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880B1 -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 Google Patents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880B1
KR102289880B1 KR1020200056500A KR20200056500A KR102289880B1 KR 102289880 B1 KR102289880 B1 KR 102289880B1 KR 1020200056500 A KR1020200056500 A KR 1020200056500A KR 20200056500 A KR20200056500 A KR 20200056500A KR 102289880 B1 KR102289880 B1 KR 1022898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water
body portion
washing
supply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65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창오
고승현
Original Assignee
고창오
고승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창오, 고승현 filed Critical 고창오
Priority to KR10202000565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8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06F39/40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08Steam generating arrangement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4Heating arrangements

Abstract

수증기와 세탁수를 혼합하는 물-증기 혼합기와,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물-증기 혼합기는, 수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부, 증기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며,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 및 증기 입구부보다 낮고 증기 혼합수 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세탁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 입구부를 구비한 케이싱, 및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를 증기 혼합수 출구부로 유도하는 내부관을 구비한다. 내부관의 상단과 증기 입구부 사이에서 수증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내부관의 상단은 케이싱에 결합되고,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와 세탁수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세탁수 입구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내부관의 하단은 세탁수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증기 혼합수 출구부와 이격된다.

Description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Water-steam mixer and hot water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으로, 온수를 이용하여 세탁물을 세탁하는 온수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세탁기는 기계적 힘으로 의류를 세탁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세탁 용수가 채워지는 세탁조(tub)와, 의류, 즉 세탁물이 수용되는 것으로 세탁조 내부에 배치된 드럼(drum) 또는 세탁통(basket)을 구비한다. 세탁물을 물세탁하는 경우에 온수에 세탁물을 담그면 소위 찌든 때와 얼룩도 의류에서 쉽게 분리되어 세탁 효과가 향상된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94220호에 개시된 종래의 세탁기는 온수 세탁을 할 수 있도록 세탁조에 채워진 세탁수를 가열하는 전열 히터(heater)를 구비한다. 그러나, 세탁기 내부에 구비된 전열 히터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 세탁기는 세탁수의 가열에 투입되는 전력 소모량이 과도하고, 세탁수가 가열될 때까지 소요되는 시간도 길다. 이러한 이유로, 특히 가정용 세탁기가 아닌 대용량의 업소용 세탁기에는 전열 히터로 세탁수를 가열하는 방식이 적용되기 어렵다.
등록특허공보 제10-0394220호
본 발명은, 수증기를 세탁수에 혼합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는 온수 세탁기로서, 수증기가 응축될 때 발생하는 큰 소음이 감소되는 온수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증기와 세탁수를 혼합하는 물-증기 혼합기와, 상기 물-증기 혼합기가 세탁조의 외부에 배치된 온수 세탁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부, 상기 증기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 및 상기 증기 입구부보다 낮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세탁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 입구부를 구비한 케이싱(casing),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로 유도하는 내부관(inner pipe)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의 상단과 상기 증기 입구부 사이에서 수증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관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입구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하단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와 이격된 물-증기 혼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물-증기 혼합기는, 상기 내부관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제1 몸체부(body portion),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게 상기 제1 몸체부의 아래에 배치된 원통형의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이어주며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과 상기 제2 몸체부의 직경 중 작은 것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목부(neck portion)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은 각각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일대일로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원통형 부재에는, 상기 목부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목부의 외주면으로 개방된 복수의 방사 방향 홀(hole), 및 상기 목부의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으로 개방된 중앙 홀(hole)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의 내경(inner diameter)의 크기 및 상기 중앙 홀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1 몸체부 통공의 내경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내부관에는 자신의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혼합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혼합 통공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세탁수가 수용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수증기를 생성하는 스팀 보일러(steam boiler),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를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세탁조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한 물-증기 혼합기,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상기 물-증기 혼합기로 수증기가 유도되도록 상기 증기 입구부에 연결되는 증기 공급 유로, 상기 세탁조에서 상기 물-증기 혼합기로 상기 세탁수가 유도되도록 상기 세탁수 입구부에 연결되는 세탁수 공급 유로, 및 상기 증기 혼합수가 상기 세탁조로 유도되도록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를 구비하는 온수 세탁기를 제공한다.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공급 유로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의 일 측 단부는 상기 세탁조의 하단부에서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의 일 측 단부의 측벽에는 상기 증기 혼합수가 상기 세탁조 내부로 방출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길게 연장된 복수의 슬릿(slit)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온수 세탁기는 전열 히터로 세탁수를 가열하지 않고, 스팀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세탁수에 혼합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단시간에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서 세탁 작업의 원가가 절감된다.
