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953B1 - 수배전반 내진장치 - Google Patents

수배전반 내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953B1
KR102290953B1 KR1020200187432A KR20200187432A KR102290953B1 KR 102290953 B1 KR102290953 B1 KR 102290953B1 KR 1020200187432 A KR1020200187432 A KR 1020200187432A KR 20200187432 A KR20200187432 A KR 20200187432A KR 102290953 B1 KR102290953 B1 KR 102290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plate
contact surface
switchgear
coupl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87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태
Original Assignee
태용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태용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태용엔지니어링(주)
Priority to KR10202001874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BOARDS,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FOR THE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B1/00Frameworks, boards, panels, desks, casings; Details of substations or switching arrangements
    • H02B1/54Anti-seismic devices or install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력을 종방향 파트, 횡방향 파트 및 토크 소스(Torque source) 파트로 구분하여 각각 대응함으로써 저항 완비성(Completeness of Resistance)을 갖춘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진장치는, 수배전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설치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저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충격저감장치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저감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면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압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고정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구비된다.

Description

수배전반 내진장치{EARTHQUAKE-PROOF APPARATUS FOR SWITCHGEAR}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력을 종방향 파트, 횡방향 파트 및 토크 소스(Torque source) 파트로 구분하여 각각 대응함으로써 저항 완비성(Completeness of Resistance)을 갖춘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력을 받는 것을 수전(受電)이라고 하며, 수전된 전력을 각 사무실 등으로 분배해주는 것을 배전(配電)이라고 하는데, 상기한 수전 및 배전을 수행하는 기기를 수배전반이라고 한다.
이러한 수배전반은 각 종 전력기기의 운전, 정지 및 개폐 상태를 표시하고 특이사항 발생 시에 경보를 울리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데, 무엇보다도 상기 수배전반에는 전력의 부하가 집중될 수밖에 없는 기기의 특성상 각 종 외력 등에 의해 안전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미연에 방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리고 최근 기상청 등의 통계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지진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진도 5 이상의 강진 또한 그 빈도가 점차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에 따라, 건물은 물론 수배전반 자체에도 내진 설계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지진으로 인해 건물의 수배전 자체에 영향이 가해지지 않도록 방지하는 내진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55995호(등록일자: 2012. 06. 07.)는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에 관한 것으로서, 바닥면에 기립 상태로 설치되는 전기장치인 배전반을 지진 등에 의한 진동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구조상 수직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으나 횡 방향으로 발생하는 진동에 대해서는 내진 기능이 수행할 수 없으며, 외력에 의해 발생하는 토크 성분으로의 대응성도 갖춰지지 않아 완전한 내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수배전반 내진장치가 절실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외력을 세부적인 성분으로 나누어 나누어진 성분 각각 별로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는 수배전반 내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가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 압축방향으로의 변형률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내진 대응의 신뢰성을 확보한 수배전반 내진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본 발명에 따른 수배전반 내진장치는, 수배전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설치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저감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충격저감장치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저감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면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압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고정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비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면에서 상기 접촉면으로 갈수록 상기 스프링의 두께가 감소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은 복수로 배치되되,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상기 접촉면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의 상부에 삽입되는 상부 결합부재의 길이 및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부재의 길이의 합은 상기 스프링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는 횡진방지공간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구성 및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외력을 세부적인 성분으로 나누어 나누어진 성분 각각 별로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함으로써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완전히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사용자가 수배전반이 설치되는 상황에 따라 압축방향으로의 변형률을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내진 대응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은 수배전반내진장치의 제1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2는 외력을 두 방향으로 나누어 나타낸 도면.
도 3은 제1실시예에 따른 분해 사시도.
도 4는 제1실시예에 따른 평면도.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른 저면도.
도 6은 스프링 내에 구비되는 고정축과 제한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메인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메인 스프링의 배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수배전반내진장치의 제2실시예에 따른 사시도.
도 10은 제2실시예에 따른 분해사시도.
도 11은 서브 스프링과 결합부재의 직경을 비교 도시한 도면.
