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9208B1 -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9208B1
KR102289208B1 KR1020190126042A KR20190126042A KR102289208B1 KR 102289208 B1 KR102289208 B1 KR 102289208B1 KR 1020190126042 A KR1020190126042 A KR 1020190126042A KR 20190126042 A KR20190126042 A KR 20190126042A KR 102289208 B1 KR102289208 B1 KR 102289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ot
detachable
tooth
hole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6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43182A (ko
Inventor
김현이
김병국
김판규
이성미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덴티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주식회사 덴티움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26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9208B1/ko
Priority to US17/767,477 priority patent/US20240065812A1/en
Priority to EP20873450.9A priority patent/EP4042969A4/en
Priority to PCT/KR2020/013646 priority patent/WO2021071237A1/ko
Priority to CN202080071099.8A priority patent/CN114555007A/zh
Publication of KR202100431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31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9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9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6Tooth rep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2Details of the shape consisting of two hal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43Details of the shape having more than one 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48Connecting the upper structure to the implant, e.g. bridging bars
    • A61C8/0075Implant heads specially designed for receiving an upper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통 형성되는 치근홀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바디;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일체형 치근; 상기 치근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을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치근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IMPLANT SYSTEM FOR HAVING NATURAL TOOTH SHAPE WITH REMOVABLE TOOTH ROOT}
본 발명은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아는 턱뼈의 움직임에 따라 구강으로 삽입되는 음식물을 분쇄하는 물리적인 1차 분해 구성이다.
이러한 치아는, 오염에 의해 썩거나 외부 충력에 의해 손상되는 등의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다.
인간의 치아는 영구치가 생성된 뒤에는 추가적인 치아의 생성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영구치에 대한 손상이 발생되는 경우 이를 보충하는 치과 치료가 요구된다.
치아 특정 부위에 대한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해당 부위에 대한 간단한 치료만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과도한 손상이나 기능 저하 시에는 해당 치아를 발치해야하는 경우가 다수 존재한다.
예전에는 치아 발치 치료가 요구되는 경우 해당 치아를 틀니와 같은 모방 치아로 이를 대신하였다. 하지만, 최근에는 임플란트 장치와 같은 인공치아의 개발에 힘입어 기존 자연치아와 대체로 유사한 형상 및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었다.
임플란트 장치는, 결손된 자연치아를 대체하는 인공치아로 임플란트, 어버트먼트(Abutment), 및 보철물로 구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임플란트는 결손된 자연치아의 수복을 위한 보철물을 치조골에 지지시켜 줄 수 있도록, 그 치조골에 식립되는 고정체를 의미하고, 어버트먼트는 임플란트와 보철물 간의 연결을 위하여 임플란트에 결합되는 기둥을 의미하며, 보철물은 치아한 형태로 제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임플란트 장치는 원통형 모양의 단일 임플란트를 치조골에 식립하여 고정된 상태에서 어버트먼트 및 보철물을 순차적으로 결합시키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기존 임플란트 장치는 발치된 자연치아의 치근 형상에 상관없이 단일 기둥 구조의 임플란트를 드릴링하여 설치하는 구조였다.
이와 같은 시술 방법은 시술의 대중성 측면에서는 유리할 수 있으나, 기존 치근이 아닌 신규한 치근을 인위적으로 생성하는 시술인 만큼, 이에 따라 동반되는 시술 통증, 부작용, 느린 회복 시간 등의 다양한 문제를 갖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자연치아의 치근과 동일한 임플란트를 제작하여 이를 삽입하는 장치 및 방법이 활용되고 있다.
발치되는 자연치아가 단일 치근을 갖고 있는 경우에는, 이와 동일한 인공치아의 생성 및 삽입 시술에 큰 문제가 발생되지 않았다. 하지만, 자연치아가 서로 다른 형상 및 식립 방향을 갖는 다수의 치근을 갖는 경우 이를 해당 치근에 대응되게 인공치아(임플란트 장치)를 삽입하는데에는 여전한 어려움이 존재한다.
