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995B1 -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 Google Patents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995B1
KR102290995B1 KR1020200157196A KR20200157196A KR102290995B1 KR 102290995 B1 KR102290995 B1 KR 102290995B1 KR 1020200157196 A KR1020200157196 A KR 1020200157196A KR 20200157196 A KR20200157196 A KR 20200157196A KR 102290995 B1 KR102290995 B1 KR 102290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plastic
pillars
supply unit
injector
pelle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71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호규
Original Assignee
(주)화암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화암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화암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2001571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17/0412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to large particles, e.g. beads, granules, flakes, sl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64/00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29C64/3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 B29C64/307Handling of material to be used in additive manufacturing
    • B29C64/314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40/00Auxiliary operations or equipment, e.g. for material hand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20Waste processing or s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 상기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52)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151); 상기 제1 기둥과 제4 기둥(111, 114) 사이와 제2 기둥과 제3 기둥(112, 113)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기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부에 설치되어 Y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X축 액추에이터(130); 상기 X축 액추에이터(130)에 설치되어 펠릿을 분사하는 분사기(100); 상기 상부 플레이트(152)에 설치된 제어부(110)와 펠릿 공급부(190);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펠릿을 분사기(100)로 공급하는 펠릿 호스(121);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측면에 위치하는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 및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로 부터 분쇄된 플라스틱을 펠릿 공급부(19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 를 포함하는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Recycling 3 Dimensional Printer Using Waste Plastic}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을 용융시켜서 3D 프린터의 원료로 사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3차원 프린터는 특정의 형상을 갖는 제품에 대하여 전통적 제조 방법인 절삭 가공의 비효율성과 3차원 복잡 형상 제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적층 제조 기법을 실시하기 위한 장비이다. 이와 같은 3차원 적층 제조 기술은 분말, 액체, 고체 형태의 특정 물질을 입체 형상 제조를 위한 모델링, 프린팅, 후처리 등의 요소 기술들을 포함하고 있다.
3차원 프린터의 제품 조형 방식은 크게 대상 물체를 2차원의 평면형태로 한 층씩 쌓아 올려 3차원으로 적층하면서 용융 부착하여 형태를 만들어가는 적층형과, 재료덩어리를 조각하듯이 절삭해서 형태를 만들어가는 절삭형이 있다.
적층형은 플라스틱 액체 또는 플라스틱 실을 종이보다 얇은 층(레이어)으로 겹겹이 쌓아 입체 형상을 만들어내는 방식으로서, 레이어가 얇을수록 정밀한 형상을 얻을 수 있고, 채색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적층형의 일종으로, 열가소성 플라스틱을 원료로 사용하게 된다.
공개 특허 제10-2020-0023709호 (2020.03.06)
본 발명은 폐 플라스틱을 3D 프린터의 재료로 사용하도록 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 상기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52)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151); 상기 제1 기둥과 제4 기둥(111, 114) 사이와 제2 기둥과 제3 기둥(112, 113)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기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부에 설치되어 Y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X축 액추에이터(130); 상기 X축 액추에이터(130)에 설치되어 펠릿을 분사하는 분사기(100); 상기 상부 플레이트(152)에 설치된 제어부(110)와 펠릿 공급부(190);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펠릿을 분사기(100)로 공급하는 펠릿 호스(121);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측면에 위치하는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 및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로 부터 분쇄된 플라스틱을 펠릿 공급부(19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 를 포함하는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는 몸체(220), 몸체(220)의 상부를 덮는 뚜껑(210), 상기 몸체(220)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경사지는 원추형 내벽(230) 및 상기 원추형 내벽(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 내벽(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중간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상부 챔버(200a)와 하부 챔버(200b)가 나뉘어 지며 상부에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271, 272)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의 내면에는 히터 블로우(250a)가 설치되고, 상부 챔버(200a)에서 용융되고 분쇄된 폐 플라스틱은 중간 플레이트(260)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부 챔버(200b)로 이송되고, 하부 챔버(200b)에 제3 블레이드(273)와 히터 블로우(250a)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에서 분쇄 용융된 폐 플라스틱은 하부 통로(215)를 통해 펌프(300)로 이송되고, 펌프(300)의 작동에 의하여 펠릿 공급부(190)으로 이송되고, 상기 분사기(100)은 몸체(30), 상기 몸체(30)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기 챔버(30a), 상기 분사기 챔버(3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분쇄기(43) 및 펠릿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펠릿이 배출되는 분사부(30d)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 3D 프린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쇄기(200)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3D 프린터에 사용되는 플라스틱 분사기(200)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 3D 프린터의 사시도로서, 본 발명에는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16)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52)와 하부 플레이트(151)를 포함한다.
