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83B1 - 축전지 배치 - Google Patents

축전지 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83B1
KR102289283B1 KR1020197017830A KR20197017830A KR102289283B1 KR 102289283 B1 KR102289283 B1 KR 102289283B1 KR 1020197017830 A KR1020197017830 A KR 1020197017830A KR 20197017830 A KR20197017830 A KR 20197017830A KR 102289283 B1 KR102289283 B1 KR 102289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devices
hollow profile
power storage
hollow
ins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7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7581A (ko
Inventor
마르쿠스 투르마이어
마르틴 슈슬러
마르쿠스 바르
스테판 슈미트
Original Assignee
아우디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우디 아게 filed Critical 아우디 아게
Publication of KR20190077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7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6Solid parts with flow channel passages or pipes for heat exchan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B60L50/66Arrangements of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3Cooling or keeping col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09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prismatic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62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 H01M50/264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with fastening means, e.g. locks for cells or batteries, e.g. straps, tie rods or peripheral fram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02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terminals of adjacent batteries; Interconnectors for connecting cells out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14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 H01M50/517Methods for interconnecting adjacent batteries or cells by fixing means, e.g. screws, rivets or bo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5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20Batterie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축전 장치를 포함하는 축전지 배치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축전 장치는 장치 하우징을 형성하는 막대형 중공 프로파일 내에 수용되며,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Description

축전지 배치
본 발명은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다수의 개별 축전 장치를 포함하는 축전지 배치에 관한 것이다.
전기 에너지용 축전 장치는 전기 구동 장치를 구비한 자동차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고, 자동차의 유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물론 제조 비용의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예를 들어, 자동차의 주행 거리는 특히 축전 장치의 용량 및 차량의 중량에 의해 결정된다. 오늘날의 차량에서 하나의 축전지 배치의 개별 축전 장치들은 일반적으로 대형 하우징 내에 배치된다. 이러한 하우징은 예를 들어 축전 장치들을 환경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하고,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하우징은, 높은 기계적 부하가 발생하는 상황(예를 들어 사고)에서도 충분한 기계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현되어야 한다. 그러나 동시에 전술한 주행 거리는 큰 하우징 중량으로 인해 부정적인 영향을 받는다. 또한, 하우징의 크기는 축전지 배치의 크기에 대해 유연하게 조정될 수 없으므로, 상이한 크기의 각각의 축전지 배치마다 해당하는 하우징이 사용되어야 하며, 이는 축전지 배치의 제조 시 더 높은 비용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외부 하우징 부품의 생략을 가능하게 하는 개별 축전 장치들로 이루어진 축전지 배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방식의 축전지 배치에서 본 발명에 따라, 각각의 축전 장치는 장치 하우징을 형성하는 막대형 중공 프로파일 내에 수용되며, 상기 중공 프로파일은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체를 형성하는 것이 제공된다.
이로써 예를 들어 이차 전지 셀 또는 이차 전지 셀들의 복합체로서 구현될 수 있는 개별 축전 장치들은 모두 자체적으로 안정한 고유 장치 하우징을 갖는다. 전체 배치의 필요한 기계적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해, 개별 장치 하우징들은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체를 형성한다. 그러므로 사용되는 장치 하우징의 수에 따라서, 임의의 크기의 복합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선행 기술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기계적 안정성의 손실 없이 전체 축전지 배치를 포함하는 추가 하우징이 생략될 수 있다는 장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하우징의 생략은 또한 축전 장치의 무게 및 제조 비용을 감소시킨다.
막대형 중공 프로파일은 압출 프로파일로서,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출 프로파일의 사용은 저렴한 제조를 가능하게 하는 한편, 알루미늄이나 플라스틱과 같은 경량 소재의 사용은 전체 중량의 감소를 가능하게 한다. 요구되는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공 프로파일은 충분한 벽 두께, 예를 들어 2 mm 내지 5 mm를 가져야 한다.