삭제
등록특허공보 제10-1744447호(2017.06.0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다수의 치근을 갖는 인공치아를 보다 용이하게 식립 및 고정시킬 수 있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는 관통 형성되는 치근홀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바디;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일체형 치근; 상기 치근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을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치근 고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은, 식립 영역에 대응되는 자연치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일체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은, 서로 교차점을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홀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 고정유닛은, 상기 나선 구조를 따라 회전 삽입되는 스크류 나사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 고정유닛은, 상기 탈착형 치근이 삽입된 상기 치근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주입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형 치근이 상기 치근홀을 따라 고정된 상태로 이동시키도록 형성되는 치근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 가이드는, 상기 치근홀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형 치근은,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오목 가이드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 가이드는, 상기 치근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형 치근은, 상기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 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형 치근은, 식립 영역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근홀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되며 식립 영역을 향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착형 치근은, 상기 하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식립 영역에 식립되는 식립 치근; 및 상기 상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 사이에서 고정되는 고정 치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 치근은, 가장 큰 직경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치아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탈착형 치근의 삽입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 바디는, 보철과 결합되기 위한 보철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에 의하면, 일체형 치근 및 탈착형 치근의 순차적인 결합을 통해 자연치아의 다치근에 대응되도록 식립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형 치근을 임플란트 바디 내부에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장치 안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착형 치근의 삽입 시, 식립 자세를 고정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여 시술 정확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임플란트 장치(100)의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장치(1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 장치(1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임플란트 바디(110) 및 탈착형 치근(14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2의 치근 고정유닛(15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근 가이드(150)가 구비된 임플란트 바디(110) 및 탈착형 치근(1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70)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10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2의 임플란트 장치(100)의 식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따른 임플란트 장치(100)의 적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사람의 자연치아는 음식물에 의한 오염, 외부 충격에 의한 손상, 및 노화에 따른 퇴화 등의 다양한 이유로 그 기능이 상실되는 경우가 거의 모든 이에게 일어난다.
이와 같이 기능이 상실된 자연치아는 임플란트 장치와 같은 인공치아로 대체될 수 있다.
기존 임플란트 장치는 단일 임플란트를 통해 치조골에 식립되는 구조를 갖거나, 자연치아의 치근과 유사한 치근을 제조하여 이를 식립하는 방식을 대부분 적용해왔다.
특히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의 경우, 자연치아가 단일 치근으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동일 형상의 치근을 제조하여 이를 식립하면 되었으므로 이에 따른 큰 문제점은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자연치아의 치근이 2이상의 복수인 경우, 해당 치근들은 그 식립 방향 및 위치가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복수의 치근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를 식립하기에는 어려움이 존재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임플란트 장치(100)를 일체형 치근(130)과 일체로 결합된 임플란트 바디(110)를 통해 먼저 1차 식립을 실시하고, 이 후, 다른 치근에 대응되는 탈착형 치근(140)을 임플란트 바디(110)의 치근홀(111)에 삽입시켜 2차 식립을 실시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보철물(180)을 임플란트 바디(110) 상에 결합시킴으로써, 복수의 치근을 구비한 임플란트 장치(100)의 식립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 장치(100)에 의하면, 치근홀(111)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바디(110)를 통해 일체형 치근(130)과 탈착형 치근(140)을 순차적으로 자연치아가 발치된 식립 영역(E)에 식립시킬 수 있다. 따라서, 다치근의 자연치아가 발치된 식립 영역(E)에 대해서도 대응되는 다치근을 구비한 임플란트 시술을 실시할 수 있어 시술 용이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임플란트 장치의 적용 방법에 대하여 간략하게 설명하였다. 도 2 내지 도 4에서는 임플란트 장치의 구조 및 결합 방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 장치(100)의 조립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임플란트 장치(100)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임플란트 바디(110) 및 탈착형 치근(140)의 세부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형 치근(140)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100)는 임플란트 바디(110), 일체형 치근(130), 탈착형 치근(140), 치근 고정유닛(160), 및 보철물(180)을 포함할 수 있다.
임플란트 바디(110)는, 일체형 치근(130) 및 탈착형 치근(140)과 보철물(180)을 각각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 바디(110)는 치근홀(111) 및 보철 결합부(113)를 구비할 수 있다.
