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872B1 -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 Google Patents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872B1
KR102290872B1 KR1020200033586A KR20200033586A KR102290872B1 KR 102290872 B1 KR102290872 B1 KR 102290872B1 KR 1020200033586 A KR1020200033586 A KR 1020200033586A KR 20200033586 A KR20200033586 A KR 20200033586A KR 102290872 B1 KR102290872 B1 KR 1022908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oving
gear
rotation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3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현덕
안기륜
스퍼 나이젤
Original Assignee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피에이치에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33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908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8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8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3/00Vehicle lock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types of wing or vehicle
    • E05B83/16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 E05B83/18Locks for luggage compartments, car boot lids or car bonnets for car boot lids or rear luggage compart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79/00Mounting or connecting vehicle locks or parts thereof
    • E05B79/1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 E05B79/20Connections between movable lock parts using flexible connections, e.g. Bowden 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32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 E05B81/34Details of the actuator transmission of geared transmiss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54Electrical circuits
    • E05B81/64Monitoring or sensing, e.g. by using switches or sensor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는: 베이스부;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부에 연결되고,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기어부; 이동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회전기어부;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제1케이블을 당기도록 회전기어부에 연결되는 이동레버부; 및 제2케이블이 연결되고, 제2케이블이 당겨지면 이동기어부가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기어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ROTATION TYPE ACTUATOR FOR FRONT RATCH}
본 발명은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기어부와 회전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신칭모드와 릴리즈모드가 수행되고, 신칭모드 진행중에 이동기어부가 구동부에서 분리됨에 따라 신칭 인터럽터모드가 수행될 수 있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그는 래치장치는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차체에 스트라이커가 고정되며, 도어에 파울과 래치기어를 포함한 래치장치가 설치된다. 도어에 설치된 래치장치는 도어와 함께 회전되어 스트라이커에 걸려서 도어의 회전을 구속한다.
도어용 래치장치는 인사이드 핸들, 아웃사이드 핸들 및 인사이드 노브 등의 작동에 따라 동작되며, 래치장치를 작동시키는 리모트 컨트롤러가 추가로 설치될 수도 있다.
종래에는 차량용 도어래치가 전기차에 적용되면, 배터리가 방전, 전원공급 고장 또는 응급상황 발생시 도어를 강제적으로 열어야 한다. 그러나, 차량용 도어래치가 전기적으로 구동되므로, 도어를 수동으로 열 수 있도록 차량용 도어래치를 조작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1-0115873호(2011.10.24 공개, 발명의 명칭: 더블락 기능을 갖는 자동차용 도어래치)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기어부와 회전기어부가 회전됨에 따라 신칭모드와 릴리즈모드가 수행되고, 신칭모드 진행중에 이동기어부가 구동부에서 분리됨에 따라 신칭 인터럽터모드가 수행될 수 있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회전기어부;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상기 제1케이블을 당기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에 연결되는 이동레버부; 및 제2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이동기어부가 상기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기어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기어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이동기어; 상기 제1이동기어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1이동기어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회전기어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제2이동기어; 및 상기 제1이동기어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레버부의 가압시 상기 제1이동기어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되는 이동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케이스는 상기 제1이동기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선회축부; 및 상기 가압레버부의 가압 해제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제2이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원호 형태의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기어 몸체부; 및 상기 이동레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기어 몸체부에 형성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압레버부는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축부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가압레버; 및 상기 제1가압레버의 가압시 상기 이동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케이스를 가압하는 제2가압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레버는 상기 회전기어부의 상기 회전축부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압레버 몸체부; 상기 제2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가압레버 몸체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이동케이스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레버 몸체부에 형성되는 가압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케이블이 연결되는 분배부재; 및 상기 분배부재와 상기 회전기어부를 연결하는 이동로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는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감지부를 더 포함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동기어부와 회전기어부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신칭모드 또는 릴리즈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신칭모드 진행중에 제2케이블이 수동으로 당겨지면, 이동기어부가 구동부에서 분리됨에 따라 신칭 인터럽터모드가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의 구동력과 제2케이블의 장력이 충돌되는 잼 현상(jam)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구동부, 이동기어부 및 회전기어부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이동기어부, 회전기어부 및 가압레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와 이동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회전기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구동시 제1케이블이 당겨지는 신칭모드를 도시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신칭모드가 시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신칭모드의 도중에 제2케이블이 당겨지는 신칭 인터럽터모드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이동기어부의 제1이동기어와 제2이동기어가 웜기어와 회전기어부에서 분리되는 신칭 인터럽트모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정지시 제2케이블이 당겨지는 매뉴얼 릴리즈모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매뉴얼 릴리즈모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이동기어부, 회전기어부 및 가압레버부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와 이동기어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회전기어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100)는 베이스부(110), 구동부(120), 이동기어부(130), 회전기어부(140), 이동레버부(150) 및 가압레버부(160)를 포함한다.