중공 프로파일의 횡단면은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C자형 또는 U자형일 수 있다. 선택된 횡단면 형상 또는 다양한 횡단면 형상들의 선택된 조합에 따라, 축전 장치들의 배치된 다양한 복합체가 실현될 수 있다. 개별 중공 프로파일은 수평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하로 적층될 수도 있다. 이것은 차량 내부의 이용 가능한 공간에 따라 구조적으로 조정될 수 있는 복합체들의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복합체의 개별 중공 프로파일은, 각각의 설치 상황 및 이용 가능한 공간에 맞게 축전지 배치의 가능한 최적의 조정을 달성하기 위해, 다양한 길이를 갖거나 챔퍼링된 단부들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복합체의 중공 프로파일들은 재료 결합 방식으로 및/또는 측면 연결 수단에 의해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중공 프로파일들은 그것의 해당 인접부에 용접되고 및/또는 예를 들어 도브 테일 조인트와 같은 측면 연결 수단에 의해 또는 그루우브 및 스프링에 의해 상기 인접부에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으로 중공 프로파일 자체가 그루우브와 스프링을 갖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중공 프로파일이 그루우브만을 갖고 이들의 연결이 추가의 스프링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수평 방향으로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으로 복합체의 견고한 결합을 가능하고 하고,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한다.
또한, 중공 프로파일들은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채널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냉각제 채널들은 예를 들어 냉각수 회로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축전지 배치의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이 방출될 수 있다. 냉각제 채널들의 벽면 배치는 외부 냉각제 채널들에 비해 낮은 열 접촉 저항의 장점을 가능하게 하고, 개별 축전 장치들의 효율적인 냉각을 가능하게 한다. 냉각제 채널들은 압출 프로파일로서 중공 프로파일의 제조 시 간단한 방식으로 직접 함께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전체적인 축전지 배치는 외부에 뻗어 있는 냉각 시스템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축전 장치는 삽입부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축전 장치는 중공 프로파일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된다. 이는, 중공 프로파일들의 재료 결합 방식 또는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연결 후에 각각의 축전 장치가 삽입될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또한, 삽입부를 이용해서 축전 장치는 추후에 다시 제거될 수 있고, 예를 들어 결함 시 교체될 수 있다. 삽입부의 길이와 중공 프로파일의 길이에 따라, 각 삽입부가 양 측면에서 중공 프로파일 내로 도입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삽입부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크루를 사용함으로써, 중공 프로파일의 단부면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삽입부는, 삽입된 상태에서 중공 프로파일을 폐쇄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플레이트를 가질 수 있다. 이는, 중공 프로파일마다 삽입부를 사용하는 경우 중공 프로파일의 하나의 또는 2개의 단부가 폐쇄될 수 있어,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 또는 거기에 위치한 축전 장치들이 외부 환경 영향, 예를 들어 침투하는 습기로부터 보호되는 장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삽입부가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캐리지로서 구현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캐리지로서 구현은 삽입부의 비교적 간단한 구조의 장점을 제공한다. 이 경우에도 예를 들어 알루미늄과 같은 경량 소재를 사용하는 것은 전체 구조의 전반적으로 낮은 전체 중량에 기여한다. 캐리지 및/또는 중공 프로파일의 내벽에 대응하는 가이드 구조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삽입부의 삽입 또는 제거가 가능한 한 간단해지고 틸팅이 가급적 방지될 수 있다. 슬라이딩 캐리지(sliding carriage)로서 구현 외에 삽입부의 다른 구현 형태도 고려될 수 있고, 예컨대 삽입부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스키드(skid)로서 구현될 수 있다. 추가로, 삽입부들에는 그것의 삽입 또는 제거를 더 간단하게 하는 부재들, 예를 들어 휠 또는 롤러가 제공될 수 있다.
개별 축전 장치들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한 가능성은, 축전 장치들이 십입부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서로 연결되는 것이다. 이것은, 삽입부를 삽입한 후에 추가적인 전기적 연결이 수행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비교적 간단한 조립 공정의 장점을 제공한다. 삽입부를 통한 전기 연결은, 예를 들어 단부면에 설치된 콘택면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삽입부의 콘택면들은, 삽입부에 배치된 축전 장치와 접촉하는 것은 물론 인접한 다른 축전 장치에 대한 전기 콘택을 형성하도록 구현된다. 이것은, 복합체의 모든 축전 장치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접촉의 다른 가능성은, 축전 장치들이 별도의 연결 수단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 경우, 연결은 예를 들어 케이블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바람직하게, 축전 장치들이 중공 프로파일의 단부면을 통해 동일한 복합체의 임의의 다른 축전 장치들에 간단하게 연결되고 및/또는 자동차의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될 수 있다.