제1 기둥과 제4 기둥(111, 114) 사이와 제2 기둥과 제3 기둥(112, 113) 사이에는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가 설치되고, 상기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부에서 X축 액추에이터(130)가 Y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상기 X축 액추에이터(130)에 의해 분사기(100)가 X축으로 이동하면서 하부 플레이트(150)에 조형물(140)을 제작한다.
상기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는 제1 내지 제4 기둥(111, 112, 113, 114)에서 상하 이동 (Z축 방향 이동)이 가능하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152)에는 제어부(110)와 펠릿 공급부(190)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측면에는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와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로 부터 분쇄된 플라스틱을 펠릿 공급부(19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가 있다.
펠릿은 펠릿 공급부(190)부로 부터 펠릿 호스(171)를 통해 분사기(100)의 챔버(30a)로 공급된다.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는 몸체(220)와 몸체(220)의 상부를 덮는 뚜껑(210)으로 구성되고, 상기 몸체(220) 내부에는 하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경사지는 원추형 내벽(230)이 형성된다.
상기 원추형 내벽(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중간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상부 챔버(200a)와 하부 챔버(200b)가 나뉘어 지며 상부에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271, 272)가 설치되어 1 차 분쇄를 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의 내면에는 히터 블로우(250a)가 설치되어 내부를 가열한다.
사용자는 뚜껑(210)을 열어서, 상부 챔버(200a)에 폐 플라스틱을 채워넣고 히터 플로우(250a)에 용융 가열하고,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271, 272)가 용융된 폐 플라스틱을 분쇄한다
상부 챔버(200a)에서 용융되고 분쇄된 폐 플라스틱은 중간 플레이트(260)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부 챔버(200b)로 이송되고, 하부 챔버(200b)에 제3 블레이드(273)이 설치되어 재 분쇄가 된다.
또한, 상기 하부 챔버(200b)에도 히터 블로우(250a) 가 설치되어 폐 플라스틱을 용융한다.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에서 분쇄 용융된 폐 플라스틱은 하부 통로(215)를 통해 펌프(300)로 이송되고, 펌프(300)의 작동에 의하여 펠릿 공급부(190)으로 이송된다..
분사기(100)은 몸체(30)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30)에는 내부에 분사기 챔버(30a)가 형성되고 상기 분사기 챔버(30a)의 상부에 제4 분쇄기(43)가 설치되고 분사부(30d)에 의해 용융된 펠릿이 배출되며 하부 플레이트(151)의 상부에 3D 조형물(140)을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 블레이드(43)의 회전에 의하여 펠릿의 분쇄도 가능하다.
분사기 챔버(30a)의 내부벽에는 에어 블로우부(50)가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 블로우부(50)에는 다수의 노즐(51)이 설치되어 펠릿을 중앙 회전축(40)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에어를 방출한다.
상기 에어 블로우부(50)의 내부에 발열 수단(53)을 제공하여 상기 에어가 가열된 상태로 공급하여 펠릿의 용융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분사기
111, 112, 113, 114, 115, 116: 제1 내지 제6 기둥
190: 펠릿 공급부 171: 펠릿 공급 호스
120a, 120b: Y축 액추에이터 130: X축 액추에이터
152: 상부 플레이트 151: 하부 플레이트
1000: 3D 프린터

Claims (2)

  1.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
    상기 제1 내지 제6 기둥(111, 112, 113, 114, 115, 116)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플레이트(152) 및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플레이트(151);
    상기 제1 기둥과 제4 기둥(111, 114) 사이와 제2 기둥과 제3 기둥(112, 113) 사이에서 상하 이동이 가능한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기 한쌍의 Y축 액추에이터(120a, 120b) 상부에 설치되어 Y축 방향 이동이 가능한 X축 액추에이터(130);
    상기 X축 액추에이터(130)에 설치되어 펠릿을 분사하는 분사기(100);
    상기 상부 플레이트(152)에 설치된 제어부(110)와 펠릿 공급부(190);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펠릿을 분사기(100)로 공급하는 펠릿 호스(121);
    상기 펠릿 공급부(190)의 측면에 위치하는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 및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로 부터 분쇄된 플라스틱을 펠릿 공급부(19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300); 를 포함하고,
    상기 폐 플라스틱 분쇄기(200)는 몸체(220), 몸체(220)의 상부를 덮는 뚜껑(210), 상기 몸체(220) 내부에 위치하며 하부 방향으로 폭이 좁게 경사지는 원추형 내벽(230) 및 상기 원추형 내벽(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원추형 내벽(230)에 의하여 형성되는 공간은 중간 플레이트(160)에 의하여 상부 챔버(200a)와 하부 챔버(200b)가 나뉘어 지며 상부에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271, 272)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의 내면에는 히터 블로우(250a)가 설치되고,
    상부 챔버(200a)에서 용융되고 분쇄된 폐 플라스틱은 중간 플레이트(260)의 개구(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하부 챔버(200b)로 이송되고,
    하부 챔버(200b)에 제3 블레이드(273)와 히터 블로우(250a)가 설치되어 있고,