치근홀(111)은, 탈착형 치근(140)을 임플란트 바디(110)에 삽입된 상태로 식립 영역(E)으로 연장되도록 하기 위한 수단으로, 임플란트 바디(110)의 일측 및 타측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처럼 치근홀(111)은 보철물(180)과 결합되는 상부면 및 식립 영역(E)과 대면하는 하부면을 각각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치근홀(111)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 구조(112)를 포함할 수 있다. 나선 구조(112)는 후술하는 치근 고정유닛(160)의 회전 결합을 위한 수단이다.
치근홀(111)은, 도 2에서처럼 일체형 치근(130)의 중심축(A)과 서로 교차되는 중심축(B)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치근홀(111)은 일방향을 향해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근홀(111)은 제1 직경(D1)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영역(111a)과, 제1 직경(D1)보다 작은 제2 직경(D2)으로 형성되며 식립 영역(E)을 향하는 하부 영역(111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치근홀(111)은 상부 개구에서 식립 영역(E)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는 내부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보철 결합부(113)는, 보철물(180)을 임플란트 바디(110)에 결합시키기 위한 수단으로 도 2에서처럼 임플란트 바디(110)의 외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형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보철물(180)은 나선형 구조와 대응되는 결합 구조를 포함하고, 해당 구조들의 결합을 통해 임플란트 바디(110) 외면에 보철물(180)이 씌워지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보철 결합부(113)는 접착제로 구성되어 임플란트 바디(110)의 외면에 도포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보철 결합부(113)는 보철물(180)의 내부 공간에 끼움될 수 있는 돌출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며, 이외 다양한 결합 구조 역시 더 가질 수 있다.
일체형 치근(130)은, 임플란트 바디(110)에 일체로 결합되어 식립 영역(E)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일체형 치근(130)은 발치된 자연치아의 다치근(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치근) 중 어느 하나의 치근과 대응되게 형성되어 임플란트 바디(110)에 일체로 결합 형성될 수 있다. 임플란트 바디(110)와 일체형 치근(130)의 제조는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일 예로는 3D 프린팅 기술을 이용하여 발치된 자연치아의 임플란트 바디(110) 및 하나의 치근에 대응되는 구조를 스캐닝하여 동일한 구조로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치근(130)은 도 3에서처럼 한 쌍의 식립 영역(E) 중 어느 하나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일체형인 임플란트 바디(110) 역시 환자의 구강 잇몸(G)상에 1차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일체형 치근(130)은, 발치된 자연치아의 치근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므로, 그 형상이 한정된 것은 아니만 본 실시예에서는 일 방향을 향해 경사지고, 치조골(P)을 향하는 끝단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탈착형 치근(140)은, 발치된 자연치아의 식립 영역(E) 중 일체형 치근(130)이 삽입된 식립 영역(E) 외에 나머지 식립 영역(E)에 삽입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탈착형 치근(140)은 치근홀(111)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임플란트 바디(110)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탈착형 치근(140)은 자연치아의 다치근에 대응되게 그 형태가 형성되고, 치근홀(111)을 통해 일부가 삽입되고 나머지는 식립 영역(E)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처럼 최초 탈착형 치근(140)은 임플란트 바디(110)와 분리된 상태를 가질 수 있고, 도 3에서처럼 일체형 치근(130)이 식립 영역(E)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근홀(111)을 따라 삽입되어 나머지 식립 영역(E)에 식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탈착형 치근(140)은 도 4에서처럼 식립 치근(140a)과 고정 치근(140b)을 포함할 수 있다.
식립 치근(140a)은, 치근홀(111)에 삽입되는 경우 임플란트 바디(110) 외부로 연장되는 치근 부위로, 치근홀(111)의 하부 영역(111b)을 통해 식립 영역(E)에 식립되는 부위이다. 즉, 식립 치근(140a)은 치근홀(111) 결합 시 잇몸(G) 또는 치조골(P)과 접촉되는 치근 부위일 수 있다.