접촉을 위한 제 3 가능성은, 축전 장치들이 적어도 하나의 콘택 레일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또는 연결됨으로써 실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콘택 레일은 중공 프로파일의 다수의 단부면을 덮는다. 이 실시예의 장점은, 콘택 레일이, 축전 장치들의 전기적 접속 외에도 중공 프로파일의 단부면도 폐쇄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 경우, 중공 프로파일의 폐쇄는,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 또는 그곳에 위치한 축전 장치들이 외부 영향에 대해, 예를 들어 습기의 침투로부터 보호되도록 이루어진다. 축전 장치들의 전기 접촉은, 콘택 레일들이 내측을 향한 측면에 예를 들어 스프링 지지되는 콘택을 가지며, 상기 콘택들은 콘택 레일의 부착 시 콘택 레일을 향하는 축전 장치들의 측면에서 대응 콘택면들에 대한 전기 연결을 형성함으로써 실현될 수 있다. 부착된 콘택 레일들은 스크루 또는 래칭(latching) 메카니즘을 이용해서 중공 프로파일에 고정될 수 있다.
축전 장치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또한, 중공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복합체는 프레임으로 둘러싸일 수도 있다. 프레임의 스트럿은 특히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압출 프로파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프레임의 스트럿은 복합체의 외형에 상응하게 구현되고 서로 고정되어, 복합체를 견고하게 둘러쌀 수 있다. 스트럿은 바람직하게는, 프레임의 마주 놓인 적어도 2개의 스트럿은 둘러싸인 중공 프로파일의 단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프레임과 그것에 의해 둘러싸인 중공 프로파일 복합체 사이의 갭은 추가로 프레임 및/또는 복합체에 고정된 박판으로 덮여서, 예를 들어 패러데이 케이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들 및 세부 사항들은 이하에 설명되는 실시예로부터 도면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되며 6각형 횡단면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가능한 추가 축전지 배치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상이한 횡단면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측면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측면을 도시한 투시도.
도 5는 삽입 부재를 통해 형성된 축전 장치들의 전기적 연결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자 배치를 도시한 측면도.
도 6은 연결 수단에 의해 연결된 축전 장치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콘택 레일을 통해 연결되며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축전 장치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2개의 축전 소자들을 연결하기 위한 콘택 레일을 도시한 투시도.
이하 예를 들어 도시된 복합체들의 중공 프로파일들의 수에 의해 결정되는 크기는 임의로 선택된다. 기술적 및 공간적 요구 사항에 따라 해당 복합체들은 임의의 크기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 도면들은 모두 기본도이다.
도 1은 사각형 횡단면을 갖는 6개의 동일한 유형의 중공 프로파일(1)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를 단면도로서 도시한다. 중공 프로파일은 압출 프로파일로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되고, 그것의 외부 모서리는 제조 공정으로 인해 라운드 된다. 이러한 라운딩에 의해 형성된 갭(2)에서 중공 프로파일들은 점형 용접 또는 연속 용접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에는, 예를 들어 리튬이온 이차 전지(accumulator) 또는 커패시터로서 구현될 수 있는 상응하게 서로 접촉되는 축전 장치들(3)이 구현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로 이루어진 복합체는 외부 냉각 시스템(4)에 장착된다.