본 발명의 온수 세탁기는 물-증기 혼합기의 케이싱 내부에서 수증기와 세탁수가 연속적으로 혼합됨과 동시에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어 세탁조로 투입된다. 따라서, 다량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되어 진공이 발생한 공간에 세탁수가 급격히 채워지면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즉, 우수한 진동 및 소음 감소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탁기를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물-증기 혼합기에 구비된 원통형 부재의 제1 몸체부 측 측면도, 제2 몸체부 측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terminology)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적절히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본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탁기를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II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물-증기 혼합기에 구비된 원통형 부재의 제1 몸체부 측 측면도, 제2 몸체부 측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수 세탁기(1)는 40 내지 90℃ 온도의 세탁수로 세탁물(100)을 세탁하는 장치로서, 세탁기 본체(2)와 스팀 보일러(steam boiler)(20)를 구비한다.
세탁기 본체(2)는 전면(前面)에 개폐 가능한 도어(door)(5)를 구비한 본체 하우징(housing)(2), 상기 본체 하우징(2) 내에 배치된, 세탁수가 수용되는 세탁조(tub)(6), 상기 세탁조(6)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세탁물(100)이 투입되는 드럼(drum)(15), 상기 세탁조(6) 내부로 세탁수가 공급되도록 본체 하우징(2) 외부의 세탁수 공급원(미도시)에서 세탁조(6)까지 연장된 급수 튜브(tube)(10),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가 세탁조(6) 내부에서 본체 하우징(2) 외부로 배출되도록 세탁조(6)에서 본체 하우징(2) 외부까지 연장된 배수 튜브(13), 및 상기 본체 하우징(2) 내부에서 상기 세탁조(6)의 외부에 배치된 물-증기 혼합기(30)를 구비한다.
세탁조(6)와 드럼(15)은 원통 형상으로 전방에 도어(5)와 정렬되는 개구(開口)가 형성된다. 상기 도어(5)를 열고 상기 개구를 통해 세탁물(100)을 드럼(15) 내부로 투입하거나, 드럼(15) 외부로 취출할 수 있다. 드럼(15)의 외주면에는 세탁수가 유입 및 유출되도록 다수의 통공(16)이 형성되어 있다. 급수 튜브(10)에는 세탁조(6)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 밸브(11)가 설치되고, 배수 튜브(13)에는 세탁물(100)에서 분리된 때, 오물 등을 포함하고 세탁조(6)에서 배출되는 세탁수의 양을 조절하는 배수 밸브(14)가 설치된다.
드럼(15)에 세탁물(100)이 투입된 이후에 급수 튜브(10)를 통해 세탁조(6)에 상온(常溫)의 세탁수가 공급된다. 스팀 보일러(20)는 세탁조(6)에 수용된 상온의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수증기를 생성하는 것으로, 세탁기 본체(2)의 외부에 배치된다. 수증기 생성에 소모되는 에너지의 비용을 절감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팀 보일러(20)는 도시 가스(gas)를 연소시켜 발생한 열로 물(water)을 끓여 수증기를 생성할 수 있다.
온수 세탁기(1)는, 일 측 단부가 상기 스팀 보일러(20)에 연결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물-증기 혼합기(30)에 연결되는 증기 공급 유로(21), 일 측 단부가 상기 세탁조(6)에 연결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물-증기 혼합기(30)에 연결되는 세탁수 공급 유로(23), 및 일 측 단부(26)가 상기 세탁조(6)의 하단부(8)에서 상기 세탁조(6)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타 측 단부가 상기 물-증기 혼합기(30)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더 구비한다.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스팀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수증기가 상기 물-증기 혼합기(30)로 유도된다.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세탁수가 상기 세탁조(6)에서 상기 물-증기 혼합기(30)로 유도된다. 물-증기 혼합기(30)의 내부에서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증기 혼합수가 형성되며,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상기 중가 혼합수가 상기 물-증기 혼합기(30)에서 상기 세탁조(6)로 유도된다.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를 개폐하기 위한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공급되는 세탁수를 개폐하기 위한 세탁수 개폐 밸브(24),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공급되는 증기 혼합수를 개폐하기 위한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가,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 세탁수 공급 유로(23),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에 각각 설치된다.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 세탁수 공급 유로(23),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는 예컨대, 관(pipe), 또는 튜브(tube)일 수 있다.