고정 치근(140b)은, 치근홀(111)의 결합 시 치근홀(111) 내부(상부 영역(111a) 및 하부 영역(111b) 사이)에 위치하는 치근 부위일 수 있다. 이를 위해 고정 치근(140b)은 가장 큰 직경이 치근홀(111) 상부 영역(111a)의 제1 직경(D1)보다 작고, 하부 영역(111b)의 제2 직경(D2)보다 큰 제3 직경(D3)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영역(111b)보다 직경이 큰 고정 치근(140b)은 치근홀(111) 내부에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탈착형 치근(140)은 식립 영역(E)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치근홀(111)에 끼움될 수 있다. 일체형 치근(130) 및 탈착형 치근(140)은 모두 발치된 자연치아의 치근과 대응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발치된 자연치아가 한 쌍의 치근을 가지고, 이에 따라 식립 영역(E) 역시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한다.
치근 고정유닛(160)은, 치근홀(111)에 삽입되는 탈착형 치근(140)을 임플란트 바디(110)에 고정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치근 고정유닛(160)은 스크류 나사 및 접착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스크류 나사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홀(111)의 나선 구조(112)에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치근홀(111)에 회전 결합되어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탈착형 치근(140)의 상부를 압박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탈착형 치근(140)의 고정 치근(140b) 상부면에는 돌출 또는 오목하게 형성되는 치근 끼움부가 형성되고, 스크류 나사는 해당 치근 끼움부에 대응되는 면에 스크류 끼움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스크류 나사가 탈착형 치근(140)에 접촉하는 경우, 치근 끼움부와 스크류 끼움부가 서로 결합되어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또한, 스크류 나사가 탈착형 치근(140)을 압박 고정시키는 경우, 이들을 제외한 나머지 치근홀(111) 공간은 실링제에 의해 채워질 수 있다.
치근 고정유닛(160)이 스크류 나사로 구성되는 경우, 도 5에서처럼 치근 고정유닛(160)은 상부면이 개방된 결합홀인 보철물 결합구(161)을 구비할 수 있다.
보철물 결합구(161)는 보철물(180)과 결합되기 위한 수단으로 보철물(180)에 구비되는 결합부재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홈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보철물 결합구(161)가 육각형의 단면을 갖도록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철물(180)은 임플란트 바디(110)에 구비되는 보철 결합부(113) 및 치근 고정유닛(160)에 구비되는 보철물 결합구(161)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결합될 수 있다.
뿐만아니라,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으나, 치근 고정유닛(160)으로 접착제가 적용되는 경우,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치근홀(111) 내부 공간으로 접착제를 충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해당 접착제의 접착성을 통해 탈착형 치근(140)과 임플란트 바디(110)를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치근 고정유닛(160)은 그 구조 및 방식이 한정된 것은 아니며, 스크류 나사 및 접착제가 동시에 적용되거나, 그 외의 결합 고정 방식이 적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장치(100)에 의하면, 다치근을 갖는 자연치아를 발치하는 경우, 일체형 치근(130)과 결합된 임플란트 바디(110)를 먼저 제1 식립 영역(E)에 삽입하고, 그 후 탈착형 치근(140)을 치근홀(111)에 결합하여 발치된 자연치아와 대응되는 인공치아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자연치아의 치근에 대응되는 형상의 인공치근을 구비한 임플란트의 시술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은 본 발명의 임플란트 장치(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6에서는 치근 가이드(150)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근 가이드(150)가 구비된 임플란트 바디(110) 및 탈착형 치근(140)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장치는 상술한 임플란트 장치와 대체로 동일하나, 치근 가이드(15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일부 차이가 있다.
치근 가이드(150)는,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을 따라 고정된 상태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다. 다시말해,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에서의 움직임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치근 가이드(150)는 오목 가이드(151) 또는 돌출 가이드(153)를 포함할 수 있다.
오목 가이드(151)는, (a)에서와 같이 치근홀(111)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오목 가이드(151)는 치근홀(111)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연결하도록 내부면을 따라 형성되는 홈부일 수 있다.