도 2는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 육각형 횡단면을 갖는 중공 프로파일들(1a)의 복합체의 절단된 측면을 도시한다. 각각의 중공 프로파일은 상부 절반의 측면에 주조된 3개의 스프링(5) 및 하부 절반의 측면에 이에 끼워지는 그루우브(6)를 가지므로, 동일하게 주조된 중공 프로파일들(1a)로 이루어진 임의의 크기의,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으로 연결된 복합체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연결에 추가하여, 중공 프로파일들은 그것의 콘택면(7)의 에지에서 용접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의 내부에는 축전 장치들(3)이 위치한다. 그루우브(6)와 스프링(5)은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서 중공 프로파일(1a)의 구현 시 압출 프로파일의 제조 공정에서 주조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축전지 배치의 절단된 측면을 도시하고, 이 경우 중공 프로파일(1b)은 삼각형 횡단면을 갖고, 중공 프로파일(1c)은 육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개별 중공 프로파일(1b 및 1c)의 연결은 이 실시예에서 측면의 에지(8)에 설치된 용접 시임을 통해 이루어진다. 중공 프로파일(1b) 내에 위치한 축전 장치들(3a)은 삼각형 횡단면을 갖고, 중공 프로파일(1c) 내에 위치한 축전 장치들(3b)은 상응하는 육각형 횡단면을 갖는다. 다른 중공 프로파일(1b 및/또는 1c)을 추가함으로써, 복합체는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임의로 확장될 수 있다. 중공 프로파일(1b 및 1c)의 사용된 횡단면에 따라, 복합체 내의 중공 프로파일(1b 및 1c)의 임의의 수의 조합 및 기하학적 배치가 실현될 수 있다.
도 4는 압출 프로파일로서 알루미늄으로 제조된 2개의 중공 프로파일(1)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측면의 투시도를 도시한다. 2개의 프로파일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벽면 냉각제 채널(9)을 갖는다. 2개의 프로파일은 갭(2) 내에서 연장되는 용접 시임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냉각제 채널들(9)은, 여기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적절한 냉각제 호스(10)를 통해, 예를 들어 냉각수 회로와 같은 외부 냉각제 시스템(11)에 연결될 수 있다. 냉각을 위해 중공 프로파일(1) 내에 위치한 축전 소자(3)는 이러한 방식으로 낮은 열 접촉 저항을 제공한다.
도 5는 에지(2)에서 연장되는 용접 시임에 의해 연결된 2개의 중공 프로파일(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축전 장치들(3)은 삽입부들(12 및 12a)을 통해 이러한 중공 프로파일에 삽입된다. 중공 프로파일(1)은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서 구현된다. 삽입부들(12 및 12a)은 알루미늄 캐리지로서 구현된다. 상기 삽입부들은 삽입된 상태에서 움직이지 않게 중공 프로파일(1)의 내부 챔버에 수용된다. 이는 클램핑 홀더 외에, 예를 들어 래칭 홀더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축전 장치들(3)은 삽입부(12)의 콘택면(13)을 통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콘택면들(13)과 축전 장치들(3) 사이의 접촉은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축전 장치들(3)의 단부면에 장착된 콘택(15)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삽입부(12a)의 콘택면들(13a)에 의해, 축전 장치들(3)은 수평 방향으로 더 큰 배치의 다른 축전 소자들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 콘택면들의 상응하는 배치에 의해 더 큰 복합체의 수직 방향으로 배치된 축전 소자들에 대한 콘택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구리와 같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구성되는 콘택면들(13 및 13a)은 이 경우, 축전지 배치의 전체 시스템을 위해 요구되는 방식으로 대응하는 축전 장치들(3)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이차 전지 또는 커패시터로서 구현된 축전 장치들(3)의 병렬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삽입부들(12 및 12a)이 원치 않게 빠져나가는 것과 축전 장치들(3) 사이의 전기 접촉을 보장하기 위해, 탭(14)에 의해 삽입부들(12 및 12a)이 중공 프로파일(1)의 단부면에 예컨대 스크루 또는 래칭 메커니즘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도 6은 3개의 중공 프로파일(1d, 1e, 1f)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평면도를 도시하고, 이 경우 중공 프로파일(1d, 1e, 1f)은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서 구현된다. 중공 프로파일(1d, 1e, 1f) 내에 위치한 삽입부들(12)과 거기에 배치된 축전 장치(3)에 대한 시야를 개방하기 위해, 조망하는 면은 도면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절단된다. 이 경우 중공 프로파일(1d)은 챔퍼링된 단부들을 갖는다. 또한, 중공 프로파일(1e 및 1f)의 길이들은 상이하다. 중공 프로파일들(1d, 1e, 1f)의 형상으로부터 기인하는 본 발명에 따른 복합체들의 다양성은, 복합체들의 외부 형상을 각각의 설치 상황에서 자동차 내부의 이용 가능한 공간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이 경우 모든 중공 프로파일(1d, 1e, 1f) 내에 각각의 축전지 배치(3)를 가진 각각 2개의 삽입부(12)가 삽입된다. 축전 장치들(3)은 전체 축전지 배치의 소정의 기능에 부합하도록 연결 수단(16)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된다. 도 5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예를 들어 이차 전지 또는 커패시터로서 구현된 축전 장치들(3)의 병렬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추가 연결 수단(15)을 통해, 자동차의 다른 구성 요소(17)에 대한 축전 장치 전체의 접속도 가능하다.
