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569B1 -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569B1
KR102289569B1 KR1020190132902A KR20190132902A KR102289569B1 KR 102289569 B1 KR102289569 B1 KR 102289569B1 KR 1020190132902 A KR1020190132902 A KR 1020190132902A KR 20190132902 A KR20190132902 A KR 20190132902A KR 102289569 B1 KR102289569 B1 KR 102289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tamethylene
tin
butyltin
manufacturing
diisocya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29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8790A (ko
Inventor
조상원
신철
이명건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애경유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유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애경유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329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569B1/ko
Publication of KR202100487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87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3/04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from or via carbamates or carbamoyl hal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31/00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 B01J31/0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B01J31/12Catalysts comprising hydrides, coordination complexes or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containing organo-metallic compounds or metal 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3/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3/1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5/00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 C07C265/02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having is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65/04Derivatives of isocyanic acid having isocyan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of a saturated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9/00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69/04Preparation of derivatives of carbamic acid,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from amines with formation of carbamat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71/00Derivatives of carbamic acids, i.e. compounds containing any of the groups, the nitrogen atom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271/06Esters of carbamic acids
    • C07C271/08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0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 C07C271/12Esters of carbamic acids having oxygen atoms of carbamate groups bound to acyclic carbon atoms with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amat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acyclic carbon atoms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사용하여 중간체를 제조하고 이를 특정한 중합방지제하에서 열분해 시킴으로써 우수한 순도를 가진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높은 수율로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Method for manufacturing pentamethylene diisocyanate}
본 발명은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중간체로 제조하고 특정한 중합방지제 하에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열분해하여 높은 순도 및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폴리우레탄은 외관과 성상이 부드러운 것에서 콘크리트처럼 딱딱한 물체까지, 또는 고무와 같이 10 배나 늘어나는 것에서 거의 변하지 않는 것까지 다양한 제품으로 생산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고분자 화합물과 비교하여 뛰어난 특성을 가지고 있어 그 응용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방향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부터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은 외부에 노출된 후에는 빛에 의해 황변되는 문제점으로 인해 용도에 많은 제약을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무황변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로 제조되는 폴리우레탄의 사용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일례로 헥사메틸렌 1,6-디이소시아네이트는 주로 자동차 코팅을 위한 고급 코팅과 표면처리 페인트에 사용되며, 비행기 부식방지 코팅을 위한 표면처리 페인트와 에나멜-절연 처리된 와이어를 위한 페인트, 목재가구 페인트, 기차 및 선박의 표면처리 페인트, 좋은 광 안정성을 가진 폴리우레탄 점착 재료, 로켓 추진체 첨가제 등에 사용된다. 또한 3-이소시아네이토메틸-3,5,5-트리메틸시클로헥실 이소시아네이트(isophorone diisocyanate: IPDI)는 고분자, 삼합체, 부가생성물 같은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원료, 방수 폴리우레탄 코팅뿐만 아니라 폴리우레탄 가죽 등 다양한 플라스틱 제품에 폭 넓게 사용되고 있다. 아울러 4,4-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HMDI)를 원료로 하여 제조된 폴리우레탄은 발포플라스틱, 탄성중합체, 코팅제, 접착제, 부식방지 코팅, 목재가구 페인트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우레탄은 활성 하이드록시기를 가지는 알코올과 이소시아네이트를 반응시켜 제조된다.
따라서 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의 하이드록시 화합물과 함께 폴리우레탄의 매우 중요한 원료물질이다.
이러한 폴리우레탄의 원료물질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는 공업적으로 아민과 포스젠으로부터 합성되어 왔다.
그러나 포스젠의 독성으로 인해 포스젠 누출, 장치부식 등의 단점뿐만 아니라 오염 유발 물질이며 독성을 가진 염산이 다량으로 생성됨에 따라 포스젠을 사용하지 않는 친환경적인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이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되어 왔다.
