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0000B1 -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0000B1
KR102290000B1 KR1020190176955A KR20190176955A KR102290000B1 KR 102290000 B1 KR102290000 B1 KR 102290000B1 KR 1020190176955 A KR1020190176955 A KR 1020190176955A KR 20190176955 A KR20190176955 A KR 20190176955A KR 102290000 B1 KR102290000 B1 KR 102290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ensing
wiring
sub
sen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6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132A (ko
Inventor
김철우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US16/776,688 priority Critical patent/US10996807B2/en
Publication of KR202001351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0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0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8Details of the electrode shape, e.g. for enhancing the detection of touches, for generating specific electric field shapes, for enhancing display qu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제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커플링 결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노드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다.

Description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TOUCH SENSOR WITH MODULAR SHAP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SAME}
본 출원은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용 컴퓨터, 휴대용 통신장치, 그 밖의 개인전용 정보처리장치 등의 입력장치(Input Device)에는 사용자가 손이나 펜 등으로 화면을 직접 접촉하여 정보를 입력하는 터치패널(Touch Panel)이 사용된다.
터치 패널은 간단하고, 오작동이 적으며, 휴대가 용이하고, 다른 입력기기 없이 문자 입력이 가능하며,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방법을 인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최근 다양한 정보처리장치에 적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은 사용자에 의해 터치된 부분을 감지하는 방식에 따라서, 초음파 방식(ultrasonic type), 정전용량 방식(electrostatic capacitive type),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전자기 방식(electromagnetic type), 광 센서 방식(optical sensor type)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은 일반적으로 터치에 방해가 되는 이종의 결합인 IC나 FPCB본딩을 터치되는 면상에 가지지 않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터치 패널에 시각적으로 균일하지 않아 눈에 띄거나 화소를 가리는 터치 센서의 구조를 표시 영역 내에 장치하지 않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따라서, 터치 스크린으로 많이 이용되는 정전용량 터치 센서는 센서와 IC가 wiring되어야 하기 때문에, 터치 스크린은 최대 4개의 터치 유닛(가로2분할, 세로2분할)으로 분할된 화면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하나의 터치 유닛의 크기는, cut-off frequency, noise 발생으로 인해 한계가 있기 때문에 하나의 터치 유닛이 4개로 구성된 터치 패널의 전체 크기도 한계가 있게 된다.
본 출원의 목적은 하나의 터치 유닛으로 구동 및 센싱이 불가능한 터치 패널의 크기에 대해, 구동 및 센싱이 가능하게 하는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터치 센서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제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커플링 결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노드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노드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그룹은,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열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이 서로 교차하는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 중 제1 한쌍의 서브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 중 제2 한쌍의 서브코일이 형성한 제2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의 외부 영역에 대응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이 배치된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 중 제1 한쌍의 서브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 중 제2 한쌍의 서브코일이 형성한 제3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배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과 상기 하나의 제2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에 타측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 내측마다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패시터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 개수에 대응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에 소스 및 드레인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하나마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의 개수에 대응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 중 어느 하나를 일측에 스위칭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타측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의 개수에 대응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에 교대로 스위칭 연결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표시 장치는,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제1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 상기 복수의 코일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커플링 결합하는 복수의 센싱 노드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노드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으로 적층된 패널이고,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으로 적층된 패널이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들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일면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일면에 배열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그룹은,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열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을 통해 연결되는 터치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동일면에 배치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으로부터 센싱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센싱신호를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증폭하여 상기 센싱부로 전달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버퍼, 엠프, 싱글엔디드엠프,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는 터치 패널의 크기 증가에 따른 센싱 및 구동 한계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터치 센서가 각 노드 그룹에 해당하는 모듈 형태의 유닛 단위로 구성될 있어, 제조 수율을 높이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도 1의 제1 및 제2 노드 그룹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b는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의 분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터치 센서(10)가 적용된 표시 장치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되어 있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서,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형태들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들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들을 가질 수 있으므로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실시 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들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출원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출원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출원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a는 도 1의 제1 및 제2 노드 그룹(220_1, 220_2)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2b는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의 분할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10)는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100, 200)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터치 감지부(100)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방향은 수평 방향(X축 방향)에 대응되고, 제2 방향은 수직 방향(Y축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은 제1 터치 감지부(100)의 일측에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되는 위치에 배열되고, 사용자 터치에 따라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은 유도성 터치 센서(inductive touch sensor)일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감지부(100)는 사용자 터치에 따라 변화되는 상호 정전용량(mutual