    상부 및 하부 챔버(200a, 200b)에서 분쇄 용융된 폐 플라스틱은 하부 통로(215)를 통해 펌프(300)로 이송되고, 펌프(300)의 작동에 의하여 펠릿 공급부(190)으로 이송되고,
    상기 분사기(100)은 몸체(30), 상기 몸체(30) 내부에 형성되는 분사기 챔버(30a), 상기 분사기 챔버(30a)의 상부에 설치되는 제4 분쇄기(43) 및 펠릿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펠릿이 배출되는 분사부(30d)를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KR1020200157196A 2020-11-20 2020-11-20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KR102290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96A KR102290995B1 (ko) 2020-11-20 2020-11-20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7196A KR102290995B1 (ko) 2020-11-20 2020-11-20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995B1 true KR102290995B1 (ko) 2021-08-19

Family

ID=77492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7196A KR102290995B1 (ko) 2020-11-20 2020-11-20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99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318A (ko) * 2003-08-04 2005-02-23 주식회사 티알환경기술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20170122557A (ko) * 2016-04-27 2017-11-0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체 조형 펠릿을 이용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70127782A (ko) * 2016-05-12 2017-11-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조형 용융액을 토출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101977617B1 (ko) * 2016-12-08 2019-05-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필라멘트 생성장치
US20190366628A1 (en) * 2018-04-16 2019-12-05 Clay M. Guillory Liquid Cooling for Pellet Extruder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 System
KR20200023709A (ko) 2018-08-23 2020-03-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에서 펠릿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공급관 길이조절장치
KR102148637B1 (ko) * 2020-05-13 2020-08-27 청년선도기업협동조합 펠릿 3d 프린터의 펠릿 주입 방법 및 펠릿 이송 시스템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18318A (ko) * 2003-08-04 2005-02-23 주식회사 티알환경기술 폐스티로폼 감용장치
KR20170122557A (ko) * 2016-04-27 2017-11-06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고체 조형 펠릿을 이용하는 3차원 프린터
KR20170127782A (ko) * 2016-05-12 2017-11-22 국민대학교산학협력단 다중 조형 용융액을 토출하는 3차원 프린터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3차원 프린터
KR101977617B1 (ko) * 2016-12-08 2019-05-13 경일대학교산학협력단 필라멘트 생성장치
US20190366628A1 (en) * 2018-04-16 2019-12-05 Clay M. Guillory Liquid Cooling for Pellet Extruder in a Fused Deposition Modeling System
KR20200023709A (ko) 2018-08-23 2020-03-06 창원대학교 산학협력단 3d 프린터에서 펠릿의 안정적인 공급을 위한 공급관 길이조절장치
KR102148637B1 (ko) * 2020-05-13 2020-08-27 청년선도기업협동조합 펠릿 3d 프린터의 펠릿 주입 방법 및 펠릿 이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49970B1 (en) Powder delivery for additive manufacturing
JP7211151B2 (ja)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造形システム
JP6932493B2 (ja) 3次元物体プリンタ用の押出印刷ヘッド
CN109318475B (zh) 三维成型装置以及三维成型装置的控制方法
KR101676606B1 (ko) 3d 프린터용 분말 공급장치
US20180071984A1 (en) Printing apparatus for building three-dimensional object
KR101524441B1 (ko) 다수의 원료공급부가 형성된 3d 프린터의 헤드
JP6926819B2 (ja) 三次元造形装置
KR101938233B1 (ko) 컬러 3d 프린터의 출력 헤드
WO2009030791A1 (es) Dispositivo y aparato para deposición selectiva de materia plástica fundida y método de fabricación por deposición selectiva
KR20160024452A (ko) 직경이 다른 복수 개의 노즐을 구비한 3d 프린터
KR102148637B1 (ko) 펠릿 3d 프린터의 펠릿 주입 방법 및 펠릿 이송 시스템
US10894359B2 (en) Extruder for a 3D printer with a variable material throughput
KR102290995B1 (ko) 폐 플라스틱을 활용한 리사이클링 3d프린터
KR102366872B1 (ko) 치과용 3d 프린터
CN106042405A (zh) 一种3d打印机的打印喷头
JP2020183109A (ja) 樹脂成形方法
JP2021016967A (ja) 三次元造形物の製造方法および三次元造形装置
KR20190031891A (ko) 삼차원 프린터
CN110641011B (zh) 三维造型物的制造方法及三维造型装置
KR101582739B1 (ko) 3차원 형상 형성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005268B1 (ko) 수지가 포함된 폐인조대리석을 미분말하기 위한 분쇄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76799B1 (ko) 3차원 프린터
KR20190109668A (ko) 삼차원 적층 기기
KR102416760B1 (ko) 3d프린터용 폐플라스틱을 재활용한 원료의 연속 직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