물-증기 혼합기(30)는 케이싱(casing), 내부관(inner pipe)(41), 및 원통형 부재(5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은, 수증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증기 입구부(37),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세탁수 입구부(32), 및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도록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39)를 구비한다.
부연하면, 상기 케이싱은, 상측 개구와, 상기 상측 개구보다 낮은 위치에 하측 개구와, 상기 상측 개구보다 낮고 상기 하측 개구보다 높은 위치에 상기 세탁수 입구부(32)가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이 마련된 T자형 관 이음 부재(31), 상기 증기 입구부(37)가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T자형 관 이음 부재(31)의 상측 개구에 체결 고정된 상측 커버(cover)(36), 및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39)가 형성된 부재로서 상기 T자형 관 이음 부재(31)의 하측 개구에 체결 고정된 하측 커버(38)를 구비한다.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39)는 상기 증기 입구부(37)보다 아래, 즉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세탁수 입구부(32)는 상기 증기 입구부(37)보다 낮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39)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내부관(41)은 상하 방향, 즉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pipe)으로서, 케이싱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 입구부(37)를 통해 상기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39)로 유도한다. 증기 공급관(21)의 타 측 단부에서 케이싱의 내부로 토출된 수증기가 상기 내부관(41)의 상단과 증기 입구부(37)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41)의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관(41)의 상단이 상기 케이싱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관(41)의 상단은 상기 상측 커버(36)의 내측면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입구부(37)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 입구부(32)를 통해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입구부(32)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상기 내부관(41)의 하단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32)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39)와 이격된다.
원통형 부재(50)는 내부관(41)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로서, 제1 몸체부(body portion)(51), 제2 몸체부(55), 및 목부(neck portion)(61)를 구비한다. 제1 몸체부(51)는 내부관(41)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부분이고, 제2 몸체부(55)는 제1 몸체부(51)와 이격되게 제1 몸체부(51)의 아래에 배치된 원통형의 부분이며, 목부(61)는 제1 몸체부(51)와 제2 몸체부(55)를 이어주는 원통형의 부분이다. 제1 몸체부(51)의 외주면에는 수형 스크류 패턴(male screw pattern)이 형성되고, 내부관(41)의 하단부의 내주면에는 상기 제1 몸체부(51)의 수형 스크류 패턴에 치합되는 암형 스크류 패턴이 형성되어서, 상기 내부관(41)의 암형 스크류 패턴에 상기 제1 몸체부(51)의 수형 스크류 패턴을 접촉되게 정렬하고 상기 원통형 부재(50)를 상기 내부관(41)에 대해 회전시켜 상기 원통형 부재(50)를 내부관(41)에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제1 몸체부(51) 및 제2 몸체부(55)의 직경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두 부분(51, 55) 중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약간 클 수 있다. 목부(61)의 직경의 크기는 제1 몸체부(51)의 직경과 제2 몸체부(55)의 직경 중 작은 것의 크기보다 작다. 목부(61)와 제2 몸체부(55)는 내부관(41)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목부(61)와 제2 몸체부(55)는 내부관(41)의 바깥에 위치한다. 제2 몸체부(55)의 하단은 하측 커버(38)의 내측면에서 이격된다.