베이스부(110)의 일측에는 커버부(112)가 설치된다. 베이스부(110)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10)의 일측과 타측에는 제1케이블(10)과 제2케이블(20)이 각각 통과되도록 인입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제1케이블(10)은 차량의 전방 트렁크(미도시)에 설치되는 프렁크래치(미도시)에 연결된다. 제1케이블(10)은 한 쌍이 되고, 각 제1케이블(10)에는 프렁크래치가 각각 연결된다. 제2케이블(20)은 전방 트렁크(미도시)의 릴리즈레버(미도시)에 연결된다. 릴리즈레버가 수동으로 당겨지면,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진다.
구동부(120)는 베이스부(110)에 설치된다. 구동부(120)는 구동모터(121)와, 구동모터(121)의 출력축에 연결되는 웜기어(123)를 포함한다. 구동부(120)는 이동기어부(130)를 회전시키는 한 다양한 형태가 적용될 수 있다.
이동기어부(130)는 구동부(120)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동부(120)에 연결되고, 구동부(12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되면, 구동부(120)의 구동력이 이동기어부(130)와 회전기어부(140)에 전달되지 않는다.
회전기어부(140)는 이동기어부(130)에 맞물리게 설치된다. 회전기어부(140)는 이동기어부(130)에서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회전된다.
이동레버부(150)는 제1케이블(10)에 연결되고,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시 제1케이블(10)을 잡아당기도록 회전기어부(140)에 연결된다. 이동레버부(150)가 회전기어부(140)에 의해 제1케이블(10)을 잡아당기도록 이동되면, 제1케이블(10)에 연결되는 프렁크래치의 상태에 따라 프렁크래치가 신칭모드(cinching mode) 또는 릴리즈모드(release mode)로 변경된다. 신칭모드는 프렁크래치에서 스트라이커(미도시)가 구속되는 동작을 의미하고, 릴리즈모드는 프렁크래치에서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동작을 의미한다.
가압레버부(160)는 제2케이블(20)에 연결되고, 제2케이블(20)이 당겨지면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기어부(130)를 가압하여 이동시킨다. 구동부(120)가 구동됨에 따라 신칭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지면, 가압레버부(160)가 회전되면서 이동기어부(130)를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된다. 이때, 제1이동기어(131)는 구동부(120)의 웜기어(123)와 일정 간격(G1: 도 10 참조) 분리되고, 제2이동기어(133)는 회전기어부(140)의 톱니부와 일정 간격(G2: 도 10 참조) 분리된다.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되면, 구동부(120)의 구동력이 이동기어부(130)에 가해지지 않는다. 이처럼, 신칭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제2케이블(20)이 당겨지면,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되는 동작을 신칭 인터럽터모드(cinching interrupter mode)라 한다.
또한, 구동부(120)가 구동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지면, 가압레버부(160)가 회전되고, 이동레버부(150)가 제2케이블(20) 측으로 이동되며, 프렁크래치가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도록 제1케이블(10)이 당겨진다. 이때, 가압레버부(160)가 회전됨에 따라 이동기어부(130)가 구동부(120)에서 분리된다. 이처럼, 제2케이블(20)이 당겨짐에 의해 프렁크래치가 스트라이커를 해제하는 동작을 매뉴얼 릴리즈모드(manual release mode)라 한다.
이동기어부(130)는 제1이동기어(131), 제2이동기어(133) 및 이동케이스(135)를 포함한다.
제1이동기어(131)는 구동부(120)의 웜기어(123)에 연결된다. 제2이동기어(133)는 제1이동기어(131)와 함께 회전되도록 제1이동기어(131)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구동부(120)의 구동력을 회전기어부(140)에 전달하도록 회전기어부(140)에 맞물리도록 설치된다.
제2이동기어(133)의 직경은 제1이동기어(131)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된다.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는 이동축부(13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동케이스(135)에는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동케이스(135)는 가압레버부(160)의 가압시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가 구동부(120)와 회전기어부(140)에서 분리되도록 이동된다. 이동케이스(135)는 전체적으로 반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동케이스(135)가 가압레버부(160)의 가압력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가 구동부(120)의 웜기어(123)와 회전기어부(140)의 톱니부에서 분리된다.