capacitance)을 측정하여, 변화된 지점의 좌표를 터치된 부분으로 산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터치 감지부(200)는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과 일대일 대응하여 무선 커플링 결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서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100, 200)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과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은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은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으로 그룹화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220_1, 220_2) 각각은 단위 유닛으로 제조되는 모듈러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은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노드 그룹(220_1, 220_2)으로 그룹화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노드 그룹(220_1, 220_2)은 제1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열(221_1, 221_2)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노드 그룹(221_1)은 제1 배열(221_1)을 포함하고, 제2 노드 그룹(220_2)은 제2 배열(221_2)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배열(221_1)은 제2 방향으로 제2 배열(221_2)에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예컨대, 210_34)와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예컨대, 210_31~210_3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배열(221_2)은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예컨대, 210_35)와 제2 방향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예컨대, 210_36~210_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예컨대, 220_1, 220_2)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분할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제1 배열(221_1)의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예컨대, 210_34)와 제2 배열(221_2)의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예컨대, 210_35) 사이에 제1 및 제2 방향으로 연결된 제1 및 제2 노드 그룹(220_1, 220_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10)는 모듈 형태의 유닛 단위로 제조될 수 있게 하는 각 노드 그룹(예컨대, 220_1, 220_2)으로 그룹화되어, 터치 패널의 크기 증가에 따른 센싱 및 구동 한계 문제를 감소시키고, 제조 수율을 높이는 동시에, 제조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동일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은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막대 형상은 평행하는 한쌍의 가로 라인과 상기 한쌍의 가로 라인을 연결하는 하나의 세로 라인을 포함하는 형상을 의미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이 서로 교차하는 제1 배치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치 영역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이 서로 교차되어 중첩되는 영역으로,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배치 영역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동일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중 일부는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되고, 나머지 일부는 직교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제2 서브코일(262_2~262_N)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서브코일(261_1~261_N) 중 제1 한쌍의 코일(예컨대, 261_1, 261_2)과 제2 서브코일(262_2~262_N) 중 제2 한쌍의 코일(262_2, 262_4) 사이에 형성된 제2 배치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치 영역은 제1 한쌍의 코일(예컨대, 261_1, 261_2)과 제2 한쌍의 코일(262_2, 262_4)이 이루는 가상의 반경 내측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반경의 중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의 외부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2 배치 영역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5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동일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하나의 제2 배선(예컨대, 252_2)은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나머지 일부와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서로 직교하지 않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제2 서브코일(262_2~262_N)이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 중 제1 한쌍의 코일(예컨대, 261_1, 261_2)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262_2~262_N) 중 제2 한쌍의 코일(262_4, 262_5) 사이에 형성된 제3 배치 영역마다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3 배치 영역은 제1 한쌍의 코일(예컨대, 261_1, 261_2)과 제2 한쌍의 코일(262_4, 262_5)이 이루는 가상의 반경 내측 영역일 수 있다. 이러한 가상의 반경의 중심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이 교차하여 중첩되는 영역일 수 있다. 이때, 제3 배치 영역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262_2~262_N)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은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262_2~262_N)은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과 인접하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261_1~26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262_2~262_N)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도 6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1~27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1~27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하나의 제2 배선(예컨대, 252_2)은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271_N)는 일측이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에 연결되고, 타측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271_N)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에 각각 연결되고,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일정 거리마다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1~271_NM)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싱노드(210_11)는 제1 커패시터(271_11)의 내측에 배치되고, 제2 센싱노드(210_12)는 제2 커패시터(271_12)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271_1~271_N)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7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하나의 제2 배선(예컨대, 252_2)은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에 드레인 및 소스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일정 거리마다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의 드레인 및 소스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의 드레인이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에 연결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의 소스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281_11~281_N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도 8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제2 터치 감지부(200)를 구체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제2 터치 감지부(20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251_1~251_N, 252_1~252_M),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 및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향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2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제1 방향으로 평행하게 다수개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은 제1 방향에 대응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은 제2 방향에 대응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하나의 제2 배선(예컨대, 252_2)은 서로 직교하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어느 하나에 일측이 연결될 수 있다. 즉,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는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격된 일정 거리마다 다수개 배치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센싱노드(210_11)는 제1 스위치(291_11)의 타측에 연결되고, 제2 센싱노드(210_12)는 제2 스위치(291_11)의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의 개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 중 어느 하나로 스위칭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291_11~291_NM)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210_11~210_NM)를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251_1~251_N)과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252_1~252_M)에 교대로 연결할 수 있다.
