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88787B1 - 세정탑 - Google Patents

세정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88787B1
KR102288787B1 KR1020210010830A KR20210010830A KR102288787B1 KR 102288787 B1 KR102288787 B1 KR 102288787B1 KR 1020210010830 A KR1020210010830 A KR 1020210010830A KR 20210010830 A KR20210010830 A KR 20210010830A KR 102288787 B1 KR102288787 B1 KR 1022887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late
washing water
members
spraying
alo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0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준
Original Assignee
동산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산기계(주) filed Critical 동산기계(주)
Priority to KR1020210010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887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887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887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2Washers with plural different washing se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01D47/063Spray cleaning with two or more jets impinging against each 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14Packed scrubb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as Separation By Absor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정탑을 제공한다. 상기 세정탑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본체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패킹층;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부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한다.

Description

세정탑{Washing tower}
본 발명은 세정탑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 1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환경기초시설(유기성 폐기물 처리시설) 및 산업체 등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종래 세정탑의 기본 구조는 하부에 악취가 공급되는 급기구(A1)가 구비되고, 상단에 배기구(A2)가 마련된 본체(A)와, 상기 본체(A)의 내부에 여러 층으로 구비되고, 각 층은 타공판(B1)의 상면에 분산재알갱이(B2)가 채워진 세정부(B)와, 상기 본체(A)의 내 상부에 구비되는 필터부(C)와, 상기 본체(A)의 하단에 세정수(D1)가 채워지고, 그 세정수(D1)를 펌프(P)에 의해 각 층의 세정부(B) 상부로 분사하는 노즐(D2)로 이루어지는 분사부(D);로 이루어진 것이 일반적이다.
상기한 종래의 세정탑은 본체의 내 하부로 급기되는 악취가 배기구로 배기되는 과정에서 세정부를 통과할 때 악취원이 세정수가 분산재 알갱이에 부딪치면서 잘게 부서지는 분산에 의한 공기접촉반응으로 악취가 분해 및 제거되도록 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종래 세정탑의 제거방식은 본체의 내 하부로 급기된 악취가 곧바로 수직 승강하면서 배기되는 방식이고, 이러한 수직 승강식 배기는 배기속도가 상당히 빨라지며, 본체의 내부에 머무는 시간이 상당히 짧아지게 된다.
이로 인해 악취원은 본체 내부의 세정부를 통과하는 시간이 매우 짧아지게 됨으로써 악취원과 세정수의 반응시간이 짧아져 악취의 제거가 상당히 낮음은 물론 대규모의 축사에서 발생하는 고농도의 악취와 같은 경우 대부분 법적 기준치 이하로 제거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급기구는 본체의 측부에 연결되는 상태로 일정 압력의 공기를 본체의 하부 공간에 공급하여 세정부를 통화하도록 상승시키고 있으나, 본체의 일측에서 급기되는 공기는 세정수의 상부 공간에서 체류되어 상부로 상승하는 경우 균일한 상승력을 가진 상태에서 상승되지 못하여 각 세정부를 균일하게 통과하지 못하는 문제를 가질 수 있다.
더하여, 상승되는 공기는 세정부를 통과하는 세정후의 세정수가 낙하함에 그대로 노출되어 상승되는 공기가 오염될 수 있는 문제도 가질 수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615142호(등록일: 2016.04.19)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의 하부 영역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여 토출되도록 하여 다수 층을 이루는 세정층으로 균일한 급기를 이루어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세정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세정층을 통과하도록 토출되는 공기에 세정수를 추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세정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세정탑을 제공한다.
상기 세정탑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본체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패킹층;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부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류 분사부는,
유입홀들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정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하단 몸체와,
상기 하단 몸체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곡 몸체와 상기 토출 몸체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에서 상기 토출 몸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상기 와류 분사부의 상부에는,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 부재들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공급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의 하단 일부는,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세정수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낙하되는 세정수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을 통해 상기 세정수 저장부로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 레벨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다단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단차 영역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이 배치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 영역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여 토출되도록 하여 다수 층을 이루는 세정층으로 균일한 급기를 이루어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세정층을 통과하도록 토출되는 공기에 세정수를 추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효과들과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
도 1은 종래의 세정탑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분사부의 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분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및 연결관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이 상방으로 볼록한 다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상에 배치되는 분사 부재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이하에서 기재의 "상부 (또는 하부)" 또는 기재의 "상 (또는 하)"에 임의의 구성이 구비 또는 배치된다는 것은, 임의의 구성이 상기 기재의 상면 (또는 하면)에 접하여 구비 또는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기재와 기재 상에 (또는 하에) 구비 또는 배치된 임의의 구성 사이에 다른 구성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세정탑을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세정탑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세정탑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1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본체부(200)와, 상기 본체부(100)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300)와, 상기 본체부(100)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패킹층(400)과, 상기 다수의 패킹층(40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500)와, 상기 본체부(100)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패킹층(400)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급기부(600)는 본체부(100)의 측부에 연결되어 공기를 유입하는 유입관(610)을 갖는다.
상기 급기부(600)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한다.
여기서 상기 급기부(600)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300)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700)를 포함한다.
상기 와류 분사부(700)는 유입홀들(711)이 형성되는 고정판(710)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711)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720)을 포함한다.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분사부의 고정판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류 분사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급관 및 연결관들의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 하면, 상기 고정판(710)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며, 본체부의 내주 일정 위치에 고정부재(미도시)를 통해 고정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720)은 상기 고정판(710)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상기 분사 부재들(720)은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은, 하단 몸체(721)와, 상기 하단 몸체(721)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722)와, 상기 절곡 몸체(722)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723)로 형성된다.
상기 토출 몸체(723)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722)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절곡 몸체(722)와 상기 토출 몸체(723)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72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 몸체(724)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722)에서 상기 토출 몸체(723)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류 분사부(700)의 상부에는,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810)이 배치된다.
상기 공급관(810)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 부재들(720)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820)이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급관(810)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들(820) 각각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관들(820) 각각의 하단 일부는 상기 분사 부재들(720)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고정판(710)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세정수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730)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에는 드레인 홀들이 형성된다. 상기 드레인 홀들(712)은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730) 각각의 상단과 연결된다.
상기 고정판(710)의 상부로 낙하되는 세정수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730)을 통해 상기 세정수 저장부(300)로 배출된다.
또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730)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은 상기 고정판(710)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은 본체의 하부 영역에서 급기되는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 형성이 가능하도록 방향성을 부여하여 토출되도록 하여 다수 층을 이루는 세정층으로 균일한 급기를 이루어 오염원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수의 세정층을 통과하도록 토출되는 공기에 세정수를 추가로 공급하여 줌으로서 토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이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들(720)의 상단 레벨은 고정판(710’)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710’)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710’)은 상기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710’)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710’)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S)이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710’)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분사 부재들(720)의 상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은 해당 설치 위치에서 경사면(S)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고정판(710’)의 하부에서 각각의 분사 부재들(7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분사 부재들(720)의 공기 토출 방향 및 고정판(710’)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고정판(710’)의 중앙에서 에지를 따라 중심 상부에서 외측 하부를 따라 와류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드레인 파이프들(730) 상단은 상기 고정판(710’)의 경사면(S) 하단에 연결된다. 이를 통해 상부에서 세정 후 세정수는 고정판(710’)의 경사면(S)을 따라 하방으로 흐르면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730)의 상단을 통해 유입되어 하방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이 상방으로 볼록한 다단 형상으로 형성되는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사 부재들(720)의 상단 레벨은 고정판(710”)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710”)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710”)은 상기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710”)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방향을 따라 다단의 단차 영역들(710a)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710”)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수의 단차 영역들(710a)이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710a) 각각은 고정판(710”)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710a) 상에는 분사 부재들(720)이 반경 방향을 따라 균등 간격을 이루어 배치된다. 여기서 상기 분사 부재들(720)의 상하 길이는 동일하게 형성된다.
이에 상기 분사 부재들(720) 각각은 해당 단차 영역(710a)에 배치되기 때문에,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통해 급기되는 공기는 고정판(710”)의 하부에서 각각의 분사 부재들(720)을 통해 외부로 토출되고, 분사 부재들(720)의 공기 토출 방향 및 고정판 상에서 서로 다른 반경 위치에 배치됨에 따라 토출되는 공기는 고정판(710”)의 상부 공간에서 와류 형성이 용이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 상에 배치되는 분사 부재들의 길이가 서로 상이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판(710)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720)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의 구성에 따라 분사 부재들(720)은 해당 반경 위치에서 고정판(710)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하단 몸체(721)의 길이가 일정 길이로 짧게 형성된다.
이에 분사 부재들(720)의 토출 몸체(723)의 레벨은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낮은 레벨을 이루는 위치에 배치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본체부
200 : 상부 본체부
300 : 세정수 저장부
400 : 패킹층
500 : 분사부
600 : 급기부