비포스젠법에 따르는 친환경적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우레아 공정(urea-based process)을 통해 isophorone dicarbamyl ester 를 isophorone diisocyanate(IPDI)로 제조하는 방법, 지방족 아민(aliphatic amines)에 이산화탄소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이소시아네이트(isocyanates)를 제조하는 방법, Au complex 촉매를 이용하는 방법, 고온에서 ZnO 나 organobismuth 화합물, organotin 화합물 등의 촉매를 이용해서 1,6-hexamethylene dicarbamate 를 1,6-hexamethylene diisocyanate 로 제조하는 방법, 고온에서 Pd 나 Rh 과 I 나 Br 촉매를 이용하여 aromatic OH 화합물과 amine 으로부터 aliphatic diisocyanate 를 얻는 방법, 저온(15-60℃)에서 알칼리 금속이나 알칼리 토금속을 촉매로 1,3-나 1,4-bis(1-chloro-1-methylethyl)benzene 을 polymeric tertiary aralkyl isocyanates 를 제조하는 방법 등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고온 조건의 반응이거나 금속 촉매를 사용함으로써 비경제적이다.
현재까지 가장 일반적이고 친환경적인 이소시아네이트 제조방법은 아민을 디알킬카보네이트 또는 우레아/알코올과 반응시켜 카바메이트를 제조하고 이를 열분해 시켜 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이다.
그러나 이 방법 또한 부산물로 다량의 고분자가 발생하거나, 부산물의 생성으로 수율 및 순도가 낮은 단점을 가진다.
따라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높은 효율을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요구된다.
1)미국 특허 제4,873,365호 2)미국 특허 제4,386,033호
본 발명은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극히 향상된 수율 및 순도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달리 포스젠 가스를 사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특정한 중합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순도 및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물 존재 하 펜타메틸렌 디아민을 디알킬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주석 촉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및 용매 존재 하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열분해하여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펜타메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알킬카보네이트는 펜타메틸렌 디아민, 1몰에 대해 2 내지 4몰로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디(C1-C6)알킬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은 펜타메틸렌 디아민, 1 몰에 대하여 1 내지 24 몰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응은 18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석 촉매는 2가 또는 4가의 주석 화합물로, 구체적으로 디-n-부틸틴디라울레이트, 비스(트리-n-부틸틴)옥사이드, 비스(트리-n-부틸틴)설페이트, 디-n-부틸디페닐틴, 디-n-부틸틴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n-부틸틴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디-n-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n-부틸틴옥사이드, 디메틸디페닐틴, 디메틸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옥사이드, 헥사-n-부틸틴, 헥사페닐틴, 테트라-n-부틸틴, 테트라페닐틴, 틴(II)아세테이트, 틴(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염화주석(II), 요드화주석(II) 및 틴(II)옥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는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평균중량분자량이 1,000 내지 5,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는 200 내지 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매는 말로썸 SH, 도데칸, 헥사데칸, 파라썸 HE, 세리오라 K2800, 다우썸 RP 및 다우썸 T 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중간체인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제조 시 종래의 포스젠 대신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물을 사용함으로써 안전하고 친환경적이며, 매우 높은 수율 및 순도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중간체인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제조 시 물을 촉매 및 용매로 사용함으로써 취급이 용이하고 공정설비가 간단하며, 부생성물인 아미노펜타메틸렌 모노알킬카바메이트의 생성율이 낮고 매우 경제적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특정한 중합방지제를 사용함으로써 부산물인 고분자의 함량이 낮아 drain 라인의 막힘과 반응기 오염 등의 공정상 문제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향상된 순도를 가지는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주석 촉매"는 촉매로 사용되는 주석을 포함하는 화합물을 모두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 기재된 "알킬" 은 오직 탄소 및 수소 원자로만 이루어지고, 단일 결합에 의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부착되는 포화 직쇄형 또는 분지형 탄화수소쇄 라디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알킬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원자(C1-C20알킬), 바람직하게 1 내지 10개의 탄소원자(C1-C10알킬),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개의 탄소원자(C1-C6알킬), 보다 좋기로는 1 내지 3개의 탄소원자(C1-C3알킬)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로 메틸, 에틸, n-프로필, 1-메틸에틸 (이소-프로필), 헥실, n-부틸, i-부틸, t-부틸, n-펜틸, i-아밀, n-헥실, n-헵틸, n-옥틸, 2-에틸헥실, n-노닐, n-데실, 도데실, 테트라데실, 헥사데실, 헵타데실, 옥타데실 또는 올레일 등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부생성물의 함량이 낮아 높은 순도 및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물 존재 하 펜타메틸렌 디아민을 디알킬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주석 촉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및 용매 존재 하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열분해하여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구체적으로 중간체인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열분해하는 단계로 제조되며, 중간체 제조 시에 종래의 포스젠(phosgene) 대신 디알킬카보네이트를 사용함으로써 포스젠 및 부산물로 발생되는 염산의 독성으로부터 자유로워 친환경적이다.