해당 오목 가이드(151)에 삽입되도록 탈착형 치근(140)의 외면에는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141)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1)는, 탈착형 치근(140)의 높이 방향으로 외면에 돌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해당 돌출부(141)는 오목 가이드(151)에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돌출부(141)가 오목 가이드(151)에 삽입되는 경우, 탈착형 치근(140)은 이들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로 치근홀(111)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오목 가이드(151) 및 돌출부(141)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으로 각각 형성될 수 있으며, 그 길이나 크기는 공정 및 실험 상황에 따라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돌출 가이드(153)는, 오목 가이드(151)와 반대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돌출 가이드(153)는 (b)에서처럼 치근홀(111)의 내부면을 따라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다시말해, 돌출 가이드(153) 치근홀(111)의 상부 및 하부 개구를 연결하도록 내부면을 따라 돌출되는 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해당 돌출 가이드(153)에 결합되도록 탈착형 치근(140)은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는 삽입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삽입부(143)는, 탈착형 치근(140)의 높이 방향으로 외면에서 오목지는 홈부일 수 있다. 해당 삽입부(143)는 돌출 가이드(153)가 삽입될 수 있는 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오목 가이드(151)가 삽입부(143)에 삽입되는 경우, 탈착형 치근(140)은 이들에 의해 움직임이 고정된 상태로 치근홀(111)을 따라 삽입될 수 있다.
이상은, 치근 가이드(150)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도 6에서는 스토퍼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170)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 장치는 도 3의 임플란트 장치와 대체로 유사하나 스토퍼(17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스토퍼(170)는, 치근홀(111) 내부에 위치하는 탈착형 치근(140)(도 4, 고정 치근(140b) 이하생략)의 삽입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수단이다. 이를 위해 스토퍼(170)는 치근홀(111)의 하부 영역(도 4, 111b 이하생략) 내주면에서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스토퍼(170)는, 치근홀(111) 하부 영역에서 돌출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해당 영역의 직경을 더 좁게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도시하지 않았으나, 스토퍼(170)는 추가적인 굴곡 구조를 더 가질 수 있다. 예컨데, 스토퍼(170)는 치근홀(111)의 중심축을 향해 돌출되는 끝단이 탈착형 치근(140)이 상부면을 향하도록 굴곡되어 'ㄴ' 형상을 가질 수도 잇다.
이에 대응되게, 탈착형 치근(140)은 해당 스토퍼(170)에 걸림되는 걸림턱(145)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턱(145)은, 스토퍼(170)에 걸림되도록 탈착형 치근(140)의 양측으로 연장되는 구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턱(145)은, 탈착형 치근(140)의 고정 치근 부위에 형성되어, 식립 치근(도 4, 140a 이하생략)은 기존과 동일하게 식립 영역(E)에 식립되고, 고정 치근은 걸림턱(145) 및 스토퍼(170)에 의해 움직임이 제한되어 치조골 내부로의 삽입 이동이 멈쳐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같는 임플란트 장치에 의하면, 설계 시 부터 식립 치근과 고정 치근의 길이를 설정하고, 설정에 길이에 따라 대응되는 스토퍼(170)를 치근홀(111)에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설계된 길이에 따라 식립 치근만이 식립 영역(E)에 식립될 수 있으므로, 탈착형 치근(140)이 식립 영역(E)을 초과하여 식립되는 경우와, 식립 영역(E)에 못 미치게 설치되는 상황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은 스토퍼를 구비하는 임플란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임플란트 장치의 식립 과정에 대하여 단계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8 내지 도 11은 도 2의 임플란트 장치(100)의 식립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의 (a)에서처럼 환자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손상된 자연치아(N)가 발생될 수 있다. 손상의 정도가 심하여 기능이 상실된 자연치아(N)는 임플란트 장치(100)로 교체되기 위해 발치 도구를 통해 발치될 수 있다.
도 8 (b)에서처럼 손상된 자연치아(N)가 발치되면, 해당 자연치아(N)가 식립되어 있던 식립 영역(E)이 발생된다. 식립 영역(E)은, 치조골(P) 및 잇몸(G)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간략성을 위해 해당 식립 영역(E)은 발치된 자연치아(N)의 치근 영역을 지칭하도록 한다.