Claims (5)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되는 상부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하부에 형성되며, 세정수가 저장되는 세정수 저장부;
    상기 본체부에 층을 이루어 배치되는 다수의 패킹층;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세정수를 공급 받아 하방으로 분사하는 다수의 분사부; 및,
    상기 본체부의 측부에 설치되며, 공기를 상기 다수의 패킹층의 하부를 향해 분사하는 급기부;를 포함하되,
    상기 급기부는, 상기 공기를 상부를 따라 와류를 형성하도록 안내하여 분사하되,
    상기 급기부는, 상기 세정수 저장부의 상부에 배치되는 와류 분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와류 분사부는, 유입홀들이 형성되는 고정판과, 일단이 상기 유입홀들에 연결되는 분사 부재들을 포함하되,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일단에서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타단을 따라 절곡되며,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의 내부에는, 상기 공기가 유동되는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은, 상기 고정판의 중앙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상에 간격을 이루어 배치되고, 서로 다른 반경을 이루는 경로들 각각에서 비스듬한 방향을 따라 배치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하단 몸체와, 상기 하단 몸체와 연결되며, ㄱ 형상을 이루도록 절곡되는 절곡 몸체와, 상기 절곡 몸체의 단부에 연결되는 토출 몸체를 구비하되, 상기 토출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의 내경 보다 일정 내경 작게 형성되고,
    상기 절곡 몸체와 상기 토출 몸체의 사이에는 연결 몸체가 형성되되,
    상기 연결 몸체의 내경은, 상기 절곡 몸체에서 상기 토출 몸체를 따라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형성되고,
    상기 와류 분사부의 상부에는, 세정수가 공급되는 공급관이 배치되고,
    상기 공급관의 다수 위치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과 연결되어 공급되는 세정수를 상기 분사 부재들의 내부로 공급하는 연결관들이 연결되고,
    상기 공급관은, 직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도록 원형의 관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관들 각각의 하단 일부는,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과 연통되도록 연결되고,
    상기 고정판의 다수 위치에는 하단이 상기 세정수에 함침되는 드레인 파이프들이 하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고정판의 상부로 낙하되는 세정수는,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을 통해 상기 세정수 저장부로 배출되고,
    상기 드레인 파이프들의 상단부 주변 영역은, 상기 주변 영역에서 상기 드레인 파이프의 상단을 따라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분사 부재들 각각은, 상기 고정판의 상단에서 회전각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단 레벨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위치에서 고정판의 외측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지는 레벨을 형성하되,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은 원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은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를 따라 다단을 이루어 순차적으로 하향 경사지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상기 고정판의 에지의 사이에는 다단을 이루는 다수의 단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단차 영역에는 상기 분사 부재들이 배치되고,
    상기 고정판이 수평을 이루는 평면을 이루는 경우, 상기 분사 부재들의 상하 길이는 상기 고정판의 중심 위치에서 에지를 따라 점진적으로 짧아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정탑.
  4. 삭제
  5. 삭제
KR1020210010830A 2021-01-26 2021-01-26 세정탑 KR1022887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30A KR102288787B1 (ko) 2021-01-26 2021-01-26 세정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0830A KR102288787B1 (ko) 2021-01-26 2021-01-26 세정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88787B1 true KR102288787B1 (ko) 2021-08-11