도 9는 도 1의 터치 센서(10)가 적용된 표시 장치(500)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500)는 제1 터치 감지부(100)가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510), 제2 터치 감지부(200)가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520), 및 표시 패널(5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 1에서 설명된 동일한 기재번호의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100, 200)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먼저, 제1 터치 패널(510)은 제1 터치 감지부(100)가 배치되는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터치 패널(510)은 플렉시블 재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패널(510)은 표시 패널(530)로부터 상측으로, X축 ITO 필름, 구동 라인(TS), Y축 ITO 필름, 센싱 라인(RS) 및 제1 터치 감지부(100)가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 터치 패널(510)은 X축 ITO 필름, 구동 라인, Y축 ITO 필름, 센싱 라인 및 제1 터치 감지부(100)가 적층된 패널일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패널(510)은 제1 터치 감지부(100)를 제어하기 위한 제1 터치 회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터치 회로(150)는 제1 터치 감지부(100)를 구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라인(TS)을 통해 연결된 제1 터치 감지부(100)에 구동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터치 회로(150)는 사용자 터치 좌표를 감지하기 위하여, 센싱 라인(RS)를 통해 연결된 제1 터치 감지부(100)로부터 센싱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 라인(TS)과 센싱 라인(RS)은 서로 개별적인 복수의 배선들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 터치 패널(520)은 제2 터치 감지부(200)가 배치되는 기판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터치 패널(520)은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터치 패널(520)은 표시 패널(530)로부터 하측으로 제2 터치 감지부(200),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Y축 ITO 필름,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및 X축 ITO 필름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터치 패널(520)은 X축 ITO 필름,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Y축 ITO 필름,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및 제2 터치 감지부(200)가 적층된 패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터치 패널(520)은 제2 터치 감지부(200)를 제어하기 위한 제2 터치 회로(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제2 터치 회로(250)는 제2 터치 패널(520)에 포함된 구성으로 설명되지만, 제2 터치 패널(520)의 배치되는 제2 터치 감지부(200)와 동일면에 배치되는 독립된 구성으로도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제2 터치 회로(250)는 선택부(251), 구동부(252) 및 감지부(253)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부(251)는 제1 터치 회로(150)를 통해 감지된 사용자 터치 좌표에 기초하여, 제2 터치 감지부(200)에 포함되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들(예컨대, 220_1, 220_2)을 선택할 수 있다. 그런 다음, 구동부(252)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구동신호를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들(220_1, 220_2)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감지부(253)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들(예컨대, 220_1, 220_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 중 다른 하나를 통해 센싱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동부(252)가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들(예컨대, 220_1, 220_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을 통해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감지부(253)는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들(예컨대, 220_1, 220_2)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을 통해 센싱신호를 감지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2 터치 회로(250)는 증폭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증폭부는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센싱신호를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증폭하여, 감지부(253)로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증폭부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에 연결되고, 버퍼, 엠프, 싱글엔디드엠프,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표시 패널(530)은 제1 및 제2 터치 패널(510, 520) 사이에 위치하고,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다수의 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패널(530)과 제1 터치 패널(510) 사이 및 표시 패널(530)과 제2 터치 패널(520) 사이에는 점착제(optical clear adhesive)(20, 40, 60)가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다수의 화소들은 특정 색상으로 발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각의 화소들 적색, 녹색, 청색 등으로 발광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 패널(530)은 화소들을 제어하기 위한 구동 회로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제2 터치 패널(520)은 표시 패널(530)을 기준으로, 제1 터치 패널(51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터치 패널(510)은 표시 패널(5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제2 터치 패널(520)은 표시 패널(530)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1 터치 패널(510)의 복수의 코일들(110_11~110_NM)과 제2 터치 패널(520)의 복수의 센싱노드들(210_11~210_NM)은 서로 무선으로 커플링 결합할 수 있다.
10: 터치 센서
100: 제1 터치 감지부
200: 제2 터치 감지부
500: 표시 장치
510: 제1 터치 패널
520: 제2 터치 패널
530: 표시 패널

Claims (20)

  1.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제1 터치 감지부; 및
    상기 복수의 코일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커플링 결합하도록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센싱노드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터치 감지부는 서로 다른 층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노드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터치 센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그룹은,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열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고, 상기 막대 형상으로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이 서로 교차하는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 중 제1 한쌍의 서브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 중 제2 한쌍의 서브코일이 형성한 제2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배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의 외부 영역에 대응하는, 터치 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이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이 배치된 하나의 제2 배선;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 중 제1 한쌍의 서브코일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 중 제2 한쌍의 서브코일이 형성한 제3 배치 영역마다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3 배치 영역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과 상기 하나의 제2 배선이 서로 교차하여 중첩되는 영역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서브코일;
    상기 제1 서브코일과 인접하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일정 거리마다 이격된 위치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서브코일; 및
    상기 제1 서브코일 및 상기 제2 서브코일 사이에 배열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에 일측이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에 타측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커패시터; 및
    상기 커패시터 내측마다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커패시터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 개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에 게이트가 연결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에 소스 및 드레인 중 어느 하나가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 및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다른 하나마다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의 개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감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 중 어느 하나를 일측에 스위칭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타측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의 개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 노드의 개수에 대응되는, 터치 센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스위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에 교대로 스위칭 연결하는, 터치 센서.