도 12는 서브 스프링과 결합부재의 결합 관계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서브 스프링의 배치구조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지진 발생 시 수배전반에 가해지는 인장력을 효과적으로 분배시킬 수 있는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진으로부터 발생하는 외력을 종방향 파트, 횡방향 파트 및 토크 소스 파트(Torque source)로 구분하여 각각 대응함으로써 저항 완비성(Completeness of Resistance)을 갖춘 수배전반 내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종방향 외력, 횡방향 외력이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진에 의해 발생한 외력
Figure 112020143295404-pat00001
에 대하여 서로 수직한 basis component로 표시한 외력을 말하는데,
Figure 112020143295404-pat00002
으로 표기된 것이 횡방향 외력에 대한 방향을 말하는 것이고,
Figure 112020143295404-pat00003
으로 표기된 것이 종방향 외력에 대한 방향을 말하는 것이다. 물론 크기의 경우에는 외력
Figure 112020143295404-pat00004
에 의해 크기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여기서 저항 완비성이란 외력
Figure 112020143295404-pat00005
를 서로 수직한 basis component로 나누었을 때, 이러한 basis component 모두에 대한 방향으로 대항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z 방향 컴포넌트는 후술할 스프링(23)의 압축방향으로 기술할 것이다.
그리고 전술한 토크 소스 파트란 상기 외력이 회전시키는 소스로 작용 되는 성분을 표현한 물리량을 의미한다.
먼저 수배전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11) 및 설치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12)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1)를 포함한다. 수배전반이나 설치면과의 결합은 볼트 체결 방식 등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며, 어느 한 가지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1) 및 제2플레이트(12)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저감장치(2)를 포함한다. 상기 충격저감장치(2)는 본 발명의 핵심 구성으로 지진 등에 의한 외력에 대한 저항성을 제공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1)는 상기 충격저감장치(2)가 결합되는 결합홈(1h)을 포함하는데, 상기 충격저감장치(2)는 상기 결합홈(1h)에 삽입되는 고정축(21)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고정축(21)이 상기 결합홈(1h)에 삽입된 후에 상기 고정축(21)에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고정축(21)을 상기 결합홈(1h)에 체결시킬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특징적인 것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1)을 상기 결합홈(1h)에 삽입시켰을 때 상기 결합홈(1h) 및 상기 고정축(21) 사이에는 이격공간(1s)이 구비되는데, 이격공간(1s) 없이 이들이 꽉 맞물려 있는 경우에는 오히려 외력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수 있어 외력에 대한 저항성 확보를 목적으로 하는 본 장치 구비에 따른 목적성을 상실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홈(1h)의 외측으로는 외측홈(1g)이 추가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외측홈(1g)은 물론 상기 수배전반이나 상기 설치면에 결합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홈에 해당한다.
그리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플레이트(2)의 저면에는 상부로 갈수록 폭을 점점 저감시키는 방향으로 형성된 저면경사(1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저면경사(1c)는 상기 고정축(21)이 상기 제2플레이트(2)의 저면에 나사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도록 기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충격저감장치(2)는 상기 고정축(21)의 외면에 삽입되는 스프링(23)과 상기 고정축(21)과 상기 스프링(23)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23)의 압축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유닛(22)을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축(21)의 직경이 상기 스프링(23)의 내경에 비해 작게 구성되기 때문에 상기 고정축(21)이 상기 스프링(23)에 삽입시켰을 때, 일정한 갭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기 스프링(23)의 내경과 상기 고정축(21)의 직경의 차이만큼의 직경을 갖는 상기 제한유닛(22)이 상기한 갭을 채우게 되어 외력의 횡방향 성분에 대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1)의 일단에는 외부홈(211)을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외부홈(211)의 구비를 통해 수배전반 측과의 결합 시에 안정적인 결합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한유닛(22)이 감싸는 부분은 나사산을 형성시키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데, 상기한 외력이 토크 소스 파트로 작용할 때 제한유닛(22)이 회전되는 것을 용이하게 만듦에 있다.
