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는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고정부를 고정하여 평상시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 가능하거나, 상기 튜브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상호 겹치게 접어 고정부로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고정하여 도넛 방석 혹은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하거나, 상기 튜브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가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배치하여 시트쿠션과 등받이쿠션을 갖는 의자 방석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어느 일면에는 미끄러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도트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는 튜브부가 내장됨과 아울러 충전재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외피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피 원단은 신축성, 통풍성, 항균 및 탈취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 쾌적함을 주는 신축성 소재의 변형 가능한 원단으로, 외피 원단의 내부는 기모처리를 하여 충전재가 원단 조직의 사이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모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재는 복원력, 항균성, 항진드기성 및 인체친화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솜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에 의하면, 배낭 자체의 자크나 단추 등의 특별한 결합 구조가 필요 없이 어떠한 형태의 배낭 가방이라도 멜방끈 상단에 끼워 걸었다 떼어내는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서, 등받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어 휴대 이동시 배낭 멜빵 상단에 끼우면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는 배낭 등받이 용도로 사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튜브에 공기를 주입하고 반으로 접어 고정시키면 도넛 방석 혹은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하고,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배치하여 시트쿠션과 등받이쿠션을 갖는 의자 방석 용도로 사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수단이 필요 없고, 경우에 따라 방석 등의 다용도로 간편하게 변경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즉, 오래 사용하는 도서관이나 학교도 별도의 보관 없이 배낭을 안 열고도 떼어내서 사용 가능하고, 사용후 다시 멜빵 상단에 걸어주면 되고, 야외시나 장거리 여행 중에는 더욱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구비되는 고정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의 다른 예가 적용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에 내장되는 튜브부를 보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들은 직접적인 접촉이나 연결뿐만 아니라 구성과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통해 접촉이나 연결된 것도 같은 범위로 해석하도록 한다.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표시의 I-I선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구비되는 고정부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고정부의 다른 예가 적용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에 내장되는 튜브부를 보인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쿠션부(11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쿠션부(110)는 중앙부에 공간부(114)가 형성되는 사각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개방부(116)를 갖도록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각의 개방부(116)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형성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연결부(12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부(120)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개방부(116)가 상호 맞닿도록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연결한다. 즉, 연결부(120)는 각 개방부(116)의 양측의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서로 마주보는 면을 연결하도록 위치된다.
이와 같은 연결부(120)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는 상호 겹치게 접을 수 있으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접는 것에 의해 다양한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고정부(1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정부(130)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접었을 경우 그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외측으로 각각 설치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구(132)와 제2 고정구(134)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고정부(130)는 도 2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구(132)와 제2 고정구(134) 중 어느 하나는 클립(132a)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클립(132a)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중공관(134a)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고정구(132)와 제2 고정구(134) 중 어느 하나는 끈(132b)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끈(132b)을 끼워져 묶을 수 있는 고리(134b)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제1 고정구(132)와 제2 고정구(134) 중 클립(132a) 혹은 끈(132b)으로 형성되는 고정부는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손쉽게 탈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음으로, 상기 쿠션부(110)의 어느 일측을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고정하여 배방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130)는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접은 상태에서 고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스냅단추, 벨크로 테이프, 자석 또는 단추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고정부(130)에 의해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게 하여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쿠션부를 변형하여 다용도로 사용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튜브부(14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튜브부(140)는 쿠션부(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에 각각 내장되는 제1 튜브부재(142a)와 제2 튜브부재(142b)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튜브부재(142a)와 제2 튜브부재(142b)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144)가 각각 형성된다.