도 7은 2개의 중공 프로파일(1)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축전지 배치의 평면도를 도시한다. 중공 프로파일(1) 내에 위치한 삽입부(12)와 거기에 배치된 축전 장치들(3)에 대한 시야를 개방하기 위해, 조망하는 면은 도면 평면에 대해 평행하게 절단된다. 중공 프로파일은 알루미늄 압출 프로파일로서 구현된다. 알루미늄 캐리지로서 제조된 삽입부(12)는 단부들 중 하나마다 각각 단부 플레이트(18)를 가지며, 삽입부(12)가 삽입된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에 의해 중공 프로파일(1)의 내부 챔버의 단부면들이 폐쇄된다. 단부 플레이트(18)에 마주 놓인 중공 프로파일(1)의 측면들은 콘택 레일(19)에 의해 폐쇄되며, 이는 도 8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콘택 레일(19)과 단부 플레이트(18)에 의한 중공 프로파일(1)의 내부 챔버의 수밀식 폐쇄는 단부 플레이트(18)와 콘택 레일(19)에서 적절한 밀봉부(20)를 사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축전지 배치(1)의 측면은 프레임(23)으로 둘러싸이고, 여기서 2개의 스트럿은 둘러싸인 중공 프로파일의 단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프레임(23)의 스트럿은 예를 들어 횡단면이 L 형인,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중공 프로파일로서 구현될 수 있다. 프레임(23)의 기계적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스트럿은, 예를 들어 여기에 도시되지 않은 나사 결합에 의해 및/또는 인접한 스트럿에 대한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의 연결을 가능하게 하는 형상에 의해, 여기에서 챔퍼링된 것으로 도시된 단부면에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콘택 레일(19)을 투시도에 도시한다. 밀봉부(20)는 콘택 레일에 의해 폐쇄된 중공 프로파일(1)의 내부 챔버의 수밀식 폐쇄를 가능하게 한다. 융기부(2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 레일에 일체로 형성되며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 콘택(22)을 통해 축전지 배치들(3)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도록 구현된다. 콘택(22)은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콘택 레일(19) 내부에서 연결된다. 다수의 축전 소자들로 이루어진 축전지 배치의 경우에 상응하는 구조를 갖는 더 넓고 및/또는 더 긴 콘택 레일들이 사용될 수 있거나, 다수의 별도의 콘택 레일이 사용된다. 콘택 레일들은 자동차의 다른 구성 요소에 대한 접속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그 후방면에 콘택(22)을 위한 콘택면을 가질 수 있다.

Claims (12)

  1. 전기 에너지를 축적하기 위한 복수의 개별 축전 장치(3)를 포함하는 축전지로서, 각각의 상기 축전 장치(3)는 장치 하우징을 형성하는 막대형 중공 프로파일(1) 내에 수용되고, 상기 중공 프로파일(1)은 서로 연결되어 견고한 복합체를 형성하며,
    중공 프로파일들(1)로 이루어진 복합체는 프레임(23)으로 둘러싸이고, 상기 프레임(23)의 마주 놓인 적어도 2개의 스트럿은 둘러싸인 상기 중공 프로파일(1)의 단부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막대형 중공 프로파일들(1)은 압출 프로파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들(1)은 횡단면이 원형,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C자형 또는 U자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들(1)은 측면 연결 수단에 의해 재료 결합 방식 및 형상 끼워 맞춤 결합 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들(1)은 벽면에 적어도 하나의 냉각제 채널(9)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축전 장치(3)는 삽입부(12)에 배치되고, 상기 삽입부를 통해 상기 축전 장치들은 중공 프로파일(1) 내로 삽입 가능하거나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는 적어도 하나의 단부 플레이트(18)를 갖고,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공 프로파일(1)을 폐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12)는 캐리지로서 또는 스키드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장치들(3)은 상기 삽입부(12)를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장치들(3)은 별도의 연결 수단(16)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축전 장치들(3)은 적어도 하나의 콘택 레일(19)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 가능하거나 연결되고, 상기 콘택 레일(19)은 중공 프로파일(1)의 적어도 하나의 단부면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전지.