가령, 제한유닛(22)이 구비되어 있지 않거나 제한유닛(22)이 구비되어 있더라도 제한유닛(22) 자체가 외력에 의해(특히 토크 소스 파트로서의 작용으로 인해) 회전하지 않도록 구성된 경우에는 토크 소스 파트를 흡수시켜 주는 별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게 되어 토크 소스 파트가 온전히 수배전반으로 전달되어 버리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즉, 상기 제한유닛(22)에 의해 횡방향 파트 및 토크 소스 파트에 대한 저항력을 확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축(21)에는 상기한 제한유닛(22)이 지지될 수 있도록 플랜지(21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12)는 상기 제한유닛(22)의 하면과 접촉하면서 이를 지지시키는 지지면(212a)과 상기 지지면(212a)의 외측에 형성되되, 상기 지지면(212a)의 일정 각도 마다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제한유닛(22)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가 구비된 유도면(212b)을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토크 소스 파트가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제한유닛(22)이 상기 지지면(212a) 상에서 회전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 지지면(212a)의 일정 각도 마다 이격되어 배치된 유도면(212b)에 의해 상기 회전의 용이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유도면(212b)이 상기 지지면(212a)의 일정 각도 마다 이격되어 배치되는 이유는 적절한 회전 관성을 부여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개의 유도면(212b)을 배치시켰는데, 즉 정육각형의 하나의 내각에 해당하는 120도마다 상기 유도면(212b)이 상기 지지면(212a) 상에 구비되어 있다. 즉, 120도 마다 배치시켰을 때, 외력의 토크 소스 파트에 대한 최적의 저항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23)에 대해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로 나누어 구분할 수 있는데, 도 1 내지 8은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고 도 9 내지 13은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에 해당한다. 특히 도 1 및 3은 제1실시예의 대표 사시도, 도 9 및 10은 제2실시예의 대표 사시도에 해당한다.
상기 스프링(23)은 보다 큰 직경을 갖는 메인 스프링(24)과 상기 메인 스프링(24)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서브 스프링(25)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인 스프링(24)과 상기 서브 스프링(25)의 차이점은 단지 직경의 크기 차이, 즉 코일 형상의 스프링(23)의 내경의 차이만이 존재할 뿐 다른 부분에는 차이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물론 내경의 감소에 따라 다른 부분들의 비율적인 감소가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메인 스프링(24)은 제1실시예와 제2실시예 모두에 동일하게 적용되며, 상기 서브 스프링(25)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만 채용되는 구성에 해당한다.
상기 스프링(23)의 특징적인 점은 다음과 같다. 상기 스프링(23)은, 상기 고정플레이트(1)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231) 및 상기 접촉면(231)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비접촉면(232)을 포함한다.
그리고 여기서 접촉면(231)은 상기 스프링(23)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접촉면(231)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접촉면(231)이 존재하고, 비접촉면(232) 또한 상기 스프링(23)의 상부에 형성된 상부 비접촉면(232a)과 하부에 형성된 하부 비접촉면(232b)이 존재한다.
접촉면(231)과 비접촉면(232)으로 나누어지는 이유는 상기 접촉면(231)과 상기 비접촉면(232)의 경계(233)에 전술한 경사부가 형성되어 있는데, 상기 경사부가 상기 접촉면(231)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비접촉면(232)에서 상기 접촉면(231)으로 갈수록 상기 스프링(23)의 두께(d)가 점점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스프링(23)의 두께(d)란 압축방향의 성분을 갖는 두께(d)를 말하는데, 결국 상부 접촉면 일단(231a) 또는 하부 접촉면 일단(231b) 측에서 최소 두께(d)를 형성하게 된다.
이에 의해 접촉면(231)의 일단에서 더 작은 탄성 계수를 갖게 되고, 비접촉면(232) 측으로 갈수록 더 큰 탄성 계수를 만들게 되어 접촉면(231)과 비접촉면(232) 사이에 변형률을 달리 형성시킬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궁극적으로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형률의 편심 작용성을 이용하여 스프링(23)이 복수 배치되는 경우 각 스프링(23)의 상부 접촉면 일단(231a)을 대각선 배치시킨다든지,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플레이트(1)의 모서리(1b)를 기준으로 상기 모서리(1b)에서 바깥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시킨다든지,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서리(1b)에서 내측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시킨다든지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현 변형률의 편심 작용성에 대한 응용으로 인하여 압축방향으로의 변형률을 사용자가 상황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하게 된다.