뿐만 아니라 중간체 제조 시 촉매 및 용매로 물을 사용함으로써 간단한 공정으로 높은 수율 및 순도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은 열분해 시 중합방지제로 특정한 화합물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열분해 시 발생되는 고분자 부산물을 획기적으로 줄여 점도가 높은 고분자 부산물로 인한 공정상의 문제점이 발생되지 않으며, 나아가 매우 우수한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C1-C6)알킬카보네이트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디(C1-C3)알킬카보네이트 일 수 있으며, 구체적인 일례로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또는 디프로필카보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은 촉매 및 용매로 사용되며, 높은 수율 및 순도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얻기 위한 측면에서 펜타메틸렌 디아민 1몰에 대하여 1 내지 24몰, 좋기로는 1 내지 10몰, 보다 좋기로는4 내지 8몰로, 바람직하게 3 내지 7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체 제조반응은 18 내지 90℃에서, 좋기로는 70 내지 90℃에서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9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간체 제조반응은 반응완료 후 반응물로부터 얻어진 조생성물을 물로 재결정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반응물로부터 얻어진 조생성물에 물을 첨가하고 환류시켜 생성된 고체를 모두 용해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재결정화하여 분리정제할 수 있다.
재결정으로 얻어진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100℃, 0.1 내지 10torr에서 건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탄소수 5개를 가지는 디이소시아네이트를 모두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펜타메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는 주석 촉매 하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주석 촉매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2가 또는 4가의 주석 화합물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석 촉매는 디-n-부틸틴디라울레이트, 비스(트리-n-부틸틴)옥사이드, 비스(트리-n-부틸틴)설페이트, 디-n-부틸디페닐틴, 디-n-부틸틴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n-부틸틴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디-n-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n-부틸틴옥사이드, 디메틸디페닐틴, 디메틸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옥사이드, 헥사-n-부틸틴, 헥사페닐틴, 테트라-n-부틸틴, 테트라페닐틴, 틴(II)아세테이트, 틴(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염화주석(II), 요드화주석(II) 및 틴(II)옥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펜타메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와의 바람직한 조합은 디-n-부틸틴디라울레이트, 비스(트리-n-부틸틴)옥사이드 및 비스(트리-n-부틸틴)설페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주석 촉매의 사용량은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0.01 내지 5 중량부, 0.01 내지 1 중량부, 보다 향상된 반응효율을 가지기 위한 측면에서 0.01 내지 0.5 중량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는 열분해 반응의 중합방지제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의 중합을 효과적으로 방지해 반응부산물인 고분자의 생성량을 획기적으로 줄인다.
특히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대비하여 고분자 생성량이 높아 drain 라인의 막힘과 반응기 오염 등의 공정상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분리 및 정제에 있어서 매우 많은 어려움이 존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중합방지제로 특정한 화합물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었다.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는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 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5,000g/mol,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3,000g/m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열분해는 150 내지 25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중합을 방지하는 동시에 높은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측면에서 200 내지 2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매는 비점이 높은 용매이면 모두 가능하나, 말로썸SH, 도데칸, 헥사데칸, 파라썸 HE, 세리오라 K2800, 다우썸 RP 및 다우썸 T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말로썸 SH, 다우썸 RP 및 다우썸 T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중간체(펜타메틸렌-1,5-디카바메이트)의 제조
Figure 112019108808829-pat00001
Pentamethylene 1,5-diamine(PMDA) 100g(0.98mol)을 물 105.69g(5.87mol)에 넣고 교반시켰다. 여기에 dimethyl carbonate(DMC) 264.47g(2.94mol)을 첨가하여 상온에서 2시간동안 교반시킨 후 80℃에서 12시간동안 교반시켰다. 반응이 완료되면, 반응혼합물에 물 1kg를 넣고 95 내지 97℃까지 승온시켜 고체를 모두 녹인 후 다시 상온까지 냉각시켜 석출된 고체인 여과하여 펜타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를 얻었다. 이를 100℃, 1torr에서 12시간동안 건조시켜 펜타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를 제조하였다(수율 97%, 순도 99% 이상).