원통형 부재(50)에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 복수의 방사 방향 홀(hole)(62), 및 하나의 중앙 홀(57)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은 제1 몸체부(5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 몸체부(51)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은 제2 몸체부(5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2 몸체부(55)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몸체부 통공(5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 각각은, Z축과 평행한 동일한 직선(AR), 즉 하나의 직선(AR) 상에 정렬되도록 일대일로 대응된다. 제1 몸체부 통공(53)과 이에 대응되는 제2 몸체부 통공(59)은 상기 하나의 직선(AR)을 따라 형성되지만 목부(61)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복수의 방사 방향 홀(62)은 목부(61)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연장되어 목부(61)의 외주면으로 개방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복수의 방사 방향 홀(62)은 4개가 형성되고, 상기 목부(61)의 중심에 대해 90° 간격으로 배치된다. 중앙 홀(57)은 목부(61)의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제2 몸체부(55)의 하단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복수의 방사 방향 홀(62)과 하나의 중앙 홀(57)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중앙 홀(57)의 내경(inner diameter)(DB1)의 크기 및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의 내경(DB2)의 크기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의 내경(DS)의 크기보다 크다. 중앙 홀(57)의 내경(DB1)의 크기와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의 내경(DB2)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두 종류의 내경(DB1, DB2) 중 하나의 크기가 다른 하나의 크기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세탁조(6)에 상온(常溫)의 세탁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개폐 밸브(23), 및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를 개방하면, 고압의 수증기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내부관(41)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을 통과하여 내부관(41)의 아래로 방출된다.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30)의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내부관(41)의 측면이 장애물로 작용하여 압력이 강하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아래로 유동하여, 목부(61)의 외측 제1 몸체부(51)의 하단과 제2 몸체부(55)의 상단 사이로 유입되고,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53)을 통과하여 목부(61)의 외측으로 배출된 수증기와 혼합된다.
이처럼 목부(61)의 외측에서 세탁수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 중에서 일부는 복수의 방사 방향 홀(62)과 이에 연결된 중앙 홀(57)을 통과하여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목부(61)의 외측에서 세탁수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을 통과하여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한편,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30)의 케이싱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2 몸체부(55)의 하단과 하측 커버(38)의 내측면 사이의 이격된 틈새로 진입하여 상기 중앙 홀(57)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59)에서 배출되는 증기 혼합수와 합류해서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30)에서 배출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일 측 단부(26)에서 세탁조(6) 내부로 배출되어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와 혼합됨으로써,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한 수증기의 공급과,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한 세탁수의 공급과,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한 증기 혼합수의 공급은 계속된다. 다시 말해서, 세탁수는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세탁조(6)에서 방출되어, 세탁수 공급 유로(23), 물-증기 혼합기(30),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탁조(6)로 다시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계속 순환한다.
온수 세탁기(1)에서 설정 가능한 세탁수의 온도는 40 내지 90℃ 의 온도 범위 중의 일 온도일 수 있다.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면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개폐 밸브(24), 및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를 폐쇄하고, 드럼(15)을 회전하여 세탁물(100)을 세탁하기 시작한다.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세탁조(6)의 외부로 방출된 세탁수가 물-증기 혼합기(30)의 케이싱 내부에서 수증기와 연속적으로 혼합되어 고온의 증기 혼합수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의 외부로 배출되어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세탁조(6)로 투입된다. 다량의 수증기와 세탁수가 일시에 혼합되어 다량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되는 것이 아니라, 소량씩 연속적으로 혼합되어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배출되고, 증기 혼합수가 방출된 공간에 수증기와 세탁수가 즉시 채워져 증기 혼합수가 다시 형성되므로, 다량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되어 진공이 발생한 공간에 세탁수가 급격히 채워지면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결론적으로, 상기 온수 세탁기(1)는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일 측 단부는 세탁조(6)의 하단부(8)에 가까운 세탁조(6)의 배면(7) 하부에 연결된다. 또한,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된다. 그리고, 증기 공급 유로(21)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된다. 따라서,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세탁수를 강제 유동시키는 펌프(pump),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증기 혼합수를 강제 유동시키는 펌프가 없더라도,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공급되는 수증기의 공급 압력과 중력(重力)의 작용에 의해 세탁수와 증기 혼합수는 세 종류의 밸브(22, 24, 28)가 개방되어 있는 한 세탁수 공급 유로(23)와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따라 계속 유동한다.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일 측 단부(26)의 측벽에는 증기 혼합수가 세탁조(6)의 내부로 방출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길게 연장된 복수의 슬릿(slit)(27)이 서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슬릿(27)을 통해 고온의 증기 혼합수가 압력이 좀더 강하되면서 분산 배출되므로, 증기 혼합수가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와 혼합될 때 진동과 소음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작아지고, 그 진동과 소음의 강도도 미미해진다.