Family

ID=77313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0830A KR102288787B1 (ko) 2021-01-26 2021-01-26 세정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88787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246A (ko) * 2012-09-27 2014-04-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가스 처리 장치
KR101615142B1 (ko) 2015-12-21 2016-05-11 전남현 악취 저감용 세정탑
KR101648118B1 (ko) * 2015-03-31 2016-08-18 주식회사 한경 이-텍 약액주입 토네이도 방식 오염공기정화장치
KR20180039780A (ko) * 2016-10-10 2018-04-19 추헌직 세정탑
KR101901719B1 (ko) * 2018-05-21 2018-11-22 (주)현보산업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KR102001359B1 (ko) * 2019-02-13 2019-07-17 홍의환 악취가스 저감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1246A (ko) * 2012-09-27 2014-04-04 현대제철 주식회사 배가스 처리 장치
KR101648118B1 (ko) * 2015-03-31 2016-08-18 주식회사 한경 이-텍 약액주입 토네이도 방식 오염공기정화장치
KR101615142B1 (ko) 2015-12-21 2016-05-11 전남현 악취 저감용 세정탑
KR20180039780A (ko) * 2016-10-10 2018-04-19 추헌직 세정탑
KR101901719B1 (ko) * 2018-05-21 2018-11-22 (주)현보산업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KR102001359B1 (ko) * 2019-02-13 2019-07-17 홍의환 악취가스 저감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70690B2 (en) Exhaust gas processing apparatus
KR101443157B1 (ko) 오염가스 정화장치
KR101804418B1 (ko)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용 습식 스크러버 시스템
US3409409A (en) Controlled ph scrubber system
KR102290028B1 (ko) 향상된 효율의 기액분리기를 구비한 악취가스 탈취장치
KR101166484B1 (ko) 싸이클론식 세정탑
EP3062901B1 (en) Device and method for heat and mass exchange between gas and liquid
US1169766A (en) Gas-washer.
KR101901719B1 (ko) 다단 선회류 습식 집진장치
KR100950243B1 (ko) 가스 세정기
KR102288787B1 (ko) 세정탑
CN110917774A (zh) 一种用于环保设备的废气处理输送装置
KR101979002B1 (ko) 유해가스 분진 제거장치
KR101725385B1 (ko) 수직 멀티 베인형 싸이클론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세정탑 시스템
KR101040635B1 (ko) 여과 및 살균 기능을 갖는 세정식 집진장치
KR102220442B1 (ko) 텐터 후단의 배기가스용 습식 스크러버
KR102312101B1 (ko) 공기정화장치
CN104722150B (zh) 制药及化工行业用废气净化器
KR101953954B1 (ko) 벤츄리 스크러버 및 이를 포함하는 원자력발전소의 제염장치
US2224429A (en) Wet type dust collector
KR102556218B1 (ko) 물탱크 천장판 세정장치
JP3762771B2 (ja) 曝気槽の消泡装置及び消泡方法
KR102501358B1 (ko) 스컴 제거와 자체 세정이 가능한 약액탈취기
CN212467533U (zh) 一种复合肥尾气喷淋处理装置
CN211585803U (zh) 一种用于处理前纺废气的空气净化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