여기서 압축방향으로의 변형률을 사용자가 가변적으로 제어한다고 함은, 설치면의 평탄 정도라든지 수배전반 내에 내장되는 각 종 기기들의 배치 구조 등으로 인하여 수배전반이 본 장치로 가하는 중력이 편심적으로 발생하게 되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중력 편심성과 외력의 합력으로 발생하는 외력 편심성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편심 정도에 따라 스프링(23)의 배치 구조를 달리 하는(보다 정확하게는 상부 접촉면 일단(231a)을 달리 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위와 같은 장점은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수배전반내진장치는 외력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에 매우 취약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살펴보았을 때 매우 유용한 장점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스프링(23)의 상부 및 상기 스프링(23)의 하부에는 모두 상기 접촉면(231) 및 상기 비접촉면(232)이 형성되되, 상기 스프링(23)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 비접촉면(232a)과 상기 스프링(23)의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 비접촉면(232b)은 동일한 측 방향에 구비되되, 상부 접촉면(231)의 일단과 하부 접촉면(231)의 일단이 상기 비접촉면(232)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비접촉면(232a)과 상기 하부 비접촉면(232b)이 동일한 측 방향에 구비된다는 것은 동일한 횡방향에 배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상기 비접촉면(232)을 기준으로 상부 접촉면(231)의 일단과 하부 접촉면(231)의 일단이 상기 비접촉면(232)을 기준으로 엇갈리게 배치되어 전술한 압축방향으로의 변형률 제어에 안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즉, 전술하였듯이 상기 접촉면(231)의 일단 부분은 변형률이 크게 작용하는 부분에 해당하는데, 이러한 일단 부분을 엇갈리게 배치시켜 상기 스프링(23)의 상부 또는 하부에서 최대 변형률 발생 지점 또한 엇갈리게 배치시킴으로써 변형률 제어 안정성을 부여하는 것이다.
그 다음으로 제2실시예에만 채용되는 구성인 서브 스프링(25)과 상기 서브 스프링(25)을 상기 고정플레이트(1)에 결합시키는 결합부재(13)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스프링(23)의 내부에 삽입되되, 상기 제1플레이트(11) 및 상기 제2플레이트(12)의 모서리(1b) 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재(13)를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23)의 상부에 삽입되는 상부 결합부재(13a)의 길이 및 상기 스프링(23)의 하부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부재(13b)의 길이의 합은 상기 스프링(23)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23)의 내부에는 횡진방지공간(234)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결합부재(13)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플레이트(11) 및 상기 제2플레이트(12)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이러한 결합부재(13)가 상기 서브 스프링(25)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r)은 상기 서브 스프링의 내경(R)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있어 일정한 틈이 존재하게 되는데, 고정너트(n)로 강하게 고정시켜 놓은 경우에도 이러한 일정한 틈 때문에 외력이 발생하였을 때 상기 결합부재(13)를 하나의 축으로 하여 상기 서브 스프링(25)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결국 토크 소스의 흡수로 이어지게 되어 수배전반에 회전력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진방지공간(234)의 경우에는 외력의 횡방향 성분에 대한 저항성을 확보하는데 용이하게 기여할 수 있게 되는데, 상기한 횡진방지공간(234) 만큼 횡방향 성분의 비틀림 힘을 상기 서브 스프링(25)이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이는 결국 수배전반에 외력의 횡방향 성분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외력의 횡방향 성분이 강한 경우에도 상기 서브 스프링(25)이 파손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데 보다 정확히 표현하면 상기 서브 스프링(25)의 변형률 매트릭스가 파손이 덜 일어나는 방향으로 변경되는 것을 말한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고정플레이트 11: 제1플레이트
12: 제2플레이트 13: 결합부재
2: 충격저감장치 21: 고정축
22: 제한유닛 23: 스프링
24: 메인 스프링 25: 서브 스프링
1c: 저면경사 1g: 외측홈
1h: 결합홈 1s: 이격공간
r: 결합부재의 직경 R: 서브 스프링의 내경

Claims (4)

  1. 수배전반 측에 배치되고 상기 수배전반에 결합되는 제1플레이트 및 설치면 측에 배치되고 상기 설치면에 결합되는 제2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제2플레이트 사이에 구비되는 충격저감장치;
    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플레이트는 상기 충격저감장치가 결합되는 결합홈을 포함하고,
    상기 충격저감장치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고정축, 상기 고정축의 외면에 삽입되는 스프링 및 상기 고정축과 상기 스프링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스프링의 압축 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이동을 제한하는 제한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 및 상기 고정축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구비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과 접촉하는 접촉면 및 상기 접촉면에서 연장되면서 형성되되, 상기 접촉면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경사부를 포함하는 비접촉면을 포함하고, 상기 비접촉면에서 상기 접촉면으로 갈수록 상기 스프링의 두께가 감소되며,