[비교예 1] 중간체(헥사메틸렌-1,6-디카바메이트)의 제조
실시예 1 에서 펜타메틸렌 1,5-디아민 대신 헥사메틸렌 1,6-디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헥사메틸렌 1,6-디카바메이트를 제조하였다(수율 58.3%, 순도 99% 이상).
[실시예 2]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DI)의 제조
Figure 112019108808829-pat00002
Marlotherm SH 500g, polyethylene glycol dimethyl ether (PGDE, Mw : 2,000g/mol) 5g, 및 di-n-butyltin dilaurate 0.05g을 반응기에 넣고 240℃, 20torr하에서 교반시켰다. 여기에 140℃로 녹인 펜타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 50g을 40분 동안 천천히 적가하였다. 이후 1시간동안 가열환류시켜 열분해를 진행하였다. 이후 혼합물을 증류하여 표제 화합물(PDI)을 얻었다(수율: 85%,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PMI) 수율: 10.9%, 부산물 3.1%).
[비교예 2]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DI)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대신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Mw : 450 g/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PDI를 제조하였다(수율: 71%,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PMI) 수율: 12%, 부산물: 17%).
[비교예 3]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HDI)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펜타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 대신 헥사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HDI를 제조하였다(수율: 78.3%, 헥사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HMI) 수율: 12.3%, 부산물: 9.4%).
[실시예 3]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DI)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Mw : 500g/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PDI를 제조하였다(수율: 78.2%,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PMI) 수율: 10.2%, 부산물: 11.6%).
[실시예 4]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DI)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Mw : 1,000 g/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PDI를 제조하였다(수율: 83.7%,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PMI) 수율: 11.5%, 부산물: 4.8%).
[실시예 5]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PDI)의 제조
상기 실시예 2 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Mw : 10,000 g/mol)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실시하여 PDI를 제조하였다(수율: 81.3%,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PMI) 수율: 10.1%, 부산물: 8.6%).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5의 펜타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의 열분해에 특정한 중합방지제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를 사용함으로써 부산물인 고분자의 생성이 확연히 줄어들며, 비교예와 대비하여 높은 수율로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 비교예 수율 순도 펜타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 부산물
실시예 1 중간체 펜타메틸렌 1,5-디아민 97% 99% 이상
비교예 1 중간체 헥사메틸렌 1,6-디아민 58.3% 99% 이상
실시예 2 PDI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2,000g/mol 85% 10.9% 3.1%
비교예 2 PDI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450 g/mol 71% 12% 17%
비교예 3 HDI 헥사메틸렌 디메틸카바메이트 78.3% 12.3%* 9.4%
실시예 3 PDI 폴리에틸렌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500 g/mol 78.2% 10.2% 11.6%
실시예 4 PDI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000 g/mol 83.7% 11.5% 4.8%
실시예 5 PDI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 10,000 g/mol 81.3% 10.1% 8.6%
* 헥사메틸렌 모노이소시아네이트(HMI) 수율을 의미함.

Claims (12)

  1. 물 존재 하 펜타메틸렌 디아민을 디알킬카보네이트와 반응시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제조하는 단계; 및
    주석 촉매, 평균중량분자량이 1,000 내지 5,000g/mol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 및 용매 존재 하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를 열분해하여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는 펜타메틸렌 1,5-디이소시아네이트인,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펜타메틸렌 디아민, 1몰에 대해 2 내지 4몰로 사용되는, 제조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물은 펜타메틸렌 디아민, 1몰에 대하여 1 내지 24몰로 사용되는,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18 내지 90℃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알킬카보네이트는 디(C1-C6)알킬카보네이트인,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촉매는 2 가 또는 4 가의 주석 화합물로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0.001 내지 1.0중량부로 포함되는, 제조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석 촉매는 디-n-부틸틴디라울레이트, 비스(트리-n-부틸틴)옥사이드, 비스(트리-n-부틸틴)설페이트, 디-n-부틸디페닐틴, 디-n-부틸틴비스(아세틸아세토네이트), 디-n-부틸틴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디-n-부틸틴디클로라이드, 디-n-부틸틴옥사이드, 디메틸디페닐틴, 디메틸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디클로라이드, 디페닐틴옥사이드, 헥사-n-부틸틴, 헥사페닐틴, 테트라-n-부틸틴, 테트라페닐틴, 틴(II)아세테이트, 틴(II)아세틸아세토네이트, 염화주석(II), 요드화주석(II) 및 틴(II)옥살레이트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제조방법.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틸에테르는 상기 펜타메틸렌 디알킬카바메이트 100중량부에 대해 1 내지 20중량부로 포함되는, 제조방법.