상기 온수 세탁기(1)는 전열 히터로 세탁수를 가열하지 않고, 스팀 보일러(20)에서 생성된 수증기를 세탁수에 혼합하여 세탁수를 가열하므로 단시간에 세탁수를 가열할 수 있고, 에너지 소모량이 적어서 세탁 작업의 원가가 절감된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온수 세탁기(1)의 세탁기 본체(2)는 도어(5)가 본체 하우징(3)의 전면에 마련되고 세탁조(6) 내부에 드럼(15)를 구비한 세탁기이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예를 들어, 도어가 본체 하우징의 상측면에 형성되어 세탁물을 아래로 낙하 투입하는 방식의 세탁기 본체의 경우에 드럼 대신에 세탁통(basket)이 구비될 수도 있다. 또 한편, 도 1에 도시된 온수 세탁기(1)에서는 물-증기 혼합기(30)가 본체 하우징(3)의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물-증기 혼합기가 본체 하우징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6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70)는 도 1에 도시된 물-증기 혼합기(30)를 대체하여 온수 세탁기(1)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70)는 케이싱(casing)(71) 및 내부관(80)을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은, 수증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증기 입구부(72),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세탁수 입구부(74), 및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도록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76)를 구비한다.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76)는 상기 증기 입구부(72)보다 아래, 즉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세탁수 입구부(74)는 상기 증기 입구부(72)보다 낮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76)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내부관(80)은 상하 방향, 즉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pipe)으로서, 케이싱(71)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공간(78)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 입구부(72)를 통해 상기 케이싱(71)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76)로 유도한다. 증기 공급관(21)의 타 측 단부에서 케이싱(71)의 내부로 토출된 수증기가 상기 내부관(80)의 상단과 증기 입구부(72)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80)의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관(80)의 상단이 상기 케이싱(7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관(80)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71)의 증기 입구부(72) 하단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입구부(72)를 통해 케이싱(71)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 입구부(74)를 통해 케이싱(71)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입구부(74)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상기 내부관(80)의 하단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74)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76)와 이격된다. 내부관(80)에는 자신의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혼합 통공(82)이 형성된다. 상기 복수의 혼합 통공(82)은 Z축과 평행한 내부관(80)의 가상의 중심선을 중심으로 등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세탁수 입구부(74)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다.
세탁조(6)에 상온(常溫)의 세탁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개폐 밸브(23), 및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를 개방하면, 고압의 수증기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내부관(80)으로 진입하여 내부관(80)의 아래로 방출된다.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상기 케이싱(71)의 내부 공간(78)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세탁수 입구부(74)와 같은 높이에 있는 내부관(80)의 측면부가 장애물로 작용하여 압력이 강하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아래로 유동한다. 상기 케이싱(71)의 내부 공간(78)에서 아래로 유동하는 세탁수 중 일부는 복수의 혼합 통공(82)을 통해 내부관(80)으로 진입하여 수증기와 혼합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내부관(80)의 하단과 증기 혼합수 출구부(76) 사이의 이격된 틈새로 진입하여 내부관(80)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와 혼합된다.
이처럼 내부관(80)의 복수의 혼합 통공(82) 아래와 증기 혼합수 출구부(76) 사이에서 세탁수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70)에서 배출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일 측 단부(26)에서 세탁조(6) 내부로 배출되어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와 혼합됨으로써,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한 수증기의 공급과,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한 세탁수의 공급과,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한 증기 혼합수의 공급은 계속된다. 다시 말해서, 세탁수는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세탁조(6)에서 방출되어, 세탁수 공급 유로(23), 물-증기 혼합기(70),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탁조(6)로 다시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계속 순환한다.
온수 세탁기(1)에서 설정 가능한 세탁수의 온도는 40 내지 90℃ 의 온도 범위 중의 일 온도일 수 있다.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까지 상승하면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개폐 밸브(24), 및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를 폐쇄하고, 드럼(15)을 회전하여 세탁물(100)을 세탁하기 시작한다.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세탁조(6)의 외부로 방출된 세탁수가 물-증기 혼합기(70)의 케이싱(71) 내부에서 수증기와 연속적으로 혼합되어 고온의 증기 혼합수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케이싱(71)의 외부로 배출되어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세탁조(6)로 투입된다. 다량의 수증기와 세탁수가 일시에 혼합되어 다량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되는 것이 아니라, 소량씩 연속적으로 혼합되어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배출되고, 증기 혼합수가 방출된 공간에 수증기와 세탁수가 즉시 채워져 증기 혼합수가 다시 형성되므로, 다량의 수증기가 급격히 응축되어 진공이 발생한 공간에 세탁수가 급격히 채워지면서 큰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는 현상이 억제된다. 따라서, 물-증기 혼합기(70)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1)는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는 과정에서 큰 소음과 진동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100)는 도 1에 도시된 물-증기 혼합기(30)를 대체하여 온수 세탁기(1)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물-증기 혼합기(100)는 케이싱(casing)(101), 내부관(109), 및 원통형 부재(110)를 구비한다.