    상기 스프링은 복수로 배치되되, 제1스프링과 제2스프링의 상기 접촉면이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스프링은 메인 스프링과 상기 메인 스프링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복수의 서브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의 모서리 측에 구비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제1플레이트 및 상기 제2플레이트에 의해 형성된 내부공간 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재가 상기 서브 스프링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되며,
    상기 결합부재의 직경은 상기 서브 스프링의 내경보다 작게 형성되며,
    상기 서브 스프링의 상부에 삽입되는 상부 결합부재의 길이 및 상기 스프링의 하부에 삽입되는 하부 결합부재의 길이의 합은 상기 스프링의 높이보다 짧게 형성되어 상기 스프링의 내부에는 횡진방지공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배전반 내진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200187432A 2020-12-30 2020-12-30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290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432A KR102290953B1 (ko) 2020-12-30 2020-12-30 수배전반 내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87432A KR102290953B1 (ko) 2020-12-30 2020-12-30 수배전반 내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953B1 true KR102290953B1 (ko) 2021-08-19

Family

ID=7749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87432A KR102290953B1 (ko) 2020-12-30 2020-12-30 수배전반 내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9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24B1 (ko) * 2023-03-28 2023-12-04 한기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5763B1 (ko) * 2019-01-30 2019-07-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064501B1 (ko) * 2018-10-29 2020-01-10 동일산전(주)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2070608B1 (ko) * 2019-06-11 2020-01-29 (주)대산이엔지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155107B1 (ko) * 2020-04-27 2020-09-11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64501B1 (ko) * 2018-10-29 2020-01-10 동일산전(주) 내진장치를 구비한 배전반
KR102005763B1 (ko) * 2019-01-30 2019-07-31 주식회사 삼성파워텍 V형 판스프링 타입 수배전반 내진장치
KR102070608B1 (ko) * 2019-06-11 2020-01-29 (주)대산이엔지 진동 감쇠 기능을 가지는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KR102155107B1 (ko) * 2020-04-27 2020-09-11 케이디파워 주식회사 외부 충격을 감지하는 센서가 설치된 수배전반용 내진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9824B1 (ko) * 2023-03-28 2023-12-04 한기태 수배전반용 내진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8083B1 (ko) 감쇠부와 변위제한부를 가진 내진 배전반
KR101963022B1 (ko) 와이어로프형 완충기를 이용한 소화수조 내진장치
KR101774285B1 (ko) 구면와셔와 압축스프링과 면진블록을 이용한 수배전반용 면진장치
KR102290953B1 (ko) 수배전반 내진장치
US10619373B1 (en) Seismic damping systems and methods
KR102148695B1 (ko) 내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JP2001509578A (ja) 減勢装置
KR20180117937A (ko) 지진저감용 점탄성 면진 모듈
JP5420509B2 (ja) 落石防止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4015801A (ja) 構造物用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4562659B2 (ja) 電気電子機器収納用キャビネット
JP6463137B2 (ja) 減震装置
JP3871393B2 (ja) 絶縁支持装置およびこの支持装置を用いる免震構造物
JP2012077496A5 (ko)
KR102198672B1 (ko) 내진기능이 부가된 배전반
WO1996002770A1 (en) Pipe restraint
JP2020002529A (ja) 構造物用多面スライド支承装置
JP6148045B2 (ja) 構造物用両面スライド支承装置
CN108798170B (zh) 抗拉隔震保护装置、抗拉隔震保护系统及其使用方法
JP5781387B2 (ja) 減震装置
JP2010270569A (ja) 免震構造
KR102558713B1 (ko) 건물 외장재의 내진형 고정장치
KR100975082B1 (ko) 구조물용 감쇠장치
US10041267B1 (en) Seismic damping systems and methods
CN220868496U (zh) 一种用于木结构梁柱节点的摩擦耗能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