이동케이스(135)는 케이스 본체(136), 선회축부(137) 및 탄성부재(138)를 포함한다.
케이스 본체(136)에는 제1이동기어(131)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136a)와, 제2이동기어(133)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136b)가 형성된다. 제1수용부(136a)와 제2수용부(136b)는 축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케이스 본체(136)에는 가압레버부(160)의 제2가압레버(167)에 가압되도록 피가압돌기부(136c)가 형성된다.
선회축부(137)는 케이스 본체(136)에 연결되고, 회전기어부(140)의 외측에 설치된다. 선회축부(137)는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의 회전중심을 이루는 이동축부(132)에서 이격되게 설치된다.
탄성부재(138)는 가압레버부(160)의 가압 해제시 케이스 본체(136)를 구동부(120)와 회전기어부(140)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케이스 본체(136)에 탄성력을 가한다. 케이스 본체(136)가 탄성부재(138)의 탄성력에 의해 구동부(120)와 회전기어부(140) 측으로 이동되면, 제1이동기어(131)가 웜기어(123)에 맞물리고, 제2이동기어(133)가 회전기어부(140)에 맞물리게 된다.
회전기어부(140)는 회전기어 몸체부(141)와 회전연결부(143)를 포함한다.
회전기어 몸체부(141)에는 제2이동기어(133)와 맞물리도록 원호 형태의 톱니부가 형성된다. 회전기어 몸체부(141)는 회전축부(14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회전축부(142)는 이동기어부(130)의 이동축부(132)에서 이격되게 배치된다. 회전기어 몸체부(141)의 톱니부 반대측에는 회전기어 몸체부(141)의 회전시 회전감지부(170)에 접촉되도록 원호 형태의 접촉면부(145)가 형성된다.
회전연결부(143)는 이동레버부(150)에 연결되도록 회전기어 몸체부(141)에 형성된다. 회전연결부(143)는 회전기어 몸체부(141)에서 웜기어(123)의 반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가압레버부(160)는 제1가압레버(161) 및 제2가압레버(167)를 포함한다.
제1가압레버(161)는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축부(142)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제2케이블(20)이 연결된다. 제2가압레버(167)는 제1가압레버(161)의 가압시 이동케이스(135)를 이동시키도록 이동케이스(135)를 가압한다. 제1가압레버(161)와 제2가압레버(167)는 서로 다른 회전중심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가압레버(167)가 제1가압레버(161)의 가압력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이동케이스(135)의 피가압돌기부(136c)를 가압한다. 제2가압레버(167)는 스프링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된다.
제1가압레버(161)는 제1가압레버 몸체부(162), 케이블 결합부(163) 및 가압리브(164)를 포함한다.
제1가압레버 몸체부(162)는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축부(142)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된다. 케이블 결합부(163)는 제2케이블(20)이 연결되도록 제1가압레버 몸체부(162)에 형성된다. 가압리브(164)는 제2케이블(20)이 당겨지면 이동케이스(135)를 가압하도록 제1가압레버 몸체부(162)에 형성된다. 가압리브(164)는 케이블 결합부(163)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가압리브(164)는 제1가압레버 몸체부(162)의 원주방향을 따라 원호 형태로 형성된다. 제1가압레버(161)의 회전시 가압리브(164)는 회전축부(14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1가압레버(161)에는 슬라이드핀(미도시)이 설치되고, 회전기어부(140)에는 슬라이드핀이 이동되도록 원호 형태의 슬라이드홀부(미도시)가 형성된다. 회전기어부(140)가 이동기어부(130)와 맞물려 회전되는 회전기어부(140)의 회전각도에서는 슬라이드핀이 슬라이드홀부에서 자유롭게 이동된다. 따라서, 회전기어부(140)가 이동기어부(130)와 맞물려 회전될 때에는 제1가압레버(161)는 회전되지 않는다.
또한, 가압레버부(160)가 제2케이블(20)에 의해 당겨질 때에는 슬라이드핀이 슬라이드홀부의 단부를 제2케이블(20) 측으로 가압한다. 따라서, 가압레버부(160)가 제2케이블(20)에 의해 회전될 때에는 가압레버부(160)가 이동기어부(130)와 같이 회전될 수 있다.