자연치아(N)는 단일 치근을 구비하는 경우도 있으나, 한 쌍의 치근과 같은 다치근을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해당 자연치아(N)가 한 쌍의 치근을 구비한 경우라면 도 8 (b)와 같이 한 쌍의 식립 영역(E)(제1 식립 영역, 제2 식립 영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렇게 발치가 완료되면, 해당 식립 영역(E) 및 발치된 자연치아(N)를 스캐닝하여 이에 대응되는 임플란트 바디(110), 일체형 치근(130), 탈착형 치근(140), 및 보철물(180) 등의 임플란트 장치(100)가 제조될 수 있다. 해당 임플란트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는 3D 프린팅을 통한 제조된 경우를 예로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임플란트 장치(100)의 제조가 완료되면, 도 9 (a)에서와 같이 먼저 임플란트 바디(110) 및 임플란트 바디(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일체형 치근(130)을 한 쌍의 식립 영역(E) 중 대응되는 영역에 식립할 수 있다.
일체형 치근(130)은 기존 자연치아(N)의 치근에 대응되는 자연치아 형상으로 제조되었기에 경사지는 구조 또는 하방으로 직경이 좁아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일체형 치근(130)은 제1 식립 영역에 대하여 비스듬하게 끼워져 치조골(P)까지 식립될 수 있고, 이와 일체인 임플란트 바디(110)는 잇몸(G) 상에 노출되도록 안착될 수 있다.
이 후, 임플란트 바디(110)에 형성되는 치근홀(111)을 통해 제2 식립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140)이 삽입될 수 있다.
일체형 치근(130)의 식립에 의해 임플란트 바디(110)는 잇몸(G) 상에 위치한 상태이고, 치근홀(111)은 임플란트 바디(110)의 안착 상태에서 제2 식립 영역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치근홀(111)은 하부 영역(도 4, 111b 이하생략)으로 갈수록 직경이 좁아지게 형성된 상태이다.
따라서,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을 따라 삽입되는 경우, 치근홀(111)의 하부 영역보다 직경이 좁은 식립 치근(도 4, 140a 이하생략)은 치근홀(111)을 관통하여 제2 식립 영역에 식립될 수 있다. 동시에, 치근홀(111)의 하부 영역보다 직경이 큰 고정 치근(도 4, 140b 이하생략)은 좁은 치근홀(111)에 의해 물리적으로 끼워져 그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에 삽입되는 경우, 도 9의 (b)와 같이 탈착형 치근(140)의 일부(식립 치근)은 제2 식립 영역에 식립되고, 나머지 치근(고정 치근)은 치근홀(111)의 내부 영역에 끼워진 상태를 가질 수 있다.
탈착형 치근(140)이 치근홀(111)에 삽입되면, 도 10 (a)와 같이 치근 고정유닛(160)을 치근홀(111)에 삽입시킬 수 있다.
치근홀(111) 내부에는 나선 구조가 형성되어 있어, 스크류 나사와 같은 치근 고정유닛(160)을 치근홀(111)에 삽입하여 회전시킬 수 있다.
이렇게 회전 삽입되는 치근 고정유닛(160)은 탈착형 치근(140)의 상부를 가압하여 도 10 (b)와 같이 움직임을 고정시킴과 동시에 식립 치근이 제2 식립 영역(E)으로의 완전히 이동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치근 고정유닛(160)의 고정 결합이 완료되면, 도 11 (a)와 같이, 치근홀(111)의 빈 공간을 접착제 또는 실링제와 같은 물질을 충진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치근 고정유닛(160) 및 탈착형 치근(140)의 움직임을 보다 고정하거나, 외부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반면, 치근 고정유닛(160)의 보철물 결합구(도 5, 161 이하생략)와 보철물(180)을 결합시키는 경우에는 치근홀(111)에 접착제 또는 실링제를 도포하지 않거나 일부 영역에만 도포할 수도 있다.
이러한 조치가 완료되면, 임플란트 바디(110) 또는 치근 고정유닛(160)와 보철물(180)의 결합을 실시할 수 있다.