  12. 삭제
KR1020197017830A 2016-12-07 2017-11-16 축전지 배치 KR1022892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4318.7A DE102016224318A1 (de) 2016-12-07 2016-12-07 Speicheranordnung
DE102016224318.7 2016-12-07
PCT/EP2017/079472 WO2018104023A1 (de) 2016-12-07 2017-11-16 Speicheranordn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7581A KR20190077581A (ko) 2019-07-03
KR102289283B1 true KR102289283B1 (ko) 2021-08-13

Family

ID=60450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7830A KR102289283B1 (ko) 2016-12-07 2017-11-16 축전지 배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23086B2 (ko)
EP (1) EP3552259B1 (ko)
KR (1) KR102289283B1 (ko)
CN (1) CN110036503A (ko)
DE (1) DE102016224318A1 (ko)
WO (1) WO20181040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17068A1 (de) * 2018-07-13 2020-01-1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18121545B4 (de) * 2018-09-04 2022-07-07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modul einer Traktionsbatterie eines Kraftfahrzeugs und Traktionsbatterie
DE102019112358A1 (de) * 2019-05-10 2020-11-12 Monbat New Power GmbH Modulares System für den Zusammenbau einer Vorrichtung zur Speicherung elektrischer Energie
DE102019008775A1 (de) 2019-12-17 2020-07-16 Daimler Ag Zellmodul
DE102020125656A1 (de) 2020-10-01 2022-04-0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Hochvoltspeicher mit zellspezifischem bedarfsorientiertem Kühlsystem
DE102022202560A1 (de) 2022-03-15 2023-09-21 Mahle International Gmbh Batteri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1015A1 (en) * 2006-05-11 2009-04-30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batter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38452A (en) * 1964-11-23 1967-08-29 Michael J Oakley Case for storage battery cell
DE3942224A1 (de) * 1989-12-21 1991-06-27 Asea Brown Boveri Hochtemperaturspeicherbatterie
JPH10106520A (ja) * 1996-09-26 1998-04-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蓄電池電源装置
JPH1167178A (ja) * 1997-08-25 1999-03-09 Nissan Motor Co Ltd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固定構造及びこの固定構造によるバッテリ空調方法
DE10352046A1 (de) * 2003-11-07 2005-06-09 Daimlerchrysler Ag Batterie mit wenigstens einer elektrochemischen Speicherzelle und einer Kühleinrichtung
WO2005114810A1 (en) * 2004-05-17 2005-12-01 Railpower Technologies Corp. Automated battery cell shunt pypass
CN101180749B (zh) 2005-05-23 2011-04-13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电池模块及其制造方法
JP2007048637A (ja) * 2005-08-10 2007-02-22 Nissan Motor Co Ltd 電池パックおよび電池パック用ケース
CN101548411A (zh) 2006-05-11 2009-09-30 江森自控帅福得先进能源动力系统有限责任公司 模块电池系统
KR20090043566A (ko) * 2006-09-18 2009-05-06 마그나 스티어 파르초이크테시닉 아게 운트 코. 카게 모듈 방식의 배터리 유닛
US8062698B2 (en) * 2008-03-10 2011-11-22 Xerox Corporation Synthesis of conductive metal markings for chipless RFID applications
DE102008057210B4 (de) * 2008-11-13 2023-05-04 Vitesco Technologies GmbH Zellhalter, Energiespeicherzelle, Zellhalterstapel und Mehrzellenenergiespeicher
CN201506239U (zh) * 2009-09-15 2010-06-16 万向集团公司 固定式电池框
DE102009048147A1 (de) * 2009-10-02 2011-04-07 Li-Tec Battery Gmbh Batterieaufnahmeeinheit
DE102010046933B4 (de) * 2010-09-29 2014-11-20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Temperlierbare Vorrichtung zur Anordnung einer beliebigen Anzahl einzelner Batteriezellen
JP4969691B1 (ja) * 2011-02-04 2012-07-04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収納具及びこれを備えた電池システム
KR20130033531A (ko) * 2011-09-27 2013-04-04 에스케이이노베이션 주식회사 배터리 모듈
JP6058260B2 (ja) * 2011-10-28 2017-01-11 株式会社東芝 蓄電池ユニット