이동레버부(150)는 베이스부(110)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제1케이블(10)이 연결되는 분배부재(151)와, 분배부재(151)와 회전기어부(140)를 연결하는 이동로드(153)를 포함한다. 이동로드(153)가 회전기어부(140)에 의해 회전됨에 따라 제1케이블(10)을 당기거나 밀어준다. 차량에 하나의 프렁크래치가 설치되는 경우 분배부재(151)에는 하나의 제1케이블(10)이 연결되고, 차량에 두 개의 프렁크래치가 설치되는 경우 분배부재(151)에는 두 개의 제1케이블(10)이 연결된다.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100)는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회전기어부(140)의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감지부(170)를 더 포함한다. 회전감지부(170)는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시 접촉면부(145)에 접촉되고, 회전기어부(140)가 원위치로 복귀되면 회전감지부(170)는 회전기어부(140)의 접촉면부(145)에서 이격된다. 따라서, 회전감지부(170)는 접촉면부(145)와의 접촉 여부에 따라 회전기어부(140)의 회전을 감지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의 작동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100)는 릴리즈모드, 신칭모드, 신칭 인터럽터모드 및 매뉴얼 릴리즈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먼저, 릴리즈모드와 신칭모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구동시 제1케이블이 당겨지는 신칭모드를 도시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구동부(120)가 구동됨에 따라 웜기어(123)가 회전되면, 이동기어부(130)의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가 이동축부(132)를 중심으로 회전된다. 제2이동기어(133)가 회전됨에 따라 회전기어부(140)가 회전되면서 이동레버부(150)를 제2케이블(20) 측으로 잡아당긴다. 이동레버부(150)가 제1케이블(10)을 잡아당김에 따라 프렁크래치의 스트라이커가 구속되거나 해제된다. 이때, 프렁크래치가 스트라이커를 구속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가 해제되는 릴리즈모드가 구현되고, 프렁크래치가 스트라이커를 해제한 상태에서는 스트라이커를 구속하는 신칭모드가 구현된다.
다음으로, 신칭 인터럽터모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신칭모드가 시작되는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신칭모드의 도중에 제2케이블이 당겨지는 신칭 인터럽터모드의 초기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이동기어부의 제1이동기어와 제2이동기어가 웜기어와 회전기어부에서 분리되는 신칭 인터럽트모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구동모터(121)가 구동됨에 따라 웜기어(123), 제1이동기어(131), 제2이동기어(133) 및 회전기어부(140)가 회전된다. 회전기어부(140)가 회전되면서 이동레버부(150)를 잡아당기는 신칭모드가 진행된다.
신칭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지면, 가압레버부(160)가 회전되면서 이동기어부(130)를 가압하여 구동부(120)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이동케이스(135)가 선회축부(137)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제1이동기어(131)는 구동부(120)의 웜기어(123)와 일정 간격(G1: 도 10 참조) 분리되고, 제2이동기어(133)는 회전기어부(140)의 톱니부와 일정 간격(G2: 도 10 참조) 분리된다. 따라서, 구동모터(121)의 구동력이 회전기어부(140)에 전달되지 않는다.
제2케이블(20)을 다시 잡아당기면, 가압레버부(160)와 회전기어부(140)가 회전됨에 의해 이동레버부(150)가 제2케이블(20) 측으로 이동된다. 이동레버부(150)가 제1케이블(10)을 잡아당기면, 프렁크래치에서 스트라이커가 해제된다.
따라서, 신칭모드가 진행되는 도중에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지더라도, 구동부(120)의 구동력과 제2케이블(20)의 장력이 충돌되는 잼 현상(jam)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구동부(120), 이동기어부(130) 및 회전기어부(140) 등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매뉴얼 릴리즈모드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구동부의 정지시 제2케이블이 당겨지는 매뉴얼 릴리즈모드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에서 매뉴얼 릴리즈모드가 완료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구동모터(121)가 정지된 상태에서 제2케이블(20)이 수동으로 당겨지면, 가압레버부(160)가 회전되면서 이동기어부(130)를 가압하여 구동부(120)에서 분리시킨다. 이때, 이동케이스(135)가 선회축부(137)를 중심으로 회전되므로, 제1이동기어(131)와 제2이동기어(133)는 웜기어(123)와 회전기어부(140)의 톱니부에서 분리된다.