상기 케이싱(101)은, 수증기가 유입되도록 상기 증기 공급 유로(21)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증기 입구부(102), 세탁수가 유입되도록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23)의 타 측 단부가 연결되는 세탁수 입구부(104), 및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도록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타 측 단부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를 구비한다.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는 상기 증기 입구부(102)보다 아래, 즉 낮은 위치에 마련된다. 상기 세탁수 입구부(104)는 상기 증기 입구부(102)보다 낮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된다.
내부관(109)은 상하 방향, 즉 Z축과 평행하게 연장된 관(pipe)으로서, 케이싱(101)의 내부에 마련된 내부 공간(107)에 설치되며, 상기 증기 입구부(102)를 통해 상기 케이싱(101)의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로 유도한다. 증기 공급관(21)의 타 측 단부에서 케이싱(101)의 내부로 토출된 수증기가 상기 내부관(109)의 상단과 증기 입구부(102) 사이에서 상기 내부관(109)의 바깥으로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관(109)의 상단이 상기 케이싱(101)의 내측면에 결합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내부관(109)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101)의 증기 입구부(102) 하단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상기 증기 입구부(102)를 통해 케이싱(101) 내부로 유입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 입구부(104)를 통해 케이싱(101)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입구부(104)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상기 내부관(109)의 하단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104)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와 이격된다.
원통형 부재(110)는 내부관(109)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되는 부재로서, 제1 몸체부(body portion)(111), 제2 몸체부(115), 및 목부(neck portion)(121)를 구비한다. 제1 몸체부(111)는 내부관(109)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부분이고, 제2 몸체부(115)는 제1 몸체부(111)와 이격되게 제1 몸체부(111)의 아래에 배치된 원통형의 부분이며, 목부(121)는 제1 몸체부(111)와 제2 몸체부(115)를 이어주는 원통형의 부분이다. 상기 원통형 부재(110)는 1 몸체부(101)의 외주면에 수형 스크류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점을 제외하고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원통형 부재(50)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원통형 부재(110)에 대한 설명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 도 2 내지 도 5에 개시된 원통형 부재(5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제1 몸체부(111)는 내부관(109)의 하단부의 내주면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제1 몸체부(111) 및 제2 몸체부(115)의 직경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두 부분(111, 115) 중 하나가 다른 하나보다 약간 클 수 있다. 목부(121)의 직경의 크기는 제1 몸체부(111)의 직경과 제2 몸체부(115)의 직경 중 작은 것의 크기보다 작다. 목부(121)와 제2 몸체부(115)는 내부관(109)의 하단보다 아래에 배치된다. 다시 말해서, 목부(121)와 제2 몸체부(115)는 내부관(109)의 바깥에 위치한다. 제2 몸체부(115)의 하단은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에서 이격된다.
원통형 부재(110)에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 복수의 방사 방향 홀(hole)(122), 및 하나의 중앙 홀(117)이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은 제1 몸체부(111)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1 몸체부(111)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된다.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은 제2 몸체부(115)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2 몸체부(115)의 중심에 대해 등각도 간격으로 배열되고, 제1 몸체부 통공(113)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된다.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 각각은, Z축과 평행한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일대일로 대응된다. 제1 몸체부 통공(113)과 이에 대응되는 제2 몸체부 통공(119)은 목부(121)에 의해 서로 이격된다.
복수의 방사 방향 홀(122)은 목부(121)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radial direction)으로 연장되어 목부(121)의 외주면으로 개방된다. 중앙 홀(117)은 목부(121)의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제2 몸체부(115)의 하단으로 개방된다. 따라서, 복수의 방사 방향 홀(122)과 하나의 중앙 홀(117)은 유체 이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다.