이러한 제1 튜브부재(142a)와 제2 튜브부재(142b)의 형상은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상기 쿠션부(110)를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상기 고정부(130)의 클립을 고정하는 것만으로 평상시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부(140)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상호 겹치게 접어 고정부(130)의 클립(132a)과 중공관(134a) 혹은 끈(132b)과 고리(134b)에 의해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를 고정하여 도넛 방석 혹은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튜브부(140)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가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배치하여 시트쿠션과 등받이쿠션을 갖는 의자 방석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 쿠션부재(112a)와 제2 쿠션부재(112b)의 어느 일면에는 미끄러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도트(150)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상기 쿠션부(110)의 구성을 외피 원단과, 상기 외피 원단의 내부에 내장되는 충전재와 튜브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외피 원단은 신축성, 통풍성, 항균 및 탈취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 쾌적함을 주는 신축성 소재의 변형 가능한 원단으로, 외피 원단의 내부는 기모처리를 하여 충전재가 원단 조직의 사이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모처리부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충전재는 복원력, 항균성, 항진드기성 및 인체친화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솜이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튜브는 공기를 주입 및 배출할 수 있는 공기주입구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배낭 자체의 자크나 단추 등의 특별한 결합 구조가 필요 없이 어떠한 형태의 배낭 가방이라도 멜방끈 상단에 상기 고정부(130)를 이용하여 쉽게 탈부착이 용이하게 구성됨으로서, 등받이로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즉, 이동시 배낭 멜빵 상단에 끼우면, 별도의 보관이 필요없는 배낭 등받이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튜브부(140)의 공기주입구(144)에 입으로 불어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즉 공기압을 채워 반으로 접어 제1 고정구(132)와 제2 고정구(134)를 고정시키면 도넛 방석이나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하고, 90도로 꺾으면 의자 방석 용도로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은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하는 경우, 배낭 가방에 짐을 넣으면 모서리 쪽보다 가운데 쪽으로 짐이 몰리게 되어 볼록 튀어나오게 되고, 또한 아래쪽으로 몰리며 배낭 가방을 메기에 불안전한 형태의 구조가 되고, 신체의 구조 상으로도 등의 좌우가 굽어져 있어 배낭 가방을 메면 가장자리 모서리 쪽은 틈이 생기게 된다.
본 발명은 가운데가 비어 있는 중공부 구조를 갖고 있음으로, 모서리 가장자리만 푹신하고 탄력있는 재료로 이루어져 불규칙한 틈이 많이 생기는 모서리 가장자리만 메어지는 효과로 인해 안정감 있는 착용감을 주면서도 무게감도 줄이고 편안한 느낌을 주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특히, 본 발명은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함으로서 별도의 휴대수단이 필요 없고, 경우에 따라 방석 등의 용도로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기술적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가 달성되는 것이며,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임은 물론이다.
110 - 쿠션부 120 - 연결부
130 - 고정부 140 - 튜브부

Claims (6)

  1. 중앙부에 공간부가 형성되고 사각링 형상의 서로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개방부가 형성된 쿠션부;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에 각각 내장되는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튜브부재와 제2 튜브부재에는 외부에서 공기를 주입할 수 있도록 공기주입구가 각각 형성되는 튜브부;
    상기 각 개방부의 양측의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서로 마주보는 면에 위치되어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연결하는 연결부; 및
    상기 연결부에 의해 연결된 쿠션부의 어느 일측을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탈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접어 고정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외측에 설치되어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하는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에 의해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쿠션부의 변형을 가능하게 하는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의 어느 일면에는 미끄럼 방지를 위한 논슬립 도트가 형성되며,
    상기 쿠션부는 튜브부가 내장됨과 아울러 충전재가 내장되도록 형성되는 외피 원단을 포함하되,