임플란트 바디(110)의 외면에는 나선형 구조와 같은 보철 결합부(113)가 구비되어 있어, 이를 통해 보철물(180)과 결합될 수 있다.
또는, 치근 고정유닛(160)의 보철물 결합구에 보철물(180)의 결합부재를 삽입하여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보철물(180) 결합이 완료되면 도 11 (b)와 같이 기존 자연치아(N)와 동일한 구조의 다치근을 갖는 임플란트 장치(100)가 식립되어 이용될 수 있다.
이상은 탈착형 치근(140)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100)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상술한 설명에서는 일체형 치근(130), 치근홀(111), 및 탈착형 치근(140)이 모두 각각 단일로 구성되는 상황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환자의 구강 상태 및 시술자의 상황을 고려하여 일체형 치근(130), 치근홀(111), 및 탈착형 치근(140)이 복수로 구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자연치아 형상의 인공 치근 외에도 기존 인공 치근과 동일한 구조의 임플란트가 더 추가될 수 있음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임플란트 장치(100)에 의하면 자연치아의 다치근에 대응되는 임플란트 장치(100)를 제조하여 시술함에 있어서, 탈착형 치근(140)을 통해 시술의 용이성을 향상시키고 시술 부작용을 최소로 할 수 있는 등의 다양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공치아의 활용성을 확장하여 관련 산업 시장을 강화시키는 종합적인 시너지 효과 역시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상기와 같은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100: 임플란트 장치 P: 치조골
110: 임플란트 바디 G: 잇몰
130: 일체형 치근 N: 자연치아
140: 탈착형 치근 E: 식립 영역
150: 치근 가이드 D1: 제1 직경
160: 치근 고정유닛 D2: 제2 직경
170: 스토퍼 D3: 제3 직경
180: 보철물

Claims (14)

  1. 관통 형성되는 치근홀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바디;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일체형 치근;
    상기 치근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
    상기 탈착형 치근을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치근 고정유닛;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이 상기 치근홀을 따라 고정된 상태로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치근 가이드;를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은,
    식립 영역에 대응되는 자연치아 형상으로 각각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체형 치근 및 상기 탈착형 치근은,
    서로 교차점을 갖도록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각각 결합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홀은,
    내주면을 따라 형성되는 나선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치근 고정유닛은,
    상기 나선 구조를 따라 회전 삽입되는 스크류 나사를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 고정유닛은,
    상기 탈착형 치근이 삽입된 상기 치근홀의 내부 공간을 향해 주입되는 접착제를 더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 가이드는,
    상기 치근홀의 내주면을 따라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형 치근은,
    외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오목 가이드에 삽입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 가이드는,
    상기 치근홀의 내주면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돌출 가이드를 포함하고,
    상기 탈착형 치근은,
    외면에서 오목하게 형성되어 상기 돌출 가이드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치근은,
    식립 영역을 향해 직경이 좁아지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홀은,
    제1 직경으로 형성되며 상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 영역; 및
    상기 제1 직경보다 작은 제2 직경으로 형성되며 식립 영역을 향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형 치근은,
    상기 하부 영역을 통해 상기 식립 영역에 식립되는 식립 치근; 및
    상기 상부 영역 및 상기 하부 영역 사이에서 고정되는 고정 치근;을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치근은,
    가장 큰 직경이 상기 제1 직경보다 작고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제3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13. 관통 형성되는 치근홀을 구비하는 임플란트 바디;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일체로 결합 형성되는 일체형 치근;
    상기 치근홀을 따라 삽입된 상태로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서 연장되도록 형성되는 탈착형 치근;
    상기 탈착형 치근을 상기 임플란트 바디에 고정시키도록 형성되는 치근 고정유닛; 및
    상기 치근홀의 내주면에서 돌출되어 상기 탈착형 치근의 삽입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 바디는,
    보철과 결합되기 위한 보철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KR1020190126042A 2019-10-11 2019-10-11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KR102289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42A KR102289208B1 (ko) 2019-10-11 2019-10-11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US17/767,477 US20240065812A1 (en) 2019-10-11 2020-10-07 Implant device in shape of natural tooth with removable tooth root