DE102012221503B4 (de) * 2012-11-23 2022-01-05 Vitesco Technologies GmbH Energiespeicher mit einer Vielzahl von Energiespeicherzellen und mit einem Gehäuse sowie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Energiespeichers
DE102012223518A1 (de) * 2012-12-18 2014-06-18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 mit Isolationselement
DE102014101335A1 (de) 2014-02-04 2015-08-0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Batterieeinheit aufweisend wenigstens ein erstes Batteriemodul und wenigstens ein zweites Batteriemodul in einem Batteriegehäuse
EP3107135B1 (en) 2014-02-12 2019-04-03 Nissan Motor Co., Ltd Battery module
JP6252313B2 (ja) * 2014-03-31 2017-12-27 株式会社Gsユアサ 蓄電装置
DE102014206646A1 (de) * 2014-04-07 2015-10-08 Robert Bosch Gmbh Energiespeichereinheit, insbesondere Batteriemodul, und Energiespeichersystem mit einer Mehrzahl von Energiespeichereinheiten
US10003053B2 (en) * 2015-02-04 2018-06-19 Global Web Horizons, Llc Systems, structures and materials for electrochemical device thermal management
KR20160134066A (ko) * 2015-05-14 2016-11-2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지 모듈
DE102016110330A1 (de) * 2016-06-03 2017-12-07 Thyssenkrupp Ag Gehäuse für eine Fahrzeugbatteri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Gehäu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111015A1 (en) * 2006-05-11 2009-04-30 Johnson Controls - Saft Advanced Power Solutions Llc Modular batter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04023A1 (de) 2018-06-14
EP3552259A1 (de) 2019-10-16
EP3552259B1 (de) 2021-01-06
CN110036503A (zh) 2019-07-19
KR20190077581A (ko) 2019-07-03
US20210305650A1 (en) 2021-09-30
DE102016224318A1 (de) 2018-06-07
US11223086B2 (en) 2022-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9283B1 (ko) 축전지 배치
EP3386001B1 (de) Traktionsakkumulator länglicher bauart mit benachbart zueinander angeordneten elektrochemischen sekundärzellen und verfahren zur kontrolle des wärmehaushalts
EP2068381A1 (en) Battery system
US20220223960A1 (en) Energy Storage Device for a Motor Vehicle, Motor Vehicle, and Production Method
AT513127B1 (de) Elektrischer Energiespeicher
KR20100097685A (ko) 배터리 팩
US20150280190A1 (en) Energy storage apparatus
US20170018746A1 (en) Receiving element for pouch cells
US20180287112A1 (en) Electrical energy storage modul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180138466A1 (en) Non-welding joinder of exterior plates of a battery module
CN102593388A (zh) 电池组及具备该电池组的车辆
JP2011103259A (ja) 車両用の電源装置及びこの電源装置を搭載する車両
DE102017114749B4 (de) Traktionsakkumulator, insbesondere länglicher Bauart mit benachbart angeordneten Lithium-Ionen-Sekundärzellen, und Verfahren zur Kontrolle des Wärmehaushalts
CN114954662B (zh) 一种分体式新能源汽车车身结构及其组装方法
CN113519085A (zh) 用于机动车的能量存储器装置、机动车及制造方法
CN111684640A (zh) 用于机动车的电池
JP6995715B2 (ja) 電池装置
EP4092794A1 (en) Vehicular battery pack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US20220367930A1 (en) Control unit, vehicular battery pack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US20220367925A1 (en) Control unit, vehicular battery pack and relative assembly method
CN220984707U (zh) 电池装置
US20220359941A1 (en) Module housing for a battery module, a battery module, a side panel unit, and a method for providing a battery module
KR20240034832A (ko) 자동차용, 특히 승용차용 에너지 저장 바닥 어셈블리 및 자동차
WO2022223666A1 (en) A battery cell comrising a casing which mechanically interlocks with a neighbouring adjacent battery cell casing.
DE102021121981A1 (de) Batteri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