가압레버부(160)와 회전기어부(140)가 제2케이블(20)의 장력에 의해 회전되면, 이동레버부(150)가 제2케이블(20) 측으로 이동된다. 이동레버부(150)가 제1케이블(10)을 잡아당기면, 프렁크래치에서 스트라이커가 해제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제1케이블 20: 제2케이블
100: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110: 베이스부 120: 구동부
121: 구동모터 123: 웜기어
130: 이동기어부 131: 제1이동기어
132: 이동축부 133: 제2이동기어
135: 이동케이스 136: 케이스 본체
136a: 제1수용부 136b: 제2수용부
136c: 피가압돌기부 137: 선회축부
138: 탄성부재 140: 회전기어부
141: 회전기어 몸체부 142: 회전축부
143: 회전연결부 145: 접촉면부
150: 이동레버부 151: 분배부재
153: 이동로드 160: 가압레버부
161: 제1가압레버 162: 제1가압레버 몸체부
163: 케이블 결합부 164: 가압리브
167: 제2가압레버 170: 회전감지부

Claims (8)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에 설치되는 구동부;
    상기 구동부에 의해 회전되도록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고, 상기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기어부;
    상기 이동기어부에 맞물리게 설치되는 회전기어부;
    제1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시 상기 제1케이블을 당기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에 연결되는 이동레버부; 및
    제2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제2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이동기어부가 상기 구동부에서 분리되도록 상기 이동기어부를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가압레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기어부는,
    상기 구동부에 연결되는 제1이동기어;
    상기 제1이동기어와 함께 회전되도록 상기 제1이동기어와 동축상에 배치되고, 상기 구동부의 구동력을 회전기어부에 전달하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에 맞물리도록 설치되는 제2이동기어; 및
    상기 제1이동기어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가압레버부의 가압시 상기 제1이동기어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에서 분리되도록 이동되는 이동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케이스는,
    상기 제1이동기어가 수용되는 제1수용부와, 상기 제2이동기어가 수용되는 제2수용부가 형성되는 케이스 본체;
    상기 케이스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회전기어부의 외측에 설치되는 선회축부; 및
    상기 가압레버부의 가압 해제시 상기 케이스 본체를 상기 구동부와 상기 회전기어부 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케이스 본체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는,
    상기 제2이동기어와 맞물리도록 원호 형태의 톱니부가 형성되는 회전기어 몸체부; 및
    상기 이동레버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회전기어 몸체부에 형성되는 회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레버부는,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축부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고, 상기 제2케이블이 연결되는 제1가압레버; 및
    상기 제1가압레버의 가압시 상기 이동케이스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이동케이스를 가압하는 제2가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가압레버는,
    상기 회전기어부의 상기 회전축부와 동축을 이루도록 설치되는 제1가압레버 몸체부;
    상기 제2케이블이 연결되도록 상기 제1가압레버 몸체부에 형성되는 케이블 결합부; 및
    상기 제2케이블이 당겨지면 상기 이동케이스를 가압하도록 상기 제1가압레버 몸체부에 형성되는 가압리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레버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내부에 배치되고, 하나 이상의 상기 제1케이블이 연결되는 분배부재; 및
    상기 분배부재와 상기 회전기어부를 연결하는 이동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기어부의 회전을 감지하도록 상기 회전기어부의 둘레에 설치되는 회전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KR1020200033586A 2020-03-19 2020-03-19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KR1022908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86A KR102290872B1 (ko) 2020-03-19 2020-03-19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3586A KR102290872B1 (ko) 2020-03-19 2020-03-19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90872B1 true KR102290872B1 (ko) 2021-08-23

Family

ID=774991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3586A KR102290872B1 (ko) 2020-03-19 2020-03-19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8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440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77440A (ko) * 2015-12-28 2017-07-06 주식회사 우보테크 차량용 도어 래치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85239B2 (en) Vehicle door opening closing device
JP4058895B2 (ja) 回路しゃ断器のハンドル操作機構
US5833282A (en) Door locking device with an antitheft mechanism
JP4775345B2 (ja) 車両用ドアロック装置
US4986579A (en) Door closing device
US5564761A (en) Door lock device with automatic closing mechanism
JP5769791B2 (ja) ラッチ装置
US5938251A (en) Powered closing device for a vehicle door with a safety mechanism
US8033584B2 (en) Opening/closing device for vehicle door
US20060202485A1 (en) Door latch apparatus
KR20200107082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20200105075A (ko) 파워 차일드 록 조작장치
KR101212591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2290872B1 (ko) 프렁크래치용 회전타입 액츄에이터
GB2284635A (en) Vehicle door locking device with an antitheft mechanism
KR20200101073A (ko) 차량용 전동식 도어 래치
KR101212590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KR101168417B1 (ko) 차량용 도어 잠금장치
JP2832234B2 (ja) 車両用オートドアロック装置
KR20220016330A (ko) 테일게이트 개폐장치
CN221507985U (zh) 用于双电源切换的操作组件及开关装置
WO2020137973A1 (ja) ドアロック装置
KR100736977B1 (ko) 파워래치시스템
JP2805569B2 (ja) 車両用オートドアロック装置
KR101818169B1 (ko) 차량용 도어래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