중앙 홀(117)의 내경(inner diameter)의 크기 및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의 내경의 크기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의 내경의 크기보다 크다. 중앙 홀(117)의 내경의 크기와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의 내경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두 종류의 내경 중 하나의 크기가 다른 하나의 크기보다 약간 클 수 있다.
세탁조(6)에 상온(常溫)의 세탁수가 수용된 상태에서 증기 개폐 밸브(22), 세탁수 개폐 밸브(23), 및 증기 혼합수 개폐 밸브(28)를 개방하면, 고압의 수증기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해 내부관(109)으로 진입하여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을 통과하여 내부관(109)의 아래로 방출된다.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100)의 케이싱의 내부 공간으로 유입된 세탁수는 내부관(109)의 측면이 장애물로 작용하여 압력이 강하되면서 방향이 전환되어 아래로 유동하여, 목부(121)의 외측 제1 몸체부(111)의 하단과 제2 몸체부(115)의 상단 사이로 유입되고,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113)을 통과하여 목부(121)의 외측으로 배출된 수증기와 혼합된다.
이처럼 목부(121)의 외측에서 세탁수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 중에서 일부는 복수의 방사 방향 홀(122)과 이에 연결된 중앙 홀(117)을 통과하여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목부(121)의 외측에서 세탁수와 수증기가 혼합되어 형성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 중에서 나머지 일부는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을 통과하여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한편,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100)의 케이싱(101)의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 중에서 일부는 상기 제2 몸체부(115)의 하단과 증기 혼합수 출구부(106) 사이의 이격된 틈새로 진입하여 상기 중앙 홀(117)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119)에서 배출되는 증기 혼합수와 합류해서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로 배출된다.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해 물-증기 혼합기(100)에서 배출된 고온의 증기 혼합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의 일 측 단부(26)에서 세탁조(6) 내부로 배출되어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와 혼합됨으로써,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상승한다. 세탁조(6)에 수용된 세탁수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증기 공급 유로(21)를 통한 수증기의 공급과, 세탁수 공급 유로(23)를 통한 세탁수의 공급과,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통한 증기 혼합수의 공급은 계속된다. 다시 말해서, 세탁수는 온도가 설정 온도로 상승할 때까지 세탁조(6)에서 방출되어, 세탁수 공급 유로(23), 물-증기 혼합기(100), 및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25)를 차례로 통과하여 세탁조(6)로 다시 유입되는 경로를 따라 계속 순환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온수 세탁기 2: 세탁기 본체
6: 세탁조 15: 드럼
20: 스팀 보일러 21: 증기 공급 유로
23: 세탁수 공급 유로 25: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
30: 물-증기 혼합기 50: 원통형 부재

Claims (8)

  1. 수증기가 유입되는 증기 입구부, 상기 증기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수증기와 세탁수가 혼합되어 형성된 증기 혼합수가 방출되는 증기 혼합수 출구부, 및 상기 증기 입구부보다 낮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보다 높은 위치에 마련되며, 상기 세탁수가 내부로 유입되는 세탁수 입구부를 구비한 케이싱(casing); 및, 상기 케이싱의 내부 공간에 설치되어 상기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를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로 유도하는 내부관(inner pipe);을 구비하고,
    상기 내부관의 상단과 상기 증기 입구부 사이에서 수증기가 유출되지 않도록, 상기 내부관의 상단은 상기 케이싱에 결합되고,
    상기 증기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 입구부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세탁수 입구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서 혼합되도록, 상기 내부관의 하단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보다 낮은 위치까지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와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증기 혼합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의 하단부에 삽입 고정되는 원통형의 제1 몸체부(body portion), 상기 제1 몸체부와 이격되게 상기 제1 몸체부의 아래에 배치된 원통형의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1 몸체부와 제2 몸체부를 이어주며 상기 제1 몸체부의 직경과 상기 제2 몸체부의 직경 중 작은 것의 크기보다 작은 크기의 직경을 갖는 목부(neck portion)를 구비하고, 상기 제1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 및 상기 제2 몸체부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이 형성된 원통형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복수의 제1 몸체부 통공과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은 각각 동일한 직선 상에 정렬되도록 일대일로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증기 혼합기.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부재에는, 상기 목부의 중심에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목부의 외주면으로 개방된 복수의 방사 방향 홀(hole), 및 상기 목부의 중심에서 아래로 연장되어 상기 제2 몸체부의 하단으로 개방된 중앙 홀(hole)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증기 혼합기.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2 몸체부 통공의 내경(inner diameter)의 크기 및 상기 중앙 홀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제1 몸체부 통공의 내경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증기 혼합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관에는 자신의 측벽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혼합 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혼합 통공은 상기 세탁수 입구부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물-증기 혼합기.