  14. 복수의 코일들을 포함하는 제1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1 터치 패널;
    상기 복수의 코일들에 일대일 대응하여 커플링 결합하는 복수의 센싱 노드들을 포함하는 제2 터치 감지부가 배치되는 제2 터치 패널; 및
    상기 제1 및 제2 터치 패널 사이에 위치하여, 화상을 표시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표시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되는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노드 그룹으로 그룹화되는 분할 구조로 형성되는,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으로 적층된 패널이고, 상기 제1 터치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으로 적층된 패널인, 표시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코일들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제1 터치 패널의 일면에 배열되고,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은 상기 제1 및 제2 방향으로 상기 제2 터치 패널의 일면에 배열되는, 표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노드 그룹은, 상기 제1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배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배열 각각은, 상기 제2 방향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노드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배선으로 서로 연결되지 않는 나머지 센싱노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배선을 통해 연결되는 터치 회로를 더 포함하고,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제2 터치 패널과 동일면에 배치되는,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제1 터치 감지부를 통해 감지된 터치 이벤트에 기초하여,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을 선택하는 선택부;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에 구동신호를 전송하는 구동부; 및
    상기 적어도 둘 이상의 노드 그룹으로부터 센싱신호를 감지하는 센싱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회로는, 상기 복수의 센싱노드들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 배선을 통해 전달되는 상기 센싱신호를 선형 또는 비선형으로 증폭하여 상기 센싱부로 전달하는 증폭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버퍼, 엠프, 싱글엔디드엠프, 트랜지스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90176955A 2019-05-24 2019-12-27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90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776,688 US10996807B2 (en) 2019-05-24 2020-01-30 Touch sensor with modular shap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0921 2019-05-24
KR1020190060921 2019-05-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32A KR20200135132A (ko) 2020-12-02
KR102290000B1 true KR102290000B1 (ko) 2021-08-18

Family

ID=73791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6955A KR102290000B1 (ko) 2019-05-24 2019-12-27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9000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7590A1 (en) * 2016-04-28 2018-03-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cre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1954368B1 (ko)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1079711B4 (de) * 2011-07-25 2013-10-17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edienvorrichtung
KR102049261B1 (ko) * 2012-09-14 2019-11-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061569B1 (ko) * 2013-05-16 2020-01-0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20170078162A (ko) * 2015-12-29 2017-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067590A1 (en) * 2016-04-28 2018-03-08 Boe Technology Group Co., Ltd.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creen,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KR101954368B1 (ko) 2017-08-31 2019-03-05 (주)실리콘인사이드 3d 터치 구현을 위한 뮤추얼 인덕티브 포스 센서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32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03250B (zh) 指纹传感器集成型触摸屏面板
US10409414B2 (en) Touch sensing apparatus, touch sensing method, touch sensing system, and display system using the same
US20180006107A1 (en) Active-matrix touchscreen
KR10204447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센싱 컨트롤러 및 터치 센싱 시스템
CN107092119B (zh) 显示基板和显示面板
US10203825B2 (en) Array substrate having an embedded touch structure and display panel
KR102140791B1 (ko) 터치 컨트롤러, 터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전자 장치, 및 터치 센싱 방법
CN104571746B (zh) 触摸屏、触摸面板和其驱动方法
CN105556446A (zh) 使用矩阵电极图案的电容性感测
JP2018022286A (ja) 力検出装置、表示装置及び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表示装置
CN107402657A (zh) 感知触摸和指纹的触摸屏
JP2016143424A (ja) タッチスクリーン及びこれを含む表示装置
CN105867707A (zh) 一种互感式电容性触摸屏
CN107272239A (zh) 显示装置
WO2020191696A1 (zh) 触控基板、触控装置和触控检测方法
JP7111742B2 (ja) タッチパネル、アレイ基板、及び表示装置
CN107924243A (zh) 压力感应触摸系统及具有压力感应触摸系统的计算装置
KR102464814B1 (ko) 터치 감지부, 이를 포함하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터치 스크린 패널의 구동 방법
CN105045452B (zh) 一种触摸显示设备及其阵列基板
CN110162219A (zh) 触控装置
KR20150031767A (ko) 터치패널
KR102290000B1 (ko) 모듈러 형태를 갖는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CN108108055A (zh) 触控装置、触控方法及电子设备
CN103576955A (zh) 互容式触控面板及触控系统
US8895882B2 (en) Touch pan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