  10. 삭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열분해는 200 내지 250℃에서 수행되는, 제조방법.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말로썸 SH, 도데칸, 헥사데칸, 파라썸 HE, 세리오라 K2800, 다우썸 RP 및 다우썸 T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인, 제조방법.
KR1020190132902A 2019-10-24 2019-10-24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KR1022895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02A KR102289569B1 (ko) 2019-10-24 2019-10-24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2902A KR102289569B1 (ko) 2019-10-24 2019-10-24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0A KR20210048790A (ko) 2021-05-04
KR102289569B1 true KR102289569B1 (ko) 2021-08-17

Family

ID=75914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2902A KR102289569B1 (ko) 2019-10-24 2019-10-24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9569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047898A1 (de) 1980-12-19 1982-07-15 Bayer Ag, 5090 Leverkusen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thermischen spaltung von carbamidsaeureestern und die verwendung von hierbei anfallenden isocyanate und carbamidsaeureester aufweisenden gemischen zur herstellung von isocyanaten
US4873365A (en) 1986-04-04 1989-10-10 American Cyanamid Company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isophorone diisocyanate from isophorone dicarbamyl esters using highly selective SnO2 or CuO catalysts
KR101038271B1 (ko) * 2009-10-13 2011-06-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지방족 디카바메이트의 제조방법
PT2507205E (pt) * 2009-12-01 2014-08-22 Basf Se Processo para a produção de isocianatos por dissociação térmica de carbamato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hin. J. Chem., 2017, vol.35, pp.821-835*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8790A (ko)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0567C (en) Polyisocyanates containing uretidione and allophanate groups
WO2007039133A1 (de) Zweikomponenten-systeme für die herstellung flexibler beschichtungen
KR20180034560A (ko) 블록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조성물, 1액형 코팅 조성물, 도막 및 도장 물품
JPH08245544A (ja) アロファネート基を含有するポリイソシアネート
EP2102286B1 (en) Blocked isocyanate silicone resins
EP2382044B1 (fr) Nouveaux catalyseurs pour la reaction entre un isocyanate et un alcool
DE4319948A1 (de) Tertiäre Aminogruppen aufweisende Verbindungen, ein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als Katalysatoren
US20200165373A1 (en) Curable organic polymer comprising at least one acylurea unit, its preparation and use
US9434807B2 (en) Carbodiimide-containing compositions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and use thereof
EP3390480B1 (en) Acrylic polyurethane coatings including polyether polyols
US3383400A (en) Acylated urea polyisocyanate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TWI423995B (zh) A reaction catalyst for forming a isocyanurate link,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modified polyisocyanate mixture containing the isocyanurate link thereof
KR102289569B1 (ko) 펜타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DE102009054749A1 (de) Zusammensetzung aus (cyclo)aliphatischen Diisocyanaten und aromatischen Säurehalogeniden
MXPA05011282A (es) Isocianatos biuretizados bloqueados.
JP2552462B2 (ja) イソシアヌレ−ト化合物の新規な製造方法
KR101348229B1 (ko)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DE2425448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urethanschaumstoffen
KR101493269B1 (ko) 저장성이 향상된 뷰렛 그룹 함유 알리파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CN105026441A (zh) 具有聚合性基团的含叔氮原子内酯聚合物及其制造方法
US4069198A (en) Polyesters and polyester-urethanes stabilized with isoureas or isocyanate adducts thereof
KR101982608B1 (ko) 지방족 디이소시아네이트의 제조방법
US20060084776A1 (en) Crystallization-stable MDI allophanates by a two-stage process
JP2013535559A (ja) 耐光性ポリウレタンおよびその使用
JPS6142523A (ja) ヘキサメチレンイソシアヌラ−ト化合物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