    상기 외피 원단은 신축성, 통풍성, 항균 및 탈취 기능으로 인해 사용자 피부에 접촉시 쾌적함을 주는 신축성 소재의 변형 가능한 원단으로, 외피 원단의 내부는 기모처리를 하여 충전재가 원단 조직의 사이로 삐져나오지 않도록 하는 기모처리부로 구성되고,
    상기 충전재는 복원력, 항균성, 항진드기성 및 인체친화성이 우수한 마이크로 솜이 충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끈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끈을 끼워 묶을 수 있는 고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제1 고정구와 제2 고정구 중 어느 하나는 클립으로 이루어지고, 다른 하나는 상기 클립에 끼워져 고정될 수 있는 중공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쿠션부는 배낭 가방의 멜빵끈에 고정부를 고정하여 평상시 배낭 가방의 등받이 용도로 사용 가능하거나,
    상기 튜브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상호 겹치게 접어 고정부로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를 고정하여 도넛 방석 혹은 목 쿠션 용도로 사용 가능하거나,
    상기 튜브부에 공기를 주입하고 상기 제1 쿠션부재와 제2 쿠션부재가 90도를 이루는 각도로 배치하여 시트쿠션과 등받이쿠션을 갖는 의자 방석 용도로 사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5. 삭제
  6. 삭제
KR1020200159860A 2020-11-25 2020-11-25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KR1022910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60A KR102291058B1 (ko) 2020-11-25 2020-11-25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9860A KR102291058B1 (ko) 2020-11-25 2020-11-25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1058B1 true KR102291058B1 (ko) 2021-08-18

Family

ID=774644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860A KR102291058B1 (ko) 2020-11-25 2020-11-25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105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878U (ko) * 1998-09-19 1998-12-05 이지태 등받이를 방석으로 사용토록 한 배낭
KR200373868Y1 (ko)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기능성 베개
JP2008011969A (ja) * 2006-07-04 2008-01-24 Kenichi Ariyoshi 空気枕
KR101095684B1 (ko) 2011-04-29 2011-12-20 주식회사 블랙야크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KR20120006222U (ko) * 2011-02-28 2012-09-05 박승훈 밸런스 에어 쿠션
JP2019041961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Gsiクレオス クッション及びクッションセット
KR20190094076A (ko) 2018-02-02 2019-08-12 민일석 수평, 수직의 복합구조를 가진 목쿠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878U (ko) * 1998-09-19 1998-12-05 이지태 등받이를 방석으로 사용토록 한 배낭
KR200373868Y1 (ko) * 2004-07-09 2005-01-21 김병철 기능성 베개
JP2008011969A (ja) * 2006-07-04 2008-01-24 Kenichi Ariyoshi 空気枕
KR20120006222U (ko) * 2011-02-28 2012-09-05 박승훈 밸런스 에어 쿠션
KR101095684B1 (ko) 2011-04-29 2011-12-20 주식회사 블랙야크 등받이를 지지하는 듀얼패드를 갖는 배낭
JP2019041961A (ja) * 2017-08-31 2019-03-22 株式会社Gsiクレオス クッション及びクッションセット
KR20190094076A (ko) 2018-02-02 2019-08-12 민일석 수평, 수직의 복합구조를 가진 목쿠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76B1 (ko) 유아용 캐리어
US8726437B2 (en) Apparatus for care of infant
US6257468B1 (en) Baby carrier
CN108618518B (zh) 便携式枕头及毯子套件
US10178916B2 (en) Changing mat restraint system
US20110049951A1 (en) Portable chair cover for stackable chairs
TW201350060A (zh) 幼兒背負裝置
US5001791A (en) Back support with integral carrying case and strap loop connector
US20130074269A1 (en) Sliding leg pillow
CA2639785A1 (en) Pillowcase display for dolls and stuffed animals
ES2462949T3 (es) Dispositivo de soporte dorsal ajustable
KR20160147078A (ko) 형태 가변 가방
KR102291058B1 (ko) 등받이로 휴대하는 탈부착이 용이한 쿠션
KR101853353B1 (ko) 휴대용 기저귀 교환대 겸용 아기띠
JP3167299U (ja) 伸縮ベルト付きバッグ
KR200492830Y1 (ko) 튜브가 내장된 다용도 휴대용 쿠션
JP4859394B2 (ja) 乳児用椅子
KR200461627Y1 (ko) 의자에 탈부착이 가능한 베개
KR101459043B1 (ko) 실내외에 사용하는 다용도 해먹
KR200329794Y1 (ko) 접이식 의자가 부설된 배낭
CN206482070U (zh) 长袖约束衣
KR100464185B1 (ko) 분리형 판재를 갖는 가방
US11844452B1 (en) Multifunctional pillow
JP3438884B2 (ja) 携帯型折りたたみ指圧具
US20120202401A1 (en) Multi-Purpose Child's To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