EP20873450.9A EP4042969A4 (en) 2019-10-11 2020-10-07 IMPLANT DEVICE IN A NATURAL TOOTH SHAPE HAVING A REMOVABLE TOOTH ROOT
PCT/KR2020/013646 WO2021071237A1 (ko) 2019-10-11 2020-10-07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CN202080071099.8A CN114555007A (zh) 2019-10-11 2020-10-07 具有可拆卸型牙根的自然牙齿形状的植牙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6042A KR102289208B1 (ko) 2019-10-11 2019-10-11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82A KR20210043182A (ko) 2021-04-21
KR102289208B1 true KR102289208B1 (ko) 2021-08-13

Family

ID=75437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6042A KR102289208B1 (ko) 2019-10-11 2019-10-11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40065812A1 (ko)
EP (1) EP4042969A4 (ko)
KR (1) KR102289208B1 (ko)
CN (1) CN114555007A (ko)
WO (1) WO2021071237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497A (ja) * 2004-04-15 2005-10-27 Tamio Omae 人工歯根、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JP2015047195A (ja) 2013-08-30 2015-03-16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744447B1 (ko) * 2016-07-29 2017-06-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인공치아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60872A (ja) * 1998-08-21 2000-02-29 Kaneko Agricult Mach Co Ltd 歯科用インプラントと移植方法
CN101947139B (zh) * 2010-10-21 2013-10-23 赵大国 一种仿生牙种植体及其基台和子根
KR20140038181A (ko) * 2012-09-20 2014-03-28 주식회사 엔에프솔루션 인공 치근 및 그 시술방법
KR20190040590A (ko) * 2017-10-11 2019-04-19 주식회사 덴티스 시술 과정이 감소되는 범용 어버트먼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96497A (ja) * 2004-04-15 2005-10-27 Tamio Omae 人工歯根、そ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システム
JP2015047195A (ja) 2013-08-30 2015-03-16 京セラメディカル株式会社 歯科インプラント用フィクスチャーおよび歯科インプラント
KR101744447B1 (ko) * 2016-07-29 2017-06-09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맞춤형 인공치아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3182A (ko) 2021-04-21
US20240065812A1 (en) 2024-02-29
EP4042969A4 (en) 2023-09-27
EP4042969A1 (en) 2022-08-17
WO2021071237A1 (ko) 2021-04-15
CN114555007A (zh) 202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6560B1 (ko) 치과용 임플란트 구조물
RU2290127C2 (ru) Компоненты и способ улучшенного изготовления оттиска
ES2356892T3 (es) Coronamiento de impresiones de acoplamiento a presión.
KR100677870B1 (ko) 치유 지대주 및 그를 구비한 치과용 임플란트
KR102173435B1 (ko) 치과 보철 시스템
RU2543036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узел, в частности дл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AU2002347710A1 (en) Components and method for improved impression making
KR200476682Y1 (ko) 치아 임플란트용 가이드 스탠트
KR20030089602A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구조
KR20120027681A (ko) 임플란트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785660B1 (ko) 교환이 용이한 임플란트 픽스쳐
KR101052069B1 (ko) 치과 임플란트 시술용 가이드 블록, 가이드 블록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시술 방법
KR101307411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20200053276A (ko) 임플란트 어셈블리 및 이를 이용한 임플란트 방법
KR20200014558A (ko) 어버트먼트 조립체
KR20180014995A (ko) 임플란트 식립 가이드 장치
KR102289208B1 (ko) 탈착형 치근을 갖는 자연치아 형상의 임플란트 장치
KR101025225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픽스츄어
KR101486851B1 (ko) 치과용 임플란트의 지대주
KR10136123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KR102292489B1 (ko) 어버트먼트 홀더
US20210386526A1 (en) Coupling element for dentistry applications and corresponding kit
KR100614975B1 (ko) 치과용 보철물 및 그 설치방법
KR200452712Y1 (ko) 치과용 회전기구
KR200395918Y1 (ko) 치과용 보철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