  6. 세탁수가 수용되는 세탁조; 상기 세탁조에 수용되는 세탁수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수증기를 생성하는 스팀 보일러(steam boiler);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생성된 수증기와 상기 세탁수를 혼합하는 것으로, 상기 세탁조의 외부에 배치된,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의 물-증기 혼합기; 상기 스팀 보일러에서 상기 물-증기 혼합기로 수증기가 유도되도록 상기 증기 입구부에 연결되는 증기 공급 유로; 상기 세탁조에서 상기 물-증기 혼합기로 상기 세탁수가 유도되도록 상기 세탁수 입구부에 연결되는 세탁수 공급 유로; 및, 상기 증기 혼합수가 상기 세탁조로 유도되도록 상기 증기 혼합수 출구부에 연결되는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탁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의 높이보다 낮은 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증기 공급 유로는 상기 세탁수 공급 유로의 높이보다 높은 위치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탁기.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의 일 측 단부는 상기 세탁조의 하단부에서 상기 세탁조의 내부에 삽입되도록 연장되고,
    상기 증기 혼합수 공급 유로의 일 측 단부의 측벽에는 상기 증기 혼합수가 상기 세탁조 내부로 방출되도록 폭보다 길이가 길게 연장된 복수의 슬릿(slit)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 세탁기.
KR1020200056500A 2020-05-12 2020-05-12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KR1022898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00A KR102289880B1 (ko) 2020-05-12 2020-05-12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6500A KR102289880B1 (ko) 2020-05-12 2020-05-12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9880B1 true KR102289880B1 (ko) 2021-08-13

Family

ID=77313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6500A KR102289880B1 (ko) 2020-05-12 2020-05-12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88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220B1 (ko) 1998-12-29 2003-09-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가열세탁 제어방법
KR20060040437A (ko) * 2004-11-05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130054571A (ko) * 2011-11-17 2013-05-27 윤윤용 증열 장치
JP2015100596A (ja) * 2013-11-27 2015-06-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4220B1 (ko) 1998-12-29 2003-09-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드럼세탁기의 가열세탁 제어방법
KR20060040437A (ko) * 2004-11-05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증기발생장치를 갖춘 세탁기
KR20130054571A (ko) * 2011-11-17 2013-05-27 윤윤용 증열 장치
JP2015100596A (ja) * 2013-11-27 2015-06-04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洗濯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5347B1 (ko) 드럼세탁기의 스팀발생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10995446B2 (en) Steam generator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US20070199353A1 (en) Steam generator and drum type washing machine with the same
CN101970743A (zh) 用于处理衣服的设备
CN110872756A (zh) 洗衣机
RU2466227C2 (ru) Экологичная моечная машина
CN201136991Y (zh) 洗衣机
KR102094530B1 (ko) 가스오븐
CN106592179B (zh) 一种具有蒸汽功能的干衣机及蒸汽控制方法
WO2019105202A1 (zh) 桶底进风的洗干一体波轮机及控制方法
KR102289880B1 (ko) 물-증기 혼합기 및 이를 구비한 온수 세탁기
EP4310238A1 (en) Clothes treatment device
US20150177744A1 (en) Steam-hot water mixture generator
EP2604739B1 (en) Washing machine with recirculation pump
JP2008119364A (ja) ドラム式衣類乾燥機
CN211395099U (zh) 一种可产生高温蒸汽的熨烫机
CN207227772U (zh) 衣物处理装置
CN112853670B (zh) 一种洗衣机
EP2604738A1 (en) Washing machine with integrated steam generator
KR101265599B1 (ko) 스팀발생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탁기
CN218684269U (zh) 一种用于清洗机的烘干结构及清洗机
KR20060114107A (ko) 드럼세탁기의 증기분사장치
KR102043128B1 (ko) 고건조효율의 의류건조기
CN112941825B (zh) 一种洗衣机
KR200414091Y1 (ko) 보일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